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497A - 수도미터기 보호통 - Google Patents

수도미터기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497A
KR20160032497A KR1020140122706A KR20140122706A KR20160032497A KR 20160032497 A KR20160032497 A KR 20160032497A KR 1020140122706 A KR1020140122706 A KR 1020140122706A KR 20140122706 A KR20140122706 A KR 20140122706A KR 20160032497 A KR20160032497 A KR 2016003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insulation body
accommodation space
hole
heat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074B1 (ko
Inventor
엄영호
Original Assignee
엄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호 filed Critical 엄영호
Priority to KR102014012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0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있어서, 수도미터기 및 개폐밸브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형태로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제1수용공간의 전·후·좌·우 내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제1걸림부가 형성되는 보호몸체; 상기 보호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보호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 상기 보호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형태로 내부의 하부측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단부측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내측 제1단턱부가 형성되고, 제1단턱부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제2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상부통공이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제2수용공간의 바닥부 상에 수도의 유입관 및 유출관이 제2수용공간에 삽입 수용되도록 하부통공이 제2수용공간의 바닥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양 하부통공끼리 연통되도록 진입통로가 형성되며, 전·후·좌·우 외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보호몸체의 제1걸림부와 상호 대응되는 다수의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보온몸체; 상기 보온몸체의 제1단턱부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도록 상부측에 제2단턱부가 형성되고, 제2단턱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보온몸체의 상부통공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는 상부마개; 상기 보온몸체의 하부측 진입통로에 밀착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도미터기 보호통{Water meter protect case}
본 발명은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보온몸체가 일체로 제작되어 밀폐성이 우수하여 외부로부터 찬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보온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상·하부몸체로 나누어진 보온몸체보다 수명이 길며, 계량기 교체시 보온몸체의 하부측이 파손되지 않고 교체할 수 있어 파손에 의해 보온몸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교체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검침시 외부로 노출되는 보온몸체가 바람에 의해 쉽게 분실 또는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보호몸체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보온몸체가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수도미터기 보호통 내부에 물이 스며들어도 보온몸체가 상승하지 못함으로 보온몸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 및 분실되지 않게 미연에 방지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미터기 보호통은 수도미터기를 동파로부터 보호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삽설하는 내부통과 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3141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함체 내에는 단열재를 수납하고, 상부에는 덮개판이 씌워지며 저부에는 한쌍의 돌출관을 구비하여 흡입되고 송출되는 수도관을 보호하는 지지관을 결합하여 구성되는“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수도관을 보호하는 지지관의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단열재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가 분리 형성되고 그 전체 두께가 일정하게 얇게 형성되어 있어 사이틈 및 몸체를 관통하여 외부 냉기가 침투하기 쉽고 보온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상·하부몸체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가 분리 형성된 단열재는 수도 및 계량기 시공 또는 교체시 쉽게 파손되며, 계량기를 검침시 외부로 노출되는 단열재의 상부몸체가 바람에 의해 쉽게 날아가 분실 또는 파손되고, 11월과 12월에 계량기의 교체가 많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쉽게 파손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가 분리 형성된 단열재 또한 교체해야 함으로 교체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내 수용공간이 넓어 가장 중요한 보온력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미터기 보호통은 장마기에 우수가 함체 내로 유입되어 물이 차게 되면 함체 내 단열재는 유입된 물의 부력으로 인하여 상승되면서 덮개판까지 함께 외부로 노출되게 상승하여 덮개판 및 단열재는 물에 떠내려가 분실되거나 물체에 부딪혀 파손됨은 물론, 외부의 토사나 자갈이 수도미터기 보호통 함체 내로 유입되어 수도미터기가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3141호 (2005.08.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보온몸체가 일체로 제작되어 밀폐성이 우수하여 외부로부터 찬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보온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상·하부몸체로 나누어진 보온몸체보다 수명이 길며, 계량기 교체시 보온몸체의 하부측이 파손되지 않고 교체할 수 있어 파손에 의해 보온몸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교체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검침시 외부로 노출되는 보온몸체가 바람에 의해 쉽게 분실 또는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보호몸체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보온몸체가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수도미터기 보호통 내부에 물이 스며들어도 보온몸체가 상승하지 못함으로 보온몸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 및 분실되지 않게 미연에 방지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있어서, 수도미터기 및 개폐밸브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형태로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제1수용공간의 전·후·좌·우 내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제1걸림부가 형성되는 보호몸체; 상기 보호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보호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 상기 보호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형태로 내부의 하부측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단부측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내측 제1단턱부가 형성되고, 제1단턱부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제2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상부통공이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제2수용공간의 바닥부 상에 수도의 유입관 및 유출관이 제2수용공간에 삽입 수용되도록 하부통공이 제2수용공간의 바닥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양 하부통공끼리 연통되도록 진입통로가 형성되며, 전·후·좌·우 외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보호몸체의 제1걸림부와 상호 대응되는 다수의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보온몸체; 상기 보온몸체의 제1단턱부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도록 상부측에 제2단턱부가 형성되고, 제2단턱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보온몸체의 상부통공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는 상부마개; 상기 보온몸체의 하부측 진입통로에 밀착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도미터기 보호통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은 상부마개를 제외한 보온몸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밀폐성이 우수하여 외부로부터 찬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보온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상·하부몸체로 나누어진 보온몸체보다 수명이 길며, 계량기 교체시 보온몸체의 하부측이 파손되지 않고 교체할 수 있어 파손에 의해 보온몸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교체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검침시 보온몸체가 바람에 의해 쉽게 분실 또는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냉기가 주로 스며드는 보온몸체의 상부측 두께를 전체 두께의 1/2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하여 제2수용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온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보호몸체 내측면과 보온몸체의 외측면 각각에 서로 대응되어 걸림되는 다수의 걸림부를 형성하여 수도미터기 보호통 내부에 물이 스며들어도 보온몸체가 상승하지 못함으로 보온몸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 및 분실되지 않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효과들로 인해 사용수명이 길고 제작시 원가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온몸체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온몸체의 바닥부 일부 절단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은 보호몸체(10), 덮개(20), 보온몸체(30), 상부마개(40) 및 하부마개(50)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몸체(10)는 수도미터기(4) 및 개폐밸브(7)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형태로 내부에 제1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제1수용공간(11)의 전·후·좌·우 내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제1걸림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20)는 보호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보호몸체(1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호몸체(10) 및 덮개(20)는 제조가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온몸체(30)는 보호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형태로 하부측에 제2수용공간(31)이 형성된다. 또한 지상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기가 수도미터기(4) 부근에 접근하기 힘들도록 보온몸체(30)의 높이방향 상부측 두께를 보온몸체(30) 전체 높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형성하여 제2수용공간(31)이 보온몸체(30)의 높이방향 중심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가능한 수용공간(31)을 최소로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공간(31)의 상부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상부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통공(33)은 통상 보온몸체(30)의 상부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부통공(33)을 통해 수도미터기(4)를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개폐밸브(7)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부통공(33)은 보온몸체(3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그 길이는 보온몸체(30) 전체 높이의 1/2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부통공(33)에는 후술되는 상부마개(40)가 밀착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부에 내측 제1단턱부(32)가 형성되어지는데, 이때 보온효과를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2단 이상으로 제1단턱부(3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수용공간(31)의 하부측 바닥부로는 수도미터기(4) 및 이에 연결된 유입관(6a), 유출관(6b) 및 개폐밸브(7)가 삽입되어져야 하는데, 이때 수도의 유입관(6a) 및 유출관(6b) 부분이 관통되어지는 수용공간(31)의 바닥부 양측에 하부통공(34)이 각각 형성되며, 유입관(6a) 및 유출관(6b) 사이에 연결 설치된 수도미터기(4) 및 양측 배관부분이 관통되어지도록 양 하부통공(34)에 연통되는 진입통로(35)가 형성된다.
상기 진입통로(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 양측 선단면이 상부측으로 갈수록 내측 경사진 경사부(39)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수도미터기(4) 및 이에 연결된 부속재의 삽입시 안내 용이하도록 하고, 후술되는 하부마개(50)가 경사부(39)에 밀착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경사부(39)가 형성됨으로써 하부마개(50)가 경사부(39)에 안착되어 그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입통로(35)의 내측부 양측 선단면에 경사부(39)를 형성하지 않고 수직부(미도시됨)를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몸체(30)의 전·후·좌·우 외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보호몸체(10)의 제1걸림부(12)와 상호 대응되는 다수의 제2걸림부(36)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몸체(30)의 상부통공(33)에 밀착 삽입되는 상부마개(40)가 구비된다. 상부마개(40)는 보온몸체(30)의 제1단턱부(32)에 대응되도록 그 상부에 적어도 2단 이상의 제2단턱부(42)가 형성되며, 제2단턱부(42)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면에 손잡이부(4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마개(40)의 손잡이부(46)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돌부 또는 홈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손잡이구(미도시됨)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보온몸체(30)에 삽입되는 상부마개(40)의 바닥면은 상부통공(33)의 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부통공(3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보온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나, 상부통공(33)의 하단부에 돌출되어지거나 상부통공(33)의 하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어져도 무방하다. 하지만 돌출되게 형성될 경우 상부마개(30)의 바닥부가 잦은 개폐로 인해 닳거나 해질 우려가 생기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부마개(40)가 삽입되는 상부통공(33)을 두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그 일예로 상부통공(33)을 보온몸체(30) 상부측 상의 중앙부 및 그 중앙부의 일측부에 두개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중앙부 상부통공(33a)은 저부측 직경이 수도미터기(4)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게 하여 그 하부측에 수도미터기(4)가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앙부 상부통공(33a)은 수도미터기(4)의 관찰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도미터기(4)의 표시부만 보일 정도의 크기면 만족하나, 통상은 수도미터기(4)의 외경 크기만큼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부 상부통공(33a)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부 상부통공(33b)은 중앙부 상부통공(33a)에 상응되는, 즉 비슷한 크기로 형성되며, 측부 상부통공(33b) 하부측에 개폐밸브(7)가 위치되도록 하여 그 측부 상부통공(33b)으로 사용자가 손을 넣어 개폐밸브(7)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온몸체(30)의 하부측에는 하부마개(5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마개(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몸체(30)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양 하부통공(34)을 제외한 진입통로(35)에 밀착 삽입되도록 분리 구성되어 지면하부로부터의 제2수용공간(31) 내 단열 및 보온을 위해 그 바닥부를 막도록 구성된다.
이때 보온몸체(30)의 진입통로(35)의 양측 선단면에 경사부(39)가 형성될 경우 하부마개(50)의 길이방향 양측 선단면 역시 상기 경사부(39)에 대응되어 밀착될 수 있는 경사부(51)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온몸체(30), 상부마개(40) 및 하부마개(50)는 보온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주로 스티로폼과 같은 보온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몸체(1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보온몸체(30)는 보호몸체(10)의 제1수용공간(11)의 전·후·좌·우 내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걸림부(12)와 보온몸체(30)의 전·후·좌·우 외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걸림부(36)로 인해 걸림 고정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몸체(10)의 제1걸림부(12)는 보호몸체(10)의 내측면에“
Figure pat00001
”형태로 형성되며, 보온몸체(30)의 제2걸림부(36)는 보호몸체(10)의 제1걸림부(12)와 상호 대응되어 걸림되도록 보온몸체(30)의 외측면에“
Figure pat00002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36)의 경사면으로 인해 보온몸체(30)는 보호몸체(10) 내측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36)의 수평면으로 인해 보온몸체(30)가 보호몸체(10) 내측 상부방향으로 이동시 걸림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36)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돌부 또는 홈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36)의 걸림 고정되는 효과가 증가 되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몸체(10)의 내측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걸림부(12)는 제1수용공간(11)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보온몸체(30)의 외측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걸림부(36)는 보온몸체(3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몸체(10)의 제1걸림부(12)와 보온몸체(30)의 제2걸림부(36)로 인해 수도미터기 보호통 내부에 물이 스며들어도 보온몸체(30)가 상승하지 못함으로 보온몸체(30) 및 보온몸체(30)와 함께 상승하는 덮개(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 및 분실되지 않게 된다.
10 : 보호몸체 20 : 덮개
30 : 보온몸체 40 : 상부마개
50 : 하부마개

Claims (5)

  1.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있어서,
    수도미터기(4) 및 개폐밸브(7)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형태로 내부에 제1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제1수용공간(11)의 전·후·좌·우 내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제1걸림부(12)가 형성되는 보호몸체(10);
    상기 보호몸체(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보호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20);
    상기 보호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형태로 내부의 하부측에 제2수용공간(31)이 형성되며, 상단부측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내측 제1단턱부(32)가 형성되고, 내측 제1단턱부(32)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제2수용공간(31)에 연통되는 상부통공(33)이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제2수용공간(31)의 바닥부 상에 수도의 유입관(6a) 및 유출관(6b)이 제2수용공간(31)에 삽입 수용되도록 하부통공(34)이 제2수용공간(31)의 바닥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양 하부통공(34)끼리 연통되도록 진입통로(35)가 형성되며, 전·후·좌·우 외측면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보호몸체(10)의 제1걸림부(12)와 상호 대응되는 다수의 제2걸림부(36)가 형성되는 보온몸체(30);
    상기 보온몸체(30)의 제1단턱부(32)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도록 상부측에 제2단턱부(42)가 형성되고, 제2단턱부(42)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보온몸체(30)의 상부통공(33)에 대응되게 밀착 삽입되는 상부마개(40);
    상기 보온몸체(30)의 하부측 진입통로(35)에 밀착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마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몸체(30)의 진입통로(35)는 내측부 양측 선단면이 상부측으로 갈수록 내측 경사진 경사부(39)가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몸체(30)의 상부통공(33)은 중앙부 및 중앙부의 일측부에 두개로 형성되어지되, 중앙부 상부통공(33a)은 저부측 직경이 수도미터기(5)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그 하부측에 수도미터기(5)가 위치되게 하며, 중앙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측부 상부통공(33b)은 상기 중앙부 상부통공(33a)과 상응되는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그 하부측에 개폐밸브(7)가 위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몸체(10)의 제1걸림부(12)는 보호몸체(10)의 내측면에“
    Figure pat00003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온몸체(30)의 제2걸림부(36)는 보호몸체(10)의 제1걸림부(12)와 상호 대응되어 걸림되도록 보온몸체(30)의 외측면에“
    Figure pat00004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몸체(10)의 내측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걸림부(12)는 제1수용공간(11)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보온몸체(30)의 외측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걸림부(36)는 보온몸체(3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20140122706A 2014-09-16 2014-09-16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161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706A KR101611074B1 (ko) 2014-09-16 2014-09-16 수도미터기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706A KR101611074B1 (ko) 2014-09-16 2014-09-16 수도미터기 보호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97A true KR20160032497A (ko) 2016-03-24
KR101611074B1 KR101611074B1 (ko) 2016-04-08

Family

ID=5565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706A KR101611074B1 (ko) 2014-09-16 2014-09-16 수도미터기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355Y1 (ko) * 2017-03-21 2017-12-27 주식회사 태양케미칼 고정용 돌기부를 포함하는 계량기 단열 부재
KR20180001443U (ko) * 2016-11-04 2018-05-14 한민흠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679B1 (ko) * 2011-09-23 2012-10-29 한국수자원공사 수도미터기 보호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43U (ko) * 2016-11-04 2018-05-14 한민흠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485355Y1 (ko) * 2017-03-21 2017-12-27 주식회사 태양케미칼 고정용 돌기부를 포함하는 계량기 단열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074B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074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1397315B1 (ko) 지상형 보온 보호통
KR100788885B1 (ko)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용 보온커버
ES2303759B1 (es) Disposicion de reguladores en el aislamiento termico de modulos de griferias.
KR200486818Y1 (ko)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2083367B1 (ko) 수도 계량기 보온재
KR102292942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20120084836A (ko) 수도미터기 동파 방지 보온 카버
KR102075865B1 (ko) 수도 미터기 보호함
KR20110013081A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하부 보온재의 내삽용 보온재
KR20180047260A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KR102276999B1 (ko) 수도계량기 보호 케이스
KR101188809B1 (ko) 냉,온수 분배기
KR200468830Y1 (ko) 동파방지용 보온재
KR200387638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KR101764073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20120008951U (ko) 수도계량기용 보호기
US20140001171A1 (en) Heater for reptile breeding
KR200186902Y1 (ko) 계량기 보호커버
KR20060110527A (ko) 수도계량기용 보호커버
JP6125346B2 (ja) 温水コンセント
KR101568929B1 (ko)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1261190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구조
KR101458385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수납되는 보온덮개 고정구조
KR102228794B1 (ko) 수도미터기 보호함의 오수배출용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