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787A -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787A
KR20160030787A KR1020140120418A KR20140120418A KR20160030787A KR 20160030787 A KR20160030787 A KR 20160030787A KR 1020140120418 A KR1020140120418 A KR 1020140120418A KR 20140120418 A KR20140120418 A KR 20140120418A KR 20160030787 A KR20160030787 A KR 2016003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tcrete
ridge
block
groov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279B1 (ko
Inventor
김경수
송영석
정승원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2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2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S100)은, 절개지의 산마루에 절토홈(100)을 생성하는 절토홈 생성단계(S110); 상기 절토홈(100) 내에 복수 개의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들을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산마루측구 블록 연결단계(S120); 상기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200)들 각각이 상기 절토홈(100)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기 설정된 경사각으로 기울여 산마루측구 블록과 상기 절토홈의 바닥면을 지지시키는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 중공형으로 형성된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이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설치하는 숏크리트 거푸집 설치단계(S140); 상기 절토홈(100)과 상기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200)들 사이의 공간을 성토하는 성토단계(S150); 및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 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시에,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제거하는 숏크리트 타설/숏크리트 거푸집 제거단계(S1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Permanent embedded anchor type slope ditch water way and slope ditch water way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배수로 하부로 유입된 우수에 의해 구조물이 들뜨거나 원지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마루측구는, 산마루의 지형 특성상 터다짐 공사가 쉽지 않고, 고르지 않은 지면의 특성 때문에 일정한 높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기가 쉽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측구를 형성하기 보다는 측구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식 부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측구를 설치하는 방법이 보편화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조립식 PE 배수로를 사용하여 상호 체결되는 형식으로 측구를 형성하는 방법이나, 이미 형성된 콘크리트 재질의 측구블럭 자체를 가지고 조립식으로 측구를 형성하거나, 판형으로 틀을 짜 측구의 모양과 높이에 맞추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 등을 활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그 내구성과 시공의 불편함으로 인해 측구 시공의 근원적인 어려움을 해결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PE 배수로는, 그 특성상 햇볕의 노출에 형성이 변형되기 쉽고, 찢어짐이나 비틀림에 약해 내구성 문제로 지속적인 보수작업을 필요로 하며, 또한, 콘크리트 블럭으로 형성된 조립식 측구의 형성방법은, 장비의 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산마루 특성상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보다 더욱 시공을 어렵게 할 수 있어, 극히 제한적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판형으로 틀을 짜서 측구를 형성하는 방법 또한 집중호우 등의 자연재해에 취약한 내구성 문제가 발생하며, 조립 모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그 시공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공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립형 측구를 간단히 토사로 매립할 경우, 측구의 이탈, 소실, 폐기물 발생 등의 부수적인 문제점을 가져와 자연 훼손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보편적으로 시공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산마루측구의 시공시, 측구의 내구성 향상 및 시공 기간의 단축과 더불어 건축 폐기물의 발생을 줄이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더욱이 굴곡지고 복잡한 산마루의 지형에 따른 측구의 곡면 형성과 시공의 용이성이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264호 (고안의 명칭 : 산마루측구 배수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주름관 형태의 산마루측구 배수로를 절개지에 매설하더라도 사면변형 혹은 토압에 의해 산마루측구 배수로가 쉽게 틀어지게 되면서 선형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간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다수 개가 결합된 산마루측구 배수로가 상, 하로 이탈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산마루측구 배수로를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산마루측구 배수로를 매설하기 위해 매설장소까지 이동이 불편하였으며,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제작단가가 증가함은 물론, 상기 산마루측구 배수로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주름관 형태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산마루측구 배수로를 다수 개로 결합할 때, 상기 산마루측구 배수로들을 결합하는 연결부가 배수로 간의 일부분만을 연결함으로 인해 산마루측구 배수로 간의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세굴현상(물의 흐름에 의해 바닥의 토층 및 암반층이 씻겨 패는 것)에 의해 산마루측구 배수로가 유실되어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지의 산마루에 절토홈(100)을 생성하는 절토홈 생성단계(S110); 상기 절토홈(100) 내에 복수 개의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들을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산마루측구 블록 연결단계(S120); 상기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200)들 각각이 상기 절토홈(100)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기 설정된 경사각으로 기울여 산마루측구 블록과 상기 절토홈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 중공형으로 형성된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이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설치하는 숏크리트 거푸집 설치단계(S140); 상기 절토홈(100)과 상기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200)들 사이의 공간을 성토하는 성토단계(S150); 및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 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시에,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제거하는 숏크리트 타설/숏크리트 거푸집 제거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 연결단계(S120)는, 산마루측구 블록과 산마루측구 블록 사이에 길이 및 좌우 위치가 조절되는 주름관 연결부재(500)를 결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는,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과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이 연결된 연결부위에 형성된 홈 내로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기 설정된 경사각으로 삽입하는 단계(S131);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의 일단을 상기 절토홈(100)에 고정시키는 단계(S132);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의 타단을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에 고정시키는 단계(S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숏크리트 타설단계(S160)는, 상기 숏크리트를 건식공법 또는 습식공법으로 타설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절토홈 생성단계(S110)는,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을 설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면 크기로 상기 절토홈(100)을 생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절토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마루측구 배수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은, 지반변형 및 토압에 의해 쉽게 분리되거나 침하 또는 융기되지 않도록 절토홈에 지반지지 앵커구조체로 지지하는 동시에, 숏크리트로 지반지지 앵커구조체와 지반을 이중으로 고정시키고, 산마루측구 블록의 이탈을 억제 및 방지함으로써 산마루측구 배수로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는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들을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시공함으로 인해, 일정부분이 지반변형 또는 토압에 의해 위치가 변형되면 연속적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에 따르면, 산마루측구 블록과 산마루측구 블록 사이에 블록연결부재로 결속시킴으로써, 지반변형 또는 토압에 의해 산마루측구 블록에 가해지는 토압 및 지반변형에 따른 지반 하중을 상충시킬 수 있어, 산마루측구 블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마루측구 배수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주름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관통홀 내에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과 지반지지 앵커구조체가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마루측구 배수로의 수직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산마루측구 배수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마루측구 배수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주름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관통홀 내에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과 지반지지 앵커구조체가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마루측구 배수로의 수직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S100)은, 절토홈 생성단계(S110), 산마루측구 블록 연결단계(S120),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 거푸집 설치단계(S140), 성토단계(S150) 및 숏크리트 타설/숏크리트 거푸집 제거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절토홈 생성단계(S110)는 절개지의 산마루에 "U"자 형상의 절토홈(100)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 연결단계(S120)는 상기 절토홈(100) 내에 복수 개의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들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 연결단계(S120)는 산마루측구 블록과 산마루측구 블록 사이에 길이 및 좌우 위치가 조절되는 주름관 연결부재(50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관 연결부재(500)는 복수 개의 주름들을 갖는 "U"자형 탄성 플라스틱 주름관으로서, 양 끝단에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의 일단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속되는 결속구(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결속구와 산마루측구 블록과의 결속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물질 등을 통해 결속시킬 수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산마루측구 블록(200)과 산마루측구 블록(200) 사이에 상기 주름관 연결부재(500)가 위치될 경우, 지반변형 또는 토압으로 인하여 산마루측구 블록에 가해지는 지반 하중을 완충시켜줌으로써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들이 연속적으로 체결되어 있더라도, 상기 주름관 연결부재(500)의 길이만큼 지반하중에 따른 부분적인 이탈 및 연속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추가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주름관 연결부재(500)는, 좌우 위치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즉, 예를 들면, 굴곡진 형태의 배수로를 형성할 경우, 종래에는 굴곡진 부분에 적용이 가능한 산마루측구 블록을 추가로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지반 절토단계에서 급격하게 굴곡진 부분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수로의 형태가 직선에 가깝게 되도록 우회하여 절토해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즉, 상기 주름관 연결부재(500)가 산마루측구 블록(200)과 산마루측구 블록(200) 사이에 구비될 경우, 부분적 또는 연속적으로 굴곡진 배수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불필요한 절토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하며, 더불어, 그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는 상기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200)들 각각이 상기 절토홈(100)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기 설정된 경사각으로 기울여 산마루측구 블록(200)과 상기 절토홈(100)의 바닥면을 지지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는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에 형성된 관통홀(210) 내로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기 설정된 경사각으로 삽입하는 단계,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의 일단을 상기 절토홈(100)에 고정시키는 단계,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의 타단을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체결부재를 통해 산마루측구 블록(200)의 내측면과 연결 고정되며, 타단은 산마루측구 블록(200)에 형성된 관통홀(210)을 통과하여 절토홈(100)의 바닥면과 앵커를 통해 결속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즉,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는, 절토 지반과 산마루측구 블록(200)을 1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변형 및 토압으로 인해 가해지는 지반하중으로부터 산마루측구 블록(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숏크리트 거푸집 설치단계(S140)는, 중공이 형성된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관통홀 내로 인입시켜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감싸도록 위치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은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0)의 직경은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성토단계(S150)는, 상기 절토홈(100)과 상기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200)들 사이의 공간을 매우도록 성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성토단계(S150)는, 다짐기를 통해 산마루측구 블록(200)의 주변을 다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숏크리트 타설/숏크리트 거푸집 제거단계(S160)는,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 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로서, 이때, 숏크리트는 고압 건식공법 또는 고압 습식공법으로 상기 숏트리트 타설용 거푸집(400) 내에 타설되며, 타설되는 과정에서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순차적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이다.
참고로, 습식공법은 물을 첨가하여 모든 재료를 혼합한 후 분사장치에 공급하고 압축공기를 통해 노즐에서 분사속도를 증가시켜 시공면에 분사 고착하는 방식이며, 이에 반해, 건식공법은 물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를 혼합하고 분사 직전에 물과 혼합시켜 숏트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숏크리트 거푸집 제거 및 숏크리트 타설을 동시에 진행하는 이유는,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이 절토 지반에 차지하는 공간을 제거해줌으로써 숏크리트와 성토부분 사이의 결속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숏크리트 타설/숏크리트 거푸집 제거단계(S160)는, 성토된 지반영역과 산마루측구 블록(200)을 2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단계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변형 및 토압으로 인해 가해지는 지반 하중으로부터 산마루측구 블록(200)의 이탈을 방지를 위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앵커구조체(300)란, 엄밀히 말하면, 상기한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와 숏크리트 거푸집 설치단계(S140) 및 숏크리트 타설/숏크리트 거푸집 제거단계(S160)를 통하여 앵커와 숏크리트가 함께 일체로 형성된 상태의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앵커는, 바람직하게는, 강도 및 부착력이 비교적 양호한 이형철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시공하고자 하는 산마루측구 블록의 크기나 해당 지역의 지질 등의 요인에 따라 그 강도와 같은 물성이나 크기 등의 제원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산마루측구 배수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는 시공하고자 하는 산마루측구 배수로의 크기보다 넓게 절토홈을 파내고 산마루측구 블록을 설치한 후 앵커구조체 및 거푸집을 설치하여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나, 도 7에 나타낸 실시 예는, 이러한 절토홈을 산마루측구 배수로의 크기에 꼭 맞는 정도로만 파내도록 구성됨으로써 절토작업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점이 다르다.
더 상세하게는,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먼저, 산마루측구 블록(200)을 설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면 크기로 절토홈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절토홈에 산마루측구 블록(200)을 연결 설치하여 산마루측구 배수로를 형성한 후, 예를 들면, 산마루측구 블록(200)의 양 측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지점에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설치하기 위한 천공작업을 행하여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 및 거푸집(400)을 설치하고 숏크리트를 타설하며, 그 후, 절토홈과 산마루측구 블록의 사이 공간에도 흙을 채우거나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성토작업을 수행하여 지반과 산마루측구 블록을 일체화하고, 표면처리 등을 행하는 마무리작업을 수행하는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토홈 생성단계에서 산마루측구 블록(200)을 설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면 크기로 절토홈을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과정들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를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으므로,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에 따르면, 지반변형 및 토압에 의해 쉽게 분리되거나 침하 또는 융기되지 않도록 절토홈에 지반지지 앵커구조체로 지지하는 동시에, 숏크리트로 지반지지 앵커구조체와 지반을 이중으로 고정시키고, 산마루측구 블록의 이탈을 억제 및 방지함으로써 산마루측구 배수로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는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들을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시공함으로 인해 일정부분이 지반변형 또는 토압에 의해 위치가 변형되면 연속적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에 따르면, 산마루측구 블록과 산마루측구 블록 사이에 블록연결부재로 결속시킴으로써, 지반변형 또는 토압에 의해 산마루측구 블록에 가해지는 토압 및 지반변형에 따른 지반 하중을 상충시킬 수 있어, 산마루측구 블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장치 부재번호
100: 절토홈 200: 산마루측구 블록
300: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400: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500: 주름관 연결부재 600: 산마루측구 배수로
방법 부재번호
S110: 절토홈 생성단계 S120: 산마루측구 블록 연결단계
S130: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 S140: 숏크리트 거푸집 설치단계
S150: 성토단계
S160: 숏크리트 타설/숏크리트 거푸집 제거단계

Claims (6)

  1. 절개지의 산마루에 절토홈(100)을 생성하는 절토홈 생성단계(S110);
    상기 절토홈(100) 내에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200)들을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산마루측구 블록 연결단계(S120);
    상기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200)들 각각이 상기 절토홈(100)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기 설정된 경사각으로 기울여 산마루측구 블록과 상기 절토홈의 바닥면을 지지시키는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
    중공형으로 형성된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이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설치하는 숏크리트 거푸집 설치단계(S140);
    상기 절토홈(100)과 상기 복수 개의 산마루측구 블록(200)들 사이의 공간을 성토하는 성토단계(S150); 및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 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시에, 상기 숏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제거하는 숏크리트 타설/숏크리트 거푸집 제거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 연결단계(S120)는,
    연속되는 산마루측구 블록과 산마루측구 블록 사이에 길이 조절 및 좌우이동이 가능한 주름관 연결부재(50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 설치단계(S130)는,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과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이 연결된 연결부위에 형성된 홈 내로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를 기 설정된 경사각으로 삽입하는 단계(S131);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의 일단을 상기 절토홈(100)에 고정시키는 단계(S132);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지반지지 앵커구조체(300)의 타단을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에 고정시키는 단계(S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숏크리트 타설/숏크리트 거푸집 제거단계(S160)는,
    상기 숏크리트를 건식공법 또는 습식공법으로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토홈 생성단계(S110)는,
    상기 산마루측구 블록(200)을 설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면 크기로 상기 절토홈(100)을 생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절토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6.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마루측구 배수로.
KR1020140120418A 2014-09-11 2014-09-11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KR10165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418A KR101657279B1 (ko) 2014-09-11 2014-09-11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418A KR101657279B1 (ko) 2014-09-11 2014-09-11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787A true KR20160030787A (ko) 2016-03-21
KR101657279B1 KR101657279B1 (ko) 2016-09-13

Family

ID=5565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418A KR101657279B1 (ko) 2014-09-11 2014-09-11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6135A (zh) * 2020-04-01 2020-08-11 中铁十七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止水带预埋件定位模具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88A (ko) * 2002-09-10 2004-03-18 강동열 산지 농수 공급수로
KR200446264Y1 (ko) 2009-02-12 2009-10-13 이충구 산마루측구 배수로
KR101223667B1 (ko) * 2012-08-30 2013-01-17 콘비젼스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관개용수로 및 이 시공방법
KR101366486B1 (ko) * 2012-12-28 2014-02-24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88A (ko) * 2002-09-10 2004-03-18 강동열 산지 농수 공급수로
KR200446264Y1 (ko) 2009-02-12 2009-10-13 이충구 산마루측구 배수로
KR101223667B1 (ko) * 2012-08-30 2013-01-17 콘비젼스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관개용수로 및 이 시공방법
KR101366486B1 (ko) * 2012-12-28 2014-02-24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6135A (zh) * 2020-04-01 2020-08-11 中铁十七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止水带预埋件定位模具及方法
CN111516135B (zh) * 2020-04-01 2021-11-02 中铁十七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止水带预埋件定位模具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279B1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60B1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07523B1 (ko)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105401605A (zh) 变形缝结构及其施工方法
CN102713080A (zh) 新建地下构造物的施工方法
CN102561402A (zh) 盖挖逆作单建式地下人防工程顶板与墙施工缝的处理方法
CN103726508B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板材胎模及施工方法
CN104195913A (zh) 可移动的临时道路结构
KR101625658B1 (ko)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US8894324B2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140139217A (ko)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A213186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KR101657279B1 (ko)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CN109339087A (zh) 一种低层建筑的基础结构体系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KR100898018B1 (ko) 매립형 빗물받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05134U (ko) 옹벽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KR100440091B1 (ko)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6931876B2 (ja) 法面補強用透水壁の構築方法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200422102Y1 (ko) 토목공사의 지하수 배수용 배수판
KR100400676B1 (ko) 측구 시공 방법 및 그 설치 구조물
KR101278584B1 (ko) 시공성 및 배수효율이 양호한 조립식 배수로 및 그 시공방법
KR200317111Y1 (ko) 도로 경계석
CN210315096U (zh) 一种砼预制整体成型路堤边沟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