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291A -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291A
KR20160026291A KR1020140114501A KR20140114501A KR20160026291A KR 20160026291 A KR20160026291 A KR 20160026291A KR 1020140114501 A KR1020140114501 A KR 1020140114501A KR 20140114501 A KR20140114501 A KR 20140114501A KR 20160026291 A KR20160026291 A KR 2016002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x
refundable
free oil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643B1 (ko
Inventor
허덕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
Priority to KR102014011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6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는, 화물차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차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운행지리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집처리하는 지피에스모듈;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 상기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을 연산처리하는 운행정보관리프로그램; 화물차에 설치되어, 화물차의 운행정보가 외부로 전송되는 화물차통신모듈;를 포함하는 화물차단말; 주유소단말; 및 주무부서에 설치되며, 상기 주유소단말과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이 갱신ㆍ저장되는 주유이력관리부: 상기 주유이력관리부에 갱신ㆍ저장되어 있는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과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을 연산ㆍ처리하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을 가지는 면세유관리부;를 포함하는 면세유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해당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에 대하여 면세유가 합법적이며 정당하게 지급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MANAGEMENT APPARATUS FOR TAX-FREE OIL FOR FREIGHT VEHICLE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면세유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면세유 수급혜택을 부정하게 누리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 화물차 및 주유기에는 화물차전용단말기 또는 주유기전용단말기를 설치하고, 특히 해당 화물차에는 지피에스장치를 더 구비하여, 각 화물차와 주유소전용장비, 그리고 면세유관리서버간에 와이파이통신을 통하여 확인ㆍ관리함으로써, 해당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에 대하여 면세유가 합법적이며 정당하게 지급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농업피해 보완대책의 하나로 2012년 3월 15일부터 농업용 화물차도 면세유 공급 대상에 포함시켰다.
기존에는 연간 면세유 공급량이 정해져 있고, 사용 기한은 연내 아무때나 정해진 공급량의 한도 내에서 사용량에 상관없이 한번에도 구매가 가능했지만, 변경된 제도에 따르면 월간 사용량이 정해져 있어, 월간 한도량 내에서 면세유 수급혜택을 받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 면세유 카드를 발급받으면 면세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면세유 신청 절차를 간소화 시켰다.
이에 따라, 농산물 및 농기자재 운반, 방제 작업, 퇴비 운송 등 농ㆍ축산물의 생산 활동에 사용되는 화물차에 대하여 면세유 주유혜택이 주어졌다.
더불어, 적발수에 따라 감배정 등 면세유 배정량을 조정하는 등의 면세유 부정수급자에 대한 처벌규정을 확립하여, 면세유 부정수급을 방지하도록 제도를 강화시키기도 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등록특허 제10-1159576호에서는 "유가보조금 대상 차량에게 발급되는 태그 정보에는 유가보조금 지급 차량이라는 고유 인증 번호 정보를 포함하고, 차량에 부착된 RFID-Tag; 주유소에서 주유시, 상기 차량에 부착된 RFID-Tag의 고유 인증 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유가보조금 대상 차량으로 판별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에 부착된 RFID-Tag의 고유 인증 번호, 주유내역, 결제 내역을 전송하는 이동식 RFID 복합 단말기; 상기 이동식 RFID 복합 단말기로부터 유/무선을 통해 상기 차량에 부착된 RFID-Tag의 고유 인증 번호, 상기 주유내역, 상기 결제 내역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유소의 컨트롤 박스 및 사무실 PC에 저장하는 통신 컨트롤러; 및 상기 이동식 RFID 복합 단말기로부터 또는 상기 주유소의 사무실 PC에 저장된 상기 차량에 부착된 RFID-Tag의 고유 인증 번호, 상기 주유내역, 상기 결제 내역을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유가보조금을 대상자들의 지정 계좌 번호로 환급하기 위한 유가보조금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유가보조금 대상 차량을 구분하는 RFID 판독기를 구비한 주유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도 불구하고, 해당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에 대하여 면세유가 합법적이며 정당하게 지급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59576호 (2012. 06. 19. 등록)
본 발명은, 면세유 수급혜택을 부정하게 누리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 화물차 및 주유기에는 화물차전용단말기 또는 주유기전용단말기를 설치하고, 특히 해당 화물차에는 지피에스장치를 더 구비하여, 각 화물차와 주유소전용장비, 그리고 면세유관리서버간에 와이파이통신을 통하여 확인ㆍ관리하고, 더불어 해당 화물차의 실제 운행에 따른 연료소비를 감시ㆍ적용함으로써, 해당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에 대하여 면세유가 합법적이며 정당하게 지급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는, 화물차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차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운행지리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집처리하는 지피에스모듈;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 상기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을 연산처리하는 운행정보관리프로그램; 및 화물차에 설치되어, 화물차의 운행정보가 외부로 전송되는 화물차통신모듈;를 포함하는 화물차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는, 주유기에 설치되며, 상기 화물차로부터 요청된 면세유를 주유하고, 주유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그리고 면세유결제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주유기단말; 및 주유소에 설치되며, 상기 주유기단말로부터 상기 화물차에 주유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그리고 면세유결제데이터를 입력받는 주유기록부; 상기 화물차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주유소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을 입력받아 연산ㆍ처리하는 주유정보관리프로그램을 가지는 주유관리부;를 포함하는 주유소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는, 주무부서에 설치되며, 상기 주유소단말과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이 갱신ㆍ저장되는 주유이력관리부: 및 상기 주유이력관리부에 갱신ㆍ저장되어 있는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과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을 연산ㆍ처리하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을 가지는 면세유관리부;를 포함하는 면세유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세유관리부가 가지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세유관리부가 가지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이 일부 또는 전부 소진된 경우,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세유관리부가 가지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의 부당하게 주유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의 운용방법은, 화물차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화물차가 정당한 면세유 주유대상 차량인지 판단되는 단계; 주유요청된 면세유가 주유되는 단계;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이 연산처리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차의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연산처리된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과 관련되는 면세유 데이터가 면세유관리서버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의 운용방법은, 상기 화물차의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연산처리된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과 관련되는 면세유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부당주유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부당주유 여부가 판단한 결과 부당주유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물차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더라도 주유가능한 면세범위에 해당되는 양만큼만 주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부당주유 여부가 판단한 결과 부당주유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물차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더라도 주유가 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각 화물차 및 주유기에는 화물차단말기 또는 주유기단말기를 설치하고, 특히 해당 화물차에는 지피에스장치를 더 구비하여, 각 화물차와 주유소전용장비, 그리고 면세유관리서버간에 와이파이통신을 통하여 확인ㆍ관리하고, 더불어 해당 화물차의 실제 운행에 따른 연료소비를 감시ㆍ적용함으로써, 해당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에 대하여 면세유가 합법적으로 지급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명의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면세유관리서버의 면세유관리부에 구비되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이 일부 또는 전부 소진된 경우,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주유가능한 양에 해당되는 면세유만이 주유되도록 하여, 면세유가 부당하게 초과지급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화물차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이 일부 또는 전부 소진된 경우, 유가보조금이 초과지급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가보조금 대상 차량을 구분하는 RFID 판독기를 구비한 주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에 따른 특정 화물차의 실제 면세유 사용량이 산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특정 화물차에 대하여 면세유가 부당하게 주유된 것이 확인된 경우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는, 화물차(130a)에 설치되는 화물차단말(130), 주유기(110a)에 설치되는 주유기단말(110); 주유소(120a)에 설치되는 주유소단말(120); 및 주무부서(140a)에 설치되는 면세유관리서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해당 화물차(130a)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에 대하여 면세유가 합법적으로 지급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와 이들의 연결관계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좀더 살펴본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단말(130)은 화물차(130a)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차(130a)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운행지리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집처리하는 지피에스모듈(130d); 상기 화물차(130a)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130c); 상기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130c)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을 연산처리하는 운행정보관리프로그램(130b); 및 화물차(130a)에 설치되어, 화물차(130a)의 운행정보가 외부로 전송되는 화물차통신모듈(130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에 있어서, 주유기단말(110)은 주유기(110a)에 설치되며, 상기 화물차(130a)로부터 요청된 면세유를 주유하고, 주유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그리고 면세유결제데이터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에 있어서, 주유소단말(120)은 주유소(120a)에 설치되며, 상기 주유기단말(110)로부터 상기 화물차(130a)에 주유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그리고 면세유결제데이터를 입력받는 주유기록부(120b); 상기 화물차통신모듈(130e)과 통신하는 주유소통신모듈(120c); 및 상기 화물차(130a)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을 입력받아 연산ㆍ처리하는 주유정보관리프로그램을 가지는 주유관리부(12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에 있어서, 면세유관리서버(140)는 주무부서(140a)에 설치되며, 상기 주유소단말(120)과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화물차(130a)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이 갱신ㆍ저장되는 주유이력관리부(140b): 및 상기 주유이력관리부(140b)에 갱신ㆍ저장되어 있는 상기 화물차(130a)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과 상기 화물차(130a)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을 연산ㆍ처리하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을 가지는 면세유관리부(1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에 따르면, 상기 면세유관리부(140c)가 가지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130a)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12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에 따르면, 상기 면세유관리부(140c)가 가지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130a)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이 일부 또는 전부 소진된 경우,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12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에 따르면, 면세유관리부(140c)가 가지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130a)의 부당하게 주유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120)로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에 따른 특정 화물차의 실제 면세유 사용량이 산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의 상기 화물차단말(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피에스모듈(130d),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130c), 운행정보관리프로그램(130b) 및 화물차통신모듈(130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물차단말(130)이 장착된 화물차(130a)가 운행을 개시하게 되면, 지피에스모듈(130d)에 의하여 상기 화물차(130a)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운행지리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집처리되고, 상기 운행정보와 평균연비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평균연비에 근거한 실제 면세유 사용량이 산정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산정된 상기 평균연비에 근거한 실제 면세유 사용량과 관련한 데이터는, 주유소에 방문하여 면세유 주유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화물차통신모듈(130e)과 통신하는 주유소통신모듈(120c)이 구비되는 해당 주유소의 상기 주유소단말(120)에 전송ㆍ처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의 운용방법은, 화물차(130a)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는 단계(S110); 상기 화물차(130a)가 정당한 면세유 주유대상 차량인지 판단되는 단계(S120); 주유요청된 면세유가 주유되는 단계(S130); 상기 화물차(130a)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이 입력되는 단계(S140); 상기 화물차(130a)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이 연산처리되는 단계(S150); 및 상기 화물차(130a)의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연산처리된 상기 화물차(130a)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과 관련되는 면세유 데이터가 면세유관리서버(140)에 전송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특정 화물차에 대하여 면세유가 부당하게 주유된 것이 확인된 경우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특정 화물차에 대하여 면세유가 부당하게 주유된 것이 확인된 경우의 처리과정은, 상기 화물차(130a)의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연산처리된 상기 화물차(130a)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과 관련되는 면세유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화물차(130a)의 면세유부당주유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210); 상기 화물차(130a)의 면세유부당주유 여부가 판단한 결과 부당주유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물차(130a)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더라도 주유가능한 면세범위에 해당되는 양만큼만 주유되도록 처리되는 단계(S220); 및 상기 화물차(130a)의 면세유부당주유 여부가 판단한 결과 부당주유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물차(130a)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더라도 주유가 거절되도록 처리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화물차(130a)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면, 주유소단말(120)의 상기 주유관리부(120d)는 상기 화물차통신모듈(130e)과 통신하는 주유소통신모듈(120c)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화물차(130a)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을 입력받아 연산ㆍ처리하고, 그리고 연산처리된 상기 화물차(130a)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을 비교ㆍ처리하여, 주유요청된 면세유의 주유를 허락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만약, 주유소단말(120)의 상기 주유관리부(120d)가 판단한 결과, 정당한 면세유 주유요청인 경우에는, 주유가 허락되어 면세유의 주유가 이루어 진다.
반면, 주유소단말(120)의 상기 주유관리부(120d)가 판단한 결과, 주유요청된 면세유에 대하여 면세혜택이 일부만 남아있는 경우에는 면세범위에 해당되는 양만큼만 주유되도록 처리하고, 해당 화물차(130a)가 이미 해당 면세혜택에 해당되는 면세유를 전량 주유한 경우에는 화물차(130a)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더라도 주유가 거절되도록 처리된다.
이때에는, 상기 화물차(130a) 운전자는, 면세유 혜택이 아닌 일반 주유비를 지불하고 주유를 받을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각 화물차(130a) 및 주유기(110a)에는 화물차단말기(130) 또는 주유기단말기(110)를 설치하고, 특히 해당 화물차(130a)에는 지피에스장치를 더 구비하여, 각 화물차(130a)와 주유소전용장비, 그리고 면세유관리서버(140)간에 와이파이통신을 통하여 확인ㆍ관리하고, 더불어 해당 화물차(130a)의 실제 운행에 따른 연료소비를 감시ㆍ적용함으로써, 해당 화물차(130a)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에 대하여 면세유가 합법적으로 지급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명의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면세유관리서버(140)의 면세유관리부(140c)에 구비되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130a)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이 일부 또는 전부 소진된 경우,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120)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주유가능한 양에 해당되는 면세유만이 주유되도록 하여, 면세유가 부당하게 초과지급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100)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화물차(130a)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이 일부 또는 전부 소진된 경우, 유가보조금이 초과지급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110 : 주유기단말 110a : 주유기
120 : 주유소단말 120a : 주유소
120b : 주유기록부 120c : 주유소통신모듈
120d : 주유관리부 130 : 화물차단말
130a : 화물차 130b : 운행정보관리프로그램
130c :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 130d : 지피에스모듈
130e : 화물차통신모듈 140 : 면세유관리서버
140a : 주무부서 140b : 주유이력관리부
140c : 면세유관리부

Claims (10)

  1. 화물차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차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운행지리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집처리하는 지피에스모듈;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
    상기 운행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을 연산처리하는 운행정보관리프로그램; 및
    화물차에 설치되어, 화물차의 운행정보가 외부로 전송되는 화물차통신모듈;를 포함하는 화물차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주유기에 설치되며, 상기 화물차로부터 요청된 면세유를 주유하고, 주유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그리고 면세유결제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주유기단말; 및
    주유소에 설치되며, 상기 주유기단말로부터 상기 화물차에 주유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그리고 면세유결제데이터를 입력받는 주유기록부;
    상기 화물차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주유소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을 입력받아 연산ㆍ처리하는 주유정보관리프로그램을 가지는 주유관리부;를 포함하는 주유소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주무부서에 설치되며, 상기 주유소단말과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이 갱신ㆍ저장되는 주유이력관리부: 및
    상기 주유이력관리부에 갱신ㆍ저장되어 있는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과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을 연산ㆍ처리하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을 가지는 면세유관리부;를 포함하는 면세유관리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면세유관리부가 가지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면세유관리부가 가지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의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이 일부 또는 전부 소진된 경우, 주유가능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면세유관리부가 가지는 면세유관리프로그램의 연산ㆍ처리결과, 상기 화물차의 부당하게 주유된 면세유 주유량 데이터 및 유가보조금환급데이터가 상기 주유소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7. 화물차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화물차가 정당한 면세유 주유대상 차량인지 판단되는 단계;
    주유요청된 면세유가 주유되는 단계;
    상기 화물차의 운행정보, 연비,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이 연산처리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차의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연산처리된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과 관련되는 면세유 데이터가 면세유관리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의 이전의 누적면세유주유내역, 당해 면세유주유내역, 그리고 연산처리된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 실제 사용량과 관련되는 면세유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부당주유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부당주유 여부가 판단한 결과 부당주유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물차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더라도 주유가능한 면세범위에 해당되는 양만큼만 주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의 면세유부당주유 여부가 판단한 결과 부당주유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물차로부터 면세유 주유요청이 입력되더라도 주유가 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방법.
KR1020140114501A 2014-08-29 2014-08-29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69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01A KR101691643B1 (ko) 2014-08-29 2014-08-29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01A KR101691643B1 (ko) 2014-08-29 2014-08-29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291A true KR20160026291A (ko) 2016-03-09
KR101691643B1 KR101691643B1 (ko) 2017-01-02

Family

ID=5553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501A KR101691643B1 (ko) 2014-08-29 2014-08-29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641A (ko) * 2018-05-23 2019-12-03 우주피엔씨(주) 부정 수급을 방지하는 주유 결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394A (ko) * 2007-10-09 2009-04-14 남맹순 면세유 부정유통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70905A (ko) * 2012-11-29 2014-06-11 오영미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유가보조금 부정수급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2776A (ko) * 2012-12-04 2014-06-13 박재덕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394A (ko) * 2007-10-09 2009-04-14 남맹순 면세유 부정유통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70905A (ko) * 2012-11-29 2014-06-11 오영미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유가보조금 부정수급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2776A (ko) * 2012-12-04 2014-06-13 박재덕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641A (ko) * 2018-05-23 2019-12-03 우주피엔씨(주) 부정 수급을 방지하는 주유 결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643B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38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a fuel card usage exception
US201001916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ment, Collection, and Disbursement of Funds Related to Motor Vehicles
KR101585115B1 (ko)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CA2345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a vehicle rental process
US10121145B2 (en) Electronic registration for securely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JP2023126301A (ja) 保険料設定サーバ、保険料設定方法、保険料設定プログラム
US20190019114A1 (en) Remote vehicle access and multi-application program for car-sharing
KR20180048187A (ko) 자동차보험사지정정비업체네트워크시스템
KR100750684B1 (ko) 차량 유가 보조금 지급 관리방법 및 시스템
Dziubak et al. Selection of vehicles for fleet of transport company on the basis of observation of their operational reliability
KR101691643B1 (ko) 화물차의 면세유 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09978466A (zh) 一种车货匹配抢单方法及系统
CA2838105C (en) System and methods for vehicle information-based fuel purchasing
KR101694230B1 (ko) 운송차량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US201601405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Collecting Taxes for Motor Vehicle Fuel at the Point of Sale
CN113724025B (zh) Etc发票信息处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1689022B1 (ko) 유가보조금관리기를 이용한 유가보조금 부정수급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A3053765A1 (en) Cost per mile calculation system
De Next-Gen business models for the automotive industry for connected cars and services
KR20140078042A (ko) 연료금액 또는 연료량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단말기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KR20200012125A (ko) 화물용 차량의 유가보조금 부정 수급 방지 방법
KR20150029932A (ko) 자동차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2368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fleet management
KR101644009B1 (ko)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KR102436869B1 (ko) 자동차 차종별 제원정보 맵핑 연동형 정비 및 부품 견적 자동산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