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497A -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497A
KR20160030497A KR1020160024510A KR20160024510A KR20160030497A KR 20160030497 A KR20160030497 A KR 20160030497A KR 1020160024510 A KR1020160024510 A KR 1020160024510A KR 20160024510 A KR20160024510 A KR 20160024510A KR 20160030497 A KR20160030497 A KR 20160030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hing water
tank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우
Original Assignee
김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우 filed Critical 김채우
Priority to KR102016002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0497A/ko
Publication of KR2016003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497A/ko
Priority to KR1020160041265A priority patent/KR10169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과 세척수의 토출을 이용해 세척대상물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등의 세척대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조에 마이크로 버블이 분출되도록 하는 버블 공급부와, 세척조의 상부, 측벽부, 바닥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토출하는 세척수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WASHING APPARATUS BY MICRO BUBBLE AND FLOWING WATER}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과 세척수의 토출을 이용해 세척대상물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등의 세척대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조부에 마이크로 버블이 분출되도록 하는 버블 공급부와, 세척조의 상부, 측벽부, 바닥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토출하는 세척수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휴게소와 같은 대형 식당이나 학교 급식 시설 등에서는, 대량의 음식물을 조리, 공급하므로, 작은 식당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음식물의 재료가 되는 야채나 과일의 소비량이 매우 크다.
따라서 야채나 과일 등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조리하는 경우, 재료 준비 시간에만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어, 세척에 필요한 작업자가 많이 필요함에 따라 인건비가 과도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많은 재료를 일일이 세척할 경우 세척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재료별로 꼼꼼하게 세척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세척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세척 품질의 저하는 음식물의 품질 저하로 직결되어 식당의 평가를 나쁘게 하여 경쟁력을 떨어뜨림과 동시에, 비위생적인 음식물 조리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크다.
이에 대량의 식재료를 보다 빠르면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자동 세척을 통해 인건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세척기에 관한 기술이 다수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써,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0769호(2011.01.24. 공개)는, 산소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야채, 그릇 등의 세척기, 손발의 세척을 위한 반신욕조기, 족욕기, 얼굴용 세안기 또는 욕조기에 산소 마이크로버블을 공급시켜 미세한 기포형태의 기포로 세척 및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모터와 일체로 구성되는 펌프와 고압통, 그리고 세척통을 장착하기 위한 판상의 프레임과, 상기 구성물을 감싸기 위한 일체형의 케이스와 세척통을 상기 프레임에 체결하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케이스에 수납되는 한 쌍의 체결 프레임에 입배기의 입기 및 버블헤드를 체결함과 함께 이 헤드로 케이스와 세척통를 기밀하게 체결시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고안은, 마이크로버블발생장치만 구비되어 있어 보다 강력한 세척력을 보장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세척 작업 시 세척대상물에서 분리 이탈되는 각종 오물이나 이물질 등이 세척수로 떠오르는 경우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걷어 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세척대상물에 다시 부착되거나 달라붙을 수 있어 세척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03-0079213호(2003.10.1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발생된 이온화 기체를 물속에 송풍시켜 이온수로 만든 다음, 상기 이온수를 이용하여 과일 및 채소류 표면에 붙어 있는 유해한 성분을 좀 더 강력하게 세척 및 멸균 처리함으로써, 장기간 운송을 요하는 수입농산물 등에 투여되는 방부제 및 과다한 농약사용에 의한 유해성분을 단시간 내에 확실하게 중화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이온화 기체를 물속에 단순 송풍시키기 때문에, 이온화 기체의 공급이 중지될 경우, 세척대상물로부터 박리된 이물질이 다시 세척대상물로 달라붙게 되므로 세척대상물에서 본질적인 잔류 농약, 세균 등을 세척할 수 없으며, 세척수가 이온수가 될 정도로 이온화 기체의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선 이온화 기체를 끊임없이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세척 효과에 비해 이온화 기체의 사용량이 과도하게 필요함에 따라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마이크로 버블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마이크로 버블의 무한 공급 내지 순환이 가능하여 세척 효과가 매우 뛰어나면서 빠른 세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세척조에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는 버블 공급부와, 세척조의 전후좌우 및 상하에서 세척수를 토출하도록 설치된 세척수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1차 세척과 세척수 토출을 이용한 2차 세척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반 상수를 세척수로 단순 사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세척조에 저장된 세척수에서 이물질을 걸러 이를 순환시켜 세척수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조 내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면서 세척 후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세척조의 측벽부에 월류홀이 구비되어 있으며, 월류홀이 형성된 측벽부 외측에 드레인콕을 구비한 집수조가 결합되어 있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세척조 내에서 세척수의 와류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유동에 의한 세척 및 마이크로 버블의 확산에 의한 세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토출하는 폭기관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세척조의 바닥부 구조를 간소화시켜 세척조의 오염 방지 및 청소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폭기관과 버블 분출구만이 노출되도록 세척조의 바닥부를 덮으면서 결합되는 바닥커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대상물의 중량, 크기 등에 따라 세척대상물이 세척조의 중간 높이에 체류하여 마이크로 버블과 세척수 토출에 의한 세척이 전(全)방향으로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부를 구비한 메시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조;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세척조로 분출되도록 하는 버블 공급부;
상기 세척조의 상부 또는 상기 세척조의 측벽부 또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되며, 세척수 공급부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로 토출하는 세척수 토출수단; 포함하여 이루어져,
세척조 내의 세척대상물에 대하여,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1차 세척과, 세척수 토출에 의한 2차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에서,
상기 세척조는, 상기 세척수 공급부와 연결된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공급관을 포함한 세척수 토출수단을 통해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에서,
상기 세척조는,
측벽부에 형성되어 세척수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이 세척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월류홀과,
상기 월류홀이 형성된 측벽부 외측에 결합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에서 이물질을 걸러서 최종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에서,
상기 세척조 내에서 세척수의 와류가 발생하도록, 상기 세척수 토출수단은,
상기 세척조의 바닥부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부와 연결된 배관과,
상기 배관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분기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공을 구비한 폭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는,
첫째, 버블 공급부와 세척수 공급부를 별개로 설치하여, 마이크로 버블의 분출 및 세척수의 토출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세척대상물이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세척 및 유수(流水)에 의한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져, 세척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보다 깨끗한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둘째, 이물질이 걸러진 세척조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일반 상수만을 세척수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셋째, 세척조 내에서 세척수의 수위 조절 및 세척수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넷째, 세척조의 바닥부에서 상향 토출되는 세척수를 이용해 세척조 내에서 세척수의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의 확산 및 유수에 의한 세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섯째, 세척조의 바닥부 구조를 간소화시켜 유지 관리가 편리함과 동시에, 누름망을 통해 세척에 유리한 최적의 높이에서 세척대상물이 체류하도록 함으로써 세척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의 좌측면도.
도 2a, 도 2b는 도 1의 A-A, B-B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및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커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망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조, 바닥커버, 메시망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커버의 조립 유무를 설명하기 위한 샘플 사진도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a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3에서 버블 공급부(20)가 구비된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전후를 정하고, 도3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투영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인 도 1, 정면도인 도2a, 도2b, 평면도인 도 3 내지 도 5, 요부 정면도인 도 6, 샘플 사진도인 도 7, 도 8, 부분 단면도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는, 크게 본체(1) 상부에 설치되는 세척조(10), 본체(1)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버블 공급부(20)와, 세척수 공급부(31), 세척조(10)에 설치되는 세척수 토출수단(30), 세척조(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바닥커버(40) 및 메시망(50), 그리고 메시망(50)의 탈부착 및 높이 조절을 위한 고정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조(10)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바닥부(12) 및 전후좌우 측벽부(11)들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것으로, 세척수가 세척조(10)에 저장된 상태에서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세척대상물이 세척조(10)로 투입되어 마이크로 버블과 세척수 토출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척조(10)는, 바닥부(12)의 중앙에 마이크로 버블의 분출을 위한 버블 분출구(17)가 구비되고, 외변 일측에 마이크로 버블이 혼합된 세척수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8)가 구비되고, 외변 타측에 세척수 순환 공급을 위한 급수구(16) 및 세척 후 세척수 배출을 위한 배수구(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세척조(10)의 일 측벽부(11)(도면에서는 후방 측벽부(11))에는 일반 상수도와 연결된 수도 코크(32)가 마련되어, 세척에 사용될 세척수가 세척조(10)에 채워지도록 하며, 세척에 필요한 만큼의 세척수가 채워지면 후술하는 세척수 공급부(31)의 세척수 순환을 통해 세척조(10)로 세척수가 무한 공급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유체 기계(수격펌프, 콤프레셔)를 이용한 세척수 공급부를 생략하고, 일반 상수도를 수도 코크(32)와 공급관(33)에 연결시켜 세척수의 공급 및 토출 압력에 의한 세척수의 와류 형성을 꾀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15)는 세척 완료 후 세척조(10) 내의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배수구(15)에는 세척조(10)에 가라앉는 각종 이물질 등이 걸러지도록 하는 드레인(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블 공급부(20)는,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세척조(10)로 분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세척조(10)에 저장된 세척수에 마이크로 버블을 혼합시켜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1차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참고로 마이크로 버블이란, 물과 공기만을 이용한 친환경적 에너지원으로써, 1/100 mm에서 1/000 mm의 아주 작은 거품으로, 보통 거품과는 달리 직경이 1μm 이하의 매우 미세한 기포이며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이 50μm이하의 미소 기포이다.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의 색은 우윳빛으로 미세한 거품이 연속으로 터지면서 수중에서 축소해 소멸함과 함께 동시에 매우 느린 속도로 상승하면서 40Khz의 초음파를 포함한 충격파가 시속 400 ㎞의 속도, 다량의 음이온발생, 순간적인 고열을 발생시키면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마이크로버블은 살균효과와 강력한 초음파를 포함한 충격파에 의하여 과일이나 야채에 존재하는 각종 농약성분이나, 식기류나 의류에 잔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세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버블 공급부(20)를 통해 상기한 효과의 마이크로 버블을 세척조(10) 내의 세척수에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각종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세척대상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버블 공급부(20)에서, 마이크로 버블의 생성은, 유체역학 방식, 유체기계 방식, 초음파방식, 플라즈마방식, 광반응방식 등 다양한 물리법칙(예를 들어, 극미세 분출공을 이용한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압력은 낮아진다'고 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베르누이 원리 또는 폭포수 등의 물방울에서 오존을 수반하지 않는 음이온이 발생한다는 `레너드 효과'(폭포수 이론)(물이 고체와 충돌해 부서지는 과정에서 음이온이 발생한다는 독일 노벨물리학상(1905, 음극선(Cathod rays) 실험에 대한 연구) 수상자 필립 레너드(Philip Eduard Anton von Lenard (1862~1947))의 이름을 딴 효과) 등을 적용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할 수 있음.)을 이용하거나,
또는 화학법칙(예를 들어 물과 반응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특정 첨가물이나 기체를 세척수에 혼합시키거나, 전기 반응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할 수 있음.)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다양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 방식 중, 대표적으로 고압통이 결합된 가압펌프(21)를 이용한 버블 공급부(20)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버블 공급부(20)는, 버블 분출관(22)과 세척수 흡입관(23)이 각각, 세척조(10)의 버블 분출구(17)와 흡입구(18)에 연결되어,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을 세척조(10) 내의 세척수에 공급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버블이 혼합된 세척수를 흡입한 후 흡입된 세척수에 마이크로 버블을 추가로 생성시켜 다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의 무한 공급을 통해 세척조(10) 내의 마이크로 버블 함량을 증대시켜 이를 이용한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해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10)의 상부, 또는 세척조(10)의 측벽부(11) 또는 세척조(10)의 바닥부(12)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세척수가 토출되는 세척수 토출수단(3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세척수 토출수단(30)을 이용해 세척조(10) 내부로 세척수를 토출하여, 마이크로 버블이 혼합된 세척수가 세척조(10) 내에서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1차 세척과 세척수의 토출에 의한 2차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세척조(10)의 상부, 전후좌우 측벽부(11), 바닥부(12) 중 한 곳 이상에서 세척수의 토출이 이루어지면, 세척조(10) 내에서 세척수가 계속하여 유동함에 따라 유수(流水; 흐르는 물)를 통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마이크로 버블과 세척수의 유동을 이용한 세척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친환경적인 세척이 가능해지며,
단순히 세척수에 마이크로 버블을 혼합시키는 것보다 더욱 뛰어난 세척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척수 토출수단(30)으로써, 세척조(10) 상부에서 세척수를 하향 분사하는 분사헤드(37), 세척조(10)의 전후좌우 측벽부(11)에서 세척수를 수평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13), 세척조(10)의 바닥부(12)에서 세척수를 상향 토출하는 폭기관(36)만을 도시하였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세척조(10)의 바닥부(12)에 토출구를 형성하여 세척수의 상향 토출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수 공급부(31)는, 급수관(34)을 통해 세척조(10)의 급수구(16)와 연결되어, 급수구(16)와 세척수 토출수단(30)을 이용해 세척조(10)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세척조(10)에 공급되도록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세척수 공급부(31)로써 일반 상수도를 수도 코크(32)와 공급관(33)에 연결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이와 별도로 수격펌프를(31a) 세척수 공급부(31)로 이용하여 세척수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 공급부(31)는, [토출구(13), 분사헤드(37), 폭기관(36)이 분기되어 있는 배관(35) 모두와 연결된 분기관(33a)] 과, 수격펌프(31a) 사이가, 공급관(33)으로 상호 연결(도면에서 토출구(13)와 수격펌프(31a) 사이의 관체 연결은 생략하였으나, 수격펌프(31a)와 토출구(13)의 직결 또는 분기관(33a)과 토출구(13)의 직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음.)되고,
세척조(10)의 급수구(16)와 수격펌프(31a)가, 급수관(34)으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세척조(10)에 일정 수위만큼 세척조(10)가 채워진 상태에서, 수격펌프(31a)가 세척조(10)의 세척수를 흡입(급수)한 후, 이를 다시 세척조(10)로 배출(배수)시켜 세척수의 순환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세척조(10)에서 수격펌프(31a)로 급수되는 세척수에는, 세척대상물에서 박리된 이물질 등이 함께 유입될 수 있으므로, 급수구(16) 하부에 급수관(34)으로 흡입되는 세척수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드레인(31b)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격펌프(31a) 자체에서 이물질이 걸리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세척수 공급부(31)는, 수도 코크(32)와 연결된 일반 상수도와도 연결되어, 후술하는 월류홀(14)에 의해 세척수가 배출되는 양만큼 세척수를 보충,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급수관(34)을 통해 세척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세척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수도 코크(32)를 계속 개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세척수 공급부(31)에서 세척수의 보충, 공급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세척수의 토출이 급수구(16)의 배출 용량을 넘게 되면 세척조(10) 내의 세척수 수위가 계속 높아짐에 따라 세척수가 넘칠 수 있고,
세척 중 세척대상물에서 박리된 이물질이 세척조(10) 내에 계속 잔존할 경우 세척 후 세척대상물을 수거하는 동안 세척대상물에 이물질이 달라붙을 수 있으므로,
상기 세척조(10)는, 측벽부(11) 상부에 형성되어 세척수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이 세척조(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월류홀(14)을 포함한다.
상기 월류홀(14)은 복수개가 세척조(10)의 전후좌우 측벽부(11)에서 상측 소정 높이를 따라 일렬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세척수 토출수단(30) 등에 의해 세척수의 수위 상승 내지 와류가 발생할 때, 세척대상물에서 박리되어 세척수 위로 부유하는 거품, 기름 또는 기타 오물 등이 세척수와 함께 세척조(10) 외부로 자연 배출되도록 한다.
즉, 세척대상물이 세척되는 과정 중 또는 세척 완료 후 발생하는 거품이나, 세척대상물에서 박리된 기름이나 각종 오물 등의 이물질은, 세척수 수면 위로 부상하므로, 후술하는 폭기관(36)에 의해 세척수의 와류가 발생하여 이물질의 세척조(10) 외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월류홀(14)을 통해 세척조(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세척 중 또는 세척 후 세척대상물의 추가 오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 월류홀(14)을 통해 세척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제거하거나 수거할 필요가 없고, 상기 세척수 공급부(31)의 드레인(31b)과 함께 세척조(10) 내의 세척수 오염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10)는, 상기 월류홀(14)이 형성된 측벽부(11) 외측에서, 월류홀(14)과 연통되어 세척수가 일방향으로 모여서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조(19)가 설치되며,
상기 집수조(19)에는 배출되는 세척수에서 이물질을 걸러서 최종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콕(19a)이 구비된다.
이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에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드레인콕(19a)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 공급부(31)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드레인콕(19a)은 이물질이 걸러져 저장되는 오물통을 포함하며, 이러한 오물통은 상기 급수구(16)에 설치된 드레인(31b) 또는 배수구(15)에 설치된 드레인(미도시)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척수 토출수단(30)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토출구(13)는 세척수 공급부(31)와 연결되어 세척조(10)의 전후좌우 측벽부(11) 및/또는 바닥부(12)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지된 각종 노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토출구(13)의 개수, 위치, 구체적인 토출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세척수 토출수단(30)은, 상기 세척조(10) 내에서 세척수의 와류가 발생하도록,
상기 세척조(10)의 바닥부(12)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부(31)와 연결된 배관(35)과,
상기 배관(35)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분기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공(36a)을 구비한 폭기관(36)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35)은, 상기 공급관(33)에 결합된 분기관(33a)과 연결되어 세척수가 이송되며, 배관(35)에서 분기된 복수개의 폭기관(36)에서 상향 토출되는 세척수는 세척조(10) 내의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세척수의 유동에 의한 세척 효과를 증대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세척조(10) 바닥부(12)에 구비되는 토출구와 상기 폭기관(36)의 토출공(36a)은, 세척수를 상향 토출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으로, 토출구와 폭기관(36)이 모두 설치되거나, 토출구 또는 폭기관(36) 중 어느 하나만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폭기관(36)은 상기 배관(3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토출공(36a)의 직경이 폭기관(36)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세척수의 토출 압력을 토출구보다 강하게 형성하여, 세척수의 와류 형상을 보다 직접적으로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세척조(10)의 측벽부(11)이나 바닥부(12)에 토출구(13)를 형성하는 경우, 토출구(13)마다 토출 압력을 증대시키는 노즐을 설치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배관 연결이 복잡하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세척조(10)의 측벽부(11)이나 바닥부(12)에 구비된 토출구(13)의 경우 일반 배관(35)을 통해 세척수의 토출 압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상기 폭기관(36)을 통해 세척수의 토출 압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토출 압력 차이에 따른 세척수의 와류 형성이 보다 넓고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기관(36)에서 토출공(36a)은 상측을 향해 폭기관(3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 또는 다열 배열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부채꼴 형상으로 토출공(36a)이 형성되어 세척수의 토출방향을 다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폭기관(36)에서 상측으로 수직 연장된 보조관(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토출공이 형성되어, 폭기관(36)에서의 세척수 상향 토출과 보조관에서의 세척수 수평방향 토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배관(35)과 폭기관(36)이 바닥부(12)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 이물질이 관들 사이에 끼어 세척조(10)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없고, 세척대상물이 와류에 의해 유동하면서 배관(35) 또는 폭기관(36)에 충돌할 경우 식자재로써의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버블 분출구(17)와 폭기관(36)이 노출되도록 세척조(10)의 바닥부(12)를 덮으면서 결합되는 바닥커버(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커버(40)는 버블 분출구(17)와 폭기관(36)의 형성 위치나 형태에 각각 대응하여 상하로 관통 형성된 노출공(41)(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부에 받침대(43)가 마련되어 폭기관(36) 상부에 바닥커버(40)가 안착되도록 하며, 이 경우, 바닥커버(40)의 외변과 세척조(10)의 측벽부(11) 사이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유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수구(15), 급수구(16), 흡입구(18)로 세척수의 유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바닥커버(40)가 세척조(10)의 바닥부(12)에 설치되는 경우, 세척수를 상향 배출하는 토출구는 바닥커버(40)에 설치될 것이나, 상기한 바와 같이, 폭기관(36)이 세척수의 상향 배출 기능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바닥커버(40) 상면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세척수 토출수단(30)은, 상기 세척조(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하향 분사하는 것으로, 세척조(10) 상측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분사헤드(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헤드(37)는 세척조(10)의 좌우너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관체로써, 상기 분기관(33a)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조(10)로 세척수를 하향 분사한다.
상기 분사헤드(37)는 측단면 형상이 역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양측 사면부 상에 다수개의 분사공(37h)이 형성되어, 세척수가 세척조(10)로 낙하되는 분사 방향이 세척조(10)의 전 범위에 걸쳐 형성되도록 한다(즉 측면에서 바라볼 때 분사헤드(37)에서 세척수가 부채꼴 형태로 퍼지면서 분사되도록 함.).
이러한 분사헤드(37)의 세척수 분사는 세척조(10) 내의 세척수 유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낙하 충격을 이용한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분사헤드(37)의 세척수를 이용해 수작업으로 세척대상물을 세척하거나 헹구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헤드(37)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관(37a)으로 상기 분기관(33a)과 연결되고, 분사헤드(37)의 양측단과 세척조(10)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분사헤드(37)를 고정시키는 고정바(38)를 더 포함한다.
자바라관(37a)은 일반 관과, 다르게 각도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각도 및 방향 조절 후 변형 상태가 소정 강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세척대상물의 종류나 수량, 크기 등에 따라 분사헤드(37)의 높이나 방향, 각도 등을 조절하여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38)는 양 끝단이 분사헤드(37)와 본체(1)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분사헤드(37)가 고정바(38)를 통해 본체(1)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자바라관(37a)에 의해 분사헤드(37)가 처지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때 고정바(38)의 고정은 볼트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미설명 도면 부호 33b는 분기관(33a)과 자바라관(37a)을 연결하여 세척수가 분사 헤드(37)로 공급되도록 하는 호스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세척조(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척대상물이 세척조(10) 내에서 중간 소정 높이에서 체류하도록 하는 메시망(50)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망(50)은 복수개의 살(51)들이 일방향 또는 십자 방향으로 배열되어 살(51)들 사이에 세척수의 유동을 보장하는 관통부(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메시망(50)의 양측에 지지대(53)가 설치되어 상기 바닥커버(40) 상면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메시망(50)을 세척조(10)의 바닥부(12)에 설치하게 되면, 세척수에서 가라앉는 무거운 세척대상물(예를 들어 과일 등)을 메시망(50) 위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부(12)에 구비된 토출구 또는 폭기관(36)과, 세척대상물 사이가 이격되어 폭기관(36)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세척수에서 부유하는 세척대상물(예를 들어 상추 등과 같은 채소류)을 메시망(50)으로 눌러주게 되면 세척대상물이 세척수 수면 위로 떠올라 폭기관(36)에 의한 세척효과가 반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메시망(50)을 통해 무게에 상관없이 세척대상물이 세척수의 중간 소정 높이에 체류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세척조(10)의 전후좌우 및 상하 모든 방향에서 토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척시간을 줄이고 세척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54는 메시망(50)을 잡기 위한 손잡이이다.
한편, 세척수에서 부유할 정도의 무게를 갖는 세척대상물의 경우, 메시망(50)이 바닥커버(40)의 상면에 단순 안착되게 되면, 세척대상물의 크기, 양, 형태 등에 따라 세척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즉, 세척대상물과, 폭기관(36) 및 버블 분출구(17) 사이에 충분한 이격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상기한 세척 효과가 절감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메시망(50)을 세척조(10)의 소정 높이에 고정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조(10)의 양측 측벽부(11)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된 복수개의 고정공(11a)이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메시망(50)의 지지대(53)에는 상기 고정공(11a)에 대응하는 끼움공(53a)이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60)은, 상기 고정공(11a)과 상기 끼움공(53a)을 모두 관통하면서 결합되어, 측벽부(11)와 지지대(53)가 서로 접하도록 강제하여 메시망(50)을 고정시키는 가압부재(61)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61)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미지칭)를 갖고,
상기 중공부에 끼워지고 내측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탄성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63)를 구비한 심부재(64)와,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어, 상기 심부재(64)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날개부(63)가, 상기 세척조(10)의 측벽부(11)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강제하는 코일스프링(66)을 포함한다.
상기 심부재(64)는 외측 끝단부에 누름부(65)가 마련되어, 중공부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부재(61)에 결합된다.
그리고 날개부(63)는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일종의 래치형 부재로써, 날개부(63)와, 심부재(64)의 내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63a)에는, 날개부(63)가 외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날개부(63)가 외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강제되므로, 코일스프링(66)에 의해, 심부재(64)가 중공부에서 인출되도록 가압되는 상태에서는, 날개부(63)가 펼쳐지면서 세척조(10)의 측벽부(11)를, 메시망(50)의 지지대(53) 방향으로 가압하여 메시망(50)이 고정된다.
또한 누름부(65)를 내측으로 눌러, 심부재(64)가 중공부로 인입도록 가압된 상태에서는, 날개부(63)와 측벽부(11)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탄성체에 의하여 날개부(63)가 외측 방향으로 접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가압부재(61)의 파지부(62)를 잡고 빼내게 되면, 날개부(63)가 끼움공(53a) 및 고정공(11a)을 통과하면서 분리됨에 따라, 측벽부(11)와 지지대(53)를 구속하는 압력이 해제되어, 메시망(50)을 세척조(1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60)은, 메시망(50)의 지지대(53) 구조로 인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일반적인 결합 방식을 채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구성의 가압부재(61)를 통해 가압부재의 고정 및 해제가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져, 메시망(5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본체
10 : 세척조 11 : 측벽부 12 : 바닥부
13 : 토출구 14 : 월류홀 15 : 배수구
16 : 급수구 17 : 분출구 18 : 흡입구
19 : 집수조 19a : 드레인콕 20 : 버블 공급부
21 : 가압펌프 22 : 분출관 23 : 흡입관
30 : 세척수 토출수단 31 : 세척수 공급부 32 : 수도 코크
31a : 수격펌프 31b : 드레인 33 : 공급관
34 : 급수관 35 : 배관 36 : 폭기관
36a : 토출공 37 : 분사헤드 37a : 자바라관
38 : 고정바 40 : 바닥커버 41, 42 : 노출공
43 : 받침대 50 : 메시망 51 : 살
52 : 관통부 53 : 지지대 54 : 손잡이
60 : 고정수단 61 : 가압부재 62 : 파지부
63 : 날개부 63a : 힌지부 64 : 심부재
65 : 누름부 66 : 코일스프링

Claims (4)

  1.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조;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세척조로 분출되도록 하는 버블 공급부;
    상기 세척조의 상부 또는 상기 세척조의 측벽부 또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되며, 세척수 공급부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로 토출하는 세척수 토출수단; 포함하여 이루어져,
    세척조 내의 세척대상물에 대하여,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1차 세척과, 세척수 토출에 의한 2차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는, 상기 세척수 공급부와 연결된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공급관을 포함한 세척수 토출수단을 통해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는,
    측벽부에 형성되어 세척수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이 세척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월류홀과,
    상기 월류홀이 형성된 측벽부 외측에 결합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에서 이물질을 걸러서 최종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세척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에서 세척수의 와류가 발생하도록, 상기 세척수 토출수단은,
    상기 세척조의 바닥부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부와 연결된 배관과,
    상기 배관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분기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공을 구비한 폭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세척기.
KR1020160024510A 2016-02-29 2016-02-29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KR20160030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10A KR20160030497A (ko) 2016-02-29 2016-02-29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KR1020160041265A KR101697174B1 (ko) 2016-02-29 2016-04-04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10A KR20160030497A (ko) 2016-02-29 2016-02-29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497A true KR20160030497A (ko) 2016-03-18

Family

ID=556517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510A KR20160030497A (ko) 2016-02-29 2016-02-29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KR1020160041265A KR101697174B1 (ko) 2016-02-29 2016-04-04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265A KR101697174B1 (ko) 2016-02-29 2016-04-04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3049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849A (zh) * 2017-12-29 2018-04-20 合肥摩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土豆多级清洗装置
KR20180079850A (ko) * 2017-01-03 2018-07-11 한국식품연구원 가온마이크로버블수로 처리된 과실 및 채소류, 가온마이크로버블수를 이용하여 과실 및 채소류를 처리하는 방법 및 마이크로버블 세척장치
KR20180079851A (ko) * 2017-01-03 2018-07-11 한국식품연구원 가온마이크로버블 탄산수로 처리된 과실 및 채소류, 가온마이크로버블 탄산수를 이용하여 과실 및 채소류를 처리하는 방법 및 마이크로버블 세척장치
CN108451405A (zh) * 2018-05-15 2018-08-28 李常德 一种微气泡蔬果槽
CN115444295A (zh) * 2022-08-24 2022-12-09 宁波龙富电器工具有限公司 气囊足浴盆
KR102504928B1 (ko) * 2022-09-01 2023-03-02 곽승천 농산물 프탈레이트 제거방법 및 제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201B1 (ko) * 2017-05-23 2018-08-09 주식회사 알파메딕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KR101933582B1 (ko) * 2018-03-07 2018-12-28 김채우 버블 살균 세척기
KR102336198B1 (ko) * 2021-03-16 2021-12-08 주식회사 아인스 마이크로버블과 와류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발 세척장치
KR102516511B1 (ko) * 2022-10-20 2023-03-31 (주)이하이진 살균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644Y1 (ko) * 2003-08-22 2003-11-07 김인철 식품 자동세척장치
KR20120052524A (ko) * 2010-11-16 2012-05-24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공기 방울을 이용한 식품 세척기
KR200462597Y1 (ko) * 2011-01-26 2012-09-18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
KR101441017B1 (ko) * 2013-01-15 2014-09-17 김찬주 친환경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50A (ko) * 2017-01-03 2018-07-11 한국식품연구원 가온마이크로버블수로 처리된 과실 및 채소류, 가온마이크로버블수를 이용하여 과실 및 채소류를 처리하는 방법 및 마이크로버블 세척장치
KR20180079851A (ko) * 2017-01-03 2018-07-11 한국식품연구원 가온마이크로버블 탄산수로 처리된 과실 및 채소류, 가온마이크로버블 탄산수를 이용하여 과실 및 채소류를 처리하는 방법 및 마이크로버블 세척장치
CN107927849A (zh) * 2017-12-29 2018-04-20 合肥摩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土豆多级清洗装置
CN108451405A (zh) * 2018-05-15 2018-08-28 李常德 一种微气泡蔬果槽
CN115444295A (zh) * 2022-08-24 2022-12-09 宁波龙富电器工具有限公司 气囊足浴盆
KR102504928B1 (ko) * 2022-09-01 2023-03-02 곽승천 농산물 프탈레이트 제거방법 및 제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174B1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174B1 (ko)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KR200449276Y1 (ko) 다기능 식품 세척기
KR101441017B1 (ko) 친환경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KR101941411B1 (ko) 복합 세정 구조를 갖는 식기 애벌 세척기
KR940011551B1 (ko) 식기세척기
KR100644763B1 (ko) 야채 세척기
US9375126B2 (en) Waterless dishwasher
CA2749950C (en) Silverware, flatware or parts wash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933582B1 (ko) 버블 살균 세척기
CN201045210Y (zh) 清洗装置及设有该装置的厕所装置
CN205512215U (zh) 豆芽清洗去壳机
KR20180103383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91817B1 (ko) 곡물 및 야채 복합형 세척기
KR102516511B1 (ko) 살균 세척기
CN201279088Y (zh) 食品消毒清洗机
KR20210015541A (ko) 식판 담금형 애벌세척기
CN212759960U (zh) 一种清洗装置
JP7343871B2 (ja) 食品洗浄システム
CN201500033U (zh) 一种浸入式果蔬清洗机
JPH09224897A (ja) 節水型洗浄装置
JP7343870B2 (ja) 食品洗浄装置
CN216533713U (zh) 蔬果清洗机
CN216255304U (zh) 一种清洁瓜果类蔬菜表面农残效果好的清洗设备
CN215913249U (zh) 一种带有循环喷淋功能的果蔬架喷淋装置
CN220777337U (zh) 一种清洗效率高的果蔬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