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839A -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839A
KR20160032839A KR1020140123410A KR20140123410A KR20160032839A KR 20160032839 A KR20160032839 A KR 20160032839A KR 1020140123410 A KR1020140123410 A KR 1020140123410A KR 20140123410 A KR20140123410 A KR 20140123410A KR 20160032839 A KR20160032839 A KR 2016003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ide
weight
formula
metal film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영
김우일
백종욱
홍헌표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839A/ko
Publication of KR2016003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1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 C23G1/16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using inhib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패널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중 기판위에 남게 되는 잔사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CLEANSING COMPOSITION FOR METAL FILM}
본 발명은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패널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있어서, 다양한 공정 과정 후 금속 기판 위에 남게 되는 잔사, 불순물 및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랫패널 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는, 반도체 디바이스와 같이, 성막, 노광, 에칭 등의 공정을 거쳐 제품이 제조된다. 하지만, 이러한 제조공정 중에, 기판 표면에 각종의 유기물이나 무기물 등의 크기가 1㎛ 이하인 매우 작은 파티클(Particle)이 부착되는 오염이 발생한다. 이러한 파티클이 부착한 채로, 다음의 공정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 막의 핀홀이나 피트, 배선의 단선이나 브릿지(Bridge)가 발생하여, 제품의 제조 수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이 각 공정 간에 행해지고 있고, 이를 위한 세정제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있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35368호에서는 알칸올 아민, 유기용매, 킬레이트 화합물 및 물로 구성된 반도체 및 TFT-LCD용 세정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세정제는 유기오염물 및 파티클 제거력이 부족하고, 폴리하이드록시 벤젠계 킬레이트 화합물인 카테콜 또는 갈산 등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시 석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27098호에서는 유기산, 유기 알칼리,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의 세정제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의 세정제는 산성 범위의 용액이므로 린스 공정 시, 잔여물이 남을 수 있으며 파티클 제거력이 불충분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막에 대한 부식 방지 능력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035368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0127098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쇄알킬기를 갖는 부식 방지제를 포함하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잔사 및 불순물 제거 과정에서 금속막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잔사 및 불순물 등의 우수한 제거능을 갖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알칼리금속하이드록사이드 및 알킬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B) 상기 하이드록사이드를 100중량부 당 1중량부 이상 용해시킬 수 있는 극성용제 및, (C)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식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4~C22의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R2는 수소, C1~C4의 지방족탄화수소, 하이드록시기 및 카르복시산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은 금속막의 부식을 억제하여 세정 시 금속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사 및 불순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세정시 발생하는 금속막 표면의 부식 상태를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며,
도 1의 (A)는 세정 후 부식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 (B)는 약간의 산화로 소량의 금속산화물이 생성된 상태, (C)는 상당한 양의 산화로 다량의 금속산화물이 생성된 상태, (D)는 다량의 금속산화물이 생성된 후 식각되어 사라져서, 표면이 매우 거칠어진 상태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식 3 화합물의 1H-NMR(proton NMR)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플랫패널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세정제 조성물에 노출될 수도 있는 금속막 등의 금속은 임의의 원치 않는 정도로 부식시키지 않고, 기판으로부터 플라즈마 식각 후 잔재물, 플라즈마 박리 후 잔재물 등의 잔재물 또는 기타 국한되지 않는 잔재물을 제거할 수 있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해 개시한다.
즉, 에칭 등의 공정 이후 금속 기판 위에 남게되는 잔사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A) 알칼리금속하이드록사이드 및 알킬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B) 상기 하이드록사이드를 1중량부 이상 용해시킬 수 있는 극성용제 및, (C)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식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4~C22의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R2는 수소, C1~C4의 지방족탄화수소, 하이드록시기 및 카르복시산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조성에 의해, 세정 시 금속막에 대한 방식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레지스트, 유기 절연막 및 투명레진 등의 잔사 및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
본 발명의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은 하이드록사이드 이온을 배출하며, 이는 레지스트 등의 잔사 내로 침투하여 고분자 레지스트 등의 용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기 오염물 및 무기 오염물에 대한 세정 작용을 하며, 세정 후 파티클(particle)의 재흡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세정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은 알칼리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및 알킬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금속 하이드록사이드는 일례로, LiOH, NaOH, KOH, RbOH 및 CsOH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는 일례로,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MAH), 테트라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EAH),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PAH)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BA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은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3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상기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하이드록사이드 이온의 레지스트 고분자 내의 침투력이 감소되며, 레지스트에 대한 용해력이 떨어지며, 5 중량%를 초과하면 금속의 부식이 발생하며, 물의 함량이 증가되어 고분자 레진 등에 대한 용해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제로 사용시에는 상기의 함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나, 운반과 저장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여 제조되어 운반 및 저장하고, 사용시에 상기의 조성으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극성용제
본 발명의 (B) 극성용제는 레지스트에 침투하여 팽윤성을 증가시켜 기판 표면으로부터 잔사 등의 박리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물에 대한 용해력을 향상시키고, 이후 수세 공정에서 잔류물 및 세정제 조성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극성용제는 상기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을 100 중량부 당 1 중량부 이상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제조, 저장시 경시에 의한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의 침전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세정 공정에서 가온조건에서 세정을 진행할 경우, 용제의 휘발에 의한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의 농도 증가에 의한 침전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상기 극성용제로는 양자성 극성용제와 비양자성 극성용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자성 극성용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물(탈이온수), 알킬알콜류, 글리콜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알킬알콜류의 일례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헵탄올 및 옥탄올 등을 들 수 있으며,
글리콜류의 일례로는,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의 알킬렌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알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양자성 극성용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N-메틸 피롤리돈(NMP), N-에틸피롤리돈 등의 피롤리돈 화합물;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1,3-디프로필-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이미다졸리디논 화합물;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 화합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에틸설폭사이드, 디프로필설폭사이드, 술폴란 등의 설폭사이드 화합물;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 화합물;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토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 포름아마이드, N-메틸포름아마이드,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트아마이드, N-메틸아세트아마이드,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2-히드록시에틸)아세트아마이드, 3-메톡시-N,N-디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 3-(2-에틸헥실옥시)-N,N-디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 3-부톡시-N,N-디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제 중에서 양자성 극성용제로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양자성 극성용제로서 바람직하게는 DMSO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성용제는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의 용해성을 고려하여, 극성용제 100 중량%에 대해서 양자성 극성용제를 50 중량%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양자성 극성용제는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내지 4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비양자성 극성용제의 함량은 세정되는 대상의 종류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는데, 단순한 이물의 제거를 목적으로 할 때에는 비양자성 극성용제는 첨가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고분자 제거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의 비양자성 극성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교 상태의 고분자의 스웰링 및 제거된 고분자의 용해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다만, 비양자성 극성용제의 함량이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5 중량%를 초과하면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의 활성을 저해하여, 용해도 저하로 인해 침전물 발생이 우려되며, 가격이 상승하고, 냄새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C) 부식방지제
본 발명의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은 부식 방지제(C)를 포함한다. 상기 부식 방지제는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알루미늄 및/또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막의 부식 방지 능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물 및 극성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뛰어나므로 기판 표면에 잔류하지 않는다.
상기 부식 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식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4 내지 C22의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R2는 수소, C1~C4의 지방족탄화수소, 하이드록시기 및 카르복시산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R1이 C4 미만의 지방족 탄화수소일 경우, 금속막의 부식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C22를 초과하는 지방족 탄화수소일 경우, 합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생성된 화합물의 세정제 용제에 대한 용해도가 저하되어 침전물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에서, 알킬기의 길이에 따른 부식 방지성 효과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금속표면과 결합하는 작용기는 벤조트리아졸 부분이며, 알킬기는 금속 표면에 벤조트리아졸이 부착되었을 때 금속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토토머(tautomers)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1 및 화학식 1-2의 화합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2 각각, 또는 혼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4
[화학식 1-2]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2에서, R1은 C4 내지 C22의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R2는 수소, C1~C4의 지방족탄화수소, 하이드록시기 및 카르복시산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부식 방지제의 일례로 하기 화학식 2 내지 6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3 또는 이의 토토머 화합물인 화학식 4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4]
Figure pat00008
[화학식 5]
Figure pat00009
[화학식 6]
Figure pat00010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식 방지제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세정 혹은 DI 린스 공정에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및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막에 발생하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금속막 표면의 흡착에 의한 2차 오염 및 박리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은 기타첨가제(D)로서 추가로, 산소제거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 가운데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소 제거제는 세정제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되어 금속의 부식방지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일례로는 에탄올 아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소제거제는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세정제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되어, 세정 대상 표면에 대한 젖음성을 향상시켜서, 세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는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비교예 :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제시된 성분을 정해진 조성비에 따라 혼합하여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
(B) 극성 용제 (C) 부식 방지제 (D) 기타 첨가제
종류 중량% 비양자성
극성용제
양자성
극성용제
종류 중량% 종류 중량%
종류 중량% 탈이온수
실시예 1 TMAH 0.4 DMSO 30 잔량 화학식 3 0.1 - -
실시예 2 TMAH 0.4 DMSO 30 잔량 화학식 3 0.05 - -
실시예 3 TMAH 0.4 DMSO 30 잔량 화학식 3 0.01 - -
실시예 4 TMAH 0.4 DMSO 30 잔량 화학식 3 0.1 - -
실시예 5 TMAH 0.4 DMSO 30 잔량 화학식 3 0.1 에탄올아민 0.1
실시예 6 TMAH 0.4 DMSO 30 잔량 화학식 3 0.1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0.5
비교예 1 TMAH 0.4 DMSO 30 잔량 - - - -
비교예 2 TMAH 0.4 DMSO 30 잔량 BTA 0.1 - -
비교예 3 TMAH 0.4 DMSO 30 잔량 ATZ 0.1 - -
주)
(A)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
TMAH: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B) 극성 용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C) 부식 방지제
[화학식 3]:
Figure pat00011
BTA: 벤조트리아졸
ATZ: 아미노테트라졸
(D) 기타 첨가제
산소(O2) 제거제: 에탄올아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 실험예 >
실험예 1: 세정제 조성물의 잔사 및 오염물 세정성 평가
(1)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세정제 조성물의 잔사 및 오염물 세정성을 평가하였다.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의 세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Cu 적층을 가지는 웨이퍼상에 실리콘오일, Al과 SUS(Stainless Steel) 파우더로 오염시킨 기판을, 50℃ 온도로 유지시킨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의 세정제 조성물에 5분 동안 침적시켰다. 이후 기판상에 잔류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거를 위해서 순수로 1분간 세정을 실시하였으며, 세정 후 기판 상에 잔류하는 순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를 이용하여 기판을 완전히 건조시켰다.
이후, 잔사 및 오염물의 세정 정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 Hitach S-4700)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잔사 및 오염물 세정성 평가]
◎: 잔사 및 오염물 100% 제거
○: 잔사 및 오염물 80%이상 제거
△: 잔사 및 오염물 80%미만 제거
×: 잔사 및 오염물 제거 안됨
(2)
세정제 조성물의 pH가 높을수록 잔사 및 불순물 등의 세정성이 향상된다는 점에 기반하여, 하이드록사이드로서 TMAH 0.4 중량%, 용제로서 DMSO 30 중량%, 탈이온수 잔량 및 상기 표 1의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과 각각 동일한 종류의 부식방지제 0.1 중량%를 포함하여 제조된 세정제 조성물의 pH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pH 변화 평가]
○: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서 pH가 증가됨.
△: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서 pH의 변화가 없음
×: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서 pH가 낮아짐.
실험예 2: 금속막 부식 방지성 평가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세정제 조성물의 금속막 부식 방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유리 기판 상에 박막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구리 2500Å두께로 형성된 유리 기판을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를 40℃로 유지하고 상기 구리가 형성된 유리 기판을 30분간 침적하여 세정하였다. 이후 DIW(탈이온수)를 이용해 30초간 린스(rinse) 후, 질소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잔류하는 세정제 조성물, DIW 등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상기 기판의 표면 산화 정도는 주사전자현미경(SEM, Hitach S-4700)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부식 방지성 평가 기준]
◎: 부식 미발생
○: 미약한 부식 발생
△: 심각한 부식 발생
×: 부식 후 식각 발생

세정성 부식 방지성
잔사 및 오염물
세정성
pH의 변화 Cu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6의 세정제 조성물은 잔사 및 오염물 제거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세정효과를 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금속막의 부식 방지성 평가에서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금속 부식 방지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3의 조성물은 첨가제 첨가 후 pH 증가가 없거나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세정성이 낮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으며, 잔사 및 오염물 세정성 평가에서도 우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부식 방지성 평가에서도 심각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A) 알칼리금속하이드록사이드 및 알킬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하이드록사이드 1종 이상, (B) 상기 하이드록사이드를 100중량부 당 1중량부 이상 용해시킬 수 있는 극성용제 및, (C)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식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4 내지 C22의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R2는 수소, C1~C4의 지방족탄화수소, 하이드록시기 및 카르복시산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하이드록사이드 0.1 내지 5 중량%;
    극성용제 70 중량% 이상; 및
    부식방지제 3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하이드록사이드는 LiOH, NaOH, KOH, RbOH 및 CsOH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알킬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MAH), 테트라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EAH),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PAH)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BA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산소제거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 가운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또는 화학식 1-2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pat00013

    [화학식 1-2]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2에서,
    R1은 C4 내지 C22의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R2는 수소, C1~C4의 지방족탄화수소, 하이드록시기 및 카르복시산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KR1020140123410A 2014-09-17 2014-09-17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KR20160032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10A KR20160032839A (ko) 2014-09-17 2014-09-17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10A KR20160032839A (ko) 2014-09-17 2014-09-17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839A true KR20160032839A (ko) 2016-03-25

Family

ID=5564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410A KR20160032839A (ko) 2014-09-17 2014-09-17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8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832B1 (ko) TiN 하드 마스크 및 에치 잔류물 제거
EP2098911B1 (en) Stripper for dry film removal and method using the same
US8030263B2 (en) Composition for stripping and cleaning and use thereof
EP1752829B1 (en) Polymer-stripp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a polymer
US20060003910A1 (en) Composition and method comprising same for removing residue from a substrate
KR100793590B1 (ko) 방향족 산 억제제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스트리핑/클리닝 조성물
KR101983202B1 (ko) 구리, 텅스텐, 및 다공성의 유전 상수 κ가 낮은 유전체들에 대한 양립성이 향상된 반수성 중합체 제거 조성물
KR101999641B1 (ko) 구리/아졸 중합체 억제를 갖는 마이크로일렉트로닉 기판 세정 조성물
KR101691850B1 (ko)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퍼 조성물
TWI417683B (zh) 用於微電子基板之穩定化,非水性清潔組合物
KR102392062B1 (ko)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120005374A (ko) 폴리이미드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KR101354419B1 (ko) 반도체 드라이 프로세스 후의 잔사 제거액 및 그것을 이용한 잔사 제거 방법
KR102265414B1 (ko)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KR20160032839A (ko)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KR102572751B1 (ko)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레지스트의 박리방법
KR20160033960A (ko)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KR20150075521A (ko)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160044852A (ko) 금속막용 세정제 조성물
KR100842072B1 (ko) 포토레지스트 제거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제거 방법
KR20160033023A (ko)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기판
KR20170028525A (ko) 세정액 조성물
KR20170006988A (ko)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200116443A (ko) 얼룩 발생 방지용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070019604A (ko) 중합체-스트리핑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