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365A -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365A
KR20160031365A KR1020140121394A KR20140121394A KR20160031365A KR 20160031365 A KR20160031365 A KR 20160031365A KR 1020140121394 A KR1020140121394 A KR 1020140121394A KR 20140121394 A KR20140121394 A KR 20140121394A KR 20160031365 A KR20160031365 A KR 2016003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ead assembly
printing machine
digital print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to KR102014012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1365A/ko
Publication of KR2016003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08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체, 이 고정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잉크액을 분사하는 헤드 조립체를 고정 장착하는 이동체, 및 이 고정체에 대해 이동체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헤드 조립체의 초기 위치 설정(높낮이 조절)이 자동적으로 보정 제어되고, 헤드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에 의한 위치 보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ASSEMBLY FOR DIGITAL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 조립체의 초기 위치 설정(높낮이 조절)이 자동적으로 보정 제어되고, 헤드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에 의한 위치 보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머신(Digital Printing Machine)은, 디지털 제어부에서 원하는 출력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Head)에 자주(마젠타, M), 노랑(엘로우,Y), 청록(시안,C)이라는 삼원색을 공급하여 색을 인쇄지에 덧칠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창출하는 감산혼합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려내도록 하는 최신의 프린팅장치이다.
이러한 감산혼합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상을 갖는 잉크가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각각의 색상을 주사하는 헤드로 공급되어 각각의 헤드에서 주사되는 색상의 잉크가 덧칠해짐으로써 새로운 색이 시현된다.
디지털 프린팅머신의 헤드는 상측에 잉크공급선이 연결되어 외측 탱크에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게 되며, 헤드의 하측에는 분사구가 설치되어 잉크를 헤드 하측으로 분사하게 된다.
헤드는 이송대를 따라서 좌우 이동하며 각 헤드를 통하여 분사된 잉크가 인쇄지에 분사되어 원하는 출력물을 얻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헤드의 초기 위치 설정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164532호(등록일: 1998.09.12.)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의 헤드 초기 위치 설정은 센서의 위치 설정 신호 발생 시까지 모터 등의 전기력이나 전자력에 의해 자동 설정됨으로써 오류 발생이 많고, 오류 발생 보정이 자동 제어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헤드 초기 위치 설정은 높낮이 위치 이동시 흔들림으로 인해 위치 작업 보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 조립체의 초기 위치 설정(높낮이 조절)이 간단한 방식을 통해 자동적으로 보정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오류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헤드 조립체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헤드 조립체의 흔들림에 의한 위치 보정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잉크액을 분사하는 헤드 조립체를 고정 장착하는 이동체; 및 상기 고정체에 대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체에 위치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이동체에 위치 고정된 이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위치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며 상기 헤드 조립체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재는, 위치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강제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와 상기 손잡이는 조인트부재에 의해 연결이 단속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는 탄성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안내되도록 가이드돌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헤드 조립체의 초기 위치 설정(높낮이 조절)이 구조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보정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헤드 조립체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헤드 조립체의 흔들림에 의한 위치 보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는 고정체(100), 이동체(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한다.
고정체(100)는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고정체(100)는 본체 자체일 수도 있다. 고정체(10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본체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이동체(200)는 고정체(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동체(200)는 헤드 조립체(210)를 고정 장착한다. 헤드 조립체(210)는 잉크액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이때, 헤드 조립체(21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동체(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헤드 조립체(210)를 고정되게 연결한다.
한편, 조작부(300)는 고정체(100)에 대해 이동체(200)의 이동을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동체(200)는 고정체(100)에 대해 높낮이 조절된다. 이를 통해, 헤드 조립체(210)는 이송벨트(도시하지 않음) 또는 플래튼(도시하지 않음) 등에 지지된 채 이송되는 출력지(도시하지 않음)와의 거리가 조정된다.
특히, 헤드 조립체(210)와 출력지는 센싱 등을 통해 상호 신호 작용을 하게 됨에 따라, 헤드 조립체(210)는 초기 위치(높이)가 설정된다.
조작부(300)는 고정부재(310), 이동부재(320), 샤프트(330) 및 작동부재(34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310)는 고정체(100)에 위치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때, 고정부재(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고정체(10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20)는 이동체(200)에 위치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동부재(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이동체(20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고정체(100)와 이동체(200)를 동일 평면에 위치하게 했을 때, 고정부재(310)와 이동부재(320)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더욱 상세히, 고정부재(310)는 이동부재(3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샤프트(330)는 하측 단부가 고정부재(310)에 위치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로서, 샤프트(330)는 하측에 볼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조립하고, 볼베어링이 고정부재(310)에 고정 장착된다. 그래서, 샤프트(330)는 고정부재(310)에 위치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330)는 회전되며 이동부재(320)와 이동체(2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샤프트(330)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체(200)가 상하 이동됨에 따라, 헤드 조립체(210)는 초기 위치가 설정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샤프트(330)는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되거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신호에 의해 설정된 양만큼 회전되며 헤드 조립체(21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특히, 샤프트(330)는 이동부재(320)와 나사 결합된다. 그래서, 샤프트(330)가 회전되면, 이동부재(320)는 샤프트(330)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작동부재(340)는 샤프트(330)를 회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작동부재(340)는 전송된 신호에 의해 자동 작동되며 샤프트(330)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도 있고, 수동에 의해 샤프트(3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샤프트(330)를 자동적으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부재(340)는 브라켓(342) 및 회전모터부재(344)를 포함한다.
브라켓(342)은 위치 고정된다. 이때, 브라켓(342)은 프레임(343)에 지지되어 위치 고정된다. 물론, 브라켓(342)과 프레임(3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본체 자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브라켓(342)과 프레임(34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샤프트(330)는 브라켓(342)과 프레임(343)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게 삽입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회전모터부재(344)는 브라켓(342)에 지지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때, 회전모터부재(344)는 가동 중 진동이 브라켓(342)이나 프레임(343)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완충재(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될 수도 있다.
회전모터부재(344)는 샤프트(3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회전모터부재(344)는 이물질로부터 보호되고 소음의 차단을 위해 케이싱(345)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싱(345)은 브라켓(342) 또는 프레임(343)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케이싱(34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샤프트(33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부재(340)는 손잡이(346)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346)는 샤프트(330)를 강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손잡이(34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손잡이(346)는 샤프트(330)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회전모터부재(344)의 가동시에도 회전될 수 있으나, 회전모터부재(344)의 정상 가동시에 샤프트(330)와 연결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손잡이(346)는 샤프트(330)와 연결이 단속될 수 있다.
그래서, 샤프트(330)와 손잡이(346)는 조인트부재(348)에 의해 연결이 단속될 수 있다. 조인트부재(348)는 회전모터부재(344)에 연결되어 샤프트(330)와 손잡이(346)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조인트부재(348)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샤프트(330)와 손잡이(346)의 연결을 단속할 수도 있고, 회전모터부재(344)의 작동 오류 신호를 받아 자동적으로 샤프트(330)와 손잡이(346)의 연결을 단속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모터부재(344)의 가동이나 수동 조작시, 이동체(200)와 헤드 조립체(210)는 자중에 의해 급속히 하강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 조립체(210)는 작동 오류를 발생하거나 파손될 수 있다.
그래서, 고정부재(310)와 이동부재(320) 사이에는 탄성지지부재(350)가 구비된다. 탄성지지부재(350)는 샤프트(330)의 둘레면에 구비된 채, 일측이 고정부재(310)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이 이동부재(320)에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지지부재(350)는 이동부재(320)의 하강 속도를 줄이기 위해 고정부재(310)에 대해 이동부재(320)를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탄성지지부재(350)는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탄성지지부재(350)는 고정부재(310)에 대해 이동부재(3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이동부재(320)가 임의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부재(320)는 상하 왕복 이동시 플래튼이나 이송벨트에 대해 헤드 조립체(2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정체(100)는 가이드레일(410)을 구비하고, 이동체(200)는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이동 안내되도록 가이드돌부(420)를 구비한다.
즉, 가이드돌부(420)가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왕복 이동 안내됨으로써, 이동체(200)는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돌부(420)와 가이드레일(410)은 이동체(200)가 더욱 안정적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을 따라 나란한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가이드돌부(420)와 가이드레일(410)은 두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가이드돌부(420)와 가이드레일(41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레일(410)이 이동체(200)에 구비되고, 가이드돌부(420)가 고정체(1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고정체 200: 이동체
210: 헤드 조립체 300: 조작부
310: 고정부재 320: 이동부재
330: 샤프트 340: 작동부재
342: 브라켓 343: 프레임
344: 회전모터부재 366: 손잡이
348: 조인트부재 350: 탄성지지부재
410: 가이드레일 420: 가이드돌부

Claims (7)

  1.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잉크액을 분사하는 헤드 조립체를 고정 장착하는 이동체; 및
    상기 고정체에 대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체에 위치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이동체에 위치 고정된 이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위치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며 상기 헤드 조립체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위치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강제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손잡이는 조인트부재에 의해 연결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는 탄성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안내되도록 가이드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KR1020140121394A 2014-09-12 2014-09-12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KR20160031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94A KR20160031365A (ko) 2014-09-12 2014-09-12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94A KR20160031365A (ko) 2014-09-12 2014-09-12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365A true KR20160031365A (ko) 2016-03-22

Family

ID=5564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394A KR20160031365A (ko) 2014-09-12 2014-09-12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1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256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디지아이 멀티 헤드 테이블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256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디지아이 멀티 헤드 테이블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7092B2 (ja) 三次元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8047646B2 (en) Printing apparatus with movable head device for ejecting ink
US8205736B2 (en) Printing apparatus
WO2020209899A1 (en) Print head assembly for applying images over a contoured axially symmetric object
JP5995611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印刷方法
JPWO2010067445A6 (ja) 三次元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5954061B2 (ja) 画像形成装置
JP6351872B2 (ja) 円筒印刷用治具及び円筒印刷用治具を用いた印刷装置
JP2011131572A (ja) 画像形成装置
US201101641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WO2024054224A1 (en) Reconfigurable single media printer having a positionable media support carriage
JP6217249B2 (ja) 画像形成装置
CN111278653B (zh) 印刷装置
KR20160031365A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KR102021742B1 (ko) 멀티 헤드 테이블 모듈
US9889690B2 (en) Printing apparatus
JP6374617B2 (ja) 円筒印刷用治具及び円筒印刷用治具を用いた印刷装置
KR20110061270A (ko)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과 인쇄대상물의 간격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US11059307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oving method for support portion
JP6977351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干渉物の検出方法
KR101776293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높이 조절장치
JP2015003459A (ja) 画像形成モジュール、画像形成モジュール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11813844B2 (en) Method for reconfiguring a media printer to optimize single media printing
US20230128066A1 (en) Reconfigurable Single Media Printer Having a Positionable Media Support Carriage
KR100487165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