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265A - 천적곤충 증식장치 - Google Patents

천적곤충 증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265A
KR20160032265A KR1020167006207A KR20167006207A KR20160032265A KR 20160032265 A KR20160032265 A KR 20160032265A KR 1020167006207 A KR1020167006207 A KR 1020167006207A KR 20167006207 A KR20167006207 A KR 20167006207A KR 20160032265 A KR20160032265 A KR 2016003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main body
natural
scattering
nemat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785B1 (ko
Inventor
데쓰오 나카지마
야스오 오야마
요시타케 가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쿄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쿄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쿄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설치 대상인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에 직접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단하고 쉬운 구성을 가지며,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증식을 효율 좋게 염가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한 천적곤충 증식장치를 제공한다.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을 증식시키는 천적곤충 증식장치(10)를,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공간에 배치된, 천적곤충이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천적곤충 수용부(12)와, 본체부(11)의 공간에, 천적곤충 수용부(12)와 병설된, 천적곤충이 산란 가능한 산란부(1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천적곤충 증식장치{NATURAL ENEMY INSECT BREEDING DEVICE}
본 발명은, 천적곤충 증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설치 대상인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枝葉)에 직접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단하고 쉬운 구성을 가지며,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증식을 효율 좋게 염가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한 천적곤충 증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천적을 중심으로 한 IPM(종합적 병해충 관리)이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면, 미야코 이리응애, 스워스키 이리응애, 쿠쿠메리스 이리응애 등의 다식성의 이리응애류는, 방제 대상의 해충인 잎응애류나 총채벌레류를 먹이로 하는 천적곤충이지만, 이리응애류가 먹이로 하는 것은, 상술의 방제 대상 해충인 잎응애류나 총채벌레류만이 아니라, 설탕응애,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 등의 저곡(貯穀) 해충이나, 화분, 곰팡이의 포자 등도 먹이로 하는 것은 이미 알고 있다. 그러나, 작물이나 재배시기에 따라서는, 먹이가 되는 화분이나 미소 곤충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는, 천적곤충인 이리응애류(이하,「천적 이리응애」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증식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식물체 상에 저곡 해충을 살포하고, 천적 이리응애의 먹이로서 활용하려고 하는 시도도 되고 있지만, 이들 저곡 해충 자체가 식물체 상에서 정착하는 것이 지극히 곤란하므로, 천적 이리응애는 이들을 먹이로 이용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밀듀우(mildew)의 포자가 만연하고 있는 잎 위에서는, 천적 이리응애가 상당히 잘 증식하는 것도 알고 있다. 또, 식물잎 위에 쌀겨를 살포하면, 상주균의 포자가 번식하고, 천적 이리응애는 이것을 먹이로서 이용하여, 통상의 2∼3배의 증식을 한다. 단지, 밀듀우은 식물 병원균이기 때문에,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용할 수 없다. 또, 쌀겨를 살포함으로써 번식하는 상주균은 잎 위에 번식하여, 보호 작물의 잎을 오염해 버려, 광합성을 저해해 버리기 때문에, 이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설탕응애나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와 같은 대체먹이(먹이응애)와 그들의 먹이가 되는 밀기울이나 효모를, 종이컵 속에 천적 이리응애와 함께 넣음으로써, 천적 이리응애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이 농가에 의하여 행해지고 있는 예가 있지만, 이 방법으로도 천적 이리응애는 어느 정도의 증식은 하지만, 먹이응애가 컵 내에 정착하지 않기 때문에, 증식 정도는 한정된 것으로 되어 버려, 충분한 효과를 나타낼 때까지 천적 이리응애를 증식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콘 줄기 섬유 등의 잔털을 가진 식물섬유를 산란 장소로서 사용하는 시도도 행해지고 있지만, 식물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조달이 계절에 좌우되거나, 별도 그것을 위한 재배를 해야 하는 등의 제약이 있어, 널리 보급할 수 있는 기술로는 되지 않았다.
또, 보습제, 물, 천적곤충,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 곤충, 먹이 곤충의 먹이가 되는 곰팡이를 배양하기 위한 배양지 및 천적곤충의 산란 기질을 포괄하는 용기로 구성된 것도 개시되어 있지만, 장치가 복잡하고, 실용상, 반드시 사용하기 쉬운것은 아니며, 또 대규모인 것에 비해, 효과의 면에서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5541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IPM(종합적 병해충 관리)의 견지로부터, 간편하게, 천적 이리응애의 산란장소, 성충의 보금자리, 필요에 따라서 먹이 등을 제공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증식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설치 대상인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에 직접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단하고 쉬운 구성을 가지며,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증식을 효율 좋게 염가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한 천적곤충 증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천적곤충 증식장치가 제공된다.
[1]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을 증식시키는 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공간에 배치된, 천적곤충이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천적곤충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공간에, 상기 천적곤충 수용부와 병설된, 천적곤충이 산란 가능한 산란부를 구비한 천적곤충 증식장치.
[2]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설치 대상인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더 구비한 상기 [1]에 기재된 천적곤충 증식장치.
[3] 상기 천적곤충 수용부는, 티백 형상의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단독, 또는 상기 천적곤충과 상기 천적곤충의 증식에 필요한 먹이와의 조합이 수용된 것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천적곤충 증식장치.
[4] 상기 산란부는, 티백 형상의 봉투체 내에, 털실, 펠트, 헴프사, 마제 뿌리감는 시트, 수예면, 간극시트 또는 탈지면을 괴상(塊狀)으로 형성된 것이 수용된 것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천적곤충 증식장치.
[5] 상기 본체부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제의 시트형상의 기재(基材)를, 단책(短冊) 형상으로 타발, 조립함으로써,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천적곤충 증식장치.
[6] 상기 설치부는, 대략 사각형상을 가지고, 그 사각형상의 상변을 제외하고, 다른 3변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기재에 연결한 부분을 관통하는 연속한 컷팅 자국이 형성되며, 또 상기 다른 3변의 컷팅 자국 중 좌우 2변의 컷팅 자국이 서로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의 톱 형상을 가지고, 상기 사각형상의 상변을 남기고 상기 3변의 컷팅 자국을 떼어냄으로써, 상기 설치 대상을 상기 기재와의 사이에서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지 할 수 있는 설편(舌片)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천적곤충 증식장치.
[7]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천적곤충이 상기 공간에서 외부로 나오는 것이 가능한 빈틈을 가지는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천적곤충 증식장치.
[8] 상기 천적곤충은, 이리응애류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천적곤충 증식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 대상인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에 직접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단하고 쉬운 구성을 가지며,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증식을 효율 좋게 염가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한 천적곤충 증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 증식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 증식장치의, 천적곤충 수용부와, 천적곤충이 산란 가능한 산란부의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 증식장치의, 천적곤충 수용부와 천적곤충이 산란 가능한 산란부의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설치부를, 원형의 관통구멍으로 바꾼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 증식장치의 조립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전개도)이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 증식장치(10)는,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을 증식시키는 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공간에 배치된, 천적곤충이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천적곤충 수용부(12)와, 본체부(11)의 공간에, 천적곤충 수용부(12)와 병설된, 천적곤충이 산란 가능한 산란부(13)를 구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설치 대상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14)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구성요소마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부(11))
본 실시의 형태에 이용되는 본체부(11)는,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이며,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바닥면이 타원, 트럭 형상인 것을 포함함), 각기둥 형상(바닥면이, 삼각형,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인 것을 포함함), 및 도 1∼도 3에 나타내는 쇼핑백 형상(사각기둥의 정상부가 직선 형상으로 좁아진 형상) 등을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바닥면의 크기는, 장방형으로 환산하여, 예를 들면, 10∼50×30∼100㎜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또는 플라스틱제의 시트형상의 기재를, 단책 형상으로 타발하여,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타발 방법이나 조립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다.
이와 같이,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함으로써, 본체부(11)에 수용되는, 후술하는 천적곤충 수용부(12) 및 산란부(13)의 생식환경 및 산란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어느 정도의 밀봉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습도를 적당히 유지하는 것, 햇볕에 의한 고온을 방지하는 것, 천적 이리응애에 영향이 강한 화학 농약 등의 살포에 대한 숨을 장소(shelter)를 제공하는 것, 들쥐나 민달팽이 등의 식충해를 방지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효과는, 후술하는 천적곤충 수용부(12) 및 산란부(13)의 구성으로 조합됨으로써, 상승적으로 증대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이용되는 본체부(11)를 구성하는 기재는, 탄력성이나 가요성을 가짐과 함께, 비와 이슬에 노출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방수성이나 내후성을 가지고, 일반 쓰레기로서 폐기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체부에 연결하는, 후술하는 설치부(14)도 마찬가지임). 예를 들면, 합성종이, 종이로부터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폐기시의 환경부하가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밀크 카톤지, 코트보드지, 양면 PE(폴리에틸렌) 필름 라미네이트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롤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합성수지, 금속박, 또는 부직포라도 좋다. 또, 통상 0.01∼2.0㎜, 바람직하게는 0.1∼0.5㎜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1)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적곤충이 공간에서 외부로 나오는 것이 가능한 빈틈(21)을 가지는 것이, 천적곤충의 증식 후의 활동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빈틈으로서는, 이러한 빈틈(21)의 형상의 것이나, 배치 장소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나 배치 장소라도 좋다.
(천적곤충 수용부(12))
본 실시의 형태에 이용되는 천적곤충 수용부(12)는, 본체부(11)의 공간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적곤충이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공기로의 확보를 위해, 예를 들면, 적어도 2개의 관통구멍(1 이상의 소정의 크기의 개구라도 좋음)(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예를 들면, 4∼8×4∼8 ㎝의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티백 형상의 봉투체 내에, 천적곤충 단독, 또는 천적곤충과 천적곤충의 증식에 필요한 먹이와의 조합이 수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천적곤충의 보유적인 먹이장을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상술의 본체부(11)가 가지는 기능에 더하여, 예를 들면, 천적곤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농약으로부터 한층 더 쉘터를 제공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여기서, 천적곤충으로서는, 미야코 이리응애, 스워스키 이리응애, 쿠쿠메리스 이리응애 등의 다식성의 이리응애류를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천적곤충의 증식에 필요한 먹이로서는, 예를 들면, 먹이응애(설탕응애,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 등 ), 쌀겨, 밀기울, 효모, 설탕, 포자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를 더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스워스키 이리응애 250마리에 대하여, 먹이응애, 밀기울, 설탕을, 각각 500∼2000마리, 3.0g, 0.15∼0.6g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아리스타 라이프 사이언스사제, 상품명「스워스키팩」을 이용해도 좋다.
(산란부(13))
천적곤충, 예를 들면, 이리응애류는, 식물의 솜털 등의 가는 털 구조 위에서, 산란하는 습성이 있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지견에 기초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이용되는 산란부(13)는, 천적곤충 수용부(12)에 이용되는 티백 형상의 봉투체와 같이, 천적곤충이 출입 가능하고, 공기로의 확보를 위해, 예를 들면, 적어도 2개의 관통구멍(1 이상의 소정의 크기의 개구라도 좋음)(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예를 들면, 4∼8×4∼8㎝의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티백 형상의 봉투체 내에, 털실, 펠트, 헴프사, 마제 뿌리감는 시트, 수예면, 간극시트 또는 탈지면을, 예를 들면, 솜사탕형상, 적층 시트형상, 또는 기모 카페트 형상 등의 괴상으로 형성된 것을 수용한 것으로 구성되어, 적합한 산란 장소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괴상이란, 예를 들면, 직방체, 입방체, 다각 기둥체, 봉투 형상체, 구체, 럭비 볼과 같은 타원 구체 등의 외형을 가지는 덩어리를 말하며, 직방체로 환산한 경우, 30∼60×30∼60 ㎝의 크기로 두께가 1∼10㎜정도의 덩어리를 말한다. 털실의 경우는, 예를 들면, 직경이 1∼5㎜의 것을 복수체 다발로 함으로써 상술의 형상을 가지는 괴상으로 할 수 있다.
(설치부(14))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천적곤충 증식장치(10)는, 본체부(11)에 연결된, 설치 대상인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14)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부(14)에 의하여, 설치 대상인 지엽 등에, 직접 간단하고 쉽게 매달 수 있다. 한편, 사용의 형태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에, 설치부(14)를 이용하지 않고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설치부(14)로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을 가지고, 그 사각형상의 상변을 제외하고, 다른 3변에는 본체부(11)의 기재에 연결한 부분을 관통하는 연속한 컷팅 자국이 형성되고, 또 다른 3변의 컷팅 자국 중 좌우 2변의 컷팅 자국이 서로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의 톱 형상을 가지며, 사각형상의 상변을 남기고 3변의 컷팅 자국을 떼어냄으로써, 설치 대상을 기재와의 사이에서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지할 수 있는 설편(24)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또, 설치부(14)로서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다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서, 원형과 직선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컷팅 자국(34)을 가지는 것이라도 좋다. 설치부(14)에 의하여, 설치 대상인 지엽 등에, 직접 간단하고 쉽게 매달 수 있다.
(천적곤충 증식장치의 제조방법)
본 실시형태의 천적곤충 증식장치(10)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전개도를 따라서, 플라스틱 또는 종이제의 시트형상의 기재를 단책 형상으로 타발,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조립하여 본체부(11)를 형성하기 전에, 본체부(11) 내면측의 바닥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천적곤충 수용부(12) 및 산란부(13)를 배치하고, 그 후, 본체부(11)를, 천적곤충 수용부(12) 및 산란부(13)가 포함된 상태로,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천적곤충 증식장치(10)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천적곤충 증식장치(10)는, 천적곤충 수용부(12) 및 산란부(13)를,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본체부(11) 내면측의 바닥부에 연결하는 정면부 및 배면부의 소정 개소에, 고정한 후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조립하는 것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서, 예를 들면,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천적곤충 증식장치를, 실시예를 이용하여 한층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어떠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천적곤충 증식장치(10)를, 도 4에 나타내는 전개도를 따라서, 두께가 0.2㎜의 플라스틱 또는 종이제의 시트형상의 기재를 단책 형상으로 타발,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조립하여 본체부(11)를 형성하기 전에, 본체부(11)의 바닥부(40×60㎜의 장방형)에 대응하는 부분에, 천적곤충 수용부(12)(6.0∼7.0㎜의 크기의 티백 형상의 봉투체에, 스워스키 이리응애, 먹이응애, 밀기울을, 각각 250∼300마리, 1000∼2000마리, 3.0g 수용한 것) 및 산란부(13)(6.0∼7.0㎜의 크기의 티백 형상의 봉투체에, 탈지면을 30㎜×50㎜으로 컷하여 두께를 5㎜로 한 것을 수용한 것)를, 시트형상 기재를 골짜기 형상으로 접은 양측면 내측을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그 후, 본체부(11)를, 천적곤충 수용부(12) 및 산란부(13)가 포함된 상태로,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천적곤충 증식장치(10)를 제작했다.
제작한 천적곤충 증식장치(10)를, 에히메현 이요시의 레몬재배 하우스에서, 5월에, 레몬 나무 가지에 한 나무당 10개 매달았다. 1개월 및 2개월 후의 스워스키 이리응애의 개체수 및 알수(장치 1개당 평균수)를 카운트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천적곤충으로서, 스워스키 이리응애에 대신하여, 미야코이리응애를 수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게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산란부(13)에 있어서의 탈지면을, 30㎜×50㎜으로 컷하고, 두께를 3㎜로 한 펠트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게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산란부(13)에 있어서의 탈지면을, 직경이 2∼3㎜의 털실을 긴 지름이 5㎝로, 짧은 지름이 5㎜의 편평한 럭비볼 형상으로 한 것으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게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산란부(13)를 이용하지 않고, 본체부(11) 중에, 천적곤충 수용부(12)만을 수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게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산란부(13)를 이용하지 않고, 본체부(11) 중에, 천적곤충 수용부(12)만을 수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게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10 : 천적곤충 증식장치
11 : 본체부
12 : 천적곤충 수용부
13 : 산란부
14 : 설치부
21 : 빈틈
24 : 설편
34 : 컷팅 자국

Claims (8)

  1.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을 증식시키는 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공간에 배치된, 천적곤충이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천적곤충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공간에, 상기 천적곤충 수용부와 병설된, 천적곤충이 산란 가능한 산란부를 구비한 천적곤충 증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설치 대상인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더 구비한 천적곤충 증식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적곤충 수용부는, 티백 형상의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단독, 또는 상기 천적곤충과 상기 천적곤충의 증식에 필요한 먹이와의 조합이 수용된 것인 천적곤충 증식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티백 형상의 봉투체 내에, 털실, 펠트, 헴프사, 마제 뿌리감는 시트, 수예면, 간극시트 또는 탈지면을 괴상(塊狀)으로 형성된 것이 수용된 것인 천적곤충 증식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제의 시트형상의 기재를, 단책 형상으로 타발, 조립함으로써,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형성된 천적곤충 증식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대략 사각형상을 가지며, 그 사각형상의 상변을 제외하고, 다른 3변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기재에 연결한 부분을 관통하는 연속한 컷팅 자국이 형성되며, 또 상기 다른 3변의 컷팅 자국 중 좌우 2변의 컷팅 자국이 서로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의 톱 형상을 가지고, 상기 사각형상의 상변을 남기고 상기 3변의 컷팅 자국을 떼어냄으로써, 상기 설치 대상을 상기 기재와의 사이에서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지 할 수 있는 설편(舌片)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천적곤충 증식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천적곤충이 상기 공간에서 외부로 나오는 것이 가능한 빈틈을 가지는 천적곤충 증식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적곤충은, 이리응애류인 천적곤충 증식장치.
KR1020167006207A 2013-08-13 2013-08-13 천적곤충 증식장치 KR101688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1851 WO2015022726A1 (ja) 2013-08-13 2013-08-13 天敵昆虫増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265A true KR20160032265A (ko) 2016-03-23
KR101688785B1 KR101688785B1 (ko) 2016-12-21

Family

ID=5246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207A KR101688785B1 (ko) 2013-08-13 2013-08-13 천적곤충 증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81334B1 (ko)
KR (1) KR101688785B1 (ko)
WO (1) WO20150227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969A (ko) * 2020-04-03 2021-10-1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외부유출이 없는 이리응애 품질 관리기
KR102626445B1 (ko) * 2022-07-26 2024-0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식성 응애류 사육을 위한 사육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0100B2 (ja) * 2015-05-22 2020-05-27 石原産業株式会社 天敵昆虫の保護装置
CN105028333B (zh) * 2015-06-25 2017-07-21 吉林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人工室内大量饲养果梢斑螟的方法
JP6016995B1 (ja) * 2015-07-27 2016-10-26 アリスタライフサイエンス株式会社 防護カバー
JP7032628B2 (ja) * 2016-08-22 2022-03-09 石原産業株式会社 天敵生物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503A (ko) * 2005-07-06 2007-01-10 아리스타 라이후사이엔스 가부시키가이샤 곤충의 우화 및 짝짓기 촉진 방법 및 장치
KR100732601B1 (ko) * 2007-01-30 2007-06-27 주식회사 세실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의 장기 지속 방사용 구조체, 및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JP2007325541A (ja) 2006-06-08 2007-12-20 Arysta Lifescience Corp 天敵昆虫の増殖装置及び使用方法
JP2013252123A (ja) * 2011-06-24 2013-12-19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ハダニ類の天敵昆虫の飼育方法及び飼育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433A (ja) * 1989-09-21 1991-05-08 Hokkaido Univ 微小天敵カブリダニ類の増殖に好適な容器と、この容器を用いた天敵カブリダニ類の大量増殖法と、この容器を用いた天敵カブリダニ類の保存あるいは輸送方法
JP2005185222A (ja) * 2003-12-26 2005-07-14 Cats Agrisystems:Kk 天敵生物の放飼用袋
JP3945519B2 (ja) * 2004-06-21 2007-07-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被処理体の熱処理装置、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NZ555985A (en) * 2004-12-31 2009-11-27 Koppert Bv Mite composition,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phytoseiid predatory mite, rearing system, for rearing said phytoseiid predatory mite and methods for b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KR100720977B1 (ko) * 2006-09-29 2007-05-23 주식회사 세실 천적류 방사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503A (ko) * 2005-07-06 2007-01-10 아리스타 라이후사이엔스 가부시키가이샤 곤충의 우화 및 짝짓기 촉진 방법 및 장치
JP2007325541A (ja) 2006-06-08 2007-12-20 Arysta Lifescience Corp 天敵昆虫の増殖装置及び使用方法
KR100732601B1 (ko) * 2007-01-30 2007-06-27 주식회사 세실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의 장기 지속 방사용 구조체, 및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JP2013252123A (ja) * 2011-06-24 2013-12-19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ハダニ類の天敵昆虫の飼育方法及び飼育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969A (ko) * 2020-04-03 2021-10-1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외부유출이 없는 이리응애 품질 관리기
KR102626445B1 (ko) * 2022-07-26 2024-0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식성 응애류 사육을 위한 사육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22726A1 (ja) 2017-03-02
WO2015022726A1 (ja) 2015-02-19
KR101688785B1 (ko) 2016-12-21
JP5681334B1 (ja)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785B1 (ko) 천적곤충 증식장치
KR100720977B1 (ko) 천적류 방사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JP6901098B2 (ja) 天敵昆虫の保護装置
EP2232986A2 (en) Mite composition, the rearing thereof and methods for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in biological control systems
KR100732601B1 (ko)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의 장기 지속 방사용 구조체, 및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KR20140145156A (ko)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Leman et al. The omnivorous predator Macrolophus pygmaeus, a good candidate for the control of both greenhouse whitefly and poinsettia thrips on gerbera plants
McQuate et al. Assessment of attractiveness of plants as roosting sites for the melon fly, Bactrocera cucurbitae, and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US11324223B2 (en) System for releasing beneficial mites and uses thereof
Nakahira et al. Side effects of vegetable pesticides on a predatory mirid bug, Pilophorus typicus Distant (Heteroptera: Miridae)
Ferla et al. Functional response of Phytoseiulus macropilis under different Tetranychus urticae (Acari: Phytoseiidae, Tetranychidae) population density in laboratory
WO2019017776A1 (en) SYSTEM FOR RELEASING USEFUL MITES AND USES THEREOF
JP5960440B2 (ja) 天敵昆虫増殖装置
CN101146447B (zh) 用于提高避难所效率的方法
JP3760142B2 (ja) 捕食性昆虫リュウキュウツヤテントウを用いた生物農薬、そ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用いる人工採卵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防除法
Woolfolk et al. Multiple orifice distribution system for placing green lacewing eggs into verticel larval rearing units
Sukhoruchenko et al. Effects of Luna® tranquility fungicide on arthropod pests and predatory mites in protected grounds
Okolle et al. Evaluation of selected insecticides for managing larvae of Erionota thrax and effects on its parasitoid (Brachymeria albotibialis)
US20200029559A1 (en) Three-dimensional insect repelling sheet for controlling grain-storage insect pests
Funichello et al. Effect of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cotton cultivars on the development and survival of Pseudoplusia includens (Walker)(Lepidoptera: Noctuidae)
Souza-Pimentel et al. Interspecific Interaction Between Phytoseiulus macropilis and Neoseiulus californicus (Acari: Phytoseiidae) Preying on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nychidae) on Rosebush Growing in Greenhouse
WO2024096734A1 (en) System for storing and releasing beneficial arthropods and methods for its use and production
Sharma et al. Residual toxicity of different insecticides against tobacco caterpillar
Nakahira et al. Systemic nicotinoid toxicity against the predatory mirid Pilophorus typicus: residual side effect and evidence for plant sucking
RO128467B1 (ro) Metodă de control al unor agenţi dăunători în culturile de coacă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