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508A -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33508A KR20160033508A KR1020140124506A KR20140124506A KR20160033508A KR 20160033508 A KR20160033508 A KR 20160033508A KR 1020140124506 A KR1020140124506 A KR 1020140124506A KR 20140124506 A KR20140124506 A KR 20140124506A KR 20160033508 A KR20160033508 A KR 201600335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rest
- body arrest
- water
- unit tube
- storage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척 및 매립사업 등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작업이 용이하면서 강도가 개선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내부 수용부를 구비하며 준설토 주입부가 구비된 몸체부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부는 물이 외부로 배출가능한 제1몸체포와, 상기 제1몸체포에 적층된 형태로 구비되며 물의 배출이 가능하며 강도 보강을 위한 제2몸체포를 포함하는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제공한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척사업에 적용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포와 부직포가 복합 적용되어 신율 및 높은 필터 기능을 가지며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가 등에는 호안을 설치하고 설치된 호안과 해안선 사이의 바다를 매립하는 방식으로 간척사업이 진행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호안을 설치한 후 매립공사가 진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종래 호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매립하고자 하는 해안 주위에 자갈 및 기타 흙 등을 다층(21,22,23)으로 형성한 호안(20,30)이 구축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많은 재료가 연약한 지반 내부에서 강제 침하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되며 돌과 사석의 기초 구조물의 침하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구조물을 축조하는 매립 호안공사가 진행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호안 또는 가토제 방식의 축조 구조물은 외부에서 돌과 사석 또는 흙을 실어 나르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과다한 재료투입에 의한 경제성과 많은 공사시간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술한 단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도출된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하여 간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첨부된 도면 중, 도 3은 종래 간척작업을 위한 토목섬유저장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50)는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부(51)와 주입부(54) 및 배출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51)는 내부가 중공된 수용부(55)를 이루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54)는 상기 몸체부(51)의 내부 수용부(55)에 토사부재와 물이 섞인 상태인 준설토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관통홀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유닛(60)은 상기 몸체부(51)에 구비되어 상기 주입부(54)를 통하여 주입된 준설토에 함유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주입부(54)는 상기 몸체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가 구비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주입부(54)를 개폐하는 마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50)의 내부로 상기 주입부(54)와 주입부(54) 사이에는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50)의 내부 수용부(55)가 다수 개로 격리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격리막(5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닛(60)은 상기 몸체부(51)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출홀(61)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홀(61)에는 물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면서 모래 등 입자가 큰 토사는 배출되지 않도록 메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60)은 상기 배출홀(61)의 외부를 덮어 은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51)의 외측에 구비되는 덮개부(62)와 잠금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63)는 상기 덮개부(62)의 둘레부를 따라 상기 덮개부(62)와 상기 몸체부(51)에 구비되는 공지된 일반적인 쟈크유닛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배출유닛(60)은 상기 몸체부(51)의 측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51) 내부의 수용부(55)에 수용된 물을 높이에 따라서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하여 간척사업이 진행되는 방법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50)를 설치시킨 후, 바지선 등을 이용 수면 아래 바닥의 준설토를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50)의 내부 수용부(55)로 주입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준설토를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 내부로 주입 시에는 준설토 자체에 함유된 해수 등 외부의 물도 함께 주입되는데,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 내부의 준설토를 이용 매립작업에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수분이 최대한 적게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첨부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일정량만큼의 준설토만을 토목섬유저장튜브(50)의 내부 수용부(55)로 주입시킨다.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50) 내부의 준설토는, 첨부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흙)와 같은 비중이 높은 토사부재가 아래로 가라앉게 되며, 수분을 이루는 물 즉 바닷가의 경우 해수는 토사부재의 윗부분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물이 차지하고 있는 높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배출홀(61)이 개방되도록 하여 내부의 물을 몸체부(51)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난 후, 상기 덮개부(62) 및 잠금부(63)를 이용 상기 배출홀(61)이 닫혀지도록 하여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50)의 내측과 외측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다시 일정량의 준설토를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50)의 내부에 주입한 후, 다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물과 토사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물이 존재하는 높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배출홀(61)을 이용하여 토목섬유저장튜브 내부의 물을 외부로 빼내게 된다(도 4(c) 참조).
상기와 같은 과정을 다수 회 반복함으로써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 내부를 수분을 최대한 적게 함유한 토사부재들로 채울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내부에 물을 빼낸 토사부재만이 수용된 토목섬유저장튜브의 설치가 완성되면, 인접 매립지와 토목섬유저장튜브 사이를 매립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간척작업이 진행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하여 간척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높이에 위치하는 배출홀의 개폐동작을 수시로 진행하여야 하여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었다. 특히, 준설토 내부의 물과 토사가 분리되는 시간을 계속적으로 체크하고, 상황에 따라 선택된 해당위치에서 배출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상당한 수고를 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간척작업 시 물과 토사의 분리작업을 효율적이고도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간척작업을 위한 호안 등을 구축 시 소요되는 시간과 수고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토목섬유저장튜브 내 주입된 토사 및 준설토 등의 정화작업이 가능한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인장강도 및 인장변형에 유리하도록 구성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한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수용부를 구비하며 준설토 주입부가 구비된 몸체부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부는 물이 외부로 배출가능한 제1몸체포와, 상기 제1몸체포에 적층된 형태로 구비되며 물의 배출이 가능하며 강도 보강을 위한 제2몸체포를 포함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포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상기 제2몸체포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몸체포는 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포는 멜팅파이버가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1몸체포와 상기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포는 멜팅파이버가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1몸체포와 상기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포와 제2몸체포 사이에는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격자홀이 구비된 핫멜트 필름이 구비되며, 상기 제1몸체포와 상기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포와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된 후, 보조적으로 봉제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물이 외부로 배출가능한 제1몸체포와 상기 제1몸체포에 대면 적층된 형태로 물의 배출이 가능하며 강도 보강을 위한 제2몸체포를 결합하여 단위튜브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튜브부 복수 개를 가로방향을 따라서 인접된 단위튜브부끼리 결합하여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포와 제2몸체포 중 적어도 일측 몸체포는 멜팅 파이버가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1몸체포와 상기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토목섬유저장튜브의 몸체부 자체가 직포와 부직포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터 기능이 우수하여 세립토 유실 방지 기능을 가져오게 된다. 즉, 양질의 모래은 물론 세립토(점토, 실트)도 튜브 채움 재료로 사용 가능하게 되며 물만 배출되므로 슬러리 정화 효과 또한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토목섬유저장튜브 내측으로 준설토의 주입작업만으로도 물과 토사의 분리작업이 이루어져 호안 등을 위한 토목섬유저장튜브 충진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짐은 물론 전체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호안을 설치한 후 매립공사가 진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호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간척작업을 위한 토목섬유저장튜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하여 준설토 내 토사와 물의 분리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의 몸체부를 구성하는 단위튜브부간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봉제사결합부를 이용하여 단위튜브부가 결합된 몸체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9는 단위튜브부를 이루는 직포와 부직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하여 물과 토사를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하여 물과 토사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종래 호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간척작업을 위한 토목섬유저장튜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하여 준설토 내 토사와 물의 분리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의 몸체부를 구성하는 단위튜브부간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봉제사결합부를 이용하여 단위튜브부가 결합된 몸체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9는 단위튜브부를 이루는 직포와 부직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하여 물과 토사를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하여 물과 토사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는 내부 수용부를 구비하며 준설토가 상기 내부 수용부로 주입되도록 주입부(110)가 구비된 몸체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2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와 타단부가 전/후튜브부(128)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20)는 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한 제1몸체포(122)와, 상기 제1몸체포(122)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몸체포(122)에 대면된 상태로 적층되게 구비되는 제2몸체포(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포(124) 또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포(122)는 상기 몸체부(120)의 내부면을 이루고, 상기 제2몸체포(124)는 상기 몸체부(120)의 외부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포(122)는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필터기능이 우수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몸체포(124)는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인장강도가 우수한 직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몸체포와 제2몸체포는 부직포와 직포가 각각 다수 회 번갈아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의 몸체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봉제사결합부를 이용하여 몸체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루는 몸체부(120)는 복수 개의 단위튜브부(120A,120B,120C)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의 일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토목섬유저장튜브의 몸체부(120) 구성을 위한 상기 단위튜브부(120A,120B,120C)는 도시된 세 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두 개의 단위튜브부나 네 개 이상의 단위튜브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위튜브부(120A,120B,120C)는 제작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의 길이방향인 가로방향이 세로방향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되, 두 개의 인접하는 단위튜브부가 서로 각각의 가로방향 가장자리 일부 구간이 중첩되어 결합된 상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단위튜브부(120A,120B,120C) 각각은 제1몸체포(122)와 제2몸체포(124)가 상기 단위튜브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되 각각 적층되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단위튜브부(120A,120B,120C) 중 일측 단위튜브부는 인접된 단위튜브부와 서로 중첩되되, 상기 중첩된 부위로 토목섬유저장튜브의 길이방향인 가로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봉제사(130)를 이루며 결합되는 봉제사결합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8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봉제사결합부(135)는 두 개 이상이 구비되되, 일측 봉제사결합부(135)와 타측 봉제사결합부(135) 사이로 소정 이격된 거리(L)를 가지며 상기 단위튜브부가 서로 대면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마찰여유부(13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20)의 상측에 위치되는 단위튜브부(120A,120B,120C)에는 결착부(112)를 이용하여 준설토 등의 주입을 위한 관형태의 주입부(110)를 결합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저장튜브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복수 개의 단위튜브부(120A,120B,120C)를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결합되는 보강부(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150)는 상기 단위튜브부 가로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복수 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150)도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단위튜브부(120A,120B,120C)에 세로방향을 따라서 봉제사(150)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단위튜브부(120A,120B,120C)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상기 봉제사(15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봉제사결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20)의 조립이 모두 완료된 후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전면부와 후면부에 별도의 전/후튜브부(128)를 상기 몸체부(120)에 봉제사를 이용 봉제하는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토목섬유저장튜브(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튜브부(120A,120B,120C)를 이루기 위하여 직포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몸체포(122)와 상기 제2몸체포(124)의 결합 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튜브부의 중앙부위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봉제사결합부(135)와 마찰여유부(137)가 적용되도록 하여 제1몸체포(122)와 제2몸체포(124)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찰여유부(137)는 상기 인장력 및 등분포하중이 걸리는 경우에 토목섬유저장튜브의 몸체부에 인장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몸체포(122)와 제2몸체포(124)는 일측 몸체포에 또는 양측 몸체포 모두에 열가열성 재질이 적용되도록 한 후, 상기 두 몸체포가 상술한 봉제사 결합 형태가 적용되지 아니하고 열적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몸체포(122) 또는 제2몸체포(124)는 제조 시 공지된 직포와 부직포 각각의 제조 과정을 수행 시 열가열성 재질이 입자 형태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소정 온도 이상에서 녹게 되는 멜팅 파이버(melting fiber)가 제1몸체포(122) 또는 제2몸체포(124)의 제조 시 함께 혼합 제조되도록 한 후, 상기 제1몸체포(122)와 제2몸체포(124)를 적층한 후 소정의 열을 가하거나, 또는 소정 온도를 지니는 롤러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하여 두 몸체포(122, 124)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멜팅 파이버로써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녹는 로우 멜팅 폴리에스터 파이버(LM 파이버, low melting polyester fiber)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직포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몸체포(122)와 제2몸체포(124)가 결합되는 방식으로는 상기 제1몸체포(122)와 제2몸체포(124) 사이로 핫멜트필름이 적용되어 열적 결합되는 형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핫멜트필름은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격자홀이 구비된 형태를 이루게 되거나 메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포(122)와 제2몸체포(124)가 멜팅파이버를 이용한 열적 결합이 되도록 하거나, 핫멜트 필름으로 결합되도록 한 후, 상술한 봉제사결합부가 추가적으로 적용되도록 하여 이중 결합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은 멜팅파이버와 핫멜트필름은 상기 각각의 단위튜브부(120A,120B,120C)간의 결합에도 열적 가공과 더불어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각 단위뷰트부간의 결합력 증대 또하 가져올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토목섬유저장튜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 임시 호안을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 임시 호안을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설치한 후(S10), 도 10(a)에서와 같이, 준설토를 토목섬유저장튜브 몸체부(120) 내측으로 주입하되, 최종적으로는 도 10(b)에서와 같이 수용부(105)가 충진이 모두 될 정도로 주입시키는 단계를 거친다(S20).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도 10(c)에서와 같이, 내부에 주입된 준설토에 함유된 물은 준설토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토목섬유저장튜브(10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며, 남은 토사만이 자체적으로 자중에 의하여 압밀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30).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무게가 많이 나가는 토사는 토목섬유저장튜브의 하측으로 가라앉아 압밀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토목섬유저장튜브 내측의 상부는 빠져나간 물로 인하여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토목섬유저장튜브(100)의 상부 빈 공간에는 외부의 물이 일부 주입되거나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10(d)에서와 같이, 상기 토목섬유저장튜브(100)의 몸체부(120) 내측으로 다시 외부의 준설토를 보강하여 주입하게 된다(S40).
이때, 준설토의 보강 주입과정은 소정 시간차를 가지고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하게 된다(S50).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서는 계속적인 토사의 압밀과정과 물의 외부 배출과정이 수행되고,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토사만이 토목섬유저장튜브(100) 내측에 남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서 토목섬유저장튜브 내부의 오염원이 제거되는 정화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중이 무거운 토사만이 별도의 작업 없이 준설토의 추가적인 주입만으로 토목섬유저장튜브에 남게 되므로 불필요한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호안 구축이 가능해지게 된다.
특히, 토목섬유저장튜브의 몸체부 자체가 필터 기능이 우수하여 세립토 유실 방지 기능을 가져오게 된다. 즉, 양질의 모래은 물론 세립토(점토, 실트)도 튜브 채움 재료로 사용 가능하게 되며 물만 배출되므로 슬러리 정화 효과 또한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토목섬유저장튜브 110: 주입부
112: 결착부 120: 몸체부
120A, 120B, 120C: 단위튜브부 122: 제1몸체포
124: 제2몸체포 135: 봉제사 결합부
137: 마찰여유부 150: 보강부
112: 결착부 120: 몸체부
120A, 120B, 120C: 단위튜브부 122: 제1몸체포
124: 제2몸체포 135: 봉제사 결합부
137: 마찰여유부 150: 보강부
Claims (12)
- 내부 수용부를 구비하며 준설토 주입부가 구비된 몸체부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부는 물이 외부로 배출가능한 제1몸체포와, 상기 제1몸체포에 적층된 형태로 구비되며 물의 배출이 가능하며 강도 보강을 위한 제2몸체포를 포함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포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상기 제2몸체포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면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몸체포는 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토목섬유저장튜브의 길이방향인 가로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단위튜브부가 각각 인접된 단위튜브부와 중첩된 부위가 가로방향을 따라 봉제사에 의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튜브부는 제1몸체포와 제2몸체포가 상기 단위튜브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각각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튜브부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상기 봉제사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봉제사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사결합부는 두 개 이상이 구비되되,
일측 봉제사결합부와 타측 봉제사결합부 사이로 상기 단위튜브부가 서로 대면된 상태를 이루는 마찰여유부를 가지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포는 멜팅파이버가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1몸체포와 상기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포는 멜팅파이버가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1몸체포와 상기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포와 제2몸체포 사이에는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격자홀이 구비된 핫멜트 필름이 구비되며,
상기 제1몸체포와 상기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제7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포와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된 후,
보조적으로 봉제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 물이 외부로 배출가능한 제1몸체포와 상기 제1몸체포에 대면 적층된 형태로 물의 배출이 가능하며 강도 보강을 위한 제2몸체포를 결합하여 단위튜브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위튜브부 복수 개를 가로방향을 따라서 인접된 단위튜브부끼리 결합하여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포와 제2몸체포 중 적어도 일측 몸체포는 멜팅 파이버가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1몸체포와 상기 제2몸체포는 열적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4506A KR20160033508A (ko) | 2014-09-18 | 2014-09-18 |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4506A KR20160033508A (ko) | 2014-09-18 | 2014-09-18 |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3508A true KR20160033508A (ko) | 2016-03-28 |
Family
ID=5700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4506A KR20160033508A (ko) | 2014-09-18 | 2014-09-18 |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3350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49636A (zh) * | 2016-08-22 | 2016-11-23 | 中交天航港湾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小范围吹填区多口吹填结构及其吹填方法 |
KR20210082903A (ko) | 2019-12-26 | 2021-07-06 | (주)큐니온 | 자체점검기능을 보유한 광대역 신호수신장치에서 시간 및 온도특성에 따른 이득특성 열화를 자동이득조정을 할 수 있는 무인기용 신호수신기 |
KR20230140746A (ko) | 2022-03-30 | 2023-10-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암전이의 검출용 신규 바이오마커 |
-
2014
- 2014-09-18 KR KR1020140124506A patent/KR201600335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49636A (zh) * | 2016-08-22 | 2016-11-23 | 中交天航港湾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小范围吹填区多口吹填结构及其吹填方法 |
CN106149636B (zh) * | 2016-08-22 | 2018-06-08 | 中交天航港湾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小范围吹填区多口吹填结构及其吹填方法 |
KR20210082903A (ko) | 2019-12-26 | 2021-07-06 | (주)큐니온 | 자체점검기능을 보유한 광대역 신호수신장치에서 시간 및 온도특성에 따른 이득특성 열화를 자동이득조정을 할 수 있는 무인기용 신호수신기 |
KR20230140746A (ko) | 2022-03-30 | 2023-10-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암전이의 검출용 신규 바이오마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41793A1 (en) | Fine-grained fill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0350625B1 (ko)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
KR20160033508A (ko) |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 |
KR20160027646A (ko) | 해안 및 하안의 침식방지용 제방축조를 위한 토목섬유 튜브공법의 항구적인 제방 시공방법과 제방축조물 | |
KR101193150B1 (ko) | 겉보기 구멍크기와 투수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제직구조를 가지는 직포 지오텍스타일 | |
KR101666626B1 (ko) | 프레임과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
CN205382463U (zh) | 一种快速拼接式土工加筋防护反滤材料 | |
KR100753045B1 (ko) |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 |
Jeon | Polymeric synthetic fabrics to improve stability of ground structure in civil engineering circumstance | |
JP6573505B2 (ja) | 施工セル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 |
JPH11269860A (ja) | 複合改良地盤構造 | |
KR100938483B1 (ko) |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 |
KR20090118296A (ko) | 토목 시공용 튜브 및 그 축조방법 | |
KR102486882B1 (ko) |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 |
KR101217376B1 (ko) |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 |
JP2022099525A (ja) | 盛土斜面の修復方法及び盛土の斜面構造 | |
KR101168170B1 (ko) |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 |
JP5980579B2 (ja) | 盛土構造物の築造方法 | |
JP2017206826A (ja) | 堤防補強工法 | |
KR101318368B1 (ko) |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한 호안 매립용 가호안 구축 및 오염토 정화방법 | |
JP6676463B2 (ja) | 堤防補強工法 | |
CN210712875U (zh) | 坡面加固系统及挡坝 | |
JP2006249659A (ja) | 地盤補強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4620408B2 (ja) | 築堤用土嚢及びそれを用いた築堤工法 | |
KR101522617B1 (ko) | 지오컨테이너를 이용한 제방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