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728A - 근채류 절단기 - Google Patents

근채류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728A
KR20160034728A KR1020140126080A KR20140126080A KR20160034728A KR 20160034728 A KR20160034728 A KR 20160034728A KR 1020140126080 A KR1020140126080 A KR 1020140126080A KR 20140126080 A KR20140126080 A KR 20140126080A KR 20160034728 A KR20160034728 A KR 20160034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ut
blade
guid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범
Original Assignee
김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범 filed Critical 김경범
Priority to KR102014012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728A/ko
Publication of KR2016003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6Packaging bread or like bakery products, e.g. unsliced loaves
    • B65B25/18Wrapping sliced b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근채류를 균일한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자동화로 인하여 보다 값싸게 대량 절단이 가능하게 한 근채류 절단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기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 왕복이동수단; 상기 왕복이동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왕복이동 되는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근채류를 수용할 수 있게 상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공급함과 상기 공급함에 수용되는 근채류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자중에 의해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공급함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량체로 이루어진 공급수단; 상기 공급함에 수용된 근채류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절단될 수 있게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칼날과 상기 칼날에 의해 절단된 근채류가 낙하되도록 상기 칼날에 인접하도록 가이드레일에 관통되게 형성된 낙하공으로 이루어진 절단수단; 및 상기 절단수단의 낙하공을 통해 낙하된 근채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채류 절단기{root vegetables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근채류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임무(단무지), 생무, 우엉, 당근(이하, 근채류(根菜類)라 한다.) 또는 오이, 고추(피망류) 등을 균일한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하거나 혹은 김밥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기다랗게 절단할 수 있는 근채류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무지는 무를 소금물에 장기간 절여 적당히 간이 배면 이를 세척한 후, 적당히 썰어서 반찬류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절임류 식품중의 하나이며 대부분이 중국음식점이나 분식점에서 대량 소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무지는 통상 얇게 썰어 먹거나 혹은 단무지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김밥용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단무지의 절단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이 많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격자창 형태의 칼날이 조립된 커터를 설치하고 그 커터를 통과하도록 단무지를 강제적으로 밀어주어 한 번에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로 절단할 수 있게 한 단무지 절단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무지 절단기는 단무지를 균일한 두께로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무지를 격자창 형태의 칼날이 조립된 커터에 밀어줄 때에는 통상 단무지의 후단부를 밀어주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단무지의 앞쪽은 칼날에 의해 힘을 받고, 단무지의 뒤쪽은 계속 밀어주는 힘이 가해지게 됨으로 단무지의 중간부 몸통이 볼록하게 되어 단무지를 균일한 두께로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19910006384 KR 200403075
본 발명의 목적은 근채류를 균일한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자동화로 인하여 보다 값싸게 대량 절단이 가능하게 한 근채류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근채류(根菜類)가 왕복 이동될 수 있게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기체(機體); 상기 기체의 상부에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 제1왕복이동블록과 상기 제1왕복이동블록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안내될 수 있게 설치된 가이드바로 이루어진 왕복이동수단; 상기 왕복이동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왕복이동 되는 제1왕복이동블록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근채류를 수용할 수 있게 상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공급함과 상기 공급함에 수용되는 근채류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자중에 의해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공급함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량체로 이루어진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의 공급함에 수용된 근채류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절단될 수 있게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칼날과 상기 칼날에 의해 절단된 근채류가 낙하되도록 상기 칼날에 인접하도록 가이드레일에 관통되게 형성된 낙하공으로 이루어진 절단수단; 및 상기 절단수단의 낙하공을 통해 낙하된 근채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모터로 이루어진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단부에 어느 일단이 베어링을 매개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다른 일단은 상기 제1왕복이동블록에 베어링을 매개체로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작동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해 왕복 이동되게 실린더로드의 선단에 설치된 제2왕복이동블록과 상기 제2왕복이동블록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부 가이드봉과 상기 상하부 가이드봉에 안내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왕복이동블록에 의해 상하부 가이드봉을 타고 왕복 이동되는 상하부 가이드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수단의 칼날은 상기 공급함에 수용되어 왕복 이동되는 근채류를 일정 높이만큼 절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근채류가 절단되는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칼날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수단의 칼날은 상기 공급함에 수용되어 왕복 이동되는 근채류를 일정 높이만큼 절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근채류가 절단되는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칼날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칼날의 전방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일정 간격을 이루게 수직칼날들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함의 후방에는 수직칼날들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칼날들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통과홈을 형성하여 상기 근채류가 수직칼날을 완전하게 통과되어 절단될 수 있게 밀어줌으로서 상기 근채류를 수평칼날과 수직칼날들에 의해 기다랗게 절단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수단은 수직칼날들의 사이에 간격유지대들이 배치되어 상기 수직칼날들과 간격유지대들이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직칼날들과 간격유지대들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을 관통하여 끼움되도록 양단부에 숫나선부가 형성된 결합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볼트의 양단부에 암나선부가 형성된 결합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간격유지대들과 수직칼날들을 고정하되, 상기 간격유지대들의 폭이 상호 다른 것으로 교체 설치함에 의해 상기 수직칼날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기다랗게 절단되는 근채류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수단은 공급함의 전면 일부를 수직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하여 그 개구의 양단에 끼움돌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끼움돌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중량체에 끼움홈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중량체의 하단면이 가이드레일에 접촉되지 않고 근채류가 절단되는 높이만큼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함의 하단부에 안착면을 형성하여 그 안착면에 상기 중량체가 안착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 제2실린더를 설치하여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해 중량체를 하강시 근채류를 눌러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함에 수용되어 절단되는 근채류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공급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간한 구조에 의해 절임무(단무지)를 균일한 두께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로 인하여 보다 값싸게 대량 절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에서 칼날 부위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에서 중량체 부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에 구비되는 수직칼날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에 구비되는 수직칼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에서 절단수단의 실시예로서, 칼날 부위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에 구비되는 공급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에 구비되는 공급수단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표시의 "C"부 확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표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는 기체(機體)(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체(110)는 바닥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근채류(根菜類)가 왕복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112)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는 왕복이동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왕복이동수단(120)은 기체(110)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게 제1왕복이동블록(12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왕복이동블록(122)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124)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124)가 안내될 수 있게 가이드바(126)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는 구동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수단(130)은 왕복이동수단(12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수단(130)은 도 2표시와 같이, 제1모터(132)와 상기 제1모터(132)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축(134)과 상기 회전축(134)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체(136)와 상기 회전체(136)의 단부에 어느 일단이 베어링을 매개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다른 일단은 상기 제1왕복이동블록(122)에 베어링을 매개체로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작동로드(138)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130)은 도 14 ~도 15표시와 같이, 제1실린더(232)와 상기 제1실린더(232)에 의해 왕복 이동되게 실린더로드(232a)의 선단에 설치된 제2왕복이동블록(234)과 상기 제2왕복이동블록(234)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부 가이드봉(236a,236b)과 상기 상하부 가이드봉(236a,236b)에 안내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왕복이동블록(234)에 의해 상하부 가이드봉(236a,236b)을 타고 왕복 이동되는 상하부 가이드관체(238a,23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는 공급수단(1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급수단(140)은 기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근채류를 절단할 수 있게 근채류를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수단(140)은 도 2표시의 구동수단(130)에 의해 왕복이동 되는 제1왕복이동블록(122)에 공급함(142)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함(142)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수단(140)은 도 14 ~도 15표시의 구동수단(130)에 의해 왕복이동 되는 상부 가이드관체(238a)에 공급함(142)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함(142)을 왕복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함(142)은 내부에 근채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함(142)에 수용되는 근채류가 상기 기체(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절단될 수 있게 상기 근채류를 자중에 의해 눌러줄 수 있도록 중량체(144)가 설치된다.
이러한 중량체(144)는 도 1표시와 같이, 상기 공급함(142)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량체(144)에 의해 근채류를 자중으로 눌러줌으로써 근채류가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함(142)의 전면 일부를 수직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하여 그 개구의 양단에 끼움돌부(142a)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끼움돌부(142a)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중량체(144)에 끼움홈부(144a)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중량체(144)의 하단면이 가이드레일(112)에 접촉되지 않고 근채류가 절단되는 높이만큼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함(142)의 하단부에 안착면(146)을 형성하여 그 안착면(146)에 상기 중량체(144)가 안착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체(144)는 도 11표시와 같이 상부에 제2실린더(147)를 설치하여 상기 제2실린더(147)에 의해 중량체(144)를 승강시킬 수 있는데, 제2실린더 (147)의 하강 작동시 상기 중량체(144)로 하여금 근채류를 눌러줄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함(142)에 수용되어 절단되는 근채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 12 ~도 13표시와 같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14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밸브(148)를 통해 내부에 물을 공급하게 되면, 그 물에 의해 근채류의 절단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는 절단수단(1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절단수단(150)은 공급수단(140)의 공급함(142)에 수용된 근채류가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절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절단수단(150)은 도 6표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12)의 중간부위에 칼날(152)이 설치되어 왕복 이동되는 근채류가 절단되게 하고, 상기 칼날(152)에 의해 절단된 근채류가 낙하되도록 상기 칼날(152)에 인접하도록 가이드레일(112)에 관통되게 낙하공(15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단수단(150)에 구비되는 칼날(152)은 상기 공급함(142)에 수용되어 왕복 이동되는 근채류를 일정 높이만큼 절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근채류가 절단되는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칼날(152a)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칼날(152a)에는 파형을 이루는 절단날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파형상의 절단날부에 의해 근채류을 절단하기 위해 접촉되는 초기 접촉되는 상태를 점접촉 되게 하여 하중을 적게 받으면서 근채류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칼날(152a)에 의해 근채류를 일정 두께로 절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공급함(142)에 수용되는 근채류를 세워서 수용하게 되면, 근채류의 외형 그대로 일정 두께로 절단되고, 또 상기 근채류를 눕혀서 수용하게 되면 넓은 면적을 갖도록 근채유가 일정 두께로 절단된다.
또한, 상기 절단수단(150)의 칼날(152)은 수평칼날(152a)의 전방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수직칼날(152b)들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직칼날(152b)들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면, 상기 근채류를 수평칼날(152a)과 수직칼날(152b)들에 의해 기다랗게 절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무지를 김밥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기다랗게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칼날(152b)들에는 삼각형상의 절단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삼각형상의 절단날부에 의해 근채류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칼날(152b)들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면, 상기 공급함(142)의 후방에는 수직칼날(152b)들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칼날(152b)들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통과홈(151)을 형성하여야만 상기 근채류가 수직칼날(152b)들을 완전하게 통과되게 밀어주어 절단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칼날(152b)들에 의해 기다랗게 절단되는 근채류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칼날(152b)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표시와 같이 상기 수직칼날(152b)들의 사이에 간격유지대(156)들이 배치되어 상기 수직칼날(152b)들과 간격유지대(156)들이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칼날(152b)들과 간격유지대(156)들을 상호 교호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7 ~도 8표시와 같이, 상기 수직칼날(152b)들과 간격유지대(156)들에 결합구멍(157)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멍(157)을 관통하여 끼움되도록 양단부에 숫나선부가 형성된 결합볼트(158a)를 설치하며, 상기 결합볼트(158a)의 양단부에 암나선부가 형성된 결합너트(158b)를 체결하여 상기 간격유지대(156)들과 수직칼날(152b)들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대(156)들의 폭을 다른 것으로 교체 설치하게 되면, 상기 수직칼날(152b)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기다랗게 절단되는 근채류의 두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단수단(150)의 칼날(152)은 도 6표시와 같이, 수평칼날(152a)과 수직칼날(152b)이 모두 설치되어 근채류를 기다랗게 절단할 수 있고, 도 9 ~도 10표시와 같이 수평칼날(152a)만이 설치되어 근채류를 소정 두께로만 절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는 배출수단(16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출수단(160)은 절단수단(150)에 칼날(152)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낙하공(154)을 통해 낙하되는 근채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2모터(164)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출컨베이어(162)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컨베이어(162)에 의해 절단된 근채류를 어느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하고자 하는 근채류를 공급함(142)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중량체(144)에 의해 근채류를 눌러 줌과 아울러 왕복이동수단(120)에 의해 칼날(152)을 통과하도록 왕복 이동시킴에 의해 근채류를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다.
110 - 기체 112 - 가이드레일
120 - 왕복이동수단 130 - 구동수단
140 - 공급수단 142 - 공급함
144 - 중량체 150 - 절단수단
152 - 칼날 152a - 수평칼날
152b - 수직칼날 154 - 낙하공
160 - 배출수단 162 - 배출컨베이어

Claims (9)

  1. 바닥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근채류(根菜類)가 왕복 이동될 수 있게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기체(機體);
    상기 기체의 상부에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 제1왕복이동블록과 상기 제1왕복이동블록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안내될 수 있게 설치된 가이드바로 이루어진 왕복이동수단;
    상기 왕복이동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왕복이동 되는 제1왕복이동블록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근채류를 수용할 수 있게 상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공급함과 상기 공급함에 수용되는 근채류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자중에 의해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공급함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량체로 이루어진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의 공급함에 수용된 근채류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절단될 수 있게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칼날과 상기 칼날에 의해 절단된 근채류가 낙하되도록 상기 칼날에 인접하도록 가이드레일에 관통되게 형성된 낙하공으로 이루어진 절단수단; 및
    상기 절단수단의 낙하공을 통해 낙하된 근채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모터로 이루어진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단부에 어느 일단이 베어링을 매개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다른 일단은 상기 제1왕복이동블록에 베어링을 매개체로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작동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에 의해 왕복 이동되게 실린더로드의 선단에 설치된 제2왕복이동블록과 상기 제2왕복이동블록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부 가이드봉과 상기 상하부 가이드봉에 안내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왕복이동블록에 의해 상하부 가이드봉을 타고 왕복 이동되는 상하부 가이드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의 칼날은 상기 공급함에 수용되어 왕복 이동되는 근채류를 일정 높이만큼 절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근채류가 절단되는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칼날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의 칼날은 상기 공급함에 수용되어 왕복 이동되는 근채류를 일정 높이만큼 절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근채류가 절단되는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칼날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칼날의 전방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일정 간격을 이루게 수직칼날들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함의 후방에는 수직칼날들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칼날들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통과홈을 형성하여 상기 근채류가 수직칼날을 완전하게 통과되어 절단될 수 있게 밀어줌으로서 상기 근채류를 수평칼날과 수직칼날들에 의해 기다랗게 절단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수직칼날들의 사이에 간격유지대들이 배치되어 상기 수직칼날들과 간격유지대들이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직칼날들과 간격유지대들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을 관통하여 끼움되도록 양단부에 숫나선부가 형성된 결합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볼트의 양단부에 암나선부가 형성된 결합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간격유지대들과 수직칼날들을 고정하되, 상기 간격유지대들의 폭이 상호 다른 것으로 교체 설치함에 의해 상기 수직칼날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기다랗게 절단되는 근채류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공급함의 전면 일부를 수직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하여 그 개구의 양단에 끼움돌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끼움돌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중량체에 끼움홈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중량체의 하단면이 가이드레일에 접촉되지 않고 근채류가 절단되는 높이만큼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함의 하단부에 안착면을 형성하여 그 안착면에 상기 중량체가 안착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 제2실린더를 설치하여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해 중량체를 하강시켜 근채류를 눌러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함에 수용되어 절단되는 근채류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공급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
KR1020140126080A 2014-09-22 2014-09-22 근채류 절단기 KR20160034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080A KR20160034728A (ko) 2014-09-22 2014-09-22 근채류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080A KR20160034728A (ko) 2014-09-22 2014-09-22 근채류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728A true KR20160034728A (ko) 2016-03-30

Family

ID=5566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080A KR20160034728A (ko) 2014-09-22 2014-09-22 근채류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47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1601A (zh) * 2021-03-01 2021-06-22 青岛颐晟泰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牛排切片设备
KR20210141028A (ko) * 2020-05-15 2021-11-23 김경범 식재료 절단장치
CN117245711A (zh) * 2023-11-20 2023-12-19 山东寿光蔬菜种业集团有限公司 一种农产品加工用黄瓜切片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028A (ko) * 2020-05-15 2021-11-23 김경범 식재료 절단장치
CN113001601A (zh) * 2021-03-01 2021-06-22 青岛颐晟泰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牛排切片设备
CN117245711A (zh) * 2023-11-20 2023-12-19 山东寿光蔬菜种业集团有限公司 一种农产品加工用黄瓜切片设备
CN117245711B (zh) * 2023-11-20 2024-01-30 山东寿光蔬菜种业集团有限公司 一种农产品加工用黄瓜切片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470B1 (ko) 식품 슬라이서
KR101745549B1 (ko) 꼬치 제조 시스템
KR20160034728A (ko) 근채류 절단기
EP3282855B1 (en) Machine for slicing fish fillets, in particular salmon fillets
KR101076438B1 (ko) 근채류 절단기
KR102188144B1 (ko) 생계육 절단기
KR200492015Y1 (ko) 식품 절단기
KR101394418B1 (ko) 계육 수평 절단가공장치
CN205167001U (zh) 一种半自动肉类或肉制品切片机
CN104015218A (zh) 一种果蔬切片机
KR101117584B1 (ko)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
KR101836424B1 (ko) 근채류 절단장치
DE102014005097B4 (de)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Lebensmitteln, insbesondere Hochleistungs-Slicer
CN111070259A (zh) 一种大蒜食品加工用切片机
CN110877356A (zh) 一种推压切菜机
KR100634859B1 (ko)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CN212218625U (zh) 食物自动切片装置及智能烹饪机
CN203901362U (zh) 一种果蔬切片机
DE102015013267A1 (de) Automatisch arbeitende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Lebensmitteln
CN111975842A (zh) 食物自动切片装置、智能烹饪机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4358632A (ja) 食品スライサ
KR200484389Y1 (ko) 씨앗이 제거된 과육 절단 장치
KR102257543B1 (ko) 꼬치 제조 장치
CN216543463U (zh) 一种食品加工切料装置
CN215702152U (zh) 一种用于水果加工用的切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