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376B1 -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 Google Patents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376B1
KR101217376B1 KR1020120107530A KR20120107530A KR101217376B1 KR 101217376 B1 KR101217376 B1 KR 101217376B1 KR 1020120107530 A KR1020120107530 A KR 1020120107530A KR 20120107530 A KR20120107530 A KR 20120107530A KR 101217376 B1 KR101217376 B1 KR 10121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band
concrete
mortar
fib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진
Original Assignee
전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양진 filed Critical 전양진
Priority to KR102012010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4Filling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에 관한 것으로, 봉제선(110)을 통해 구획된 다수의 단위셀(120)들과, 각 단위셀(120)들 내부로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충전할 수 있는 제1주입구(130)와, 다수의 단위셀(120)이 모인 하나의 섬유대를 구성하고 이 섬유대의 테두리에 고정된 보강벨트(140)와, 보강벨트(140)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구멍(150)으로 이루어진 제1섬유대(100); 봉제선(210)을 따라 봉제되어 일정크기의 단위셀(220)을 갖고, 각 단위셀(220)에는 콘크리트 혹은 몰탈 주입용 제2주입구(230)가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벨트(240)와, 보강벨트(240)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구멍(250)을 포함하는 제2섬유대(200); 상부섬유(310)와 하부섬유(320) 두 겹으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한 겹이 되도록 직조된 식생부(330)와 필터포인트(FP)를 가져 두 겹인 부분에 콘크리트 혹은 몰탈이 채워지게 형성된 제3섬유대(300);를 각각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제1섬유대(100)를 하천 바닥면(A)에 배열하고, 제1섬유대(100) 상호간을 보강벨트(140)에 형성된 결속구멍(150)을 통해 연결고리로 상호 결속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지상에 준비된 콘크리트 혹은 몰탈 주입설비로부터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인가받아 제1섬유대(100)에 구비된 제1주입구(130)를 통해 주입시켜 마감하고, 주입된 콘크리트 혹은 몰탈에 의해 중량이 증대된 제1섬유대(100)를 하천 바닥면(A)에 안착 고정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하천의 측면(B)에 제2섬유대(200)를 배열하되, 상기 제1섬유대(100)와 배열방향이 엇갈리게 배열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후, 제2섬유대(200)가 제1섬유대(100)와 결속되게 상호간을 보강벨트(140,240)에 형성된 결속구멍(150,250)을 연결고리로 결속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 후, 제2섬유대(200)의 제2주입구(230)를 통해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주입하여 제2섬유대(200)에 중량을 부여하고, 하천의 측면(B)에 안착고정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가 완료되면, 제3섬유대(300)를 제2섬유대(200)와 배열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사면(C)에 배열하고, 제2섬유대(200)와 결속한 후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주입하여 사면(C)에 안착고정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효율이 높고, 단기간에 넓은 면적에 걸쳐 시공할 수 있으며, 하천에서부터 사면까지 일체로 연결된 토목섬유대에 의해 하천의 바닥면 세굴 방지와 함께 연계된 사면 침하도 막을 수 있어 다목적 침식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METHOD FOR PREVENTING EROSION USING GEOTEXTILE}
본 발명은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바닥과, 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사면 등에서 발생되는 침식을 효과있게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하천의 호안, 농업용 배수로의 호안, 댐 또는 저수지의 경사면, 해안 또는 간척지의 제방 등의 호안공사에는 고강도 토목섬유로 제직된 섬유대를 이용하여 사면을 보강하고 있다.
섬유대를 이용한 호안공법은 고강도의 토목섬유로 제직한 두 겹의 직물거푸집 사이에 유동상태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나 몰탈을 주입하여 콘크리트 매트를 형성시켜 기초보강 또는 호안면을 공사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공법은 육상에서는 물론 수중에서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거푸집이 포제이므로 구배(句配)가 복잡한 지형에서도 그 지형에 맞도록 밀착시켜 균일한 두께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 매트를 형성할 수 있는 바, 이 공법을 이용한 시공은 미리 현장지형에 맞추어 제작한 원단을 포설(布設)하고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고압펌프로 주입하여 단시간내에 광범위한 면적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 매트를 형성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법이나 프리캐스트 블록공법에 비하여 신속성, 안정성, 시공효율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특히 수중공사에서 현저한 작업효과가 있으며, 특히 다른 공법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일체로 하여 시공하므로 견고성이 뛰어나고 토사(土砂)가 밀려나는 현상이 거의 없어서 현재는 당해 분야에서 보편화되어 있다.
때문에 관련된 기술로, 공개특허 제1995-0027106호, 공개특허 제1998-0082084호, 공개특허 제1998-0082085호, 공개특허 제2005-0066726호, 등록특허 제0795036호, 등록특허 제0839233호, 등록특허 제1131897호 등 수많은 유사 특허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개시된 대부분의 특허 기술들은 절토면, 즉 사면 보강에만 한정되어 있어 하천 바닥과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특히 최근 4대강 사업들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하천 바닥에서의 세굴(洗掘, scour), 그로 인한 침식 및 이와 연계된 사면에서 유수와 접한 토양입자가 한계소류력(限界掃流力) 이상의 유수에 의해 밀려가면서 생기는 침하 등을 복합적으로 연계하여 예방할 수 있는 구조적 침식 방지공법은 개시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상술한 선행 기술들 중 공개특허 제1998-0082084호, 공개특허 제1998-0082085호에는 하천 바닥과 연계한 예가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극소수에 불과하고, 공법 자체도 하천 가장자리 바닥 일부를 일정깊이로 굴착한 다음 파낸 부분에 콘크리트 몰탈을 채워 넣는 형태이므로 작업성과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공사기간이 많이 걸리며, 콘크리트 몰탈 주변에서 또다른 세굴 현상을 파생시키므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없어, 실현가능성이 매우 약하였고, 현재 그런 공법이 적용되고 있는 예도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하천에서부터 사면에 이르기까지 일체를 이루어 하나의 보강섬유대가 완벽하게 구현되게 함으로써 상호작용에 의한 침식을 다목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봉제선(110)을 통해 구획된 다수의 단위셀(120)들과, 각 단위셀(120)들 내부로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충전할 수 있는 제1주입구(130)와, 다수의 단위셀(120)이 모인 하나의 섬유대를 구성하고 이 섬유대의 테두리에 고정된 보강벨트(140)와, 보강벨트(140)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구멍(150)으로 이루어진 제1섬유대(100); 봉제선(210)을 따라 봉제되어 일정크기의 단위셀(220)을 갖고, 각 단위셀(220)에는 콘크리트 혹은 몰탈 주입용 제2주입구(230)가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벨트(240)와, 보강벨트(240)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구멍(250)을 포함하는 제2섬유대(200); 상부섬유(310)와 하부섬유(320) 두 겹으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한 겹이 되도록 직조된 식생부(330)를 가져 두 겹인 부분에만 콘크리트 혹은 몰탈이 채워져 기둥(P)이 형성된 제3섬유대(300);를 각각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제1섬유대(100)를 하천 바닥면(A)에 배열하고, 제1섬유대(100) 상호간을 보강벨트(140)에 형성된 결속구멍(150)을 통해 연결고리로 상호 결속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지상에 준비된 콘크리트 혹은 몰탈 주입설비로부터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인가받아 제1섬유대(100)에 구비된 제1주입구(130)를 통해 주입시켜 마감하고, 주입된 콘크리트 혹은 몰탈에 의해 중량이 증대된 제1섬유대(100)를 하천 바닥면(A)에 안착 고정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하천의 측면(B)에 제2섬유대(200)를 배열하되, 상기 제1섬유대(100)와 배열방향이 엇갈리게 배열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후, 제2섬유대(200)가 제1섬유대(100)와 결속되게 상호간을 보강벨트(140,240)에 형성된 결속구멍(150,250)을 연결고리로 결속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 후, 제2섬유대(200)의 제2주입구(230)를 통해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주입하여 제2섬유대(200)에 중량을 부여하고, 하천의 측면(B)에 안착고정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가 완료되면, 제3섬유대(300)를 제2섬유대(200)와 배열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사면(C)에 배열하고, 제2섬유대(200)와 결속한 후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주입하여 사면(C)에 안착고정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2섬유대(100,200)는 튜브 형태로 봉제하여 제조된 튜블러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2섬유대(200)는 동형이 다수개 묶여 하나의 단위셀을 구성하거나 혹은 이형의 여러개가 묶여 하나의 단위셀을 구성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섬유대(300)의 식생부(330)는 육각 또는 원형이 일정간격을 두고 반복되거나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기둥(P)은 육각, 사각, 마름모, 원형 중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P)에는 한 겹을 이룬 필터포인트(FP)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필터포인트(FP)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이 채워지지 않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효율이 높고, 단기간에 넓은 면적에 걸쳐 시공할 수 있으며, 하천에서부터 사면까지 일체로 연결된 토목섬유대에 의해 하천의 바닥면 세굴 방지와 함께 연계된 사면 침하도 막을 수 있어 다목적 침식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에 의해 시공된 시공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작업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에 의해 시공될 시공면 중 제1섬유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법에 의해 시공될 시공면 중 제2섬유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법에 의해 시공될 시공면 중 제3섬유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법에 의해 시공될 시공면 중 제3섬유대를 구성하는 다른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에 시공될 최종 시공구조는 하천의 바닥면(A, 도 3,4 참조)에 안착고정된 하상섬유대인 제1섬유대(100)와, 상기 제1섬유대(100)와 연결 고정되고 상기 제1섬유대(100)와 엇갈리게 배열되며 하천의 수로를 구성하는 측면(B, 도 3,4 참조)에 안착고정된 제2섬유대(200)와, 상기 제2섬유대(200)와 연결 고정되고 식생가능하도록 하천의 측면(B) 상부의 사면(C, 도 3,4 참조), 즉 물이 없는 경사면에 안착고정된 제3섬유대(300)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섬유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튜블러(Tubular)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섬유대(100)가 튜블러로 형성되어야 하는 이유는 셀을 크게 해서 한 셀당 10-70톤의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류가 센 곳에서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세굴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섬유대(100)는 봉제선(110)을 통해 구획된 다수의 단위셀(120)들이 모여 하나의 제1섬유대(100)를 구성하며, 이러한 제1섬유대(100) 다수개가 하천에 안착되어 세굴 방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섬유대(100)는 주로 하천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일정폭에 걸쳐 배열되는데, 특히 물이 흘러가는 방향으로 길게 배열되도록 하여 물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섬유대(100)의 길이방향이 하천을 통해 물이 흘러가는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섬유대(100)에는 다수의 제1주입구(130)가 형성되어 내부로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섬유대(100)는 보강벨트(140)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싸여 단위셀(120)들의 결속력이 강화되며, 상기 보강벨트(140)에는 다수의 결속구멍(150)이 형성되어, 다른 제1섬유대 혹은 제2섬유대(200)와 연결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결속수단은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아이넷(I-net), 즉 연결고리를 사용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제2섬유대(200)도 상기 제1섬유대(100)와 같은 튜블러로 형성되며, 도 6의 (a)와 같이 동일한 형상의 튜브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 도 6의 (b)와 같이 크기가 다른 튜브를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a)처럼 동형일 경우, 일정크기의 튜블러가 봉제선(210)을 따라 봉제되어 일정크기의 단위셀(220)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b)처럼 이형일 경우, 3개 한 묶음을 단위셀(220')로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a)에서도 3개 한 묶음을 단위셀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도시상 3개를 한 묶음처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고 2,3,4,5,6개 등 다양한 개수가 한 묶음이 되어 제2섬유대(20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제2섬유대(200)는 앞서 설명한 제1섬유대(100)와 마찬가지로 다수개가 배열 설치되어 넓은 면적에 걸쳐 하나의 섬유대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섬유대(200)에도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주입할 수 있도록 제2주입구(230)가 형성되는데, 도시상 각 셀당 하나씩 보이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여러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도 6의 (c)와 같이, 상기 제2섬유대(200)의 테두리에도 상기 제1섬유대(100)에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보강벨트(24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벨트(240)에는 다수의 결속구멍(250)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섬유대(100) 또는 인접 설치되는 다른 제2섬유대 또는 상기 제3섬유대(300)와 결속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섬유대(200)는 상기 제1섬유대(100)와 엇갈리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테면 길이방향이 하천의 측면(B)의 높이방향이 되게 배열되어 제1섬유대(100)의 장변과 제2섬유대(200)의 단변이 서로 접하면서 아이넷과 같은 연결고리를 통해 서로 결속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하천의 측면(B)에서 물의 흐름을 가급적 방해하도록 하여 유속을 더욱 더 줄임으로써 침식 방지효과를 더 높이기 위한 것이다.
다른 한편, 상기 제3섬유대(30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부섬유(310)와 하부섬유(320) 두 겹으로 형성되며, 이들의 표면에는 식생부(330)와 필터포인트(FP)가 형성되는데, 상기 식생부(330)와 필터포인트(FP)는 한 겹이 되도록 직조된다.
따라서, 상기 식생부(330)와 필터포인트(FP)를 제외한 부분은 두 겹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채워넣을 수 있는데, 이렇게 콘크리트 혹은 몰탈이 채워지면 기둥(P, 도 8 내지 도 13 참조)이 형성되게 된다.
다만, 도 7에 예시된 예는 상기 제3섬유대(300)를 구성하는 식생부(330)와 필터포인트(FP)가 원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이고, 특히 식생부(330)들 사이의 공간 중심에는 필터포인트(FP)가 형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혹은 몰탈 충전시 충전흐름을 좋게 하고, 팽창성을 균일하게 하여 안정적인 충전 기둥을 형성하도록 하여 중량감을 균일하게 하도록 하여야 한다.
덧붙여, 상기 제3섬유대(300)는 도 8 내지 도 1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설치위치나 용도에 따라 필터포인트(FP)의 유무, 식생부(330)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제3섬유대(300)는 식생부(330)와 필터포인트(FP)를 모두 갖춘 예이고, 도 11 내지 도 13에 예시된 제3섬유대(300)는 식생부(330)만 갖추고 필터포인트(FP)는 생략된 예이다.
먼저, 도 8에서와 같은 제1변형예는, 원형상의 식생부(330) 및 콘크리트 또는 몰탈이 채워지는 도우넛 형상의 기둥(P), 그리고 기둥(P)들 사이에 형성되는 필터포인트(FP)를 포함하는 예로서, 도 7의 기본 실시예에 비해 식생부(330)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마치 원형 그물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이다.
다음, 도 9와 같은 제2변형예는, 육각형상의 식생부(330)와 기둥(P), 그리고 기둥(P)의 중심에 형성되는 필터포인트(FP)를 포함하는 예이다.
또한, 도 10과 같은 제3변형예는, 육각형상의 식생부(330), 마름모 형상의 기둥(P), 그리고 기둥(P)에 형성된 필터포인트(FP)를 포함하는 예이다.
아울러, 도 11과 같은 제4변형예는, 식생부(330)와 기둥(P)이 모여 육각벌집 모양, 즉 허니컴 형상을 갖도록 한 것으로, 안정성을 극대화시킨 예이며, 이 구조에서는 필터포인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2와 같은 제5변형예는, 허니컴 구조는 아니지만, 식생부(330)가 육각형상을 갖도록 하고, 그 둘레를 따라 육각 도우넛 형태로 기둥(P)이 형성되는 예이다.
마지막으로, 도 13과 같은 제6변형예는, 원형의 식생부(330)가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식생부(330)들 사이에 기둥(P)이 형성되게 한 예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제3섬유대(300)의 예는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채웠을 때의 모양을 감안하여 입체감을 부여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섬유대(300)는 하천의 측면(B) 상측인 사면(C)에 설치되며, 특히 상기 제2섬유대(200)와 엇갈리게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엇갈린다는 표현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2섬유대(200)의 단변과 제3섬유대(300)의 장변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말하며, 제3섬유대(300)의 테두리에도 도 2와 같이, 보강벨트(340)가 설치되고, 상기 보강벨트(340)에는 다수의 결속구멍(350)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구멍(350)을 통해 상기 제2섬유대(200)와 아이넷 등의 연결고리도 결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섬유대에는 전혀 개시된 바 없던, 제1,2,3섬유대(100,200,300)가 서로 결속되어 일체로 구성된다는 아주 중요한 개념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2,3섬유대(100,200,300)를 이용하여 하천, 사면 등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시공방법인 본 발명 침식방지공법은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1,2,3섬유대(100,200,300)를 각각 제조하는 제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제1,2,3섬유대(100,200,300)를 각각의 취지와 형상 및 크기에 맞게 재봉하거나 절단하거나 직조하는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1,2,3섬유대(100,200,300)의 테두리에 보강벨트(140,240,340)를 설치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단계는 각 섬유대에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충전하는 과정은 배제된다.
이와 같은 제1단계를 통해 제1,2,3섬유대(100,200,300)가 준비되면, 상기 제1,2,3섬유대(100,200,300)는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이기 때문에 이동 등 취급하기도 편리하다.
이후, 잠수사를 동원하여 제1섬유대(100)를 하천 바닥면(A)에 배열하고, 제1섬유대(100) 상호간을 보강벨트(140)에 형성된 결속구멍(150)을 통해 아이넷과 같은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상호 결속하는 제2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제1섬유대(100)가 유속에 의해 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말뚝을 이용하여 제1섬유대(100)를 특정 지점과 위치에 고정시켜 둘 수 있다.
이어, 잠수사로 하여금 지상에 준비된 콘크리트 혹은 몰탈 주입설비로부터 이들을 인가받아 제1섬유대(100)에 구비된 제1주입구(130)를 통해 주입시켜 마감하고, 주입된 콘크리트 혹은 몰탈에 의해 중량이 증대된 제1섬유대(100)를 안정적으로 하천 바닥면(A)에 안착 고정시키는 제3단계가 수행된다.
아울러, 상기 제3단계 후 하천의 측면(B)에 제2섬유대(200)를 배열하되, 상기 제1섬유대(100)와 엇갈리게 배열하는 제4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엇갈린다는 의미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1섬유대(100)의 장변과 제2섬유대(200)의 단변이 서로 접촉되게 인접 배치되는다는 의미이다.
이후, 제2섬유대(200)가 제1섬유대(100)와 결속되게 이들 상호간을 보강벨트(140,240)에 형성된 결속구멍(150,250)에 아이넷과 같은 연결고리를 통해 결속하는 제5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제5단계 후 제2섬유대(200)의 제2주입구(230)를 통해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주입하여 제2섬유대(200)에 중량을 부여하고, 측면(B)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제6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6단계가 완료되면, 제3섬유대(300)를 사면(C)에 배열하고, 제2섬유대(200)와 결속한 후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주입하여 사면(C)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제7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제1,2,3섬유대(100,200,300)가 서로 연결 결속된 상태로 하천의 바닥면(A), 하천의 측면(B), 측면 상부에 형성된 사면(C)을 하나로 연결한 형태의 보강섬유대를 구성하게 되므로 유속에 의한 세굴 등을 방지하고, 우수에 의한 경사면 침하를 방지하며, 복합적인 상호관계에 의해 일어나는 침식까지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제1섬유대 200: 제2섬유대
300: 제3섬유대

Claims (4)

  1. 봉제선(110)을 통해 구획된 다수의 단위셀(120)들과, 각 단위셀(120)들 내부로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충전할 수 있는 제1주입구(130)와, 다수의 단위셀(120)이 모인 하나의 섬유대를 구성하고 이 섬유대의 테두리에 고정된 보강벨트(140)와, 보강벨트(140)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구멍(150)으로 이루어진 제1섬유대(100); 봉제선(210)을 따라 봉제되어 일정크기의 단위셀(220)을 갖고, 각 단위셀(220)에는 콘크리트 혹은 몰탈 주입용 제2주입구(230)가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벨트(240)와, 보강벨트(240)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구멍(250)을 포함하는 제2섬유대(200); 상부섬유(310)와 하부섬유(320) 두 겹으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한 겹이 되도록 직조된 식생부(330)를 가져 두 겹인 부분에만 콘크리트 혹은 몰탈이 채워져 기둥(P)이 형성된 제3섬유대(300);를 각각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제1섬유대(100)를 하천 바닥면(A)에 배열하고, 제1섬유대(100) 상호간을 보강벨트(140)에 형성된 결속구멍(150)을 통해 연결고리로 상호 결속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지상에 준비된 콘크리트 혹은 몰탈 주입설비로부터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인가받아 제1섬유대(100)에 구비된 제1주입구(130)를 통해 주입시켜 마감하고, 주입된 콘크리트 혹은 몰탈에 의해 중량이 증대된 제1섬유대(100)를 하천 바닥면(A)에 안착 고정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하천의 측면(B)에 제2섬유대(200)를 배열하되, 상기 제1섬유대(100)와 배열방향이 엇갈리게 배열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후, 제2섬유대(200)가 제1섬유대(100)와 결속되게 상호간을 보강벨트(140,240)에 형성된 결속구멍(150,250)을 연결고리로 결속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 후, 제2섬유대(200)의 제2주입구(230)를 통해 콘크리트 혹은 몰탈을 주입하여 제2섬유대(200)에 중량을 부여하고, 하천의 측면(B)에 안착고정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가 완료되면, 제3섬유대(300)를 제2섬유대(200)와 배열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사면(C)에 배열하고, 제2섬유대(200)와 결속한 후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주입하여 사면(C)에 안착고정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섬유대(100,200)는 튜브 형태로 봉제하여 제조된 튜블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섬유대(200)는 동형이 다수개 묶여 하나의 단위셀을 구성하거나 혹은 이형의 여러개가 묶여 하나의 단위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섬유대(300)의 식생부(330)는 육각 또는 원형이 일정간격을 두고 반복되거나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기둥(P)은 육각, 사각, 마름모, 원형 중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P)에는 한 겹을 이룬 필터포인트(FP)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필터포인트(FP)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이 채워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KR1020120107530A 2012-09-27 2012-09-27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KR10121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530A KR101217376B1 (ko) 2012-09-27 2012-09-27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530A KR101217376B1 (ko) 2012-09-27 2012-09-27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376B1 true KR101217376B1 (ko) 2012-12-31

Family

ID=4790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530A KR101217376B1 (ko) 2012-09-27 2012-09-27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4895A (zh) * 2022-01-10 2022-03-04 黄河水文水资源科学研究院 一种淤地坝防渗漏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546Y1 (ko) 2001-04-11 2001-10-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토목섬유와 타포린 시트를 이용한 수중 가물막이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546Y1 (ko) 2001-04-11 2001-10-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토목섬유와 타포린 시트를 이용한 수중 가물막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4895A (zh) * 2022-01-10 2022-03-04 黄河水文水资源科学研究院 一种淤地坝防渗漏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22470B (zh) 土工加筋防护反滤材料
KR101217376B1 (ko) 토목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침식 방지공법
CN205382463U (zh) 一种快速拼接式土工加筋防护反滤材料
JP5095030B1 (ja) 法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法面構造及び法面形成方法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CN108914959B (zh) 一种适用于山区房建的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CN217460460U (zh) 装配式嵌合锚固梁预制联锁块生态护坡
CN105696521A (zh) 一种曲字形砌块、曲字形砌块沉排体系及其施工方法
KR101131897B1 (ko) 사면용 섬유대와 하천용 섬유대의 연결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대
JP6676462B2 (ja) 堤防補強工法
CN206128094U (zh) 一种格型钢管桩围堰
JP5097249B2 (ja) ドレーン構造およびドレーン構造の施工方法
KR101170789B1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CN101514554A (zh) 柔性结构围堰
CN210368484U (zh) 陡坡路堤支挡防护结构
CN203569528U (zh) 土工加筋防护反滤材料
CN203049611U (zh) 一种框格式重力挡土墙
KR101839576B1 (ko) 지오그리드가 적용된 호안 제방
KR20200074510A (ko) 조립식 세굴 방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CN218893912U (zh) 一种可用于加固淤泥路基的砂肋软体排
CN219992335U (zh) 一种防洪堤
JP4024064B2 (ja) 護岸構造物及び護岸工法
JP7046037B2 (ja) ハニカム補強法面
CN112663559B (zh) 一种装配栅格网的斜坡式生态海堤结构及其施工方法
CN214061687U (zh) 一种柔性透水路堑挡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