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624A -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624A
KR20160032624A KR1020140123011A KR20140123011A KR20160032624A KR 20160032624 A KR20160032624 A KR 20160032624A KR 1020140123011 A KR1020140123011 A KR 1020140123011A KR 20140123011 A KR20140123011 A KR 20140123011A KR 20160032624 A KR20160032624 A KR 2016003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ing
band
steel pipe
flange
bol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23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624A/ko
Publication of KR2016003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싱 용접 작업이 없어져 용접 결함의 염려가 없고, 브레이싱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강관 파일들의 관입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브레이싱 연결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는, 항타된 강관파일간을 상호 연결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와 내측 반경을 가지고 반원통형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제1밴드와; 상기 제1밴드와 동일한 길이와 내측 반경을 가지고 반원통형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제2밴드와;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를 체결하는 볼트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 또는 제2밴드 중 어느 하나에는 양쪽 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또는 접합되어져 볼트 체결공을 각기 갖는 밴드결합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평연결재 및 사보강재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볼트 체결공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볼트 체결공을 갖고 90도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가 구비되되, 2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를 갖는 경우 한 쪽 단부에는 볼트 체결공을 갖는 밴드결합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밴드결합용 플랜지들의 사이 그리고 밴드결합용 플랜지과 브레이싱용 플랜지의 사이에는 일정한 조임 여유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Brace attachment adapter and bracing reinforcement method of steel pipe pile u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지반에 관입된 이웃한 강관 파일간의 상부를 서로 브레이싱 보강하는데 적용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레이싱 용접 작업이 없어져 용접 결함의 염려가 없고, 브레이싱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강관 파일들의 관입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브레이싱 연결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파일은 안전하고 견고한 내력을 갖는 지반까지 항타할 수 있으므로 큰 지지력을 발휘하며, 수평방향의 힘에 강하고 휨 강도가 높아 수평하중을 받는 기초말뚝으로 적합하다. 또한 재료의 강도가 높아 강한 타격에도 견디므로 머리부와 선단부가 파손되지 않아 시공능률이 좋으며, 현장 이음이 쉽고 지반의 기복에 따라 자유롭게 길이조정이 가능하고, 상부구조물과의 결합이 쉽고 튼튼한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강관파일은 건물 등의 기초, 교량의 기초, 항만 하천 구조물의 기초 등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가설교량을 시공하는 경우 거더를 설치하기 위해 일정 위치마다 다수개의 강관파일로 가설벤트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관입된 강관파일들의 휨 강성을 높이기 위해 수평보강재와 사보강재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브레이싱 작업이 포함된다.
브레이싱 작업은 강관파일의 관입 후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데, 종래에는 수평보강재와 사보강재를 강관파일에 용접을 통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용접 결함이 발생되기 쉽고, 용접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강관파일의 관입 후에 이루어지는 브레이싱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용접에 대한 염려가 없는 기술적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고 공고번호 특1983-0002210호로서, "수중에 타설된 파일부재에 대한 브레이스부재의 조립공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복수개의 강관부재를 수중에 타설 연결하여 수중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중에 쌍을 이루는 복수개의 파일부재를 서로 대향하여 타설하고, 이들 파일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브레이스부재의 양단에 설치한 외관을 상기 파일부재에 삽입하여 그 외관과 파일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외관을 위치결정시켜 다음에 그 간격에 충전접합제를 장전하여 파일부재와 브레이스부재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배경기술은 부재간의 간극에 장전되는 충전접합제로서 팽창압력과 부착력을 가지는 팽창성 모르타르를 사용하고 이 팽창성 모르타르의 팽창압력과 부착력으로서 양부재를 접합하므로서 그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외측부재의 적어도 내측부재에 설치한 돌출물을 양부재의 간극에 돌출시키므로서 특별히 큰 부착력을 필요로 할 때라든가 특별히 높은 안전율을 필요로 할 경우에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충전접합제를 장전해야 하므로 충전접합제의 충전 과정이 필요하고, 양생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고, 수중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접합에 적당한 한계를 갖는다.
한국 공고 공고번호 특1983-0002210호(수중에 타설된 파일부재에 대한 브레이스부재의 조립공법)
본 발명은 브레이싱 용접 작업이 없어져 용접 결함의 염려가 없고, 브레이싱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강관 파일들의 관입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브레이싱 연결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는,
항타된 강관파일간을 상호 연결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와 내측 반경을 가지고 반원통형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제1밴드와;
상기 제1밴드와 동일한 길이와 내측 반경을 가지고 반원통형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제2밴드와;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를 체결하는 볼트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 또는 제2밴드 중 어느 하나에는 양쪽 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또는 접합되어져 볼트 체결공을 각기 갖는 밴드결합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평연결재 및 사보강재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볼트 체결공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볼트 체결공을 갖고 90도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가 구비되되, 2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를 갖는 경우 한 쪽 단부에는 볼트 체결공을 갖는 밴드결합용 플랜지가 구비되고, 밴드결합용 플랜지들의 사이 그리고 밴드결합용 플랜지과 브레이싱용 플랜지의 사이에는 일정한 조임 여유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싱용 플랜지는 이웃한 강관파일간의 상호 어긋난 편차 각도만큼 동일한 편차 각도로 해당 밴드에 구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싱용 플랜지에 이웃한 강관파일의 관입 위치의 편차 각도에 대응하여 그 편차 각도 만큼 절곡된 보조 브레이싱 연결판이 볼트 체결수단으로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관파일들의 각 상단에 설치되는 브레이싱용 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싱용 캡은 원주상으로 4개로 분할되어 상호 볼트 체결수단으로 90도 간격마다 접합되는 동일한 구조의 캡 분할체들로 구성되고;
상기 캡 분할체는,
각기 강관파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통판과;
상기 원통판의 양 측부에 반경방향으로 입설시킨 한 쌍의 접합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접합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통판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입설되어 수평연결재 체결공과 사보강재 체결공을 갖는 브레이싱용 접합판과;
상기 원통판의 상단에 수평적으로 배치 접합되고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접합플랜지와 브레이싱용 접합판의 상단에 접합되어 강관 파일의 상단에 일부가 돌출 걸침되는 H빔용 받침판과;
한 쌍의 접합플랜지와 브레이싱용 접합판의 사이에 각기 배치 접합되어 있는 수평 보강판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은,
지반의 지정된 정열 위치에 강관파일을 다수개 순차적으로 항타하여 일정 깊이로 관입시켜 놓는 단계와;
1차적으로 각 강관파일의 지상측 노출 부분의 하부로 외주면에 상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의 제1밴드와 제2밴드를 감싼 후 볼트 체결수단으로 상호 고정하여 해당 강관파일에 밀착되게 고정시켜 놓는 단계와;
2차적으로 각 강관파일의 지상측 노출 부분의 상부로 추가적으로 동일한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의 제1밴드와 제2밴드를 감싼 후 볼트 체결수단으로 상호 고정하여 해당 강관파일에 밀착되게 고정시켜 놓는 단계와;
수평연결재와 사보강재를 이웃한 강관파일의 노출측 상,하부에 설치된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에 구비된 브레이싱용 플랜지에 볼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관파일들 중 시작 열과 마지막 열에는 2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를 갖는 어댑터가 적용되고, 나머지의 열에는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를 갖는 어댑터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웃한 강관파일의 관입 위치의 편차 각도 발생시 브레이싱용 플랜지는 그 편차에 해당하는 편차 각도를 갖고 오정열에 관계없이 설치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웃한 강관파일의 관입 위치의 편차 각도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브레이싱용 플랜지에는 볼트 체결수단으로 착탈 결합되고 편차 각도 만큼 절곡된 보조 브레이싱 연결판 더 설치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2차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에 대체하여 청구항 제4항의 브레이싱용 캡을 상기 강관파일들의 각 상단에 설치하는 단계와;
수평연결재와 사보강재를 이웃한 강관파일의 노출측 하부에 설치된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에 구비된 브레이싱용 플랜지와 브레이싱용 캡측 브레이싱용 접합판에 볼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에 따르면,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적용하면 수평연결재와 사보강재의 용접 작업이 불필요해져 용접 결함에 대한 염려가 없어지고, 브레이싱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편차 각도를 갖는 브레이싱용 플랜지 또는 보조 브레이싱 연결판을 갖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적용하면 관입된 강관파일이 정위치를 벗어나더라도 용이하게 브레이싱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형태의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분해사시도.
도 1c는 도 1a의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가 볼트 체결수단으로 조립된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분해사시도.
도 2c는 도 2a의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가 볼트 체결수단으로 조립된 평면도.
도 3a는 강관 파일들의 관입상태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4는 도 3a의 강관 파일들에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가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도 4의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의 설치 후 브레이싱 상태도.
도 6은 도 5의 브레이싱 후 가설교량의 시공 후 사시도.
도 7은 강관파일의 관입 후 발생된 편차를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강관파일의 관입 후 발생된 편차를 또 다른 형태의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브레이싱용 캡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브레이싱용 캡의 분해사시도.
도 9c는 도 9a의 브레이싱용 캡을 브레이스로 적용한 강관 파일의 시공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브레이싱용 어댑터(10)는 항타된 강관파일(100와 100)들간의 상호 이웃한 것을 보강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보강 브레이싱용 어댑터(10)는 일정한 높이와 내측 반경(R1)을 가지고 반원통형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제1밴드(12)와, 제1밴드(12)와 동일한 길이와 내측 반경(R1)을 가지고 반원통형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제2밴드(14)와, 제1밴드(12)와 제2밴드(14)를 체결하는 볼트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제1밴드(12)와 제1밴드(12)의 높이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보강 브레이싱용 어댑터(10)가 도 4와 같이 하나의 강관 파일(100)의 상부구간에 상,하로 2개소에 설치되는 경우 본 실시 예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부측에 설치되는 보강 브레이싱용 어댑터(10)측 제1밴드(12)와 제1밴드(12)의 높이가 하부측에 설치되는 보강 브레이싱용 어댑터(10')측 제1밴드(12)와 제1밴드(12)의 높이 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볼트 체결수단은 볼트(B) 및 이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N)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밴드(12)와 제2밴드(14)에 복수 개소 이상 설치된다.
제1밴드(12) 또는 제2밴드(14) 중 어느 하나에는 양쪽 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또는 접합되어져 볼트(B)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 체결공(13a)을 각기 갖는 밴드결합용 플랜지(13,13)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도 5의 수평연결재(18) 및 사보강재(2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볼트 체결공(13a)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볼트 체결공(16a)을 갖고 90도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가 구비된다.
여기서 밴드결합용 플랜지(13,13)는 볼트 체결공(13a)을 각기 위한 폭을 갖지만, 브레이싱용 플랜지(16)는 볼트 체결공(16a)을 포함하여 수평연결재(18) 및 사보강재(20)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밴드결합용 플랜지(13,13)보다 상대적으로 더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 1c 및 도 2c와 같이 어댑터(10)를 설치하기 위해 제1밴드(12)와 제2밴드(14)가 강관 파일(1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 밴드결합용 플랜지(13과 17)들의 사이 그리고 밴드결합용 플랜지(13)과 브레이싱용 플랜지(16)의 사이에는 일정한 조임 여유틈새(G)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1과 같이 2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 경우 한 쪽 단부에는 동일한 볼트 체결공(16a)을 갖는 밴드결합용 플랜지(17)가 구비된다.
예로,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지반의 1개소에 2행 3열로 총 6개의 강관파일(100)들이 관입되어 있는 경우, 최외측 열 즉, 좌측의 시작열쪽에 설치된 어댑터(10)의 제1밴드(12)에는 밴드결합용 플랜지(13,13)가 구비되고, 제2밴드(14)에는 2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다. 그리고 나머지 열 즉, 2열, 3열쪽에 설치된 어댑터(10)의 제1밴드(12)에는 밴드결합용 플랜지(13,13)가 구비되고, 제2밴드(14)에는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다.
이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강관파일(100)들 중 시작 열과 마지막 열에는 2개의 밴드결합용 플랜지(13,13)를 갖는 어댑터가 적용될 수 있고, 나머지의 열에는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 어댑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작 열과 마지막 열에도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 어댑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어댑터(10)는 도 7과 같이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의 관입 위치의 오차에 따른 편차 각도(θ)가 발생하더라도 수평연결재(18) 및 사보강재(2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2밴드(14)에 구비된 브레이싱용 플랜지(16)는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간의 상호 어긋난 편차 각도(θ)만큼 동일한 편차 각도(θ)를 갖고 절곡되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브레이싱용 플랜지(16)는 제2밴드(14)에 설치되어져 편차 각도(θ)를 갖고 있으나 제1밴드(12)에 브레이싱용 플랜지가 구비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어댑터(10)는 도 8과 같이 브레이싱용 플랜지(16)에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의 관입 위치의 편차 각도(θ)에 대응하여 그 편차 각도(θ) 만큼 절곡된 보조 브레이싱 연결판(171)이 상기와 동일한 볼트 체결수단(B,N)으로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6b'는 '수평연결재 체결공'이고, '16c'는 '사보강재 체결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를 이용한 강관 파일(100)들의 브레이스 보강 방법을 가설교량의 시공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술한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설치 위치를 달리하는 상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와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를 구비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지반(1)의 지정된 설치 개소의 정열 위치에 강관파일(100)을 다수개 순차적으로 항타하여 일정 깊이로 관입시켜 놓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1개소에 모두 6개의 강관파일(100)이 관입되어 정열되어 있다.
그 다음, 도 4와 같이 1차적으로 각 강관파일(100)의 지상측 노출 부분의 상부로 외주면에 상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의 제1밴드(12)와 제2밴드(14)를 감싼 후 볼트 체결수단(B,N)으로 상호 고정하여 해당 강관파일(100)에 밀착되게 고정시켜 놓는다.
이후, 2차적으로 각 강관파일(100)의 지상측 노출 부분의 하부로 추가적으로 동일한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의 제1밴드(12)와 제2밴드(14)를 감싼 후 볼트 체결수단으로 상호 고정하여 해당 강관파일(100)에 밀착되게 고정시켜 놓는다.
여기서 상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와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b)의 순서를 바꾸어 설치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5와 같이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를 상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와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에 각기 구비된 제1밴드(12) 또는 제2밴드(14)에 구비된 브레이싱용 플랜지(16)에 볼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이때 수평연결재(18)를 선 설치한 후 사보강재(20)를 후 설치하거나 이의 반대의 순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이들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를 하나씩 교대로 설치해가면서 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강관파일(100)들 중 시작 열과 마지막 열에는 도 3b와 같이 2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가 적용될 수 있고, 나머지의 열에는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의 관입 위치의 편차 각도 발생시 브레이싱용 플랜지(16)는 그 편차에 해당하는 편차 각도(θ)를 갖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적용하면, 강관 파일(100)들의 오정열에 관계없이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의 설치로 브레이싱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의 관입 위치의 편차 각도 발생시 도 8과 같이 브레이싱용 플랜지(16)에 편차 각도 만큼 절곡되어 볼트 체결수단(B,N)으로 체결된 보조 브레이싱 연결판(171)을 통하여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의 브레이싱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같이 하여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의 브레이싱 보강이 완료되면, 도 6과 같이 각 일군측 강관파일(100)들의 상단에 H빔(110)을 2열로 정착시켜 놓고, H빔의 상면에 복수개 이상의 거더(120)들을 배치한 후 거더(120)의 상면에 복공판(130)을 설치하여 가설교량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적용하면 종래와 같이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의 용접 작업이 불필요해져 용접 결함에 대한 염려가 없어지고, 브레이싱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편차 각도(θ)를 갖는 브레이싱용 플랜지(16) 또는 보조 브레이싱 연결판(171)을 갖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적용하면 관입된 강관파일이 정위치를 벗어나더라도 용이하게 브레이싱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9a 내지 도 9c와 같이 강관파일(100)들의 각 상단에 설치되는 브레이싱용 캡(30)과 상기한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를 통하여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를 볼트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브레이싱용 캡(30)은 원주상으로 4개로 분할되어 상호 볼트 체결수단으로 90도 간격마다 접합되는 동일한 구조의 캡 분할체(30a)들로 구성된다.
캡 분할체(30a)는, 각기 강관파일(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통판(301)과, 원통판(301)의 양 측부에 반경방향으로 입설시킨 한 쌍의 접합플랜지(302,302)와, 한 쌍의 접합플랜지(302,302)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통판(301)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입설되어 수평연결재 체결공(303a)와 사보강재 체결공(303b)을 갖는 브레이싱용 접합판(303)과, 원통판(301)의 상단에 수평적으로 배치 접합되고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접합플랜지(302,302)와 브레이싱용 접합판(303)의 상단에 접합되어 강관 파일(100)의 상단에 일부가 돌출 걸침되는 H빔용 받침판(304)과, 한 쌍의 접합플랜지(302,302)와 브레이싱용 접합판(303)의 사이에 각기 배치 접합되어 있는 수평 보강판(305)들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보강판(305)들은 서로 다른 높이로 원통판(301)의 중간부와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배치 위치나 설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강관 파일의 보강 방법에 있어, 2차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에 대체하여 도 9b와 같이 브레이싱용 캡(30)을 상기 강관파일(100)들의 각 상단에 설치한 후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를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의 노출측 하부에 설치된 제1밴드(12) 또는 제2밴드(14)에 구비된 브레이싱용 플랜지(16)와 브레이싱용 캡(30)측 브레이싱용 접합판(303)에 볼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때 수평연결재(18)를 선 설치한 후 사보강재(20)를 후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이 하여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의 브레이싱 보강이 도9c와 같이완료되면, 도6과 같이 각 일군측 강관파일(100)들의 상단측 브레이싱용 캡(30)의 상면에 H빔(110)을 2열로 정착시켜 놓고, H빔의 상면에 복수개 이상의 거더(120)들을 배치한 후 거더(120)의 상면에 복공판(130)을 설치하여 가설교량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제1밴드
13,17: 밴드결합용 플랜지
14: 제2밴드
16: 브레이싱용 플랜지
18: 수평연결재
20: 사보강재

Claims (9)

  1. 항타된 강관파일(100와 100)간을 상호 연결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와 내측 반경(R1)을 가지고 반원통형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제1밴드(12)와;
    상기 제1밴드(12)와 동일한 길이와 내측 반경(R1)을 가지고 반원통형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제2밴드(14)와;
    상기 제1밴드(12)와 제2밴드(14)를 체결하는 볼트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12) 또는 제2밴드(14) 중 어느 하나에는 양쪽 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또는 접합되어져 볼트 체결공(13a)을 각기 갖는 밴드결합용 플랜지(13,13)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평연결재(18) 및 사보강재(2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볼트 체결공(13a)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볼트 체결공(16a)을 갖고 90도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가 구비되되, 2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 경우 한 쪽 단부에는 볼트 체결공(16a)을 갖는 밴드결합용 플랜지(17)가 구비되고, 밴드결합용 플랜지(13과 17)들의 사이 그리고 밴드결합용 플랜지(13)과 브레이싱용 플랜지(16)의 사이에는 일정한 조임 여유틈새(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용 플랜지(16)는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간의 상호 어긋난 편차 각도(θ)만큼 동일한 편차 각도로 해당 밴드(12 또는 14)에 구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용 플랜지(16)에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의 관입 위치의 편차 각도(θ)에 대응하여 그 편차 각도 만큼 절곡된 보조 브레이싱 연결판(171)이 볼트 체결수단으로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100)들의 각 상단에 설치되는 브레이싱용 캡(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싱용 캡(30)은 원주상으로 4개로 분할되어 상호 볼트 체결수단으로 90도 간격마다 접합되는 동일한 구조의 캡 분할체(30a)들로 구성되고;
    상기 캡 분할체(30a)는,
    각기 강관파일(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통판(301)과;
    상기 원통판(301)의 양 측부에 반경방향으로 입설시킨 한 쌍의 접합플랜지(302,302)와;
    상기 한 쌍의 접합플랜지(302,302)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통판(301)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입설되어 수평연결재 체결공(303a)와 사보강재 체결공(303b)을 갖는 브레이싱용 접합판(303)과;
    상기 원통판(301)의 상단에 수평적으로 배치 접합되고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접합플랜지(302,302)와 브레이싱용 접합판(303)의 상단에 접합되어 강관 파일(100)의 상단에 일부가 돌출 걸침되는 H빔용 받침판(304)과;
    한 쌍의 접합플랜지(302,302)와 브레이싱용 접합판(303)의 사이에 각기 배치 접합되어 있는 수평 보강판(305)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5. 지반(1)의 지정된 정열 위치에 강관파일(100)을 다수개 순차적으로 항타하여 일정 깊이로 관입시켜 놓는 단계와;
    1차적으로 각 강관파일(100)의 지상측 노출 부분의 하부로 외주면에 상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의 제1밴드(12)와 제2밴드(14)를 감싼 후 볼트 체결수단으로 상호 고정하여 해당 강관파일(100)에 밀착되게 고정시켜 놓는 단계와;
    2차적으로 각 강관파일(100)의 지상측 노출 부분의 상부로 추가적으로 동일한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의 제1밴드(12)와 제2밴드(14)를 감싼 후 볼트 체결수단으로 상호 고정하여 해당 강관파일(100)에 밀착되게 고정시켜 놓는 단계와;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를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의 노출측 상,하부에 설치된 제1밴드(12) 또는 제2밴드(14)에 구비된 브레이싱용 플랜지(16)에 볼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100)들 중 시작 열과 마지막 열에는 2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 어댑터가 적용되고, 나머지의 열에는 3개의 브레이싱용 플랜지(16)를 갖는 어댑터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이웃한 강관파일의 관입 위치의 편차 각도 발생시 브레이싱용 플랜지(16)는 그 편차에 해당하는 편차 각도를 갖고 오정열에 관계없이 설치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의 관입 위치의 편차 각도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브레이싱용 플랜지(16)에는 볼트 체결수단으로 착탈 결합되고 편차 각도 만큼 절곡된 보조 브레이싱 연결판(171)이 더 설치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2차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10')에 대체하여 청구항 제4항의 브레이싱용 캡(30)을 상기 강관파일(100)들의 각 상단에 설치하는 단계와;
    수평연결재(18)와 사보강재(20)를 이웃한 강관파일(100과 100)의 노출측 하부에 설치된 제1밴드(12) 또는 제2밴드(14)에 구비된 브레이싱용 플랜지(16)와 브레이싱용 캡(30)측 브레이싱용 접합판(303)에 볼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KR1020140123011A 2014-09-16 2014-09-16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KR20160032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011A KR20160032624A (ko) 2014-09-16 2014-09-16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011A KR20160032624A (ko) 2014-09-16 2014-09-16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624A true KR20160032624A (ko) 2016-03-24

Family

ID=5565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011A KR20160032624A (ko) 2014-09-16 2014-09-16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6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98A1 (ko) * 2016-11-28 2018-05-31 유구이앤씨(주) 크로스바를 포함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98A1 (ko) * 2016-11-28 2018-05-31 유구이앤씨(주) 크로스바를 포함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736B1 (ko)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 및 접합장치
KR101076581B1 (ko) 중공형 콘크리트 충전 이중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KR20130061536A (ko)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KR101299023B1 (ko) 다이아프램을 매개로 하여 각형강관의 이음위치와 철골보의 상부레벨을 서로 일치시키는 접합구조
KR101322020B1 (ko) 마찰접합형 강관 버팀보용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JP5661011B2 (ja) 橋梁用上部工の製造方法、橋梁及び橋梁用上部工
JP2007297861A (ja) 橋脚と杭との接合部構造
KR20160032624A (ko) 브레이스 부착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의 브레이싱 보강 방법
JP6893799B2 (ja) 切梁火打接続構造および切梁火打接続ピース
JP4386804B2 (ja) 既設鉄塔の耐震補強構造
JP5607384B2 (ja) 柱梁接合箇所の施工方法
KR20170001167A (ko) 스틸튜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버팀보
KR102171986B1 (ko) 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버팀보 어셈블리
JP6567368B2 (ja)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0829156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
KR102169828B1 (ko) 변위관리형 기둥 접합부
KR20080057020A (ko) 강관 버팀보 연결 구조
KR100946576B1 (ko) 트러스 구조의 강관 분기이음 구조
JP7219529B2 (ja) 鋼材の組合せ構造体,山留支保工構造,及び構築方法
JP6893789B2 (ja) 切梁火打接続構造および切梁火打接続ピース
JP3896179B2 (ja) 鋼材の接合構造
JPH08144368A (ja) エンドプレート形式鉄骨構造体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接合方法
JP671994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鉄骨梁接合構造
JP3637244B2 (ja) 貯槽屋根の構築工法
JP2015021309A (ja) 柱状構造物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