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307A -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307A
KR20160027307A KR1020140113137A KR20140113137A KR20160027307A KR 20160027307 A KR20160027307 A KR 20160027307A KR 1020140113137 A KR1020140113137 A KR 1020140113137A KR 20140113137 A KR20140113137 A KR 20140113137A KR 20160027307 A KR20160027307 A KR 20160027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hin film
electronic device
me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932B1 (ko
Inventor
김경보
박영준
김무진
김종상
이재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1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932B1/ko
Priority to PCT/KR2015/009058 priority patent/WO2016032277A1/ko
Publication of KR2016002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01L31/046PV modul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solar cells deposited on the sam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전자소자용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확산방지층; 및 상기 확산방지층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홀부와 뼈대부를 포함하는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SUBSTRATE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HIN FILM SOLAR CEL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차세대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수십 년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크게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기판형 태양전지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 자체를 기판으로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고, 박막형 태양전지는 유리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박막의 형태로 반도체를 형성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다. 박막형 태양전지는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다소 떨어지기는 하지만,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고 저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도 1에 일반적인 박막형 태양전지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박막형 태양전지는 전자소자용 기판(100) 상에 금속전극(400), 투명전극(500), 광활성층(600) 및 상부전극(700)을 순차로 형성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박막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부전극으로 입사된 빛이 투명전극(500)에서 가능한 많이 난반사되어 광활성층(600)에 흡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투명전극(500)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에칭하여 투명전극(500)에 조도를 부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에칭 공정은 대부분 진공 증착에 의해 진행되는 태양전지 제조 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바 제조 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폐수 발생 등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지 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속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한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전자소자용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확산방지층; 및 상기 확산방지층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홀부와 뼈대부를 포함하는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전자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확산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확산 방지층 상에 금속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복수의 홀부와 뼈대부를 포함하는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인 박막형 태양전지는, 상술한 전자소자용 기판; 상기 전자소자용 기판 상에 순차로 형성된 금속전극, 투명전극, 광활성층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전극, 투명전극, 광활성층 및 상부전극은 상기 전자소자용 기판에 의해 조도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는 전지의 효율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하나의 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어 경제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박막형 태양전지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용 기판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용 기판의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용 기판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의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용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용 기판(100)은, 기판(10);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확산방지층(20); 및 상기 확산방지층 상에 형성된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32)을 포함한다.
기판(10)은 전자소자용으로 사용되는 기판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리 기판, 금속 기판, 폴리이미드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은 10㎛~1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전자소자용 기판의 박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적절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확산방지층(20)은 기판 상에 형성되며, 후술할 열처리시 기판과 금속 박막 간 물질 이동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나노 네트워크 구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확산방지층(20)은 Mo, Cr, Mo, SiO2, Al2O3 및 Si3N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방지층(20)은 100n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방지층의 두께가 100nm 미만인 경우 열처리시 기판과 금속 박막 간 물질 이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확산방지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기판과 금속 박막 간 물질 이동 억제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확산방지층 두께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전자소자용 기판의 박막화의 측면에서 그 상한을 1000nm로 한정할 수 있다.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32)은 확산방지층(20) 상에 형성되며, 전자소자용 기판에 표면 조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32)은 금속 박막을 이루는 금속 입자들의 자가 조립(Self-Assembly)에 의해 형성된 비정형의 네트워크 형상의 구조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비정형 구조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산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산란의 극대화를 통해 후술할 박막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용 기판(100)의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전자소자용 기판은 스테인리스 스틸(STS 430)을 기판으로 하여, 상기 기판 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Cr층을 100nm 두께로 증착하고, 상기 Cr층 상에 Ag 금속 박막을 50nm 두께로 증착한 후, 2℃/sec의 속도로 600℃까지 승온한 후, 10분간 유지하여 제조된 것이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32)은 복수의 홀부(36)와 뼈대부(34)를 포함하며, 이때, 홀부의 하부에 위치한 확산방지층의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뼈대부(34)는 불규칙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산란 효율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32)을 이루는 금속은 Ag, Au 및 S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소자용 기판을 제조하는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전자소자용 기판의 추가적인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후술하는 전자소자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전자소자용 기판이 반드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한정된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은, 기판(10) 상에 확산 방지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확산 방지층(20) 상에 금속 박막(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박막(30)이 형성된 기판(10)을 열처리하여, 복수의 홀부(36)와 뼈대부(34)를 포함하는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판(10) 상에 확산 방지층(20)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다만, 생산성 향상을 위해 롤-투-롤(Roll-to-Roll) 법에 의한 연속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Sputtering technique) 또는 전자빔 증발법(E-beam evaporation technique)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만약, 스퍼터링에 의해 확산방지층을 형성할 경우, 진공이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확산방지층의 소재로 선택된 금속 소재를 타겟으로 하여 노즐을 통해 고속 분사된 이온화된 아르곤 가스를 충돌시킴으로써, 타겟으로부터 금속 원자를 분출시켜 기판 표면에 증착시키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분사되는 아르곤 가스의 양이나 속도, 공정시간 등을 제어함으로써 형성되는 확산방지층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의 확산방지층(20) 상에 금속 박막(30)을 형성하는 방법 역시 기판 상에 확산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금속 박막(30)의 두께는 30~200nm일 수 있다. 상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후속하는 열처리를 통해 비정형의 네트워크 형상의 구조층을 형성시키기에 유리하며 박막화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금속 박막(30)이 형성된 기판(10)을 열처리하며, 이에 의해 상기 금속 박막(30)은 복수의 홀부(36)와 뼈대부(34)를 포함하는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32)으로 변화된다.
상기 열처리는, 2.5℃/sec 이하의 속도로 350~700℃까지 승온한 후, 10분 이상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열처리시, 승온속도가 2.5℃/sec를 초과하는 경우 급속한 가열에 의해 온도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승온속도가 느릴수록 온도 균일화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승온속도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공정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그 하한을 0.5℃/sec로 한정할 수 있다.
열처리시, 열처리 온도가 350℃ 미만인 경우 낮은 온도로 인해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이 원활히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반면, 700℃를 초과하는 경우 기판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금속 박막에 포함된 금속의 일부가 휘발되어 소실될 우려가 있다.
열처리시, 열처리 시간이 10분 미만인 경우 짧은 처리 시간으로 인해 금속 네트워크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열처리 시간이 길수록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 형성에 유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 시간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공정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그 상한을 60분으로 한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자소자용 기판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박막형 태양전지용 기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용 기판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전자소자용 기판을 적용하는 바람직한 일 예로써, 상술한 전자소자용 기판을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태양전지는, 상술한 전자소자용 기판(100); 상기 전자소자용 기판 상에 순차로 형성된 금속전극(200), 투명전극(300), 광활성층(400) 및 상부전극(5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금속전극(200), 투명전극(300), 광활성층(400) 및 상부전극(500)은 상기 전자소자용 기판(100)에 의해 조도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한다.
즉, 상기 금속전극(200), 투명전극(300), 광활성층(400) 및 상부전극(500)은 상기 전자소자용 기판(100)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표면 조도를 가진다. 따라서, 박막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투명전극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에칭하는 별도의 공정을 요하지 않으므로, 박막형 태양전지를 하나의 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정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기판 20: 확산방지층
30: 금속 박막 32: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
34: 뼈대부 36: 홀부
100: 전자소자용 기판 200: 금속전극
300: 투명전극 400: 광활성층
500: 상부전극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확산방지층; 및
    상기 확산방지층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홀부와 뼈대부를 포함하는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용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금속 기판, 유리 기판 및 폴리이미드 기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전자소자용 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방지층은 Mo, Cr, Mo, SiO2, Al2O3 및 Si3N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소자용 기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방지층의 두께는 100nm 이상인 전자소자용 기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을 이루는 금속은 Ag, Au 및 S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전자소자용 기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뼈대부는 불규칙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자용 기판.
  7. 기판 상에 확산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확산 방지층 상에 금속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복수의 홀부와 뼈대부를 포함하는 금속 네트워크 구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의 두께는 30~200nm인 전자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2.5℃/sec 이하의 속도로 350~700℃까지 승온한 후, 10분 이상 유지하는 것인 전자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소자용 기판;
    상기 전자소자용 기판 상에 순차로 형성된 금속전극, 투명전극, 광활성층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전극, 투명전극, 광활성층 및 상부전극은 상기 전자소자용 기판에 의해 조도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KR1020140113137A 2014-08-28 2014-08-28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KR10163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37A KR101630932B1 (ko) 2014-08-28 2014-08-28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PCT/KR2015/009058 WO2016032277A1 (ko) 2014-08-28 2015-08-28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37A KR101630932B1 (ko) 2014-08-28 2014-08-28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307A true KR20160027307A (ko) 2016-03-10
KR101630932B1 KR101630932B1 (ko) 2016-06-16

Family

ID=5540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137A KR101630932B1 (ko) 2014-08-28 2014-08-28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0932B1 (ko)
WO (1) WO20160322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929A (ko) * 2020-12-23 2022-06-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네트워크 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광검출기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광검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6548B (zh) * 2017-02-24 2019-05-31 湘能华磊光电股份有限公司 Led反射电极及其制作方法
CN115050631A (zh) * 2022-08-15 2022-09-13 合肥晶合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021A (ja) * 2004-06-15 2006-01-05 Nippon Sheet Glass Co Ltd 凹凸薄膜つき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81075B1 (ko) * 2009-06-25 2011-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6197A (ko) * 2011-01-25 2012-08-02 광주과학기술원 다중금속 나노입자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과 다중금속 나노입자가 집적된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72952B1 (ko) * 2009-12-11 2012-08-10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황화나트륨을 이용한 유연 cigss 박막태양전지 제조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435A (ja) * 2002-02-28 2003-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凹凸膜形成方法および光電変換素子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021A (ja) * 2004-06-15 2006-01-05 Nippon Sheet Glass Co Ltd 凹凸薄膜つき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81075B1 (ko) * 2009-06-25 2011-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2952B1 (ko) * 2009-12-11 2012-08-10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황화나트륨을 이용한 유연 cigss 박막태양전지 제조 및 제조방법
KR20120086197A (ko) * 2011-01-25 2012-08-02 광주과학기술원 다중금속 나노입자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과 다중금속 나노입자가 집적된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929A (ko) * 2020-12-23 2022-06-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네트워크 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광검출기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광검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932B1 (ko) 2016-06-16
WO2016032277A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ssler et al. Technological aspects of flexible CIGS solar cells and modules
CN103038895B (zh) 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CN102709402B (zh) 基于图形化金属衬底的薄膜太阳电池及其制作方法
CN107316940A (zh) 具有光调控结构的钙钛矿薄膜及光学器件的制备方法
KR100933193B1 (ko) 박막 제조 장치 및 박막 제조 방법
US201102401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ribing a thin film photovoltaic cell
KR101630932B1 (ko) 전자소자용 기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WO2013190387A3 (en) Nanocrystalline zinc oxide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hydrogen treatment method
CN105742412A (zh) 一种薄膜太阳能电池吸收层碱金属掺入方法
Kaupmees et al. Study of composition reproducibility of electrochemically co-deposited CuInSe2 films onto ITO
Li et al. Improving edge quality and optical transmittance of Ag films on glass substrates by selective nanosecond pulsed laser ablation using various scanning methods
Ringleb et al. Femtosecond laser-assisted fabrication of chalcopyrite micro-concentrator photovoltaics
KR20110092023A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5788B1 (ko) 전자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및 박막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491749B1 (ko) 유기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70440B1 (ko) 박막 제조 장치
KR20120029282A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816999A (zh) 一种硒薄膜沉积方法及系统及其等离子头
KR101306390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0073B1 (ko)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056142A1 (ja) 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
US8500906B2 (en) Device for jetting gas and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410942B1 (ko) 유기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0337133C (zh) 光致发光薄膜及其辐照改性的制备方法
US20140138243A1 (en) In-line deposition system with enhanced adhesion of molybdenum on bottom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