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859B1 -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859B1
KR100634859B1 KR1020050006049A KR20050006049A KR100634859B1 KR 100634859 B1 KR100634859 B1 KR 100634859B1 KR 1020050006049 A KR1020050006049 A KR 1020050006049A KR 20050006049 A KR20050006049 A KR 20050006049A KR 100634859 B1 KR100634859 B1 KR 100634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eat
cut
cutting knife
knif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326A (ko
Inventor
양동광
Original Assignee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8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8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비나 뼈, 냉장육, 냉동육, 생육 등의 각종 절단육(食肉)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형 절단칼을 왕복 이동시켜 안전하고, 또 신속 용이하게 일정한 두께로 자동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절단공간을 기점으로 틀체의 상부로 회전 가능하게 분리 배치되어 절단이 요구되는 절단육(M)을 전진 공급함과 동시에 절단이 완료된 절단편육(M1)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 및 배출용 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절단육(M)의 상면을 안정적으로 압착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절단공간의 인접부위로 설치된 적재함체에 대하여 고정 지지된 다수개의 누름구; 및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절단공간으로 절단두께 만큼씩 점차적으로 이송되어지는 상기 절단육(M)을 직교 방향으로 자동 절단하기 위하여 실린더 장치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절단칼 뭉치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 절단칼로 구성된 것이다.
식육절단, 고기절단, 절단칼 왕복이동

Description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Do meat-eating automatic cutting chapter who use round trip transfer style circle cutting knif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일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절단칼이 전진 이동된 상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구의 실시 예들의 구조를 보인 발췌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절단칼이 왕복 이동하면서 절단육을 절단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틀체 2: 절단공간
10,20: 공급 및 배출용 컨베이어 30: 누름구
32: 적재함체 33: 감지센서
34: 누름봉 36: 누름구의 실린더
37: 누름구의 스프링 40: 절단칼 뭉치
42: 원형 절단칼 44: 가이드
50: 실린더 55: 충격완충부재
M: 절단육 M1: 절단편육
본 발명은 갈비나 뼈, 냉장육, 냉동육, 생육 등의 각종 절단육(食肉)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형 절단칼을 왕복 이동시켜 안전하고, 또 신속 용이하게 일정한 두께로 자동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고기 절단기로는, 원형칼을 이용하여 냉동육을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냉동 육절기 및 냉장육을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냉장 육절기가 있고, 또 띠톱을 이용하여 고기 뼈나 갈비 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골절기가 있다.
그러나 종래 냉장 및 냉동 육절기는 모두 고속으로 회전되는 원형칼에 대하여 절단고기를 절단 두께 만큼씩 적재 이송하는 박스 형태의 적재함이 링크 작용을 통해 왕복 이동되면서 절단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절단 작업 속도가 자연적으로 느릴수 밖에 없고, 또 부피가 큰 적재함의 이동에 따른 기체의 흔들림 현상이 심하고, 또 적재함의 전면으로는 원형칼에 절단되는 적재함의 고기를 안정적으로 받침가이드하기 위한 두께 조절판이 적재함의 이동거리 구간에 걸쳐 별도로 설치되어져 야 하는 등의 구조적인 복잡성은 물론 그에 따른 육절기의 제작 단가도 상승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주로 고기 뼈나 갈비 등을 절단하는 골절기는 틀체 내부 상하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양 측의 벨트풀리 사이에 걸어진 띠톱이 절단 구간에서 노출된 상태로 회전되는 절단 구조이고, 이 띠톱에 대하여 작업자가 뼈 등의 절단육을 일일이 손으로 잡고 밀어 넣으면서 절단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작업 안전성이 큰 문제로 되고 있고, 또 절단되는 절단육의 크기 역시 일정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이러한 절단 구조의 채용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물론, 근자에는 종래 골절기를 응용한 절단기의 띠톱을 통해 갈비 등을 자동적으로 절단하는 절단기가 안출되고 있으나, 이 역시 갈비가 적재되는 적재함(수납구)이 상기 띠톱에 대하여 왕복 이동하면서 절단되는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또 구조의 대형화 및 복잡성으로 인해 제조단가의 상승 초래는 물론 제품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데 상당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갈비 절단기는 무엇보다도 갈비를 절단하기 위하여 띠톱에 대하여 왕복 이동되는 수납구가 갈비 절단시 직선 이동되는 것이아니라 한번 왕복 이동할 때 마다, 특히 후퇴 조작시 수납구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띠톱과의 마찰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종공압 실린더에 의해 일정거리 만큼 후방으로 재차 이동 조작되어져야 한다는 구조상의 번잡성이 있고, 또 이로 인해 그 만큼 갈비의 절단 및 기체의 작업 안정성이 크게 저해되고, 또 절단 작업 속도가 자연적으로 느려 질 수 밖에 없어 전체적으로 작업 능률의 저하를 가져올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 개발되고 있는 각종 절단기들의 문제점은 무엇보다도 하나의 절단기에서 대부분 한가지의 절단물 만을, 예컨대 생육이나, 냉장육, 냉동육, 뼈, 갈비 등을 제한적으로 절단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성에 의해 소비자로 하여금 절단기 구입에 따른 과다한 자금 지출 초래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 절단칼의 왕복 이동을 통한 절단 작업의 신속성, 절단물의 자동 절단을 통한 작업 안전성, 구조의 간단화를 통한 경제성 및 하나의 기계를 이용하여 생육,냉장육, 냉동육, 뼈, 갈비 등의 각종 절단육을 복합적으로 선택 절단 가능하도록 한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달성 가능한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하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틀체의 상부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 절단이 요구되는 절단육(M)을 절단 두께만큼씩 전진 공급시키기 위한 공급용 컨베이어를 구비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에 대하여 절단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틀체의 상부 일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분리 배치되어 절단이 완료된 절단편육(M1)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용 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를 따라 전진 이송되는 상기 절단육(M)의 상면을 실린더 작용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누름봉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루 압착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절단공간의 인접부위로 설치되는 적재함체에 대하여 고정지지 되는 다수개의 누름구; 및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절단공간으로 절단두께 만큼씩 점차적으로 이송되어지는 상기 절단육(M)을 직교 방향으로 자동 절단하기 위하여 실린더 작용에 의해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절단칼 뭉치에 대하여 고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 절단칼로 구성된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에 있다.
삭제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는 절단공간에서 절단된 절단편육(M1)을 보다 안정되게 받침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보다 낮게 차등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체로는 절단육(M)의 공급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원형 절단칼은 그 원주 둘레가 갈비나 뼈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톱날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생육이나 냉장육, 냉동육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예리한 칼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 뭉치는 실린더 장치에 의해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시 충격완충부재에 의해 과도한 후퇴 이동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 이 경우 상기 충격완충부재는 쇽업쇼버임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2는 일 측면도이며, 도3은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다른 누름구 실시 구조를 보인 발췌 단면도이다.
먼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틀체(1)의 상부로는 절단공간(2)을 기준으로 절단이 요구되는 절단육(M)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공급 및 배출용 컨베이어(10)(20)가 분리되게 수평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 및 배출용 컨베이어(10)(20)는 각각 기어드 모터(Geared motor)(12)(22)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 공급 및 배출용 컨베이어(10)(20)는 상기 기어드 모터(Geared motor)(12)(22)에 의해 그 회전 속도가 자유로이 컨트롤 조작된다.
여기서 공급 및 배출용 컨베이어(10)(20)는 절단공간(2)을 기준으로 그 이송 높이가 차등지게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절단공간(2)을 기준으로 배출용 컨베이어(20)를 공급용 컨베이어(10)보다 더 낮게 설치하여 공급용 컨베이어(10)를 통해 공급된 절단육(M)이 절단공간(2)에서 절단편육(M1) 상태로 절단된 후 자연스럽게 낮은 쪽으로 이동 받침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단공간(2)이 형성된 공급용 컨베이어(10)의 인접한 상부로는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절단육(M)의 상면을 고르게 압착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누름구(30)가 적재함체(32)에 고루 배치되게 고정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누름구(30)는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10)와 대응하여 절단공간(2)에서 절단육(M)이 절단될 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그 압착면의 높낮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절단육(M)의 고른 압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구(30)의 누름봉(34)을 실린더(36)작용에 의해 자유로운 승강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스프링(37)의 탄성 작용에 의해 자유로운 승강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절단육(M)의 압착면에 대응하여 상호 균일한 압착 이송력이 상시 발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공급용 컨베이어(10)에 올려진 절단육(M)은 기어드 모터(12)에 의해 절단 두께 만큼씩 절단공간(2)으로 점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절단공간(2)의 근접부위로 이송되는 절단육(M)은 그 상면이 상기 누름구(30)에 의해 유동 없이 항상 고른 압착 상태가 유지되면서 안정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누름구(30)가 지지되는 적재함체(32)는 절단공간(2)의 인접한 공급용 컨베이어(10)의 상부로 설치되는 바, 이는 공급용 컨베이어(10)의 이송에 상호 간섭을 일의키지 않도록 그 양단부가 틀체(1)에 고정 지지되고, 또 함체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혹여 절단과정에서 절단육(M)이 좌우로 유동되더라도 공급용 컨베이어(10)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된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적재함체(32)의 일 측으로는 절단육(M)의 공급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33)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 감지센서(33)의 감지를 통해 절단육(M)의 공급 유무를 작업자가 쉽게 인식 가능하고, 또 기기의 동작(정지/운전)이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기기의 운전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틀체(1)의 상부,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절단공간(2)과 인접한 배출용 컨베이 어(20)의 상부로는 절단공간(2)으로 공급되는 절단육(M)을 직교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원형 절단칼(42)이 구비된 절단칼 뭉치(40)가 양 지지대(46) 사이에 횡설된 가이드(44)를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때 가이드(44)에 장착된 절단칼 뭉치(40)는 이에 구비된 원형 절단칼(42)이 공급용 컨베이어(10)를 통해 공급되는 절단육(M)의 절단 과정시 공급 및 배출용 컨베이어(10)(20)와의 상호 이동 간섭을 받지 않을 정도의 이격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형 절단칼(42)은 절단칼 뭉치(40)에 구비된 모터(4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절단칼(42)은 절단육(M)의 종류에 따라 칼축(42a)에 대하여 교체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예를들어 원형 절단칼(42)은 갈비나 뼈와 같은 종류의 절단육(M)을 절단하는데 적합하도록 원주 둘레를 톱날(saw edge) 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생육이나 냉장육 또는 냉동육과 같은 절단육(M)의 절단에 적합하도록 원주 둘레가 예리한 칼날 (knife edge)형태로 형성된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절단육(M)의 종류에 따라 톱날 또는 칼날 형태를 갖는 원형 절단칼(42)을 취사선택 함으로써 하나의 절단기에서 다양한 종류의 절단육(M)을 간편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절단칼 뭉치(40)는 실린더(50)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 조작된다. 여기서 실린더(50)는 유공압 실린더가 모두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공 압 실린더가 더 적합하다.
그리고 실린더(50)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절단칼 뭉치(40)는 실린더 몸체(51)에 대하여 피스톤 로드(52)가 진퇴 조작되는 경우 한 조의 가이드(44)에 의해 좌우 흔들림 없이 안정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또 절단칼 뭉치(40)의 이동 조작시 이에 구비된 원형 절단칼(42)이나 모터(43) 역시 동시에 이동 조작된다.
한편, 실린더(50)의 실린더 몸체(51)로는 피스톤 로드(52)의 전후 이동에 따른 이동거리와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실린더 센서(53)가 전후 양 측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 실린더 몸체(51)로는 피스톤 로드(52)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피드 컨트롤러(54)가 구비되어 있어서 절단칼 뭉치(40)의 왕복 이동에 따른 속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일 측의 지지대(46), 예컨대 절단칼 뭉치(40)가 후퇴되는 방향의 지지대로는 상기 절단칼 뭉치(40)의 과도한 후퇴 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하하기 위한 충격완충부재(5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충격완충부재(55)로는 쇽업쇼바(shokabshover)를 이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절단칼 뭉치(40)와의 충격에 따른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수지 등의 탄성소재의 대체 이용도 가능할 것이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 60은 각종 스위치 조작 판넬이며, 70은 틀체(1)에 구비된 컨트롤박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육(M)을 절단하는 상태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단육(M)의 종류에 따라 톱날 또는 칼날 형태의 원형 절단칼(42)을 취사 선택하여 절단칼 뭉치(40)의 칼축(42a)에 고정설치 하여 준다.
그리고 스위치 판넬(60)이나 컨트롤박스(70) 조작을 통해 사전에 절단육(M)의 종류에 맞추어 절단육(M)의 절단 두께에 따른 이송 속도를 조절하거나 실린더(50)를 통한 원형 절단칼(42)의 왕복 이동 속도 등의 제반 운전 상태를 사전에 조절하여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절단 하고자 하는 절단육(M)을 공급용 컨베이어(10)에 올려 놓으면 절단육(M)은 기어드 모터(12)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두께 폭에 맞추어 절단공간(2)을 향해 점진적으로 전진 이송되어 짐과 동시에 적재함체(32)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누름구(30)에 의해 그 상면이 안정된 상태로 균일하게 압착 이송되어 진다.
이 때 절단육(M)의 상면은 그 압착 높낮이가 상이 하더라도, 예컨대 그 압착면이 울퉁불퉁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승강 조작되게 구성된 다수의 누름구(30)에 의해 좌우 유동없이 항상 안정된 압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공급용 컨베이어(10)와 누름구(30)와의 사이에서 안정되게 압착되어져 전진 이송되는 절단육(M)은 도5와 같이 실린더(50) 작용에 의해 전후 왕복 이동 조작되는 절단칼 뭉치(40)에 구비된 원형 절단칼(42)이 모터(43)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절단공간(2)으로 진입 이송되는 절단육(M)을 직교 방향으로 연속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왕복 이동되는 원형 절단칼(42)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되더라도 절단칼 뭉치(40)가 한 쌍의 가이드(44)를 통해 안정적으로 진퇴 조작되기 때문에 좌우 유동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절단육(M)을 항상 안정되고 신속하게 균일한 두께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 장치(50)를 통해 절단칼 뭉치(40)가 가이드(44)를 따라 직선으로 신속하고 부드럽게 왕복 이동되기 때문에 절단 작업에 따른 기체의 떨림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이며, 또 그 만큼 원형 절단칼(42)의 왕복 이동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신속한 절단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단칼 뭉치(40)의 후퇴시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후퇴되더라도 충격완충부재(55)에 의해 그 충격이 완화되기 때문에 절단칼 뭉치(40)의 고속 이동에 따른 절단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형 절단칼(42)에 의해 연속적으로 절단되는 절단편육(M1)은 계속해서 배출용 컨베이어(20)로 낙하되어 안정되게 배출 이송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에 설정된 두께 폭 만큼 절단육(M)이 공급용 컨베이어(10)를 따라 절단공간(2)으로 전진 이송되고, 또 이에 맞추어 실린더 장치(50)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절단칼 뭉치(40)의 원형 절단칼(42)이 상기 절단육(M)을 직교 방향으로 절단하게 되고, 또 배출용 컨베이어(20)를 통해 절단편육(M1)이 배출 이송되는 일련의 작업 과정을 통해 절단육(M)의 연속 반복적인 절단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공급용 컨베이어(10)에 대하여 절단육(M)을 계속적으로 공급하여 주기 만 하면 왕복 이동되는 원형 절단칼(42)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자동 절단되기 때문에 종래 골절기와 비교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당 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 절단칼이 절단육(M)에 대하여 왕복 이동하면서 일정한 두께로 자동 절단하는 구조의 채택으로 인해 절단 작업이 신속 편리하고, 또 절단육(M)의 자동 절단을 통한 작업 안전성 도모가 가능하며, 또 구조의 간단화를 통한 제작 용이성 및 원형 절단칼의 취사 선택을 통한 다양한 종류의 절단육(M)을 하나의 절단기를 통해 복합적으로 절단 가능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절단기를 일일이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성 등을 모두 갖춤으로써 절단육(M)의 절단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등의 여러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칼 뭉치의 과도한 후퇴 이동 조작의 경우에도 충격완충부재를 통해 충격이 완하되기 때문에 그 만큼 기기의 운전에 따른 기체의 흔들림이나 왕복 이동에 따른 절단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9)

  1. 틀체(1)의 상부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 절단이 요구되는 절단육(M)을 절단 두께만큼씩 전진 공급시키기 위한 공급용 컨베이어(10)를 구비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10)에 대하여 절단공간(2)이 형성되게 상기 틀체(1)의 상부 일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분리 배치되어 절단이 완료된 절단편육(M1)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용 컨베이어(20)와;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10)를 따라 전진 이송되는 상기 절단육(M)의 상면을 실린더(50) 작용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누름봉(34)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루 압착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절단공간(2)의 인접부위로 설치되는 적재함체(32)에 대하여 고정지지되는 다수개의 누름구(30); 및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10)를 타고 상기 절단공간(2)으로 절단 두께만큼씩 점차적으로 이송되어지는 상기 절단육(M)을 직교 방향으로 자동 절단하기 위하여 실린더(50) 작용에 의해 가이드(44)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절단칼 뭉치(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 절단칼(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30)는 절단육(M)의 압착면에 대응하여 균일한 압착 이송이 가능하도록 해당 누름봉(34)이 스프링(37)의 탄성 작용에 의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20)는 절단공간(2)에서 절단된 절단편육(M1)을 보다 안정되게 받침 배출하기 위하여 공급용 컨베이어(10)보다 낮게 차등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체(32)로는 절단육(M)의 공급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3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절단칼(42)은 그 원주 둘레가 갈비나 뼈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톱날 형태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을 하는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절단칼(42)은 그 원주 둘레가 생육이나 냉장육, 냉동육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예리한 칼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 뭉치(40)는 실린더(50) 작용에 의해 왕복 이동시 충격완충부재(55)에 의해 과도한 후퇴 이동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재(55)는 쇽업쇼버(Shockabshover)임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KR1020050006049A 2005-01-22 2005-01-22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3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049A KR100634859B1 (ko) 2005-01-22 2005-01-22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049A KR100634859B1 (ko) 2005-01-22 2005-01-22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26A KR20060085326A (ko) 2006-07-26
KR100634859B1 true KR100634859B1 (ko) 2006-10-17

Family

ID=3717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0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4859B1 (ko) 2005-01-22 2005-01-22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8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882B1 (ko) * 2010-11-12 2013-03-20 김수권 육류 수평 절단장치
KR101969164B1 (ko) 2018-10-22 2019-08-13 오진옥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원형 톱날 절단 장치
KR20220157661A (ko) * 2021-05-21 2022-11-29 나성현 냉동참치 절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1577B (zh) * 2016-06-15 2018-06-01 新沂市港发商贸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贡丸的切肉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397B1 (ko) 1999-07-30 2002-08-28 주식회사 빅섬 테크노 식품슬라이서의 고기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397B1 (ko) 1999-07-30 2002-08-28 주식회사 빅섬 테크노 식품슬라이서의 고기이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882B1 (ko) * 2010-11-12 2013-03-20 김수권 육류 수평 절단장치
KR101969164B1 (ko) 2018-10-22 2019-08-13 오진옥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원형 톱날 절단 장치
KR20220157661A (ko) * 2021-05-21 2022-11-29 나성현 냉동참치 절단기
KR102616891B1 (ko) 2021-05-21 2023-12-21 나성현 냉동참치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26A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501B1 (ko) 수직형 식품 슬라이서
KR100850195B1 (ko) 고기 절단기
KR101691337B1 (ko) 꼬치 제조 장치
EP1749445B1 (en) Meat slicing machine
KR101343540B1 (ko) 참치 및 그 유사물을 통조림으로 가공하는 장치를 위한 공급기 및 관련 작동 사이클
CA2600022A1 (en) Loaf seam synchronization device for continuous loaf feed slicing machine
KR102547367B1 (ko) 냉동식육 슬라이스롤 절단 가공방법 및 그 절단장치
KR102107467B1 (ko)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커팅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슬라이스 절단기
ES2390654T3 (es) Máquina de corte para bloques de carne congelada
KR20170100701A (ko) 자동 톱 기계장치
KR100634859B1 (ko) 왕복 이동형 원형 절단칼을 이용한 식육 자동 절단장치
CN205043842U (zh) 灵芝切片机
KR20150124084A (ko) 자동 육절 장치
KR102081170B1 (ko) 김밥용 햄 세절기
US4420997A (en) Apparatus for portioning meat
CN112602754A (zh) 一种肉制品加工用切割装置
US7299728B2 (en) Loaf end trimming station for slicing machine
KR102147137B1 (ko) 두개의 띠톱을 이용한 왕복 절단형 띠톱 기계
KR101449701B1 (ko) 순대 자동절단기
KR101191709B1 (ko) 초프커터의 절편 비산 방지장치
EP3275793B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unpacking food products
JP5313546B2 (ja) 棒状食品原木の切断装置
CN210794345U (zh) 一种集装袋吊带切断机
KR102486578B1 (ko) 골절기를 이용한 냉동식품 절단장치
CN109304743A (zh) 全自动化腌菜切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0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062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2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