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756A - 의료용 흡인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756A
KR20160027756A KR1020140116273A KR20140116273A KR20160027756A KR 20160027756 A KR20160027756 A KR 20160027756A KR 1020140116273 A KR1020140116273 A KR 1020140116273A KR 20140116273 A KR20140116273 A KR 20140116273A KR 20160027756 A KR20160027756 A KR 2016002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late
bottom plate
plate
locking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331B1 (ko
Inventor
권병수
Original Assignee
권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수 filed Critical 권병수
Priority to KR102014011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3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바닥판과 마주하여 설치되며 환자의 신체로부터 체액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가압판, 바닥판과 가압판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막,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가압판을 바닥판 측으로 눌러서 이동시킨 상태에서, 가압판이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닥판과 가압판을 로킹결합시키고 로킹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로킹 및 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가 게시된다.

Description

의료용 흡인기{MEDICAL SUCTION DEVICE}
본 발명은 의료용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압을 이용하여 환자의 조직 내에서 체액을 흡인하여 배출시켜 모으기 위한 의료용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외과계통의 수술 후에는 조직 내에 혈액이나 삼출액과 인체의 체액이 생성되어 고이게 되고, 이는 상처 치유를 방해하여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의사는 수술 후 상처의 빠른 회복을 위하여 혈액이나 삼출물이 조직 내에 고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수술 조직에서 배액 되는 혈액이나 삼출액의 양과 색을 통하여 수술 후 출혈, 감염에 의한 염증, 복부 수술의 경우 주위 장기(특히 대장, 소장) 손상 등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따라서, 의사는 수술 후 생성되는 혈액이나 삼출물을 배액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흔히 '헤모박' 또는 '바로박'이라고 불리는 의료용 흡인기를 사용 한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흡인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과, 바닥판(1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배액관(21)이 연결되는 가압판(20)과, 바닥판(10)과 가압판(20)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0)과, 가압판(20)과 바닥판(10)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바닥판(10)과 가압판(20) 사이에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막(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판(20)에는 배출구(22)가 마개(22a)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의료용 흡인기는 혈액이나 삼출물과 같은 체액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가압판(20)을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야 하는데,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탄성이 큰 코일스프링(30)을 사용하다 보니, 대부분 여성으로 이루어진 간호사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가압판(20)을 누른 상태에서, 배출구(22)를 밀폐하기 위해서 마개(22a)를 막는 추가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간호사들이 사용하기에는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인기에 모은 체액은 수술부위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보통 하루에 3회 아침 점심 저녁으로 배액하여 혈액이나 삼출액의 양과 색을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혈액이나 삼출액을 배액하기 위해서는 배출구(22)의 마개(22a)를 분리하여 배출구(22)를 개방한 뒤, 흡인기를 옆으로 기울이거나 뒤집어서 내부의 체액을 외부로 배출해야 하는데, 가압판(20)이 평판 구조이고, 배출구(22)가 가압판(20)의 대략 중앙 부분에 치우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기 내부의 체액을 완전하게 배출하여 비우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70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료용 흡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흡인기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여 설치되며, 환자의 신체로부터 체액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가압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압판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막;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압판을 상기 바닥판 측으로 눌러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판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을 로킹결합시키고 로킹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로킹 및 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로킹 및 해제유닛은, 상기 가압판과 바닥판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로킹부재; 상기 제1로킹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압판과 바닥판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제1로킹부재와 접한 상태에서 로킹결합 및 해제 가능한 제2로킹부재; 및 상기 제2로킹부재를 상기 제1로킹부재와 로킹결합 가능한 위치와 로킹해제 가능한 위치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 또는 바닥판의 외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로킹부재는 상단에 로킹돌기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로킹부재는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로킹돌기에 로킹결합되는 탄성후크를 가지며, 상기 가압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해제부재는 상기 가압판의 외측에서 상기 제2로킹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압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로킹해제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레버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가압판의 상부로 곡선형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배출유로에 의해 형성되고, 그 배출단부는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마개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압판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구 쪽으로 연장되게 다수의 가이드홈이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다른 의료용 흡인기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여 설치되며, 환자의 신체로부터 체액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가압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압판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막; 및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가압판의 상부로 곡선형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배출유로에 의해 형성되고, 그 배출단부는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마개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흡인기에 따르면, 가압판을 누르면 로킹 및 해제유닛에 의해 바닥판과 가압판이 로킹결합되어 가압판이 눌린 상태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가압판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배출구를 막는 작업을 할 필요 없이, 가압판을 누르는 힘을 제거한 상태에서 배출구를 막는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배출구를 막은 다음에는 로킹 및 해제유닛을 해제시킴으로써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판이 상승하면서 음압이 작용하도록 하여 환자 신체 내의 체액 등의 흡인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가 가압판의 테두리부분에 형성되되, 구체적으로는 상부로 곡선형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을 배출하여 버리는 것이 용이하며, 배출단부는 상부로 개방되지 않고 측면측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담기도록 배출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가압판의 하부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조금 남은 내용물까지도 모두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출구는 가압판의 상부로 돌출되되, 곡선형으로 형성된 배출유로에 의해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며, 배출단부는 상부를 향하지 않고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흡인기를 뒤집어서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내용물이 배출구로 모두 모이게 되어 남김없이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의료용 흡인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료용 흡인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료용 흡인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의료용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가압판을 누른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로킹 및 해제유닛의 해제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로킹 및 해제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가압판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기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기(100)는, 바닥판(110)과, 가압판(120)과, 바닥판(110)과 가압판(120)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밀폐막(130), 바닥판(110)과 가압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40)와, 가압판(120)을 상기 바닥판(110)에 대해 로킹결합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로킹 및 해제유닛(150)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판(110)은 원형판 구조를 가지며, 가압판(120)과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바닥판(110)의 상면에는 탄성부재(140)의 하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11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압판(120)은 바닥판(110)에 대응되는 원형의 판 구조를 가지며, 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121)와, 수용된 내용물(체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3)가 형성된다. 유입구(121)에는 배액관(161)이 연결된다. 배출구(123)는 마개(125)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마개(125)는 연결부재(126)에 의해 가압판(120)에 연결되거나, 배출구(123)의 외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배출구(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120)의 상부로 그 유로가 곡선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개방된 방향(단부 방향)은 상면이 아닌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배출구(123)는 가압판(120)의 테두리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가압판(120)은 내부의 내용물(체액)을 밖으로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마개(125)를 분리하여, 배출구(123)를 개방시킨다. 그런 다음, 흡인기(100)를 도 10과 같이 뒤집은 상태로 배출구(123)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구(123)로 흘러내리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배출구(123)가 가압판(12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고, 상부로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배출경로를 가짐으로써 그 배출구(123)로 내용물이 고이면서 대부분의 내용물을 쉽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와 달리 가압판(120)의 하면이 평평한 구조가 아니고, 배출구(123)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흡인기(100)를 뒤집으며, 내부의 체액이 경사진 면을 따라서 흘러서 배출구(123) 쪽으로 모이기 때문에 내부에 담긴 체액 모두를 배출구(123)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판(120)의 하면에도 탄성부재(140)의 상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결합부(122)가 복수 형성된다.
상기 밀폐막(130)은 비닐 또는 유연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폐막(130)은 바닥판(110)의 테두리와 가압판(120)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내부에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며,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바닥판(110) 및 가압판(120)에 실링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복수가 바닥판(110)과 가압판(120) 사이에 설치되어, 가압판(120)을 누르면 압축되어 가압판(120)이 원위치(바닥판과 이격되는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흡인기(100)의 내부공간에 음압이 발생하도록 하여, 배액관(161)을 통해 환자 신체 내부의 체액을 흡입하여 빼낼 수 있게 한다.
상기 로킹 및 해제유닛(150)은 바닥판(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로킹부재(151)와, 상기 제1로킹부재(151)에 상보적으로 로킹결합 및 분리되게 가압판(120)에 설치되는 제2로킹부재(153)와, 제2로킹부재(153)를 상기 제1로킹부재(151)와 로킹가능한 위치 및 로킹해제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킹해제부재(155)를 구비한다.
제1로킹부재(151)는 바닥판(11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단에서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확장형성된 로킹돌기(151a)를 가진다. 이러한 제1로킹부재(151)는 바닥판(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로킹부재(151)는 바람직하게는 바닥판(110)의 중앙부분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킹돌기(151a)는 제1로킹부재(15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로킹부재(153)는 제1로킹부재(151)에 마주하도록 가압판(120)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압판(120)에 형성된 결합공(h)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로킹돌기(151a)에 탄력적으로 로킹결합되는 탄성후크(153a)를 가진다. 탄성후크(153a)는 로킹돌기(151a)와 마찬가지로 한 쌍이 제1로킹부재(153)이 중심(히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 쌍의 탄성후크(153a)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분리된 구성을 가진다. 또한, 탄성후크(153a)는 탄성 변형이 보다 용이하도록 복수로 분리되어(상하로 절개된 형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1로킹부재(153)는 도 5와 같이, 제1로킹부재(151)이 로킹돌기(15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후크(153a)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가압판(120)을 누르면, 탄성후크(153a)가 로킹돌기(151a)에 접촉되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도 6과 같이, 로킹돌기(151a)에 로킹결합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가압판(120)을 누르는 힘을 제거해도, 가압판(120)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서 원위치로 밀려 올라오지 않고, 눌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로킹해제부재(155)를 회전시켜서 제2로킹부재(153)의 자세를 해제위치(90도 각도 회전킨 상태)로 자세변경시키면, 도 7과 같이, 탄성후크(153a)가 로킹돌기(151a)와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로킹해제되고,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판(120)이 상승하여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흡인기(100) 내부에는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킹해제부재(155)는 가압판(120)의 외측에서 상기 제2로킹부재(153)에 결합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로킹부재(153)는 상기 결합공(h)을 통해 가압판(120)의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그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로킹해제부재(155)가 결합됨으로써, 가압판(120)의 외부에서 로킹해제부재(155)를 회전조작하여 제2로킹부재(15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결합공(h)에는 실링부재(157)가 결합됨으로써, 결합공(h)과 제2로킹부재(153) 사이를 실링시켜서 내용물과 음압이 세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실링부재(157)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판(120)의 상부면(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되어 로킹해제부재(155)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레버 수용홈(124)이 형성되어 로킹해제부재(155)가 가압판(12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레버 수용홈(124)의 내부에는 로킹해제부재(155)를 해제위치 및 로킹위치 사이에서만 정확하게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위치(회전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4a)가 내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킹해제부재(155)가 로킹위치(잠금) 및 로킹해제위치(해제)에서 정확하게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속력을 제공하는 구속력 제공부(1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속력 제공부는 레버 수용홈(124)의 바닥과 로킹해제부재(155)의 하면 즉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마찰홈(171)과 마찰돌기(173)를 구비한다. 일예로서 마찰돌기(173)는 레버 수용홈(124)의 바닥에서 2개가 90도 각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로킹해제부재(155)의 하면에 마찰홈(171)이 형성되어 회동위치에 따라서 어느 한 마찰돌기(173)에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로킹해제부재(155)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경우에만 움직일 수 있는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로킹부재(151)가 바닥판(110)에 설치되고, 제2로킹부재(153)와 로킹해제부재(155)가 가압판(120)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서로의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다만, 간호사 등 의료인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가압판(120)에 로킹해제부재(155)가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기(100)에 의하면, 로킹 및 해제유닛(15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출구(123)를 개방한 상태에서, 가압판(120)을 누르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로킹부재(153)가 제1로킹부재(151)와 로킹결합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판(120)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더라도(손을 떼더라도) 가압판(120)은 탄성부재(140)에 의해 밀려서 올라가지 않고 눌린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와는 달이 가압판(120)을 누르는 동작(자세)을 취하지 않고도 도 7과 같이 마개(125)로 배출구(123)를 손쉽게 막을 수 있게 되어 여자 간호사 등과 같이 힘이 부족한 사람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과 같이 마개를 막은 후에, 로킹해제부재(155)를 회전시켜서 로킹후크(153a)를 로킹돌기(151a)와 로킹해제시킨다. 그러면, 로킹상태가 해제되어 가압판(120)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상승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힘에 의해 흡인기(100)의 내부 공간에는 음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음압은 배액 관(161)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작용하여 신체 내부로부터 혈액 등의 체액을 흡입하여 흡인기(100)로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인기(100)는 종래와는 달리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특히 여가 간호사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120)의 하면에는 다수의 가이드홈(127)이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홈(127)은 다수가 배출구(123)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흡인기(100)를 뒤집은 상태에서 배출구(123)의 마개(125)를 분리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바닥에 남은 내용물들이 가이드홈(127)을 따라서 이동하여 배출구(123)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거의 남기지 않고 모두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체액 등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하루 단위) 환자의 신체로부터 나오는 체액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흡인기(100)에 담긴 체액을 배출하여 체액의 배출량을 측정해서 기록해야 하는데, 흡인기(100) 내부의 체액을 완전히 배출시키지 못하고 남길 경우에는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흡인기(100) 내부의 소량의 체액까지 모두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의료용 흡인기 110..바닥판
120..가압판 130..밀폐막
140..탄성부재 150..로킹 및 해제유닛

Claims (7)

  1.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여 설치되며, 환자의 신체로부터 체액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가압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압판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막;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압판을 상기 바닥판 측으로 눌러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판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을 로킹결합시키고 로킹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로킹 및 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및 해제유닛은,
    상기 가압판과 바닥판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로킹부재;
    상기 제1로킹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압판과 바닥판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제1로킹부재와 접한 상태에서 로킹결합 및 해제 가능한 제2로킹부재; 및
    상기 제2로킹부재를 상기 제1로킹부재와 로킹결합 가능한 위치와 로킹해제 가능한 위치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 또는 바닥판의 외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부재는 상단에 로킹돌기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로킹부재는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로킹돌기에 로킹결합되는 탄성후크를 가지며, 상기 가압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해제부재는 상기 가압판의 외측에서 상기 제2로킹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로킹해제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레버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가압판의 상부로 곡선형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배출유로에 의해 형성되고, 그 배출단부는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마개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구 쪽으로 연장되게 다수의 가이드홈이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7.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여 설치되며, 환자의 신체로부터 체액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가압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압판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막; 및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가압판의 상부로 곡선형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배출유로에 의해 형성되고, 그 배출단부는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마개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KR1020140116273A 2014-09-02 2014-09-02 의료용 흡인기 KR10163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273A KR101634331B1 (ko) 2014-09-02 2014-09-02 의료용 흡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273A KR101634331B1 (ko) 2014-09-02 2014-09-02 의료용 흡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756A true KR20160027756A (ko) 2016-03-10
KR101634331B1 KR101634331B1 (ko) 2016-07-08

Family

ID=5553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273A KR101634331B1 (ko) 2014-09-02 2014-09-02 의료용 흡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3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6284A1 (en) * 2017-06-30 2019-01-03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EXSUDAT COLLECTION CONTAINER
CN109199763A (zh) * 2018-11-13 2019-01-15 宁波晟禾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新型的医疗吊塔刹车装置
KR20200086521A (ko) * 2019-01-09 2020-07-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배출이 용이하고 안전한 흡인기
KR20210001562A (ko) * 2019-06-28 2021-01-06 엄관용 의료용 흡인기
CN116801923A (zh) * 2021-08-16 2023-09-22 株式会社三幸制作所 医疗用吸引器和医疗用吸引器用的罐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954Y1 (ko) 2017-07-06 2019-04-09 이현우 의료용 흡입기의 배액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473Y1 (ko) * 1996-07-30 1999-02-01 이근호 환자용 체액 흡인기
KR20050086694A (ko) * 2002-11-28 2005-08-30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체액 흡인 집액기
KR100820414B1 (ko) * 2006-03-08 2008-04-08 코비디엔 아게 의료용 흡입 유체 수집기
KR101367004B1 (ko) 2011-12-30 2014-02-24 김용찬 의료용 흡인기
KR20140087616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무한기업 의료용 흡인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473Y1 (ko) * 1996-07-30 1999-02-01 이근호 환자용 체액 흡인기
KR20050086694A (ko) * 2002-11-28 2005-08-30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체액 흡인 집액기
KR100820414B1 (ko) * 2006-03-08 2008-04-08 코비디엔 아게 의료용 흡입 유체 수집기
KR101367004B1 (ko) 2011-12-30 2014-02-24 김용찬 의료용 흡인기
KR20140087616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무한기업 의료용 흡인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6284A1 (en) * 2017-06-30 2019-01-03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EXSUDAT COLLECTION CONTAINER
CN109199763A (zh) * 2018-11-13 2019-01-15 宁波晟禾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新型的医疗吊塔刹车装置
KR20200086521A (ko) * 2019-01-09 2020-07-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배출이 용이하고 안전한 흡인기
KR20210001562A (ko) * 2019-06-28 2021-01-06 엄관용 의료용 흡인기
CN116801923A (zh) * 2021-08-16 2023-09-22 株式会社三幸制作所 医疗用吸引器和医疗用吸引器用的罐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331B1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331B1 (ko) 의료용 흡인기
TWI733304B (zh) 一種用於承載感測器之容器及其容器操作方法
US20240068587A1 (e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Liquid
KR101367004B1 (ko) 의료용 흡인기
CN110573057B (zh) 一种用于与内窥镜一起使用的取样装置
KR20210016316A (ko) 빠른 조립을 위한 생리학적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EP0232600B1 (en) Apparatus for draining fluid from a body cavity
EP2707640B1 (e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liquid
DK2841127T3 (en) DEVICE CONTAINING A PIPE HANDLING DEVICE
US20110238022A1 (en) Corporeal drainage system
KR101360194B1 (ko) 의료용 흡인기
KR20140087616A (ko) 의료용 흡인기
JP6927232B2 (ja) 流路切り替え装置
ES2265183T3 (es) Aparato para la transferencia esteril de fluidos.
KR101622245B1 (ko) 카테터 고정장치
US10070935B2 (en) Sharps container with sliding door sharps disposal lid
KR100977319B1 (ko) 구급 약품상자
KR200384588Y1 (ko) 감염성 폐기물 전용 용기
EP1713526A1 (en) Medical vacuum aspiration device
KR101771227B1 (ko) 의료용 흡인기
KR101028916B1 (ko) 의료용 흡입장치
KR102627091B1 (ko) 의료 장치용 멀티포트
CN203988401U (zh) 针刀医疗盒组件
KR20210001562A (ko) 의료용 흡인기
KR200467554Y1 (ko) 의료용 흡인기의 튜브 고정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