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846A -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846A
KR20160028846A KR1020140117915A KR20140117915A KR20160028846A KR 20160028846 A KR20160028846 A KR 20160028846A KR 1020140117915 A KR1020140117915 A KR 1020140117915A KR 20140117915 A KR20140117915 A KR 20140117915A KR 20160028846 A KR20160028846 A KR 2016002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ressor
hair growth
air
contr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민석
강기봉
Original Assignee
옥민석
강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민석, 강기봉 filed Critical 옥민석
Priority to KR102014011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846A/ko
Publication of KR2016002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6Helmets for head-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8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에 따르면, 컴프레샤; 상기 컴프레샤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컴프레샤가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상기 컴프레샤를 제어하며, 흡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제어박스; 상기 제어박스와 연결되며, 배기호스와 주입호스로 이루어진 메인유출입관; 상기 배기호스와 주입호스가 각각 연결되며, 육모제주입구가 형성되고, 육모제주입을 조절가능한 조절밸브가 구비된 메인유출입부; 및 상기 메인유출입부와 결합되며, 머리에 씌워지는 헤어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컴프레샤가 공기를 흡입하되 배기호스로 흡입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헤어캡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상기 컴프레샤가 공기를 배출하되 주입호스로 배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조절밸브의 조절에 따라 상기 육모제주입구를 통해 육모제가 공기와 함께 상기 헤어캡의 내부로 주입됨으로써, 머리를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탈모관리시술의 단계가 반복될수록 노폐물 제거를 위한 배기시간이 더 길게 이루어지고, 탈모관리가 진행되는 다수의 단계는, 배기압력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이전에 진행된 탈모관리시술에서의 배기압력보다 더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모공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Device for hair growth}
본 발명은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모관리시술의 단계가 반복될수록 노폐물 제거를 위한 배기시간이 더 길게 이루어지고, 탈모관리가 진행되는 다수의 단계는, 배기압력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이전에 진행된 탈모관리시술에서의 배기압력보다 더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진행되어, 보다 빠르게 모공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탈모 현상이 나타나는 사람들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탈모증은 스트레스나 남성 호르몬, 두피의 오염, 두피의 혈행불량에 의한 모근부의 영양부족등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육모 또는 발모를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8550호와, 공개특허공보 특2000-0028700호등에 개시된 것과 같이 두피를 진공흡인하여 모세혈관을 확장하고 혈행의 촉진을 도모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만으로는 충분한 육모 또는 발모 효과가 얻어지지 않았으며, 두피 진공에 사용되는 장치들이 세균등에 오염되어 육모 또는 발모에 오히려 더 해로울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육모 또는 발모 촉진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두피에 육모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육모제는,일반적으로,영양 보급제,혈관 확장제,호르몬제등에 의하여 모근을 활성화한 것으로,이러한 다양한 유효 성분이 약액으로서 사용되고 있다.종래,이러한 육모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두피에 약액을 도포하고,손가락등으로 두피를 두드려줌으로써,약액이 모공에 스며들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렇지만,이와같이 두피에 약액을 직접 도포하고 사용하는 경우,두피의 모공에 생긴 피지방층이 모공에의 약액 침입을 차단하여,육모제가 모근에까지 다다르지 못하도록 하고 있었다. 따라서 육모제를 다량으로 도포하여도,모근에 공급된 육모제의 양이 적어서,육모제의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육모제에 용해제를 배합하고 피막층을 녹여 약액의 침투를 촉진하도록 한 것이 있지만,모공의 속까지 충분히 피막층을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였고,또,충분히 피막층을 제거했다 하여도,약액의 표면장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모공의 속까지 약액이 침투하기 어렵워서,육모제가 모근에 제대로 작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더불어, 모공을 열리게 하기 위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사용하였으나, 대기 중의 공기 속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오히려 모공을 열린 후, 공기의 주입으로 모공에 노폐물이 생기는 한편, 두피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2000-0028700호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48550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관리시술의 단계가 반복될수록 노폐물 제거를 위한 배기시간이 더 길게 이루어지고, 탈모관리가 진행되는 다수의 단계는, 배기압력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이전에 진행된 탈모관리시술에서의 배기압력보다 더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모공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재질의 헤어캡과, 고무재질의 밀착패드가 에어튜브에 구비됨으로써, 가벼운 무게로 시술자에게 목의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밀착력 향상과 동시에 밀폐력을 높여 헤어캡 내부의 진공상태가 유지 및 원활하게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빠른시간에 모공 속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에 따르면, 컴프레샤; 상기 컴프레샤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컴프레샤가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상기 컴프레샤를 제어하며, 흡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제어박스; 상기 제어박스와 연결되며, 배기호스와 주입호스로 이루어진 메인유출입관; 상기 배기호스와 주입호스가 각각 연결되며, 육모제주입구가 형성되고, 육모제주입을 조절가능한 조절밸브가 구비된 메인유출입부; 및 상기 메인유출입부와 결합되며, 머리에 씌워지는 헤어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컴프레샤가 공기를 흡입하되 배기호스로 흡입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헤어캡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상기 컴프레샤가 공기를 배출하되 주입호스로 배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조절밸브의 조절에 따라 상기 육모제주입구를 통해 육모제가 공기와 함께 상기 헤어캡의 내부로 주입됨으로써, 머리를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컴프레샤와 연동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어박스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프레샤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때, 산소를 배출시키는 산소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어캡의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는, 상기 산소탱크에서 배출되는 산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박스와 연결되며, 배기호스와 주입호스로 이루어진 서브유출입관; 상기 서브유출입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서브유출입구가 형성된 서브유출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유출입부의 서브유출입구를 머리에 직접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머리의 극소부위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박스의 작동여부를 입력하되, 배기압력, 배기시간 및 정지시간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배기압력으로 배기시간동안 컴프레샤를 통해 공기를 헤어캡으로부터 배기하고, 상기 정지시간동안 상기 컴프레샤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2회 이상 반복실시하는 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모관리시술의 단계는, 단계가 반복될수록 상기 배기시간이 이전의 단계 배기시간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탈모관리시술이 진행되는 다수의 단계는, 배기압력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다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관리시술이 2회 이상 반복진행될 때는, 이전에 진행된 탈모관리시술에서의 배기압력보다 더 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박스의 작동여부를 입력하되, 주입압력, 주입시간 및 정지시간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주입시간동안 컴프레샤를 통해 공기를 상기 헤어캡의 내부로 주입하고, 상기 정지시간동안 상기 컴프레샤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2회 이상 반복실시하는 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탈모관리시술의 단계가 반복될수록 노폐물 제거를 위한 배기시간이 더 길게 이루어지고, 탈모관리가 진행되는 다수의 단계는, 배기압력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이전에 진행된 탈모관리시술에서의 배기압력보다 더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모공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플라스틱 재질의 헤어캡과, 고무재질의 밀착패드가 에어튜브에 구비됨으로써, 가벼운 무게로 시술자에게 목의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밀착력 향상과 동시에 밀폐력을 높여 헤어캡 내부의 진공상태가 유지 및 원활하게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빠른시간에 모공 속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의 메인유출입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의 케이스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의 헤어캡을 통해 탈모관리시술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의 서브유출입부를 통해 탈모관리시술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의 메인유출입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의 케이스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의 헤어캡을 통해 탈모관리시술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의 서브유출입부를 통해 탈모관리시술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는, 컴프레샤(1), 제어박스(2), 메인유출입관(4), 메인유출입부(7) 및 헤어캡(10)을 포함한다.
먼저, 컴프레샤(1), 제어박스(2)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 중, 컴프레샤(1)(compressor)는 공기압축기로써, 압축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박스(2)는, 컴프레샤(1)와 연결관(3)으로 연결되며, 컴프레샤(1)가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컴프레샤(1)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박스(2)는, 컴프레샤(1)를 제어함에 따라, 컴프레샤(1)로 흡입되거나 컴프레샤(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되고, 통과되는 공기는 메인유출입관(4)을 통해 이송된다.
메인유출입관(4)은 제어박스(2)와 연결되며, 배기호스(5)와 주입호스(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기호스(5)는, 메인유출입부(7)에 연결되며, 헤어캡(10)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배기될 때, 배기되는 공기가 제어박스(2)로 이송되는 호스이다. 그러므로, 제어박스(2)에 연결된 배기호스(5)는, 컴프레샤(1)가 공기를 흡입할 때 공기가 이송되는 호스이다.
또한 주입호스(6)는, 메인유출입부(7)에 연결되며, 헤어캡(1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때, 주입되는 공기가 제어박스(2)에서 헤어캡(10)으로 이송되는 호스이다. 그러므로, 제어박스(2)에 연결된 주입호스(6)는, 컴프레샤(1)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가 이송되는 호스이다.
메인유출입부(7)는, 배기호스(5)와 주입호스(6)가 각각 연결되며, 육모제주입구(8)가 형성되고, 육모제주입을 조절가능한 조절밸브(9)가 구비된다.
이때, 육모제주입구(8)에는 육모제가 담기 용기가 결합된다.
또한, 조절밸브(9)는 육모제주입구(8)에 결합된 용기의 내부에 담긴 육모제가 육모제주입구(8)를 통해 헤어캡(10)의 내부로 주입되는 양을 조절한다. 그리고, 조절밸브(9)는, 주입호스(6)로부터 공기가 이송되어 헤어캡(1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때만 육모제가 주입되도록 제어한다.
헤어캡(10)은, 메인유출입부(7)와 결합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머리에 씌워진다.
또한, 헤어캡(10)의 하부 내측면에는, 시술자의 머리에 씌워질 때 헤어캡(10)의 내부 공간이 진공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에어튜브(11)가 구비된다. 이때, 에어튜브(11)의 외측면 즉, 시술자의 머리의 둘레에 접촉되는 측면에는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밀착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에어튜브(11)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때, 밀착력이 향상됨에 따라, 헤어캡(10) 내부의 밀폐력도 향상되어 보다 원활한 진공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에어튜브(11)는, 헤어캡(10)의 외부에 형성되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시술자의 머리에 밀착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어박스(2)는, 컴프레샤(1)가 공기를 흡입하되 배기호스(5)로 흡입하도록 제어하여 헤어캡(10)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컴프레샤(1)가 공기를 배출하되 주입호스(6)로 배출하도록 제어하여 조절밸브(9)의 조절에 따라 육모제주입구(8)를 통해 육모제가 공기와 함께 헤어캡(10)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헤어캡(10)을 착용함으로써 머리를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관리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는 산소탱크(12)를 더 포함한다.
산소탱크(12)는, 컴프레샤(1)와 연동되어 구비되고, 제어박스(2)의 제어에 의해 컴프레샤(1)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때, 산소를 배출시킨다.
즉, 산소탱크(12)는 내부가 진공인 헤어캡(10)의 내부에 공기가 아닌 산소가 주입될 수 있도록 컴프레샤(1)와 연동되어 구비된다.
또한, 산소탱크(12)의 내부에는 산소가 압축저장될 수 있다.
이는, 진공상태의 헤어캡(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면, 모공이 열리게 되며, 그 열린 모공으로 육모제가 주입되는데, 공기에는 산소를 비롯하여 다양한 가스가 포함되어 있어, 공기와 육모제가 모공으로 주입된다. 이때, 공기 대신에 산소가 모공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산소탱크(12)가 컴프레샤(1)와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외부공기를 그대로 헤어캡(10)의 내부로 주입함으로써, 이물질이 섞인 공기와 육모제가 모공에 주입됨으로써, 비효율적이었다.
이에 따라, 종본 발명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는, 산소를 모공에 주입함으로써 보다 육모제의 효능이 보다 더 향상되어 탈모관리시술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산소가 헤어캡(1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메인유출입부(7)와 제어박스(2)를 연결하는 주입호스(6)는 배기호스(5)를 통해 헤어캡(10)의 내부 및 배기호스(5)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때, 함께 진공상태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입호스(6)에 공기를제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헤어캡(10)의 내부로 주입호스(6)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는, 산소탱크(12)에서 배출되는 산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는, 서브유출입관(13) 및 서브유출입부(14)를 더 포함한다.
서브유출입관(13)은, 제어박스(2)와 연결되며, 배기호스(5)와 주입호스(6)로 이루어진다.
서브유출입부(14)는, 서브유출입관(13)의 끝단에 결합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서브유출입구(15)가 형성된다.
즉, 서브유출입부(14)는 배기호스(5)와 주입호스(6)가 결합된다.
그리고, 서브유출입부(14)의 서브유출입구(15)를 머리에 직접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머리의 극소부위를 관리할 수 있다.
이는, 1차적으로 헤어캡(10)으로 시술을 마친 시술자에게 관리자가 시술여부를 확인하며, 미미한 곳을 서브유출입부(14)로 2차적인 시술을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헤어캡(10)으로 또 다른 시술자를 시술할 수 있어, 시술의 효과와 만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호스(5)로 공기가 배기되고 주입호스(6)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은, 상술한 메인유출입관(4)에서 이루어지는 제어박스(2)의 제어 및 작동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는 입력부(16)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16)는, 제어박스(2)의 작동여부를 입력하되, 배기압력, 배기시간 및 정지시간을 입력가능하다. 이는, 시술자의 모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제어박스(2)는, 입력부(16)에서 입력된 배기압력으로 배기시간동안 컴프레샤(1)를 통해 공기를 헤어캡(10)으로부터 배기하고, 상기 정지시간동안 상기 컴프레샤(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2회 이상 반복실시하는 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한다.
이때, 탈모관리시술의 단계는, 단계가 반복될수록 배기시간이 이전의 단계 배기시간보다 더 길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기시간의 조정은 입력부(16)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 설정되고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입력되는 배기시간에 따라 단계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탈모관리시술이 진행되는 다수의 단계는, 배기압력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다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관리시술이 2회 이상 반복진행될 때는, 이전에 진행된 탈모관리시술에서의 배기압력보다 더 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탈모관리시술이 거듭될 수록 강한 배기압력으로 헤어캡(10)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듦에 따라 모공속에 있는 노폐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6)는, 제어박스(2)의 작동여부를 입력하되, 주입압력, 주입시간 및 정지시간을 입력한다. 이는, 모공을 열리게 함과 동시에, 모공속으로 산소와 육모제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주입압력은 순간적인 압력에 의해 모공이 열릴 수 있으며,
이때, 제어박스(2)는, 입력부(16)에서 입력된 주입시간동안 컴프레샤(1)를 통해 공기 즉, 산소를 헤어캡(10)의 내부로 주입하고, 정지시간동안 컴프레샤(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2회 이상 반복실시하는 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통해, 먼저, 모공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한 뒤, 노폐물이 제거된 모공 속으로 산소와 육모제를 주입하는 탈모관리시술을 각각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를 통해, 탈모를 관리하기 위한 탈모관리시술에 대해서 일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를 통해, 배기압력, 배기시간 및 정지시간을 입력하면, 제어박스가 작동하는데, 헤어캡이 시술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박스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은 순차를 갖고 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한다.
1. 모공의 노폐물 제거를 위한 제1탈모관리시술
1) 1-1단계 : 제1배기압력으로 제1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2) 1-2단계 : 제1배기압력으로 제1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1-2단계를 2회 반복 실시한다.
3) 1-3단계 : 제1배기압력으로 제1배기시간보다 긴 제2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4) 1-4단계 : 제1배기압력으로 제2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1-4단계를 2회 반복 실시한다.
여기서, 정지시간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가 바로 진행된다.
2. 모공의 노폐물 제거를 위한 제2탈모관리시술
1) 2-1단계 : 제2배기압력으로 제2배기시간보다 긴 제3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2) 2-2단계 : 제2배기압력으로 제3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2-2단계를 2회 반복 실시한다.
3) 2-3단계 : 제2배기압력으로 제3배기시간보다 긴 제4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4) 2-4단계 : 제2배기압력으로 제4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2-4단계를 2회 반복 실시한다.
3. 모공의 노폐물 제거를 위한 제3탈모관리시술
1) 3-1단계 : 제3배기압력으로 제4배기시간보다 긴 제5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2) 3-2단계 : 제3배기압력으로 제5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3-2단계를 2회 반복 실시한다.
3) 3-3단계 : 제3배기압력으로 제5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3-3단계를 3회 반복 실시한다.
4) 3-4단계 : 제3배기압력으로 제5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3-4단계를 4회 반복 실시한다.
4. 모공의 노폐물 제거를 위한 제4탈모관리시술
1) 4-1단계 : 제4배기압력으로 제5배기시간보다 긴 제6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2) 4-2단계 : 제4배기압력으로 제6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4-2단계를 2회 반복 실시한다.
3) 4-3단계 : 제4배기압력으로 제6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4-3단계를 3회 반복 실시한다.
4) 4-4단계 : 제4배기압력으로 제6배기시간 동안 헤어캡의 내부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배기과정을 중지한다. 이때, 4-4단계를 4회 반복 실시한다.
이와 같이, 제어박스는 모공의 노폐물 제거를 위한 제1탈모관리시술 내지 제4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한다. 그리고 약 15 내지 18분에 모공의 노폐물 제거를 위한 제1탈모관리시술 내지 제4탈모관리시술이 진행될 수 있도록 배기시간 및 정지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산소와 육모제 주입을 위한 제5탈모관리시술이 더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산소와 육모제 주입을 위한 제5탈모관리시술
1) 5-1단계 : 주입압력으로 주입시간동안 헤어캡의 내부로 산소를 주입시킨 후, 정지시간동안 주입과정을 중지한다.
2) 5-1단계를 2회이상 반복 실시한다.
이때, 산소가 주입되는 동안 육모제가 함께 헤어캡의 내부로 주입되고, 5-1단계 이후의 단계에는 주입시간이 이전의 단계 주입시간보다 더 늘어날 수 있다.
이때, 주입시간은 약 4 ~ 7초정도로 하여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기재는, 메인유출입부와 헤어캡을 이용한 탈모관리시술에 대한 사용설명을 한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유출입부를 통해서도 상술한 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컴프레샤 2: 제어박스
3: 연결관 4: 메인유출입관
5: 배기호스 6: 주입호스
7: 메인유출입부 8: 육모제주입구
9: 조절밸브 10: 헤어캡
11: 에어튜브 12: 산소탱크
13: 서브유출입관 14: 서브유출입부
15: 서브유출입구 16: 입력부

Claims (6)

  1. 컴프레샤;
    상기 컴프레샤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컴프레샤가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상기 컴프레샤를 제어하며, 흡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제어박스;
    상기 제어박스와 연결되며, 배기호스와 주입호스로 이루어진 메인유출입관;
    상기 배기호스와 주입호스가 각각 연결되며, 육모제주입구가 형성되고, 육모제주입을 조절가능한 조절밸브가 구비된 메인유출입부; 및
    상기 메인유출입부와 결합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머리에 씌워지는 헤어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컴프레샤가 공기를 흡입하되 배기호스로 흡입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헤어캡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상기 컴프레샤가 공기를 배출하되 주입호스로 배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조절밸브의 조절에 따라 상기 육모제주입구를 통해 육모제가 공기와 함께 상기 헤어캡의 내부로 주입됨으로써, 머리를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샤와 연동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어박스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컴프레샤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때, 산소를 배출시키는 산소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어캡의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는, 상기 산소탱크에서 배출되는 산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와 연결되며, 배기호스와 주입호스로 이루어진 서브유출입관;
    상기 서브유출입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서브유출입구가 형성된 서브유출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유출입부의 서브유출입구를 머리에 직접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머리의 극소부위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의 작동여부를 입력하되, 배기압력, 배기시간 및 정지시간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배기압력으로 배기시간동안 컴프레샤를 통해 공기를 헤어캡으로부터 배기하고, 상기 정지시간동안 상기 컴프레샤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2회 이상 반복실시하는 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관리시술의 단계는, 단계가 반복될수록 상기 배기시간이 이전의 단계 배기시간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탈모관리시술이 진행되는 다수의 단계는, 배기압력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다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관리시술이 2회 이상 반복진행될 때는, 이전에 진행된 탈모관리시술에서의 배기압력보다 더 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의 작동여부를 입력하되, 주입압력, 주입시간 및 정지시간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주입시간동안 컴프레샤를 통해 공기를 상기 헤어캡의 내부로 주입하고, 상기 정지시간동안 상기 컴프레샤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2회 이상 반복실시하는 탈모관리시술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KR1020140117915A 2014-09-04 2014-09-04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KR20160028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15A KR20160028846A (ko) 2014-09-04 2014-09-04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15A KR20160028846A (ko) 2014-09-04 2014-09-04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846A true KR20160028846A (ko) 2016-03-14

Family

ID=5554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915A KR20160028846A (ko) 2014-09-04 2014-09-04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88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26B1 (ko) 2021-03-31 2021-10-07 (주)이지템 두피케어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6835B1 (ko) 2023-02-17 2024-03-14 주식회사 피나트린 탈모방지관련 혈행개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700A (ko) 1998-09-21 2000-05-25 미나토 하루에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KR100348550B1 (ko) 2000-07-24 2002-08-24 주식회사 호서텔넷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보안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700A (ko) 1998-09-21 2000-05-25 미나토 하루에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KR100348550B1 (ko) 2000-07-24 2002-08-24 주식회사 호서텔넷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보안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26B1 (ko) 2021-03-31 2021-10-07 (주)이지템 두피케어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6835B1 (ko) 2023-02-17 2024-03-14 주식회사 피나트린 탈모방지관련 혈행개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87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ooth root canals
AU772050B2 (en) Device for making hydro-microabrasions on human tissue
CN107920948A (zh) 用于促进毛发生长的装置、系统和方法
US2008013876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ooth root canals
KR20170040365A (ko) 피부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0501203A (ja) 創傷表面に活性物質を塗布するための方法とデバイス
US20200338247A1 (en) Syringe filling device for fat transfer
US20170340428A1 (en) Device for supporting and transporting a graft or implant
KR20160028846A (ko)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FR2831823A1 (fr) Appareil de liposuccion a jet de liquide sous pression et procede de liposuccion utilisant cet appareil
JP4488207B2 (ja) 生物学的構造から組織細胞を取り出すための外科用装置
CN104841033B (zh) 设有分流道的均匀给药负压吸盘
de Benito et al. Treatment of depressed scars with a dissecting cannula and an autologous fat graft
US20050171457A1 (en) Hair care apparatus and hair treatment process
CN205391213U (zh) 笔状的喷射抽吸一体手柄
BG64739B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използване на озон за избелване на зъби
CN107595209A (zh) 呕吐物清洁器
KR102578074B1 (ko) 기체 매질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이용한 치료 방법 및 장치
CN204542943U (zh) 一种牙科用手机冲洗消毒器
CN103961791B (zh) 拼接式负压封闭引流装置及负压封闭引流方法
CN203852733U (zh) 拼接式负压封闭引流装置
KR100813085B1 (ko) 피부호흡 촉진기능을 갖춘 두피치료장치
KR101554965B1 (ko) 지방 분리 장치
CN206103015U (zh) 组织工程皮肤构建结合负压引流治疗难愈性创面的器械系统
CN219440150U (zh) 一种穿刺抽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30

Effective date: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