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518A -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518A
KR20160027518A KR1020140115068A KR20140115068A KR20160027518A KR 20160027518 A KR20160027518 A KR 20160027518A KR 1020140115068 A KR1020140115068 A KR 1020140115068A KR 20140115068 A KR20140115068 A KR 20140115068A KR 20160027518 A KR20160027518 A KR 20160027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insulating board
board
insulation board
secondary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953B1 (ko
Inventor
박진영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953B1/ko
Priority to CN201580046982.0A priority patent/CN106715256B/zh
Priority to PCT/KR2015/008595 priority patent/WO2016036026A1/ko
Priority to EP15837311.8A priority patent/EP3196113B1/en
Priority to JP2017508530A priority patent/JP6556831B2/ja
Publication of KR2016002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은 (a)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1코너부 단열보드 일측에 일정 결합각도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제2코너부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화물창의 코너부에 설치하는 단계; (b)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2차방벽을 설치하는 단계; 및 (c) 2차방벽 상부에 코너부 상부단열보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는 각각 단일체로 분리 제작되며, 코너부 상부단열보드는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Description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METHOD FOR SETTING CARGO CORNER PART BARRIER}
본 발명은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극저온 유체(예컨대, LNG)를 운반하는 선박 화물창의 방벽구조는 통상적으로 1차방벽, 상부단열보드, 2차방벽 및 하부단열보드가 결합된 구조이다. 이는, 1차방벽에 소량의 극저온 유체의 누출이 있을 경우, 2차방벽에서 해당 유체의 추가적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화물창 코너부에는 코너부 형태에 따라 제작된 하부단열보드, 2차방벽 및 상부단열보드가 설치된다. 이때,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는 통상적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코너부에 설치되며, 코너부 상부단열보드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배치된 2차방벽 위에 설치된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1314호(2010.03.03. 공개)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러나,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는 플라이우드 재질의 하부보호판과 폼 재질의 하부단열부재를 접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극저온 유체에 의한 열응력과 선체(hull) 변형에 따른 박리응력(peel stress) 및 전단응력(shear stress) 등에 취약성을 나타낸다. 즉, 여러 하중 조건에서 수축 팽창하면서 발생하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변형 또는 파손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1314호(2010.03.03.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하중 조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 일측에 일정 결합각도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제2코너부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화물창의 코너부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2차방벽을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2차방벽 상부에 코너부 상부단열보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는 각각 단일체로 분리 제작되며, 상기 코너부 상부단열보드는 일체형으로 제작된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 간의 결합각도에 대응되게 굽어진 곡면형 2차방벽을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 및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 상부에 걸쳐서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물창의 평탄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하부단열보드와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에 걸쳐서 상기 곡면형 2차방벽과 연결되도록 평판형 2차방벽을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곡면형 2차방벽 간의 공간을 커버하면서 상기 곡면형 2차방벽과 상기 평판형 2차방벽이 연결되도록 조인트 2차방벽을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 간 결합각도에 대응되는 후면 모서리부와, 상기 곡면형 2차방벽의 코너부위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의 상단부를 가진 지지부재를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의 일측 경사면에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경사면이 밀착되어 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형 2차방벽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계면을 중심으로 상기 곡면형 2차방벽의 곡면 형상의 코너부위가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는 하부보호판, 하부단열부재 및 하부보조패널이 적층된 형태이고, 상기 상부단열보드는 상부보조패널, 상부단열부재 및 상부보호판이 적층된 형태이고, 상기 하부보조패널의 상부홈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고정편이 마련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고정편의 결합홈에 수직 결합되어 상기 상부단열보드의 내부홀 쪽으로 돌출된 결합볼트에 상기 상부보조패널에 의해 지지되도록 와셔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와셔 상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하방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은 여러 하중 조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 각각 단일체로 분리 제작되어 화물창의 코너부에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마련함으로써, 극저온 유체에 의한 열응력과 선체 변형에 따른 박리응력 및 전단응력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방벽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벽구조 중 코너부 및 평탄부에 하부단열보드 및 그 일부에 2차방벽이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분리 제작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가 도 2에 도시된 화물창 코너부에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가 화물창 코너부에 설치된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스터드볼트를 이용하여 선체 내벽에 고정시킨 모습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지지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부재 상부에 곡면형 2차방벽을 배치시킨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곡면형 2차방벽과 연결되도록 평판형 2차방벽과 조인트 2차방벽을 설치한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2차방벽 상부에 결합볼트를 이용하여 코너부 상부단열보드를 설치한 모습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는 화물창의 방벽구조는 코너부 및 평탄부에 설치된다. 화물창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방벽구조는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코너부 2차방벽,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 및 결합장치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는 각각 단일체로 분리 제작된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포함한다.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는 화물창의 코너부 바닥면에 배치되고,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는 화물창의 코너부 측면에 배치된다. 화물창 측면 쪽으로 경사면(G1)을 형성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의 일측에는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경사면(G2)이 밀착되어 계면(B)을 형성한다. 화물창 코너부위 형태에 따라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는 예컨대, 90도, 135도 등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가 90도 각도로 배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는 각각 하부보호판(111), 하부단열부재(112) 및 하부보조패널(113)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이는 화물창 평탄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또한 동일하다. 하부보호판(111)은 예컨대, 플라이우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단열부재(112)는 하부보호판(111) 상부에 접착제(예컨대 글루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폼(PUF, Polyurethane Foam), 강화 폴리우레탄폼(RPUF, Reinforced PUF) 등으로 제작되어 극저온 상태의 유체로부터 선체를 보호할 수 있다. 하부단열부재(112) 상부의 하부보조패널(113)은 플라이우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단열부재(112)와 하부보조패널(113)는 상부 모서리 부위가 경사진 형태로 모따기(C) 처리되어, 2차방벽 주름부의 교차되는 부위가 해당 부위에 적합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는 선체 내벽(2)에 매스틱(3), 스터드볼트(4)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스터드볼트(4)는 선체 내벽(2)에 수직 고정되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형성된 내부홀(S1)에 끼워진다. 스터드볼트(4) 하부는 선체 내벽(2)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스터드볼트(4)에 체결되는 와셔(5)는 하부보호판(111)에 의해 지지되고, 와셔(5) 상부에 너트(6)가 체결되어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스터드볼트(4)가 설치된 하부단열보드(110) 내부홀(S1)에는 예컨대 폼 재질의 플러그부재(7)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0)는 계면(B)을 중심으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상부에 배치된다. 지지부재(130)는 상부에 배치되는 곡면형 2차방벽(121)을 지지하도록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에 걸쳐서 계면(B)을 중심으로 밀착되게 배치된다. 지지부재(130)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 간 결합각도에 대응되는 후면 모서리부(130a)와, 곡면형 2차방벽(121)의 코너부위(121a)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의 상단부(130b)를 가진다. 이러한 지지부재(130)는 곡면형 2차방벽(121)의 코너부위(121a)와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간의 틈새에 밀착되게 배치되므로, 곡면형 2차방벽(121)과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간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여러 조건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코너부 2차방벽은 곡면형 2차방벽(121)과 조인트 2차방벽(123, 도 8 참조)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곡면형 2차방벽(121)은 지지부재(130) 상부에 배치되되, 계면(B)을 중심으로 곡면 형상의 코너부위(121a)가 배치된다. 곡면형 2차방벽(121)은 곡면형의 코너부위(121a)로부터 양측으로 평탄부위(121b)를 연장 형성하며,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 간 결합각도에 따라 코너부위(121a)의 굽어진 정도가 미리 설계 및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곡면형 2차방벽(121)은 평탄부위(121b) 간 형성되는 각도가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곡면형 2차방벽(121)은 리벳 등을 포함하는 체결부재(R1)에 의해 양쪽 평탄부위(121b)의 단부 측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는 상부에 배치되는 곡면형 2차방벽(121)에 의해 서로의 경사면(G1,G2, 도 3 참조)이 밀착된 상태로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화물창의 평탄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및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걸쳐서 상부에 곡면형 2차방벽(121)과 연결되는 평판형 2차방벽(122)이 배치된다.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는 상부홈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스트립부재(12)를 마련할 수 있다.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는 설명의 편의상 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평판형 2차방벽(122)은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 및/또는 이들(10) 간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또 평판형 2차방벽(122)은 양측의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각각 배치된 곡면형 2차방벽(121)과 주변부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화물창 코너부와 평탄부의 하부단열보드(110,10) 상부 및/또는 이들 하부단열보드(110,10) 간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평판형 2차방벽(122)은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 및/또는 이들(10) 간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에 마련된 스터드볼트(5)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터드볼트(5)는 정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의 중심 부위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평판형 2차방벽(122)은 2개 이상의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 평판형 2차방벽(122)은 화물창 코너부와 평탄부의 하부단열보드(110,10) 상부 및/또는 이들 하부단열보드(110,10) 간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에 마련된 스터드볼트(5) 및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마련된 결합볼트(17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결합볼트(170)에 대해서는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에 마련된 스터드볼트(5)와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마련된 결합볼트(170)는 동일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조인트 2차방벽(123)은 곡면형 2차방벽(121) 간의 공간을 커버하며, 곡면형 2차방벽(121) 및 평판형 2차방벽(122)과 연결되도록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간에 걸쳐서 배치된다. 조인트 2차방벽(123)은 곡면형 2차방벽(121)과 대응되는 각도로 굽어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곡면형 2차방벽(121), 평판형 2차방벽(122) 및 조인트 2차방벽(123)의 서로 겹쳐지는 부위는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1과 도 9를 참조하면,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와 대응되도록 2차방벽 상부에 배치된다.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는 충격흡수층(161), 상부보조패널(162), 상부단열부재(163) 및 상부보호판(164)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화물창 평탄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 또한 동일하다.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 상부에는 코너부 1차방벽(190)이 설치될 수 있다. 코너부 1차방벽(190)은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 상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1차방벽(30)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는 하측의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를 2개 이상 커버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와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사이에는 평판형 2차방벽(122)이 개재되며,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의 크기는 예컨대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와 1:2 비율로 제작될 수 있다.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는 상술한 스터드볼트(5)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는 상부홈에 열응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스트립부재(23)를 마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결합장치는 결합볼트(170) 및 체결유닛(180)을 포함한다. 하부보조패널(113)의 상부홈(113a)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R2)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편(140, 도3 참조)이 마련된다. 고정편(140)과 하부보조패널(113)의 상부홈(113a)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열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고정편(140)은 예컨대 금속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결합볼트(170)는 고정편(140)의 결합홈(140a)에 수직 결합되어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의 내부홀(S2) 쪽으로 돌출된다. 결합볼트(170)에 결합된 평판형 2차방벽(122)의 관통홀 주변부는 고정편(140)에 원용접 방식으로 용접(W) 접합될 수 있다. 고정편(140)의 결합홈(140a)은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일 수 있다.
체결유닛(180)은 상부단열보드(160) 내부홀(S2)로 돌출된 결합볼트(170)에 결합되어, 상부보조패널(162)에 의해 지지되는 와셔(181)와, 결합볼트(170)에 결합되어 와셔(181) 상부에서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조여지는 너트(182)를 포함한다.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의 내부홀(S2) 상단은 마개(미도시)에 의해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이하,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화물창 측면 쪽으로 경사면(G1)이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를 설치한 후, 해당 경사면(G1)에 밀착되도록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종방향으로 설치하여,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경사면(G2)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 경사면(G1)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선체 내벽(2)에 수직 고정된 스터드볼트(4)에 각 단열보드(110a,110b)의 내부홀(S1)이 끼워지도록 하여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른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를 나란히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30)를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에 걸쳐서 계면(B)을 중심으로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곡면형 2차방벽(121)을 지지부재(130) 상부에 배치시키고, 체결부재(R1)에 의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 상부에 걸쳐서 양측 단부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계면(B)을 중심으로 곡면형 2차방벽(121)의 곡면 형상의 코너부위(121a)가 배치되도록 한다. 곡면형 2차방벽(121)을 통해, 각각 단일체로 분리 제작된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극저온 유체에 의한 열응력과 선체 변형에 따른 박리응력 및 전단응력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스터드볼트(4)에 와셔(5)와 너트(6)를 체결하고,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내부홀(S1)에 플러그부재(7)를 삽입한 후, 마개(8)를 덮는 등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해당 작업은 상술한 선체 내벽(2)에 수직 고정된 스터드볼트(4)에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설치한 이후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곡면형 2차방벽(121)과 연결되도록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도 2 참조) 상부의 평판형 2차방벽(122)을 배치시킨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는 도시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곡면형 2차방벽(121) 간의 공간을 커버하며, 곡면형 2차방벽(121) 및 평판형 2차방벽(122)과 연결되도록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간에 걸쳐서 조인트 2차방벽(123)을 설치한다. 곡면형 2차방벽(121)과 평판형 2차방벽(122) 및 조인트 2차방벽(123) 간 서로 겹쳐지는 주변부는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과 도 9를 참조하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와 대응되도록 2차방벽 상부에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를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 내부홀(S2)로 돌출된 결합볼트(170)에 와셔(181)와 너트(182)를 각각 체결하고, 와셔(181)가 상부보조패널(16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너트(182)를 조여 하방으로 가압한다. 내부홀(S2) 상단은 마개(미도시)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후,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 상부에 코너부 1차방벽(190) 설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작업은 평탄부 방벽 설치작업과 보조를 맞추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하부단열보드, 2차방벽, 상부단열보드, 1차방벽 순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110a: 제1코너부 단열보드
110b: 제2코너부 단열보드 121: 곡면형 2차방벽
122: 조인트 2차방벽 123: 평판형 2차방벽
130: 지지부재 140: 고정편
160: 코너부 상부단열보드 170: 결합볼트
180: 체결유닛

Claims (5)

  1. (a)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 일측에 일정 결합각도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제2코너부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화물창의 코너부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2차방벽을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2차방벽 상부에 코너부 상부단열보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는 각각 단일체로 분리 제작되며, 상기 코너부 상부단열보드는 일체형으로 제작된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 간의 결합각도에 대응되게 굽어진 곡면형 2차방벽을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 및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 상부에 걸쳐서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물창의 평탄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하부단열보드와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에 걸쳐서 상기 곡면형 2차방벽과 연결되도록 평판형 2차방벽을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곡면형 2차방벽 간의 공간을 커버하면서 상기 곡면형 2차방벽과 상기 평판형 2차방벽이 연결되도록 조인트 2차방벽을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 간 결합각도에 대응되는 후면 모서리부와, 상기 곡면형 2차방벽의 코너부위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의 상단부를 가진 지지부재를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의 일측 경사면에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경사면이 밀착되어 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형 2차방벽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계면을 중심으로 상기 곡면형 2차방벽의 곡면 형상의 코너부위가 배치되도록 하는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는 하부보호판, 하부단열부재 및 하부보조패널이 적층된 형태이고,
    상기 상부단열보드는 상부보조패널, 상부단열부재 및 상부보호판이 적층된 형태이고,
    상기 하부보조패널의 상부홈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고정편이 마련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고정편의 결합홈에 수직 결합되어 상기 상부단열보드의 내부홀 쪽으로 돌출된 결합볼트에 상기 상부보조패널에 의해 지지되도록 와셔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와셔 상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하방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KR1020140115068A 2014-09-01 2014-09-01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KR101661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068A KR101661953B1 (ko) 2014-09-01 2014-09-01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CN201580046982.0A CN106715256B (zh) 2014-09-01 2015-08-18 货舱角落部屏障结构以及货舱角落部屏障的设置方法
PCT/KR2015/008595 WO2016036026A1 (ko) 2014-09-01 2015-08-18 화물창 코너부 방벽구조 및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EP15837311.8A EP3196113B1 (en) 2014-09-01 2015-08-18 Barrier structure for corner portion of cargo hold and method for installing barrier for corner portion of cargo hold
JP2017508530A JP6556831B2 (ja) 2014-09-01 2015-08-18 貨物倉コーナー部防壁構造および貨物倉コーナー部防壁設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068A KR101661953B1 (ko) 2014-09-01 2014-09-01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518A true KR20160027518A (ko) 2016-03-10
KR101661953B1 KR101661953B1 (ko) 2016-10-05

Family

ID=5553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068A KR101661953B1 (ko) 2014-09-01 2014-09-01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9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317B1 (ko) * 2006-09-01 2006-11-24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코너 구조체
KR20080081314A (ko) 2006-01-20 2008-09-09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장질환을 위한 의약 조성물, 음식품, 또는 사료
KR20120013258A (ko) * 2011-12-16 2012-0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코너부 단열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
KR101368763B1 (ko) * 2012-02-10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KR101422520B1 (ko) * 2012-05-31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단열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1314A (ko) 2006-01-20 2008-09-09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장질환을 위한 의약 조성물, 음식품, 또는 사료
KR100649317B1 (ko) * 2006-09-01 2006-11-24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코너 구조체
KR20120013258A (ko) * 2011-12-16 2012-0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코너부 단열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
KR101368763B1 (ko) * 2012-02-10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KR101422520B1 (ko) * 2012-05-31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단열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953B1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6831B2 (ja) 貨物倉コーナー部防壁構造および貨物倉コーナー部防壁設置方法
KR101337635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KR101516552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661927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구조
KR101337638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고정 스트립
KR101617031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617032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0997764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644360B1 (ko)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KR101661953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KR20160024015A (ko)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설치장치
KR10186516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661947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구조
KR20160027519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690933B1 (ko) 화물창 방벽 설치용 결합장치
KR101635019B1 (ko) 하부단열보드 결합장치
KR101563859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774780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 지그
KR101617037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337645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399888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20150129892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617029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625862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20160013324A (ko) 화물창 방벽 설치용 결합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