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478A -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478A
KR20160027478A KR1020140114453A KR20140114453A KR20160027478A KR 20160027478 A KR20160027478 A KR 20160027478A KR 1020140114453 A KR1020140114453 A KR 1020140114453A KR 20140114453 A KR20140114453 A KR 20140114453A KR 20160027478 A KR20160027478 A KR 20160027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force
nut
bracket
bolt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442B1 (ko
Inventor
임영우
문상렬
최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Priority to KR102014011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4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2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indicating the attainment of a particular tensile load or limiting tensile load
    • F16B31/028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indicating the attainment of a particular tensile load or limiting tensile load with a load-indicating washer or washe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물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볼트의 체결 축력을 측정 및 감지하여 설정된 이상 또는 이하의 축력이 감지될 경우 감지된 부분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견고하게 체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구조물을 볼트의 나선축이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의 나선 체결력에 의해 체결 고정시켜 주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외부에 씌워지는 상태로 나선축에 나선 체결되어 나선축의 축력변화를 측정 감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축력감지장치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Axial force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bolt nut}
본 발명은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물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볼트의 체결 축력을 측정 및 감지하여 설정된 이상 또는 이하의 축력이 감지될 경우 감지된 부분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견고하게 체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및 원전시설, 초고층빌등 등과 같이 고강도의 구조물을 설치시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이들을 견고하게 체결 고정시켜 주게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구조물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을 관통하는 볼트(20)의 나선축(21)에 너트(30)를 체결시켜 상기 볼트와 너트의 나선 체결력에 의해 구조물이 서로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은 체결 초기에는 체결력이 높아 구조물이 이격됨이 없으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원전시설에서는 기계적인 작동에 의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이고, 교량에서는 지속적으로 운행되는 차량의 하중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며, 이외에도 초고층빌딩에도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외부적인 영향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되어 볼트의 나선축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너트가 서서히 풀리는 현상이 발생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됨에 따라 전문적인 기술자가 수시로 체결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체결력이 느슨하게 풀렸을 경우 이를 다시 체결시켜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진동 및 충격에도 체결력이 쉽게 풀리지 않는 풀림방지 기능을 갖춘 너트가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풀림방지 기능을 갖춘 너트는 일예로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등록 제10-0902061호가 소개된바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풀림방지너트가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풀림방지 기능을 갖춘 너트를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전시설과 교량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높은 곳으로 올라가 일일이 확인 및 체결시켜 주어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필요이상으로 올래 걸리게 됨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작업자가 직접 작업현장에서 일일이 체결볼트와 너트의 체결력 확인인 작업자의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어 볼트와 너트가 일정치 이상 풀린 상태에서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 축력이 약해지는 것까지는 확인을 할 수 없어 안전상 수시로 확인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물을 체결 고정시켜 주는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 상기 볼트에 갖추어진 나선축의 체결 축력을 측정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측정치를 기점으로 하여 설정치 이상 또는 이하가 될 경우 이를 전산 시트템에 의해 모니터 또는 음성으로 메인시스템에서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발생하기 이전에 미리 축력의 변화가 발생된 볼트와 너트를 다시 조여 견고하게 체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을 볼트의 나선축이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의 나선 체결력에 의해 체결 고정시켜 주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외부에 씌워지는 상태로 나선축에 나선 체결되어 나선축의 축력변화를 측정 감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축력감지장치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력감지장치는 너트의 외주연에 씌워지고 하단면이 구조물의 표면에 접하게 되는 씌움부와,
상기 씌움부의 상면에 하단면이 접한 상태에서 너트가 체결된 나선축에 나선 체결이 이루어지는 축력감지부재와;
상기 축력감지부재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회로기판을 갖춘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력감지부재는 나선축에 나선되도록 나선공을 갖는 체결관체와;
상기 체결관체의 하단부 외주연에 일체로 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감지센서가 부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외주연 하단부로 연장되어 씌움관체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지지관체가 씌움관체에 탄지된 상태에서 체결관체가 나선축에 나선 체결될 때, 강제 체결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너트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씌움부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축력감지부재의 축력을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씌움부는 너트의 외주연에 긴밀하게 씌워지고 외주연에 나선이 갖추어진 씌움관체와;
상기 씌움관체의 외주연과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선이 갖추어져 회전 위치에 따라 승,하강 하면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이나 원전시설 및 초고층빌딩과 같은 곳의 구조물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시 상기 볼트의 나선축과 나선 체결이 이루어지는 너트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상태로 나선축에 나선체결되도록 하여 나선축의 축력을 측정 감지하고 있다가 설정된 축력 이하, 또는 이상의 범위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소리 또는 화면에 숫자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수많은 축력감지장치중 어느쪽의 축력감지장치에 감지되고 있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에 대한 축력이 변화되었는지 쉽게 파악하여 이를 필요한 축력치가 되도록 조여줄 수 있도록 하여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사전에 예방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차단 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인해 작업자가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관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구조물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체결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도4a는 정상적인 체결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4b는 나선축의 축력이 변화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5 는 도2의 A-A선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삿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로서,
도10a는 축력이 감지되기 이전의 상태도.
도10b는 축력이 감지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구조물(1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볼트(20)의 나선축(21)이 관통하고, 상기 구조물의 관통공을 관통한 나선축에 너트(30)를 나선 체결시켜 주면 이들의 나선체결에 의해 볼트(20)의 머리부(22)와 너트(30)가 각각 구조물(10)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하여 체결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조물(10)과 너트(30) 사이에는 와셔(40)를 갖추어 주게 되는 것이고, 나선축(21)의 선단부는 너트(30)의 나선공(31)을 관통한 관통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너트(30)의 외부에 씌워지는 상태로 나선축(21)에 나선 체결되어 나선축의 축력을 측정 감지하는 축력감지장치(100)가 갖추어진다.
상기 축력감지장치(100)는 상기 너트의 외주연에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하단면이 구조물(10)의 표면에 접하게 되는 씌움부(200)와, 상기 씌움부의 상면에 하단면이 접한 상태에서 나선축(21)에 나선 체결이 이루어지는 축력감지부재(300)를 갖춘다.
상기 씌움부(200)는 너트(20)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상태로 구조물(10)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축력감지부재(300)의 하단면이 접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력감지부재(300)는 나선축(21)에 나선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선공(311)을 갖는 체결관체(310)를 갖추고, 상기 체결관체의 하단부 외주연에 일체로 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켓(312)을 갖추며, 상기 브라켓의 외주연에 일체로 하여 씌움부(200)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관체(313)를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312)은 지지관체(313)의 하면이 씌움부(200)의 상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나선축(21)에 나선체결되는 체결관체(310)를 계속해서 나선 체결시켜 주면 체결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 및 두께를 갖도록 하고, 보편적으로 수평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외주연을 향하여 하향되게 경사진 상태로 형성시켜 주어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12)의 저면 일측에 체결관체의 나선 체결에 의한 브라켓의 변형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20)를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30)와 체결관체(310) 사이에도 와셔(40)를 갖추어주며, 체결관체(310)에는 감지센서(320)로부터 연결되어 회로기판(400)과 연결될 수 있는 전선(410)이 관통하는 관통구멍(314)을 갖추어준다.
또한, 상기 축력감지부재(300)의 외부에는 회로기판(400)이 내장된 덮개부(500)를 갖추어준다.
상기 덮개부(500)는 체결관체(310)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케이스(510)를 갖추되,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브라켓(312)과 지지관체(313) 및 씌움부(200)를 덮어주는 보호커버(520)를 갖추어준다.
이때, 상기 케이스(510)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관통되는 나선공(511)을 갖추어 상기 나선공에 나선 체결되는 조임나사(540)의 선단면이 체결관체(310)가 긴밀히 밀착 되는 상태로 조임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10)의 상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530)를 갖추어 주고 있으며, 케이스(510)의 외주연에는 방열판(512)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축력감지장치(100)는 구조물(10)을 체결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나선 체결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볼트와 너트에 갖추어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축력감지장치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컨트롤러(6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아날로그 방식인 축력감지장치(100)로부터 측정된 축력을 디지털방식으로 변환 저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6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스크탑(700)으로 전송받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건트롤러(600)는 각각의 축력감지장치(10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축력감지장치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방식의 측정값을 AD Converter(Analog Digital Converter)(610)에서 디지털방식의 측정값으로 변환시켜 주게 되는 것이고, 상기 각각의 AD Converter(Analog Digital Converter)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방식의 측정값은 MCU(Micro Controller Unit)(620)내에 개별적으로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에 저장된 각각의 측정값은 무선통신모듈(Serial-to-Bluetooth module)(630)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데스크탑(ktop)(700)에서 수신 및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가 전송된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데스크탑(700)의 모니터에는 각각의 축력감지장치(100)로부터 측정되는 축력값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서, 설정된 축력값의 이하로 측정되는 축력감지장치(100)가 있을 경우 작업자는 상기 축력값이 변화된 축력감지장치(100)의 볼트와너트를 설정된 축력값이 되도록 다시 조여주거나, 또는 교체 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구조물(10)에 갖추어진 관통공(11)에 볼트(20)의 나선축(21)이 관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구조물을 관통한 나선축(21)에 너트(30)를 나선 체결시켜 준다.
이때, 볼트(20)와 너트(30)는 구조물(10)이 견고하게 체결 조여질 수 있을 정도의 조임력까지 나선 체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볼트와 너트의 나선 체결이 완료되면 본원발명인 축력감지장치(10)를 상기 너트(30)를 관통한 나선축(21)에 나선 체결되는 상태로 너트의 외주연에 씌움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씌움부(200)를 너트(30)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구조물(1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지센서(320)가 장착되어 있는 체결관체(520)를 너트(30)를 관통한 나선축(21)에 나선 체결시켜 주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관체를 나선축에 나선 체결시켜 주게 되면, 상기 체결관체의 하단부 외측에 수직의 상태로 갖추어져 있는 지지관체(313)의 하단면이 씌움부(200)의 상면에 접지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체결관체(310)의 하단부 외측에 수평의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브라켓(312)은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고, 체결관체는 단순히 나선축에 나선 체결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관체(310)를 나선축(21)에 계속해서 나선 체결을 수행하게 되면 체결관체는 나선축에 나선 체결되는 관계로 인해 하부로 하향 되면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때 지지관체(313)는 씌움관체(200)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로 접지되어 있어 체결관체(310)가 이동하는 위치만큼 수평의 상태를 갖고 있는 브라켓(312)이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는 상태로 체결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312)의 저면에 갖추어져 있는 감지센서(320)로부터 연결된 전선은 체결관체(310)에 갖추어져 있는 관통구멍(314)을 통해 상부로 인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회로기판(400)이 갖추어져 있는 케이스(510)를 체결관체(310)의 외주연에 씌워주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케이스가 체결관체의 외주연에 씌워진 상태에서 케이스(510)의 일측에 갖추어져 있는 나선공(511)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조임나사(540)를 조여주게 되면 이의 선단면이 체결관체(310)의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갖추어진 보호커버(520)는 지지관체(313)와 씌움부(200)를 덮어준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체결관체(310)가 나선축(21)에 나선 체결되면서 브라켓(312)의 변형률을 감지센서(320)가 체크하여 체크된 수치를 그대로 중계기 및 메인박스에 입력되거나, 체크된 변형률을 "0"으로 맞추어준 상태에서 체크를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을 하다가 구조물(10)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질 경우 나선축(21)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너트(30)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나선축으로부터 너트가 풀리기 이전인 나선축(21)에 너트와는 별도로 나선체결 되어 있는 체결관체(310)와의 축력을 감지하여 이를 미리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즉, 구조물(10)에 너트와 나선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관체(310)에 의해 나선 체결되어 있는 나선축(21)은 양측으로 잡아 당겨주는 힘에 의한 축력이 항상 가해진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기의 체결 축력을 "0"으로 설정한 상태일 경우 감지센서는 상기 "0"의 축력을 감지하고 있다가 외부로부터 인위적인 힘, 예를들어 충격 및 진동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에는 나선축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너트(30)와 체결관체(310)가 미세하게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나선축(21)이 늘어나는 변형이 발생할 경우 변형된 허용공간만큼 강제로 눌려있던 브라켓(312)이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브라켓의 변형을 감지센서(320)가 체크하여 중계기와 메인박스로 송신시켜 메인화면에 수치로 표시하여 주므로서, 관리자가 수시로 육안으로 확인을 하게 되는 것이며, 설정치 이상, 또는 이하의 수치가 측정될 경우 싸이렌 등과 같은 소리의 수단으로 이상이 발생됨을 알려주어 관리자가 수많은 볼트와 너트중 어느 위치에 있는 볼트와 너트의 축력이 변화됨은 손쉽게 확인하여 이를 다시 정상의 상태가 되도록 조임 체결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로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40)를 사용하지 않고, 너트(30)의 저면이 구조물(10)에 직접 접촉되도록 나선축(21)에 너트(30)를 나선 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체결관체(310)내에 무드볼트(50)를 나선 체결시켜 상기 무드볼트(50)가 나선축(21)의 선단면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하여 나선축(21)과 체결관체(31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서는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같이 너트(30)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씌움부(200A)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축력감비부재(300)이 축력을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축력감지부재의 축력을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씌움부(200A)는 내주면이 너트(30)의 외주연에 씌워질 수 있도록 육면의 모양을 갖고 외주연은 나선이 갖추어진 씌움관체(210)를 형성하고, 상기 씌움관체의 외주연과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선이 갖추어지고 상면에 지지관체(313)의 저면이 면접지한 상태에서 승,하강하면서 브라켓(312)의 각도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관체(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관체(310)의 저면은 와셔(40)의 상면에 면접지된 상태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는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씌움부(200A)의 씌움관체(210)와 이의 외주연에 나선 체결되는 승,하강관체(22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한 상태에서 씌움관체(210)가 너트(30)의 외주연에 씌워지도록 하고, 체결관체(310)의 저면이 와셔(40)에 면접지되도록 나선축(21)에 나선 체결시켜 주면 지지관체(313)의 저면이 승,하강관체(220)의 상면에 면접된 상태가 되므로서, 체결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씌움관체(21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선 체결되어 있는 승,하강관체(22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나선에 의해 승,하강관체(220)가 상승함에 따라 이의 상면에 면접지되어 있는 지지관체(313)도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관체(313)와 체결관체(310)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브라켓(312)이 도 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상승하는 경사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312)의 변형됨을 감지센서(320)가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10:구조물 11:관통공
20:볼트 21:나선축
22:머리부 30:너트
100:축력감지장치 200:씌움관체
300:축력감지부재 310:체결관체
312:브라켓 313:지지관체
320:감지센서 400:회로기판
500:덮개부 510:케이스

Claims (7)

  1. 구조물을 볼트의 나선축이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의 나선 체결력에 의해 체결 고정시켜 주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외부에 씌워지는 상태로 나선축에 나선 체결되어 나선축의 축력변화를 측정 감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축력감지장치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의 체결 축력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력감지장치는 너트의 외주연에 씌워지고 하단면이 구조물의 표면에 접하게 되는 씌움부와,
    상기 씌움부의 상면에 하단면이 접한 상태에서 너트가 체결된 나선축에 나선 체결이 이루어지는 축력감지부재와;
    상기 축력감지부재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회로기판을 갖춘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의 체결 축력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력감지부재는 나선축에 나선되도록 나선공을 갖는 체결관체와;
    상기 체결관체의 하단부 외주연에 일체로 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감지센서가 부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외주연 하단부로 연장되어 씌움관체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의 체결 축력감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지지관체가 씌움부에 탄지된 상태에서 체결관체가 나선축에 나선 체결될 때, 강제 체결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의 체결 축력감지장치.
  5. 구조물을 관통한 볼트의 나선축에 나선체결된 너트의 외부에 씌움 결합된 축력감지장치로부터 축력값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단계로부터 측정된 아나로그 방식의 측정값을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디지털방식으로 변환 주고 변환된 측정값을 저장시켜 주는 변환및저장단계와;
    상기 변환및저장단계내에 저장되어 있는 측정값을 데스크탑으로 수신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의 체결출력 측정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씌움부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축력감지부재의 축력을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의 체결 축력감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씌움부는 너트의 외주연에 긴밀하게 씌워지고 외주연에 나선이 갖추어진 씌움관체와;
    상기 씌움관체의 외주연과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선이 갖추어져 회전 위치에 따라 승,하강 하면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의 체결 축력감지장치.
KR1020140114453A 2014-08-29 2014-08-29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63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53A KR101634442B1 (ko) 2014-08-29 2014-08-29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53A KR101634442B1 (ko) 2014-08-29 2014-08-29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78A true KR20160027478A (ko) 2016-03-10
KR101634442B1 KR101634442B1 (ko) 2016-06-29

Family

ID=5553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453A KR101634442B1 (ko) 2014-08-29 2014-08-29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2850A (zh) * 2018-05-17 2018-10-23 山东汉普机械工业有限公司 手提式高强度螺栓轴力检测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772A (ja) * 1983-05-13 1984-11-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ねじの締付け力検出装置
JPH0524197B2 (ko) * 1988-03-23 1993-04-07 Kao Corp
JPH07280677A (ja) * 1994-04-05 1995-10-27 Toyota Motor Corp ボルト軸力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08229841A (ja) * 1994-12-29 1996-09-10 Kuwantai Syst Kk 定軸力ボルト締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4197B2 (ja) * 2004-03-02 2010-08-11 株式会社サンノハシ 軸力検知締結工具、ボルト、ボル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772A (ja) * 1983-05-13 1984-11-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ねじの締付け力検出装置
JPH0524197B2 (ko) * 1988-03-23 1993-04-07 Kao Corp
JPH07280677A (ja) * 1994-04-05 1995-10-27 Toyota Motor Corp ボルト軸力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08229841A (ja) * 1994-12-29 1996-09-10 Kuwantai Syst Kk 定軸力ボルト締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2850A (zh) * 2018-05-17 2018-10-23 山东汉普机械工业有限公司 手提式高强度螺栓轴力检测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442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634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 배선 트레이
KR101537748B1 (ko) 체결상태 감지 볼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JP7412892B2 (ja) ねじ接続を締め付けるための装置
JP2009133822A (ja) インナナットの緩み及び損傷の検知方法とその装置
KR101634442B1 (ko) 볼트,너트의 축력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634443B1 (ko) 볼트의 축력 감지장치
EP3199722A2 (en) Safety anchor
KR20180003793A (ko) 볼트의 축력 감지장치
KR101216775B1 (ko) 볼트, 너트의 풀림확인용 캡
KR20170112075A (ko) 볼트의 축력 감지장치
JP2020020646A (ja) ボルトの緩み検知方法、疲労破壊防止方法、および機械構造体
KR20190136510A (ko) 볼트의 축력 감지장치
JP3144690B2 (ja) 予荷重ボルトの安全装置
CN112018717B (zh) 电缆接头防护装置
KR102140580B1 (ko) 송전 철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09931228B (zh) 用于在风力涡轮机中锚固保持装置的方法以及适配器
KR200465907Y1 (ko) 터빈 케이스용 비계 틀
CN219909098U (zh) 一种基坑位移监测工具
JP2023085656A (ja) ロックボルト用荷重センサ
JP6559474B2 (ja) アンカー部材の検査方法
CN113340510B (zh) 一种高强度螺杆紧固检测方法
CN110436299A (zh) 电梯安全监测装置
CN214748824U (zh) 一种高强度螺杆紧固检测装置
CN102819052B (zh) 一种防盗雨量筒
DK179152B1 (en) Storm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