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537A - 누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537A
KR20160023537A KR1020150018569A KR20150018569A KR20160023537A KR 20160023537 A KR20160023537 A KR 20160023537A KR 1020150018569 A KR1020150018569 A KR 1020150018569A KR 20150018569 A KR20150018569 A KR 20150018569A KR 20160023537 A KR20160023537 A KR 20160023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zener diode
power suppl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776B1 (ko
Inventor
겐지 가나야마
가즈시 사토우
가즈히로 나가하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02H3/1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내전압 시험 등 교류 전로에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었을 경우더라도, 누전 차단기를 차단시킴으로써, 내장하는 전원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누전 차단기를 얻는다.
[해결 수단] 교류 전로(1)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제2 정전압 회로(53)와,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과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이 제2 제너 다이오드(54)가 과전압을 검출했을 때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는 제2 저항(55)과,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이 제1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서지 전류를 흡수하는 제3 제너 다이오드(56)와,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트립 장치를 구동하는 과전압 검출 회로(9)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누전 차단기{EARTH-LEAKAG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전로(電路)의 누설 전류가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 이 전로를 개방하는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전 차단기의 동작 전원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누전 차단기에 내장된 전원 회로는, 교류 전로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압(예를 들면 AC 100V)을 정류 회로에 의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 정류된 직류 전압을 강압 회로에 의해, 보다 저전압의 직류 전압(예를 들면, DC 24V)으로 변환하여, 누전 검출 회로나 트립 장치에 구동 전원으로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 회로에서는, 교류 전로에 낙뢰나 아크 접지(arcing ground) 등에 의해 서지 전압(surge voltage)이 유기(誘起)되었을 경우, 이 서지 전압으로부터 누전 검출 회로나 트립 장치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 보호 수단으로서는,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서지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이 전압 검출 회로가 서지 전압을 검출했을 때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는 승압 회로와, 강압 회로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값에 이르렀을 때 서지 전류(surge current)를 흡수하는 전류 흡수 회로를 마련한 전원 회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9-95125호 공보
종래의 누전 차단기의 전원 회로에서는, 서지 전압이 유기되었을 경우, 승압 회로에 의해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켜,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값에 이르렀을 때 서지 전류를 흡수하는 전류 흡수 회로에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일정한 전압으로 클램프(clamp)되어, 누전 검출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이 과전압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서지 전압의 펄스(pulse)폭은, 일반적으로 커도 수 m초인 것으로 상정된다. 당연히 강압 회로나 전류 흡수 회로에 통과시킬 수 있는 에너지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었을 경우에는, 한계를 넘어 강압 회로나 전류 흡수 회로의 고장에 이른다.
이러한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될 가능성으로서, 누전 차단기가 탑재되는 제어반 등에서는, 누전 차단기를 포함한 교류 전로의 상간(相間), 및 교류 전로와 대지(어스)(ground(earth))간이 절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내전압 시험(예를 들면, 2000V 1분간)이 실시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통상, 누전 차단기와 같이 전로에 전자 회로가 접속되는 제품의 경우, 상간의 내전압 시험은 금지되고 있어, 교류 전로와 대지(어스) 간에만 내전압 시험이 실시된다. 그 때문에, 상간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일은 없다. 그렇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전 차단기에 부하 전로가 접속되어 있으면, 대지간에 접속된 기기(예를 들면, 서지 흡수용 콘덴서나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등)나 전선의 대지(對地) 정전 용량을 통해서, 의도하지 않게 상간에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게 되어, 그 결과, 누전 차단기의 전원 회로가 고장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연속적인 과전압의 인가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한 누전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는 전로를 개폐하는 개폐 접점과, 전로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누설 전류 검출기와, 이 누설 전류 검출기에 접속되어, 누설 전류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누전을 검출하는 누전 검출 회로와, 이 누전 검출 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개폐 접점을 개리(開離)시키는 트립 장치와, 전로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정전압의 전력으로 강압시키는 강압 회로, 전로로부터의 과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 및 이 전압 검출 회로가 과전압을 검출했을 때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는 승압 회로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와, 전원 회로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제1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서지 전류를 흡수하는 전류 흡수 회로와, 전원 회로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전원 회로의 정격 전압보다 높고 제1 소정치보다 낮은 제2 소정치를 넘었을 경우에 트립 장치를 구동하는 과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과전압을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개폐 접점을 개리시키므로, 연속적인 과전압의 인가에 의한 누전 차단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를 이용한 누전 차단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적분 회로의 상세한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를 이용한 누전 차단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누전 검출 회로의 상세한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를 이용한 직류용의 누전 차단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를 이용한 직류용의 누전 차단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누전 차단기를 제어반에 조립한 경우의 회로도에서 본 발명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를 이용한 누전 차단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적분 회로의 상세한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누전 차단기(100)는 교류 전로(1)를 개폐하는 개폐 접점(2)과, 교류 전로(1) 중에 삽입된 영상(零相) 변류기(3) 즉 누설 전류 검출기에 접속되어, 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누전을 검출하는 누전 검출 회로(6)와, 이 누전 검출 회로(6)의 출력 신호에 의해 스위칭(switching) 수단(8)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트립 코일(4a)과, 이 트립 코일(trip coil)(4a)이 전원을 공급받을 때 개폐 접점(2)을 개리 구동하는 트립 기구(4b)를 가지는 트립 장치(4)와, 누전 검출 회로(6)와 트립 장치(4)의 양쪽에 급전(給電)하는 전원 회로(5)를 가지고 있다.
전원 회로(5)는 교류 전로(1)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트립 코일(4a)에 여자(勵磁) 전류를 공급함과 아울러, 제1 정전압 회로(7)에 의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보다 낮은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누전 검출 회로(6)로 공급한다.
이하, 전원 회로(5)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류 전로(1)에 접속되어,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 저항(51) 즉 전류 제한 회로의 후단에는 풀 다이오드 브릿지(full diode bridge)로 이루어지는 정류 회로(52) 즉 정류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정류 회로(52)의 출력측에는, 그 출력 전압을 강압시키는 제2 정전압 회로(53) 즉 강압 회로가 접속되고, 정류 회로(52)의 출력 양(positive)측에 드레인(drain)이 접속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이하, FET라고 기재함)(53a)와, FET(53a)의 게이트(gate)와 정류 회로(52)의 출력 음(negative)측의 사이에 접속된 제1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53b)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제너 전류를 공급하는 FET(53a)의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에 접속된 제1 저항(53c)(저항값은 수백 k~수 MΩ 정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정전압 회로(53)의 제1 저항(53c)에는, 제2 제너 다이오드(54)(제너 전압>정류 회로(52)의 출력 전압) 즉 전압 검출 회로가 병렬 접속되어 있고, 이 제2 제너 다이오드(54)에 의해 정류 회로(52)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서지 전압을 검출한다. FET(53a)의 게이트와 정류 회로(52)의 출력 음측의 사이에는, 제1 제너 다이오드(53b)와 직렬로 접속된 제2 저항(55)(저항값은 수십~수백 Ω 정도) 즉 승압 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이 제2 저항(55)에 의해 제2 제너 다이오드(54)가 서지 전압을 검출했을 때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을 상승시킨다. FET(53a)의 소스와 정류 회로(52)의 출력 음측의 사이에는, 제3 제너 다이오드(56) 즉 전류 흡수 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이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 즉 제1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제3 제너 다이오드(56)에 의해 서지 전류를 흡수한다.
또, 전원 회로(5)의 출력단에는, 제3 제너 다이오드(56)에 병렬 접속되어, 교류 전로(1)로부터 과전압이 소정 시간에 이를 때까지 계속해서 입력되면 트립 장치(4)를 구동하는 과전압 검출 회로(9)가 마련되어 있다.
과전압 검출 회로(9)는 캐소드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캐소드에 접속되어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이 제2 소정치를 넘었을 때 온 되는 제4 제너 다이오드(9a)(예를 들면, 제너 전압은 23V 정도)와, 이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애노드 및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애노드가 입력에 접속된 적분 회로(9b)와, 이 적분 회로(9b)의 출력이 소정치를 넘은 것, 즉,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2 소정 전압에 이르고, 또한,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2 소정 전압에 이른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20msec)을 넘은 것을 검출하여, 스위칭 수단(8)을 구동하는 비교 회로(9c)로 구성되어 있다.
적분 회로(9b)는,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일단이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애노드에 접속된 저항(9b1)(저항값은 1kΩ~10kΩ 정도)과, 이 저항(9b1)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고,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애노드에 타단이 접속된 콘덴서(9b2)(용량은 0.1㎌~수 ㎌ 정도)와, 이 콘덴서(9b2)에 병렬로 접속됨과 아울러, 양단이 비교 회로(9c)에 접속된 저항(9b3)(저항값은 1kΩ~10kΩ 정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저항(9b3)은 콘덴서(9b2)가 오프되었을 때에, 콘덴서(9b2)의 전하를 방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추가로, 전원 회로(5)의 출력단에는, 트립 장치(4)와 제1 정전압 회로(7)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제너 다이오드(53b)가 FET(53a)의 게이트측, 제2 저항(55)이 정류 회로(52)의 출력 음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FET(53a)의 게이트측에 제2 저항(55)을, 정류 회로(52)의 출력 음측에 제1 제너 다이오드(53b)를 마련해도 좋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상태에 있어서는, 교류 전로(1)로부터 AC 100V~400V 정도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면, 전류 제한 저항(51)에 교류의 전류 Ia가 흘러, 정류 회로(52)에서 직류 전압 Vb으로 변환된다. 정류 회로(52)로부터 출력된 전류 Ib에 의해, 제1 저항(53c)을 통해서 제1 제너 다이오드(53b) 및 제2 저항(55)에 전류 Ic가 흐른다. 한편, 제2 제너 다이오드(54)의 제너 전압은, 정류 회로(52)의 출력 전압 Vb 보다도 높기 때문에, 제2 제너 다이오드(54)는 온 되지 않아, 제2 제너 다이오드(54)를 통해서 제1 제너 다이오드(53b) 및 제2 저항(55)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때, 제1 저항(53c)의 저항값은 수백 k~수 MΩ으로 큰데 반해, 제2 저항(55)의 저항값은 수십~수백 Ω으로 작기 때문에, 제2 저항(55)에 흐르는 전류 Ic가 제1 저항(53c)에 의해 거의 결정되고, 예를 들면 수십 ㎂~수백 ㎂로 미소(微小)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FET(53a)의 게이트 전압)을 Vc라고 하면, Vc≒(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제너 전압)이 된다.
또,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Vd=Vc-(FET(53a)의 ON 전압)이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Vc≒(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제너 전압)이므로, Vd≒(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제너 전압)-(FET(53a)의 ON 전압)이 되며, 이것이 전원 회로(5)의 정격 전압이다.
여기서, FET(53a)의 온 전압을 3V 정도로 하고,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제너 전압을 24V 정도라고 하면,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Vd≒24V-3 V=21V 정도가 된다.
또,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을 24V 정도라고 하면, 제3 제너 다이오드(56)에 걸리는 전압 Vd은, 21V 정도로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을 넘지 않는다. 따라서 제3 제너 다이오드(56)는 온 되지 않아, 전류 Id가 흐르지 않는다.
또,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제너 전압 즉 제2 소정치를 23V 정도라고 하면, 제4 제너 다이오드(9a)에 걸리는 전압 Vd은, 21V 정도이므로 제4 제너 다이오드(9a)도 온 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전원 회로(5)의 출력단으로부터는 트립 코일(4a) 및 제1 정전압 회로(7)에 DC21V 정도가 급전되고, 제1 정전압 회로(7)는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을 강압시켜 누전 검출 회로(6)에 소정의 일정 전압(예를 들면 DC 5V)을 급전한다.
이러한 급전 상태에 있어서, 교류 전로(1)에 누전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영상 변류기(3)의 출력에 신호가 발생하여, 누전 검출 회로(6)에 의해 영상 변류기(3)의 출력 신호 레벨이 소정의 기준치를 넘은 것이 판별되어, 누전 트립 신호를 스위칭 수단(8)에 출력한다. 스위칭 수단(8)은 그 출력에 의해 온으로 되어 전원 회로(5)로부터 스위칭 수단(8)을 통해서 트립 코일(4a)에 여자 전류가 흘러, 트립 기구(4b)가 동작함으로써, 개폐 접점(2)이 개로된다.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언급하고 있는 「제1 소정치」란, 상술한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이고, 같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언급하고 있는 「제2 소정치」란, 상술한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제너 전압이다.
다음으로, 교류 전로 중의 교류 전압에 순간의 서지 전압이 중첩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교류 전압에 수 kV의 서지 전압이 중첩되면,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직렬 회로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은,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합계 제너 전압치를 넘으므로, 제2 제너 다이오드(54)도 온이 된다.
이때, 제2 저항(55)을 흐르는 전류 Ic는 통상시의 수십 ㎂~수백 ㎂와 비교하여 수십 mA로 커져, 제2 저항(55)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상승한다. 예를 들면 제2 저항(55)의 저항값이 100오옴 정도이고, 전류 Ic가 40mA 정도라고 하면,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는 4V 정도가 되어,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Vc=24V+4V=28V 정도가 된다.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통상시의 정격 전압 21V 정도에 대해서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분인 4V 정도를 더하여, 25V 정도로 상승하려고 한다. 그러나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을 넘기 때문에, 제3 제너 다이오드(56)가 온 되어,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으로 억제된다.
또, 이때,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제너 전압 23V를 넘지만, 저항(91b)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저항(91b)이 전압을 부담하여 전류를 제한하므로, 전원 회로(5)의 전압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제4 제너 다이오드(9a)가 온인 채로 되어, 적분 회로(9b)에 있어서 저항(9b1)을 통해서 콘덴서(9b2)의 충전이 개시된다. 그렇지만, 순간의 서지 전압의 경우에는, 교류 전로(1) 중의 교류 전압에 서지 전압이 중첩되는 시간이 매우 짧다(예를 들어, 1~2msec 정도). 그 때문에, 콘덴서(9b2)의 전압은 충분히 상승하지 않는, 즉,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2 소정 전압을 넘은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기 때문에, 비교 회로(9c)의 출력은 온 되지 않아, 누전 차단기(100)는 차단 동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누전 차단기(100)는 차단 동작하지 않지만,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으로 억제되게 되어, 서지 전압으로부터 누전 검출 회로(6)나 트립 장치(4)는 보호된다.
다음으로, 교류 전로에 연속적인 과전압이 중첩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교류 전로(1)에 수 kV의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면,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직렬 회로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은,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합계 제너 전압치를 넘으므로, 제2 제너 다이오드(54)도 온이 된다.
이때, 제2 저항(55)을 흐르는 전류 Ic는 통상시의 수십 ㎂~수백 ㎂에 비교해서 수십 mA로 커져, 제2 저항(55)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고,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상승한다. 예를 들면 제2 저항(55)의 저항값이 100오옴 정도이고, 전류 Ic가 40mA 정도라고 하면,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는 4V 정도가 되어,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Vc=24V+4V=28V 정도가 된다.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통상시의 전압 21V 정도에 대해서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분인 4V 정도를 더하여, 25V 정도로 상승하려고 한다. 그러나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을 넘기 때문에, 제3 제너 다이오드(56)가 온 되어,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으로 억제된다.
이때,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제너 전압 23V를 넘기 때문에, 제4 제너 다이오드(9a)도 온 되어, 적분 회로(9b)에 있어서, 저항(9b1)을 통해서 콘덴서(9b2)의 충전이 개시된다. 연속적인 과전압의 경우에는, 콘덴서(9b2)의 전압은 충분히 상승하게 되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2 소정치를 넘은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게 되어, 비교 회로(9c)의 출력이 온 되어, 스위칭 수단(8)에 출력된다. 비교 회로(9c)의 출력에 의해 스위칭 수단(8)도 온이 되어 전원 회로(5)로부터 스위칭 수단(8)을 통해서 트립 코일(4a)에 여자 전류가 흘러, 트립 기구(4b)가 동작함으로써, 개폐 접점(2)이 개로된다. 그리고 개폐 접점(2)이 개로됨으로써, 전원 회로(5)로의 급전은 정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교류 전로(1)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정전압의 전력으로 강압시키는 제2 정전압 회로(53), 정류 회로(52)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과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제너 다이오드(54), 이 제2 제너 다이오드(54)가 과전압을 검출했을 때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는 제2 저항(55)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5)와, 이 전원 회로(5)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1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서지 전류를 흡수하는 제3 제너 다이오드(56)와, 전원 회로(5)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전원 회로(5)의 정격 전압보다 높고 제1 소정치보다 낮은 제2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트립 장치(4)를 구동하는 과전압 검출 회로(9)를 구비하였으므로, 내전압 시험 등 교류 전로(1)에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었을 경우더라도, 누전 차단기(100)를 차단시킴으로써, 누전 차단기(100)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과전압 검출 회로(9)는 적분 회로(9b)를 구비하고 전원 회로(5)의 정격 전압보다 높고 제1 소정치보다 낮은 제2 소정치에,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도달한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었을 경우에 트립 장치(4)를 구동하므로, 순간적인 서지 전압에 의한 과전압에서는 동작하지 않아 불요 트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누전 검출 회로(6)에 이용하는 일반적인 누전 검출 IC(Integrated Circuit)는, 비교 회로(9c)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과전압 검출 회로(9)는 제4 제너 다이오드(9a)와, 저항(9b1, 9b3), 콘덴서(9b2)로 이루어지는 적분 회로(9b)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전압 시험 등 교류 전로(1)에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어 일어나는 고장으로부터 저비용으로 누전 차단기(100)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전원 회로(5)는 과전압이 인가되면 그 출력 전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과전압 검출 회로(9)를 전원 회로(5)의 출력측 즉 저전압측에 마련할 수 있어, 사용 부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누전 차단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를 이용한 누전 차단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누전 검출 회로의 상세한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누전 차단기(101)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과전압 검출 회로(9)를 대신하여, 과전압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누전 테스트 회로(10)를 마련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인 여러 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누전 차단기(101)에 있어서의 누전 테스트 회로(10)는, 캐소드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캐소드에 접속된 제4 제너 다이오드(9a)와, 일단이 제1 정전압 회로(7)의 출력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애노드에 접속된 테스트 스위치(10a)와, 입력이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애노드 및 테스트 스위치(10a)의 타단에 접속된 테스트 전류 생성 회로(10b)와, 일단이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캐소드에 접속된 저항(10c)과, 베이스가 테스트 전류 생성 회로(10b)의 출력에 접속되고, 컬렉터가 저항(10c)의 타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10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전 테스트 회로(10)의 출력인 트랜지스터(10d)의 이미터는, 테스트 권선(11)의 일단에 접속되고, 테스트 권선(11)의 타단은, 영상 변류기(3)를 관통한 후 정류 회로(52)의 출력 음측에 접속되어 있다.
누전 테스트 회로(10)와 테스트 권선(11)에 의해서, 누전 차단기가 정상인 것을 점검하기 위한, 누전 테스트 기능을 구성하고 있다.
누전 검출 회로(6)의 상세를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누전 검출 회로(6)는, 영상 변류기(3)에 접속되어, 영상 변류기(3)의 출력 신호로부터 교류 전로(1)의 전원 주파수보다도 높은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6a)와, 이 필터(6a)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어, 필터(6a)의 출력 신호의 출력 레벨을 판정하는 레벨 판정기(6b)와, 레벨 판정기(6b)의 출력 신호의 시간폭을 판별하는 신호폭 판별기(6c)와, 신호폭 판별기(6c)의 출력 신호를 소정 횟수 카운트하면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6d)와, 신호폭 판별기(6c)의 마지막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시간 후에 카운터(6d)를 리셋하는 타이머(6e)와, 카운터(6d)의 펄스 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칭 소자(8)를 구동하는 트리거 회로(6f)로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의 누전 테스트 동작을 위해, 테스트 스위치(10a)를 온 시켰을 경우에는, 테스트 전류 생성 회로(10b)에 제1 정전압 회로(7)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트랜지스터(10d)를 스위칭시킴으로써 저항(10c)을 통해서 테스트 권선(11)에 테스트 전류, 즉 누전 모의 전류가 흐른다. 테스트 권선(11)에 테스트 전류가 흐르면 영상 변류기(3)의 출력에 신호가 발생하고, 누전 검출 회로(6)에 의해 누전이라고 판별되면, 스위칭 수단(8)에 출력된다. 스위칭 수단(8)은 그 출력에 의해 온으로 되어 전원 회로(5)로부터 스위칭 수단(8)을 통해서 트립 코일(4a)에 여자 전류가 흘러, 트립 기구(4b)가 동작함으로써, 개폐 접점(2)이 개로되어, 누전 차단기(101)가 차단된다.
교류 전로 중의 교류 전압에 순간의 서지 전압이 중첩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교류 전압에 수 kV의 서지 전압이 중첩되면,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직렬 회로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은,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합계 제너 전압치를 넘으므로, 제2 제너 다이오드(54)도 온이 된다.
이때, 제2 저항(55)을 흐르는 전류 Ic는 통상시의 수십 ㎂~수백 ㎂와 비교하여 수십 mA로 커져, 제2 저항(55)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상승한다. 예를 들면 제2 저항(55)의 저항값이 100오옴 정도이고, 전류 Ic가 40mA 정도라고 하면,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는 4V 정도가 되어,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Vc=24V+4V=28V 정도가 된다.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통상시의 전압 21V 정도에 대해서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분인 4V 정도를 더하여, 25V 정도로 상승하려고 한다. 그러나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을 넘기 때문에, 제3 제너 다이오드(56)가 온 되어,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으로 억제된다.
또, 이때,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제너 전압 23V를 넘기 때문에, 제4 제너 다이오드(9a)가 온 되어, 테스트 전류 생성 회로(10b)에 전원이 공급되어, 트랜지스터(10d)를 스위칭시킴으로써 테스트 권선(11)에 테스트 전류를 흘린다. 테스트 권선(11)에 테스트 전류가 흐르면 영상 변류기(3)의 출력에 신호가 발생하는데, 이 영상 변류기(3)로부터의 누전 신호는,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필터(6a)에 의해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고, 레벨 판정기(6b)에 입력되어, 그 레벨이 판정된다. 누전 신호가 소정의 레벨 이상이면, 다음으로 신호폭 판별기(6c)에서 신호의 시간폭을 판별한다. 누전 신호의 시간폭도 판정치 이상이면, 추가로, 카운터(6d)에 의해, 타이머(6e)가 카운터(6d)를 리셋할 때까지 동안에 누전 신호가 대략 상용 주파수로 반복하고 있는 것을 카운트한다.
그렇지만, 서지 전압의 경우에는, 교류 전로 중의 교류 전압에 서지 전압이 중첩되는 시간이 매우 짧다(예를 들면, 1~2msec 정도). 그 때문에, 서지 전압에 의한 누전 신호는, 신호폭 판별기(6c)에 입력되어도 신호폭이 충분치 않아 신호폭 판별기(6c)로부터 출력되지 않거나, 또는, 신호폭 판별기(6c)로부터 출력되어도, 카운터(6d)에서 연속해 카운트되지 않아, 카운터(6d)로부터 펄스 출력되지 않는다. 즉,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2 소정치를 넘은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기 때문에, 트리거 회로(6f)의 출력은 온 되지 않아, 누전 차단기(101)는 차단 동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누전 차단기(101)는 차단 동작하지 않지만,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으로 억제되게 되어, 서지 전압으로부터 누전 검출 회로(6)나 트립 장치(4)는 보호된다.
다음으로, 교류 전로(1)에 연속적인 과전압이 중첩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교류 전로에 수 kV의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직렬 회로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은,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합계 제너 전압치를 넘으므로, 제2 제너 다이오드(54)도 온이 된다.
이때, 제2 저항(55)을 흐르는 전류 Ic는 통상시의 수십 ㎂~수백 ㎂와 비교하여 수십 mA로 커져, 제2 저항(55)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상승한다. 예를 들면 제2 저항(55)의 저항값이 100오옴 정도이고, 전류 Ic가 40mA 정도라고 하면,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는 4V 정도가 되어,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Vc=24V+4V=28V 정도가 된다.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통상시의 전압 21V 정도에 대해서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분인 4V 정도를 더하여, 25V 정도로 상승하려고 한다. 그러나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을 넘기 때문에, 제3 제너 다이오드(56)가 온 되어,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으로 억제된다.
또,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제너 전압 23V를 넘기 때문에, 제4 제너 다이오드(9a)가 온 되어, 테스트 전류 생성 회로(10b)에 전원이 공급되어, 트랜지스터(10d)를 스위칭시킴으로써 테스트 권선(11)에 테스트 전류가 흐르게 된다. 테스트 권선(11)에 유사 누설 전류가 흐르면 영상 변류기(3)의 출력에 신호가 발생하여,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필터(6a)에 의해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고, 레벨 판정기(6b)에 입력되어, 레벨을 판정한다. 연속적인 과전압의 경우에는, 소정의 레벨 이상이므로, 신호폭 판별기(6c)로 출력된다. 그리고 신호폭 판별기(6c)에서 신호의 시간폭을 판별하며, 누전 신호의 시간폭도 판정치 이상이므로, 추가로, 카운터(6d)에 의해, 타이머(6e)가 카운터(6d)를 리셋할 때까지 동안에 누전 신호가 대략 상용 주파수로 반복하고 있는 것이 카운트되므로 누전이라고 판별하여, 스위칭 수단(8)에 출력된다. 스위칭 수단(8)은 그 출력에 의해 온으로 되어 전원 회로(5)로부터 스위칭 수단(8)을 통해서 트립 코일(4a)에 여자 전류가 흘러, 트립 기구(4b)가 동작함으로써, 개폐 접점(2)이 개로된다. 개폐 접점(2)이 개로됨으로써, 전원 회로(5)로의 급전은 정지한다.
이와 같이,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교류 전로(1)에 인가되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2 소정치를 넘고, 그 제2 소정치를 넘은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어 누전 테스트 장치(10)를 구동시킴으로써, 누전 차단기(101)를 누전 차단 동작을 시킴으로써, 전원 회로(5)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전술과 같이 누전 검출 회로(6)는, 순간적인 서지에 의한 불요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누전 신호가 대략 상용 주파수로 반복하고 있는 것을 카운트하여 판별하는 기능에 의해, 순간적인 서지에 의한 과전압에서는 동작하지 않고, 소정 시간 이상 연속한 과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만 동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교류 전로(1)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52), 이 정류 회로(52)의 출력을 강압시키는 제2 정전압 회로(53), 정류 회로(52)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과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제너 다이오드(54), 이 제2 제너 다이오드(54)가 과전압을 검출했을 때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는 제2 저항(55)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5)와, 이 전원 회로(5)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1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서지 전류를 흡수하는 제3 제너 다이오드(56)와, 전원 회로(5)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5)의 정격 전압보다 높고 제1 소정치보다 낮은 제2 소정치에,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도달했을 때에 트립 장치(4)를 구동하는 과전압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누전 테스트 회로(10)를 가지므로, 내전압 시험 등 교류 전로(1)에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었을 경우더라도, 누전 차단기(101)를 차단시킴으로써, 누전 차단기(101)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누전 검출 회로(6)는 누전 신호가 대략 상용 주파수로 반복하고 있는 것을 카운트하여 판별하므로, 누전 테스트 회로(10)는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2 소정치를 넘은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했을 경우에 트립 장치(4)를 구동하게 되어, 순간적인 서지 전압에 의한 과전압에서는 동작하지 않아 불필요한 차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과전압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누전 테스트 회로(10)는, 통상, 누전 차단기가 필수 기능으로서 가지고 있는 누전 테스트 회로에, 과전압 검출 회로로서 제4 제너 다이오드(9a)를 부가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내전압 시험 등 교류 전로(1)에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어 일어나는 고장으로부터 저비용으로 누전 차단기(101)를 보호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를 이용한 직류용의 누전 차단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누전 차단기(10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과전압 검출 회로(9)를 직류용의 누전 차단기에 적용한 것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누설 전류 검출기로서 영상 변류기를 사용했지만, 누설 전류 검출기로서, 직류의 누설 전류가 검출 가능한 플럭스(flux) 게이트 센서(31)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인 여러 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플럭스 게이트 센서(31)는,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직류 전로(11)가 삽통(揷通)되는 환상(環狀)의 코어(31a)와, 코어(31a)에 감긴 코일(31b)과, 코일(31b)의 자속 밀도를, 방향을 반전시키면서 포화시키도록 코일(31a)에 양음 대칭의 구형파(矩形波)로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회로(31c)와, 코일(31a)을 흐르는 코일 전류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측정 전압으로부터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31d)를 구비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 마련하고 있던 정류 회로(52)는, 양극과 음극의 역접속시의 고장 방지를 위해서, 마련해도 좋지만, 직류 전로용으로는, 필수는 아니기 때문에 삭제하여, 전류 제한 저항(51)에 제2 정전압 회로(53)를 직접 접속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직류 전로(1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양측에 제2 정전압 회로(53)의 FET(53a)의 드레인이 접속되고, 직류 전로(1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음측에 제3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드 및 제2 저항(55)의 접속점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5)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정류 회로(52)에 의해 직류 전압화된 후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직류 전로(11)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정전압의 전력으로 강압시키는 제2 정전압 회로(53), 직류 전로(11)로부터의 과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제너 다이오드(54), 및 이 제2 제너 다이오드(54)가 과전압을 검출했을 때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는 제2 저항(55)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5)와, 이 전원 회로(5)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1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서지 전류를 흡수하는 제3 제너 다이오드(56)와, 전원 회로(5)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전원 회로(5)의 정격 전압보다 높고 제1 소정치보다 낮은 제2 소정치를 넘었을 경우에 트립 장치(4)를 구동하는 과전압 검출 회로(9)를 구비하므로, 내전압 시험 등 직류 전로(11)에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었을 경우더라도, 누전 차단기(102)를 차단시킴으로써, 누전 차단기(102)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직류용의 누전 차단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누전 차단기(103)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과전압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누전 테스트 회로(10)를 실시 형태 3에 나타낸 직류용의 누전 차단기에 적용한 것이다.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누설 전류 검출기로서, 직류의 누설 전류가 검출 가능한 플럭스 게이트 센서(31)를 사용하는 것으로, 또,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과전압 검출 회로(9)를 대신하여, 과전압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누전 테스트 회로(10)를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형태 2 및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인 여러 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3에서는 마련하지 않았던 정류 회로(52)를 양극과 음극의 역(逆)접속시의 고장 방지를 위해 마련하고 있다.
플럭스 게이트 센서(31)는, 직류 전로(11)가 삽통되는 환상의 코어(31a)와, 코어(31a)에 감긴 코일(31b)과, 코일(31b)의 자속 밀도를 방향을 반전시키면서 포화시키도록 코일(31a)에 양음 대칭의 구형파로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회로(31c)와, 코일(31a)을 흐르는 코일 전류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측정 전압으로부터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31d)를 구비한다.
누전 테스트 회로(10)는 캐소드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캐소드에 접속된 제4 제너 다이오드(9a)와, 일단이 제1 정전압 회로(7)의 출력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애노드에 접속된 테스트 스위치(10a)와, 일단이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캐소드에 접속된 저항(10c)과, 베이스가 테스트 스위치(10a)의 타단에 접속되고, 컬렉터가 저항(10c)의 타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10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전 테스트 회로(10)의 출력인 트랜지스터(10d)의 이미터는, 테스트 권선(11)의 일단에 접속되고, 테스트 권선(11)의 타단은, 플럭스 게이트 센서(31)의 코일(31a)을 관통한 후 정류 회로(52)의 출력 음측에 접속되어 있다.
누전 테스트 회로(10)와 테스트 권선(11)에 의해서, 누전 차단기가 정상인 것을 점검하기 위한, 누전 테스트 기능을 구성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의 누전 테스트 동작을 위하여, 테스트 스위치(10a)를 온 시켰을 경우에는, 제2 정전압 회로(53)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트랜지스터(10d)를 스위칭시킴으로써 저항(10c)을 통해서 테스트 권선(11)에 테스트 전류, 즉 누전 모의 전류가 흐른다. 테스트 권선(11)에 테스트 전류가 흐르면 코어(31a)의 출력으로부터 검출 회로(31d)에 의해 누전이라고 판별되면, 검출 회로(31d)로부터 스위칭 수단(8)에 출력된다. 스위칭 수단(8)은 그 출력에 의해 온으로 되어 전원 회로(5)로부터 스위칭 수단(8)을 통해서 트립 코일(4a)에 여자 전류가 흘러 트립 기구(4b)가 동작함으로써, 개폐 접점(2)이 개로되어, 누전 차단기(103)가 차단된다.
다음으로, 직류 전로(11)에 연속적인 과전압이 중첩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직류 전로(11)에 수 kV의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면, 실시 행태 2와 마찬가지로,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직렬 회로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은, 제2 제너 다이오드(54)와 제1 제너 다이오드(53b)의 합계 제너 전압치를 넘으므로, 제2 제너 다이오드(54)도 온이 된다.
이때, 제2 저항(55)을 흐르는 전류 Ic는 통상시의 수십 ㎂~수백 ㎂와 비교하여 수십 mA로 커져, 제2 저항(55)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상승한다. 예를 들면 제2 저항(55)의 저항값이 100오옴 정도이고, 전류 Ic가 40mA 정도라고 하면,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는 4V 정도가 되어, 제2 저항(55)과 제1 제너 다이오드(53b)에 걸리는 전압 Vc은, Vc=24V+4V=28V 정도가 된다.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통상시의 전압 21V 정도에 대해서 제2 저항(55)의 전압 강하분인 4V 정도를 더하여, 25V 정도로 상승하려고 한다. 그러나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을 넘기 때문에, 제3 제너 다이오드(56)가 온 되어,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제3 제너 다이오드(56)의 제너 전압(24V 정도)으로 억제된다.
또,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 Vd은 제4 제너 다이오드(9a)의 제너 전압 23V를 넘기 때문에, 제4 제너 다이오드(9a)가 온 되어, 트랜지스터(10d)를 온 시킴으로써 테스트 권선(11)에 유사 누설 전류가 흐르게 된다. 테스트 권선(11)에 유사 누설 전류가 흐르면 코어(31a)의 출력이 변화하고, 그 변화를 검출 회로(31d)가 누전이라고 판별하면, 검출 회로(31d)로부터 스위칭 수단(8)에 출력된다. 스위칭 수단(8)은 그 출력에 의해 온으로 되어 전원 회로(5)로부터 스위칭 수단(8)을 통해서 트립 코일(4a)에 여자 전류가 흘러 트립 기구(4b)가 동작함으로써, 개폐 접점(2)이 개로된다. 개폐 접점(2)이 개로됨으로써, 전원 회로(5)로의 급전은 정지한다. 또한, 검출 회로(31d)는 코어(31a)로부터의 출력의 변화가 소정 시간을 넘었을 경우에 누전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과전압이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인가되었을 경우, 누전 테스트 장치(10)를 구동시킴으로써, 누전 차단 동작을 시킴으로써, 전원 회로(5)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직류 전로(11)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정전압의 전력으로 강압시키는 제2 정전압 회로(53), 직류 전로(11)로부터의 과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제너 다이오드(54), 및 이 제2 제너 다이오드(54)가 과전압을 검출했을 때 제2 정전압 회로(53)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는 제2 저항(55)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5)와, 이 전원 회로(5)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제1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서지 전류를 흡수하는 제3 제너 다이오드(56)와, 전원 회로(5)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전원 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전원 회로(5)의 정격 전압보다 높고 제1 소정치보다 낮은 제2 소정치를 넘었을 경우에 트립 장치(4)를 구동하는 과전압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누전 테스트 회로(10)를 가지므로, 내전압 시험 등 교류 전로(1)에 과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었을 경우더라도, 누전 차단기(103)를 차단시킴으로써, 누전 차단기(103)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1: 교류 전로, 2: 개폐 접점,
3: 영상 변류기, 4: 트립 장치,
4a: 트립 코일, 4b: 트립 기구,
5: 전원 회로, 51: 전류 제한 저항,
52: 정류 회로, 53: 제2 정전압 회로,
53a: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53b: 제1 제너 다이오드,
53c: 제1 저항, 54: 제2 제너 다이오드,
55: 제2 저항, 56: 제3 제너 다이오드,
6: 누전 검출 회로, 7: 제1 정전압 회로,
8: 스위칭 수단, 9: 과전압 검출 회로,
9a: 제4 제너 다이오드, 9b: 적분 회로,
9c: 비교 회로, 100: 누전 차단기.

Claims (5)

  1. 전로(電路)를 개폐하는 개폐 접점과, 상기 전로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누설 전류 검출기와, 이 누설 전류 검출기에 접속되어, 상기 누설 전류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누전을 검출하는 누전 검출 회로와, 이 누전 검출 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개폐 접점을 개리(開離)시키는 트립(trip) 장치와,
    상기 전로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정전압의 전력으로 강압시키는 강압 회로, 상기 전로로부터의 과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 이 전압 검출 회로가 과전압을 검출했을 때 상기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는 승압 회로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를 구비한 누전 차단기;
    상기 전원 회로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제1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서지 전류를 흡수하는 전류 흡수 회로와,
    상기 전원 회로의 출력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전원 회로의 정격 전압보다 높고 상기 제1 소정치보다 낮은 제2 소정치를 넘었을 경우에 상기 트립 장치를 구동하는 과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2 소정치를 넘은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했을 경우에 상기 트립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트립 장치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사 누설 전류를 흘리기 위해 상기 누설 전류 검출기에 관통시킨 2차 권선을 구비하고,
    상기 과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2차 권선에 상기 유사 누설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누전 검출 회로를 작동시켜 상기 트립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흡수 회로는 제1 제너 다이오드이고,
    상기 강압 회로는, 상기 전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양측(positive side)에 드레인이 접속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게이트의 사이에 접속된 제1 저항과,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전로의 음측(negative side)의 사이에 접속된 제1 제너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게이트의 사이에 접속된 제2 제너 다이오드이고,
    상기 승압 회로는,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전로의 음측의 사이에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와 직렬로 접속된 제2 저항이고,
    상기 과전압 검출 회로는 제3 제너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KR1020150018569A 2014-08-22 2015-02-06 누전 차단기 KR101710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8897A JP6237533B2 (ja) 2014-08-22 2014-08-22 漏電遮断器
JPJP-P-2014-168897 2014-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537A true KR20160023537A (ko) 2016-03-03
KR101710776B1 KR101710776B1 (ko) 2017-02-27

Family

ID=5553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569A KR101710776B1 (ko) 2014-08-22 2015-02-06 누전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37533B2 (ko)
KR (1) KR101710776B1 (ko)
CN (1) CN105990818B (ko)
TW (1) TWI61254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877B1 (ko) * 2018-05-23 2019-06-27 주식회사 로젠시스 다기능 전기 보호 회로를 가진 알오에프(RoF) 기반의 플러거블 아날로그 광 송수신 장치
WO2024090590A1 (ko) * 2022-10-24 2024-05-02 (주)로젠시스 5세대 이동통신에 적합한 알오에프(RoF) 기반의 플러거블 아날로그 광 송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8204B2 (ja) * 2016-04-26 2021-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GB201608819D0 (en) * 2016-05-19 2016-07-06 Cooper Technologies Co Electronic device and surge handling
JP6660858B2 (ja) * 2016-09-06 2020-03-11 リンナイ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1798833B1 (ko) * 2017-07-27 2017-12-13 주식회사 신일라이팅 Led 누전차단기의 동작 방지를 위한 용량성 누설전류 저감장치
KR101845666B1 (ko) * 2017-07-27 2018-04-06 주식회사 신일라이팅 용량성 누설전류로 인한 led 누전 차단기의 동작방지 장치
KR102126314B1 (ko) * 2018-03-08 2020-06-24 엘에스일렉트릭(주) 누전 차단기 및 이에 착탈 가능한 아크 검출 장치
CN112106165B (zh) * 2018-05-15 2022-11-1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路断路器
JP7122677B2 (ja) * 2018-10-02 2022-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開閉器、及び開閉器の試験方法
KR102083600B1 (ko) 2018-11-19 2020-03-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 및 그 누전 차단기의 제어 방법
CN110376513A (zh) * 2019-07-10 2019-10-25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检修试验中心 一种直流高速开关内部燃弧耐受试验回路
CN110376516A (zh) * 2019-07-10 2019-10-25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检修试验中心 一种直流高速开关内部燃弧耐受试验方法
CN110609171B (zh) * 2019-10-09 2022-06-07 青岛鼎信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磁芯工作状态切换下的复杂剩余电流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307U (ko) * 1993-06-18 1995-01-04 신영종합시스템 주식회사 전자식 과전류 차단기
KR20080087654A (ko) * 2007-03-27 2008-10-01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검출 장치
JP2009095125A (ja) 2007-10-09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源回路及びこの電源回路を用いた漏電遮断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8500A (en) * 1981-04-27 1983-01-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Solid-state load protection system having an improved inverse time delay circuit
US5510945A (en) * 1994-01-31 1996-04-23 Siemens Energy & Automation Power supply for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JPH08279331A (ja) * 1995-04-04 1996-10-22 Fuji Electric Co Ltd 過電圧検出機能付漏電遮断器
JPH10191552A (ja) * 1996-12-25 1998-07-21 Fuji Electric Co Ltd 漏電遮断器の過電圧検出回路
JPH1169605A (ja) * 1997-08-19 1999-03-09 Tempearl Ind Co Ltd 過電圧保護機能付漏電遮断器
JP2001314031A (ja) * 2000-04-28 2001-11-09 Kawamura Electric Inc 漏電遮断器
US6671150B2 (en) * 2001-11-07 2003-12-30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for detecting an excessive voltage and tripping responsive thereto
JP4264817B2 (ja) * 2003-11-27 2009-05-2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4972998B2 (ja) * 2006-05-22 2012-07-1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4736949B2 (ja) * 2006-05-23 2011-07-2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4845910B2 (ja) * 2008-03-17 2011-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漏電遮断器
CN102035163A (zh) * 2010-12-10 2011-04-27 上海诺雅克电气有限公司 剩余电流保护器用的电源装置
CN102891471A (zh) * 2011-07-20 2013-01-23 姚福来 具有零偏、零火反接和火线漏接保护功能的三相断路器
DE102011080523A1 (de) * 2011-08-05 2013-02-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örlichtbogenschutzschalter mit Überspannungsschutz
JP5768741B2 (ja) * 2012-02-29 2015-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漏電遮断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307U (ko) * 1993-06-18 1995-01-04 신영종합시스템 주식회사 전자식 과전류 차단기
KR20080087654A (ko) * 2007-03-27 2008-10-01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검출 장치
JP2009095125A (ja) 2007-10-09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源回路及びこの電源回路を用いた漏電遮断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877B1 (ko) * 2018-05-23 2019-06-27 주식회사 로젠시스 다기능 전기 보호 회로를 가진 알오에프(RoF) 기반의 플러거블 아날로그 광 송수신 장치
WO2024090590A1 (ko) * 2022-10-24 2024-05-02 (주)로젠시스 5세대 이동통신에 적합한 알오에프(RoF) 기반의 플러거블 아날로그 광 송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90818B (zh) 2018-09-28
TW201608593A (zh) 2016-03-01
JP2016046063A (ja) 2016-04-04
KR101710776B1 (ko) 2017-02-27
JP6237533B2 (ja) 2017-11-29
TWI612548B (zh) 2018-01-21
CN105990818A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776B1 (ko) 누전 차단기
CN107800283B (zh) 有源钳位反激控制器及其电力供应系统和控制方法
JP6137982B2 (ja) 漏電遮断器
EP1376840A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JP4983523B2 (ja) 電源回路及びこの電源回路を用いた漏電遮断器
JP2016046063A5 (ko)
KR101463044B1 (ko) 보호 계전기용 자체 전원 공급회로
JP2009224198A (ja) 漏電遮断器
KR20130037486A (ko) 전원 공급 장치
KR101384422B1 (ko) 누전 차단기
CA3004038C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isable a trip circuit during self test i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s
US20130162242A1 (en) Dc & ac current detection circuit
JP2014199725A (ja) 回路遮断器の過電圧・不足電圧引き外し装置
KR101681696B1 (ko) 누전차단기의 전원 중첩 제어장치
JP6610173B2 (ja) 漏電遮断器
JPH1198835A (ja) Hブリッジ昇圧回路
JP6319456B2 (ja) 漏電遮断器
CN102324718B (zh) 一种漏电保护装置
JP3157386B2 (ja) 地絡検出装置
KR101509667B1 (ko) 무극성 누전차단기
KR102011740B1 (ko) 절연 불량 차단 장치
KR101864068B1 (ko) 지연 회로를 이용한 무전원 변류기 2차 단자 보호 장치
KR101705203B1 (ko) 한시 회로를 이용한 사고 상태 구별형 무전원 변류기 2차 단자 보호 및 경보 장치
KR20190085222A (ko) 보호 계전기용 전원 공급 장치
JP2004343848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