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381A -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 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 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381A
KR20160032381A KR1020140122207A KR20140122207A KR20160032381A KR 20160032381 A KR20160032381 A KR 20160032381A KR 1020140122207 A KR1020140122207 A KR 1020140122207A KR 20140122207 A KR20140122207 A KR 20140122207A KR 20160032381 A KR20160032381 A KR 20160032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seller
terminal
flower
bu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호플라워 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호플라워 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호플라워 산업
Priority to KR102014012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381A/ko
Publication of KR20160032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앱을 이용한 신개념 화원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매자와 구매자 및 배달업자가 단말기에 앱을 각각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앱을 통하여 회원 가입을 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가 단말기에 주문액을 입력하면,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품 주문 및 주문액을 입력받은 판매자의 단말기에서 구매자로부터 받은 주문액이 자동으로 판매자 주문관리에 입력되고 상기 구매자의 입력사항이 온라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온라인 서버에서 배송 지역의 화원 가맹점을 검색하여 화원 가맹점을 선정한 후, 주문서를 작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주문서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가 주문한 주문서에서 기재한 배송 지역으로 주문 상품을 배송한 후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에 배송완료 정보(판매자, 배달기사)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배송된 상품을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단계와 같이 위치시킨 상품을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상품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폰등과 같은 단말기에 관련 앱을 다운로드하여 효율적이면서 원활한 꽃배달이 이루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로 자신의 집이나 사무소에 비치된 꽃이나 화분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기르는 화분이나 꽃의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 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Flowerpot dealing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exchange work Delivery service Method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본 발명은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화분관리, 화분직거래 꽃배달, 품앗이 배달서비스를 모두 아울러 포함하는 화분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화원수는 약 20,000로 추정되고 있으며 원예산업 전반의 연간 매출액은 1990년대 통계치 기준 최소 1조원에서 최대 6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원예산업의 발전은 1990년대 이후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이유는 세계경제의 불황과도 관계가 있지만 원예산업이 가지고 있는 낙후된 판매 시스템과 유통구조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유럽과 북미 그리고 가깝게는 일본과 비교 했을 때 선진국의 원예산업은 대한민국 기준의 6배에 이르는 거대 시장이다. 이것은 국민 1인당 소비량이 6배에 이르는 것이다.
해외 선진국들은 식물을 판매하는데 그치지 않고 관리라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식물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해 원예산업이 사치가 아니라 사람에게 의식주와 같이 꼭 필요한 것이라는 것을 인식시켜 산업의 발전을 지속시키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원예산업은 낙후된 판매 시스템과 유통구조에 기인해 꼭 필요한 생활 필수품이 아니라 호화스러운 사치품이라는 그릇된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타파하기 위해서 기존에 화원협회 꽃배달업체 원예협회 정부기관 등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지원을 하였으나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문제는 파악을 하였으나 원인을 이루는 조건의 만족에 대한 깊은 통찰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민들이 꽃이나 식물에 가지고 있는 인식은 매우 열악한 형편이다. 다시 말해서 꽃이라는 것은 금방 시들어 버리는 것, 식물은 관리가 어렵고 까다로워 금방 죽어 버리는 것이라는 상기 2가지의 생각이 원예산업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원예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라 할 수 있다.
고객이 식물을 구입해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과 방안을 제시하는 것, 고객과 판매자가 신뢰를 회복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 또한 판매자가 시간 비용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화원 등을 운영하다 보면 화원의 주인이 직접 배달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만일 갑작스럽게 꽃이나 화분 등을 배달을 해야할 경우에 있어서 시간이 맞지 않아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낭비함으로 직접적으로 매출 손실 및 소득의 감소를 일으킬수가 있어, 이러한 경우에 적절한 배달자를 선정하여 주문 상품을 시간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배달할 수 있는 품앗이 배달방법 등의 필요성도 절실하였다.
KR2012-0002658 10 KR2008-0042313 10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꽃배달의 주문에 관한 것은 물론이고, 가정이나 사무소에 비치된 꽃이나 화분의 상태를 용이하게 알수 있어 장기간의 화분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원의 거래와 운영 관리방법을 화원 및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화원과 화원, 화원과 배달업체와의 배달정보 공유로 품앗이 배달서비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화원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화원과 배달용역자 간의 체계적인 시스템 제공으로 효율적인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편익을 가져다 주는 단말기 앱을 이용한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및 배달기사가 단말기에 앱을 각각 다운로드한 후, 상기 구매자가 단말기에 주문액을 입력하면, 상기 구매자의 입력사항이 온라인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가 배송 지역의 화원 가맹점을 검색하여 화원 가맹점을 선정하고, 배송 지역으로 주문 상품을 배송한 후,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에 배송완료 정보(판매자, 배달기사)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배송된 상품의 관리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관리를 선택할 경우, 단말기를 통해 상품을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매자의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품이 배치될 장소를 미리 촬영하고, 상품이 배치된 곳의 기초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의 기초관리 정보를 상기 앱 또는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인식되어 추출된 상품의 관리정보를 상기 판매자가 상기 구매자의 앱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회원가입을 하면 메인 화면이 판매자, 구매자 및 배달업자의 웹 상으로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 식물 최초 급수일을 설정하면 다음 급수일이 자동으로 알람이 되어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 화원 가맹점의 선정은 거리, 이용횟수, 최고 클릭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 단말기에 앱을 다운로드하면 판매자의 화면에는 주문정보와 화분관리 및 배달정보가 표시되고, 구매자의 화면에는 판매되는 꽃과 화분관리가 표시되고, 배달기사의 화면에는 배달관리 및 화분관리, 판매되는 꽃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가 품앗이 관리 서버에 회원가입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판매자가 상기 품앗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품앗이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지정하고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매자로부터 신청받은 품앗이 관리 서버를 통하여 배달기사의 단말기(미도시)나 PC에 배송될 물건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배달기사가 품앗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배달할 물건을 선택하여, 상기 판매자에게 품앗이 신청을 수락하는 단계와 익일 자동결제시스템을 통하여 배송요금을 결제하는 단계와 해당 배달기사가 선택한 배송상품을 목적지로 배송하여 배송완료를 하는 단계와 상기 배달기사가 상기 판매자 및 구매자에게 배송완료 메세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는 상기 배달기사가 상품의 배송지 또는 출발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품의 배송지를 선택하면 상기 배달기사가 배송하고 싶은 지역의 가까운 판매자가 등록한 배송상품이 시간, 동(洞), 구(區), 시(市)의 순으로 단말기에 표시되어 나타나고, 출발지를 선택하면 상기 배달기사가 현재 위치한 곳에서 가까운 판매자가 등록한 배송상품이 시간, 동(洞), 구(區), 시(市)의 순으로 단말기에 표시되어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단말기에 관련되는 앱을 다운로드하여 효율적이면서 원활한 꽃배달이 이루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자신의 집이나 사무소에 비치된 꽃이나 화분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기르는 화분이나 꽃의 관리를 체계적이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품앗이 배달서비스의 활용으로 화원 상호간의 배달정보를 공유하여 효율적인 시간절약 및 비용의 절약과 수입원을 창출할 수 있으며 배달업자에게 신속한 배달정보를 제공하여 배달업자의 소득을 증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꽃이나 화분의 구매자, 판매자 직거래 배달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원 운영 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3은 가정 내에 꽃이나 화분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도.
도 4는 사무실 내에 꽃이나 화분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도.
도 5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위치한 화분 등의 상태를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한 화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품앗이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꽃이나 화분의 구매자, 판매자, 직거래 주문배달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원 운영 관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가정 내에 꽃이나 화분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도이고, 도 4는 사무실 내에 꽃이나 화분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도이고, 도 5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위치한 화분 등의 상태를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한 화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품앗이 배달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상에 나오는 상품은 꽃집이나 화원에서 판매되는 꽃 또는 화분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앱을 이용한 신개념 화원 운영 관리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판매자와 구매자 및 배달기사가 단말기(100)에 앱(미도시)을 각각 다운로드한 후, 상기 구매자가 단말기에 주문액을 입력하면, 상기 구매자의 입력사항이 온라인 서버(110)로 전송된다. (제1단계) 상기 앱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하면 메인 화면이 판매자, 구매자 및 배달업자의 웹상으로 각각 제공된다.
상기 앱을 실행하면 판매자의 화면에는 상품의 주문정보와 화분관리 및 배달정보가 표시되고, 구매자의 화면에는 판매되는 상품과 화분관리가 표시되고, 배달기사의 화면에는 배달관리가 표시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매자가 단말기에 주문액을 입력하면,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품 주문 및 주문액을 입력받은 판매자의 단말기(100)에서 구매자로부터 받은 주문액이 자동으로 판매자 주문관리에 입력되고, 상기 구매자의 입력사항이 온라인 서버(110)로 전송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판매자는 상기 구매자의 발주를 승인하여 자체 배송 또는 배달용역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를 완료하는 것이다.
상기 판매자가 배송 지역의 화원 가맹점을 검색하여 화원 가맹점을 선정하고, 배송 지역으로 주문 상품을 배송한 후,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에 배송완료 정보(판매자, 배달기사)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제2단계)
즉,온라인 서버(110)에서 배송 지역의 화원 가맹점을 검색하여 화원 가맹점을 선정한 후, 주문서를 작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주문서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상기 단계에서 화원 가맹점의 선정은 거리, 이용횟수, 최고 클릭수(칭찬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다. 이를 테면, 거리에 있어서는 상품이 배송될 지역에 가장 인접한 화원을 선택하는 것이고, 상기 이용횟수는 특별히 스스로 자주 이용하는 단골 가게에 해당하는 화원가맹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최고 클릭수는 화원의 인터넷 웹 페이지에서 가장 클릭수 또는 조회수 및 칭찬(이를 테면, 좋아요 등의 댓글)의 횟수가 많은 화원을 확인하여 선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구매자가 주문한 주문서에서 기재한 배송 지역으로 주문 상품을 배송한 후,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100)에 배송완료 정보(판매자, 배달기사)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발송완료를 하였다는 내용의 문자 메세지가 전송되는 것인데, 이것은 배송을 담당하는 배송기사가 배송을 완료하게 되면 판매자 및 구매자에게 동시에 자동으로 발송하는 시스템인 것이다.
다음 단계로, 상기 배송된 상품의 관리 여부를 구매자가 선택하는 것이다. (제3단계) 만일, 구매자가 이를 선택하지 않으면 종료를 하게 된다.
상기 제3단계에서 구매자가 관리를 선택할 경우, 구매자는 관리할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다. (제4단계) (이하에서 서술할 제4단계부터는 행위의 주체가 상기 제1단계와 2단계를 거친 구매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해당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즉,구매한 상품(꽃 또는 화분)을 구매자가 스스로 소정의 장소(집, 사업장 등)에 위치시켜 놓아 관리하도록 적당한 장소를 물색하는 것이다.
상기 상품의 배치는 주로 집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곳에 화분이나 꽃을 자기가 임의로 소정의 장소에 두게 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이에 관하여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단계와 같이 위치시킨 상품을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하여 방이나 사무소에 위치되는 꽃이나 화분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 3 및 도 4를 보면 방과 사무실에 화분 등을 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데 이것은 예시적인 사진이며, 도 3이나 도 4와 같이 집 또는 사무실의 이미지 편집은 상기 단말기(100)의 앱에 미리 다양하게 제공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것도 역시 상기 단말기(100)에 다운로드되는 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단계에서 설치한 앱과 단말기(100)에 통합될 수도 있으며, 따로 별도의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단말기(100)는 꽃이나 화분을 미리 놓아두고 난 후의 장소로, 촬영장소(미리 사전에 저장된 집 또는 사무실의 이미지)의 이미지를 제공,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에 이미지로 인식된 장소의 현장에 위치하는 꽃 또는 화분의 기초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과, 상기와 같이 인식되어 추출되는 화분의 관리정보를 단말기 등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없어도 사진전송으로 아이콘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 모듈(미도시)이 단말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이나 사무실에 배치된 상품(꽃 또는 화분)을 단말기(100)를 통하여 상품의 관리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는 상기 단말기(100)의 앱에 응응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단말기(100)의 무선 인터넷 접속기능을 통한 식물 콘텐츠 서비스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을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4단계에서 구매자의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상품이 배치될 장소를 미리 촬영하고 상품이 배치된 곳의 기초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제5단계)
상기 기초관리 정보란 즉, 해당 꽃이나 화분의 이미지 정보와 명칭, 물주기(관수법), 잎상태, 흙상태, 식물정보 등과 같은 것으로 예로서, 단말기(100)에 있는 앱을 이용하여 자기 집을 선택하여 자기 집의 거실을 선택하고 상품을 실제 놓여있는 장소인 거실 등에 선택 위치(제공되는 아모티콘이나 실제사진)시키고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기본정보의 예를 들자면, 구입처, 구입일, 선물인, 물주기 날짜, 식물의 과, 목, 종은 식물의 기본정보로서 자동으로 등록되는 것이다.
사무소나 집에 놓아둔 상품(꽃이나 화분)의 관리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단말기(100)에 설치된 앱의 응용프로그램(화훼정보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면, 상기 단말기(100)에는 화훼정보 프로그램의 메인화면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식물관리정보메뉴(미도시)를 선택하면, 제어 모듈은 이에 응답하여 관리정보를 단말기(100)의 화면에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꽃이나 화분의 상품에 물을 주어야 하는 식물 급수일을 단말기(100)에 설정(최초 급수일을 입력하면 급수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급수일에 알람)하면 바로 그 날짜에 자동으로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여 이를 통보하여 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급수일에 알람을 알려주는 기술에 대하여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5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상품에 대한 기초관리 정보를 사용자(즉, 구매자)가 상기 앱 또는 온라인 상에 업로드한다. (제6단계)
상기 앱이나 온라인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정보와 기초관리 정보인 텍스트 정보를 도 5와 같은 형태로 하여 단말기(100)의 화면이나 온라인 상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도 5의 캡처 화면을 참조하면, 6개의 메뉴항목으로 상품(식물)의 기초정보가 분류되어 있고, 각 메뉴의 하단에는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이미지 아이콘들이 표시되어 있다.
도 5와 같은 표시상태에서 구매자가 단말기(100)나 온라인 PC 상의 표시창에 표시된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메뉴선택 정보가 전송된다. 이때, 수신된 메뉴선택 정보에 따른 식물의 기초정보를 단말기(100) 화면이나 모니터로 표시한다.
그리고, 자신이 그동안 상품(꽃이나 화분)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특징있는 식물의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여 장기적인 관리 등에도 참고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되는 꽃이나 화분의 상세한 관리정보를 액세스하여 도 5와 같이 상세한 관리정보를 단말기(100)의 화면 등으로 전송하여 구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설명하면, 도 5와 같은 상세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이를 테면 화면우측 하단에 "해당 사이트로 이동"이라는 메뉴아이콘을 표시하며, 구매자에 의해 해당 메뉴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미리 설정된 검색 포털사이트로부터 해당 식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해줌으로서, 꽃이나 화분에 대한 상식을 더욱 넓할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이것도 역시 구매자 뿐만 아니라, 판매자가 온라인 상에서 해당 사이트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판매자도 역시 고객(구매자)의 관리상태를 알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판매자에게도 화분이나 꽃의 관리를 신청한 고객(구매자)의 리스트와 해당 관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단계로, 상기 제6단계에서 인식되어 추출된 상품의 기초관리 정보를 상기 판매자가 상기 구매자의 앱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와 같은 경우는 이를 테면, 구매자가 화분에 물주는 것을 깜박 잊었다거나 여유가 없어 꽃이나 화분의 상품의 관리를 하지 못하거나 할 경우에 있어 판매자가 이에 관한 정보를 문자메세지 또는 온라인상으로 통보해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구매자가 꽃이나 화분과 같은 상품의 관리가 제대로 안되고 있을 경우에 판매자를 통해 상품의 기초관리 정보를 통보받아 상호간의 크로스 체크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품앗이 배달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미를 기술하면 예를 들어, 화원을 경영하는 사람이 부득이 꽃이나 화분등의 배달을 하기가 어렵거나 배달 주문이 밀려 있어서 배달하기가 어려우면 상기 배달을 대행하기 위한 화원간의 품앗이 배달 및 배달업자를 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판매자가 품앗이 관리 서버(200)에 회원가입하여 등록하는 것이다. (S 10단계)
이것은 판매자가 품앗이 관리 서버(200)(예를 들어, 꽃배달.com)에 접속하여 자신의 인적사항, 전화번호, 화원 주소를 기재하여 등록(최초 회원가입시 자동으로 등록)하는 것이다. (S 10단계)
판매자가 상기 품앗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품앗이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지정하고 가격을 설정등록하여 품앗이 배달을 신청하는 것이다. (S 20단계)
상기 제2단계의 경우는 품앗이 배달을 위탁하고자 하는 경우가 생길 경우에, 판매자가 품앗이 배달을 신청하는 것으로 사전에 이미 해당 구매자의 주문위탁이 있었다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결국, 상기 제1단계에서 접속한 서버(200)에 로그인한 후, 구매자가 주문하는 상품을 미리 준비하였다는 것이 전제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2단계에서 판매자로부터 신청받은 품앗이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배달기사의 단말기(미도시)나 PC에 배송될 물건을 등록하는 것이다. (S 30단계)
상기 S 30단계를 설명하면, 판매자가 배달물건을 사전에 미리 설정된 어플에 등록하면 배달기사의 단말기의 앱에 있는 배달관리창에 배송물건이 선착순으로 등록되어 배달기사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달기사가 품앗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배달할 상품을 선택하여, 상기 판매자에게 품앗이 신청을 수락한다. (S 40단계) 즉, 배달기사가 단말기 앱을 통하여 배달물건을 선택하면, 판매자가 이를 확인하여 품앗이 신청을 수락하는 것이다.
상기 S 40단계는 배달할 상품의 선택방법은 배달기사가 상품의 배송지 또는 출발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품의 배송지를 선택하면 배달기사가 배송하고 싶은 지역의 가까운 판매자가 등록한 배송상품이 시간, 동(洞), 구(區), 시(市)의 순으로 단말기에 표시되어 나타나고, 출발지를 선택하면 배달기사가 현재 위치한 곳에서 가까운 판매자가 등록한 배송상품이 시간, 동(洞), 구(區), 시(市)의 순으로 단말기에 표시되어 나타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배달물건은 배송지와 출발지로 구분해 입력 관리하여 단말기 화면의 관리창에서 배달물건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배달기사가 이를 선택하고 판매자가 수락을 하게 되면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에 배달기사의 이름과 연락처 등과 같은 인적사항이 뜨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송지라 함은 배달기사가 가고 싶은 위치의 장소와 가까운 다수의 판매자가 등록한 배달물건이 시간, 동, 구, 시의 선착순으로 관리창에 표시가 되어 배달기사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배달물건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며, 출발지라 함은 배달기사가 현재 있는 위치에서 다수의 판매자가 등록한 배달물건이 시간,동,구,시의 선착순으로 관리창에 표시가 되어 배달기사가 자율적 판단에 따라 배달물건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율적인 판단을 통해, 배달기사마다 비어지는 시간을 대조하여 자신이 알맞은 시간에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함이고 효율적인 시간관리로 소득증대를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단계로, 익일 자동결제시스템을 통하여 배송요금을 결제한다. (S 50단계) 상기 판매자의 결제는 해당 사이트(품앗이 관리서버(200)의 해당 사이트)의 운영자에게 선급금을 납입한 후에, 배송금액에 따른 익일(翌日) 자동결제시스템(미도시)을 적용하여 결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익일 자동결제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의할 점은 배달업자가 선급금을 납입하는 이유는 배송이 배달업자의 과실로 배송이 배송 예정시간보다 지연되거나, 배달업자가 화분이나 꽃을 부주의로 훼손(毁損)이나 손괴(損壞)를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이를 담보하기 위한 예치금인 것이다.
또한, 판매업자와 배달기사 간의 기타 불필요한 거래행위(예를 들어, 배달업자가 특별히 어려운 배달이라고 하면서 판맹업자에게 부수적인 돈을 요구하는 등)를 간소화시켜 시간절약과 비용절약을 이루어주기 위함이다. 상기 결제를 할 경우에 있어서는 인터넷 뱅킹이나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일반적인 어느 것이나 무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송기사가 배송물건을 선택하면, 상기 배달기사가 목적지로 상품의 배송을 완료하는 것이다. (S 60단계)
최종적으로, 상기 배달기사가 상기 판매자에게 배송완료 메세지를 상기 품앗이 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S 70단계) 여기서, 상기 메세지를 전송할 경우에 판매자뿐만 아니라 구매자에게도 자동으로 전송되어 전달되는 것은 물론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휴대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신개념 화분거래와 화분운영 관리방법을 이용하여 화분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화분의 배달 거래 등과 배달을 받은 화분의 원활한 관리 및 꽃이나 화분 등을 배달할 경우에 있어서,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을 통하여 배달을 완수하도록 하여, 하나로 모두 통합하여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도 역시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도면을 첨부하여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22 : 카메라모듈 24 : QR코드 인식모듈
26 : 제어모듈 28 : 표시모듈
30 : 데이터 송수신모듈
100 : 단말기 110 : 온라인 서버
120 : 데이터베이스
200 : 품앗이 관리서버 210 : 문자메세지 발송서버
220 : 금융사 결제서버 230 : 배송서버

Claims (7)

  1. 판매자와 구매자 및 배달기사가 단말기(100)에 앱을 각각 다운로드한 후, 상기 구매자가 단말기에 주문액을 입력하면, 상기 구매자의 입력사항이 온라인 서버(110)로 전송되는 제1단계;와
    상기 판매자가 배송 지역의 화원 가맹점을 검색하여 화원 가맹점을 선정하고, 배송 지역으로 주문 상품을 배송한 후,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에 배송완료 정보(판매자, 배달기사)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배송된 상품의 관리 여부를 구매자가 선택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구매자가 관리를 선택할 경우, 구매자는 관리할 장소를 선택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구매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품이 배치될 장소를 미리 촬영하고, 상품이 배치된 곳의 기초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의 기초관리 정보를 구매자가 상기 앱 또는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인식되어 추출된 상품의 기초관리 정보를 상기 판매자가 상기 구매자의 앱으로 전송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회원가입을 하면 메인 화면이 판매자, 구매자 및 배달업자의 웹 상으로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단말기(100)에 앱을 다운로드하면 판매자의 화면에는 주문정보와 화분관리 및 배달정보가 표시되고, 구매자의 화면에는 판매되는 꽃과 화분관리가 표시되고, 배달기사의 화면에는 배달관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화원 가맹점의 선정은 거리, 이용횟수, 최고 클릭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00)에 식물 급수일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알람이 되어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6.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가 품앗이 관리 서버(200)에 회원가입하여 등록하는 S 10단계;와
    판매자가 상기 품앗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품앗이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지정하고 신청하는 S 20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매자로부터 신청받은 품앗이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배달기사의 단말기(미도시)나 PC에 배송될 상품을 등록하는 S 30단계;와
    상기 배달기사가 품앗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배달할 상품을 선택하여, 상기 판매자에게 신청을 수락하는 S 40단계;와
    익일 자동결제시스템을 통하여 배송요금을 결제하는 S 50단계;와
    해당 배달기사가 선택한 배송상품을 목적지로 배송하여 배송완료를 하는 S 60단계;와
    상기 배달기사가 상기 판매자 및 구매자에게 배송완료 메세지에 전송하는 S 7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 40단계는 배달할 상품의 선택방법은 배달기사가 상품의 배송지 또는 출발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품의 배송지를 선택하면 배달기사가 배송하고 싶은 지역의 가까운 판매자가 등록한 배송상품이 시간, 동(洞), 구(區), 시(市)의 순으로 단말기에 표시되어 나타나고, 출발지를 선택하면 배달기사가 현재 위치한 곳에서 가까운 판매자가 등록한 배송상품이 시간, 동(洞), 구(區), 시(市)의 순으로 단말기에 표시되어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KR1020140122207A 2014-09-15 2014-09-15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 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KR20160032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207A KR20160032381A (ko) 2014-09-15 2014-09-15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 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207A KR20160032381A (ko) 2014-09-15 2014-09-15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 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381A true KR20160032381A (ko) 2016-03-24

Family

ID=5565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207A KR20160032381A (ko) 2014-09-15 2014-09-15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 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3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633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디버 드라이브 쓰루 방식을 적용한 물류 배송 중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633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디버 드라이브 쓰루 방식을 적용한 물류 배송 중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993B1 (ko) 고객통합 주문 배달 관리시스템
JP2018527662A (ja) 以前に注文された商品を自動的に再注文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702210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ance in layaway shopping
JP2014002453A (ja) 販売システム、販売サーバ及び販売方法
CN112561566B (zh) 一种跨境进口门店分销商城平台系统
US20100049630A1 (en)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fline, and apparatuses applied to the same
CN104851030A (zh) 反向销售网购系统
JP6355218B1 (ja) ワインを顧客に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そのシステムにおいて用いられる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022073A (zh) 一种基于c2f的互联网鲜花配送系统和方法
EP2955685A1 (en) Interactive vending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goods in both actual exhibit spot and online shop
CN106297014A (zh) 一种自助交易系统及方法
KR20120076618A (ko) 배달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2381A (ko) 단말기 앱을 이용한 화분 거래와 운영 관리방법 및 품앗이 배달서비스 방법
US201600555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vents
CN105825372A (zh) 一种农产品结算系统及应用其的综合分析系统
KR101976903B1 (ko) 소셜 공유플랫폼 제공장치 및 그 소셜 공유플랫폼 제공방법
KR20190069631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꽃 주문 및 배송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140887A (ko)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160001171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6430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31673A (ko) 국가간 온라인 거래를 위한 아이템 국제유통시스템과 운영방법
JP2012089029A (ja) ネット販売総合管理システム
KR101976894B1 (ko) 소셜 공유플랫폼 제공장치 및 그 소셜 공유플랫폼 제공방법
JP2019197370A (ja) 生花レンタルシステム
Cote The Power of Point of Sale Improving Growth, Profit, and Customer Service in a Retail Bus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