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238A -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238A
KR20160024238A KR1020140110827A KR20140110827A KR20160024238A KR 20160024238 A KR20160024238 A KR 20160024238A KR 1020140110827 A KR1020140110827 A KR 1020140110827A KR 20140110827 A KR20140110827 A KR 20140110827A KR 20160024238 A KR20160024238 A KR 20160024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unit
displa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243B1 (ko
Inventor
손천강
Original Assignee
손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천강 filed Critical 손천강
Priority to KR102014011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2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하여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입력받는 휴대 단말; 및 상기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미리 설정된 조건 정보에 따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란 자동차, 비행기 등의 전방 주시화면인 윈드 쉴드 글라스에 이미지를 투사하여 윈드 쉴드 외부에 허상이 맺히게 함으로써 계기판 정보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주로 전투기 등 군용기기에 많이 사용되던 기술이었으나, 최근 기술의 발달로 자동차에도 적용될 수 있을 만큼 도입비용이 감소하였고 이를 적용한 일부 고급상용차도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가장 활발하게 연계되는 분야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저장된 맵데이터(map data)와 현재의 GPS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으로,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주시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LED와 같은 광원을 이용해 단순 기호나 도로를 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해당 데이터를 차량 유리에 프로젝터의 형태로 쏘아주는 등 광학적 수단을 이용할 경우 설치방법이 어렵고 비용이 비싸 대중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8357호 '차량용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564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가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하여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입력받는 휴대 단말; 및 상기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미리 설정된 조건 정보에 따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운전자에 의하여 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는 텍스트 입력부; 상기 운전자에 의하여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정보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운전자에 의하여 상기 알림 정보의 표시 시간 및 표시 방식에 대한 조건 정보가 입력되는 조건 설정부; 상기 운전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영상 정보가 선택되는 영상 선택부; 상기 텍스트 정보, 음성 정보, 조건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텍스트 정보, 음성 정보, 조건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상하반전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제공하는 반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통신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상하반전된 형태로 변환하는 정보 변환부; 상기 변환된 알림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주변 밝기의 세기를 감지하는 광 센서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에 의하여 표시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2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부; 및 상기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차량 전방 도로의 상황 정보, 날씨 정보, 사고 정보, 광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따르면, 운전자가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하여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구비되어 스마트폰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텍스트, 음성 등으로 입력되는 알림 정보를 텍스트, 영상, 특수 문자 또는 애니메이션 등으로 표시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알림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알림 정보를 광고, 장식, 정보 제공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2c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반사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내지 2c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3의 반사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10)의 후면 유리창에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으로서, 휴대 단말(20), 디스플레이 장치(30) 및 관리 서버(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차량(10)은 차량(10) 후면 유리창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후방 차량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포함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란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스크린의 뒷면이 비치는 형태의 정보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차량(10)의 종류는 소형, 중형, 대형, 이륜 및 특수 차량이나, 승용, 승합, 트럭, 버스 및 화물 차량 등과 같이 다양한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20)은 차량(10)의 운전자가 휴대하는 이동 통신 단말로서, 본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20)은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차량(10)의 운전자로부터 차량(10)의 후방에 위치되는 차량(10)의 운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의 휴대 단말(2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2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2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휴대 단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부(210), 텍스트 입력부(220), 음성 입력부(230), 음성 인식부(240), 조건 설정부(250), 영상 선택부(260), 저장부(270), 신호 처리부(280) 및 제1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30) 또는 관리 서버(4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30)와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를 송수신하고, 관리 서버(40)와는 차량 전방 도로의 상황 정보, 날씨 정보, 사고 정보, 광고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인터넷 모듈(미도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관리 서버(4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무선 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입력부(220)는 운전자에 의하여 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알림 정보 중 숫자, 알파벳, 한글, 특수문자 또는 이모티콘 등이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상기 텍스트 입력부(220)는 휴대 단말(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다수의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부(270)에 저장된 숫자, 알파벳, 한글의 자음과 모음, 특수문자 또는 이모티콘 등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텍스트 입력부(220)는 '양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조금 운전이 거치시군요. ', '잠시 주차하겠습니다. ', '아이가 타고 있어 천천히 갑니다. ' 등과 같은 텍스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입력부(220)는 운전자에 의하여 원하는 광고 내지 홍보 효과를 위한 특정 광고 문구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자동차 또는 보험사 영업사원 등인 경우, 자사의 상품 정보를 텍스트 입력부(220)를 통하여 입력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상품 정보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광고 및 판촉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텍스트 입력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에 구비된 접속 단자부(328)에 연결 커넥터(예를 들면, USB 케이블, HDMI 케이블 등)를 통하여 휴대 단말(20)을 디플레이 장치(30)에 접속한 후, 다양한 메시지를 입력 및 편집이 가능하다.
상기 음성 입력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정보가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성 입력부(230)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20)에 구비되는 마이크 등과 같은 음성 입력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240)는 음성 입력부(230)에 의하여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성 인식부(240)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20)에 구비되는 음성 인식 엔진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인식부(240)는 음성 인식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제1 제어부(29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설정부(250)는 운전자에 의하여 알림 정보의 표시 시간 및 표시 방식에 대한 조건 정보가 입력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조건 설정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하여 표시되는 알림 정보의 표시 시간 및 표시 방식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 설정부(250)는 알림 정보가 30초 동안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표시 시간을 설정하거나, 알림 정보가 10초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표시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 설정부(250)는 알림 정보가 양쪽에서 중앙으로 스크롤되거나 하나의 숫자(또는 문자, 이모티콘 등)씩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조건 설정부(250)는 알림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속도, 표시 밝기 등과 같은 조건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부(260)는 운전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영상 정보가 선택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영상 선택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알림 정보 중 이미지, 애니 메이션, 동영상 등의 영상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는 저장부(27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저장부(270)는 텍스트 입력부(220)에 의하여 입력된 텍스트 정보, 음성 인식부(240)에 의하여 인식된 음성 정보, 조건 설정부(250)에 의하여 설정된 조건 정보, 미리 설정된 영상 정보, 제1 제어부(2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270)는 그 외에도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차량 전방 도로의 상황 정보, 날씨 정보, 사고 정보, 광고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7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미도시)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운전자는 조건 설정부(250)를 통하여 저장부(27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2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280)는 텍스트 정보, 음성 정보, 조건 정보 및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전송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신호 처리부(280)는 제1 통신부(21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암호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상기 제1 제어부(290)는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차량(10)의 운전자로부터 차량(10)의 후방에 위치되는 차량(10)의 운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차량(10)의 후면 유리창에 구비되고, 휴대 단말(2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휴대 단말(2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10)의 후방으로 미리 설정된 조건 정보에 따라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 정보는 휴대 단말(20)의 조건 설정부(250)에 의하여 설정된 조건 정보로서, 알림 정보의 표시 시간, 표시 방식, 표시 속도, 표시 밝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는 방식으로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차량(10)의 자체 배터리, 차량(10)의 휴즈박스에 접속되는 휴즈박스 연결포트, 및 시거잭에 연결되는 시거잭 연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전원 단자부(329)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즈박스 연결선 및 시거잭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차량(10) 배터리 등에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자체 배터리를 자주 갈아야 하는 번거러움을 덜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차량(10)의 후면 유리창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도 2a 내지 2c 참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는 휴대 단말(2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여, 제어 모듈을 통하여 투명 소자에 대한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제1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각 픽셀의 RGB값을 조절하여 제1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모듈은 차량(10) 외부의 조도(illuminance) 정보를 기초로, 제1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모듈은 조도가 높은 경우(밝은 날) 제1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낮추고, 조도가 낮은 경우(어두운 날) 제1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투명 디스플레이의 위치 별로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내의 투명도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해 그라데이션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형, 투명 TFEL(Thin-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형, 투명 OLED 형, 투사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 LCD 형이란 현재 사용되고 있는 LCD 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을 제거하고, 한 쌍의 편광판, 광학 필름,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 투명 전극 등을 사용하여 구현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투명 TFEL 형이란 투명 전극, 무기 형광체,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교류형 무기박막 EL 디스플레이(AC-TFEL)를 사용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AC-TFEL은 무기 형광체 내부에 가속이 된 전자가 지나가면서 형광체를 여기시켜 빛을 내게 하는 디스플레이이다. 그 밖에, 상기 투명 OLED형이란 자체 발광이 가능한 OLED를 이용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자 전용 도트 타입의 LED 모듈,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해상도의 그래픽용 LCD/OLED/LED 모듈,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해상도의 그래픽용의 LCD/OLED/LED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310) 및 반사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반사 인터페이스(320)가 휴대 단말(20)로부터 수신받은 알림 정보를 차량(10) 후면에 구비된 제2 투명 디스플레이(310)에 식별가능하게 반사하여 제2 투명 디스플레이(310)를 통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반사 인터페이스(320)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수신받은 알림 정보가 제2 투명 디스플레이(310)에 정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이 반전된 형태로 출력된다.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31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종류의 투명 소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차량(10)에 구비된 후면 유리창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310)가 차량(10)에 구비된 후면 유리창인 경우 후면 유리창에 하프미러 필름(미도시)이 부착되어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인터페이스(320)는 차량(10)의 후면 유리창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321)를 포함하고, 케이스(321) 외측에는 휴대 단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부(328)와 차량(10)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부(32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21)의 외측 하부에는 반사 인터페이스(320)의 작동에 필요한 온오프 스위치(324), 메뉴 스위치(325), 선택 스위치(326), 업다운 스위치(327)가 구비되고, 케이스(321)의 외측 상부에는 광 센서부(3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321)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321a), 정보 변환부(321b), 표시부(322), 광 센서부(323) 및 제2 제어부(321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321a)는 휴대 단말(2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휴대 단말(20)과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정보 변환부(321b)는 케이스(321) 내부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2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 정보를 상하반전된 형태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 표시부(322)는 정보 변환부(321b)에 의하여 변환된 알림 정보를 제2 투명 디스플레이(310)를 향하여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광 센서부(323)는 주변 밝기의 세기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이 주간인지 야간인지 여부, 주변의 밝기 정도 또는 조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도란 어떤 면이 받는 광속(光束)의 밀도를 말하며, 통상의 단위로는 룩스(lx)가 사용된다.
상기 제2 제어부(321c)는 반사 인터페이스(3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2 제어부(321c)는 광 센서부(323)에 의하여 감지된 주변 밝기의 세기를 기초로 표시부(322)에 의하여 표시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40)는 휴대 단말(20)과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휴대 단말(20)로부터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휴대 단말(20)로 차량 전방 도로의 상황 정보, 날씨 정보, 사고 정보, 광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여, 각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40)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요청된 정보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웹에서 검색하고, 검색한 결과를 휴대 단말(2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 인터페이스(320)의 케이스(321)는 차량(10) 내부의 환경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10) 주행시 도로 환경에 따른 진동이나 한 여름철의 경우에 상승하는 차량(10) 내부의 온도에 대하여 내구성과 내열성이 요구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케이스(321)에 내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코팅된다. 이러한 이축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80~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5~20중량%를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2중량% 이하이고,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에틸렌 함량이 30~65중량%이며, 용제추출물의 고유점도가 1~4dl/g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일련의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고 혼련되어 제조된다.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중합 반응장치에서 프로필렌이 단독으로 주입되어 중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하여 80~95중량%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80~9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함량이 80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저하되어 내열성이 낮아지고, 고무상의 증가로 인하여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며, 9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함량이 2중량% 이하일 수 있고, 2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화에 참여하는 연속적인 프로필렌 사슬에 에틸렌 결점의 빈도수가 증가하여 용융온도 및 결정화도가 저하되므로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중합한 후, 이어지는 중합 반응장치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중합될 수 있으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중합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하여 5~20중량%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충격강도의 발현이 되지 않으며, 20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강성 및 내열성이 급격히 저하되고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에서 용제추출물의 고유점도는 1~4dl/g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유점도가 1dl/g 미만이면 충격강도의 상승을 기대할 수 없으며, 4dl/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무성분의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이축연신 시 파단이 발생하기 쉬우며, 가공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분산된 고무상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에서 에틸렌 함량은 30~65중량%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틸렌 함량이 30중량%미만이면 고무의 탄성이 감소하여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65중량%를 초과하면 고무성분과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낮아져 고무상의 크기가 커지므로 투명성을 저하시켜 가공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는 1~10g/10분(ASTM D 1238)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융지수가 1g/10분 미만이면 이축연신 필름제조에 있어서, 캐스트 시트의 제막 시, 압출부하가 상승하고 유동성이 낮아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며, 1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이에서 토출되는 용융지수의 점도가 낮아져 캐스트 시트의 성형 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게 되므로, 이축연신 후에 필름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차량 20: 휴대 단말
30: 디스플레이 장치 40: 관리 서버
210: 제1 통신부 220: 텍스트 입력부
230: 음성 입력부 240: 음성 인식부
250: 조건 설정부 260: 영상 선택부
270: 저장부 280: 신호 처리부
290: 제1 제어부 310: 제2 투명 디스플레이
320: 반사 인터페이스 321: 케이스
321a: 제2 통신부 321b: 정보 변환부
321c: 제2 제어부 322: 표시부
323: 광 센서부 324: 온오프 스위치
325: 메뉴 스위치 326: 선택 스위치
327: 업다운 스위치 328: 접속 단자부
329: 전원 단자부

Claims (8)

  1.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알림 정보를 입력받는 휴대 단말; 및
    상기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미리 설정된 조건 정보에 따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운전자에 의하여 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는 텍스트 입력부;
    상기 운전자에 의하여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정보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운전자에 의하여 상기 알림 정보의 표시 시간 및 표시 방식에 대한 조건 정보가 입력되는 조건 설정부;
    상기 운전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영상 정보가 선택되는 영상 선택부;
    상기 텍스트 정보, 음성 정보, 조건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텍스트 정보, 음성 정보, 조건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 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상하반전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제공하는 반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통신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상하반전된 형태로 변환하는 정보 변환부;
    상기 변환된 알림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주변 밝기의 세기를 감지하는 광 센서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에 의하여 표시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2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부; 및
    상기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차량 전방 도로의 상황 정보, 날씨 정보, 사고 정보, 광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40110827A 2014-08-25 2014-08-25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62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827A KR101622243B1 (ko) 2014-08-25 2014-08-25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827A KR101622243B1 (ko) 2014-08-25 2014-08-25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38A true KR20160024238A (ko) 2016-03-04
KR101622243B1 KR101622243B1 (ko) 2016-05-18

Family

ID=5553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827A KR101622243B1 (ko) 2014-08-25 2014-08-25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2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397A (ko) * 2018-02-02 2018-06-04 문명일 차량용 영상 장치
KR102187372B1 (ko) * 2020-07-30 2020-12-04 주식회사 지엘로지스틱 사고위험 구간 감지 및 사고예방을 위한 알림시스템
KR20210048839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564Y1 (ko) 2004-11-25 2005-03-08 (주)한국정밀전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8357A (ko) 2011-12-15 2013-06-26 김종섭 차량용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82Y1 (ko) 2004-01-29 2004-07-30 김용환 투사기 및 후면 투사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표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564Y1 (ko) 2004-11-25 2005-03-08 (주)한국정밀전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8357A (ko) 2011-12-15 2013-06-26 김종섭 차량용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397A (ko) * 2018-02-02 2018-06-04 문명일 차량용 영상 장치
KR20210048839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KR102187372B1 (ko) * 2020-07-30 2020-12-04 주식회사 지엘로지스틱 사고위험 구간 감지 및 사고예방을 위한 알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243B1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9325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therefor
CN103770648A (zh) 车辆显示设备和车辆显示控制单元
KR10162224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10102165A1 (en) Taxi-roof sign
US11467401B2 (en) Display and light blocking screens
JP2016537650A (ja) 表示面の縁の視覚的な増強
US11493791B2 (en) Display and light blocking screens
CN108205221B (zh) 显示设备、具有其的车辆及其控制方法
US10220767B2 (en) Method of showing the inside status of a vehicle via a plurality of first icons
KR202000296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5368B1 (ko)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20200329103A1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using digital symbols
CN101355717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导航系统和方法
KR20180000837U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의사 표시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525351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는 차량의 표시 제어시스템
TW201303835A (zh) 顯示裝置
US983586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display apparatus
CN108766261A (zh) 一种车载显示系统及汽车
KR102673294B1 (ko) 차량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27665A (ko) 차량의 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491440Y1 (ko)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US11692844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6884639B2 (ja) 視線誘導装置
US9826363B1 (en) Mobile media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5469751A (zh) 一种多模态人机交互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