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43U -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 Google Patents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43U
KR20180001443U KR2020160006469U KR20160006469U KR20180001443U KR 20180001443 U KR20180001443 U KR 20180001443U KR 2020160006469 U KR2020160006469 U KR 2020160006469U KR 20160006469 U KR20160006469 U KR 20160006469U KR 20180001443 U KR20180001443 U KR 201800014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case
case
water me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818Y1 (ko
Inventor
한민흠
Original Assignee
한민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흠 filed Critical 한민흠
Priority to KR2020160006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1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원은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외벽케이스와 내벽케이스으로 구분하여 이중 벽을 갖는 보호통을 제작하여 공급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수도계량기 및 배관파이프를 보호함과 동시에 동절기 한파에서도 외벽케이스와 내벽케이스 사이의 간극부로 지열이 스며들어 효과적인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제공하는 수도 계량기 보호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은 지하에 매설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구조가 외벽케이스와 상기 외벽케이스 안쪽으로 내삽되는 내벽케이스로 구분되는 이중벽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외벽케이스는 상부로 보호통 뚜껑이 덮여 끼워지고 하부로는 배관파이프의 위치에 맞게 배관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배관 가이드부는 외벽케이스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벽케이스는 내부로 수도계량기와 보온재가 내장되고 하부로는 배관파이프의 위치에 맞게 배관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벽케이스의 하단면을 관통하는 상광하협 형상의 우수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적용되는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Protection box of water meter having double walls}
본 발명은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 계량기 보호통을 외벽케이스와 내벽케이스로 구분하여 각각 제작하고, 상기 외벽케이스와 내벽케이스가 서로 맞물려 이중벽 구조를 이루어서 보온 효과를 높인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수도계량기는 주택이나 빌딩과 같은 건물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사용량을 측정하는 기구로 주로 지하에 매설되는데, 외부의 충격이나 혹한기의 동파로부터 수도 계량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통이 수도 계량기를 감싸고 같이 매설된다.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내부로는 수도계량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온재가 채워지고 하변에는 수도관으로부터 수도계량기로 인입 및 인출되는 배관파이프가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제공된다.
그런데 매설 후 시간이 지나면서 보호통 내부로 우수(雨水)가 들어차거나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의 충격, 주위 토양의 압력 등으로 보호통의 내구력이 약해지거나 금이 가게 되고, 결국 동절기 한파 때 보호통이 깨져 수도관의 동파가 일어나 수도계량기의 고장이나 주택이나 빌딩에 수도를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겨울의 통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0513311호에서는, 몸체의 상부에 속뚜껑이 설치된 보호통과, 상기 보호통의 하부에 연결된 입수유도관과 출수유도관과, 상기 입수유도관과 출수유도관으로 지열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부에 하나 이상의 포집관통관을 형성하고 하부에 다수 개의 포집파이프를 형성하여 입수유도관 및 출수유도관의 하부에 착탈되는 지열포집판을 구비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에서, 상기 포집관통관 및 입/출수 유도관과 관통되는 바닥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관통공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지열포집측공을 형성한 바닥판이 상기 지열포집판의 상부에 끼움방식으로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지열포집판을 통해 보온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상기 지열포집판을 통해 매설 시 적은 양의 흙이 보호통의 하부에 위치하여 되메우기가 힘들고, 수도관의 방향에 따라 임의로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원에서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제작함에 있어서,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외벽케이스와 내벽케이스으로 구분하여 이중 벽을 갖는 보호통을 제작하여 공급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수도계량기 및 배관파이프를 보호함과 동시에 동절기 한파에서도 외벽케이스와 내벽케이스 사이의 간극부로 지열이 스며들어 효과적인 보온 및 단열 효과를 제공하는 수도 계량기 보호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수도계량기 및 개폐밸브, 보온재 등이 내부에 설치되는 내벽 케이스와, 상기 내벽 케이스의 외면을 내부로 감싸는 외벽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내벽케이스와 외벽케이스가 서로 맞물려 이중벽을 이룰 때 수도 배관파이프가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내벽케이스와 외벽케이스의 하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상기 외벽케이스는 외부의 충격에 강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벽케이스는 단열 효과가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우수가 내부로 들어왔을 때 내벽케이스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내벽케이스 최하단부에 우수공이 뚫린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벽케이스의 외면이나 외벽케이스의 내면 또는 양쪽 모두에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내벽케이스와 외벽케이스 사이에 간격부를 형성하고 간극부로 지열이 스며들어 효과적인 보온 및 단열 효과를 높이고 외부 충격을 더욱 잘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본원의 기술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는 하기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외벽케이스와 내벽케이스로 구성되어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지진과 같은 외부의 강한 충격이 전달되어도 외벽케이스에서 내벽케이스로 충격이 전달되는 와중에 운동에너지가 분산되어 내벽케이스 및 수도계량기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내벽케이스 하부쪽으로 우수공이 뚫려 있어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부로 물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변형 실시 예시도.
도 3는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변형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변형 실시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인 개념 내용을 구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에서 제공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기본적인 기술 내용을 개략적으로 구현한 실시 예로서, 도 1a는 지하에 매설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형태를 개략적인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보호통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c는 보호통의 구조를 단면적으로 분해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외벽케이스(20)와 내벽케이스(30)로 구분되어 이중벽 구조로 구성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으로써, 상기 외벽케이스의 내면(28)으로 내벽케이스(30)가 내삽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벽케이스(20)의 내면(28)과 상기 내벽케이스(30)의 외면(39)이 서로 맞닿는 구조를 이루게 되면 만약 외벽케이스(20)와 내벽케이스(30) 간에 완전히 밀착하여 맞닿게 되는 구성을 이루게 되면 보호통을 이중벽으로 구성하는 의미가 약해지고 또한 외벽케이스(20)와 내벽케이스(30) 간의 마찰이 발생하여 오히려 내구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케이스(20)는 종래의 수도계량기 보호통과 동일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로 내벽케이스(30)가 내삽되기 위해 외벽케이스(20) 하단에 형성되는 배관파이프(13)의 가이드부(22)는 보호통 내부쪽, 즉 상방으로 뻗지 않고 하방(下方)으로만 뻗어나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케이스(20)를 통해서만 보호통 뚜껑(11)을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면 외벽케이스의 내부로 내삽되는 내벽케이스(30)가 상하좌우로 어느 정도의 공간을 갖고 내삽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케이스(30)는 내부 중앙으로는 수도계량기(11), 개폐밸브(12) 등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내벽케이스의 내면(38)을 따라 상기 수도계량기와 밸브를 보호하기 위한 보온재(14)가 같이 내장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내벽케이스의 하단에 형성되는 배관파이프의 가이드부(32)는 보호통 내부쪽, 즉 상방(上方)으로 어느 정도 뻗어나갈 수 있으며 하방(下方)으로도 상기 내벽케이스(30)의 하단과 외벽케이스(20)의 가이드부(22)의 상단 사이에 일정간격을 확보하거나 또는 가이드부(32)의 하방으로 뻗는 높이에 의해서도 외벽케이스(20)와 내벽케이스(30) 사이의 간극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벽케이스(30)의 하단면에는 하나 이상의 우수공(31)이 뚫려 있는 것이 바람직한바 내벽케이스(30) 내부로 물이 인입되었을 때 우수공(31)을 통해 외부케이스 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보호통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2중구조 보호통에서 서로 맞닿게 되는 외벽케이스(20)의 내면(28)과 내벽케이스(30)의 외면(39)은 위로는 넓고 아래는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광하협 형태를 이루면 외부의 충격이 전해질 때 분리된 외벽케이스와 내벽케이스 간에 충격이 분산되어 수도계량기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 외벽케이스(20)에 내삽되는 내벽케이스(30)는 상부로 보호통 뚜껑(11)과의 간격과 하부로 외벽케이스의 하단과의 간격 모두 일정 간격 이상 떨어진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외벽케이스(20)의 내면(28)과 내벽케이스(30)의 외면(39)간에 간격을 주기 위하여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요철부를 형성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서 제시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기본구조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적용 예시도로서, 도 2는 내벽케이스(30)의 외면(39)에 요철부(33)가 형성되어 간극부를 이루도록 적용될 수 있는 살시양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외벽케이스(20)의 내면(28)에 요철부(23)가 형성되어 간극부를 이루도록 적용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내벽케이스(30)의 외면(39) 및 외벽케이스(20)의 내면(28) 양쪽에 각각 요철부(23, 33)가 형성되어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4에 제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도 1과 같이 배관파이프 가이드부(32)에 의해 이중벽의 간격을 조절하지 않고 요철부(23, 33)의 높,낮이를 통해 외벽케이스(20)와 내벽케이스(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간극부로 지열을 내장하며 보온 및 단열효과를 얻으며 적용되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10 : 뚜껑 11 : 수도 계량기
12 : 밸브 13 : 배관 파이프
14 : 보온재 15 : 파이프 보호부
20 : 외벽케이스 22 : 배관파이프 가이드부(외벽)
23 : 요철부(외벽) 28 : 내면(외벽케이스)
30 : 내벽케이스 31 : 우수공
32 : 배관파이프 가이드부(내벽) 33 : 요철부(내벽)
38 : 내면(내벽케이스) 39 : 외면(내벽케이스)

Claims (3)

  1. 지하에 매설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외벽케이스(20)와 상기 외벽케이스 안쪽으로 내삽되는 내벽케이스(30)로 구분되는 이중벽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외벽케이스(20)는 상부로 보호통 뚜껑(10)이 덮여 끼워지고 하부로는 배관파이프(13)의 위치에 맞게 배관 가이드부(22)가 형성되되, 상기 배관 가이드부(22)는 외벽케이스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벽케이스(30)는 내부로 수도계량기(11)와 보온재(14)가 내장되고 하부로는 배관파이프(13)의 위치에 맞게 배관 가이드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내벽케이스의 하단면을 관통하는 상광하협 형상의 우수공(3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케이스(30)의 외측면과 외벽케이스(20)의 내측면은 상부로 향할수록 넓어지고 아래로 좁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내벽케이스(30)가 외벽케이스(20) 안으로 내삽될 때 상기 내벽케이스와 상기 외벽케이스 간의 이중벽 간격이 일정 거리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케이스(30)의 외면과 외벽케이스(20)의 내면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요철부(23, 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20160006469U 2016-11-04 2016-11-04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486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69U KR200486818Y1 (ko) 2016-11-04 2016-11-04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69U KR200486818Y1 (ko) 2016-11-04 2016-11-04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43U true KR20180001443U (ko) 2018-05-14
KR200486818Y1 KR200486818Y1 (ko) 2018-07-03

Family

ID=6216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69U KR200486818Y1 (ko) 2016-11-04 2016-11-04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771B1 (ko) * 2019-06-27 2021-03-10 이수철 수도미터기 보호통 단열 케이스
KR102554040B1 (ko) 2022-02-23 2023-07-11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하부 방수구조
KR102457234B1 (ko) 2022-02-23 2022-10-20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방수어셈블리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하부 방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309Y1 (ko) * 2002-11-21 2003-02-07 유대성 중공벽체 수도 계량기 보호통
KR200331883Y1 (ko) * 2003-07-14 2003-11-01 김태훈 유체계량기 보호통
KR200387639Y1 (ko) * 2004-12-28 2005-06-22 김내윤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20160032497A (ko) * 2014-09-16 2016-03-24 엄영호 수도미터기 보호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309Y1 (ko) * 2002-11-21 2003-02-07 유대성 중공벽체 수도 계량기 보호통
KR200331883Y1 (ko) * 2003-07-14 2003-11-01 김태훈 유체계량기 보호통
KR200387639Y1 (ko) * 2004-12-28 2005-06-22 김내윤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20160032497A (ko) * 2014-09-16 2016-03-24 엄영호 수도미터기 보호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18Y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818Y1 (ko)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2015231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100926183B1 (ko) 방수구조를 갖는 지하공동구
KR101683427B1 (ko) 부상방지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밸브실
CN105937288A (zh) 具有消火功能的夹层板及利用其的建筑墙体
KR100933700B1 (ko) 수도계량기의 방수 보호통
US20190055821A1 (en) Anti-alteration wellhead vault
KR101742440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CN109339556A (zh) 一种广播铁架地基加固结构
CN205913676U (zh) 一种用于链轨式装甲森林灭火装备的底盘高温防护装置
KR102221210B1 (ko) 밀폐형 지수밸브 보호장치
CN108517921A (zh) 一种智能消防栓
CN209669677U (zh) 一种双仓室管廊桥
KR102292942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0658049B1 (ko) 부동전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485695Y1 (ko) 상광하협 형상의 지열전달용 연결구를 갖는 수도미터 보호통
CN201973268U (zh) 自密封可伸缩式直埋闸阀延长杆
KR102276999B1 (ko) 수도계량기 보호 케이스
KR101138386B1 (ko) 동파방지용 수도미터기 보호통
CN213836863U (zh) 地上防冻消防栓
CN215330344U (zh) 防渗漏塑料检查井
KR101261190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구조
KR101464374B1 (ko) 침하방지용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