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535A -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535A
KR20160025535A KR1020160008818A KR20160008818A KR20160025535A KR 20160025535 A KR20160025535 A KR 20160025535A KR 1020160008818 A KR1020160008818 A KR 1020160008818A KR 20160008818 A KR20160008818 A KR 20160008818A KR 20160025535 A KR20160025535 A KR 20160025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haring
car
vehicle
shar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587B1 (ko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대보렌터카(주)
(주)이지원카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국농식품6차산업 사업단
주식회사 티비씨
주식회사 다날쏘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대보렌터카(주), (주)이지원카,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국농식품6차산업 사업단, 주식회사 티비씨, 주식회사 다날쏘시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Priority to KR1020160008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5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94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2P(peer-to-peer) 카 쉐어링(car sharing)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카 쉐어링 을 위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pick-up)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등록하는 차량 등록자 단말; 상기 등록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등록 사항을 참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송신하는 차량 이용자 단말; 상기 차량 등록자 단말로부터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등록받아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상기 차량 이용자 단말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카 쉐어링 서버를 구성한다. 상술한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카 쉐어링 상품을 생성하여 P2P(peer-to-peer) 또는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판매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카 쉐어링 상품에 편리하게 접근하여 구매하고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PEER-TO-PEER CAR SHAR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P2P(peer-to-peer) 카 쉐어링(car sharing)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 쉐어링(car sharing)은 타인의 차량을 필요한 때에 사용하고 사용한만큼의 정산을 하는 사업 모델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143485는 카 쉐어링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카 쉐어링은 주거지나 비즈니스 타운(business town), 기차역, 지하철역 등에서 가까운 거리의 타인에게 차량을 빌려주고 또한 빌려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거지에서는 주변 사용자의 카 쉐어링 차량을 빌려 일정 시간 동안 쇼핑몰을 가거나 출퇴근에만 이용하거나 또는 잠시 외출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비즈니스 타운에서는 출퇴근 시간 이외의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근처의 다른 사용자의 출장이나 외출을 위해 자신의 차량을 카 쉐어링 차량에 등록하여 대여하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 쉐어링은 자차의 유휴 시간대에 주변 사용자들에게 자차를 대여하고, 주변 사용자들은 짧은 시간 동안 차를 빌려 용무를 보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카 쉐어링은 차량 소유 감소로 인해 주차난을 해소하고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된다.
카 쉐어링 차량 1대당 대략 3-20대까지의 자가용 차량을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카 쉐어링 방식은 주로 주거지나 비즈니스 타운의 특정 주차장이나 별도의 공간을 통해서 카 쉐어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 쉐어링을 통해 차량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카 쉐어링을 위한 미리 정해진 장소로 찾아가 차량을 빌려 사용하고 또한 그 장소에 반납을 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여 카 쉐어링 장소까지 가야 하며,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이동 시간이나 이동 방식 자체가 매우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하는 이유는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동하고 용무를 보기 위함이지만, 카 쉐어링 차량을 픽업(pick-up)하거나 반납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과 기회 비용의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카 쉐어링의 장벽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10-2014-0143485
본 발명의 목적은 P2P 카 쉐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2P 카 쉐어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P2P 카 쉐어링 시스템은, 카 쉐어링(car sharing)을 위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pick-up)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등록하는 차량 등록자 단말; 상기 등록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등록 사항을 참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송신하는 차량 이용자 단말; 상기 차량 등록자 단말로부터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등록받아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상기 차량 이용자 단말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카 쉐어링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 쉐어링 서버는, 상기 등록된 카 쉐어링 등록 사항 및 상기 수신된 카 쉐어링 이용 신청에 따른 카 쉐어링 상품을 실시간 생성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판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이용자 단말은, SNS 상에서 상기 카 쉐어링 상품을 검색하여 해당 SNS 서버를 통해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P2P 카 쉐어링 방법은, 차량 등록자 단말이 카 쉐어링을 위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pick-up)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카 쉐어링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등록된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 차량 이용자 단말이 상기 온라인상에 게시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등록 사항을 참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생성하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 쉐어링 서버이 상기 등록된 카 쉐어링 등록 사항 및 상기 수신된 카 쉐어링 이용 신청에 따른 카 쉐어링 상품을 실시간 생성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판매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이용자 단말이 SNS 상에서 상기 카 쉐어링 상품을 검색하여 해당 SNS 서버를 통해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카 쉐어링 상품을 생성하여 P2P 방식, 그 이외 에도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판매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카 쉐어링 상품에 편리하게 접근하여 구매하고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SNS의 지역별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해당 커뮤니티 내에서 카 쉐어링 상품을 검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접근성이 편리한 카 쉐어링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카 쉐어링 상품에서는 카 쉐어링 차량의 이전 이용자의 이용 종료 장소와 이용 종료 시각이 지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카 쉐어링 상품을 구매하는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차량 픽업 장소와 차량 픽업 시각에 따라 카 쉐어링 상품을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카 쉐어링 상품은 굳이 카 쉐어링을 위한 별도의 주차장이나 공간에 반납하지 않아도 각각의 카 쉐어링 이용자들이 서로서로 카 쉐어링 차량을 넘겨주고 넘겨받으면서 효율적인 카 쉐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카 쉐어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카 쉐어링 시스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카 쉐어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카 쉐어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peer-to-peer) 카 쉐어링(car sharing) 시스템(100)은 차량 등록자 단말(110), 차량 이용자 단말(120) 및 카 쉐어링 서버(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2P 카 쉐어링(car sharing) 시스템(100)은 카 쉐어링 서버(130)가 직접 제공하는 웹 사이트(web site)는 물론 소셜 커머스(Social Commnerce)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카 쉐어링 상품을 판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을 위한 SNS 지역 커뮤니티(Community)를 통해 보다 많은 SNS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P2P 카 쉐어링 시스템(100)은 별도의 카 쉐어링 주차장이나 카 쉐어링 공간을 구비하지 않아도 카 쉐어링 이용자들 상호간의 픽업(pick-up) 장소와 반납 장소를 서로 연결짓도록 구성됨으로써, 카 쉐어링의 픽업과 반납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카 쉐어링을 위한 차량의 픽업과 반납의 과정과 경비, 비용, 시간, 기회 비용이 불필요하게 소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2P 카 쉐어링 시스템(100)은 카 쉐어링 이용자들 상호 간의 장소와 반납 장소를 서로 연결짓는 과정에서 P2P(peer-to-peer) 방식으로 대여하고 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2P 방식 이외에도 소셜 커머스 판매 방식으로도 카 쉐어링 상품을 서로 판매하고 구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 등록자 단말(110)은 카 쉐어링(car sharing) 위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pick-up)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카 쉐어링 서버(130)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 쉐어링 시간은 차량 등록자가 자신의 차량을 카 쉐어링을 위해 대여할 수 있는 시간대, 요일, 날짜 등을 의미한다. 차량 등록자 단말(110)은 월별, 요일별, 날짜별, 시간대별로 미리 카 쉐어링 시간을 지정하고 해당 카 쉐어링 시간마다 차량 픽업 장소도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카 쉐어링 시간이 8시간이라고 할 때, 마지막 반납 장소는 차량 등록자가 처음 차량을 대여한 장소이거나 또는 차량 등록자가 원하는 미리 지정된 장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등록자가 화요일 오전 10시마다 역삼역 1번 출구 근처 빌딩에서 차량 대여가 가능한 경우, 8시간 후인 오후 6시에는 그와 동일한 역삼역 1번 출구 근처 빌딩이 될 수 있다. 만약 차량 등록자가 화요일 오후 6시마다 출장지가 잠실역인 경우에는 그 반납 장소는 잠실역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이용자 단말(120)은 카 쉐어링 서버(130)에 등록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등록 사항을 참조하여 차량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카 쉐어링 서버(1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이용자는 자신에게 차량이 필요한 시간대에 자신의 그 시간대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할 수 있다.
이전 차량 이용자의 카 쉐어링이 차량 등록자가 있는 역삼역 1번 출구 근처 빌딩에서 시작되고 석촌 호수에서 종료되는 경우, 다음 차량 이용자는 석촌 호수에서 차량을 넘겨받아 역삼역 1번 출구 근처 빌딩에서 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픽업과 반납의 연결 고리는 여러 차량 이용자들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카 쉐어링 서버(130)는 카 쉐어링을 위해 차량 등록자와 차량 이용자의 회원 가입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서버(130)는 SNS 서버(10)를 통해 카 쉐어링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회원 가입없이 SNS 회원 정보를 활용하여 카 쉐어링 상품을 판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셜 커머스를 통해 카 쉐어링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소셜 커머스 회원 정보를 활용하면 되므로 별도의 회원 가입없이도 할 수 있다.
카 쉐어링 서버(130)는 먼저 차량 등록자 단말(110)로부터 카 쉐어링을 위한 차량, 카 쉐어링 가능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등록받아 온라인상에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이용자는 차량 이용자 단말(120)상에서 카 쉐어링 서버(130)에 접속하여 온라인상에 게시된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검색하고 조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이용자 단말(120)은 등록 사항을 디스플레이하고, 차량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생성하여 카 쉐어링 서버(1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서버(130)는 차량 이용자 단말(120)로부터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그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카 쉐어링 서버(130)는 카 쉐어링 서버(130)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웹 사이트뿐만 아니라 SNS 서버(10)나 소셜 커머스 서버(20)를 통해서 카 쉐어링 상품을 판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상품은 카 쉐어링 등록 사항 및 카 쉐어링 이용 신청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카 쉐어링 서버(130)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 및 카 쉐어링 이용 신청, 그리고 그 허용에 의한 현재 카 쉐어링 상태 등에 따라 카 쉐어링 상품을 자동으로 실시간 생성하고 이를 자체 웹 사이트, SNS, 소셜 커머스 등을 통해 판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 쉐어링 서버(130)는 앞선 예시와 같이 등록 사항에 따라 역삼역 1번 출구 빌딩에서 오전 10시부터 8시간 동안 카 쉐어링이 가능하다는 카 쉐어링 상품을 생성하여 자체 웹 사이트, SNS, 소셜 커머스를 통해 게시하고 판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차량 이용자 단말(120)이 P2P(peer-topeer) 통신, 웹 사이트, SNS, 소셜 커머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픽업 장소 역삼역 1번 출구 빌딩, 반납 장소 광화문, 2시간의 이용 시간으로 구성되는 이용 신청을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카 쉐어링 서버(130)는 그 이용을 허용하여 게시할 수 있다. 이때, 카 쉐어링 서버(130)는 오후 12시부터 6시간 동안 이용 가능, 픽업 장소 광화문, 그리고 최종 반납 장소 역삼역 1번 출구 빌딩, 최종 반납 시간 오후 6시로 구성되는 카 쉐어링 상품을 자동으로 실시간 생성하여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간 생성되는 카 쉐어링 상품을 보고 다른 차량 이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루트(route)와 시간대의 카 쉐어링 상품을 구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종 반납은 오후 6시에 역삼역 1번 출구 빌딩에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카 쉐어링 상품의 구매하는 차량 이용자는 최종 반납을 위한 반납 소요 거리를 참조하여 너무 먼거리의 장소로 이용하는 것은 제한되어야 한다. 이에, 카 쉐어링 서버(130)는 카 쉐어링 상품을 구매하는 차량 이용자가 춘천과 같이 너무 먼 곳에 중간 반납을 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에, 카 쉐어링 서버(130)는 내비게이션(navigation)상에서 최종 반납을 위한 소요 시간을 미리 고려하여 춘천에 중간 반납을 하는 차량 이용자의 상품 구매는 자동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 쉐어링 서버(130)는 이러한 최종 반납 장소와 최종 반납 소요 거리 등을 고려하여 카 쉐어링 상품의 판매를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카 쉐어링 상품이 P2P 방식으로 온라인상에 게시될 때, 역삼역 1번 출구 빌딩이 시작점이고 종료점이라고 볼 때, 역삼역에서 혜화동으로 차량이 이동한 후에는 항상, 혜화동에서 역삼역으로 게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혜화동에서 역삼역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혜화동에서 역삼동으로 이동하도록 온라인상에서 게시된 여러 차량 중에서 하나를 골라서 타게 된다. 만약 루트가 복잡하게 여러 지점을 거쳐 역삼역으로 최종적으로 돌아오는 경우에는 그 루트가 제대로 성립되지 않아 차량이 역삼역으로 오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카 쉐어링 상품을 하루전이나 이틀전에 미리 예약하여 하나의 루트를 형성한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역삼역-혜화동-홍제동-목동-역삼역과 같은 루트가 미리 하루 전에 성립되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이용자 단말(120)이 이용하고자 하는 카 쉐어링 상품에 대한 검색 조건을 미리 설정해 놓으면, 카 쉐어링 서버(130)는 해당 조건에 맞는 카 쉐어링 상품을 검색하여 푸시(push) 알람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알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NS 서버(10)나 소셜 커머스 서버(20) 역시 해당 카 쉐어링 상품을 SNS 메시지 또는 푸시 알람을 통해 차량 이용자 단말(1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이용자 단말(120)에서 카 쉐어링 상품에 대한 검색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검색 조건은 차량 픽업 장소, 차량 반납 장소, 차량 이용 시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 이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차량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한 위치가 될 수도 있다.
SNS를 이용한 상품의 판매의 경우에는 해당 차량 이용자 단말(120)끼리 SNS 대화를 통해 상호 간의 반납 장소나 픽업 장소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 이용자 단말(120)에서 조정된 내용을 카 쉐어링 서버(130)에 업로드하면 카 쉐어링 서버(130)는 이를 반영하여 카 쉐어링 상품을 정정하여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2P 카 쉐어링 시스템(100)은 이용자들간에 서로서로 중간 반납과 중간 픽업을 통해 그 이용이 연결됨으로써 별도의 카 쉐어링을 위한 전용 주차장이나 반납 장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이용자들간에 카 쉐어링 차량의 인도가 이루어지면, 이를 인수한 이용자는 차량 이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카 쉐어링 서버(130)에 차량 인수를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차량에 부착된 블랙박스(blackbox) 단말은 해당 영상을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카 쉐어링 서버(130) 또는 차량 등록자 단말(11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차량에 손상이 가해진 경우에는, 카 쉐어링 차량의 인수자와 해당 블랙박스 영상을 통해 책임을 물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카 쉐어링 시스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는 차량 이용자 단말(120)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상에서 카 쉐어링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여 예약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카 쉐어링 서버(130)가 제공하는 카 쉐어링 상품의 구매 정보 내지는 예약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4는 차량 이용자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순으로 이용 가능한 차량이 표시되는 화면이다. 차량 이용자의 현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를 기준으로 조회하는 경우에는 다른 위치를 직접 입력하여 조회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카 쉐어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등록자 단말(110)이 카 쉐어링을 위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pick-up)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카 쉐어링 서버(130)에 등록한다(S101).
다음으로, 카 쉐어링 서버(130)가 등록된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온라인상에 게시한다(S102).
다음으로, 차량 이용자 단말(120)이 온라인상에 게시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등록 사항을 참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생성하고 카 쉐어링 서버(130)로 송신한다(S103).
다음으로, 카 쉐어링 서버(130)가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한다(S104).
다음으로, 카 쉐어링 서버(130)가 등록된 카 쉐어링 등록 사항 및 수신된 카 쉐어링 이용 신청에 따른 카 쉐어링 상품을 실시간 생성하여 P2P(peer-to-peer)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판매한다(S105).
다음으로, 차량 이용자 단말(120)이 SNS 상에서 카 쉐어링 상품을 검색하여 P2P 또는 해당 SNS 서버(10)를 통해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카 쉐어링 서버(130)로 송신한다(S106).
다음으로, 카 쉐어링 서버(130)가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한다(S107).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차량 등록자 단말
120: 차량 이용자 단말
130: 카 쉐어링 서버

Claims (4)

  1. 카 쉐어링(car sharing) 위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pick-up)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등록하는 차량 등록자 단말;
    상기 등록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등록 사항을 참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송신하는 차량 이용자 단말;
    상기 차량 등록자 단말로부터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등록받아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상기 차량 이용자 단말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카 쉐어링 서버를 포함하는 P2P(peer-to-peer) 카 쉐어링(car sharing)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쉐어링 서버는,
    상기 등록된 카 쉐어링 등록 사항 및 상기 수신된 카 쉐어링 이용 신청에 따른 카 쉐어링 상품을 실시간 생성하여 P2P(peer-to-peer)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판매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 이용자 단말은,
    SNS 상에서 상기 카 쉐어링 상품을 검색하여 P2P 또는 해당 SNS 서버를 통해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카 쉐어링 시스템.
  3. 차량 등록자 단말이 카 쉐어링을 위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pick-up)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카 쉐어링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등록된 카 쉐어링 등록 사항을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
    차량 이용자 단말이 상기 온라인상에 게시된 차량, 카 쉐어링 시간 및 차량 픽업 장소를 포함하는 등록 사항을 참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생성하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차량 픽업 장소 및 차량 이용 종료 장소를 포함하는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2P(peer-to-peer) 카 쉐어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 쉐어링 서버이 상기 등록된 카 쉐어링 등록 사항 및 상기 수신된 카 쉐어링 이용 신청에 따른 카 쉐어링 상품을 실시간 생성하여 P2P(peer-to-peer)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판매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이용자 단말이 SNS 상에서 상기 카 쉐어링 상품을 검색하여 P2P 또는 해당 SNS 서버를 통해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카 쉐어링 이용 신청을 수신하여 차량 이용을 허용하고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카 쉐어링 방법.
KR1020160008818A 2016-01-25 2016-01-25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84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18A KR101784587B1 (ko) 2016-01-25 2016-01-25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18A KR101784587B1 (ko) 2016-01-25 2016-01-25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535A true KR20160025535A (ko) 2016-03-08
KR101784587B1 KR101784587B1 (ko) 2017-10-12

Family

ID=5553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818A KR101784587B1 (ko) 2016-01-25 2016-01-25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764A (ko) * 2016-04-29 2017-1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시분할 등기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65319A (ko) * 2016-12-07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유 차량의 위치 기반 p2p 카 쉐어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p2p 매칭 처리 서버
CN110634039A (zh) * 2018-06-21 2019-12-31 北京宝沃汽车有限公司 共享车辆后备箱的方法、系统、服务器和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19A (ko) 2018-11-26 2020-06-04 (주)대한솔루션 공유 차량용 실내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485A (ko) 2013-06-05 2014-12-17 주식회사 웨이브엠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8697A1 (ja) * 2012-10-31 2014-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ーレンタル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485A (ko) 2013-06-05 2014-12-17 주식회사 웨이브엠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764A (ko) * 2016-04-29 2017-1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시분할 등기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65319A (ko) * 2016-12-07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유 차량의 위치 기반 p2p 카 쉐어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p2p 매칭 처리 서버
CN110634039A (zh) * 2018-06-21 2019-12-31 北京宝沃汽车有限公司 共享车辆后备箱的方法、系统、服务器和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587B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5466B2 (en) Route community objects with price-time priority queues for transformed transportation units
US20190271553A1 (en) Navigation routes as community object virtual hub sequences to which users may subscribe
Agatz et al. Optimization for dynamic ride-sharing: A review
US20210374858A1 (en) Transportation and Freight Capacity Units
US20190333166A1 (en) Renewable energy community objects with price-time priority queues for transformed renewable energy units
US20190333181A1 (en) Parking community objects with price-time priority queues for transformed parking units
US20150227890A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smart device apps supporting segmented order distributed distribution system
JP2018081685A (ja) 配送管理システム
US20210042872A1 (en) Price Time Priority Queue Routing for Transportation Capacity Units
KR101784587B1 (ko) P2p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US11790382B2 (en) Method to transmit geolocation exchange based markets
US201400400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quisition and Delivery of Goods
KR101980689B1 (ko) 배송 중개서비스를 위한 역경매 기반 배송비 산정 방법
US11823090B2 (en) Transportation and freight and parking and tolling and curb capacity unit IPO method and system
JP2019114232A (ja) 宅配方法
US20210041258A1 (en) Curb Community Objects with Price-Time Priority Queues for Transformed Curb Capacity Units
WO2021239065A1 (zh) 一种业务推荐方法及系统
US20180075407A1 (en) Peer to peer delivery of goods within ones general neighborhood or en route from a place of purchase or site of distribution to their residence or place of work for a fee
Masoud et al. Formulations for optimal shared ownership and use of autonomous or driverless vehicles
US20080021756A1 (en) Integrated supply chain business model and website for free auto rental
KR20190009529A (ko) C2c 렌탈 시스템 및 방법
JP6789608B2 (ja) 広告出稿システム、広告出稿プログラム、サーバおよび広告出稿方法
JP649497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KR101288442B1 (ko) 위치기반 쿠폰 제공시스템
KR20150071803A (ko) 양방향 실시간 할인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