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538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538A
KR20160029538A KR1020140119217A KR20140119217A KR20160029538A KR 20160029538 A KR20160029538 A KR 20160029538A KR 1020140119217 A KR1020140119217 A KR 1020140119217A KR 20140119217 A KR20140119217 A KR 20140119217A KR 20160029538 A KR20160029538 A KR 20160029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nection
mobi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514B1 (ko
Inventor
신충환
변성찬
송상훈
송인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514B1/ko
Priority to US14/823,750 priority patent/US9760126B2/en
Priority to EP15002453.7A priority patent/EP2993871B1/en
Priority to CN201510559751.1A priority patent/CN105407187B/zh
Publication of KR2016002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대 회전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상대 회전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제1 케이스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타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는 접었다 펼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가 약간 이동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단말기의 기구적인 구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접었다 펼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펼쳐질 때 과도하게 휘어지지 않고, 케이스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대 회전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상대 회전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제1 케이스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타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각각,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는 각각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벽부(wall portion) 및 제2 벽부와,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일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와 일체로 회전가능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및 탄성부재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에는 상기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는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는 각각 자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열린 상태로 변환시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외주에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와 기어 결합하도록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회전부의 기어와 대응되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는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며 일체로 형성되는 신축가능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제1 지지축 및 제2 지지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축 및 제2 지지축은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굴곡판(corrugated plate) 또는 메시(mesh)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캠부를 포함하는 클릭 힌지(click hinge)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캠부가 하나 또는 두 개일 수 있고, 상기 캠부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캠부가 상기 결합부의 상단 및 하단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캠부와는 상호 배타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조인트 및 제2 조인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인트 또는 제2 조인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형성되는 장공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각각 일 단부가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각각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회전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링크(link) 또는 지그재그(Zigzag)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가 지그재그 스프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타 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와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제1 회전 플레이트 및 제2 회전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후크 및 제2 후크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회전부에 리세스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에 안착되는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의 상단 및 하단에 노출되는 수직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와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배면에는 지문인식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상부 케이스와, 상기 제1 상부 케이스를 지지하는 제1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2 부분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2 상부 케이스와,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를 지지하는 제2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제2 상부 케이스 및 제2 하부 케이스의 끝단에 형성되는 에지부(edg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에지부 내부에는 상기 제2 부분에 고정되어 제2 부분과 일체로 이동가능한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에지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케이스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획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일측에는 전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전자석 및 자석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열린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내부에는 각각 자기부재가 구비되어 닫힌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자기부재는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는 자기부재가 구비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상단 및 하단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가 제2 케이스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끝단 및 제2 케이스의 부분 중 상기 제1 케이스의 끝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자기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가 펼쳐질 때 과도하게 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펼쳐질 때 케이스들간에 이격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닫힐 때는 케이스들끼리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닫힌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이동 단말기 일부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a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도 3a의 BB를 따라 절단한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6c는 도 6b에서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닫힌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이동 단말기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b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8의 FF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a는 도 8의 GG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a는 도 8의 HH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a는 도 8의 HH를 따르는 또 다른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12c 및 도 12d는 도 12a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단면도이고, 도 13b 및 도 13c는 자기부재에 의해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밀착되기 전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가 형성된 이동 단말기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14b는 기어 구조를 갖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고, 도 14c는 도 14b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4d는 도 14b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5c는 도 15b의 사시도이고, 도 15d는 닫힌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6c는 도 16b의 사시도이고, 도 16d는 닫힌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클릭 힌지(click hinge)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접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b는 프리스탑 힌지(free-stop hing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18b는 도 18a의 싱글 힌지를 구비하는 결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18c는 듀얼 힌지를 구비하는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19b는 도 19a에서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19c는 도 19b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가 제거된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20b는 상기 이동 단말기 중 결합부를 포함하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20c는 도 20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21b는 도 21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가 제거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22b는 도 22a의 이동 단말기 중 결합부를 포함하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22c는 도 22b의 XX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제거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23b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3c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의 끝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끝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26b는 도 26a의 YY를 따라 절단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 1a 및 도 1b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케이스(1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수용하는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닫힌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열린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240)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240)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상기 제1 케이스(210) 또는 제2 케이스(220)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을 감싸면서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flexible display)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40)는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다수의 영역(241a,241b,241c,24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240)는 각각의 영역(241a,241b,241c,242)에 따라 다른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240)가 펼쳐지는 열린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240)가 하나의 단일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40)의 다수의 영역을 개별적으로 다른 영상신호를 표시할 것인지, 디스플레이(240) 전체가 단일 영상신호를 표시할 것인지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240)를 상기 제1 케이스(210)에 형성되는 제1 부분(241)과 제2 케이스(220)에 형성되는 제2 부분(242)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케이스(210)는 닫힌 상태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케이스일 수 있고, 상기 제2 케이스(220)는 닫힌 상태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241)은 상기 제1 케이스(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영역(241a)과, 상기 제1 영역(241a)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영역(241b)과, 상기 제2 영역(241b)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2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3 영역(241c)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부분(24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케이스(2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영역(241c)이 상기 제1 케이스(210)의 상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3 영역(241c)과 제2 영역(241b)이 상기 제1 케이스(2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동 단말기(200)를 펼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240)가 밀리는 구조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240)의 끝부분인 제3 영역(241c)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제1 케이스(2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240) 중 제3 영역(241c)만 다른 부분(241a,241b,242)과 별도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영역(241b) 및 제3 영역(241c)이 상기 제1 영역(241a) 및 제2 부분(242)과는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3 영역(241c)만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241b) 또는 제1 영역(241a)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케이스(210)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상기 제2 영역(241b) 및 제3 영역(241c)이 상기 제1 영역(241a) 및 제2 부분(242)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241a)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케이스(210)에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이동 단말기(200)를 펼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240)가 밀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의 제1 케이스(210)는 디스플레이(240)의 제2 영역(241b) 및 제3 영역(241c)이 형성되는 것을 지칭하고, 제2 케이스(22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240)의 제2 부분(242)이 형성되면서, 이동 단말기(200)를 개폐함에 의해 디스플레이(24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열린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240)가 평평하게 펼쳐지는 경우 뿐만 아니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꺾여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즉, '열린 상태'란 이동 단말기(200)의 내면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240) 영역들이 일부 또는 전부가 펼쳐져서, 전면에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열린 상태는 도 2c와 같이 제1 부분(241)의 제1 영역(241a)과 제2 부분(242)이 평평하게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제1 부분(241)의 제2 영역(241b) 및 제3 영역(241c)도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부분(241)의 제1 영역(241a)만 제2 부분(242)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고, 제2 영역(241b) 및 제3 영역(241c)은 케이스의 끝단에 접혀져 있는 경우가 있으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241)의 제1 내지 제3 영역(241c)과 제2 부분(242)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지는 경우도 있다. 이는 마치 책을 펼쳐놓은 것과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제1 열린 상태라고 명명하고, 후자의 경우를 제2 열린 상태라고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1 열린 상태 및 제2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241a)과 제2 부분(242)이 반드시 동일 평면을 형성할 필요는 없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40)에 표시되는 정보를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꺾여지는 상태도 포함한다.
또한, '닫힌 상태'는 상기 제1 영역(241a)과 제2 부분(242)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제1 영역(241a) 및 제2 부분(242)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는 상기 제2 영역(241b) 및 제3 영역(241c)도 케이스에 접혀진 채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전술한 제1 또는 제2 열린 상태에서 "꺾인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꺾인 상태"란 상기 제1 또는 제2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241a)과 제2 부분(242)이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상태를 의미한다.(도 17 참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이동 단말기(200) 일부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가장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240)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200)의 낙하시에 충격을 디스플레이(240)가 아닌 이동 단말기(200) 케이스에 전달되도록 한다.
도 4a는 도 3a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a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23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a는 도 3a의 BB를 따라 절단한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6c는 도 6b에서의 제1 케이스(210)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30)는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서로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끝단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230)는 일 단부(231d)가 상기 제1 케이스(210)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케이스(210)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연결부(231)와, 일 단부(232d)가 상기 제2 케이스(220)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케이스(220)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연결부(232)와,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의 타 단부(231e,232e)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부분(241) 및 제2 부분(242)을 연결하는 휨부(243)가 일정한 반경으로 절곡된다. 즉, 상기 휨부(243)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40)가 휘어지는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케이스(210)는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되고 길이 방향(도 6a에서 X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바디(210a)와, 상기 제1 바디(210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230)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 절곡부(2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케이스(220)도 상기 제1 케이스(21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되고 길이 방향(도 6a에서 X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220a)와 상기 제2 바디(220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230)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2 절곡부(2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바디(210a) 및 제2 바디(220a)는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곡부(210b) 및 제2 절곡부(220b)도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일 부분을 지시하면서 사용되는 '제1', '제2'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각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에 대한 사항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커버부(214)는 제1 케이스(210)의 일 부분을 의미하고, 제2 커버부(224)는 제2 케이스(220)의 일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면부호에서 끝의 두 자리 숫자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절곡부(210b)는 이동 단말기(200)의 상단 및 하단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벽부(213)(wall portion)와, 상기 제1 벽부(213)와 일체로 형성되고, 이동 단말기(200)의 폭 방향(도 2c에서의 Y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커버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부(220b)도 상기 제1 절곡부(210b)와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200)의 상단 및 하단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벽부(223)(wall portion)와, 상기 제2 벽부(223)와 일체로 형성되고, 이동 단말기(200)의 폭 방향(도 2c에서의 Y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커버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단 및 하단은 도 2c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가 열린 상태에서의 상부 및 하부를 의미하며, 상기 폭 방향은 도 2c에서의 이동 단말기(200)의 높이를 의미한다.
상기 제1 벽부(213) 및 제2 벽부(223)는 상기 제1 바디(210a) 및 제2 바디(220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바디(210a) 및 제2 바디(220a)의 수직부(223a)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의 사항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의 일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벽부(213) 및 제2 벽부(223)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부(233)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231)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부(231)와 일체로 회전가능한 제1 회전축(233a)과, 일 단부가 상기 제2 연결부(232)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2 연결부(232)와 일체로 회전가능한 제2 회전축(233b)과,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을 회전시키는 탄성부재(23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는 각각 상기 제1 벽부(213) 및 제2 벽부(223)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33c)는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33c)는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의 회전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므로 여기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233c)는 양 측에서 동시에 감기거나 펼쳐질 수 있는 태엽(spiral spring)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는 상기 제1 벽부(213) 및 제2 벽부(22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바닥부(231a) 및 제2 바닥부(232a)가 구비되어 있다. 즉,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는 각각 상기 제1 벽부(213) 및 제2 벽부(223)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에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을 각각 고정하기 위하여 제1 바닥부(231a) 및 제2 바닥부(232a)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이 상기 제1 바닥부(231a) 및 제2 바닥부(232a)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233c)는 일 예로, 태엽일 수 있는데, 상기 태엽이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의 외주면을 다수 회 감아서 복원력을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의 단면을 다각 형상으로 하거나, 타원으로 형성하면,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상기 결합부(230)는 이동 단말기(200)의 폭 방향에서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후에 후술하는 결합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233a) 및 제2 회전축(233b)과, 탄성부재(233c)는 지지부(233d)에 의해 감싸여지는데, 상기 지지부(233d)는 상기 제1 회전축(233a), 제2 회전축(233b) 및 탄성부재(233c)를 지지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지지부(233d)는 상기 제1 회전축(233a), 제2 회전축(233b) 및 탄성부재(233c)를 감싸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는 내부가 충진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닫힌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이동 단말기(200)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인데, 도 7a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그려진 것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40)는 이동 단말기(200)를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시에 화살표 방향으로 약간 밀리게 된다. 이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부(243)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휨부(243)에 해당하는 부분이 직선(평면)으로 되면서 닫힌 상태에서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때, 디스플레이(240)의 제3 영역(241c)이 구비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210)의 표면에는 리세스부(215)가 형성되어 상기 제3 영역(241c)이 외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도 7b의 평면도이고, 도 9a는 도 8의 FF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a는 도 8의 GG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a는 도 8의 HH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233),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233d)와,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는 접촉하면서 회전하거나, 거의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는 상기 지지부(233d)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에는 제1 돌기(231b) 및 제2 돌기(232b)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33d)의 외주에는 상기 제1 돌기(231b) 및 제2 돌기(232b)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걸림턱(233e)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는 대략 초승달 형상이고, 회전부(233)는 대략 오뚜기 또는 숫자 8과 유사한 형상이다.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는 상기 회전부(233)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데,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에 제1 돌기(231b) 및 제2 돌기(232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돌기(231b) 및 제2 돌기(232b)가 상기 지지부(233d)의 외주에 형성되는 걸림턱(233e)에 걸려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233e)은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의 제1 돌기(231b) 및 제2 돌기(232b)에 대응되도록 양쪽에 이격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림턱(233e)은 닫힌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240)의 배치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턱(233e)의 위치가 닫힌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240)와 수직으로 되어야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각각 90°회전함에 의해 펼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의 내주면에 폭 방향을 따라 제1 돌출부(234) 및 제2 돌출부(235)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일차적으로는 상기 제1 돌기(231b) 및 제2 돌기(232b)와 걸림턱(233e)의 결합에 의해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의 회전이 제한되고, 이차적으로는 상기 제1 돌출부(234) 및 제2 돌출부(235)에 의해 상기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돌출부(234) 및 제2 돌출부(235)는 상기 지지부(233d)를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디스플레이(2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233d)는 위로 위치 변경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40)와 접촉 또는 미접촉할 수 있는데,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4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도 9b, 도 10b, 도 11b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는 각각 열린 상태에서 대향하는 대면부(214b,224b)와, 서로 이격되는 이격부(214a,224a)로 구성되는데, 열린 상태에서 상기 대면부(214b,224b)는 일정 간격(D) 이격될 수 있다.(도 13b 참조)
도 12a는 도 8의 HH를 따라서 취한 또 다른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12c 및 도 12d는 도 12a의 일부 사시도인데,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의 내측, 또는 상기 제1 벽부(213) 및 제2 벽부(223)에는 각각 자기부재(251,251a,251b)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열린 상태로 변환시 상기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를 서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환시에는 상기 지지부(233d)가 위로 올라오는데, 이때 상기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는 소정의 간격(D)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기부재(251,251a,251b)를 적용하였다. 도 12b에서는 상기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에 제1 자기부재(251a) 및 제2 자기부재(251b)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결합부(230)를 포함하는 단면도이고, 도 13b 및 도 13c는 자기부재(251,251a,251b)에 의해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밀착되기 전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는 회전부(233)의 외주에 인접하게 원호부(231c,232c)가 형성되고, 상기 원호부(231c,232c)가 회전부(233)의 외주와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234) 및 제2 돌출부(235), 상기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의 원호부(231c,232c)에 의해 상기 회전부(233)가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233)가 위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240)와 접촉 또는 거의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가 열린 상태를 구현시 제1 절곡부(210b) 및 제2 절곡부(220b)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절곡부(210b) 및 제2 절곡부(220b)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대면부(214b) 및 제2 대면부(224b)가 서로 이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일정 간격(D)으로 이격되는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사용시에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 사용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서로 맞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대면부(214b) 및 제2 대면부(224b)의 일측에 자기부재(251)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상기 자기부재(251)를 각각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서로 상대 회전한 후에 이격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커버부(214) 및 제2 커버부(224)의 내주면에는 제1 돌출부(234) 및 제2 돌출부(235)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이 따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결합부(30)를 기어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a는 결합부(330)가 형성된 이동 단말기(300)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14b는 기어 구조를 갖는 결합부(330)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300)의 단면도이고, 도 14c는 도 14b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4d는 도 14b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333)는 외주에 기어(333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331) 및 제2 연결부(332)는 상기 회전부(333)와 기어 결합하도록 상기 회전부(233)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회전부(33)의 기어와 대응되는 제1 기어(331d) 및 제2 기어(332d)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기어(331d) 및 제2 기어(332d)는 각각 제1 연결부(331) 및 제2 연결부(332)의 외주 일부에 형성되는 기어이며, 상기 회전부(333)는 외주에 기어(33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333a)가 상기 제1 기어(331d) 및 제2 기어(332d)와 기어 결합을 하나, 상기 회전부(333)가 회전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상하로 이동할 뿐이다. 즉, 상기 제1 기어(331d) 및 제2 기어(332d)가 상기 회전부(333)에 형성되는 기어(333a)와의 기어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부(333)를 상승시켜 상기 회전부(333)가 디스플레이(3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에 도시된 결합부(330)는 상기 이동 단말기(300)의 폭 방향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결합부(230)와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결합부(230)가 이동 단말기(20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됨과 동시에, 도 14에 도시된 결합부(330)가 이동 단말기(30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구조적으로 특별히 배제하지 않는 이상 다수의 결합부들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431) 및 제2 연결부(432)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400)의 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5c는 도 15b의 사시도이고, 도 15d는 닫힌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400)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와 유사하게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의 단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6c는 도 16b의 사시도이고, 도 16d는 닫힌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500)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433,533)는 내부에 중공부(433f,533f)가 형성되고, 제1 연결부(431,531) 및 제2 연결부(432,532)는 상기 중공부(433f,533f)를 관통하고, 일체로 형성되며 신축가능하다. 상기 제1 연결부(431,531) 및 제2 연결부(432,532)의 양단에는 상기 제1 연결부(431,531) 및 제2 연결부(432,532)를 고정시키는 제1 지지축(431d,531d) 및 제2 지지축(432d,532d)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431,531) 및 제2 연결부(432,532)를 일체로 형성하고, 신축가능한 구조를 채용하였다. 상기 신축가능한 구조를 위하여, 상기 제1 연결부(431,531) 및 제2 연결부(432,532)로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굴곡판(corrugated plate) 또는 메시(mesh)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굴곡판 또는 메시는 상기 제1 지지축(431d,531d) 및 제2 지지축(432d,532d)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는 재질이다. 다만, 상기 제1 연결부(431,531) 및 제2 연결부(432,532)는 기구의 형상에 의해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부재이다.
상기 제1 지지축(431d,531d) 및 제2 지지축(432d,532d)은 제1 케이스(410,510) 및 제2 케이스(420,520)의 제1 벽부(413,513) 및 제2 벽부(423,523)에 고정되며, 이동 단말기(400,50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431,531) 및 제2 연결부(432,532)는 상기 중공부(433f,533f)에 위치하고 있으나,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431,531) 및 제2 연결부(432,532)가 신장되어 상기 제1 연결부(431,531) 및 제2 연결부(432,532)는 상기 중공부(433f,533f)의 내벽에 닿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신축가능한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굴곡판 또는 메시가 이동 단말기(400,500)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클릭 힌지(click hinge)에 의해 이동 단말기(200)의 접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b는 프리스탑 힌지(free-stop hing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클릭 힌지는 특정 각도(θ)를 지나면 자동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리스탑 힌지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열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θ1,θ2,θ3,θ4)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인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200)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600)의 평면도이고, 도 18b는 도 18a의 싱글 힌지를 구비하는 결합부(630)의 사시도이고, 도 18c는 듀얼 힌지를 구비하는 결합부(630)의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633)는 상기 제1 벽부(613) 및 제2 벽부(623)에 고정되는 하우징(6331)과, 상기 하우징(633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연결부(631) 또는 제2 연결부(63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부(631) 또는 제2 연결부(632)를 회전시키는 캠부(6332)(cam portion)를 포함하는 클릭 힌지(click hinge)일 수 있다. 상기 클릭 힌지는 상기 결합부(63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캠부(6332)가 하나 또는 두 개일 수 있는데, 상기 캠부(6332)가 하나인 경우를 싱글 힌지(single hinge)라고 명명하고, 캠부(6332,6332')가 두 개인 경우를 듀얼 힌지(dual hinge)로 명명하기로 한다.
이때, 싱글 힌지인 경우에는 상기 캠부(6332)가 상기 결합부(630)의 상단 및 하단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6331)의 타측에는 돌기(6333)가 형성되어 상기 캠부(6332)와는 상호 배타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631) 또는 제2 연결부(632)에 삽입된다. 즉,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위치하는 클릭 힌지 중 캠부(6332)가 제2 케이스(620)를 회전시키게 되면, 하단에 위치하는 클릭 힌지의 캠부(6332)는 제1 케이스(610)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된다. 상기 캠부(6332)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제1 케이스(610) 또는 제2 케이스(6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진 평탄부(63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클릭 힌지를 이동 단말기(60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단 또는 하단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캠부(6332)가 반드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할 필요는 없고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클릭 힌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클릭 힌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700)의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19b는 도 19a에서의 회전부(733)를 포함하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19c는 도 19b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733)는 상기 제1 연결부(731) 및 제2 연결부(732)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조인트(736) 및 제2 조인트(737)가 형성되는 하우징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조인트(736) 또는 제2 조인트(737)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연결부(731) 또는 제2 연결부(732)에 형성되는 장공(737)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733)은 상기 제1 벽부(713) 및 제2 벽부(723)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조인트(737)는 조인트 삽입홀(739)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733)는 상기 제1 연결부(731) 및 제2 연결부(732)에 삽입 고정되며, 도 19b 및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케이스(720)에 형성되는 제2 조인트(737)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조인트(736)가 제1 연결부(731)에 형성되는 장공(738)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조인트(737)가 중심축이 되어 상기 제1 조인트(736)가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제1 조인트(736)는 상기 장공(738)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731) 및 제2 연결부(732)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의 전환시에 상기 제1 조인트(736)는 장공(738)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상기 제1 케이스(71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733)는 이동 단말기(70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710)와 제2 케이스(720)는 상기 제1 조인트(736)의 회전 및 슬라이딩에 의해 서로 걸림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면에는 장공(738)이 제1 연결부(731)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조인트(736)이 상기 회전부(733)의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클릭 힌지가 없이도 이동 단말기(700)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800)의 평면도이고, 도 20b는 상기 이동 단말기(800) 중 결합부(830)를 포함하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20c는 도 20b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800)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21b는 도 21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연결부(831) 및 제2 연결부(832)는 각각 일 단부가 상기 제1 벽부(813) 및 제2 벽부(823)에 각각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회전부(833)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831) 및 제2 연결부(832)는 링크(link) 또는 지그재그(Zigzag) 스프링일 수 있는데, 도 20은 상기 제1 연결부(831) 및 제2 연결부(832)가 링크인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 21은 제1 연결부(831) 및 제2 연결부(832)가 지그재그 스프링인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800)는 제1 연결부(831) 및 제2 연결부(832)가 링크인 경우로, 회전부(833)를 중심으로 제1 연결부(831) 및 제2 연결부(832)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결합부(830)는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가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는 도 2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831) 및 제2 연결부(832)가 지그재그 스프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연결부(831) 및 제2 연결부(832)의 타 단부가 상기 회전부(833)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833)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833)와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제1 회전 플레이트(867) 및 제2 회전 플레이트(868)에 고정된다. 상기 지그재그 스프링은 상기 제1 케이스(810) 및 제2 케이스(820)에 구비되는 제1 지그재그 스프링(861) 및 제2 지그재그 스프링(862)을 포함하는데, 상기 지그재그 스프링들(861,862)은 상기 제1 케이스(810) 및 제2 케이스(820)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800)가 열린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지그재그 스프링(861) 및 제2 지그재그 스프링(862)이 늘어나고, 닫힌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지그재그 스프링(861) 및 제2 지그재그 스프링(862)이 수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신축되는 지그재그 스프링(861,862)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그재그 스프링(861) 및 제2 지그재그 스프링(862)은 각각 제1 회전 플레이트(867) 및 제2 회전 플레이트(868)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867) 및 제2 회전 플레이트(868)는 상기 회전부(83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가 제거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900)의 평면도이고, 도 22b는 도 22a의 이동 단말기(900) 중 결합부(930)를 포함하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22c는 도 22b의 XX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연결부(931) 및 제2 연결부(932)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케이스(910) 및 제2 케이스(920)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후크(981) 및 제2 후크(982)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회전부(933)에 리세스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부(983) 및 제2 수용부(984)에 각각 안착되되며, 상기 제1 연결부(931) 및 제2 연결부(932)의 예로 제1 코일 스프링(931) 및 제2 코일 스프링(932)일 수 있다.
도 22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931) 및 제2 연결부(932)가 코일 스프링인 경우로, 상기 제1 연결부(931) 및 제2 연결부(932)가 상대 회전할 때 복원력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후크(981) 및 제2 후크(982)는 'L'형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용부(983) 및 제2 수용부(984)는 상기 제1 연결부(931) 및 제2 연결부(932)인 제1 코일 스프링(931) 및 제2 코일 스프링(932)의 일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즉,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900)가 열린 상태에서는 회전부(933)의 제1 수용부(983) 및 제2 수용부(984)에 수용되는 제1 코일 스프링(931) 및 제2 코일 스프링(932)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나, 이동 단말기(9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코일 스프링(931) 및 제2 코일 스프링(932)이 휘어지면서 제1 케이스(910) 및 제2 케이스(920)가 회전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는 도 15d 및 도 16d에서와 유사한 형상이 된다.
한편, 도 2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제거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200)의 평면도이고, 도 23b는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3c는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회전부(233)를 상기 제1 연결부(231)의 끝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부(261)와, 상기 제2 연결부(232)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2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23에서는 별도의 힌지가 없이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결합구조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는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전면을 향하여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220)의 끝단을 도시한 것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끝단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40)는 제1 부분(241) 및 제2 부분(2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분(241)은 상기 제1 케이스(210)의 전면(닫힌 상태에서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면)에 형성되는 제1 영역(241a)과, 상기 제1 영역(241a)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영역(241b)과, 상기 제2 영역(241b)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2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3 영역(241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영역(241b)의 배면에는 지문인식 모듈(275)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210)는 상기 제3 영역(241c)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상부 케이스(211)와,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11)를 지지하는 제1 하부 케이스(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220)는 상기 제2 부분(242)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 상부 케이스(221)와,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21)를 지지하는 제2 하부 케이스(222)와,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21) 및 제2 하부 케이스(222)의 끝단에 형성되는 에지부(270)(edg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에지부(270) 내측에는 상기 제2 부분(242)에 고정되어 제2 부분(242)과 일체로 이동가능한 지지부재(271)가 구비되고, 상기 에지부(270)는 상기 지지부재(271)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276)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71)의 상면은 상기 에지부(27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하부 케이스(222)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2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획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225)의 일측에는 전자석(273)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271)에는 자석(272)이 부착되어, 상기 전자석(273) 및 자석(272)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7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동 단말기(20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환시에는 도 24의 화살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240)가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240)가 구겨지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276)을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40)의 제2 부분(242)의 끝단에는 지지부재(271)가 부착되고, 지지부재(271)에 부착된 자석(272)과 상기 전자석(273)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271)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공간(276)에는 열린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지지부재(271)를 이동시키는 스프링(277)이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273) 및 자석(272)에 의한 지지부재(271)의 이동을 보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내부에는 각각 자기부재(274,274a,274b)가 구비되어 닫힌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200)의 평면도이고, 도 26b는 도 26a의 YY를 따라 절단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바디(220a)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수직부(223a)에는 내측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40)와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레일(282)과, 상기 레일(282)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242)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83)는 상기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4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83)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사시도인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10')가 제2 케이스(220')보다 작은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케이스(210')의 끝단과, 상기 제2 케이스(220')의 부분 중 상기 제1 케이스(210')의 끝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자기부재(281a,281b)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자기부재(281)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의 이격 간격(G)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28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내부에는 자기부재(281a,281b)가 구비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상단 및 하단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케이스(220')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그립 감지 센서(278,grip sensor)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펼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쥐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닫힌 상태를 구현시 상기 제2 케이스(220')가 상기 제1 케이스(210')에 의해 덮이고 남는 영역(245)에는 지문인식 모듈(275')이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인데, 도 2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평면도이고, 도 28b는 도 28a의 JJ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며, 도 28c는 이동 단말기(200)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는 자기부재(285,281a,281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8d는 자기부재(286) 및 금속부재(283)에 의해 이동 단말기(200)의 닫힌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200)의 단면도이다.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의 내부에는 각각 자기부재(285a,285b)가 각각 내장되어 있어, 닫힌 상태를 구현할 때 인력이 작용하여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밀착되도록 하거나, 열린 상태를 구현할 때 척력이 작용하여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서로 밀어내도록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자기부재(285a,285b)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석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210) 또는 제2 케이스(220) 중 하나의 케이스에는 자기부재(286)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가이드부(28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상기 자기부재(286)와 금속(283)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20)가 닫힌 상태를 보다 정확히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열려고 하는 의도가 확인되면 자력을 약하게 하거나 반대의 자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쉽게 열리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케이스(210,610,710,810,910)의 내부에는 제1 인쇄회로기판(290a,690a,790a,890a,990a)이 수용되고, 제2 케이스(220,620,720,820,920)의 내부에는 제2 인쇄회로기판(290b,690b,790b,890b,990b)이 각각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290a,690a,790a,890a,990a) 및 제2 인쇄회로기판(290b,690b,790b,890b,990b)은 제어부(180)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7)

  1.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대 회전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상대 회전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케이스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타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각각,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는 각각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벽부(wall portion) 및 제2 벽부와,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일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와 일체로 회전가능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및 탄성부재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에는 상기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는,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는 각각 자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열린 상태로 변환시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를 서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외주에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와 기어 결합하도록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회전부의 기어와 대응되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는,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며 일체로 형성되는 신축가능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제1 지지축 및 제2 지지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축 및 제2 지지축은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굴곡판(corrugated plate) 또는 메시(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캠부를 포함하는 클릭 힌지(click hin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캠부가 하나 또는 두 개이고, 상기 캠부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캠부가 상기 결합부의 상단 및 하단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캠부와는 상호 배타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조인트 및 제2 조인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인트 또는 제2 조인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형성되는 장공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각각 일 단부가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각각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회전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링크(link) 또는 지그재그(Zigzag)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가 지그재그 스프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타 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와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제1 회전 플레이트 및 제2 회전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일 단부가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후크 및 제2 후크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회전부에 리세스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에 안착되는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배면에는 지문인식 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상부 케이스와, 상기 제1 상부 케이스를 지지하는 제1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2 부분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2 상부 케이스;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를 지지하는 제2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제2 상부 케이스 및 제2 하부 케이스의 끝단에 형성되는 에지부(edg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에지부 내부에는 상기 제2 부분에 고정되어 제2 부분과 일체로 이동가능한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에지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케이스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획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일측에는 전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전자석 및 자석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공간에는 열린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내부에는 각각 자기부재가 구비되어 닫힌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재는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가 제2 케이스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끝단 및 제2 케이스의 부분 중 상기 제1 케이스의 끝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자기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119217A 2014-09-05 2014-09-05 이동 단말기 KR102209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217A KR102209514B1 (ko) 2014-09-05 2014-09-05 이동 단말기
US14/823,750 US9760126B2 (en) 2014-09-05 2015-08-11 Mobile terminal
EP15002453.7A EP2993871B1 (en) 2014-09-05 2015-08-18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CN201510559751.1A CN105407187B (zh) 2014-09-05 2015-09-06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217A KR102209514B1 (ko) 2014-09-05 2014-09-0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538A true KR20160029538A (ko) 2016-03-15
KR102209514B1 KR102209514B1 (ko) 2021-01-29

Family

ID=5401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217A KR102209514B1 (ko) 2014-09-05 2014-09-0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60126B2 (ko)
EP (1) EP2993871B1 (ko)
KR (1) KR102209514B1 (ko)
CN (1) CN105407187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19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85602A1 (en) * 2018-10-25 2020-04-30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00047253A (ko) * 2018-10-25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1737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에스코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19294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5001S1 (en) * 2013-02-01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72188S1 (en) * 2014-03-26 2016-11-22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including pair of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D772835S1 (en) * 2014-03-26 2016-11-29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78865S1 (en) * 2014-03-26 2017-02-1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78864S1 (en) * 2014-03-26 2017-02-1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69209S1 (en) * 2014-05-30 2016-10-18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63849S1 (en) * 2014-07-08 2016-08-16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USD763848S1 (en) * 2014-07-08 2016-08-16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USD784322S1 (en) * 2014-10-01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4851365B (zh) * 2015-05-28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04916230B (zh) * 2015-06-02 2017-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US10551880B1 (en) * 2015-09-11 2020-02-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and hinges
JP6261674B1 (ja) 2016-07-19 2018-01-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JP1583195S (ko) * 2016-07-27 2017-08-07
CN206323416U (zh) * 2016-11-17 2017-07-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支撑机构及移动终端
CN108076170B (zh) * 2016-11-17 2020-04-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支撑机构及移动终端
KR20180056444A (ko) 2016-11-18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97195A (ko) * 2017-02-22 2018-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9848502B1 (en) * 2017-03-24 2017-12-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assembl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3627804A4 (en) 2017-05-17 2020-05-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ING MECHANISM, FOLDING MECHANISM ARRANGEMENT AND FOLDING MOBILE TERMINAL
EP3627805A4 (en) 2017-05-17 2020-05-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MOBILE DEVICE
WO2018210191A1 (zh)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WO2018210196A1 (zh) *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EP3624430B1 (en) 2017-05-17 2022-05-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mobile terminal
EP3637741B1 (en) 2017-05-17 2021-03-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mobile terminal
US10082838B1 (en) 2017-06-21 2018-09-25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external hinge structure
US9964995B1 (en) 2017-06-21 2018-05-08 Dell Products L.P. Dynamic antenna orientation with a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US10082839B1 (en) * 2017-06-21 2018-09-25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hinge and ramp support structure
US10015897B1 (en) 2017-06-21 2018-07-03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sliding frame
US10120421B1 (en) 2017-06-21 2018-11-06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CN107528940B (zh) * 2017-08-08 2020-01-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
WO2019029542A1 (zh) * 2017-08-08 2019-02-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
US10775852B2 (en) 2017-11-28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110324441B (zh) * 2018-03-30 2021-03-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538208B (zh) * 2018-05-31 2021-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机构及折叠显示装置
TWI673545B (zh) * 2018-06-21 2019-10-0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裝置的轉軸模組
EP3759568A4 (en) * 2018-08-31 2021-1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SPENSIONS FOR DISPLAY DEVICES
TWI718784B (zh) * 2018-12-04 2021-02-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樞紐組件及應用樞紐組件的電子裝置
CN214083864U (zh) * 2018-12-10 2021-08-31 康宁公司 可动态弯折的汽车内部显示系统
US10817030B2 (en) * 2019-01-14 2020-10-27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with alternating slide support frame
US10928863B2 (en) 2019-01-14 2021-02-23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idframe to sliding frame assembly
US10754395B2 (en) * 2019-01-17 2020-08-25 Dell Products L.P. Multi-axis hinge translation to adjust housing position relative to flexible display position
US10469635B1 (en) * 2019-01-23 2019-11-05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chambers accommodating a dynamic flexibl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systems
KR102601837B1 (ko) 2019-02-19 202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1816067B (zh) 2019-04-12 2023-12-29 三星电子株式会社 可折叠电子装置
EP3956574A4 (en) * 2019-04-18 2022-1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WITH HINGE ASSEMBLIES
US20220043324A1 (en) * 2019-04-29 2022-0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ens caps with dual hinges
KR20200127741A (ko) *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38458B1 (en) * 2019-05-31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TWI717960B (zh) * 2019-07-16 2021-0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11798758B (zh) * 2019-07-16 2023-03-3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249520B2 (en) * 2019-07-19 2022-02-15 Google Llc Hinge device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KR102638277B1 (ko) * 2019-07-23 202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10708407B (zh) * 2019-10-15 2021-02-26 Tcl 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4429734B (zh) * 2019-10-21 2024-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屏组件和移动终端
CN112995368B (zh) * 2019-12-13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铰链和移动终端
CN110971728B (zh) * 2019-12-13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1131568B (zh) * 2019-12-23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10087316A (ko) * 2020-01-02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강 구조물을 가지는 전자 장치
CN113098152A (zh) 2020-01-08 2021-07-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方法及装置、折叠屏电子设备、存储介质
CN111724678A (zh) * 2020-06-08 2020-09-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柔性显示设备
US10904371B1 (en) * 2020-07-24 2021-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20220179460A1 (en) * 2020-12-08 2022-06-09 Lepton Computing Llc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Ratchet Mechanisms
WO2022132370A1 (en) * 2020-12-16 2022-06-23 Google Llc Foldable-display device with multiple display portions spaced apart by bend reg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350A (ko) * 2004-01-20 2005-07-2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장치
KR20120016873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KR20140001376A (ko) * 2012-06-26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42293A1 (en) * 2012-08-07 2014-02-13 Polymer Vision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7496B1 (en) * 2001-01-18 2003-06-10 Palm, Inc. Non-rigid mounting of a foldable display
US6653919B2 (en) * 2001-02-02 2003-11-25 Wistron Corp Magnetic closure apparatus for portable computers
US7155266B2 (en) * 2004-04-21 2006-12-26 Nokia Corporation Hinge for fold phone
US7583500B2 (en) * 2005-12-13 2009-09-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agnetic latching mechanism
US8804324B2 (en) 2011-06-03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overcenter assembly
EP2595029A1 (en) * 2011-11-15 2013-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S8705229B2 (en) * 2012-04-25 2014-04-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old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first and a second magnet
KR101875855B1 (ko) * 2014-02-17 2018-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350A (ko) * 2004-01-20 2005-07-2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장치
KR20120016873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KR20140001376A (ko) * 2012-06-26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42293A1 (en) * 2012-08-07 2014-02-13 Polymer Vision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19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85602A1 (en) * 2018-10-25 2020-04-30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00047253A (ko) * 2018-10-25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1737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에스코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19294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3871B1 (en) 2018-07-04
CN105407187B (zh) 2020-06-30
US9760126B2 (en) 2017-09-12
US20160070306A1 (en) 2016-03-10
CN105407187A (zh) 2016-03-16
KR102209514B1 (ko) 2021-01-29
EP2993871A1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9538A (ko) 이동 단말기
US10965796B2 (en) Mobile terminal
US9930152B2 (en) Mobile terminal
KR102415655B1 (ko) 이동 단말기
EP3035152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US10222835B2 (en) Mobile terminal
KR102252032B1 (ko) 이동 단말기
US962594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870922B2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KR20190096026A (ko) 이동 단말기
KR101801192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5281B1 (ko) 이동 단말기
KR10254407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9530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464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9703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95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035A (ko) 이동 단말기
KR101595398B1 (ko) 밴드 타입 단말기
US1198304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42364B1 (ko) 이동 단말기
US20230291820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600808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