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418A - Thermoplastic resin film - Google Patents

Thermoplastic resin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418A
KR20160031418A KR1020150126881A KR20150126881A KR20160031418A KR 20160031418 A KR20160031418 A KR 20160031418A KR 1020150126881 A KR1020150126881 A KR 1020150126881A KR 20150126881 A KR20150126881 A KR 20150126881A KR 20160031418 A KR20160031418 A KR 20160031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weight
monomer unit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9314B1 (en
Inventor
사토시 아카이시
가츠미 아카다
다카유키 시라이시
임대균
김동휘
아야노 진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7972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3141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4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thermoplastic resin film which has an excellent heat-resisting property, and is hard to be shrunk at high temperatures and fractured by elongation, thereby being suitable for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Provided is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consisting of: a resin (A) contain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and a resin (B) containing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but no aromatic vinyl monomer unit. The resin (A) contains 50 wt% or more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 per 100 wt% of all monomer units composing the resin (A), and the resin (B) contains 50 wt% or mor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per 100 wt% of all monomer units composing the resin (B). A ratio of the weight of the resin (B) (W_B) to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content in the resin (A) (W_A) (W_B/W_A) is higher than 1.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필름{THERMOPLASTIC RESIN FILM}[0001] THERMOPLASTIC RESIN FILM [0002]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며, 그것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relates to a stretched film an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formed by stretching the same.

액정 표시 장치는 통상, 편광판을 갖추고 있고, 편광판으로서 통상,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것이 이용되고 있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usually has a polarizing plate an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a polarizer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er made of a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in which a dichroic dye is normally adsorbed and aligned .

액정 표시 장치는, 예컨대, 자동차의 차 실내 등의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있고, 편광자는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기 쉬운 성질이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또한 편광자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기 어려운 편광자 보호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often used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such as a car interior of an automobile and the polarizer has a property of being easily shrunk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refor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 polarizer protective film which is difficult to shrink is required.

일반적으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그대로 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이 이용된다. 특허문헌 1에는, (메트)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비닐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락톤환 단량체 단위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연신에 의해 파단되기 쉬운 경우가 있어, 연신시의 핸들링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In general,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stretched film made by stretch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or a thermoplastic resin film is used.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a stretched film obtained by stretch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meth) acrylic acid monomer unit, a vinyl aromatic monomer unit and a lactone ring monomer unit is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described in 1 was susceptible to breakage by stretching and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handling properties at the time of stretching.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7-6354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63541

본 발명자들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기 어려우며, 또한 연신에 의해 파단되기 어려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공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intensively studied to provide a thermoplastic resin film which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is difficult to shrink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is hardly broken by stretching, and has reach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1]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A)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B)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1]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resin (A) compris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and a thermoplastic resin contain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a resin (B) containing no aromatic vinyl monomer unit As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수지 (A)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고, Wherein the resin (A) is a resin having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content of 50 wt% or more based on 100 w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A)

수지 (B)가, 수지 (B)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며, Wherein the resin (B) is a resin hav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content of 50%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B)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대한 수지 (B)의 중량(WB)의 비(WB/WA)가 1보다 큰 열가소성 수지 필름. Wherein the ratio (W B / W A ) of the weight (W B ) of the resin (B) to the content (W A )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in the resin ( A )

[2]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고무 탄성체 입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1]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ccording to [1], wherein the resin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rubber elastomer particles.

[3] 수지 (A)가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elt mass flow rate)가 1.2 g/10 min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resin (A) further comprises a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 and the melt mass flow rate of the resin composition is 1.2 g / Thermoplastic resin film.

[4] [1]∼[3]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4] A stretched film obtained by stretch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5] [1]∼[3]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4]에 기재한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 [5] A polarizer protective film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according to [1] to [3] or a stretched film according to [4].

[6]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5]에 기재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편광판. [6] A polarizer comprising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5]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a polarizer.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기 어려우며 또 연신에 의해 파단되기 어려운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 또한 편광자의 한쪽의 면에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ermoplastic resin film which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is difficult to shrink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is hard to be broken by stretching, and a stretched film obtained by stretching i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er protective film made of such a thermoplastic resin film or a stretched film and to provide a polarizer in whic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이 수지 조성물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A)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B)를 함유하는 것이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sin composition, wherein the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 resin (A) compris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and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B) that does not contain a monomer unit.

〔수지 (A)〕[Resin (A)]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 (A)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The resin (A) constituting the resin composition is a resin contain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단위이다.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tert-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등의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1∼8의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에스테르 단량체를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1∼7의 알킬에스테르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수지 (A)의 내열성이나 투명성의 점에서, 메타크릴산메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s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Example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tert- , 2-ethylhex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and other alkyl or cycloalkyl ester monomers having 1 to 8 carbon atoms in methacrylic acid. Two or more kinds of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mong them, an alkyl ester monomer having 1 to 7 carbon atoms in methacrylic acid is preferable, and methyl methacrylate is more preferable in view of the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of the resin (A).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중량%∼40 중량%이며, 수지 (A)의 투명성의 점에서, 5 중량%∼35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중량%∼3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15 중량%∼25 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content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in the resin (A) is preferably 5% by weight to 4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A)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5% by weight to 35%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from 10% by weight to 30% by weight, and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15% by weight to 25% by weight.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단위이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방향환에 무치환 비닐기 또는 치환 비닐기가 결합한 구조를 갖춘 단량체를 의미한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 (1)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 is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 monom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romatic vinyl monomer means a monom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unsubstituted vinyl group or substituted vinyl group is bonded to an aromatic ring. Specific examples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 include the following 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Wherein R 1 and R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 hydroxyl group, an alkoxy group, a nitro group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d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3)

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And the like.

식 (1)에서의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및 브롬 원자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2-에틸헥실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으며, 탄소수 1∼4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halogen atom in the formula (1) include a fluorine atom, a chlorine atom and a bromine atom. Examples of the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nclude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such as a methyl group, ethyl group, n-propyl group, isopropyl group, n-butyl group, isobutyl group, , And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is preferable, and a methyl group is more preferable.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고, n은 바람직하게는 1이다. R1 및 R2는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R 1 is preferably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R 2 is preferably a hydrogen atom, and n is preferably 1. R 1 and R 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2,5-디메틸스티렌, 2-메틸-4-클로로스티렌, 2,4,6-트리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cis-β-메틸스티렌, trans-β-메틸스티렌, 4-메틸-α-메틸스티렌, 4-플루오로-α-메틸스티렌, 4-클로로-α-메틸스티렌, 4-브로모-α-메틸스티렌, 4-tert-부틸스티렌, 2-플루오로스티렌, 3-플루오로스티렌, 4-플루오로스티렌, 2,4-디플루오로스티렌, 2-클로로스티렌, 3-클로로스티렌, 4-클로로스티렌, 2,4-디클로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2-브로모스티렌, 3-브로모스티렌, 4-브로모스티렌, 2,4-디브로모스티렌, α-브로모스티렌, β-브로모스티렌, 2-히드록시스티렌 및 4-히드록시스티렌 등을 들 수 있고,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다. Examples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include aromatic vinyl monomers such as styrene, 2-methylstyrene, 3-methylstyrene, 4-methylstyrene, 2,4-dimethylstyrene, 2,5-dimethylstyrene, ? -Methylstyrene,? -Methylstyrene,? -Methylstyrene,? -Methylstyrene,? -Methylstyrene,? -Methylstyrene, Styrene, 4-bromo -? - methylstyrene, 4-tert-butylstyrene, 2-fluorostyrene, 3-fluorostyrene, 4-fluorostyrene, 2,4-difluorostyrene, 4-chlorostyrene, 2,4-dichlorostyrene, 2,6-dichlorostyrene, 2-bromostyrene, 3-bromostyrene, 4-bromostyrene, 2,4-dibromo Styrene,? -Bromostyrene,? -Bromostyrene, 2-hydroxystyrene and 4-hydroxystyrene, and styrene and? -Methylstyrene are preferable. Two or more kinds of aromatic vinyl monom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수지 (A) 내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이러한 수지 (A)를 포함하기 때문에, 고온 환경에서의 치수 안정성의 점에서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된다. 수지 (A) 내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투명성, 내열성 및 고온 환경에서의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중량%∼8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중량%∼75 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중량%∼70 중량%이다. The content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s in the resin (A) is 50%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A). Since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such a resin (A), it becomes a thermoplastic resin film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 content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 in the resin (A) is preferably 50% by weight to 80% by weight from the viewpoints of transparency,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55% by weight to 75%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60% by weight to 70% by weight.

수지 (A)는, 바람직하게는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는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로부터 유도된다.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 (2) The resin (A) preferably includes a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 The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s are derived from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s.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 include a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식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Wherein R 3 and R 4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a phenyl group)

로 표시되는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And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식 (2)에 서의 할로겐 원자 및 탄소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각각 식 (1)에서 상기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halogen atom and the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n the formula (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ormula (1).

R3 및 R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R3 및 R4는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R 3 and R 4 are preferably hydrogen atoms. R 3 and R 4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무수말레산, 무수시트라콘산, 디메틸무수말레산, 디클로로무수말레산, 브로모무수말레산, 디브로모무수말레산, 페닐무수말레산 및 디페닐무수말레산을 들 수 있고, 무수말레산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다. Examples of the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include maleic anhydride, citraconic anhydride, dimethyl maleic anhydride, dichloro maleic acid, bromomeric maleic acid, dibromomeric maleic acid, phenyl maleic anhydride and diphenyl maleic anhydride. And maleic anhydride is preferable. Two or more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수지 (A) 내의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수지 (A)의 투명성 및 내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중량%∼30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25 중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중량%∼20 중량%이다. The content of the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s in the resin (A) is preferably 5%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5%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5% by weight or less, 30%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by weight to 25% by weight,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 by weight to 20% by weight.

수지 (A)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상술한 단량체 단위, 즉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그리고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 이외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여도 좋다. 상술한 단량체 단위 이외의 단량체 단위는, 상술한 단량체 단위를 유도하는 단량체 중 적어도 1종의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단위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3종의 단량체 단위를 유도하는 단량체 전부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단위이다. 상술한 단량체 단위 이외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The resin (A) may contain monomer unit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monomer units, that is, methacrylate ester monomer units, aromatic vinyl monomer units and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s, so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aired. The monomer units other than the monomer units described above are monomer units derived from monomers capable of copolymerizing with at least one monomer among the monomers that derive the monomer units described above. Preferably, the above three monomer units Is a monomeric unit derived from a monomer capable of copolymerizing with all of the monomers to be derived.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s other than the monomer unit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5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further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relative to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A) By weight is not more than 10% by weight.

수지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성형시 또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연신시의 필름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000∼30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25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00∼200,000이다.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resin (A) is preferably from 90,000 to 300,000, more preferably from 100,000 to 300,000, from the viewpoint of handling of the film during molding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stretching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250,000, and more preferably from 110,000 to 200,000.

수지 (A)는, 각각의 단량체를, 괴상중합법, 용액중합법, 유화중합법, 현탁중합법, 주형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단량체의 사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수지 (A) 내의 각각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The resin (A) can be produced by polymerizing each monomer by a known method such as a bulk polymerization method,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a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and a template polymerization method. By changing the amount of monomer used , The content of each monomer unit in the resin (A) can be adjusted.

〔수지 (B)〕[Resin (B)]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 (B)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이다. The resin (B) constituting the resin composition is a resin contain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not containing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유도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수지 (A)에서 상기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메타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여도 좋다. Example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for deriving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nclude the same ones as described above in the resin (A), and m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e. Two or mor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may be contained.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와, 수지 (B)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n the resin (A) and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n the resin (B) are the same.

수지 (B)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B)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이다. The content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in the resin (B) is 50%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70% by weight or more, relative to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B) Is 90% by weight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5% by weight.

수지 (B)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즉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0(제로) 중량%인 수지이지만,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가 아닌 다른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여도 좋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벤질,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The resin (B) is a resin that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that is, a resin having a content ratio of aromatic vinyl monomer units of 0 (zero)% by weight, but other monomers other than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Unit may be included. Examples of other monomers include acrylic acid ester monomers such a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phenyl acrylate, benz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and 2-hydroxyethyl acrylate;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등의 무치환 또는 치환 스티렌 단량체; Non-substituted or substituted styrene monomers such as styrene, vinyl toluene,? -Methyl styrene, chlorostyrene, and bromostyrene;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s such as methacrylic acid and acrylic acid; Unsaturated nitrile monomer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무수말레산 등의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s such as maleic anhydride;

페닐말레이미드,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환상 이미드 단량체를 들 수 있고,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Cyclic imide monomers such as phenylmaleimide and cyclohexylmaleimide, and acrylic acid ester monomers are preferred.

수지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성형시 또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연신시의 필름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000∼30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25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00∼200,000이다.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resin (B) is preferably from 90,000 to 300,000, more preferably from 100,000 to 300,000, from the viewpoint of the handling of the film during molding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stretching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250,000, and more preferably from 110,000 to 200,000.

수지 (B)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단량체를, 괴상중합법, 용액중합법, 유화중합법, 현탁중합법, 주형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The resin (B) can be produced by polymerizing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if necessary, other monomers by a known method such as a bulk polymerization method,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a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and a template polymerization method .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필름〕[Thermoplastic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수지 (A)와 수지 (B)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resin (A) and a resin (B).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대한 수지 (B)의 중량(WB)의 비(WB/WA)가 1보다 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WB/WA가 1보다 크기 때문에, 연신시의 파단이 발생하기 어려운, 핸들링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된다. 비(WB/WA)는 1.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통상은 30 이하이다.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atio (W B / W A ) of the weight (W B ) of the resin (B) to the content (W A )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in the resin ( A ) In the case of the resin composition, since the W B / W A is larger than 1,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s excellent in handleability and hardly broken at the time of stretching. The ratio (W B / W A ) is more preferably 1.5 or more, and usually 30 or less.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내에 있어서의 수지 (A) 및 수지 (B)의 함유량은,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따라서 상기 비(WB/WA)를 만족하도록 적절하게 선택되는데, 예컨대 수지 (A) 및 수지 (B)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한 수지 (A)의 함유량은, 통상 10 중량부∼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75 중량부이며, 수지 (B)의 함유량은, 통상 20 중량부∼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80 중량부이다. The content of the resin (A) and the resin (B) in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n the resin (A) (W A) the ratio (W according to the there is suitably selected so as to satisfy the B / W a), 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resin (a) and the resin (B) a resin (a)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is usually 10 parts by weight to 80 parts by weight, preferably 20 to 75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resin (B) is usually 20 to 90 parts by weight, preferably 25 to 80 parts by weight.

수지 조성물은, 수지 (A) 및 수지 (B)에 더하여 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고무 탄성체 입자로서는, 시판되는 고무 탄성체 입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우케미컬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파라로이드TM」 EXL 시리즈, 가부시키가이샤 카네카에서 판매하고 있는 「카네에이스(등록상표)」 시리즈, 미쓰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하고 있는 「메타브렌」 C 시리즈, E 시리즈, W 시리즈, S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The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rubber elastomer particles in addition to the resin (A) and the resin (B). As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commercially available rubber elastomer particles can be used. Examples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nclude " PARAROID TM " EXL series sold by Dow Chemical Company, " Kane Ace (registered trademark) " series sold by KANEKA KABUSHIKI KAISHA, "Metabren" C series, E series, W series, and S series sold by Mitsubishi Rayon Co., Ltd. are examples.

고무 탄성체 입자의 입자경은, 예컨대 50 nm∼0.8 ㎛, 바람직하게는 0.1 ㎛∼0.5 ㎛이다. 고무 탄성체 입자의 입자경이 50 nm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을 필름으로 가공할 때 등에, 그 유동성이 저하하기 쉽다. 입자경이 0.8 ㎛를 넘으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부 헤이즈가 높아지기 쉽다. 고무 탄성체 입자의 입자경은, 전자현미경의 관찰에 의해 수평균 분자량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s, for example, 50 nm to 0.8 m, preferably 0.1 m to 0.5 m.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s less than 50 nm, the fluidity of the rubber composition tends to deteriorate when the resin composition is processed into a film. If the particle diameter exceeds 0.8 占 퐉, the internal haze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ends to be high.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can be measured 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by observation of an electron microscope.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A) 및 수지 (B)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2 중량부∼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35 중량부이다. The content of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is usually 2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to 3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resin (A) and the resin (B).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따라서, 수지 (A)와 수지 (B)를, WB/WA가 1보다 커지도록 배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은 후,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필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을, 용액유연제막법이나 열프레스법 등에 의해 필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mixing the resin (A) and the resin (B) in such a manner that W B / W A is larger than 1, depending on the content (W A ) of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in the resin To obtain a resin composition, and th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formed into a film by a melt extrusion molding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the resin composition by a film forming method such as a solution softening film method or a hot press metho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produce a thermoplastic resin film by a melt extrusion molding method.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이하 설명을 더 한다. 수지 (A)와 수지 (B)를 WB/WA가 1보다 커지도록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후술하는 다른 성분을 가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고, 이어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일축 혹은 이축의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련하고, 그리고, T 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용융 수지를 필름형으로 압출하고, 또한, 압출된 필름형의 용융 수지를, 한 쌍의 표면이 평활한 냉각 롤(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 사이에 끼워넣고, 필요에 따라서 또 제3 냉각 롤에 감아, 성형·냉각함으로써, 미연신 상태로 장척형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수지 (A), 수지 (B) 및 다른 성분의 배합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배합하면 되며, 수퍼 믹서나 벤버리 믹서를 이용하여도 좋고, 일축 혹은 이축의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도 좋고, 이들을 조합시켜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냉각 롤, 제2 냉각 롤 및 제3 냉각 롤은, 금속 롤 또는 금속 탄성 롤로 구성하여도 좋고, 금속 롤과 금속 탄성 롤을 조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A method for produc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lt extrusion molding will be described below. The resin (A) and the resin (B) are combined so that W B / W A is larger than 1, and if necessary, other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are added to obtain a resin composition. The obtained resin composition is then extruded into a single- And the molten resin is extruded continuously from the T-die in the form of a film, and the extruded film-like molten resin is melt-kneaded by a cooling roll (a first cooling roll and a second cooling Roll), and if necessary, it is wound around a third cooling roll, followed by molding and cooling, whereby an elongated thermoplastic resin film can be produced in an unstretched state. The mixing method of the resin (A), the resin (B) and other components is not limited, and may be blended by known methods, and may be either a super mixer or a Benbury mixer or may be melt-kneaded by a single screw or twin screw extruder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The first cooling roll, the second cooling roll and the third cooling roll may be constituted by a metal roll or a metal elastic roll, or a combination of a metal roll and a metal elastic roll.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수지 (A) 및 수지 (B)를 함유하고, 또한 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경우에는, 수지 (A), 수지 (B) 및 고무 탄성체 입자를 배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은 후, 상기와 같이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필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용액유연성막법, 열프레스법 등에 의해 필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융압출성형법이다.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oplastic resin film containing the resin (A) and the resin (B) and further containing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the resin (A), the resin (B) To obtain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then forming the film by melt extrusion molding as described above. Further, it may be produced by a method such as film formation by a solution flexible film method or a hot press method. It is preferably a melt extrusion molding method.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수지 (A) 및 수지 (B)를 함유하고, 또한 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경우에,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이하 설명을 더 한다. 수지 (A)와 수지 (B)와 고무 탄성체 입자를 WB/WA가 1보다 커지도록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후술하는 다른 성분을 가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고, 이어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일축 혹은 이축의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련하고, 그리고, T 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용융 수지를 필름형으로 압출하고, 또한 압출된 필름형의 용융 수지를, 한 쌍의 표면이 평활한 냉각 롤(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 사이에 끼워넣고, 필요에 따라서 또 제3 냉각 롤에 감아, 성형·냉각함으로써, 미연신 상태에서 장척형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수지 (A), 수지 (B), 고무 탄성체 입자 및 다른 성분의 배합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배합하면 되며, 수퍼 믹서나 벤버리 믹서를 이용하여도 좋고, 일축 혹은 이축의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도 좋고, 이들을 조합시켜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냉각 롤, 제2 냉각 롤 및 제3 냉각 롤은, 금속 롤 또는 금속 탄성 롤로 구성하여도 좋고, 금속 롤과 금속 탄성 롤을 조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oplastic resin film containing a resin (A) and a resin (B) and further containing rubber elastomer particles, a method of produc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lt extrusion molding Will be described below. The resin (A), the resin (B) and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are combined so that W B / W A is larger than 1, and if necessary, other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are added to obtain a resin composition. Melt-kneaded by a twin-screw extruder, and the molten resin is extruded continuously from the T-die in a film form, and the extruded film-type molten resin is cooled on a pair of cooling rolls A second cooling roll) and, if necessary, further wound on a third cooling roll, followed by molding and cooling, whereby an elongated thermoplastic resin film can be produced in an unstretched state. The mixing method of the resin (A), the resin (B),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and the other components is not limited and may be blended by known methods, and may be a super mixer or a Benbury mixer, Or may be blended in combination. The first cooling roll, the second cooling roll and the third cooling roll may be constituted by a metal roll or a metal elastic roll, or a combination of a metal roll and a metal elastic roll.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수지 (A) 및 수지 (B) 이외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광확산제, 무광택제, 염료,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및 그 밖의 수지(수지 (A) 및 수지 (B) 이외의 수지)를 들 수 있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omponents other than the resin (A) and the resin (B). Examples of other components include a light diffusing agent, a matting agent, a dye, a ligh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 releasing agent, a flame retardant, an antistatic agent and other resins (resins other than the resin (A) and the resin (B) .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이하, 자외선 흡수제 X라고 함), 파장 320∼40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이하, 자외선 흡수제 Y라고 함)를 포함한다. The thermoplastic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an ultraviolet absorber, more preferably an ultraviolet absor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ultraviolet absorber X)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200 to 320 nm,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320 to 400 nm (Hereinafter referred to as ultraviolet absorber Y).

자외선 흡수제 X로서는,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및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를 예로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X include a 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200 to 320 nm, a benzophenone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200 to 320 nm, a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200 to 320 nm Absorbing agent, a benzoate-based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200 to 320 nm, and a cyanoacrylate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200 to 320 nm.

자외선 흡수제 X로서는, 예컨대 As the ultraviolet absorber X, for example,

2,4-디페닐-6-(2-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6-디페닐-4-(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벤질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 Methoxyphenyl) -1,3,5-triazine, 2,4-diphenyl-6- (2-hydroxy-4-ethoxy Phenyl) -1,3,5-triazine, 2,4-diphenyl- (2-hydroxy-4-propoxyphenyl) -1,3,5-triazine, 2,4- -Butoxyphenyl) -1,3,5-triazine, 2,4-diphenyl-6- (2-hydroxy-4-butoxyphenyl) , 2,6-diphenyl-4- (2-hydroxy-4-hexyloxyphenyl) -1,3,5-triazine, 2,4- Triazine, 2,4-diphenyl-6- (2-hydroxy-4-dodecyloxyphenyl) -1,3,5-triazine, Phenyl-6- (2-hydroxy-4-benzyloxyphenyl) -1,3,5-triazine, 2,4- Triazin-2-yl) -5- (2- (2-ethylhexahydroxyphenyl) -1,3,5- Nonyloxy) ethoxy) phenol,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타데실옥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2-(2-히드록시-3,5-디-tert-펜틸페닐)벤조트리아졸, 2,4-dihydroxybenzophenone, 2-hydroxy-4-methoxybenzophenone, 2-hydroxy-4-n-octyloxybenzophenone, 2-hydroxy-4-dodecyloxybenzophenone, 2 -Hydroxy-4-octadecyloxybenzophenone, 2,2'-dihydroxy-4-methoxybenzophenone, 2,2'-dihydroxy-4,4'-dimethoxybenzophenone, 2,2 4,4'-tetrahydroxybenzophenone 2- (2-hydroxy-3,5-di-tert-pentylphenyl) benzotriazole,

2,4-디-tert-부틸페닐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6-디-tert-부틸페닐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n-헥사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n-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Di-tert-butylphenyl 3 ', 5'-di-tert-butyl-4'-hydroxybenzoate, 2,6- Butyl-4-hydroxybenzoate, n-hexadecyl 3,5-di-tert-butyl-4-hydroxybenzoate, n-octadecyl 3,5- Eight,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2-시아노-3-(3,4-메틸렌디옥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2-ethylhexyl 2-cyano-3,3-diphenylacrylate and ethyl 2-cyano-3- (3,4-methylenedioxyphenyl) acrylate.

자외선 흡수제 Y로서는, 파장 320∼40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파장 320∼40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파장 320∼40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Y include a 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320 to 400 nm, a benzophenone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320 to 400 nm and a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a wavelength of 320 to 400 nm Absorbent agent.

자외선 흡수제 Y로서는, 예컨대 As the ultraviolet absorber Y, for example,

2,4,6-트리스(2-히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6-tris (2-hydroxy-4-hexyloxy-3-methylphenyl) -1,3,5-triazine,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dihydroxy-4-methoxybenzophenone, 2,2'-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 (2-hydroxy-5-methylphenyl) benzotriazole, 2- (2-hydroxy-3,5-di-tert- butylphenyl) benzotriazole, 2- -Butyl-5-methylphenyl) benzotriazole,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2- (2-hydroxy-3,5-di-tert-but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 (2- Methylphenyl) benzotriazole, 2,2'-methylenebis (4- (1,1,3,3-tetramethylbutyl) -6- (2H-benzotriazol- ), 2- (2-hydroxy-3,5-di-tert-but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and 2- Chlorobenzotriazole, and the like.

2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 X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 Y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다. 유사 구조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 X와 자외선 흡수제 Y를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고, 유사 구조를 갖지 않는 자외선 흡수제 X와 자외선 흡수제 Y를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필름 성형시의 증산물에 의한 성형기 주위의 오염이 적고 또한 자외선 흡수 능력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용융 압출 성형시에 증발 비산하기 쉬운 자외선 흡수제와 용융 압출 성형시에 증발 비산하기 어려운 자외선 흡수제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wo or more ultraviolet absorbers X may be used in combination, or two or more ultraviolet absorbers Y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ultraviolet absorber X having the similar structure and the ultraviolet absorber Y may be used in combination or the ultraviolet absorber X having no similar structure and the ultraviolet absorber Y may be used in combination. In view of being able to obtain a thermoplastic resin film having little contamination around the molding machine due to the amount of the product during film forming and having excellent ultraviolet ray absorbing ability,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bination of an ultraviolet absorbent which is easy to evaporate during melt extrusion molding, It is preferable to use a UV absorber that is difficult to combine.

자외선 흡수제 X 및 Y는, 분자량이 각각 50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7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X 및 Y의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성형 중에 증발 비산하기 쉽고, 분자량이 너무 크면,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하기 쉽다. The ultraviolet absorbers X and Y preferably have a molecular weight of 500 to 1000, more preferably 550 to 700. If the molecular weight of the ultraviolet absorbers X and Y is too small, evaporation and scattering tend to occur during molding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f the molecular weight is too large, compatibility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tends to decrease.

자외선 흡수제 X 및 Y는, 흡수 극대 파장에서의 몰 흡광 계수가, 각각 10 L/mol·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L/mol·c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X 및 Y의 흡수 극대 파장에서의 몰 흡광 계수가, 각각 상기 소정의 범위임으로써, 편광자 보호 필름의 자외선 흡수능은 보다 우수하는 것으로 되고,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에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을 적게 할 수 있다. The ultraviolet absorbers X and Y preferably have a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at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10 L / mol · cm or more, more preferably 15 L / mol · cm or more. When the molar extinction coefficients of the ultraviolet absorbers X and Y at the absorption maximum wavelengths are within the above ranges respectively, the ultraviolet absorptivity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more excellent and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Can be reduced.

시판되는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시판되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케미프로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Kemisorb 102」(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스타브 LAF70」(2,4,6-트리스(2-히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아데카스타브 LA46」(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 및 BASF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치누빈 1577」(2,4-디페닐-6-(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A commercially available ultraviolet absorber may b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include, for example, " Kemisorb 102 " (2,4-bis (2,4-dimethylphenyl) -6- (2-hydroxy- (2,4,6-tris (2-hydroxy-4-hexyloxy-3-methylphenyl) -1,3,5-triazine), ADEKASTAB LAF70 manufactured by ADEKA Triazine), "adecastab LA46" (2- (4,6-diphenyl-1,3,5-triazin- Ethylhexanoyloxy) ethoxy) phenol) and "Chinuvin 1577" (2,4-diphenyl-6- (2-hydroxy-4-hexyloxyphenyl) 5-triazine), and the like.

시판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스타브 LA31」(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케미프로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Kemisorb 279」(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및 스미카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의 「스미소브 200」(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As commercially available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s, for example, "Adekastab LA31" (2,2'-methylenebis (4- (1,1,3,3-tetramethylbutyl) -6- (2,2'-methylenebis (4- (1,1,3,3-tetramethylbutyl) phenol) manufactured by KEMIPRO Corporation, (2- (2-hydroxy-5-methylphenyl) benzotriazole) and the like of Sumika-Chemex Co., .

수지 (A)와 수지 (B)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통상은 180℃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7121:1987에 따라서,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가열 속도 10℃/분으로 구하는 보외(補外) 유리 전이 중간 온도를 의미한다.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0℃보다도 낮으면, 열가소성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고온 환경에 있어서 편광자의 수축을 억제하기 어렵게 되어, 편광판이 변형되거나, 편광자 보호 필름이 편광자로부터 박리되기 쉽게 되는 경우가 있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resin (A) and the resin (B) is preferably 100 占 폚 or higher, more preferably 115 占 폚 or higher, and usually 180 占 폚 or low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ns an extrapolated glass transition intermediate temperature determined by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t a heating rate of 10 ° C / minute in accordance with JIS K7121: 1987.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sin composition is lower than 100 캜, it is difficult to suppress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when the thermoplastic film is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is deformed o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from the polarizer It may be easy.

수지 조성물의 230℃, 37.3 N에 있어서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FR)는, 0.8 g/10 min∼10 g/10 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0.9 g/10 min∼8 g/10 mi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g/10 min∼6 g/10 min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FR가 이 범위보다도 크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할 때에, 용융된 수지 조성물의 토출량의 안정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MFR가 이 범위보다도 작으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할 때에, 용융된 수지 조성물이 T 다이 내에서 균일하게 퍼지지 않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MFR는, 측정 온도 230℃, 하중 37.3 N의 조건으로 JIS K7210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resin composition at 230 캜 and 37.3 N is preferably 0.8 g / 10 min to 10 g / 10 min, more preferably 0.9 g / 10 min to 8 g / 10 min More preferably 1.0 g / 10 min to 6 g / 10 min. When the MFR is larger than this range, stability of the discharge amount of the molten resin composition may be impaired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s produced by melt extrusion molding. When the MFR is smaller than this range,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s produced by melt extrusion molding, the molten resin composition does not spread uniformly in the T-die, and the thickness precis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be lowered in some cases. The MF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JIS K7210 under the conditions of a measurement temperature of 230 占 폚 and a load of 37.3 N.

또한, 수지 (A)로서,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이용한 경우에, MFR가 1.2 g/10 min 이상인 것이, 용융 혼련시에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에 기인하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When the resin (A) further containing a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FR is 1.2 g / 10 min or more, the occurrence of bubbles due to the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do.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100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5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300 ㎛이다. 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0 탆 to 1000 탆, more preferably 20 탆 to 500 탆, and still more preferably 20 탆 to 300 탆.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필름의 두께 40 ㎛로 환산한 파장 260 nm 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며, 필름의 두께 40 ㎛로 환산한 파장 380 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260 nm in terms of a film thickness of 40 탆, preferably 2% or less, and a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in terms of a film thickness of 40 탆 Is less than 5%.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단층 구성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2층 이상의 다층 구성의 필름이라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다층 구성의 필름인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조성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조성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조성의 수지 조성물이란, 함유하는 수지의 종류가 다른 것, 수지의 종류는 동일하지만 각 수지의 함유량이 다른 것, 수지의 종류나 함유량은 동일하지만 그 밖의 성분이 다른 것 등, 어느 경우나 포함한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film having a single layer structure, but may be a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s a multilayer film, each layer may be formed of a resin composition having the same composition or may be formed of a resin composition of a different composition.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other composition means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different kinds of resins and different types of resins but different kinds of resins and different kinds of resins, do.

〔본 발명의 연신 필름〕[The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상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이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로,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서 수축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연신되어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다. The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obtained by stretch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hardly shrinks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is therefore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because it is stretched.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일축 연신하는 방법 및 이축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축 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축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축차 이축연신법 및 동시 이축연신법을 들 수 있다. 연신 방향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기계 유동 방향을 들 수 있고, 기계 유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및 기계 유동 방향에 사교(斜交)하는 방향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은 1.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계 유동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고, 이 세로 방향의 연신을 세로 연신이라고 정의하고, 기계 유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 이 가로 방향의 연신을 가로 연신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기계 유동 방향이란,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장척형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수지 조성물이 용융 상태에서 필름으로 제막되면서 반송되는 방향을 말한다. Examples of the method for stretch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method of uniaxial stretching and a method of biaxial stretching. Among them, a biaxial stretching method is preferable. Examples of the biaxial stretching method include a biaxial stretching method and a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ethod. Examples of the stretching direction include a machine direc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chine flow direction and a direction oblique to the machine flow direction.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referably 1.1 to 3 time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chine direction is defined as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efined as longitudinal stretching,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chine flow direction is defined as transverse direction and transverse direction is defined as transverse stretching. The direction of the machine flow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resin composition is transported while being formed into a film in a molten state in the case of producing an elongated thermoplastic resin film by melt extrusion molding.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으며, 표면 처리로서는 하드코트 처리, 방현 처리 및 방오 처리를 들 수 있다. The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Examples of the surface treatment include hard coat treatment, antiglare treatment and antifouling treatment.

〔편광자 보호 필름〕[Polarizer protective film]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모두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한쪽의 면에 배치하여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필름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편광자 보호 필름 이외에, 창문이나 카포트 지붕재 등의 건축용 채광 부재, 차창 등의 차량용 채광 부재, 온실 등의 농업용 채광 부재, 조명 부재, 전면 필터 등의 디스플레이 부재 등에 적층하여도 좋고, 또한 데코레이션 필름으로서, 가전의 케이스, 차량 내장 부재, 내장용 건축 재료, 벽지, 화장판, 현관 도어, 창틀, 받침목 등에 적층하여도 좋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suitable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a film used for protecting the polarizer by be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but also for a mining member for a building such as a window and a carport roofing material, a mining member for a vehicle such as a car window, a mining member for agriculture such as a greenhouse, A display member of a display, a decorating film may be laminated on a case of an electric appliance, a built-in vehicle, a building material for interior, a wallpaper, a veneer, a doorway, a window frame, a pedestal or the like.

〔편광판〕[Polarizing plate]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편광판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는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로서는 공지된 편광자를 들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통상 5 ㎛∼40 ㎛이다.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are bonded. As the polarizer, a known polarizer can be mentione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usually from 5 탆 to 40 탆.

편광자의 한쪽의 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을 배치하는 경우, 다른 쪽의 면에는 투명 수지 필름을 배치하여도 좋다. 투명 수지 필름과 편광자는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필름으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의 적층 필름 및 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Whe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 transparent resin film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resin film and the polarizer are bonded. Examples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include a triacetylcellulose film, a polycarbonate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 acrylic resin film, a laminated film of an acrylic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and an olefin resin film.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는 접착제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에 앞서서, 접합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조사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또는 그 밖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과 비교하여, 접착제로 편광자와 접합했을 때에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larizer are preferably bonded together with an adhesive. Prior to the bonding,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bonding surfaces is subjected to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irradiation treatment, electron beam irradiation treatment or other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dhesion strength when bonded to a polarizer by an adhesive as compared with a polarizer protective film compris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comprising a resin not containing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접착제는, 각각의 부재에 대하여 접착력을 발현하는 것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수계 접착제, 즉,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접착제 성분을 물에 분산시킨 것이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The adhesive may be arbitrarily selected from those exhibiting an adhesive force with respect to each member. Typically, an aqueous adhesive, that i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ntaining a component dissolving an adhesive component in water or dispersing an adhesive component in water, or a component cured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can be exemplified. Above all,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is preferable.

수계 접착제로서는,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이나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외에,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트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올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미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그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으로서 조제되는 경우가 많다. 접착제 수용액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중량부∼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s the water-based adhesive, a composition u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r a urethane resin as a main component is preferable. Whe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water-based adhesive, example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clude partially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and fully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as well as a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an acet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And 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s such as modified polyvinyl alcohol and amino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Whe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ed as an adhesive component, the adhesive is often prepared as an aqueous solution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the aqueous adhesive solution is preferably 1 part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 part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접착제에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글리옥살이나 수용성 에폭시 수지 등의 경화성 성분 또는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이나 트리에틸렌테트라민과 같은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아디프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과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폭시 수지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다오카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스미레즈레진 650」 및 「스미레즈레진 675」, 세이코 PM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WS-525」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성분 또는 가교제의 첨가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중량부∼5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첨가량이 적으면, 접착성 향상 효과가 작아지고, 한편 그 첨가량이 많으면, 접착제층이 취약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it is preferable to add a curing component such as glyoxal or a water-soluble epoxy resin or a crosslinking agent to an aqueous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as a main component. Examples of the water-soluble epoxy resin include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ng epichlorohydrin with polyamide polyamines obtained by reacting polyalkylene polyamines such as diethylene triamine and triethylene tetramine with dicarboxylic acids such as adipic acid And polyamine epoxy resins. As the polyamidepolyamine epoxy resin,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may be used. Examples thereof include "Sumirez Resin 650" and "Sumirez Resin 675" manufactured by DAOKAGAGAKU KABUSHIKI KAISHA, "WS-525" manufactured by Seiko PMC Corporation &Quot; and the like. The amount of the curable component or crosslinking agent added is preferably 1 part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 part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When the addition amount is small, the adhesive property improving effect is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dition amount is large, the adhesive layer may become fragile.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적당한 접착제조성물의 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와 글리시딜옥시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 수지이며, 그 안에 소량의 이온성 성분(친수 성분)이 도입된 것이다.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직접 수중에서 유화하여 에멀젼으로 되기 때문에, 수계의 접착제로서 바람직하다. When a urethane resin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water-based adhesive, a mixture of a polyester-based ionomer-type urethane resin and a compound having a glycidyloxy group can be mentioned as an example of a suitable adhesive composition. The polyester-based ionomer-type urethane resin is a urethane resin having a polyester skeleton, and a small amount of an ionic component (hydrophilic component) is introduced into the urethane resin. The ionomeric urethane resin is preferably used as an aqueous adhesive since it emulsifies directly in water without using an emulsifier.

활성화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그것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분(이하, 단순히 「경화성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으로서는,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이나 옥세탄 화합물과 같은 양이온 중합성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양이온 중합개시제가 배합된다. 또한, 아크릴계 화합물과 같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라디칼 중합개시제가 배합된다. 그 중에서도, 에폭시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의 하나로 하는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포화 탄소환에 직접 에폭시기가 결합하고 있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의 하나로 하는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것에 옥세탄 화합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When an activating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used, examples of the componen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curable component ") that is cured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constituting the component are an epoxy compound, an oxetane compound, have. When a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such as an epoxy compound or an oxetane compound is used,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blended. When a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 such as an acrylic compound is used,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dded. Among them, an adhesive that makes the epoxy compound one of the curable components is preferable, and an adhesive that makes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directly bonded to the saturated carbon ring as one of the curable components is more preferable. Further, an oxetane compou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rewith.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미쓰비시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에피코트」 시리즈, 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에피클론」 시리즈, 신닛테츠스미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에포토트」 시리즈,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레진」 시리즈, 나가세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데나콜」시리즈, 다우케미컬사 제조의 「다우에폭시」 시리즈, 닛산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테픽」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epoxy compound,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 Epikote " series manufactured by Mitsubishi Kagaku Kogyo Co., Ltd., " Epiclon " series manufactured by DIC K.K. "Adeka Resin" series manufactured by ADEKA, "DENARCOL" series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Corporation, "DOWEXOX" series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Co., Ltd., Nissan Kagaku Kogyo Co., Ltd., And " Tepic " of the manufacture.

포화 탄소환에 직접 에폭시기가 결합하고 있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다이셀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세록사이드」 시리즈 및 「사이클로머」 시리즈, 다우케미컬사 제조의 「사이라큐어」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to which the epoxy group is bonded directly to the saturated carbon r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Examples of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include " Cerocide " series and " Cyclomer " series manufactured by Gakkogou Kogyo Co., And " Sara Cure " series of manufacturing.

옥세탄 화합물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도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아론옥세탄」 시리즈, 우베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ETERNACOLL」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oxetane compound,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Examples of the oxetane compound include "AARON oxetane" series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ETERNACOLL" series manufactured by UBE CORPORATION.

양이온 중합개시제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닛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카야큐어」 시리즈, 다우케미컬사 제조의 「사이라큐어」 시리즈, 산아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광산발생제인 「CPI」 시리즈, 미도리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광산발생제인 「TAZ」, 「BBI」 및 「DTS」,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옵토마」 시리즈, 로디아사 제조의 「RHODORSIL」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may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 Kaya Cure " series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 Sara Cure " series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Co., TAZ "," BBI "and" DTS "manufactured by Midori Kagaku Kogyo Co., Ltd.," Adeka Optoma "series manufactured by ADEKA Corporation," RHODORSIL "series manufactured by Rhodia And the like.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광증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광증감제를 이용함으로써, 반응성이 향상되어, 경화물층의 기계 강도나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광증감제로서는, 예컨대,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유황 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및 디아조 화합물, 안트라센계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contain a photosensitizer as required. By using the photosensitizer, the reactivity is improv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cured layer can be further improved. Examples of the photosensitizer include carbonyl compounds, organic sulfur compounds, persulfates, redox compounds, azo and diazo compounds, anthracene compounds, halogen compounds, and photoreducation pigments.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에는, 그 접착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이온트랩제, 산화방지제, 연쇄이동제, 점착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접착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양이온 중합과는 별도의 반응 기구로 경화하는 경화성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Various kinds of additives may be added to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adhesiveness thereof.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an ion trap agent, an antioxidant, a chain transfer agent, a tackifier, a thermoplastic resin, a filler, a flow regulator, a plasticizer and a defoaming agent. Further, a curing component which is cured by a reaction mechanism other than the cation polymerization may be added within a range not deteriorating the adhesiveness.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동일한 조성이라도 다른 조성이라도 좋지만, 양자를 경화시키기 위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동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have the same composition or different compositions, but it is preferable to conduct the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for curing both of them at the same time.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컨대, X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용의 용이성, 그리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의 조제의 용이성, 안정성 및 경화 성능의 관점에서,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저압수은등, 중압수은등, 고압수은등, 초고압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include X-rays,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and the like. Among these, ultraviolet ray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ease of use, ease of preparation of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stability, and curing performance. Examples of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include low pressure mercury lamps, medium pressure mercury lamps, high pressure mercury lamps,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s, chemical lamps, black light lamps, microwave excited mercury lamps and metal halide lamps.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편광자 또는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도포막을 통해 편광자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중합시켜,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가 경화하여 편광자와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이 접착되어, 본 발명의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is applied to a polarizer 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oated film,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lymerized through the formed film to form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And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onded to each other to obtai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제층의 두께는, 1∼50 ㎛가 바람직하고, 1∼1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편광자 또는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 형성되는 도포막의 두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obtained by using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preferably 1 to 50 mu m, more preferably 1 to 10 mu m.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adjusted by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or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 셀에 접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액정 패널로 할 수 있다. 편광판과 액정 셀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점착제층을 통해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제층은,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관능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가 공중합된 아크릴 수지를 점착제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액정 셀에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liquid crystal panel bonded to a liquid crystal cell and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ar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generally formed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crylic acid ester as a main component and acrylic resin having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copolymerized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nent.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a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a liquid crystal cell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보호 필름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본 발명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 하에서도 편광자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can suppress shrinkage of the polarizer even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압출 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장치이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The extrusion apparatus used in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is the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the constitution is as follows.

압출기: 스크류 직경 65 mm, 일축, 벤트가 달린 압출기〔도시바기카이(주) 제조〕. Extruder: screw extruder having a screw diameter of 65 mm, uniaxial and vented (manufactured by Toshiba Machine Co., Ltd.).

T 다이: 폭 800 mm, 립 간격 1 mm의 멀티매니폴드형 다이〔히타치조센(주) 제조〕. T die: multi-manifold type die having a width of 800 mm and a lip interval of 1 mm (manufactured by Hitachi, Ltd.).

제1 냉각 롤: 금속 탄성 롤First cooling roll: Metal elastic roll

제2 냉각 롤: 금속 롤Second cooling roll: metal roll

제3 냉각 롤: 금속 롤Third cooling roll: metal roll

금속 탄성 롤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축 롤의 외주부를 덮도록 한쪽 면이 경면화된 두께 2 mm의 스테인리스강 제조의 박막을 경면 마무리면이 롤 외면이 되도록 배치하여, 축 롤과 금속성 박막과의 사이에 가열 매체유로 이루어지는 유체를 봉입한, 외경이 250 mm인 금속 탄성 롤이다. 금속 롤은, 표면을 경면 마무리한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 250 mm인 스파이럴 롤이다. The metallic elastic roll was prepared by disposing a thin film made of stainless steel having a thickness of 2 mm in which one side was mirror-finished so as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axial roll made of stainless steel so that the mirror finished surface became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 Is a metal elastic roll having an outer diameter of 250 mm, in which a fluid comprising a heating medium flow path is sealed. The metal roll is a spiral roll having an outer diameter of 250 mm, the surface of which is made of mirror-finished stainless steel.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

실시예 1∼실시예 6 및 비교예 1∼비교예 5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하에 기재한다. 각각의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해 구했다. 한편, 수지 A1, 수지 A2 및 수지 C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했다. 수지 B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환산으로 구했다. The thermoplastic resins used in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ill be described below.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each resin were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n the other hand, 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Resin A1, Resin A2 and Resin C were determined in terms of polystyren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resin B1 were determined in terms of 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A1: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Resin A1: A resin consisting of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 a styrene monomer unit and a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 which was prepared by copolymerizing methyl methacrylate, styrene and maleic anhydride.

수지 A1을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0 중량%이며,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65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15 중량%였다. The content of the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s was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of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A1, the content ratio of the styrene monomer units was 65%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s The ratio was 15% by weight.

또한, 수지 A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68,000이고, Mw/Mn은 2.2였다. The resin A1 ha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50,000,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68,000, and a Mw / Mn of 2.2.

수지 A2: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Resin A2: A resin comprising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 a styrene monomer unit, and a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 which was prepared by copolymerizing methyl methacrylate, styrene and maleic anhydride.

수지 A2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6 중량%이며,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57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17 중량%였다. The content of the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s was 2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of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A2, the content of the styrene monomer units was 57%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s The ratio was 17 wt%.

수지 A2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66,000이고, Mw/Mn은 2.3이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resin A2 was 150,000,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was 66,000, and Mw / Mn was 2.3.

수지 C: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Resin C: A resin consisting of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 a styrene monomer unit and a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 and was prepared by copolymerizing methyl methacrylate, styrene and maleic anhydride.

수지 C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39 중량%이고,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47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14 중량%였다. The content of the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s was 39%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styrene monomer units was 47%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s was 3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C. The ratio was 14% by weight.

수지 C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22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83,000이고, Mw/Mn은 2.6이었다.Resin C ha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220,000,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83,000, and a Mw / Mn of 2.6.

수지 B1: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아크릴산메틸을, 수지 B1을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97 중량%, 아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3 중량%가 되도록 배합하고, 중합시킨 후, 흡수 극대를 300 nm 및 342 nm에 갖는 자외선 흡수제 「스미소브 200」(스미카켐텍스사 제조)를 농도 120 ppm가 되도록 배합하고,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2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얻은 것을 이용한다. Resin B1: Resin B1: a resin composed of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 and a methyl acrylate monomer unit, wherein methyl methacrylate and methyl acrylate are mixed with 100 parts by mass of a total of 100 parts by mass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B1, Of a UV absorbing agent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300 nm and 342 nm ("Sumikabeck 200", manufactured by Sumika Chemtex Co., Ltd.) having a content of 97% by weight and a content of methyl acrylate monomer units of 3% Ltd.) at a concentration of 120 ppm, and melt-kneading the obtained resin composition with a twin-screw extruder.

수지 B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6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85,000이고, Mw/Mn은 1.9였다. Resin B1 ha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60,000,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85,000, and a Mw / Mn of 1.9.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

자외선 흡수제로서, 이하에 기재하는 X1, Y1, Y2를 이용하고, 자외선 흡수제 X1 : 자외선 흡수제 Y1 : 자외선 흡수제 Y2(중량비)가 0.7 : 0.6 :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이용했다. Ultraviolet absorber X1, Y1 and Y2 described below were used as the ultraviolet absorber and the mixture was used so that the ultraviolet absorber X1: ultraviolet absorber Y1: ultraviolet absorber Y2 (weight ratio) was 0.7: 0.6: 1.2.

자외선 흡수제 X1: 케미프로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자외선 흡수제 「Kemisorb 102」(흡수 극대: 파장 280 nm, 몰 흡광 계수: 68.3 L/mol·cm, 중량 평균 분자량: 508.9,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Ultraviolet absorber X1: Kemisorb 102 (absorption maximum: wavelength 280 nm,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68.3 L / mol 占, m,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508.9, 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 manufactured by KEMIPRO Co.,

자외선 흡수제 Y1: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자외선 흡수제 「LAF70」(흡수 극대: 파장 356 nm, 몰 흡광 계수: 65.7 L/mol·cm, 중량 평균 분자량: 699.9,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Ultraviolet absorber Y1: Ultraviolet absorber "LAF70" (absorption maximum: wavelength 356 nm, molar absorptivity: 65.7 L / mol 占, m,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699.9,

자외선 흡수제 Y2: 가부시키가이샤 ADEKA사 제조의 자외선 흡수제 「아데카스타브 LA31」(흡수 극대: 파장 350 nm, 몰 흡광 계수: 18.0 L/mol·cm, 중량 평균 분자량: 658,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Ultraviolet absorber Y2: ultraviolet absorber Adekastab LA31 (absorption maximum: wavelength 350 nm,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18.0 L / mol 占, m,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658,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 manufactured by ADEKA Co.,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thermoplastic resin film]

압출기, T 다이 및 제1∼제3 냉각 롤을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배치했다. 이어서, 수지 A1, 수지 A2 또는 수지 C, 수지 B1 및 자외선 흡수제를 표 1에 기재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각각을 설정 온도 260℃의 T 다이에 공급했다. An extruder, a T-die and first to third cooling rolls were arranged as shown in Fig. Subsequently, the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mixing the resin A1, the resin A2 or the resin C, the resin B1, and the ultraviolet absorber in the ratios shown in Table 1 was melted and kneaded by an extruder, and each was supplied to a T die having a set temperature of 260 deg.

T 다이로부터 압출한 필름형의 용융 수지를, 대향 배치한 제1 냉각 롤과 제2 냉각 롤 사이에 끼워넣고, 제3 냉각 롤에 감아 성형·냉각하여, 두께 120 ㎛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얻었다. The film-shaped molten resin extruded from the T die wa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cooling roll and the second cooling roll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wound around a third cooling roll to be molded and cooled to obtain a thermoplastic res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120 占 퐉.

한편, 제1 냉각 롤의 표면 온도는 80℃, 제2 냉각 롤의 표면 온도 80℃, 제3 냉각 롤의 표면 온도는 100℃였다. 이들 온도는 각 냉각 롤의 표면 온도를 실측한 값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rst cooling roll was 80 ° C,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oling roll was 80 ° C,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hird cooling roll was 100 ° C. These temperatures are values obtained by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each cooling roll.

한편, 실시예 6에서의 수지 A2 및 수지 B1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한 수지 A2, 수지 B1 및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은, 각각 수지 A2의 사용량이 약 25 중량부, 수지 B1의 사용량이 약 75 중량부,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이 약 2.5 중량부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the resin A2, the resin B1 and the ultraviolet absorber to be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resin A2 and the resin B1 in Example 6 is about 25 parts by weight for the resin A2 and about 75 parts by weight , And the amount of ultraviolet absorber used is about 2.5 parts by weight.

각각의 수지 조성물의 MFR(측정 온도 230℃, 하중 37.3 N)를, JIS K7210에 따라서 측정했다. 또한, 각각의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MFR (measurement temperature 230 占 폚, load 37.3 N) of each resin composit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7210. Furth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resin composition was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are shown in Table 2.

얻어진 각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내충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샤르피 충격 강도를, 표면 경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연필 경도를, 각각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impact resistance of each obtained thermoplastic resin film, the Charpy impact strength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and the pencil hardness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in order to evaluate the surface hardnes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샤르피 충격 강도> &Lt; Charpy impact strength &

JIS K7111-1에 따라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폭 10 mm로 잘라내어 측정했다. The obtained thermoplastic resin film was cut in a width of 10 mm and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11-1.

<연필 경도> <Pencil hardness>

JIS K5600에 따라서 측정했다. And measured according to JIS K5600.

[연신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stretched film]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각각 이축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우선, 각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열풍순환식의 로(爐)의 전후에 구비된 2조의 닙 롤 쌍 사이를 통과시켜 세로 연신을 했다. 로는 1 m 간격의 4개의 존으로 나눠 온도 설정을 할 수 있는 로를 사용했다. 로의 입구 측의 제1 존을 실온으로, 그 다음 제2 존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작성에 이용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와 동일한 온도로, 그 다음 제3 존과 출구 측의 제4 존을, Tg보다 10℃ 높은 온도로, 각각 설정했다. 입구 측의 닙 롤을 통과하는 필름의 속도를 2 mm/min으로 하고, 출구 측의 닙 롤을 통과하는 필름의 속도를 4.4 mm/min으로 함으로써, 세로 방향의 연신 배율이 2.2배인 장척의 세로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Each of the obtained thermoplastic resin films was biaxially stretched to prepare a stretched film. First, each thermoplastic resin film was passed through a pair of nip rolls provided before and after a hot-air circulation furnace to perform longitudinal stretching. , We used a furnace capable of setting the temperature divided into four zones of 1 m apart. And the second zone is then heated to a temperature equal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resin composition used for prepar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then the fourth zone at the third zone and the fourth zone at the exit side The zones were set at a temperature 10 DEG C higher than Tg,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film passing through the nip roll on the inlet side was 2 mm / min, and the speed of the film passing through the nip roll on the outlet side was 4.4 mm / min. A film was produced.

이어서, 제작한 세로 연신 필름을 세로 방향의 길이가 1 m가 되도록 재단하여, 세로 방향의 길이가 1 m인 세로 연신 필름을 얻고, 이 세로 방향의 길이가 1 m인 세로 연신 필름을 텐터 가로 연신기에 도입하여 가로 연신을 했다. 가로 연신은 길이 4 m의 열풍순환식의 로 내에서 행하고, 로 내부 온도는 Tg보다 10℃ 높은 온도로 설정했다. 로 내부를 지나는 속도는 1 mm/min으로 하고, 연신 배율은 2배로 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세로 방향의 연신 배율이 2.2배, 가로 방향의 연신 배율이 2배인 이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이축 연신 필름의 두께는 40 ㎛였다. Subsequently, the prepared longitudinally stretched film was cut so tha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1 m to obtain a longitudinally stretched film having a length of 1 m, and the longitudinally stretched film having a length of 1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n stretched horizontally. The transverse stretching was carried out in a hot-air circulating furnace having a length of 4 m,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urnace was set to a temperature 10 캜 higher than Tg. , The speed at which it passes through the inside was 1 mm / min, and the draw ratio was doubled. Thus, a biaxially stretched film having a draw ratio of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raw ratio of 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as obtained.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biaxially stretched film was 40 占 퐉.

<핸들링성> &Lt; Handling property >

연신 필름의 제작에 이용한 열가소성 필름의 연신시의 핸들링성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The handling property at the time of stretching of the thermoplastic film used for producing the stretched film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세로 연신하여 얻은 세로 연신 필름을 재단하여, 세로 방향의 길이가 1 m인 세로 연신 필름 10장을 얻었다. 얻어진 10장의 세로 연신 필름에 관해서, 각각 가로 연신을 하여, 10장의 2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세로 연신과 가로 연신에 있어서, 연신에 의해 파단한 필름이 0장이었던 경우, 핸들링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하여, ○라고 평가하고, 1장 이상의 필름이 파단된 경우, 핸들링성이 불량이라고 판단하여, ×라고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The longitudinally stretched film obtained by longitudinally stretch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was cut to obtain 10 longitudinally stretched films having a length of 1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en longitudinally stretched films thus obtained were transversely stretched to obtain ten biaxially stretched films. In the case of longitudinal stretching and transverse stretching, when the number of films broken by stretching was zero, it was judged that the handling property was good and evaluated as &amp; cir &amp;, and when one or more films were broken, , &Quot;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편광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이며 두께 75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의 순수에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02/2/100인 수용액에 30℃에서 침지했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12/5/100인 수용액에 56.5℃에서 추가로 침지했다. 침지 후의 필름을 8℃의 순수로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얻었다. 연신은, 주로 요오드 염색 및 붕산 처리의 공정에서 실시하고, 합계의 연신 배율은 5.3배, 얻어진 편광자의 두께는 27 ㎛였다. A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2,4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or more and a thickness of 75 탆 was immersed in pure water at 30 캜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weight ratio of iodine / potassium iodide / water of 0.02 / Immersed. Thereafter, the mixture was further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12/5/100 in weight ratio of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water at 56.5 ° C. After the immersed film was washed with pure water at 8 캜, it was dried at 65 캜 to obtain a polarizer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on polyvinyl alcohol. The stretching was carried out mainly in the steps of iodine dyeing and boric acid treatment, and the total draw ratio was 5.3 times, and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er was 27 mu m.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으로서 이축 연신한 필름을, 각각 그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자외선 경화 접착제(도아고세이(주) 제조 "아로닉스")를 도공하여, 접합 롤에 의해 접합했다. 그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편광판을 얻었다. 한편, 자외선은, 260 nm∼32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적산 광량이 200 mJ/㎠가 되도록 조사했다. After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as a protective film was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on both sides of the obtained polarizer, the ultraviolet curing adhesive ("Aronix",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was applied, did. Thereafter,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cure the adhesive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On the other hand,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so that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in a wavelength range of 260 nm to 320 nm was 200 mJ / cm 2.

<고온 환경에서의 기계적 강도의 평가> &Lt; Evaluation of mechanical strength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

이축 연신 필름의 고온 환경에서의 기계적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이축 연신 필름의 80℃에서의 고온 인장 탄성율을 측정했다. 값이 높을수록 편광자에 접합시켰을 때, 고온 환경에서 편광 필름의 수축을 억제하는 강도가 높아 양호하다. In order to evaluat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 high temperature tensile modulus at 80 DEG C of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higher the value, the better the strength of the polarizing film when it is bonded to the polarizer and the shrinkage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s high.

이축 연신 필름을, 세로 연신 방향을 긴 변으로 하여, 세로 방향 120 mm, 가로 방향 25 mm의 장방형으로 잘라내고, 척 사이 거리를 90 mm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인장 속도 5 mm/min으로 80℃에서 인장력 시험을 했다. 인장 강도가 3 MPa에서 6 MPa로 되는 영역에서의 응력-왜곡 곡선 기울기로부터 고온 인장 탄성율을 산출했다. 산출한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was cut into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of 120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ength of 25 m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long side in the longitudinal stretching direction and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stretching speed of 5 mm / Tensile test was performed. The high temperature tensile modulus was calculated from the stress-strain curve slope in the region where the tensile strength was 3 MPa to 6 MP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광선 투과율 평가> <Evaluation of light transmittance>

이축 연신 필름의 파장 260 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과 파장 380 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을, 히타치하이테크필딩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분광광도계 U-4100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at a wavelength of 260 nm and the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U-4100 manufactured by Hitachi High-Tech Fielding Co., Lt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편광판의 수축률의 평가> &Lt; Evaluation of Shrinkage Ratio of Polarizer &

편광판의,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MD로,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TD로 하여 제작한 편광판으로부터, MD 방향의 길이가 100 mm, TD 방향의 길이가 100 mm인 편광판을 잘라냈다. 잘라낸 편광판을 80℃로 설정된 오븐에 설치하여 250시간 유지했다. 편광판을 빼내어 MD 방향의 길이와 TD 방향의 길이를 각각 노기스로 측정하여, MD 방향, TD 방향 각각의 수축률을 하기 식에 따라서 산출했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From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by M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T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the length in the MD direction was 100 mm and the length in the TD direction was 100 mm The polarizer was cut off. The polarized plate thus cut was placed in an oven set at 80 DEG C and maintained for 250 hours. The polarizer was taken out and the length in the MD direction and the length in the TD direction were measured by Nogus, respectively, and the shrinkage rates in the MD and TD direction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수축률(%)=100×{100-(80℃ 가열 후의 길이(mm))}/100Shrinkage percentage (%) = 100 占 100- (Length after heating at 80 占 폚 (mm)) / 100

<편광판의 접착 강도의 평가> &Lt; Evaluation of adhesive strength of polarizer &

편광판 내의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를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The peeling strength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in the polarizing plate was evaluat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제작한 편광판을 300시간 방치한 후, 200 mm×25 mm 크기의 장방형으로 재단했다. 한쪽의 보호 필름의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점착제층을 유리판에 접착했다. 점착제층이 설치된 보호 필름과 편광 필름 사이에 커터의 날을 넣어, 길이 방향으로 끝에서 30 mm를 박리하고, 그 박리한 부분을 시험기의 그립부로 잡았다. 이 상태의 시험편을, 온도 23℃, 상대 습도 55%의 분위기 속에서, JIS K6854-2:1999 「접착제-박리 접착 강도 시험 방법-제2부: 180도 박리」에 준하여, 그립 이동 속도 300 mm/분으로 180도 박리 시험을 하여, 그립부 30 mm를 제외한 170 mm의 길이에 걸친 평균 박리력을 구했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한다.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 was left for 300 hours, and cut into a rectangular shape of 200 mm x 25 mm in size.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was provided on the surface of one protective film,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was bonded to the glass plate. A cutter blade was insert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provid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olarizing film, and 30 mm was peeled from th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eeled portion was held by the grip portion of the tester. The test piece in this state was tested at a grip moving speed of 300 mm in accordance with JIS K6854-2: 1999 "Adhesive-peel adhesion strength test method-Part 2: 180 degree peel" in an atmosphere of a temperature of 23 DEG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 Min, and the average peel force across the length of 170 mm excluding the grip portion of 30 mm was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

실시예 7∼실시예 11 및 비교예 6∼비교예 8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하에 기재한다. 각각의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해 구했다. 한편, 수지 A3 및 수지 A4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했다. 수지 B2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환산으로 구했다. The thermoplastic resins used in Examples 7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8 will be described below.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each resin were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Resin A3 and Resin A4 were determined in terms of polystyren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Resin B2 were determined in terms of 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A1: 실시예 1∼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수지 A1을 이용했다. Resin A1: The same resin A1 as used in Examples 1 to 3 was used.

수지 A3: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Resin A3: A resin consisting of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 a styrene monomer unit and a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 which was prepared by copolymerizing methyl methacrylate, styrene and maleic anhydride.

수지 A3을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1 중량%이고,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57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2 중량%이다. The content of the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s was 2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A3, the content of the styrene monomer units was 57%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s The ratio is 22% by weight.

수지 A3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93,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88,000이고, Mw/Mn은 2.2이다. Resin A3 ha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93,000,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88,000, and a Mw / Mn of 2.2.

수지 A4: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Resin A4: A resin comprising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 a styrene monomer unit, and a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 which was prepared by copolymerizing methyl methacrylate, styrene and maleic anhydride.

수지 A4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1 중량%이고,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57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2 중량%이다. The content of the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s was 2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of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A4, the content ratio of the styrene monomer units was 57%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maleic anhydride monomer units The ratio is 22% by weight.

수지 A4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27,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58,000이고, Mw/Mn은 2.19였다. Resin A4 ha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27,000,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58,000, and a Mw / Mn of 2.19.

수지 B1: 실시예 1∼실시예 6, 비교예 3∼비교예 5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수지 B1을 이용했다. Resin B1: The same resin B1 as used in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5 was used.

수지 B2: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아크릴산메틸을, 수지 B2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99 중량%, 아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 중량%가 되도록 배합하여, 중합시킨 후, 또한 흡수 극대를 300 nm 및 342 nm에 갖는 자외선 흡수제 「스미소브 200」를 농도 100 ppm가 되도록 배합하고,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2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얻은 것을 이용했다. Resin B2: a resin composed of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 and a methyl acrylate monomer unit, and is obtained by copolymerizing methyl methacrylate and methyl acrylate with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uni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B2 Of 99% by weight and a content of methyl acrylate monomer units of 1% by weight, and then an ultraviolet absorber &quot; SUMIBE 200 &quot;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at 300 nm and 342 nm at a concentration of 100 ppm, and the obtained resin composition was melt-kneaded with a twin-screw extruder.

수지 B2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1,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58,000이고, Mw/Mn은 1.8였다. The resin B2 ha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01,000,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58,000 and a Mw / Mn of 1.8.

〔고무 탄성체 입자〕[Rubber elastomer particle]

고무 탄성체 입자로서는, 이하의 고무 1 및 고무 2를 이용했다. As the rubber elastomer particles, the following rubber 1 and rubber 2 were used.

고무 1: 다우케미컬니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PARALOIDTM EXL-2678」(부타디엔계 고무 입자, 분말형)을 이용했다. 이 고무 1의 굴절율은 1.516이고, 입자경은 200 nm이다. Rubber 1: "PARALOID EXL-2678" (butadiene rubber particle, powder type)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Co., Ltd. was used. This rubber 1 has a refractive index of 1.516 and a particle diameter of 200 nm.

고무 2: 가부시키가이샤 카네카 제조의 카네에이스 M732(부타디엔계 고무, 분말형)을 이용했다. 이 고무 2의 굴절율은 1.515이고, 입자경은 130∼180 nm이다. Rubber 2: Carnea M732 (butadiene rubber, powder type) manufactured by Kaneka Corporation was used. This rubber 2 has a refractive index of 1.515 and a particle diameter of 130 to 180 nm.

실시예 7∼11 및 비교예 6∼8Examples 7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8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thermoplastic resin film]

수지 A1, 수지 A2, 수지 A3, 수지 A4, 수지 B1, 수지 B2, 고무 1, 고무 2 및 자외선 흡수제를 표 6에 기재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는, Y2〔아데카스타브 LA31〕만을 이용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와 같은 식으로, 도 1에 도시하는 압출기, T 다이 및 제1∼제3 냉각 롤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얻었다. 이 때,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표 8에 기재하는 것과 같았다.Resin A1, Resin A2, Resin A3, Resin A4, Resin B1, Resin B2, Rubber 1, Rubber 2 and ultraviolet absorber were mixed in the ratios shown in Table 6 to obtain a resin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only Y2 (adecastab LA31) was used as the ultraviolet absorber. A thermoplastic resin film was obtained using the obtained resin composi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by using the extruder, the T-die and the first to third cooling roll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was as shown in Table 8.

각각의 수지 조성물의 MFR,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7에,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샤르피 충격 강도를 표 8에 기재한다. 또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절곡성은, 필름의 샘플을 10 mm×50 mm로 잘라내어, 긴 변 방향을 반으로 접어 구부려, 필름이 파단되지 않은 경우를 「○」, 필름이 파단된 경우를 「×」로 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8에 기재한다.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MF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resin composition are shown in Table 7, and the Charpy impact strength of the obtained thermoplastic resin film is shown in Table 8. [ The bending property of the obtained thermoplastic resin film was evaluated by cutting a sample of the film into 10 mm x 50 mm and folding the long side direction in half to determine whether the film was not broken or not, &Quo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고온 환경에서의 기계적 강도의 평가 2> &Lt; Evaluation of mechanical strength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2 >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고온 환경에서의 기계적 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제2 방법으로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80℃에서의 고온 인장 탄성율을 측정했다. As a second method for evaluat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a thermoplastic resin film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 high temperature tensile modulus at 80 占 폚 of a thermoplastic resin film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압출 방향을 긴 변으로 하여, 세로 방향 100 mm, 가로 방향 25 mm의 장방형으로 잘라내고, 척 사이 거리를 50 mm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인장 속도 1 mm/min으로 80℃에서 인장력 시험을 했다. 인장 강도가 3 MPa에서 6 MPa로 되는 영역에서의 응력-왜곡 곡선 기울기로부터 고온 인장 탄성율을 산출했다. 산출한 결과를 표 8에 기재한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was cut into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of 100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ength of 25 m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a long side in the direction of extrusion. The tensile strength test was performed at 80 캜 at a tensile speed of 1 mm / I was. The high temperature tensile modulus was calculated from the stress-strain curve slope in the region where the tensile strength was 3 MPa to 6 MP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광선 투과율 평가 2> <Evaluation of light transmittance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광선 투과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2 방법으로서, 파장 260 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과 파장 380 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을,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의 분광광도계 UV-245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8에 기재한다. As a second method for evaluat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the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260 nm and the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UV-2450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연신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stretched film]

실시예 7 및 8에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와 같은 조건으로 각각 이축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이축 연신 필름의 두께는 20 ㎛였다. 실시예 7 및 8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핸들링성은 모두 양호했다. 연신 전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같은 방법으로, 연신 후의 연신 필름의 고온 인장 탄성율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7의 연신 필름은 2090 MPa, 실시예 8의 연신 필름은 1869 MPa였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s obtained in Examples 7 and 8 were biaxially stretch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respectively, to prepare stretched films.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biaxially stretched film was 20 占 퐉. The handling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s of Examples 7 and 8 were all good. The tensile modulus at high temperature of the stretched film after stretching was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before stretching. As a result, the stretched film of Example 7 was 1890 MPa and the stretched film of Example 8 was 1869 MPa.

[편광자 2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2]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두께를 60 ㎛로, 합계의 연신 배율을 5.6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편광자 1과 같은 방법으로 편광자 2를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자 2의 두께는 22 ㎛였다. Polarizer 2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Polarizer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was changed to 60 탆 and the total draw ratio was changed to 5.6 times.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er 2 was 22 탆.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편광자 2의 한쪽 면에, 실시예 7∼11, 비교예 6∼8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각각 그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자외선 경화 접착제(도아고세이(주) 제조 "아로닉스")를 도공하고, 편광자 2의 또 한쪽의 면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이축 연신 제품이며, 접합면에 미리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위상차 필름을, 에폭시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른 자외선경화성 접착제를 도공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편광자/위상차 필름으로서 접합했다. 그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편광판을 얻었다. 한편, 자외선은, 260 nm∼320 nm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이 200 mJ/㎠가 되도록 조사했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s of Examples 7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8 were each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2, and then an ultraviolet curing adhesive (Aronix,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A retardation film which was a biaxially stretched product of a cycloolefin resin and which had been previously subjected to a corona treatment on the joint surface was coated with another ultraviolet ray curable adhesive containing an epoxy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2 to obtain a thermoplastic resin Film / polarizer / retardation film. Thereafter,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cure the adhesive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On the other hand,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so that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in a wavelength range of 260 nm to 320 nm was 200 mJ / cm 2.

<편광판의 수축률의 평가 2> &Lt; Evaluation of Shrinkage Ratio of Polarizer &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MD로 하고,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TD로 하여, 제작한 편광판으로부터, MD 방향의 길이가 100 mm, TD 방향의 길이가 100 mm인 편광판을 잘라냈다. 잘라낸 편광판을 80℃의 오븐 속에 투입하여, 250시간 유지했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제조의 이차원 치수 측정기 "NEXIV VMR-12072"를 이용하여, 오븐 투입 전후의 치수를 측정했다. 그리고,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한 값을 수축률(%)로 했다. 측정 결과를 표 9에 기재한다.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had a length in the MD direction of 100 mm and a length in the TD direction of 100 mm from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s TD and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s TD A polarizer of 100 mm was cut out. The cut polarizing plate was placed in an oven at 80 DEG C and maintained for 250 hours. Dimensions before and after the oven injection were measured using a two dimensional measuring machine "NEXIV VMR-12072 "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Then, the value obta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was defined as the shrinkage percentage (%).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9.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이 표 6에서, 수지 A1, 수지 A2, 수지 A3, 수지 A4, 수지 B1, 수지 B2, 고무 1, 고무 2 및 자외선 흡수제(Y2)의 사용량은, 「중량부」로 나타내고 있고, 표 속에서는 단위를 「(부)」라고 나타냈다. In Table 6, the amount of the resin A1, resin A2, resin A3, resin A4, resin B1, resin B2, rubber 1, rubber 2 and ultraviolet absorber (Y2) "(Part)".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서 수축하기 어렵고, 또한 연신에 의해 파단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것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은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hardly shrinks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is difficult to be broken by stretching. Thus, a stretched film obtained by stretching it is useful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er.

1: 압출기
2: 다이
3: 필름형의 용융 수지
4: 냉각 유닛
5: 제1 냉각 롤
6: 제2 냉각 롤
7: 제3 냉각 롤
A: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extruder
2: Die
3: Film-type molten resin
4: Cooling unit
5: first cooling roll
6: Second cooling roll
7: Third cooling roll
A: Thermoplastic resin film

Claims (6)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A)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B)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수지 (A)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고,
수지 (B)가, 수지 (B)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며,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대한 수지 (B)의 중량(WB)의 비(WB/WA)가 1보다 큰 열가소성 수지 필름.
(A) compris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and a thermoplastic resin (A) comprising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nd a resin (B) containing no aromatic vinyl monomer unit As a film,
Wherein the resin (A) is a resin having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content of 50 wt% or more based on 100 w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A)
Wherein the resin (B) is a resin having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content of 50%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by weight of all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resin (B)
Wherein the ratio (W B / W A ) of the weight (W B ) of the resin (B) to the content (W A )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in the resin ( A )
제1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은, 고무 탄성체 입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rubber elastomer particl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지 (A)가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elt mass flow rate)가 1.2 g/10 min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sin (A) further comprises a cyclic acid anhydride monomer unit and the melt mass flow rate of the resin composition is 1.2 g / 10 min or more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A stretched film obtained by stretch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제4항에 기재한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 A polarizer protective film compris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r the stretched film according to claim 4.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제5항에 기재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편광판.Where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5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KR1020150126881A 2014-09-12 2015-09-08 Thermoplastic resin film KR1024193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86018 2014-09-12
JP2014186018 2014-09-12
JPJP-P-2015-165491 2015-08-25
JP2015165491A JP6601056B2 (en) 2014-09-12 2015-08-25 Thermoplastic resin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418A true KR20160031418A (en) 2016-03-22
KR102419314B1 KR102419314B1 (en) 2022-07-12

Family

ID=5579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81A KR102419314B1 (en) 2014-09-12 2015-09-08 Thermoplastic resin fil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01056B2 (en)
KR (1) KR102419314B1 (en)
TW (1) TWI698477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933A (en) * 2016-07-06 2019-03-12 덴카 주식회사 Resin composition for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9579B2 (en) * 2016-03-04 2018-07-18 住友化学株式会社 Resin film
JP7403209B2 (en) * 2016-07-28 2023-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JP6917684B2 (en) * 2016-07-28 2021-08-11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JP6957153B2 (en) * 2016-12-28 2021-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6976785B2 (en) * 2017-09-20 2021-12-08 デンカ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JP2020023082A (en) * 2018-08-07 2020-02-13 株式会社カネカ Acrylic resin laminate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 containing the same
JP7138508B2 (en) * 2018-08-07 2022-09-16 株式会社カネカ ACRYLIC RESIN LAMINATED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LAMINATE CONTAIN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3541A (en) 2005-08-04 2007-03-15 Nippon Shokubai Co Ltd Low birefringent copolymer
JP2008050550A (en) * 2005-10-07 2008-03-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Light compensation film
JP2009293021A (en) * 2008-05-09 2009-12-17 Sanyo Chem Ind Lt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KR20110038094A (en) * 2008-07-31 2011-04-13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Thermoplastic acrylic resin, and molded product thereof
KR20110058976A (en)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 composition for optic films and an optic film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573A (en) * 2000-08-18 2002-02-26 Dainippon Ink & Chem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7128025A (en) * 2005-10-05 2007-05-24 Asahi Kasei Chemicals Corp Polarizing plate excellent in optical characteristic, productivity and durability
JP5074010B2 (en) * 2005-11-28 2012-11-1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Excellent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molded article
JP2008276207A (en) * 2007-04-02 2008-11-13 Asahi Kasei Chemicals Corp Optical film
WO2010079920A2 (en)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5580643B2 (en) * 2010-04-01 2014-08-27 株式会社日本触媒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retardation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4541188B (en) * 2012-07-30 2018-04-10 电化株式会社 Optical compensating film copolym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3541A (en) 2005-08-04 2007-03-15 Nippon Shokubai Co Ltd Low birefringent copolymer
JP2008050550A (en) * 2005-10-07 2008-03-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Light compensation film
JP2009293021A (en) * 2008-05-09 2009-12-17 Sanyo Chem Ind Lt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KR20110038094A (en) * 2008-07-31 2011-04-13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Thermoplastic acrylic resin, and molded product thereof
KR20110058976A (en)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 composition for optic films and an optic fil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933A (en) * 2016-07-06 2019-03-12 덴카 주식회사 Resin composition for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314B1 (en) 2022-07-12
TW201615720A (en) 2016-05-01
JP6601056B2 (en) 2019-11-06
JP2016060910A (en) 2016-04-25
TWI698477B (en) 202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314B1 (en) Thermoplastic resin film
JP6935463B2 (en)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using it
KR102150331B1 (en) Polarizer protection film and polarizing plate
KR101279612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20150071019A (en)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optical member,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6550774B2 (en) Thermoplastic resin film, stretched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6226591B2 (en)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44131B1 (en)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TW201028292A (en)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polarizing plate
JP2016212146A (en)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345241B2 (en) Polarizer
JP7099440B2 (en) A polariz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polarizing plate.
WO2016152314A1 (en) Coated film for optical member protection
TWI760310B (en) Polarizing plate for curved image display panel
KR20160014529A (en) Resin composition
TWI709577B (en) Resin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film,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05419207B (en) Thermoplastic resin film
EP3103837A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TW202244141A (en) Optical film and polarizing plate
JP2016071274A (en) Optical film and use of the same
JP7430745B2 (en) 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957153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O2023276304A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23070311A (en) Laminate and display device
JP2023070310A (en) Laminat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