KR20160035164A -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 Google Patents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164A
KR20160035164A KR1020140125992A KR20140125992A KR20160035164A KR 20160035164 A KR20160035164 A KR 20160035164A KR 1020140125992 A KR1020140125992 A KR 1020140125992A KR 20140125992 A KR20140125992 A KR 20140125992A KR 20160035164 A KR20160035164 A KR 20160035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s
line
carbon dioxide
carbon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762B1 (ko
Inventor
김민원
이재익
황필강
박상천
강성묵
조대연
김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14012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7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등의 정수라인에 설치되어 탄산가스와 물의 접촉에 의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는 음용 탄산수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와 탄산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원수원과 가스통과 탄산수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탄산수탱크에 혼합기를 장착하고, 그 혼합기의 구조를 원수원에 연결된 원수라인과 가스통에 연결된 가스주입라인을 공급라인으로 연결하고, 그 공급라인에는 메인 오리피스를 장착하면서 가스주입라인에는 공급라인의 메인 오리피스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유량의 보조 오리피스를 장착하여 탄산가스가 공급라인으로 주입될 때 음압이 발생되면서 원수원의 원수가 함께 혼합되어 주입이 이루어지고, 그 주입되는 과정에서 1차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탄산가스가 일정량 용해가 이루어진 후 탄산수탱크에 공급되어 탄산수가 제조되도록 하여 탄산수 제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본 발명은 냉장고 등의 정수라인에 설치되어 탄산가스와 물의 접촉에 의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는 음용 탄산수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산가스와 원수가 탄산수탱크로 공급될 때 혼합기를 경유하여 주입되도록 하여 혼합기에서 1차 용해가 이루어진 상태로 탄산가스와 원수가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탄산수는 탄산가스가 함유된 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마실 때 특유의 청량감이 있고, 또한 탄산수 속에 든 이산화탄소가 입안의 점막을 자극해서 침을 발생시키면서 위와 장의 연동운동을 도와 소화 촉진 작용을 하며, 장이 팽창되도록 만들어 장운동을 도와 변비나 다이어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점차 탄산수를 음용하는 사용자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정에서 직접 탄산수를 제조하여 먹을 수 있도록 음용 탄산수 제조기를 냉장고 등의 정수라인에 설치하여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바로 토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탄산수 제조장치는, 원수(정수필터를 거쳐서 정수가 이루어진 물)가 공급되는 정수라인 상에 탄산수탱크를 장착하고, 탄산가스를 저장하는 가스통을 구비하여 가스통을 탄산수탱크와 가스주입라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원수가 탄산수탱크에 담겨진 상태에서 가스통의 탄산가스를 가스주입라인을 통하여 주입하여 탄산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가스주입라인의 말단을 탄산수탱크에 담겨진 물에 침지되도록 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의 접촉면적을 늘려 이산화탄소가 물에 잘 흡수되도록 하고, 흡수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는 탄산수탱크 내에 잔류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에 용해되면서 탄산수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원(100)과 탄산가스가 저장된 가스통(200)이 각각 원수라인(10)과 가스주입라인(20)에 의하여 탄산수탱크(300)에 연결되어 탄산가스와 원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탄산수탱크(300)는 디스펜서(D) 방향으로 배출라인(40)을 형성하여 탄산수를 배출시키며, 탄산수탱크(100)에는 배기수단(50)을 장착하여 잔여 탄산가스를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산수 제조장치의 작동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원수를 탄산수탱크에 공급하여 물을 채운 후,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탄산가스를 채우면 탄산수탱크 내의 압력이 급상승하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탄산가스가 원수에 녹아들게 되면서 탄산농도가 높아지게 되면서 탄산수가 제조된다.
이때, 탄산수탱크 내부에 일시에 높은 압력으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면 폭발우려가 있으므로 한번에 많은 양의 탄산가스를 주입할 수 없고, 따라서 고농도 탄산수(강탄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탄산가스를 주기적으로 주입하여야 하며, 이렇게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인터벌 간격에 따라서 약탄산 또는 강탄산으로 농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제조된 탄산수는 디스펜서를 통하여 배출되며, 탄산수가 저수위까지 배출되어 소진되면 배기수단(50)을 오픈하여 잔여 탄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면서 정수된 물을 탄산수탱크로 다시 담수 한 후, 상기의 제조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음용 탄산수 제조장치의 문제가 탄산가스가 물에 자연적으로 흡수되는 시간을 기다려서 탄산수가 얻어지는 것으로 이산화탄소가 물에 안정적으로 용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용해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탄산수탱크에 제조되어 있던 탄산수가 모두 배출되어 소진된 후에는 오랜 시간(음용 탄산수 제조장치가 내장된 냉장고의 경우 일반적으로 3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즉시 사용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탄산수를 음용하고자 배출하는 도중에 탄산수가 끊겨서 음용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기타 다른 용도(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잡내를 제거하는 용도나 세안을 하는 용도로도 탄산수가 사용됨)로 급하게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매우 불편한 것이다.
특히, 고농도의 탄산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산가스를 주기적으로 주입하여 탄산수가 제조되므로 제조시간이 더 길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용이 더욱 불편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탄산수를 제조하는 방식은 자연 용해 방식이므로 탄산가스의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물에 흡수되지 못한 잔여 탄산가스가 많이 발생하고, 따라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탄산가스를 주입하여야 하므로 탄산가스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탄산수를 반복적으로 제조할 경우에 탄산수가 소진된 탄산수탱크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탄산수탱크 내부의 압력을 낮춘 상태에서 원수를 공급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탄산수를 제조하고 탄산수탱크에 남아 있는 잔여 탄산가스를 배기수단을 통하여 모두 공기 중으로 배출시키므로 탄산가스가 낭비되며, 가스통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므로 매우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산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와 원수를 주입할 때 혼합기를 통하여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1차 용해가 이루어진 상태로 주입되어 용해 효율을 높이고 동일한 농도 기준의 탄산수 제조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사용량을 줄여 탄산가스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조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혼합기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이산화탄소와 원수의 공급비율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원과 탄산가스가 저장된 가스통에 각각 원수라인과 가스주입라인을 형성하여 공급라인을 통하여 탄산수탱크로 탄산가스와 원수가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공급라인에는 공급되는 탄산가스와 원수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오리피스를 장착하면서 가스주입라인에는 그 오리피스보다 상대적으로 유량이 적은 보조 오리피스를 장착하여 보조 오리피스의 설정된 유량에 따라서 원수라인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면서도 공급라인과 메인 오리피스를 통과하면서 탄산가스와 원수의 1차 용해가 이루어진 후 탄산수탱크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탄산수탱크에는 물과 탄산가스를 흡입하여 재공급하는 회수라인을 형성하면서 그 회수라인에 순환펌프와 다공블럭을 장착하여 회수라인으로 흡입된 물과 탄산가스가 다공블럭을 통과하면서 물 입자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포말이 형성되어 탄산가스와 접촉되는 물의 표면적을 넓혀 탄산가스 용해효율을 더욱 높이고 이러한 순환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산수탱크에는 보조 회수라인을 형성하고, 그 보조 회수라인에 임시 탄산수탱크 및 진공펌프를 장착하여 탄산수탱크에 잔류하는 탄산가스를 압축하여 임시 탄산수탱크에 보관한 후, 탄산가스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재공급 되도록 함으로써 잔류 탄산가스를 전량 재사용하면서 소실되는 탄산가스가 없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원수와 탄산가스를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는 방법과는 달리 원수와 탄산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혼합기를 통하여 어느 정도 용해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원수와 탄산가스가 탄산수탱크로 공급되므로 탄산수의 제조시간을 매우 단축시킬 수 있고, 따라서 디스펜서를 통하여 탄산수를 모두 소진한 후에 탄산수를 재사용하기 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또한, 탄산수탱크에 탄산가스와 원수가 공급된 후에는 순환 시스템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재압축을 가하면서도 포말에 의하여 용해 효율을 매우 높일 수 있게 되므로 고농도의 탄산수(강탄산)를 제조할 경우에도 탄산수 제조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농도에 관계없이 짧은 시간에 제조된 탄산수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산수 제조를 위하여 이렇게 순환되는 과정에서 거의 대부분의 탄산가스가 원수에 녹아들게 되기 때문에 잔여 탄산가스가 거의 없어 탄산가스소실이 매우 적고, 또한 미량 남아있는 잔여 탄산가스도 임시 저장한 후 재사용할 수 있어 탄산가스손실이 전혀 없도록 할 수 있어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탄산가스손실을 줄임으로써 가격이 비싼 가스통의 교체주기를 길게 가져갈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음용 탄산수 제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용 탄산수 제조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된 물이 저장된 원수원(100)과 탄산가스가 저장된 가스통(200)을 탄산수탱크(300)에 연결하여 원수와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300)에 주입하여 탄산가스가 원수에 용해되면서 탄산수 제조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탄산가스와 원수가 혼합기(1)를 통하여 탄산수탱크(300)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혼합기(1)에서 탄산가스의 1차 용해가 이루어진 후 탄산수탱크(200)로 탄산가스와 원수가 주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혼합기(1)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원수원(100)과 가스통(200)에 각각 원수라인(10)과 가스주입라인(20)을 형성하고 그 원수라인(10)과 가스주입라인(20)을 공급라인(30)에 연결하여 탄산수탱크(300)로 탄산가스와 원수가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공급라인(30)에는 탄산가스와 원수가 공급되는 전체 유량을 제어하는 메인 오리피스(31)를 장착하면서 가스주입라인(20)에는 메인 오리피스(31)보다 상대적으로 유량이 적은 보조 오리피스(21)를 장착하여 가스주입라인(20)을 통하여 저유량 고압으로 탄산가스 주입이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음압에 의하여 원수라인(10)의 원수가 함께 빨려들어가면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탄산가스가 원수에 스며들면서 1차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가스통(200) 자체가 탄산가스가 압축된 것이므로 탄산가스가 공급될 때 가스주입라인(20)에서 고압으로 공급되는 것임에 반하여, 원수원(100)은 물이 정수하는 라인 상에 위치되므로 저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따라서 가스주입라인(20)의 보조 오리피스(21)를 통과한 탄산가스가 주입될 때 메인 오리피스(31)와의 용량 차이가 발생되는데, 이 여유분만큼 원수가 음압에 의하여 공급라인(30)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탄산가스와 물 입자가 접촉되어 용해가 이루어지고, 이 이후 메인 오리피스(31)를 경유하면서 다시 용해가 이루어지며, 메인 오리피스를 경유한 직후에는 물 입자가 고압에서 저압으로 전환됨에 따라서 분사가 이루어지면서 물 입자가 작아져 탄산가스와 물 입자와의 접촉 표면적이 늘어나면서 탄산가스 용해가 촉진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1차 용해가 이루어진 후 탄산수탱크(300)로 탄산가스와 원수가 공급되어 탄산수를 제조하게 되므로 탄산수를 제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스주입라인(20)은 가스레귤레이터(22)를 장착하여 가스통에서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감압하여 공급토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러한 가스 오리피스는 매우 작은 직경을 갖도록 되므로 가스주입라인(20) 상에 미세한 금속가루 등이 붙을 경우 폭발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스주입라인(20) 상에 릴리프(23)를 형성하여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탄산가스를 배기토록 함으로써 위험발생요인을 제거토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산수탱크(300)에는 가스회수부(60a)와 액체회수부(60b)에 의하여 탄산가스와 물이 회수되어 탄산수탱크(300)로 재공급되는 회수라인(60)을 형성하고, 그 회수라인(60)에는 순환펌프(61)를 장착하여 탄산가스와 물을 회수토록 하며, 그 회수라인(60)이 공급라인(30)과 연결되도록 하면 공급라인(30)에 장착된 메인 오리피스(31)를 경유하여 탄산수탱크(300)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회수라인(60)을 통하여 흡입된 물과 탄산가스가 탄산수탱크(30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메인 오리피스(31)를 통과하면서 압축유도가 이루어지고, 그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물에 압력에 의하여 용해되도록 한 것이다.
즉, 탄산수탱크(300)에 공급된 탄산가스는 시간이 지나면서 탄산가스가 녹아들게 되는데, 그 상태에서 회수라인(60)의 순환펌프(61)를 동작시키면 가스회수부(60a)와 액체회수부(60b)를 통하여 탄산가스와 물이 흡입되어 공급라인(30)의 메인 오리피스(31)를 통과한 후, 탄산수탱크(300)로 재공급되며, 이러한 순환 압축 작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탄산수를 제조토록 함으로써 탄산수탱크(300)에 남아있는 잔여 탄산가스를 강제로 물에 용해시켜 탄산가스의 용해 효율을 높이고 짧은 시간에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탄산가스와 물이 메인 오리피스(31)를 통과한 후에는 회수라인 상에서 고압으로 인젝션 되면서 물입자가 분사되며, 이에 따라 물 입자와 탄산가스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용해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회수라인(60)을 통과한 탄산가스와 물이 저장탱크로 주입될 때 포말이 형성되면서 탄산가스 혼합을 더 유도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라인(30)은 탄산수탱크(300)에 연결되는 단부가 탄산수탱크(30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면 최초 원수와 탄산가스가 주입될 때, 또는 회수라인(60)을 경유한 탄산가스와 탄산수가 탄산수탱크(300)의 하단부로 재공급될 때 포말을 더 크게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포말에 의하여 탄산가스 용해 효율을 더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수라인(60)은 가스회수부(60a)와 액체회수부(60b)를 별도의 라인으로 형성하고, 가스회수부(60a)를 탄산수탱크(300)의 상단부에 형성하면서 액체회수부(60b)는 탄산수탱크(300)의 하단부에 형성하여 탄산가스와 물을 각각 회수할 수 있도록 되는데, 이때 상기 가스회수부(60a)에는 회수오리피스(62)를 장착하여 흡입하는 탄산가스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전체 회수라인(60)의 유량 중 가스회수부(60a)와 액체회수부(60b)로 흡입되는 유량 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때 회수오리피스(62)의 유량은 공급라인(30)에 형성되는 메인 오리피스(31)의 유량 대비 50%로 형성하면 탄산가스와 물을 1:1의 비율로 회수하면서 압축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저장탱크에 탄산가스를 주입할 때 일시에 높은 압력으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면 폭발우려가 있으므로 한번에 많은 양의 탄산가스를 주입하기보다는 탄산가스를 주기적으로 반복 주입함으로써 고농도 탄산수(강탄산)를 제조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순환 압축 시스템에 의하여 탄산수탱크(300) 내부의 압력을 빠르게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인터벌 간격을 줄여 약탄산 또는 강탄산으로 빠른 시간에 농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제조된 탄산수는 탄산수탱크(300)에 디스펜서(D) 방향으로 배출라인(40)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디스펜서(D)를 통하여 간단하게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탄산수가 탄산수탱크(300) 용량중에서 저수위까지 배출되어 소진되면 배기수단(50)을 오픈하여 잔여 탄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면서 원수를 저장탱크로 다시 담수한 후, 상기의 제조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라인(40)에는 워터레귤레이터(41)를 장착하여 탄산수탱크(300)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감압하여 탄산수를 배출토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그 배출라인(40)에는 개폐 밸브(42)를 장착하여 감압된 탄산수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공급라인(30)에 다공블럭(32)을 장착하면 물이 회수라인(60)을 경유하여 탄산수탱크(30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물 입자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분산된 물 입자에 의하여 탄산가스와 접촉되는 물의 표면적을 넓혀 탄산가스 용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다공블럭(32)에 의하여 물 입자가 5㎛(미크론) 이하로 물 입자를 작게 분산하여 포말 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물 입자와 탄산가스의 접촉면적을 늘려 탄산가스와 물의 혼합이 더 잘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공블럭(32)은 메인 오리피스(31) 전단에 장착되는 1차 다공블럭(32a)과 메인 오리피스(31) 후단에 장착되는 2차 다공블럭(32b)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1차 다공블럭(32a)에 의하여 형성된 포말이 메인 오리피스(31)를 통과하면서 압축이 이루어지고, 압축된 탄산수를 다시 2차 다공블럭(32b)을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포말이 다시 형성되면서 순환 압축 시스템의 탄산가스 용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산수탱크(300)에 도 4와 같이 보조 회수라인(70)을 형성하고, 그 보조 회수라인(70)에 임시 저장탱크(71) 및 진공펌프(72)를 장착하면 탄산수탱크(300)에 잔류하는 탄산가스를 진공펌프(72)로 흡입하여 임시 저장탱크(71)에 압축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탄산수 제조를 위하여 탄산가스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임시 저장탱크(71)에 저장된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300)로 재공급토록 함으로써 탄산수를 제조하고 남아 있는 잔류 탄산가스가 소실되지 않고 전량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 회수라인(70)은 배기수단(50)의 배기라인으로부터 분기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배기수단(50)에는 배출밸브(51)를 장착하여 탄산가스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회수라인(70)에는 체크밸브를 형성하여 탄산가스 역류를 방지하면서 저장된 잔류 탄산가스를 재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1: 혼합기
10: 원수라인
20: 가스주입라인 21: 보조 오리피스
22: 가스레귤레이터 23: 릴리프
30: 공급라인 31: 메인 오리피스
32: 다공블럭 32a: 1차 다공블럭
32b: 2차 다공블럭
40: 배출라인 41: 워터레귤레이터
42: 개폐 밸브
50: 배기수단 51: 배출밸브
60: 회수라인 60a: 가스회수부
60b: 액체회수부 61: 순환펌프
62: 회수 오리피스
70: 보조 회수라인 71: 임시 저장탱크
72: 진공펌프

Claims (6)

  1.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원(100)과 탄산가스가 저장된 가스통(200)에 각각 원수라인(10)과 가스주입라인(20)이 형성되고, 그 원수라인(10)과 가스주입라인(20)은 공급라인(30)으로 연결되어 탄산수탱크(300)로 탄산가스와 원수가 주입되어 탄산수 제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라인(30)은 탄산가스와 원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메인 오리피스(31)가 장착되면서 가스주입라인(20)에는 메인 오리피스(31)보다 상대적으로 유량이 적은 보조 오리피스(21)가 장착되어 저유량 고압으로 탄산가스 주입이 이루어지면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하여 원수라인(10)의 원수가 빨려들어가면서 탄산가스의 1차 용해가 이루어진 후 탄산수탱크(300)로 탄산가스와 원수가 공급되어 탄산수를 제조하게 되는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300)는 가스회수부(60a)와 액체회수부(60b)에 의하여 탄산가스와 물이 회수되어 탄산수탱크(300)로 재공급되는 회수라인(60)이 형성되고, 상기 회수라인(60)은 순환펌프(61)가 장착되면서 공급라인(30)과 연결되어 회수라인으로 흡입된 물과 탄산가스를 탄산수탱크(30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메인 오리피스(31)에서 재압축하여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되도록 하면서 압축 작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라인(60)은 다공블럭(32)이 장착되어 물이 회수라인(60)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물 입자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되고, 분산된 물 입자에 의하여 탄산가스와 접촉되는 물의 표면적을 넓혀 탄산가스 용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라인(60)에 형성된 다공블럭(32)은 메인 오리피스(31) 전단에 장착되는 1차 다공블럭(32a)과 메인 오리피스(31) 후단에 장착되는 2차 다공블럭(32b)으로 이루어져 이중으로 포말형성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라인(60)은 가스회수부(60a)가 탄산수탱크(300)의 상단부에 형성되면서 액체회수부(60b)는 저장탱크(3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탄산가스와 물을 각각 회수토록 되고, 가스회수부(60a)에는 회수오리피스(62)가 장착되어 탄산가스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가스회수부(60a)와 액체회수부(60b)로 흡입되는 유량 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탱크(300)는 보조 회수라인(70)이 형성되고, 그 보조 회수라인(70)에 임시 저장탱크(71) 및 진공펌프(72)가 장착되어 탄산수탱크(100)에 잔류하는 탄산가스를 압축하여 임시 저장탱크(71)에 보관한 후 탄산수탱크(100)로 재공급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KR1020140125992A 2014-09-22 2014-09-22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KR10161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92A KR101619762B1 (ko) 2014-09-22 2014-09-22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92A KR101619762B1 (ko) 2014-09-22 2014-09-22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164A true KR20160035164A (ko) 2016-03-31
KR101619762B1 KR101619762B1 (ko) 2016-05-13

Family

ID=5565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992A KR101619762B1 (ko) 2014-09-22 2014-09-22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7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7118A (ja) * 2007-06-12 2008-12-25 Deto Co Ltd 炭酸泉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762B1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0790B2 (ja) 廃水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9562337B (zh) 微细气泡生成装置、微细气泡生成方法、抽吸装置以及抽吸系统
US11479868B2 (en) Electrolytic device
WO2006090869A1 (ja) 次亜塩素酸又は亜塩素酸を主成分とした殺菌水の生成方法及び装置
CN102448885B (zh) 钠和钾的分离提取装置及分离提取方法
JP2009248048A (ja) 気液混合水生成装置
JPWO2015166784A1 (ja) 汚泥処理装置および汚泥処理方法
KR101619762B1 (ko) 혼합기가 장착된 음용 탄산수 제조기
JP2003088736A (ja) 溶存気体濃度増加装置及び溶存気体濃度増加方法
US524655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igh concentrating ozone water
KR101619747B1 (ko) 순환 압축 시스템에 의하여 탄산수가 제조되는 음용 탄산수 제조기
JP2008307118A (ja) 炭酸泉生成装置
KR101619756B1 (ko) 순환 시스템에 의하여 탄산수가 제조되는 음용 탄산수 제조기
KR101402369B1 (ko) 회전 분사 노즐을 이용한 고농도 기액 혼합장치
JP2006263701A (ja) 微量吐水可能な炭酸ガス含有殺菌水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2172317A (ja) 溶存気体濃度増加装置及び溶存気体濃度増加方法
CN205953583U (zh) 一种新型气浮溶气罐
JP4872613B2 (ja) ガス溶解洗浄水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TWM488508U (zh) 氫氧水機
JP2012106189A (ja) バブル含有液生成装置
JP2005002674A (ja) 水処理装置
KR102473893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KR101125646B1 (ko) 산소 용해장치
JPH03158157A (ja) 微細気泡炭酸泉製造装置
CN206809853U (zh) 一种酸再生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