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700A -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 Google Patents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700A
KR20000028700A KR1019990040436A KR19990040436A KR20000028700A KR 20000028700 A KR20000028700 A KR 20000028700A KR 1019990040436 A KR1019990040436 A KR 1019990040436A KR 19990040436 A KR19990040436 A KR 19990040436A KR 20000028700 A KR20000028700 A KR 2000002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port
opening surface
scalp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나토테루히코
Original Assignee
미나토 하루에
이시즈치-혼쿄 오사카 교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나토 하루에, 이시즈치-혼쿄 오사카 교카이 filed Critical 미나토 하루에
Publication of KR2000002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털 빠짐을 방지할 뿐 아니라, 탈모부위의 두피에 새로운 발모를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피시술자의 체표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개구면을 갖춘 흡인구와 그 흡인구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흡인구 내부를 부압상태로 하는 진공펌프로 되고,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의 면적이 100cm2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인식 발모·육모장치{Trichogenous and hair restorative device with suction air}
본 발명은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털 빠짐을 막을 뿐 아니라, 탈모부위의 두피에 새로운 발모를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탈모증의 원인에는, 스트레스나 남성 호르몬, 두피의 오염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지만, 두피의 혈행불량에 의한 모근부의 영양부족도 그 주요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모근에 침투하여 혈관을 확장하는 성분을 함유한 육모제를 두피에 도포하는 방법이나, 손이나 기구를 사용하여 두피를 마사지하는 방법, 혹은 원적외선 등으로 두피를 따뜻하게 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두피의 혈행촉진이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는 충분한 육모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이 실정이었다. 이것은 육모제를 모근부까지 침투시키는 것이 어렵다거나, 일시적인 혈행촉진 밖에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 혹은 혈행을 촉진시켜도 모세혈관이 이미 없어져 버린 부위에 대해서는 모근에 영양분을 운반할 수 없다는 것이 원인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래서 다른 방법으로서, 두피를 진공흡인함으로써,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혈행의 촉진을 도모하는 방법도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안되어 온 흡인에 의한 육모장치는, 그 대부분이 두부 전체를 캡으로 덮고, 이 캡 내부를 부압(negative pressure)으로 하여 두부 전체를 흡인하도록 구성된 것이었기 다음과 같은 과제가 존재하였다.
즉, 두부 전체를 덮을 정도로 개구면의 면적이 큰 흡인구를 사용하면, 개구면을 측두부에 밀착고정하기 때문에, 측두부가 단단히 죄어져 두정부로의 혈액흐름이 나빠져 버려, 육모에 역효과가 되었다.
또한 탈모증은 통상 두부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두정부나 전두부 등의 특정 국소부위에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두부 전체를 흡인하는 종래의 장치로는 육모를 요하는 특정부위에 대하여 유효하게 부압을 작용시킬 수 없었다.
게다가, 혈행촉진에는 적절한 마사지를 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종래의 장치로는 작동시에 부압을 조절하여 두피에 마사지효과를 주는 것이 곤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흡인구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인구의 개구면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흡인구의 개구면 형상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두피유사 시트를 사용한 실험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두피유사 시트를 사용한 실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흡인구의 개구면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흡인구의 개구면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흡인구의 개구면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흡인구의 개구면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흡인구를 피시술자에게 적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흡인구를 피시술자에게 적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흡인구의 개구면을 원형 이외로 하고, 외벽을 망재로 피복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4는 흡인구의 개구면을 원형 이외로 하고, 바깥둘레에 원형틀을 씌운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5는 흡인구의 내부에 격벽을 마련하고, 개구면을 원형 이외로 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6은 흡인구 자체에 배기밸브를 마련한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7은 흡인구 자체에 배기밸브를 마련한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8은 피시술자의 탈모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두부의 개략상면도이다.
도 19는 피시술자 E의 두피의 확대사진이다.
도 20은 피시술자 F의 두피의 확대사진이다.
부호의 설명
1: 흡인구, 11: 개구면, 14: 배기밸브, 15: 둘레 가장자리 단부, 16: 두피유사 시트, 2: 호스, 3: 진공펌프, H: 피시술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 청구항 1의 발명은, 피시술자의 체표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개구면을 갖춘 흡인구와 그 흡인구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흡인구 내부를 부압상태로 하는 진공펌프로 되고,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의 면적이 100cm2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 면적과 흡인부압이, 사방이 폭 15mm에 걸쳐 평판상에 고정된 길이 20cm×폭 20cm×두께 2mm의 천연고무(NR: ASTM 약호)로 되는 두피유사 시트에 개구면을 밀착시켜 흡인구 내부를 부압으로 한 때에 그 시트를 정부(頂部)에서 12mm이상 흡인융기시키는 것이 가능한 특정한 개구면 면적과 특정한 흡인부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이 원형이고, 개구면 직경이 53∼80mm, 걸리는 부압이 360∼560mmH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 형상이 피시술자의 육모처치를 하고 싶은 부위의 형상에 따라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의 최대 내경이 5∼10cm의 범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의 둘레 가장자리 형상이 안장모양으로 됨과 동시에, 개구면의 둘레 가장자리 단부가 바깥쪽을 향해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환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에 흡인구 내부의 부압상태를 개방하기 위한 배기밸브(vent valve)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가 복수개 구비되고, 이들 복수의 흡인구가 각각 별도의 호스를 통해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복수의 흡인구 내부의 부압 정도를 개별적으로 조정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흡인식 발모·육모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피시술자(H)의 체표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흡인구(1)와 그 흡인구(1)와 호스(2)를 통해 연결되어 흡인구(1)의 내부를 부압상태로 하기 위한 진공펌프(3)로 구성된다.
진공펌프(3)와 흡인구(1)를 연결하는 호스(2)에는, 레벨게이지(4)와 개방밸브(5)가 마련되어 있고, 개방밸브(5)에 의해 흡인구(1) 내부의 부압 정도를 조정하고, 조정된 압력값을 레벨게이지(4)로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흡인구(1)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흡인구의 개구면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한편, 도 3에서는 흡인구의 하부만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흡인구(l)는 유리나 아크릴수지 등의 경질소재로 되고 원형의 개구면(11)을 갖는 구형관부(12)와 이 구형관부(12)의 정부에 설치된 호스(2)의 연결부(13)로 구성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면(11)을 피시술자의 체표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진공펌프(3)를 작동시킴으로써, 호스(2)로부터 구형관부(12)안의 공기를 흡인하여 흡인구(1) 안을 부압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인구(1)의 구형관부(12)의 두께는, 개구면(11)의 둘레 가장자리 단부(15)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을 향해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환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면의 둘레 가장자리 단부를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두피에 대한 흡인구의 접촉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두피를 흡인한 때에 흡인구 둘레의 두피를 동시에 빨아 올려 융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흡인구(1)의 개구면(11)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상방으로의 만곡부가 둘레 가장자리부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장모양을 나타내고, 안장모양을 좌우로 나누는 단면을 취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를 향하여 융기한 형상(만곡부)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흡인구의 개구면 둘레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안장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흡인구를 머리의 형상에 따라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흡인구(1)의 개구면(11)의 면적이 100cm2이하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예컨대 두부 전체를 덮을 정도로 개구면의 면적이 큰 흡인구를 사용한 경우, 부압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구면을 측두부에 밀착시켜 고정해야 한다. 그러나 개구면을 측두부에 밀착고정한 경우, 측두부가 단단히 죄어져 두정부로의 혈액흐름이 나빠져 버려 역효과가 된다.
또한 탈모증은 통상 두정부 등의 특정부위에 국소적으로 발생하고, 측두부 등에는 발생하지 않지만, 개구면의 면적이 지나치게 크면, 육모가 불필요하고 원하지 않는 부분까지 두피를 흡인하는 것이 되어, 효율적으로 혈행촉진을 도모할 수 없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개구면(11)의 면적은 20∼100cm2으로 된다.
이것은 개구면의 면적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폐해가 생겨, 육모에 역효과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즉, 흡인에 의한 육모처치에서는, 두피를 흡인에 의해 어느 정도 융기시키지 않으면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지만, 흡인구의 지름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두피를 융기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흡인력이 필요하게 되고, 흡인에 의해 두피가 울혈하여 두피의 세포가 손상되어 버린다.
또한 흡인구를 두피에 밀착시켰을 때, 두피에 접촉하는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 단부의 면적이 실제로 흡인되는 부분의 면적에 비해 크기 때문에, 흡인시 두피가 둘레 가장자리 단부에 의해 강하게 압박되어 모근이 단단히 눌려 육모가 저해된다.
또한 육모를 실시하고자 하는 부위의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몇 번이나 흡인처리를 반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자는 원형의 개구면을 갖는 흡인구를 사용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 개구면의 면적을 20∼100cm2의 범위로 함으로써 이들의 폐해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육모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개구면의 면적을 20∼100cm2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은 털 빠짐의 방지에 매우 효과가 있고, 이 점에서는 종래의 흡인식 육모장치보다 우수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을 축적한 결과, 이 조건만으로는 탈모부위에 새로운 발모를 생기게 하는데에는 이르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탈모부위에 새로운 발모를 생기게 하기 위한 조건을 발견하기 위해 더욱 연구를 진행한 결과, 발모를 위해서는 흡인에 의해 1mm2당 6개이상의 모세혈관이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고, 이 모세혈관의 형성은 흡인에 의해 두피를 12mm 이상 융기된 경우 외에는 일어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단, 두피의 상태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두피를 12mm 이상 융기시키기 위한 조건도 사람에 따라 다르고, 이 조건만으로는 실제 시술시에 부적합한 것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흡인에 의해 두피를 12mm 이상 융기시키기 위한 조건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정량적으로 확정하였다.
본원 발명자는 우선 두피를 유사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대용물에 대해서 연구하여, 두께 2mm의 천연고무(NR: ASTM 약호)제의 시트가 흡인시에 두피에 가까운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처음에는 두께 1mm의 천연고무제 시트를 시험하여 보았지만, 실제 두피와 비교하여 흡인시 융기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두피를 유사적으로 나타내는 대용물로서 적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 두께 2mm의 천연고무제 시트(이하, 두피유사 시트 또는 고무시트 혹은 시트라고 칭함)에 흡인구의 개구면을 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그 고무시트를 12mm 이상 흡인융기시키는 것이 가능한 개구면 면적과 부압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사용한 고무시트(이리마까와 고무 주식회사 제, 품명 BL-1001)의 성질을 표 1에 나타낸다.
※ 상태시험
경도(JIS-A) 60
인장강도(kgf/cm2) 30
신장률(%) 200
※ 열노화시험(70℃×70시간)
경도변화(포인트) +10
인장강도변화율(%) -15
신장변화율(%) -35
※ 압축영구비틀림시험(70℃×22시간)
압축영구비틀림율(%) 45
조사를 위한 실험은, 도 2에 나타내는 원형의 개구면을 갖는 흡인구에 대해, ø23mm, ø37mm, ø53mm, ø80mm의 4종류의 직경의 것을 준비하여, 각 직경의 흡인구의 내부에 660mmHg, 560mmHg, 460mmHg, 360mmHg의 4종류의 압력(부압)을 작용시킴으로써 실시하였다.
도 5는 실험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6은 실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두피유사 시트(16)는 길이 17cm×폭 17cm× 두께 2mm의 것을 사용하고, 이 고무시트(16)를 백목제의 목판(17)(길이 20cm×폭 20cm×두께 1cm) 상에 탑재하고, 시트(16)의 주위를 두께 1cm의 백목제의 나무틀(18)(외형: 길이 20cm×폭 20cm, 내형: 길이 17cm×폭 17cm)로 누르며, 목판(17) 및 나무틀(18)에 뒷면에서 볼트(19)를 끼워 통합하고, 표면에 돌출한 볼트(19)의 선단에 나비너트(20)을 끼워돌림으로써, 시트(16)를 목판(17) 상에 고정하였다.
또한 목판(17)의 중앙부에는 송곳으로 관통구멍을 뚫어 이 관통구멍에 융기높이 측정용의 눈금을 부착한 대나무꼬치(18)를 목판(17)의 뒷쪽에서 수직상향으로 하여 삽입하였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대나무꼬치(18)의 선단이 시트(16)의 뒷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또한 대나무꼬치(18)와 관통구멍의 사이에 틈이 없어 관통구멍으로부터의 공기누설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개구면 직경을 갖는 흡인구(1)를 고무시트(16)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흡인구(1)의 내부를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부압상태로 하여 5분간 흡인하며, 이 때의 고무시트(16)의 융기높이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나무꼬치(18)의 선단을 고무시트(16)의 이면에 닿게 함으로써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660mmHg 560mmHg 460mmHg 360mmHg
ø23mm 2mm 4mm 6.5mm 7mm
ø37mm 5mm 7mm 9mm 9.5mm
ø53mm 8mm 12mm 15mm 17mm
ø80mm 11mm 17mm 19.5mm 21mm
표 2의 결과로부터, 두피유사 시트를 12mm 이상 융기시키기 위해, 흡인구의 직경이 53mm 이상, 흡인구 내부의 압력이 560mmHg 이하인 2개의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어서, 실제 두피의 융기높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흡인구의 개구면을 두피에 밀착시켜 두피를 흡인하였다. 흡인시에는, 흡인구 내부의 압력(부압)을 360mmHg, 460mmHg, 560mmHg의 3종류로 하여 5분간 그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 결과, ø23mm 및 ø37mm의 흡인구에서는 360∼560mmHg의 부압범위에서 두피에 12mm 이상의 융기를 얻을 수 없었지만, ø53mm 및 ø80mm의 흡인구에서는 360∼560mmHg의 부압범위내에서 두피에 12mm 이상의 융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였다.
다음, ø83mm의 원형 개구면을 갖는 흡인구를 사용하여 두피를 흡인하였지만, 개구면을 두부의 형상에 따르게 하는 것이 어렵고, 두피의 일부분 밖에 개구면이 접촉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두피가 충분히 흡인되지 않고, 흡인할 수 있던 경우라도 접촉부위가 국소적으로 강하게 압박되는 것으로 두피에 통증을 수반하고, 또한 모근이 심하게 손상되었다.
또한 ø80mm 흡인구 내부의 압력을 360mmHg 보다 작게 하여, 보다 강한 흡인력을 두피에 작용시킨 바, 피시술자가 흡인시에 통증을 호소하여, 흡인을 계속할 수 없었다.
이들의 두피유사 시트 및 두피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원형개구면을 갖는 흡인구를 사용한 경우, 흡인에 의해 두피를 12mm 이상 융기시키기 위한 조건을 흡인구의 개구면 직경이 53∼80mm이고, 또한 흡인구 내부의 압력이 360∼560mmHg로 확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흡인구(1)의 개구면(11)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0은 원형 이외의 개구면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개구면을 종횡축비가 약 1:2인 거의 타원형상으로 하여, 개구면 둘레 가장자리부를 개구면의 종축길이의 약 반정도의 두께로 형성한 예이고, 도 8은 개구면을 종횡축비가 약 3:4인 거의 타원형상으로 한 예이며, 도 9는 개구면을 원형의 중심에서 원주까지 부채형상(선단각 약 60도)으로 잘라낸 형상으로 한 예이며, 도 10은 종횡축비가 약 1:2인 거의 타원형상의 원주의 일부(장축으로 거의 평행한 원호의 한쪽)를 바깥쪽으로 거의 삼각형상으로 돌출시킨 예이다.
또한 이와 같이 개구면(11)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한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구형관부의 두께를 개구면의 둘레 가장자리 단부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을 향해 두껍게 형성하고 또한 환상으로 하고, 개구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체적으로 안장모양을 나타내도록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개구면(11)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개구면(11)의 형상을 피시술자의 육모처치를 하고 싶은 부위의 형상, 즉 탈모가 일어나기 전의 원래의 모발 라인에 따른 형상으로 한다.
예컨대, 전측두부에서 탈모가 진행한 사람에 대해서는 도 9에 나타낸 흡인구를, 전두부에서 탈모가 진행한 사람에 대하서는 도 10에 나타낸 흡인구를, 각각 도 11 및 도 12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흡인구(1)의 개구면(11)의 형상을 피시술자의 육모처치를 하고 싶은 부위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부압을 필요한 부위에만 국소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들의 형상 외에도, 피시술자의 육모처치를 하고 싶은 부위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흡인구(1)의 개구면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피시술자의 육모처치를 하고 싶은 부위의 형상에 맞춤으로써, 육모의 필요가 없는 원하지 않는 부분이 흡인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면 면적이 지나치게 크거나 지나치게 작은 경우의 폐해가 거의 방지된다.
단, 개구면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개구면의 최대 내경이 5∼10cm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른 모양의 개구면을 갖는 흡인구에서 최대 내경을 5cm보다 작게 하면, 두피를 충분하게 융기시키기 위해 강하게 흡인해야 하기 때문에 두피에 울혈이 생겨 버리고, 반대로 최대 내경을 10cm보다 크게 하면, 두피의 융기 자체가 일어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본원 발명자는 원형 이외의 개구면을 갖는 흡인구를 사용한 실험을 반복하여 실시한 결과, 원형 이외의 개구면을 갖는 흡인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구면의 최대 내경이 5∼10cm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이들의 폐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육모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원형 이외의 개구면을 갖는 흡인구에 대해서도, 탈모부위에 새로운 발모를 생기게 하기 위해서는, 1mm2당 6개 이상의 모세혈관이 형성되고, 그 때문에 흡인에 의해 두피를 12mm 이상 융기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각 형상에 따라 흡인조건에 관해서는 현재 자세한 연구 중이다.
또한 개구면(11)을 원형 이외의 다른 모양의 면으로 한 경우에는, 흡인구의 강도가 약해져 흡인에 의해 파손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다른 모양의 단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망재, 직물 등의 보강재를 개구면의 측벽에 부착시키고, 흡인구의 바깥둘레에 원형의 금속제 등의 보강틀을 씌우며, 개구면을 원형단면으로 하고 내부를 다른 모양으로 분할하는 등의 처치를 하여도 좋다.
도 13 내지 도 15는 개구면 형상을 도 9에 나타낸 형상으로 한 예로서, 도 13은 흡인구(1)의 개구면의 측벽에 망재(6)를 부착시킨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은 흡인구(1)의 바깥둘레에 원형의 보강틀(7)을 씌운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은 흡인구(1)의 내부를 격벽(8)으로 구분하여 개구면(11)을 다른 모양의 단면으로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5 중 (9)는 격벽(8)이 아니고, 흡인구(1)의 바깥둘레면에 마련된 공기구멍이다.
도 16 및 도 17은 흡인구(1)의 별도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도 16의 흡인구(1)에서는 연결부(13)의 측부에, 도 17의 흡인구(1)에서는 구형관부(12)의 측부에, 각각 흡인구 내부의 부압상태를 개방하기 위한 배기밸브(14)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인구(1)에 흡인구 내부의 부압상태를 개방하기 위한 배기밸브(14)를 마련함으로써, 시술시에 있어서 두피에 마사지효과를 더할 수 있고, 보다 우수한 혈행촉진 효과가 얻어진다.
즉, 우선 흡인구(1) 내부에 부압을 건 상태로 놓고, 부압을 건 상태에서 배기밸브(14)를 열어 급격하게 부압을 개방하며, 그 다음에 또한 부압을 거는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모세혈관 속에서 혈액을 피스톤 운동시킬 수 있어, 모세혈관의 형성이 촉진된다.
또한 도 16의 구성과 도 17의 구성을 조합시켜, 2곳에 배기밸브(14)가 마련된 흡인구(1)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서는, 흡인구(1)는 복수개, 바람직히는 3∼10개 정도 구비된다.
흡인구(1)를 복수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흡인구(1)를 각각 별도의 호스(2)를 통해 진공펌프(3)와 연결하여, 복수의 흡인구 내부의 부압 정도를 개방밸브(5)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흡인구(1)는 모두 같은 형상이어도 좋고,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우선 피시술자를 엎드리게 한 상태에서 등 부분에 흡인구(1)를 밀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진공펌프(3)를 작동시켜, 흡인구(1) 내부를 부압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등 부분의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등의 혈행이 촉진되고, 피시술자의 전신의 혈액흐름이 잘 된다.
등에서의 시술에 의해, 피시술자의 전신의 혈액흐름이 잘 된 상태에서, 이제는 육모를 하고 싶은 부위의 두피에 흡인구(1)를 밀착시킨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진공펌프(3)를 작동시킴으로써, 흡인구(1) 내부를 일정시간 부압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두피의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두부의 혈행이 촉진된다.
이때, 두피가 국소적으로 가벼운 울혈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흡인작용을 반복하여 두피에 가함으로써, 모세혈관이 이미 없어진 부위이어도 새롭게 모세혈관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흡인구(1) 내부가 부압상태일 때에 배기밸브(14)를 열어 급격하게 부압을 저하시켜 모세혈관을 수축시킨 후, 재차 부압을 걸어 흡인함으로써, 모세혈관 속에서 혈액의 피스톤운동 효과를 작위적으로 행할 수 있어, 모세혈관의 형성을 보다 한층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흡인은 360∼560mmHg의 범위의 부압에서 1회 당 2∼5분간 정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부압의 정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시간이 지나치게 길면, 울혈이 심하게 되어 반대로 혈행을 저해해 버리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흡인시에는, 두피를 12mm이상, 바람직하게는 12∼13mm의 범위에서 융기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두피의 융기가 이것보다 작은 경우에는 발모를 위해 필요한 만큼의 수(1mm2당 6개 이상)의 모세혈관을 두피에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시술을 매일 또는 수일에 1회씩 반복함으로써, 두피의 혈행이 촉진되고, 또한 3∼4회의 시술에 의해 모세혈관이 이미 없어진 부위에 새롭게 모세혈관이 형성된다. 따라서 털 빠짐이 방지됨과 동시에, 이미 털이 없어진 부위에 새롭게 발모를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시술을 한 후에 육모제를 두피에 도포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육모 및 발모를 촉진할 수 있다.
육모제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판토텐산 칼슘, 비타민 A 아세테이트, 반트테닐알코올, 염산 피리독신, 아미노산류의 메티오닌, 세린 등의 영양보급제, 초산 α-토코페롤, 염화카르브로늄, 스웰티노겐(셈프리 엑기스) 등의 혈관확장제, 토우가라시팅크, 니코틴산벤질, 노닐산 바닐릴아미드, 1-멘톨, 조선인삼 등의 자극제, 여성 호르몬(에티닐에스트라디올, 디프로피온산 에스트라디올) 등의 호르몬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배합된 육모제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백합과 알로에속(Aloe L.) 식물 및/또는 동백(Camellia japonica)으로부터 얻어지고, 착즙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한 육모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백합과 알로에속(Aloe L.) 식물로서는, 키다치알로에(A1oe arborescens Mill.), 케이프알로에(Aloe ferox Mill.), 소코트라알로에(Aloe perryi BAKER), 큐라소알로에(Aloe barbadensis Mill.), 나탈알로에(Aloe bainesli TH) 등을 예시할 수가 있지만, 특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백(Camellia japonica)으로서는, 야생동백꽃, 호소바히라기쯔바키, 유키쯔바키, 오토메쯔바키 등을 예시할 수가 있지만, 특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험예
표 3에 나타낸 연령, 성별 및 탈모증상의 A∼F의 6명을 피시술자로 하였다. 또한 표 중의 탈모부위 난의 숫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부(상면도)를 12군으로 구분한 때에 어느 번호의 부위에 탈모증상이 나타나 있는가를 나타낸다. 또한 도 18에서, 위쪽이 얼굴정면이고, 좌우로부터 아래쪽에 걸쳐 거의 U 자형으로 그려져 있는 것은 남아 있는 모발이다.
연령 성별 탈모증상
A 46 남성 ①과③의 부위에 털이 거의 없음, ②와⑤의 부위에 털이 드물게 있음
B 49 남성 ④∼⑫의 부위에 털이 거의 없음
C 27 남성 ①∼⑥의 부위에 털이 드물게 있음
D 48 남성 ①과⑫의 부위에 털이 거의 없음
E 29 여성 ①과⑫의 부위에 털이 드물게 있음
F 49 남성 ①과⑫의 부위에 털이 거의 없음
1. 두피융기 및 모세혈관 발생실험
가장 먼저, 이들 피시술자 전원에 대해 도 2에 나타낸 원형 개구면을 갖는 흡인구의 개구면을 두피에 밀착시켜 5분간 두피를 흡인하여, 흡인시 두피의 융기높이를 측정함과 동시에, 흡인후의 두피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1mm2당 모세혈관의 발생수를 측정하였다.
흡인구는 ø23mm, ø37mm, ø53mm, ø55mm, ø80mm, ø83mm의 6종류의 직경의 것을 사용하고, 흡인구 내부의 부압은 560mmHg, 460mmHg, 360mmHg의 3종류로 하였다.
또한 피시술자 E의 흡인 전 및 흡인 후의 두피의 확대사진(200배)을 도 19의 4분할사진의 오른쪽위 및 왼쪽밑에 나타내고, 피시술자 F의 흡인 전 및 흡인 후의 두피의 확대사진(200배)을 도 20의 4분할사진의 오른쪽위 및 왼쪽밑에 나타낸다.
또한 도 19 및 도 20의 왼쪽위의 사진은 1mm의 스케일을 동배율(200배)로 촬영한 확대사진이며, 2개의 흑선의 간격이 1mm 이다.
또한 피시술자 E의 흡인조건은 개구면 직경 ø53mm, 흡인부압 460mmHg이며, 피시술자 F의 흡인조건은 개구면 직경 ø53mm, 흡인부압 360mmHg 이다.
도 19 및 도 20의 왼쪽밑 사진에는, 흡인에 의해 두피에 모세혈관이 적색 반점상으로 도드라져 있는 모양이 확인된다.
결과를 표 4∼표 6에 나타낸다. 또한 표 4는 560mmHg의 경우, 표 5는 460mmHg의 경우, 표 6은 360mmHg의 경우를 나타내고, 표 중의 기호는 모세혈관의 발생수가 0인 것을 흑색사각, 1∼5개는 흑색삼각, 6∼10개는 백색사각, 11∼15개는 백색사각, 16∼20개는 백색고리, 21∼25개는 2중고리, 26∼30개는 ※ 표시로 나타내고, 또한 두피의 융기가 12mm 미만인 것은 흑색고리, 12mm 이상인 것을 백색고리로 나타내고 있다.
표 4∼표 6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ø23mm 및 ø37mm의 작은 지름의 흡인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피시술자의 전원이 360∼560mmHg의 부압범위 내에서 12mm 이상의 두피융기와 6이상의 모세혈관 발생수를 얻을 수 없었다.
이것에 대해, ø53mm, ø55mm, ø80mm, ø83mm의 큰 지름의 흡인구를 사용한 경우, 대부분의 피시술자가 360∼560mmHg의 부압범위 내에서 12mm 이상의 두피융기와 6이상의 모세혈관 발생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ø83mm의 흡인구에서는 개구면이 두부의 형상에 맞지 않기 때문에, 두피의 일부분 밖에 개구면이 접촉하지 않고, 두피를 충분히 흡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고, 흡인할 수 있던 경우에도 접촉부위가 국소적으로 강하게 압박되는 것으로 두피에 통증을 수반하고, 모근이 손상되어 버렸다.
2. 모세혈관의 발생수에 의한 발모실험
다음, 같은 피시술자 6명에 대해 1mm2당 모세혈관의 발생수가 O이었던 조건, 1∼5이었던 조건, 6∼10이었던 조건, 11∼15이었던 조건, 16∼20이었던 조건, 21∼25이었던 조건, 26∼30이었던 조건의 7종류의 조건을 ø53∼80mm, 360∼560mmHg의 흡인조건 내에서 설정하고, 각 조건에서 발모를 위한 시술을 행하였다.
시술은 흡인구를 두피에 밀착시키고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흡인구 내부를 부압상태로 하여 2분간 그 상태를 유지하고, 계속하여 1분간은 배기밸브의 개폐에 의해 부압의 강약을 반복함으로써 실시하고, 이것을 일주일에 1회의 비율로 반복하였다.
시술개시로부터 2개월 후의 발모상황을 표 7에 나타내고, 피시술자 E의 두피의 확대사진(200배)을 도 19의 4분할사진의 오른쪽밑에, 피시술자 F의 두피의 확대사진(200배)을 도 20의 4분할사진의 오른쪽밑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피시술자 E의 흡인조건은 개구면 직경 ø53mm, 흡인부압 460mmHg이며, 피시술자 F의 흡인조건은 개구면 직경 ø53mm, 흡인부압 360mmHg이다.
표 중에서, 흑색고리는 발모가 확인되지 않았던 것, 별표는 발모가 확인되었던 것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왼쪽난의 표시는 표 4∼표 6의 것과 같은 의미이다.
도 19 및 도 20의 오른쪽밑 사진에는, 두피에 새로운 모발이 생긴 것이 확인된다.
표 7의 결과로부터, 1mm2당 모세혈관의 발생수가 5이하인 경우에는 어떠한 피시술자에서도 전혀 발모가 확인되지 않았고, 1mm2당 모세혈관의 발생수가 6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처음으로 일부의 사람에게서 발모가 확인되었다. 이것으로부터, 만약 두피에 모세혈관이 형성되었다 하여도, 그 수가 1mm2당 5 이하인 경우에는 발모현상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고, 발모를 생기게 하기 위해서는 1mm2당 모세혈관을 6이상 발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인식 발모·육모장치는 흡인구의 개구면의 면적이 100cm2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탈모부위에 대해 부압을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두피의 혈행촉진이나 모세혈관의 형성을 불필요한 것이 없게 효과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단기간에 우수한 육모 및 발모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두부 전체를 덮는 흡인구를 사용한 경우에 생기는 측두부의 단단한 조임에 의한 두정부로의 혈행저해를 막을 수 있다.
더욱이, 특정한 개구면 면적과 특정한 흡인부압을 갖는 흡인구에 의해 두피를 흡인함으로써, 두피의 모발이 없어진 부위에 확실하게 새로운 발모를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흡인구의 개구면이 원형이고, 개구면 직경이 53∼80mm, 부압이 360∼560mmHg이었던 경우에는, 보다 확실하게 모세혈관을 형성하여 발모를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인구의 개구면 형상이 피시술자의 육모처치를 하고 싶은 부위의 형상에 따라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된 경우에는, 두피의 혈행촉진이나 모세혈관의 형성을 불필요한 것이 없게 효과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단기간에 우수한 육모 및 발모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더욱이, 흡인구의 개구면의 최대 내경이 5∼10cm의 범위로 된 경우에는, 육모 및 발모에 적당한 두피의 융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인구의 개구면의 둘레 가장자리 형상이 안장모양으로 됨과 동시에, 개구면의 둘레 가장자리 단부가 바깥쪽을 향해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환상으로 된 경우에는, 두피에 대한 흡인구의 접촉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두피를 흡인한 때에 흡인구 주위의 두피를 동시에 빨아 올려 융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흡인구를 머리의 형상에 따라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피시술자의 체표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개구면을 갖춘 흡인구와 그 흡인구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흡인구 내부를 부압상태로 하는 진공펌프로 되고,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의 면적이 100cm2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 면적과 흡인부압이, 사방이 폭 15mm에 걸쳐 평판상에 고정된 길이 20cm×폭 20cm×두께 2mm의 천연고무(NR: ASTM 약호)로 되는 두피유사 시트에 개구면을 밀착시켜 흡인구 내부를 부압으로 한 때에 그 시트를 정부에서 12mm 이상 흡인융기시키는 것이 가능한 특정한 개구면 면적과 특정한 흡인부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이 원형이고, 개구면 직경이 53∼80mm, 걸리는 부압이 360∼560mm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 형상이 피시술자의 육모처치를 하고 싶은 부위의 형상에 따라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의 최대 내경이 5∼10cm의 범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의 개구면의 둘레 가장자리 형상이 안장모양으로 됨과 동시에, 개구면의 둘레 가장자리 단부가 바깥쪽을 향해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환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에 흡인구 내부의 부압상태를 개방하기 위한 배기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가 복수개 구비되고, 이들 복수의 흡인구가 각각 별도의 호스를 통해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복수의 흡인구 내부의 부압 정도를 개별적으로 조정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KR1019990040436A 1998-09-21 1999-09-20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KR20000028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687098 1998-09-21
JP1998-266870 1998-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700A true KR20000028700A (ko) 2000-05-25

Family

ID=1743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436A KR20000028700A (ko) 1998-09-21 1999-09-20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87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46A (ko) 2014-09-04 2016-03-14 옥민석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CN109925105A (zh) * 2019-03-29 2019-06-25 中国医学科学院整形外科医院 一种用于促进毛发生长速率及移植成活率的便携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46A (ko) 2014-09-04 2016-03-14 옥민석 발모 또는 육모를 위한 탈모환경 개선 및 발모환경 조성과 육성하는 장치
CN109925105A (zh) * 2019-03-29 2019-06-25 中国医学科学院整形外科医院 一种用于促进毛发生长速率及移植成活率的便携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dy et al. Direct irrigation and subgingival plaque
Abramov et al. Vaginismu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vulvar vestibulitis syndrome
US3943628A (en) Spoon excavator for applying chemically acting tooth decay attacking fluid
Ericsson et al. Radiograph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ssubmerged and nonsubmerged titanium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Labrador dog.
Garfin et al. Quantification of intracompartmental pressure and volume under plaster casts.
DE69425881T3 (de) Wundbehandlung unter anwendung von reduziertem druck
US5290251A (en) Method of cystostomy tube implantation
ATE485008T1 (de) Geräte für die perkutane chirurgie
JPH11505731A (ja) 確実にシールする入口弁を備えた胃瘻造設補給ポート
ATE387160T1 (de) Vorrichtung für eine herzklappenreperatur
Renvert et al. Healing after treatment of periodontal intraosseous defects: VI. Factors influencing the healing response
US5454778A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blood circulation in the scalp
KR20000028700A (ko) 흡인식 발모·육모장치
CA2091959A1 (en) Appliance for apicoectomy
Mayo Focal infection of dental origin
Herman The complete-coverage restoration and the gingival sulcus
Schwarz et al. The effectiveness of root debridement in open flap procedures by means of a comparison between hand instruments and diamond burs: A SEM study
Nakamura Treating a sebaceous cyst: an incisional technique
McKinney et al. Management of parotid leakage following rhytidectomy
JP2000225158A (ja) 頭皮毛細血管育成装置
Santana Treatment of the Negroid nose without nasal alar excision: A personal technique
CN213525280U (zh) 一种处理线雕并发症的修复器械
CN113456282B (zh) 一种颌骨囊肿开窗减压术后即刻制作塞治器的方法
Garcia PRE-VAGINOPLASTY BILATERAL ORCHIECTOMY FOR TRANSGENDER WOMEN: AN EFFICIENT SURGICAL TECHNIQUE THAT PRESERVES COLLATERAL TISSUES AND SENSATION: PD25-06
Kotschy et al. New dimensions in guided tissue regeneration treatment modalities for profound marginal periodont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