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566A -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566A
KR20160024566A KR1020140111508A KR20140111508A KR20160024566A KR 20160024566 A KR20160024566 A KR 20160024566A KR 1020140111508 A KR1020140111508 A KR 1020140111508A KR 20140111508 A KR20140111508 A KR 20140111508A KR 20160024566 A KR20160024566 A KR 2016002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lamp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842B1 (ko
Inventor
김하철
정화균
Original Assignee
루미리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미리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루미리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8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등기구에 장착한 후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전등기구의 소켓에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로,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수용하는 광투과성 커버; 상기 광투과성 커버를 고정하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측에 도전성 핀을 가지는 제2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Rotatable light emitting diode lamp with bar type}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전기에너지를 직접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다이오드를 채용한 램프로, 일반 전등에 비해 전력 소도가 적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가정뿐만 아니라 산업시설 등으로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그 형태에 따라 백열전구 형태의 전구형 발광다이오드 램프와 형광등 형태의 막대형 발광다이오드램프 등으로 대별된다.
기존의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5) 상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 소자(11)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0)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광투과성 커버(20)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10)과 상기 광투과성 커버(20)를 고정하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을 전등기구(미도시)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핀(40)을 포함한다. 이와 함께,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의 양측 모서리는 광투과성 커버(20)의 내벽에 마련된 내측 레일(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전등기구의 소켓과 연결된 도전성 핀(40)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 모듈(10)에 전류가 인가되면 발광다이오드 모듈(10)에서 빛이 생성되어 광투과성 커버(2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된다.
그러나, 기존의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이 베이스(30)에 고정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베이스(30)에 고정된 도전성 핀(40)이 전등기구(미도시)의 소켓에 일단 장착되면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은 그 빛의 직진성으로 인해 한 방향으로만 조사되어 빛 공해 등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등기구에 장착한 후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전등기구의 소켓에 장착되는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로,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수용하는 광투과성 커버; 상기 광투과성 커버를 고정하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측에 도전성 핀을 가지는 제2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회동 유닛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계합되며 외주면에 걸림 돌기를 가지는 원판 형상의 중간 부재; 상기 중간 부재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상기 중간 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안내홈;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리도록 상기 회전 안내홈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중간 부재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중심에 구비되되 회전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돌출된 체결부를 수용하는 삽입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회전 중심과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 놓이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원통 형상의 체결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중간 부재가 서로 헛돌지 않고 계합되도록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계합 돌기 또는 계합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그 다른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체결부에 회전 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상기 회전 안내홈의 내측에 상기 회전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리브; 및 상기 삽입 리브에 형성되어 상기 이탈 방지턱에 걸리는 이탈 방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눈금이 새겨지고,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눈금을 가리키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이 새겨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눈금이 새겨지고,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눈금을 가리키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이 새겨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광투과성 커버를 고정하는 제1 베이스 부재가 전등 기구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가 전등기구에 장착한 후에도 광투과성 커버를 회동시키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빛 공해 등을 미연에 막을 수 있고, 원하는 피사체에 보다 더 밝게 밝혀줄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제2 베이스 부재가 제1 베이스 부재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조립 전 상태, (b)는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제2 베이스 부재가 제1 베이스 부재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조립 전 상태, (b)는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기구(미도시)의 소켓에 장착되는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로, 발광다이오드 모듈(110)과, 광투과성 커버(120)와, 제1 베이스 부재(130)와, 그리고 제2 베이스 부재(140)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은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12)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소자(111)를 포함한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에는 발광다이오드 소자(111)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히트싱크(180)(heat sink)가 결합될 수 있다.
광투과성 커버(120)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을 수용하는 것으로,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져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킨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성 커버(120)의 내벽에는 내측 레일(121)이 마련되어,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에 결합된 히트싱크(180)의 양측 가장자리가 이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130)는 광투과성 커버(120)의 말단에 결합되어 광투과성 커버(120)를 고정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성 커버(120)가 이에 삽입되도록 중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베이스 부재(13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눈금(132)이 새겨질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140)는 제1 베이스 부재(13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등기구(미도시)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측에 도전성 핀(141)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1 베이스 부재(130)에 눈금(132)이 새겨질 경우, 제2 베이스 부재(140)에는 상기 눈금(132)을 가리키는 기준선(142)(또는 기준점)이 새겨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베이스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눈금이 새겨질 경우, 상술한 제1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눈금을 가리키는 기준선(또는 기준선)이 새겨질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제2 베이스 부재(140)가 제1 베이스 부재(13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베이스 부재(130)와 제2 베이스 부재(140)는 회동 유닛(150)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 유닛(1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51), 중간 부재(152), 회전 안내홈(153), 그리고 복수의 걸림홈(15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51)는 제1 베이스 부재(130)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체결부(1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부재(130)의 중심에 구비되되 회전 축 방향[즉, 제1 베이스 부재(130)가 회전될 때 그 회전 중심이 되는 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베이스 부재의 중심에 그 회전 축 방향으로 요입될 수도 있다.
중간 부재(1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51)에 계합(engagement)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걸림 돌기(152a)를 가질 수 있다. 회전 안내홈(15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152)의 외주면이 이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제2 베이스 부재(140)에 중간 부재(152)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홈(15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부재(130) 및 중간 부재(152)가 회전되는 동안 걸림 돌기(152a)가 걸리도록 회전 안내홈(153)의 내주면에 그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 돌기(152a)가 복수의 걸림홈(154) 중 하나에 걸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광투과성 커버(120)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도 6의 화살표 참조)시킨 후 손을 놓더라도 광투과성 커버(120)는 회전되지 않고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걸림 돌기(152a)가 복수의 걸림홈(154)을 지나가는 동안 그 걸리는 느낌 또는 "딱딱"거리는 소리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광투과성 커버(1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걸림 돌기(152a)는 중간 부재(152)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152)의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여유홈(152c)을 두고 마련된 탄성 지지부(152b)에 걸림 돌기(152a)를 형성시켜, 걸림 돌기(152a)가 복수의 걸림홈(154)을 지나가는 동안 탄성 지지부(152b)에 의해 원활하게 눌리거나 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체결부(151)가 제1 베이스 부재(130)의 중심에 구비되되 회전 축 방향으로 돌출될 경우, 상술한 중간 부재(152)는 돌출된 체결부(151)를 수용하기 위해 삽입공(152d)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체결부(151)는 원통 형상을 가지되 제1 베이스 부재(130)의 회전 중심과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 놓일 수 있고, 상술한 삽입공(152d)은 원통 형상의 체결부(15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체결부(151)와 중간 부재(152)가 서로 헛돌지 않고 계합(engagement)되도록 체결부(151)의 외주면에 계합 돌기(161)가 형성되고, 삽입공(152d)의 내주면에 계합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와 반대로, 계합홈이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계합 돌기가 삽입공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회동 유닛(1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 부재(140)가 제1 베이스 부재(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부(170)는, 제1 베이스 부재(130) 및 체결부(151)에 회전 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71)과, 관통공(17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172)과, 제2 베이스 부재(140)의 회전 안내홈(153)의 내측에 회전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리브(173)와, 그리고 삽입 리브(173)에 형성되어 이탈 방지턱(172)에 걸리는 이탈 방지 돌기(17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리브(173)가 관통공(171)에 삽입되면 이탈 방지 돌기(174)가 이탈 방지턱(172)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이탈 방지턱(172)이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므로 이탈 방지턱(172)을 통해 제1 베이스 부재(1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참고로, 도전성 핀(141)은 인쇄회로기판(112)의 전극부(113)에 전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때 전선은 상술한 관통공(171)을 관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투과성 커버(120)를 고정하는 제1 베이스 부재(130)가 전등 기구(미도시)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베이스 부재(14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가 전등기구에 장착한 후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성 커버(120)를 회동시키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빛 공해 등을 미연에 막을 수 있고, 원하는 피사체에 보다 더 밝게 밝혀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발광다이오드 모듈 111: 발광다이오드 소자
112: 인쇄회로기판 120: 광투과성 커버
121: 내측 레일 130: 제1 베이스 부재
132: 눈금 140: 제2 베이스 부재
141: 도전성 핀 142: 기준선
150: 회동 유닛 151: 체결부
152: 중간 부재 152a: 걸림 돌기
152b: 탄성 지지부 152c: 여유홈
152d: 삽입공 153: 회전 안내홈
154: 복수의 걸림홈 161: 계합 돌기
162: 계합홈 170: 이탈 방지부
171: 관통공 172: 이탈 방지턱
173: 삽입 리브 174: 이탈 방지 돌기

Claims (10)

  1. 전등기구의 소켓에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로,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수용하는 광투과성 커버;
    상기 광투과성 커버를 고정하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측에 도전성 핀을 가지는 제2 베이스 부재
    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회동 유닛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3. 제2항에서,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계합되며 외주면에 걸림 돌기를 가지는 원판 형상의 중간 부재;
    상기 중간 부재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상기 중간 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안내홈;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리도록 상기 회전 안내홈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
    을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4. 제3항에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중간 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5. 제3항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중심에 구비되되 회전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돌출된 체결부를 수용하는 삽입공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6. 제5항에서,
    상기 체결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회전 중심과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 놓이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원통 형상의 체결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부와 상기 중간 부재가 서로 헛돌지 않고 계합되도록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계합 돌기 또는 계합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그 다른 하나가 형성되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7. 제3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8. 제7항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체결부에 회전 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상기 회전 안내홈의 내측에 상기 회전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리브; 및
    상기 삽입 리브에 형성되어 상기 이탈 방지턱에 걸리는 이탈 방지 돌기
    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9. 제1항에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눈금이 새겨지고,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눈금을 가리키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이 새겨지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10. 제1항에서,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눈금이 새겨지고,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눈금을 가리키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이 새겨지는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20140111508A 2014-08-26 2014-08-26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162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08A KR101627842B1 (ko) 2014-08-26 2014-08-26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08A KR101627842B1 (ko) 2014-08-26 2014-08-26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566A true KR20160024566A (ko) 2016-03-07
KR101627842B1 KR101627842B1 (ko) 2016-06-07

Family

ID=5554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508A KR101627842B1 (ko) 2014-08-26 2014-08-26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1625A1 (en) * 2019-01-22 2020-07-30 Zhejia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11668456B2 (en) 2020-12-23 2023-06-06 Contemporary Visions, LLC Light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72B2 (ko) * 1985-02-04 1993-05-11 Sanyo Electric Co
KR20100009789U (ko) * 2009-03-27 2010-10-06 주식회사 엠에스엠텍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광등 타입 엘이디 램프
KR100996916B1 (ko) * 2009-03-23 2010-11-26 심현섭 빛 방출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튜브형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101085225B1 (ko) * 2010-01-08 2011-11-21 (주)솔라루체 Led 형광램프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1072B2 (ja) * 2010-06-28 2012-09-19 株式会社光波 Led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72B2 (ko) * 1985-02-04 1993-05-11 Sanyo Electric Co
KR100996916B1 (ko) * 2009-03-23 2010-11-26 심현섭 빛 방출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튜브형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20100009789U (ko) * 2009-03-27 2010-10-06 주식회사 엠에스엠텍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광등 타입 엘이디 램프
KR101085225B1 (ko) * 2010-01-08 2011-11-21 (주)솔라루체 Led 형광램프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1625A1 (en) * 2019-01-22 2020-07-30 Zhejia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11668456B2 (en) 2020-12-23 2023-06-06 Contemporary Visions, LLC Ligh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842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408B2 (en) Lighting apparatus
KR102068563B1 (ko) 조명 장치
JP2014523097A (ja) ランプ管
JP2013201082A (ja) 照明装置
JP2014112470A (ja) Led照明装置
JP5870288B2 (ja) Led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627842B1 (ko)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JP2016149208A (ja) 口金、直管形led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101853187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JP5938200B2 (ja) 直管形発光源内装ランプ、直管形発光源内装ランプ用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101085225B1 (ko) Led 형광램프 조립체
JP6351344B2 (ja) ラン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5705350B2 (ja) Led照明装置
JP5455951B2 (ja) ランプ及び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JP7173442B2 (ja) 取付機構および配線ダクト取付物
KR101625063B1 (ko) 조명장치
KR101955234B1 (ko) 천장용 조명기구
JP6383596B2 (ja) 直管灯用取付具
JP2013134911A (ja) 発光源内装ランプ
KR200472566Y1 (ko) 전구형 엘이디램프
US8545043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providing synchronous forward and backward lighting
US20160047535A1 (en) Led lamp with directional illumination
JP2016134225A (ja) 口金、直管形led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5686909B2 (ja) ランプ及び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KR101530360B1 (ko) 탈착이 가능한 엘이디 직관호환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