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008A -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008A
KR20160034008A KR1020140124986A KR20140124986A KR20160034008A KR 20160034008 A KR20160034008 A KR 20160034008A KR 1020140124986 A KR1020140124986 A KR 1020140124986A KR 20140124986 A KR20140124986 A KR 20140124986A KR 20160034008 A KR20160034008 A KR 2016003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plug
pipe rod
opening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영
최원규
권민수
전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to KR102014012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008A/ko
Publication of KR2016003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00Devices for introduc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between the initia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00Devices for introduc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between the initia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ntacts
    • H01H7/02Devices for introduc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between the initia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ntacts with fluid timing means
    • H01H7/03Devices for introduc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between the initia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ntacts with fluid timing means with dash-po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36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magnetic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대쉬포트에서 파이프 봉 봉과 플러그를 체결하는 작업을 단순화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증대를 통한 경제적이 이익을 구현함은 물론, 상기 파이프 봉 봉의 내부에 수용된 오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한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합 편(5)을 형성하는 접합 편 형성단계(100)와; 상기한 플러그(4)의 상 단에서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압착 편(6)을 형성하는 압착 편 형성단계(200)와; 상기한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4)가 끼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 편(6)을 상기 접합 편(5)의 상면과 외 측면을 감싸도록 구부리는 제1성형단계(300)와; 상기 제1성형단계(300)를 통해 상기 압착 편(6)의 저 면에 상기 접합 편(5)이 수용된 채 상기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4)가 끼움 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4)의 압착 편(6)의 테두리부위를 상기 접합 편(5)의 하부로 압착하여 상기 접합 편(5)이 상기 압착 편(6)의 내부에 수용된 채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제2성형단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A MEHODR OF A Oil dash pot for circuit breaker AND THE DEVICE}
본 발명은, 회로 및 배선차단기에 적용되는 오일대쉬포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대쉬포트에서 파이프 봉과 플러그를 체결하는 작업을 단순화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증대를 통한 경제적이 이익을 구현함은 물론, 상기 파이프 봉의 내부에 수용된 오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차단기는,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과전류 및 과전압 등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거나, 또는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의 일종으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선차단기의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157453호(명칭: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에는 전형적인 배선차단기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배선차단기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립메카니즘과 함께 작동되는 스위치와, 이 스위치에 의해 세팅된 상태에서 회로가 연결된 이후 시스템에 과전류 등이 흐를 때 트립메카니즘을 온(ON)상태에서 오프(OFF)상태로 변환시켜 회로를 차단하는 오일대쉬포트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오일대쉬포트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로 세팅되어 있으면 트립메카니즘의 일부인 동작 레버가 오일대쉬포트의 동작에 의해 플러그 측으로 당겨질 때 온 상태로 세팅되어 있는 트립메카니즘의 전기회로를 이어주거나 개방하는 접점을 개방시켜 회로를 차단하는 동작을 유지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오일대쉬포트는, 통상적으로,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보빈에 솔레노이드 코일이 감겨 있고, 솔레노이드 보빈의 내부에는 오일대쉬포트의 파이프 봉이 내설 되어 있으며, 이 파이프 봉은 머리부를 이루는 플러그부와, 파이프 봉봉내부에서 솔레노이드 코일 측에 소정 치 이상의 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직선이동되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의 이동속도를 파이프 봉의 내부에서 자제하는 제어스프링 및 이 제어스프링과 함께 플런저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실리콘 오일 등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기 오일대쉬포트의 동작상태를 보면,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위치가 온 상태로 놓여 진 상태에서 정상상태의 동작상황에 있을 때는 동작자가 상기 플러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고, 이 상태는 트립메카니즘의 회로 접점이 온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회로시스템에 과전류가 유입될 때는 보빈 측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과전류가 유입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발생 되는 자력이 증가 되어 상기 플런저를 상기 플러그 쪽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그리고, 과전류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상기 플러그 측으로 제어스프링을 탄성적으로 압박하면서 완전 이동된 후에는 플런저에 모여진 자력이 가동 레버를 당길 만큼의 자력을 유지시켜 가동 레버를 당기게 되면 트립메카니즘이 동작하여 전기 접점을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된다.
이후, 상기 플런저는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다시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할 때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일대쉬포트에서, 파이프 봉 내에 플런저 자제용 제어스프링, 플런저, 실리콘 오일이 내설 된 상태에서 파이프 봉의 개방된 구멍에 플러그를 압착시켜 제조하게 되며, 상기 파이프 봉에 상기 플러그는 납땜을 통한 용접을 통해 접합됨과 동시에 파이프 봉의 내부에 대한 기밀유지를 하여 실리콘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파이프 봉의 개방된 구멍과 상기 플러그의 결합이 단순히 납땜을 통한 용접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납땜 처리에 따른 오염물질의 발생에 의해 작업공간의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작업자의 건강에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플러그와 파이프 봉의 결합부위의 접합 강도가 약하고, 장시간 사용시 틈새가 발생하여, 실리콘 오일이 누출되어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 오일대쉬포트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157453호(명칭: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를 제안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오일대쉬포트(1)는, 공보 및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이프 봉 봉(2) 내에 플런저(3)가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플러그(4) 부가 결합 되는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에 있어서, 상기 오일대쉬포트(1)는, 스포트 용접을 위한 원판날개를 파이프 봉 몸체의 개방 면으로부터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있는 파이프 봉(2)와; 상기 파이프 봉(2)의 개방 면에 형성된 상기 원판날개 측에 일체로 압착 처리되면서 스포트 용접시의 가압과 함께 결합 되는 원통돌부와, 상기 원통돌부를 원형 중심부에 가지면서 상기 원판날개와 스포트 용접되는 압착날개를 갖는 플러그(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4)의 기재에는 약 수㎛의 납 및 주석 합금에 의한 도금처리가 된 도금 층을 구비시킨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플러그의 압착날개와 상기 파이프 봉의 원판날개를 스포트 용접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결합 강도와 틈새의 발생을 최소화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오일대쉬포트에서, 파이프 봉과 플러그를 체결할 때, 원판날개와 압착날개를 압착함과 동시에 스포트 용접을 통해 결합 됨에 따라 물품의 견고한 결합특성을 가질 수 있어, 오일대쉬포트의 양호한 신뢰성을 획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해한 납땜 처리 등의 불리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반면, 스포트 용접작업을 수반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떨어져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생산단가의 증가에 따라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압착날개에 대한 상기 원판 날개의 접합 면적이 작아, 틈새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 안정성 향상으로 통한 고품질의 오일대쉬포트를 제조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대쉬포트에서 파이프 봉과 플러그를 체결하는 작업을 단순화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증대를 통한 경제적이 이익을 구현함은 물론, 상기 파이프 봉의 내부에 수용된 오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실리콘오일이 수용되는 공간 부를 가지며 일 측 단부에 개 구를 가지는 파이프 봉과, 상기 파이프 봉의 공간 부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스프링과,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체결되어 상기 공간 부를 폐쇄하도록 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공정에서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를 체결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합 편을 형성하는 접합 편 형성단계와; 상기한 플러그의 상 단에서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압착 편을 형성하는 압착 편 형성단계와; 상기한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가 끼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 편을 상기 접합 편의 상면과 외 측면을 감싸도록 구부리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제1성형단계를 통해 상기 압착 편의 저 면에 상기 접합 편이 수용된 채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가 끼움 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압착 편의 테두리부위를 상기 접합 편의 하부로 압착하여 상기 접합 편이 상기 압착 편의 내부에 수용된 채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2성형단계에서, 상기 압착 편은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압착되어 상기 접합 편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는, 내부에 실리콘오일이 수용되는 공간 부를 가지며 일 측 단부에 개 구를 가지는 파이프 봉과, 상기 파이프 봉의 공간 부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스프링과,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체결되어 상기 공간 부를 폐쇄하도록 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를 체결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합 편에 상기한 플러그의 상 단에서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압착 편이 상기한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가 끼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 편이 상기 접합 편의 상면과 외 측면을 감싸도록 구부려진 형태의 가공물을 수용함과 아울러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성형공간을 가지는 금형과, 상기 금형의 성형공간으로 상기 가공물을 가압하여 진입하도록 하는 펀치를 가지는 펀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금형의 성형공간에서 상기 가공물이 진입하는 입구에는, 상기 가공물의 압착 편을 상기 접합 편의 하부 저 면으로 안내하여 구부림과 동시에 압착하도록 된 압착 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압착 부는, 입구 측이 넓고 상기 성형공간으로 진입할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금형에서 상기 성형공간의 입구 측에는 상기 가공물의 외주 면을 지지하여 상기 가공물이 상기 성형공간으로 진입할 때 정 자세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지수단은, 상기 금형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직선 운동 되게 슬라이드 되는 지지 편과, 상기 지지 편과 상기 고정편의 사이에 게재된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 편이 상기 성형공간의 입구 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금형의 상기 성형공간에는, 상기 가공물의 저 면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상기 가공물의 직선운동방향으로 직선 운동가능하게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를 상기 성형공간의 입구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는, 오일대쉬포트에서 파이프 봉와 플러그를 체결할 때, 단순히 압착하는 작업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작업성을 증대하여 대량생산에 유리하고, 생산성이 증대되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파이프 봉과 상기 플러그를 압착을 통한 체결을 통해, 구조적으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상기 파이프 봉의 내부에 수용된 오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오일대쉬포트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실리콘오일이 수용되는 공간 부를 가지며 일 측 단부에 개 구를 가지는 파이프 봉(2)와, 상기 파이프 봉(2)의 공간 부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스프링과,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체결되어 상기 공간 부를 폐쇄하도록 된 플러그(4)를 포함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1)를 제조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4)를 체결하는 공정에 적용된다.
즉, 상기 파이프 봉(2)의 개 구를 기밀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폐쇄하도록 하는 제조방법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합 편(5)을 형성하는 접합 편 형성단계(100)와, 상기한 플러그(4)의 상 단에서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압착 편(6)을 형성하는 압착 편 형성단계(200)와, 상기한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4)가 끼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 편(6)을 상기 접합 편(5)의 상면과 외 측면을 감싸도록 구부리는 제1성형단계(300)와, 상기 제1성형단계(300)를 통해 상기 압착 편(6)의 저 면에 상기 접합 편(5)이 수용된 채 상기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4)가 끼움 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4)의 압착 편(6)의 테두리부위를 상기 접합 편(5)의 하부로 압착하여 상기 접합 편(5)이 상기 압착 편(6)의 내부에 수용된 채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제2성형단계(400)를 가진다.
상기에서, 상기 접합 편(5)은, 상기 파이프 봉(2)의 개 구를 외 측 방향으로 확장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 편(5)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 봉(2)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압착 편(6)은, 상기 플러그(4)의 상단에서 외 측 방향으로 확장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착 편(6)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플러그(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제1성형단계(300)에서는, 먼저 상기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4)를 끼우고,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펀칭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압착 편(6)이 상기 접합 편(5)의 상면과 외 측면을 감싸도록 프레스(press) 작업을 통해 구부리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2성형단계(400)에서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펀칭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압착 편(6)의 테두리부위를 상기 접합 편(5)의 저면 하부로 프레스 작업을 하여 구부리어 압착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고, 하기에서 서술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제2성형단계(400)에서, 상기 압착 편(6)은 상 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압착되어 상기 접합 편(5)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파이프 봉(2)의 외주 면과 상기 플러그(4)의 접촉 면이 상기 플러그(4)의 부피 및 체적에 비하여 넓게 형성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기밀성 확보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은, 오일대쉬포트(1)에서 파이프 봉(2)와 플러그(4)를 체결할 때, 단순히 압착하는 작업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작업성을 증대하여 대량생산에 유리하고, 생산성이 증대되어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실리콘오일이 수용되는 공간 부를 가지며 일 측 단부에 개 구를 가지는 파이프 봉(2)와, 상기 파이프 봉(2)의 공간 부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스프링과, 상기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체결되어 상기 공간 부를 폐쇄하도록 된 플러그(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일대쉬포트(1)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기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4)를 체결하는 작업이 적용된다.
즉, 상기 파이프 봉(2)와 상기 플러그(4)를 체결하는 공정 중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된 것으로, 상술한 제2성형단계를 수행하는 것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10)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합 편(5)을 상기 플러그(4)의 상 단에서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압착 편(6)이, 상기 접합 편(5)의 상면과 외 측면을 감싸도록 구부려진 형태로 상기한 파이프 봉(2)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4)가 끼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 편(6)의 테두리부위를 상기 접합 편(5)의 저면 하부로 프레스 작업을 통해 구부리어 압착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10)에서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 편(6)이 상기 접합 편(5)의 상면과 외 측면을 감싸도록 구부려진 형태의 가공물을 수용함과 아울러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성형공간(11)을 가지는 금형(12)과, 상기 금형(12)의 성형공간(11)으로 상기 가공물을 가압하여 진입하도록 하는 펀치(13)를 가지는 펀칭 수단을 가진다.
즉, 상기 펀칭 수단의 펀치(13)가 상기 가공물을 펀칭할 때. 상기 가공물이 상기 성형공간(11)에서 상기 펀치(13)의 진행방향 측으로 밀리어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압착 편(6)의 테두리부위가 상기 접합 편(5)의 저면 하부로 압착되면서 성형 되어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 성형공간(11)은 상기 금형(12)에 형성된 직선형의 홈 또는 구멍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10)에서, 상기 금형(12)의 성형공간(11)에서 상기 가공물이 진입하는 입구에는, 상기 가공물의 압착 편을 상기 접합 편의 하부 저 면으로 안내하여 구부림과 동시에 압착하도록 된 압착 부(14)가 구비된다.
즉, 상기 펀치(13)가 상기 가공물을 펀칭할 때, 상기 압착 부(14)에 의해 상기 압착 편(6)의 테두리부위가 상기 접합 편(5) 측 방향으로 압착하여 상기 파이프 봉(2)에 상기 플러그(4)가 체결된다.
상기에서, 상기한 압착 부(14)는, 입구 측이 넓고 상기 성형공간으로 진입할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압착 편(6)은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상기 접합 편(5)에 압착 결합하도록 되어, 상기 파이프 봉(2)의 외주 면과 상기 플러그(4)의 접촉 면이, 상기 플러그(4)의 부피 및 체적에 에 비하여 넓게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구조적으로 기밀성 확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오일대쉬포트(1)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10)에서는, 상기한 금형(12)에서 상기 성형공간(11)의 입구 측에는, 상기 가공물의 외주 면을 지지하여 상기 가공물이 상기 성형공간(11)으로 진입할 때 정 자세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공물이 상기 펀치(13)에 의해 펀칭 되어 상기 성형공간(11)으로 진입하는 직선운동을 할 때, 정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압착 편(6)이 상기 압착 부(14)에 의해 압착 성형 될 때, 운동 궤도가 흐트러지거나 이탈하지 않아, 압착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금형(12)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편(15)과, 상기 고정편(15)에 직선 운동 되게 슬라이드 되는 지지 편(16)과, 상기 지지 편(16)과 상기 고정편(15)의 사이에 게재된 탄성 스프링(17)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 편(16)이 상기 성형공간(11)의 입구 측 방향으로 가압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스프링(17)의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 편(16)이 상기 가공물(특히 상기 압착 편의 측면)을 가압 지지하여 펀치(13)의 펀칭 충격에 의해 가공물이 운동궤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10)에서, 상기한 금형(12)의 상기 성형공간(11)에는, 상기 가공물의 저 면을 지지하는 지지대(18)가 상기 가공물의 직선 운동방향으로 직선 운동가능하게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18)를 상기 성형공간(11)의 입구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19)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공물이 상기 펀치(13)에 의해 펀칭 되어 상기 성형공간(11)에서 이동될 때, 상기 지지대(18)가 상기 가공물의 저 면을 지지하면서,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펀칭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가압스프링(19)에 의해 상기 지지대(18)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가공물을 상기 성형공간(11)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쉽게 상기 금형(12)에서 상기 가공물을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함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금형(12)은, 상기 지지대(18) 및 상기 가압스프링(19)이 상기 성형공간(11)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공간(11)을 가지는 상부금형과, 상기 성형공간(11)을 폐쇄하는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사이에 상기 지지대(18) 및 상기 가압스프링(19)이 게재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 될 수 있고, 별도의 볼트 등과 같은 체결요소를 통해 결합 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는, 오일대쉬포트(1)에서 파이프 봉(2)와 플러그(4)를 체결할 때, 단순히 펀칭을 통한 압착체결을 구현함과 동시에 구조적으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 봉(2)의 내부에 수용된 오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오일대쉬포트 2 : 파이프 봉
3 : 플런저 4 : 플러그
5 : 접합 편 6 : 압착 편
10 :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
11 : 성형공간 12 : 금형
13 : 펀치 14 : 압착 부
15 : 고정 편 16 : 지지편
17 : 탄성 스프링 18 : 지지대
19 : 가압스프링

Claims (7)

  1. 내부에 실리콘오일이 수용되는 공간 부를 가지며 일 측 단부에 개 구를 가지는 파이프 봉과, 상기 파이프 봉의 공간 부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스프링과,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체결되어 상기 공간 부를 폐쇄하도록 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공정에서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를 체결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합 편을 형성하는 접합 편 형성단계와;
    상기한 플러그의 상 단에서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압착 편을 형성하는 압착 편 형성단계와;
    상기한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가 끼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 편을 상기 접합 편의 상면과 외 측면을 감싸도록 구부리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제1성형단계를 통해 상기 압착 편의 저 면에 상기 접합 편이 수용된 채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가 끼움 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압착 편의 테두리부위를 상기 접합 편의 하부로 압착하여 상기 접합 편이 상기 압착 편의 내부에 수용된 채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성형단계에서,
    상기 압착 편은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압착되어 상기 접합 편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3. 내부에 실리콘오일이 수용되는 공간 부를 가지며 일 측 단부에 개 구를 가지는 파이프 봉과, 상기 파이프 봉의 공간 부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스프링과,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체결되어 상기 공간 부를 폐쇄하도록 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기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를 체결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합 편에 상기한 플러그의 상 단에서 외 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압착 편이 상기한 파이프 봉의 개 구에 상기 플러그가 끼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 편이 상기 접합 편의 상면과 외 측면을 감싸도록 구부려진 형태의 가공물을 수용함과 아울러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성형공간을 가지는 금형과,
    상기 금형의 성형공간으로 상기 가공물을 가압하여 진입하도록 하는 펀치를 가지는 펀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금형의 성형공간에서 상기 가공물이 진입하는 입구에는,
    상기 가공물의 압착 편을 상기 접합 편의 하부 저 면으로 안내하여 구부림과 동시에 압착하도록 된 압착 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압착 부는,
    입구 측이 넓고 상기 성형공간으로 진입할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금형에서 상기 성형공간의 입구 측에는,
    상기 가공물의 외주 면을 지지하여 상기 가공물이 상기 성형공간으로 진입할 때 정 자세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수단은,
    상기 금형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직선 운동 되게 슬라이드 되는 지지 편과, 상기 지지 편과 상기 고정편의 사이에 게재된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
    상기 지지 편이 상기 성형공간의 입구 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금형의 상기 성형공간에는,
    상기 가공물의 저 면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상기 가공물의 직선운동방향으로 직선 운동가능하게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를 상기 성형공간의 입구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장치.
KR1020140124986A 2014-09-19 2014-09-19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KR20160034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986A KR20160034008A (ko) 2014-09-19 2014-09-19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986A KR20160034008A (ko) 2014-09-19 2014-09-19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008A true KR20160034008A (ko) 2016-03-29

Family

ID=5566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986A KR20160034008A (ko) 2014-09-19 2014-09-19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40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603A (ko) *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대륙 전기회로 차단용 오일대쉬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1413A (ko) * 2017-09-16 2019-03-26 최병철 반도체 검사용 시보리 핀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603A (ko) *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대륙 전기회로 차단용 오일대쉬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1413A (ko) * 2017-09-16 2019-03-26 최병철 반도체 검사용 시보리 핀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6693A1 (en) High-voltage direct-current relay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WO2007132772A1 (ja) 電磁継電器
KR100500535B1 (ko) 전자식 계전기 및 이를 구비한 장치
US9330873B2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KR20160034008A (ko)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CN107039212B (zh) 一种电磁继电器
EP2045824A2 (en) Switch device
US9076620B2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CN113178716A (zh) 导体端子接触元件
CN103474859B (zh) 端子制作方法及端子与电子元器件芯体的制作方法
CN105470064A (zh) 脱扣装置以及断路器装置
EP2819139A1 (en) Switch unit
JP2019016444A (ja) 端子付き電線
KR101987452B1 (ko) 전기회로 차단용 오일대쉬포트 및 그 제조방법
AU2009276298B2 (en) Switching device
KR101579857B1 (ko) 회로 및 배선차단기의 오일대쉬포트
CN117810029A (zh) 一种高压直流继电器
JP6275544B2 (ja) 端子固定構造及び回路遮断機
CN113223899A (zh) 一种可以自动化生产的大负载推杆式小型继电器
KR200484099Y1 (ko) 전자 접촉기
CN107004535A (zh) 真空开关设备、和触头组件以及将电触头固定至其电极的方法
CN104100757A (zh) 电磁线圈装置
WO2016038778A1 (ja) 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CN220155470U (zh) 一种调节拉杆、断路器和电路保护系统
CN201989318U (zh) 一种压接焊片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