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170B1 -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170B1
KR101168170B1 KR1020120048904A KR20120048904A KR101168170B1 KR 101168170 B1 KR101168170 B1 KR 101168170B1 KR 1020120048904 A KR1020120048904 A KR 1020120048904A KR 20120048904 A KR20120048904 A KR 20120048904A KR 101168170 B1 KR101168170 B1 KR 10116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waste
tube
mat
landf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원
Original Assignee
(주)원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원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4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지의 경사면 상부에 시공된 차수막이 날카로운 폐기물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기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배수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목섬유재와 폐자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차수막 보호매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제작과 설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용과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A PROTECTION MAT FOR THE WALL IN SANITARY LANDFIL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OTECTION MAT FOR THE WALL IN SANITARY LANDFILL}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지의 경사면 상부에 시공된 차수막이 날카로운 폐기물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기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배수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쓰레기나 건축폐기물, 산업용 폐자재 등을 지하에 매립하여 처리하는 폐기물 매립지에는 지면 아래로 굴착한 바닥면과 경사면에 차수막을 설치하여 폐기물 자체의 수분과 빗물의 침투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한다.
종래에는 매립지의 측면 경사면에 모래주머니를 30㎝ 이상의 두께로 포설하거나, 폐타이어의 내부에 잡석을 충진한 상태에서 바닥에 까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모래주머니가 훼손되어 모래의 유실이 발생하고, 모래주머니를 결합하여 시공하는 것이 어려우며, 모래의 가격이 고가여서 폐기물 매립지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폐타이어의 경우에는 최근 물질 재활용 수요의 증대로 폐타이어의 공급물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져서 원활한 자재의 수급이 어려운 상태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목섬유시트 등을 차수벽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 여과매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 여과매트는 아래측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제1토목섬유시트(10), 차수시트(20), 제2토목섬유시트(30), 여과시트(40) 및 제3토목섬유시트(50)로 구성되어 웅덩이 형태 매립지의 바닥에 깔린다.
제1,2,3토목섬유시트(10,30,50)는 동일한 재질로서 편물(編物)?직물?부직포(不織布) 등이 가능하며, 물리적 성질, 기계적 성질과 내약품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섬유를 원료로 하여 시트형태로 제조된다.
차수시트(20)는 토목섬유로서, 침출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여과시트(4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장력 여과망 및 여과망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정화용 모래로 이루어진다.
여과망은 고장력 섬유 등에 의해 그물 형태로 짜여져 매립지에 부분침하가 발생되어도 여과망이 장력에 의해 서로 잡아당기게 되어 매립지의 부분침하가 주변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
매립지는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여과망에 채워진 정화용 모래가 매립지의 상기 경사면의 경사를 타고 아래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여과망은 종횡의 칸막이에 의해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다. 즉, 여과망은 돌망태 형태인 것이다.
여과시트(40)는 매립지의 크기에 맞춰 하나만 사용되거나 다수의 그물이 엮여 사용될 수 있으며, 앵커를 통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각각의 시트(10,20,30,40,50)는 매립지에 바닥면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되며, 하나 이상의 앵커를 통해 매립지에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여과매트는 적층되는 자재가 많아서 여러 번의 공정을 거쳐야 시공이 가능하며, 가운데 여과시트(40)에 모래를 채워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자재가 사용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어서, 실제 폐기물 매립지에서는 이와 같은 기술이 전혀 실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다.
KR 10-0658441 B1 KR 20-0231295 Y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합공정이 간소화된 일체형 매트를 제작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튜브 형태의 내부 충진공간에 폐자재를 충진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 형태의 충진공간 상부 또는 하부에 별도의 통기공간을 형성하여, 폐기물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침출수가 아래쪽으로 원활하게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지의 경사면에 설치된 차수막(120)의 윗면에 설치하여 상기 차수막(12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막 보호매트로서,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겹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의 위에서 아래쪽으로 상기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봉재하여 튜브 형상으로 된 여러 개의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공간에는 폐사, 폐주물사, 소각재, 폐목재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된 충진재가 투입되며, 상기 충진재가 투입된 튜브 형상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의 윗면에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완충용 토목섬유재(132)와 상기 튜브 형상이 접촉하는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열융착하여 여러 개의 열융착선(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튜브와, 상기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로 이루어지는 통기공간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 상기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의 위쪽 끝부분에는 고정용고리(1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와 상기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기물 매립지의 경사면에 설치된 차수막(120)의 윗면에 상기 차수막(12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막 보호매트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겹치고, 일측 끝부분부터 반대측 끝부분까지 상기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바느질하여 여러 개의 평행한 재봉선(133)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튜브 모양의 충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튜브의 어느 한 쪽 끝부분을 밀봉시켜 매트를 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튜브의 입구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경사면의 위쪽으로, 밀봉된 부분이 상기 경사면의 아래쪽으로 오도록 상기 매트를 상기 경사면에 배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매트의 위쪽 끝부분에 고정용고리(135)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용고리(135)를 지반에 고정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튜브 모양의 충진공간의 입구에 폐사, 폐주물사, 소각재, 폐목재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된 충진재를 투입하여 충진하는 제4단계와; 상기 충진재의 투입이 끝나면 상기 튜브의 위쪽 끝부분을 밀봉하는 제5단계와;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를 상기 튜브 위에 덮고, 완충용 토목섬유재(132)와 상기 튜브의 윗면이 만나는 부분을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통기공간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와 상기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목섬유재와 폐자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차수막 보호매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제작과 설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용과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 형태의 충진공간 내부에 폐사, 폐주물사, 소각재, 폐목재 등의 폐자재를 충진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과 비용 절감의 두 가지 장점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 여과매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 보호매트가 설치된 폐기물 매립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튜브형 차수막 보호매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차수막 보호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 보호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차수막 보호매트를 매립지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 보호매트가 설치된 폐기물 매립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튜브형 차수막 보호매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차수막 보호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생활쓰레기나 건축폐기물, 산업용 폐자재 등의 폐기물을 지중에 매립하여 처분하는 매립지(100)의 경사면에 설치하는 차수막 보호매트(130)에 관한 것이다.
매립지(100)는 지면 아래쪽으로 굴착하여 매립공간을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장자리는 지표면으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경사면을 형성하고, 가운데에는 비교적 평평한 바닥면이 형성된다. 매립공간을 굴착한 면에는 지반(110)이 드러날 수 있는데, 지반(110) 아래쪽으로 폐기물(200)이나 침출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수막(120)을 먼저 경사면과 바닥면에 설치한다.
차수막(120)은 비정형의 형상을 가지는 폐기물(200)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침출수가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밀폐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수막(120)의 위에는 본 발명의 차수막 보호매트(130)가 설치되어 차수막(12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닥면에는 침출수 배출관(140)이 매립되어 액상 폐기물을 미리 지정된 곳으로 유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매립공간에 폐기물(200)이 완전히 채워지면 덮개(150)를 덮어서 악취가 나지 않도록 막아준다.
차수막 보호매트(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쭉한 튜브가 여러 개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튜브는 서로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튜브 내부에는 폐자재가 채워진다.
차수막 보호매트(130)는 토목섬유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반적으로는 가격이 저렴하고 강도가 비교적 높으며, 봉재나 열융착 등의 가공이 용이한 부직포를 사용한다.
차수막 보호매트(130)는 넓은 사각형 모양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 두 장을 겹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봉재하여 재봉선(133)을 만들면서 길쭉한 튜브를 여러 개 형성한다. 상하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에 의해 만들어지는 각각의 튜브는 충진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충진공간에는 폐자재가 투입되어 차수막(120)에 대한 보호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의 윗면에는 다른 한 장의 완충용 토목섬유재(132)가 부착되는데, 타원형 내지 원형인 튜브의 가장 윗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튜브와 접촉하는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열융착하여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로 되는 두 개의 튜브와 윗면의 완충용 토목섬유재(132) 사이에 대략 역삼각형 형태의 통기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통기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매립된 폐기물(200)의 하중에 의해 차수막 보호매트(130)나 차수막(120)이 파괴되지 않도록 완충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통기공간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폐기물(200)에서 발생한 침출수가 통기공간을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침출수 배출관(140)으로 쉽게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완충용 토목섬유재(132)와 튜브가 만나는 선을 따라 열융착선(13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열융착은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의 위에 있는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를 융착기로 누르면서 가열하여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열융착에 사용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차수막 보호매트(130)의 일측 끝부분에는 고정용고리(135)가 적절한 개수로 연결된다. 고정용고리(135)는 차수막 보호매트(130)를 매립지(100)의 경사면에 설치할 때, 차수막 보호매트(130)의 윗부분을 경사면의 위쪽에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고정용고리(135)는 차수막 보호매트(130)의 위쪽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위쪽과 아래쪽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용고리(135)는 금속고리일 수도 있고, 로프로 된 고리일 수도 있으며, 매립지(100)의 크기나 폐기물의 종류, 설치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통기공간의 경우, 충진공간의 윗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아랫면에 형성하거나, 윗면과 아랫면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 보호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에 의해 튜브가 형성된 윗면과 아랫면에 모두 완충용 토목섬유재(132, 136)를 열융착시켜 아래와 위에 모두 통기공간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차수막 보호매트(130)의 윗면과 아랫면에 모두 열융착선(134, 137)이 형성될 것이다.
한편, 도 6은 차수막 보호매트를 매립지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매립지(100) 내부에 차수막 보호매트(130)를 설치하는 과정과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차수막 보호매트(130)의 시공을 위해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겹치고, 일측 끝부분부터 반대측 끝부분까지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바느질하여 재봉선(133)을 형성한다.(S102) 재봉선(133)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재봉선(133)의 형성으로 인해 다수의 튜브 모양의 충진공간이 형성된 매트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충진재가 튜브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튜브의 어느 한 쪽 끝부분을 바느질하여 밀봉시킨다. 따라서 튜브는 어느 일측만 개방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충진공간이 형성된 매트를 매립지(100)의 경사면에 배치한다.(S104) 이때 튜브의 입구가 개방된 부분이 경사면의 위쪽으로, 밀봉된 부분이 경사면의 아래쪽으로 오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재봉된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로 이루어지는 매트의 위쪽 끝부분에 고정용고리(135)를 설치하고, 고정용고리(135)를 앙카나 볼트 등으로 지반에 고정시킨다.(S106)
다음으로 튜브로 이루어진 충진공간의 위쪽 입구에 폐자재를 투입하여 매트 내부를 충진한다.(S108) 본 발명의 차수막 보호매트(130)에 사용되는 충진재는 폐자재로서 폐사, 폐주물사, 소각재, 폐목재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재는 기름이나 금속 등으로 오염이 심하거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서 그 자체로는 건축이나 토목용으로 사용이 되지 않지만, 폐기물 매립을 위한 시설에서는 충분히 사용가능하므로,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튜브 형태의 충진공간이 형성된 매트는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위쪽 입구에서 충진재를 충진공간 내부로 투입하면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고, 매트의 아래쪽부터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충진재의 투입이 끝나면 튜브의 위쪽 끝부분을 밀봉한다.(S110)
밀봉이 끝나면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를 튜브 위에 덮고, 완충용 토목섬유재(132)와 튜브의 윗면이 만나는 부분을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통기공간을 형성한다.(S112)
열융착선(134)의 형성이 마무리되면 충진공간에는 폐자재가, 통기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진 차수막 보호매트(130)가 완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차수막 보호매트(130)를 뒤집은 후, 반대쪽 면에도 완충용 토목섬유재(136)를 한 번 더 열융착을 하여 윗면과 아래면에 모두 통기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차수막 보호매트(130)의 설치(고정, 충진, 밀봉)가 끝나면 매립공간에 폐기물(200)을 적층하면서 매립지(100)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매립지 110 : 지반
120 : 차수막 130 : 차수막 보호매트
131 : 충진용 토목섬유재 132, 136 : 완충용 토목섬유재
133 : 재봉선 134, 137 : 열융착선
135 : 고정용고리 140 : 침출수 배출관
150 : 덮개 200 : 폐기물

Claims (4)

  1. 폐기물 매립지의 경사면에 설치된 차수막(120)의 윗면에 설치하여 상기 차수막(12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막 보호매트로서,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겹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의 위에서 아래쪽으로 상기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봉재하여 튜브 형상으로 된 여러 개의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공간에는 폐사, 폐주물사, 소각재, 폐목재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된 충진재가 투입되며,
    상기 충진재가 투입된 튜브 형상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의 윗면에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완충용 토목섬유재(132)와 상기 튜브 형상이 접촉하는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열융착하여 여러 개의 열융착선(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튜브와, 상기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로 이루어지는 통기공간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 상기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의 위쪽 끝부분에는 고정용고리(1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와 상기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3. 폐기물 매립지의 경사면에 설치된 차수막(120)의 윗면에 상기 차수막(12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막 보호매트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겹치고, 일측 끝부분부터 반대측 끝부분까지 상기 두 장의 충진용 토목섬유재(131)를 바느질하여 여러 개의 평행한 재봉선(133)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튜브 모양의 충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튜브의 어느 한 쪽 끝부분을 밀봉시켜 매트를 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튜브의 입구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경사면의 위쪽으로, 밀봉된 부분이 상기 경사면의 아래쪽으로 오도록 상기 매트를 상기 경사면에 배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매트의 위쪽 끝부분에 고정용고리(135)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용고리(135)를 지반에 고정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튜브 모양의 충진공간의 입구에 폐사, 폐주물사, 소각재, 폐목재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된 충진재를 투입하여 충진하는 제4단계와;
    상기 충진재의 투입이 끝나면 상기 튜브의 위쪽 끝부분을 밀봉하는 제5단계와;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를 상기 튜브 위에 덮고, 완충용 토목섬유재(132)와 상기 튜브의 윗면이 만나는 부분을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통기공간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용 토목섬유재(131)와 상기 완충용 토목섬유재(132)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KR1020120048904A 2012-05-09 2012-05-09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KR10116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904A KR101168170B1 (ko) 2012-05-09 2012-05-09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904A KR101168170B1 (ko) 2012-05-09 2012-05-09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170B1 true KR101168170B1 (ko) 2012-07-24

Family

ID=4671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904A KR101168170B1 (ko) 2012-05-09 2012-05-09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9809A (zh) * 2019-02-11 2020-08-18 石少敏 套管法沉入土工布并搭接形成止水帷幕的止水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547Y1 (ko) 2001-04-11 2001-10-1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모래봉을 이용한 수중 가물막이 구조
KR200374602Y1 (ko) 2004-10-14 2005-01-31 윤혜경 폐기물 매립 시설의 차수 시트 보호 블럭
KR100658441B1 (ko) 2006-04-21 2006-12-19 (주)경동기술공사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 여과매트
KR100748080B1 (ko) 2006-06-27 2007-08-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수형 섬유대를 이용한 차수벽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547Y1 (ko) 2001-04-11 2001-10-1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모래봉을 이용한 수중 가물막이 구조
KR200374602Y1 (ko) 2004-10-14 2005-01-31 윤혜경 폐기물 매립 시설의 차수 시트 보호 블럭
KR100658441B1 (ko) 2006-04-21 2006-12-19 (주)경동기술공사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 여과매트
KR100748080B1 (ko) 2006-06-27 2007-08-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수형 섬유대를 이용한 차수벽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9809A (zh) * 2019-02-11 2020-08-18 石少敏 套管法沉入土工布并搭接形成止水帷幕的止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477B2 (en) Reinforced wall system
US96496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a sloped structure such as a berm, basin, levee, embankment, or the like
US8784008B2 (en) Ber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9662692B2 (en) Landfill and berm combination
CN106320385A (zh) 垂直防渗屏障及其建筑方法
CN205475357U (zh) 一种用于渗流量大的生活垃圾填埋场的双层hdpe膜复合衬里防渗结构
CN111014226A (zh) 一种可溶性废盐的吨包及填埋场
CN214423422U (zh) 一种柔性危废填埋场防渗结构
KR101168170B1 (ko)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및 폐기물 매립지 차수막 보호매트 설치방법
RU139821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гидроизоляция подзем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CN112523264A (zh) 一种高陡边坡防渗系统及其铺设方法
JP6573505B2 (ja) 施工セル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eon Polymeric synthetic fabrics to improve stability of ground structure in civil engineering circumstance
US8430600B2 (en) Ber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206128142U (zh) 应用于山谷型填埋场污泥坑固化后地基的填埋场防渗结构
Lawrence High performance textiles for geotechnical engineering: geotextiles and related materials
KR20160033508A (ko) 복합 직포가 적용되며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KR101138053B1 (ko) 반응성 칼럼형 연직배수 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의 개량방법
CN106193129A (zh) 尾矿库渗滤液抽排系统及其施工方法
JP2017043961A (ja) 施工セル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CN109763519A (zh) 垃圾填埋防渗处理方法
JP3709633B2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遮水構造
CN211938369U (zh) 一种可溶性废盐的吨包及填埋场
Kelechi et al. Geotextile and geomembrane: Properties, production and engineering applications
US10145079B1 (en) Be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e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