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133A -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8133A KR20160028133A KR1020140116754A KR20140116754A KR20160028133A KR 20160028133 A KR20160028133 A KR 20160028133A KR 1020140116754 A KR1020140116754 A KR 1020140116754A KR 20140116754 A KR20140116754 A KR 20140116754A KR 20160028133 A KR20160028133 A KR 201600281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oil mist
- oil
- vapo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55—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de-icing or defros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배출 단부 구간에 새로운 타입의 결로 방지 수단을 부가하여 유증기에 대한 결로를 줄임으로써, 액상 오일의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오일 드레인관을 새로운 구조 타입으로 개선하여 유증기의 원활한 배출 및 회수를 도모하고, 그와 더불어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 굴곡 단부가 하향 굴곡 구조로 형성되는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끝단에 배출 파이프의 안쪽으로 경사 절곡 되어 집유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테두리부; 상기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배출 단부 구간에 상부 외면 둘레를 일부 감싸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배출 단부 구간의 온도와 유증기의 온도 간에 온도 편차로 인한 결로를 줄이도록 하는 커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 굴곡 단부가 하향 굴곡 구조로 형성되는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끝단에 배출 파이프의 안쪽으로 경사 절곡 되어 집유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테두리부; 상기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배출 단부 구간에 상부 외면 둘레를 일부 감싸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배출 단부 구간의 온도와 유증기의 온도 간에 온도 편차로 인한 결로를 줄이도록 하는 커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배출 단부 구간에 새로운 타입의 결로 방지 수단을 부가하여 유증기에 대한 결로를 줄임으로써, 액상 오일의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오일 드레인관을 새로운 구조 타입으로 개선하여 유증기의 원활한 배출 및 회수를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엔진 내에는 구동부품들의 원활한 동작과 마모 방지를 위해 오일이 채워져 있으며, 이와 같이 채워진 오일은 구동부품들의 구동 마찰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유증기로 상태 변화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태 변화되는 유증기는 엔진과 연결되는 유증기 배출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예컨대, 유증기를 배출시키지 않거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엔진 내부의 내압이 과다 상승하게 되고 그로 인해 엔진의 실링 처리 부분에서의 오일 누수와 함께 엔진 운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울러, 유증기의 배출로 인한 오일의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유증기의 응결을 유도하는 장치가 유증기 배출 파이프 내에 설치되어 오일 회수를 도모하기도 하나, 유증기의 배출로 상에 유증기 응결 유도 장치가 설치되게 되면, 유증기의 배출 흐름을 저지하는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유증기의 배출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압 상승과 함께 오일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E)에는 유증기 배출 파이프(12)가 연결되어 있고, 유증기 배출 파이프(12)의 배출 단부 구간(14)은 바닥을 향하도록 하향 굴곡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 단부 구간(14)의 끝단에는 유증기 배출 파이프(12)의 안쪽으로 경사 절곡 되는 테두리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테두리부(16)에 의해 그 내부에는 집유 공간(1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6)에는 집유 공간(18)과 통하는 상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유증기 배출 파이프(12)에 연결되는 구조로 오일 드레인관(2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증기 배출 파이프(1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유증기(S1)는 배출 단부 구간(14)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배출 단부 구간(14)의 상부 내면 부분(22)과 하부 내면 부분(24)을 접촉하는 상태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 단부 구간(14)은 외기와의 직접적인 열교환으로 인해 외기 온도와 비슷한 온도를 형성하고 있어 유증기(S1)와의 온도 편차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배출 단부 구간(14)의 내면에 응결 점착되는 액상 오일(S2)의 결로가 과다하게 형성되는 상태로 배출 단부 구간(14)의 상부 내면 부분(22)과 하부 내면 부분(24)을 따라 배출 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먼저, 상기 배출 단부 구간(14)의 상부 및 하부 내면 부분(22, 24)을 따라 흘러내리는 액상 오일(S2)은 테두리부(16)의 집유 공간(18)으로 모이게 되고, 이와 같이 모인 액상 오일(S2)은 오일 드레인관(20)을 통해 회수된다. 그리고, 배출 단부 구간(14)의 상부 내면 부분(22)에서 과다한 결로로 형성되는 일부 액상 오일(S2)은 낙하하여 바닥으로 떨어지게 됨으로써 바닥 오염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증기(S1)는 유증기 배출 파이프(12)와 오일 드레인관(20)을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오일 드레인관(20)을 따라 배출되는 유증기(S1)가 오일 드레인관(20)을 따라 회수되는 액상 오일(S2)의 흐름을 저지 및 정체시켜 액상 오일(S2)의 회수가 원활하게 않게 되고, 자칫 테두리부(16)의 집유 공간(18)에 모인 액상 오일(S2)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여 테두리부(16)를 넘쳐 바닥으로 낙하 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유증기(S1)가 상부 내면 부분(22)에 충돌하면서 결로를 촉진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배출 단부 구간에 새로운 타입의 결로 방지 수단을 부가하여 유증기에 대한 결로를 줄임으로써, 액상 오일의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오일 드레인관을 새로운 구조 타입으로 개선하여 유증기의 원활한 배출 및 회수를 도모하도록 한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 굴곡 단부가 하향 굴곡 구조로 형성되는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끝단에 배출 파이프의 안쪽으로 경사 절곡 되어 집유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테두리부; 상기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배출 단부 구간에 상부 외면 둘레를 일부 감싸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배출 단부 구간의 온도와 유증기의 온도 간에 온도 편차로 인한 결로를 줄이도록 하는 커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수단은 배출 단부 구단의 상부 외면 둘레를 일부 감싸는 구조로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배출 단부 구간에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에는 집유 공간과 통하도록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 파이프에 연결되는 오일 드레인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일 드레인관은 상부 구간, 하부 구간, 중간 구간으로 구획하였을 때, 테두리부의 집유 공간에 연결되는 상부 구간의 단부과 유증기 배출 파이프에 연결되는 하부 구간의 단부가 높이 차이를 가지며, 상기 중간 구간은 액상 오일이 수위을 가지고 채워질 수 있도록 하향 굴곡 구조로 형성되는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결로 방지 수단에 의해 결로가 줄어들게 되어 과다 결로로 인한 액상 오일의 낙하가 방지되어 바닥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새로운 구조 타입의 오일 드레인관에 의해 원활한 오일 회수가 유지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엔진에서의 오일 누수와 그에 따른 바닥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유증기의 배출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유증기의 배출 경로와 액상 오일의 회수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로서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서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유증기의 배출 경로와 액상 오일의 회수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로서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서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로서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배경기술로 설명된 유증기 배출 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중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배출 장치(30)에서 유증기 배출 파이프(12)의 배출 단부 구간(14)에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유 공간(18)이 마련되는 구조로 테두리부(16)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테두리부(16)의 집유 공간(18)과 통하는 상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유증기 배출 파이프(12)에 연결되는 오일 드레인관(20)이 하향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유증기 배출 파이프(12)의 배출 단구 구간(14)에는 배출 단부 구간(14)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커버수단(32)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커버수단(32)은 상부 외면을 감싸는 구조로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34)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34)와 배출 단부 구간(14) 간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6)로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유증기 배출 파이프(12)의 배출 단구 구간(14)에 커버수단(32)이 설치되게 되면, 커버수단(32)의 커버 플레이트(34)와 배출 단부 구간(14)의 사이 영역(P)에서 외기와 열교환된 고온의 공기가 커버 플레이트(34)에 의해 외측으로 원활하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즉, 고온의 공기를 가두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배출 단부 구간(14)의 온도와 유증기(S2)의 고온 온도 간에 온도 편차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배출 단부 구간(14)의 내면, 특히 상부 내면 부분(22)에 대한 액상 오일의 결로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그로 인해 배경기술과 같이 과다 결로로 인하여 상부 내면 부분(22)을 타고 흐르면서 바닥으로 떨어져 발생하는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서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실시예 1에서는 커버수단을 채용하여 배출 단부 구간의 상부 내면 부분에 대한 결로를 줄여 과다 결로로 인한 낙하 오염을 줄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1에서 설명된 커버수단을 포함하면서 새로운 구조 타입으로 개선되는 오일 드레인관이 적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증기 배출 장치(38)의 배출 단부 구간(14)의 끝단에는 배경기술과 마찬가지로 내측으로 경사 절곡 되는 테두리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테두리부(16)에 의해 그 내부에는 집유 공간(18)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6)에는 집유 공간(18)과 통하는 상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 파이프(12)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오일 드레인관(38)이 테두리부(16)로부터 하향 설치되어있다.
상기 오일 드레인관(38)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부 구간(40)과 하부 구간(44) 및 중간 구간(42)으로 구획하였을 때, 테두리부(16)의 집유 공간(18)에 연결되는 상부 구간(40)의 단부와 유증기 배출 파이프(12)에 연결되는 하부 구간(44)의 단부가 높이(H) 차이를 가지며 중간 구간(42)이 U형으로 하향 굴곡 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증기 배출 파이프(1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유증기(S1)는 배출 단부 구간(14)에서 방향 전환을 하면서 배출 단부 구간(14)의 상부 내면 부분(22)과 하부 내면 부분(24)을 접촉하는 상태로 흐르게 된다.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배출 단부 구간(14)의 상부 및 하부 내면 부분(22, 24)을 따라 흘러내리는 액상 오일(S2)은 테두리부(16)의 집유 공간(18)으로 모여 오일 드레인관(38)을 통해 회수되게 되는데, 이때 오일 드레인관(38)의 중간 구간(42)이 U형으로 굴곡 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항상 중간 구간(42)에는 액상 오일(S2)이 채워져 있는 상태를 취하고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유증기(S1)가 배경기술과 같이 오일 드레인관(38)을 따라 배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오일 드레인관(38)을 따라 회수되는 액상 오일(S2)의 흐름에 대해 저지 및 정체를 유발시키지 않게 되어 액상 오일(S2)의 회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배경기술에서 제기한 바와 같이 자칫 테두리부(16)의 집유 공간(18)에 모인 액상 오일(S2)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여 테두리부(16)를 넘쳐 바닥으로 낙하 되는 문제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과다 결로로 형성되는 액상 오일의 낙하가 방지되어 바닥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새로운 구조 타입의 오일 드레인관에 의해 원활한 오일 회수는 물론, 유증기(S1)가 오일드레인관(20)을 통해 배출되어 상부 내면 부분(22)에 부딪히며 상부 내면 부분(22)에 생성되는 결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기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30, 38 : 유증기 배출 장치 12 : 유증기 배출 파이프
14 : 배출 단부 구간 16 : 테두리부
18 : 집유 공간 20, 38 : 오일 드레인관
22 : 상부 내면 부분 24 : 하부 내면 부분
32 : 커버 수단 34 : 커버 플레이트
36 : 연결부재 40 : 상부 구간
42 : 중간 구간 44 : 하부 구간
14 : 배출 단부 구간 16 : 테두리부
18 : 집유 공간 20, 38 : 오일 드레인관
22 : 상부 내면 부분 24 : 하부 내면 부분
32 : 커버 수단 34 : 커버 플레이트
36 : 연결부재 40 : 상부 구간
42 : 중간 구간 44 : 하부 구간
Claims (3)
- 배출 굴곡 단부가 하향 굴곡 구조로 형성되는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끝단에 배출 파이프의 안쪽으로 경사 절곡 되어 집유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테두리부;
상기 유증기 배출 파이프의 배출 단부 구간에 상부 외면 둘레를 일부 감싸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배출 단부 구간의 온도와 유증기의 온도 간에 온도 편차로 인한 결로를 줄이도록 하는 커버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단은 배출 단부 구단의 상부 외면 둘레를 일부 감싸는 구조로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배출 단부 구간에 고정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집유 공간과 통하도록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 파이프에 연결되는 오일 드레인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일 드레인관은 상부 구간, 하부 구간, 중간 구간으로 구획하였을 때, 테두리부의 집유 공간에 연결되는 상부 구간의 단부과 유증기 배출 파이프에 연결되는 하부 구간의 단부가 높이 차이를 가지며, 상기 중간 구간은 액상 오일이 수위을 가지고 채워질 수 있도록 하향 굴곡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6754A KR101882048B1 (ko) | 2014-09-03 | 2014-09-03 |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6754A KR101882048B1 (ko) | 2014-09-03 | 2014-09-03 |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8133A true KR20160028133A (ko) | 2016-03-11 |
KR101882048B1 KR101882048B1 (ko) | 2018-07-25 |
Family
ID=5558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6754A KR101882048B1 (ko) | 2014-09-03 | 2014-09-03 |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20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382370A (zh) * | 2023-03-31 | 2023-07-04 | 杭州千岛净露水业有限公司 | 一种露水收集器冷凝温度自适应控制计算方法及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90258B2 (en) * | 1999-02-18 | 2004-09-14 | Mks Instruments, Inc. | Method for removing condensable aluminum chloride vapor from aluminum etch effluent |
KR20110087137A (ko) | 2010-01-25 | 2011-08-0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유증기 응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KR20130031416A (ko) * | 2011-09-21 | 2013-03-2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오일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관 |
KR20140105513A (ko) * | 2011-12-02 | 2014-09-01 | 바스프 에스이 | 증류 컬럼용 응축물-수집 채널 |
-
2014
- 2014-09-03 KR KR1020140116754A patent/KR1018820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90258B2 (en) * | 1999-02-18 | 2004-09-14 | Mks Instruments, Inc. | Method for removing condensable aluminum chloride vapor from aluminum etch effluent |
KR20110087137A (ko) | 2010-01-25 | 2011-08-0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유증기 응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KR20130031416A (ko) * | 2011-09-21 | 2013-03-2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오일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관 |
KR20140105513A (ko) * | 2011-12-02 | 2014-09-01 | 바스프 에스이 | 증류 컬럼용 응축물-수집 채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382370A (zh) * | 2023-03-31 | 2023-07-04 | 杭州千岛净露水业有限公司 | 一种露水收集器冷凝温度自适应控制计算方法及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2048B1 (ko) | 2018-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9500585A (ja) | 凝縮器型の溶接プレート型熱交換器 | |
KR102016364B1 (ko) | 오일 미스트 벤트 장치 | |
RU2018114687A (ru) | Кондиционер воздуха | |
KR20160028133A (ko) | 유증기 결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엔진용 유증기 배출 장치 | |
JP2008039386A5 (ko) | ||
RU2016112994A (ru) | Бытовой электроприбор | |
KR20180042123A (ko) | 배기관 구조 | |
JP6843504B2 (ja) | スプレー冷却式炉蓋 | |
RU2019143755A (ru) | Емкост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и вы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 |
JP2019503854A (ja) | 剛性向上用内部梁を有するインレットベーン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容器 | |
JP3837112B2 (ja) | 給湯器 | |
US8425643B2 (en) | Vent head | |
KR20070100475A (ko) | 응축수 배수관용 스팀 트랩 | |
US1567712A (en) | cookxon | |
US2572449A (en) | Condensation pump | |
CN208779663U (zh) | 一种液体排出装置 | |
KR102029937B1 (ko) | 전기압력밥솥의 배수구조체 | |
US966022A (en) | Combined feed-water heater and grease and oil separator. | |
JP3211577U (ja) | 蒸留器 | |
CN102462386B (zh) | 无烟烧烤机 | |
US1028156A (en) | Barometric condenser. | |
JP2012077965A (ja) | 排気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燃焼装置 | |
US1770773A (en) | Oil and gas separator | |
US2305186A (en) | Engine ventilating | |
CN103672380B (zh) | 气阱式冷凝水排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