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356A -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356A
KR20160025356A KR1020140112522A KR20140112522A KR20160025356A KR 20160025356 A KR20160025356 A KR 20160025356A KR 1020140112522 A KR1020140112522 A KR 1020140112522A KR 20140112522 A KR20140112522 A KR 20140112522A KR 20160025356 A KR20160025356 A KR 20160025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ewage
trap
hole
drain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형
고훈철
강성운
Original Assignee
이민형
고훈철
강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형, 고훈철, 강성운 filed Critical 이민형
Priority to KR102014011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5356A/ko
Publication of KR2016002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트랩에 있어서, 배수관에 설치되는 배수트랩 본체, 배수트랩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배수트랩 본체가 배수관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하수배출구멍이 형성되고, 하수배출구멍과 타측에는 하수유입구멍이 형성되며, 하수배출구멍과 상기 하수유입구멍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폐쇄되어 있는 하수통, 하수통 내부에 수용되며, 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수배출구멍과 상기 하수유입구멍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부유성 물질로 이루어진 개폐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Drain trap with a sewage container}
본 발명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 트랩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을 통하는 하수나 악취는 하수관에서 집안으로 역류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경우 벨 트랩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벨 트랩 구조는 물이 증발하거나 물이 소량만 있는 경우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배수트랩 내부에 고여 있는 물이 없어도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은, 배수관에 설치되는 배수트랩 본체, 상기 배수트랩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트랩 본체가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하수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수배출구멍과 타측에는 하수유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하수배출구멍과 상기 하수유입구멍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폐쇄되어 있는 하수통, 상기 하수통 내부에 수용되며, 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수배출구멍과 상기 하수유입구멍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부유성 물질로 이루어진 개폐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 본체와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배수트랩 본체 일측의 개방되어 있는 부분을 덮으며, 종 모양의 트랩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벨 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은 배수트랩 안에 고여 있는 하수가 없거나 부족한 상황에서도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벨 트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벨 트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100)의 분해도이다.
도 2와 도3을 참조하면,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100)은 종래의 벨트랩 구조와 더불어 배수트랩 본체(3) 내부에 하수통(4)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수통(4)은 하수배출구멍(43)과 하수유입구멍(42)을 포함하고 있고, 하수배출구멍(43)과 하수유입구멍(42)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폐쇄되어 있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수가 배수트랩(100)으로 유입되면 하수유입구멍(42) 높이보다 높아질 때까지 배수트랩 본체(3) 내부 빈 공간(31)에 물이 고이다가, 그 높이를 넘으면 하수가 하수통(4) 내부로 유입되어 하수배출구멍(43)을 통해 배수트랩(100)과 연결된 외부의 배수관으로 배출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100)은 스크린(1)과 스크린(1) 하부에 종모양의 형상을 가진 벨 트랩(2)을 포함하는 기존의 벨 트랩 구조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어, 하수통(4)과 함께 2중의 트랩 구조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100)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수트랩 본체의 빈 공간(31)에 고여 있는 하수의 높이가 하수배출구멍(43)보다 낮고 벨 트랩(2)의 끝단 보다 높은 경우, 하수가 외부의 하수관으로 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막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벨 트랩 구조는 배수트랩 본체의 빈 공간(31)에 고여있는 하수가 증발하여 벨 트랩(2) 끝단 보다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악취가 새어나오게 된다.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100)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하수통(4)과 개폐볼(5)을 포함하고 있다.
개폐볼(5)은 하수통(4) 내부의 빈 공간(41)에 수용되며, 구 형상을 가지며, 하수배출구멍(43)과 하수유입구멍(42)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부유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수통(4)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면 개폐볼(5)이 부유하여, 하수가 하수배출구멍(43)으로 배출되게 된다. 반면에 하수통(4)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모두 배출되고 나면 개폐볼(5)은 가라앉게 되고,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해 하수배출구멍(43)을 막아 외부의 배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막을 수 있다.
하수배출구멍(43)은 개폐볼(5)이 가라앉으면 빈공간 없이 완전히 막을 수 있도록 개폐볼(5)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하수통(4)과 하수통(4) 내부의 개폐볼(5)을 활용하면, 종래의 벨 트랩과 달리 배수트랩 본체의 빈 공간(31)에 고여 있는 하수가 증발하여 하수가 없거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개폐볼(5)이 외부의 배수관으로 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뿐만아니라, 종래의 벨 트랩(2)을 함께 2중으로 활용할 수 있어 악취를 차단하는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100 :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1 : 스크린
2 : 벨 트랩
3 :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본체
4 : 하수통
5 : 개폐볼
31 : 배수트랩의 빈 공간
41 : 하수통의 빈 공간
42 : 하수유입구멍
43 : 하수배출구멍

Claims (2)

  1. 배수관에 설치되는 배수트랩 본체;
    상기 배수트랩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트랩 본체가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하수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수배출구멍과 타측에는 하수유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하수배출구멍과 상기 하수유입구멍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폐쇄되어 있는 하수통; 및
    상기 하수통 내부에 수용되며, 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수배출구멍과 상기 하수유입구멍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부유성 물질로 이루어진 개폐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 본체와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배수트랩 본체 일측의 개방되어 있는 부분을 덮으며, 종 모양의 트랩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벨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1020140112522A 2014-08-27 2014-08-27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KR20160025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22A KR20160025356A (ko) 2014-08-27 2014-08-27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22A KR20160025356A (ko) 2014-08-27 2014-08-27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56A true KR20160025356A (ko) 2016-03-08

Family

ID=5553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522A KR20160025356A (ko) 2014-08-27 2014-08-27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53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7205B2 (ja) 排水トラップ
JP4849664B2 (ja) 排水トラップ
JP2007332624A (ja) 排水トラップ
KR20160025356A (ko) 하수통을 갖는 배수트랩
TWI553196B (zh) 防止排水逆流之落水頭
JP2019218736A (ja) 防臭ワン
KR200437874Y1 (ko) 배수점검구
JP2016037767A (ja) 排水トラップ
JP6326578B2 (ja) 排水部材
JP4417280B2 (ja) 排水ドレン設備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JP2005232936A (ja) 排水トラップ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101053435B1 (ko) 건식 싱크대 배수전
KR20160081050A (ko) 플로우트 볼을 갖는 일자형 배수트랩 및 이를 구비한 싱크대
KR100712963B1 (ko) 배수관용 소음 및 역유입 방지장치
JP6805423B2 (ja) 排水装置
KR101101235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CN205369500U (zh) 防止异味向外排放的地漏
JP2020180526A (ja) 排水装置
KR200464474Y1 (ko) 이중 악취차단장치
KR200380589Y1 (ko) 부력체를 이용한 역류방지밸브
KR20120097922A (ko) 하수구냄새트랩
KR101222558B1 (ko) 건식 배수전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JP2017206885A (ja) 排水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