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486A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486A
KR20130037486A KR1020110101911A KR20110101911A KR20130037486A KR 20130037486 A KR20130037486 A KR 20130037486A KR 1020110101911 A KR1020110101911 A KR 1020110101911A KR 20110101911 A KR20110101911 A KR 20110101911A KR 20130037486 A KR20130037486 A KR 20130037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detected
switching unit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공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486A/ko
Priority to US13/372,417 priority patent/US20130088803A1/en
Publication of KR2013003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21Details concerning the disconnection itself, e.g. at a particular instant, particularly at zero value of current, disconnection in a predetermined or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9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with ti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개방하거나 폐쇄 동작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이면,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및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로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도한 전류로부터 전원 공급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 회로가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 정보 전달 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중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 전력, 정량화, 고화질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전극에 펄스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 SMPS) 등을 사용한다.
여기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란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과 같은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사인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컨버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 있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과도한 전류가 순식간에 인가되어 피해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도한 전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보호 회로를 구비하여 과도한 전류가 인가되는지 판단하고 과도한 전류가 인가되면, 전원 공급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보호 동작을 수행하였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는 인덕터나 트랜스포머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싱 저항, 센싱 저항에서 감지된 전압이 기준 전압(Vref) 이상이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보호 회로 및 보호 회로의 보호 동작에 의해 스위치 소자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보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센싱 저항에서 감지한 전압, 보호 회로의 보호 동작 유무 및 구동 회로에서 출력되는 스위치 소자의 게이트 전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는 과도한 전류 이외에 A 파형과 같이, 단일성의 노이즈(noise)가 인가되어도 보호 동작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노이즈로 인해 보호 회로가 오동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당 기술 분야에서는 과도한 전류와 노이즈를 구분하여 노이즈로 인한 보호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일정 시간 내에 과도한 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는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개방하거나 폐쇄 동작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이면,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 감지되면, 상기 스위칭부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운터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감지되는 상기 과전류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 감지되면,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한 상기 과전류의 횟수 정보를 리셋시키는 지연기를 더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시키는 보호기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상기 보호기에서 보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이면, 과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신호가 출력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 신호가 소정 횟수 이상 출력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는 센싱 저항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스위칭부의 소스(source)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이다.
한편, 상기 변환부는 상기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로 승압하는 인덕터이고, 상기 인덕터와 직렬로 연결되어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정류부; 상기 스위칭부에서 인가된 전압을 방전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개방하거나 폐쇄 동작하여 상기 승압된 전압을 상기 출력부로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또 한편, 상기 변환부는 1차 권선 및 상기 1차 권선으로부터 전원이 유도되는 2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이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에스엠피에스(SMPS) 방식을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에 따르면, 일정 시간 내에 과도한 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는지 판단하여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고, 이와 반대로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으로 감지되면, 감지된 과전류의 횟수를 리셋시켜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전원 공급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보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원 공급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보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 감지되는 경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는 경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전원 공급 장치가 부스트 컨버터인 경우, 전원 공급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및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원 공급 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100)는 변환부(110), 스위칭부(120),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 SMPS) 방식을 사용하는데,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란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과 같은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사인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컨버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변환부(110)는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로 변환하는 수단으로서,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로 승압하는 인덕터(inductor, L) 또는 1차 권선(L1) 및 1차 권선(L1)으로부터 전원이 유도되는 2차 권선(L2)을 갖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변환부(110)가 인덕터(L)이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부스트(boost) 컨버터(승압형 컨버터라고도 함)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변환부(110)가 트랜스포머이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플라이백(flyback) 컨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스트(boost) 컨버터 또는 플라이백(flyback) 컨버터에 대한 상세 동작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위칭부(120)는 변환부(11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개방(턴 오프(turn off))하거나 폐쇄(턴 온(turn on)) 동작하는 스위치 소자로서, 이러한 스위칭부(120)는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며,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나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부(130)는 스위칭부(120)에 걸리는 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Vref) 이상이면,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센싱 저항(132, Rs) 및 비교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저항(132, Rs)은 스위칭부(120)에 걸리는 전압인 스위칭부(120)의 소스(source)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비교기(134)는 센싱 저항(132, Rs)에서 감지한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센싱 저항(132, Rs)에서 감지한 전압이 기준 전압(Vref) 이상이면, 과전류의 발생을 감지하는 과전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전원 공급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t0)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t0)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스위칭부(120)를 개방시키고, 이와 반대로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t0)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 감지되면, 스위칭부(120)를 폐쇄시켜 전원 공급 장치(100)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킨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카운터(142), 지연기(144), 보호기(146) 및 제어 신호 발생기(148)를 구비하는데, 카운터(142)는 과전류가 감지된 횟수를 카운트한다. 다시 말해, 카운터(142)는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t0) 내에 감지되는 과전류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비교기(134)에서는 스위칭부(120)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Vref) 이상이면, 과전류 신호를 출력하는데, 카운터(142)는 비교기(134)에서 과전류 신호가 출력된 시점부터 과전류 신호가 출력된 횟수를 카운트하되, 일정 시간(t0) 내에 출력되는 과전류 신호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지연기(144)는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검출하고,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 감지되면, 카운터(142)에서 카운트한 과전류의 횟수 정보를 리셋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연기(144)는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검출하고, 경과된 시간이 일정 시간(t0)에 도달했을 때 카운터(142)에서 카운트한 과전류 신호의 횟수가 소정 횟수 미만이면, 카운터(142)에서 카운트한 과전류 신호의 횟수 정보를 리셋시키는 리셋 신호를 카운터(142)로 출력하여 카운터(142)에서 처음부터 과전류 신호를 다시 카운트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과전류 신호가 출력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t0) 내에 과전류 신호가 다시 들어오지 않으면, 지연기(144)에서는 리셋 신호를 출력하여 카운터(142)에서 카운트한 과전류 신호의 횟수 정보를 리셋시킴으로써 카운터(142)에서 처음부터 다시 과전류 신호의 횟수를 카운트하게 한다.
보호기(146)는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t0)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보호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 발생기(148)는 스위칭부(1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PWM(Pulse Width Modulation) 형식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 발생기(148)는 보호기(146)에서 보호 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칭부(120)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보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 감지되는 경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는 경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센싱 저항(132)에서 감지한 감지 전압(Vs), 비교기(134)에서 출력된 과전류 신호, 카운터(142)에서 카운터한 과전류 횟수, 지연기(144)에서 출력된 리셋 신호, 보호기(146)의 보호 동작 유무 및 스위칭부(120)로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F1 파형과 같이, 과전류 신호가 출력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도 과전류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지연기(144)에서는 리셋 신호를 출력하고, 카운터(142)에서는 카운트한 과전류 신호의 횟수 정보를 리셋시킨다. 그러면, 보호기(146)에서는 보호 동작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전원 공급 장치(100)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도 4a의 F2, F3 파형과 같이, 과전류 신호가 출력되고, 일정 시간(t0) 내에 과전류 신호가 소정 횟수 이상 출력되지 않으면, 지연기(144)에서는 리셋 신호를 출력하고, 카운터(142)에서는 카운트한 과전류 신호의 횟수 정보를 리셋시킨다. 그러면, 보호기(146)에서는 보호 동작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전원 공급 장치(100)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P1, P2, P3, P4 파형과 같이, 과전류 신호가 출력된 후, 일정 시간(t0) 내에 과전류 신호가 소정 횟수 이상 출력되면, 보호기(146)에서는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스위칭부(120)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즉, 스위칭부(120)로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전원 공급 장치(100)를 보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가 부스트 컨버터로 이루어진 경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전원 공급 장치가 부스트 컨버터인 경우, 전원 공급 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200)는 승압부(210), 스위칭부(220), 감지부(230), 제어부(240), 정류부(250) 및 출력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란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를 대표하는 회로 중 하나로서,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안정된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는 회로를 말한다. 이러한 부스트 컨버터는 승압형 컨버터라고도 하며, 입력단(Vin)과 출력단(Vout)의 접지(GND)가 동일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부스트 컨버터는 부하 측의 입장에서 볼 때, 부하로 전류가 주기적으로 흘러 들어오다 끊어지다를 반복하기 때문에 전류원(current-fed) 방식이라고도 하며, 출력단의 전류는 항상 입력단의 전류보다 작고, 회로의 동작 원리상 손실 성분이 없기 때문에 입력 전류 × 입력 전압 = 출력 전류 × 출력 전압의 관계식으로부터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항상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승압부(210)는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인덕터(inductor, L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인덕터(L1)는 스위칭부(220)가 폐쇄 동작하면, 입력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스위칭부(220)가 개방 동작하면, 충전된 출력 전압을 방전하여 출력한다.
스위칭부(220)는 승압부(210) 및 정류부(250)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제어부(2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출력 전압을 출력단(Vout)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칭부(220)에는 제어 신호 즉, 게이트 제어 전압(VG)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때 스위칭부(220)가 폐쇄 동작하면, 스위칭부(220)가 폐쇄 동작하는 동안은 직류 전압이 승압부(210)의 양단에 연결되어 전압의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승압부(210)의 전류는 스위칭부(220)의 드레인(Drain : D)단으로 유입되어 소스(Source : S)단으로 흐르게 된다.
만약, 스위칭부(220)가 개방 동작하면, 승압부(210)에 충전된 전압이 정류부(250)를 통해 출력부(260)로 전달되어 부하로 인가된다. 이러한 스위칭부(220)는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스위치 소자로서,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나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230)는 스위칭부(220)에 걸리는 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Vref) 이상이면,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센싱 저항(232, Rs) 및 비교기(2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저항(232, Rs)은 스위칭부(120)에 걸리는 전압인 스위칭부(220)의 소스(source)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비교기(134)는 센싱 저항(232, Rs)에서 감지한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센싱 저항(232, Rs)에서 감지한 전압이 기준 전압(Vref) 이상이면, 과전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40)는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스위칭부(220)를 개방시키고, 이와 반대로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 감지되면, 스위칭부(220)를 폐쇄시켜 전원 공급 장치(200)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킨다.
이러한 제어부(240)는 카운터(242), 지연기(244), 보호기(246) 및 제어 신호 발생기(248)를 구비하는데, 도 3에서 앞서 설명한 제어부(240)과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정류부(250, D1)는 인가되는 전압에 상응하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다이오드(diode)로 구성되고 인덕터(210)와 직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다이오드(D1)의 출력인 캐소드(cathode)단이 출력 전압(Vout)을 인가받는 부하와 연결된다.
출력부(260)는 승압부(210)에서 승압된 직류 전압을 방전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커패시터(C1)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 장치가 플라이백 컨버터(Fly Back converter)일 경우, 변환부(110)는 1차 권선(L1) 및 1차 권선(L1)으로부터 전원이 유도되는 2차 권선(L2)을 갖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트랜스포머는 PWM 제어 신호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을 1차 권선(L1)에서 2차 권선(L2)으로 유도하여 전압을 공급하며, 제어부(240)는 피드백된 소정 레벨의 출력 전압(F/B)에 따라 스위칭부(220)를 개방 또는 폐쇄 동작하여 출력 전압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200. 전원 공급 장치
110. 변환부 210. 승압부
120, 220. 스위칭부 130, 230. 감지부
132, 232. 센싱 저항 134, 234. 비교기
140, 240. 제어부 142, 242. 카운터
144, 244. 지연기 146, 246. 보호기
148, 248. 제어 신호 발생기

Claims (17)

  1.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개방하거나 폐쇄 동작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이면,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 감지되면, 상기 스위칭부를 폐쇄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감지되는 상기 과전류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미만 감지되면,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한 상기 과전류의 횟수 정보를 리셋시키는 지연기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시키는 보호기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상기 보호기에서 보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이면, 과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신호가 출력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과전류 신호가 소정 횟수 이상 출력되면,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는 센싱 저항을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스위칭부의 소스(source)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인 전원 공급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로 승압하는 인덕터인 전원 공급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와 직렬로 연결되어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정류부;
    상기 스위칭부에서 인가된 전압을 방전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개방하거나 폐쇄 동작하여 상기 승압된 전압을 상기 출력부로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1차 권선 및 상기 1차 권선으로부터 전원이 유도되는 2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인 전원 공급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에스엠피에스(SMPS) 방식을 사용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10101911A 2011-10-06 2011-10-06 전원 공급 장치 KR20130037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11A KR20130037486A (ko) 2011-10-06 2011-10-06 전원 공급 장치
US13/372,417 US20130088803A1 (en) 2011-10-06 2012-02-13 Powe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11A KR20130037486A (ko) 2011-10-06 2011-10-06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86A true KR20130037486A (ko) 2013-04-16

Family

ID=4804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911A KR20130037486A (ko) 2011-10-06 2011-10-06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88803A1 (ko)
KR (1) KR2013003748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21A (ko) * 2014-08-20 2016-03-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
KR20180017700A (ko)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부길전기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시스템
WO2019212146A1 (ko) * 2018-05-04 2019-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과부하 방지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70421A (ko) * 2019-12-04 202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피크 앤드 홀드 인젝터 드라이버의 배터리 단락 진단 장치
CN113643644A (zh) * 2021-10-14 2021-11-12 惠科股份有限公司 电流控制电路、显示面板驱动装置及显示装置
KR20220085539A (ko) * 2020-12-15 2022-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피크 앤드 홀드 인젝터 드라이버의 과전류 진단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8616B2 (ja) * 2016-09-30 2020-01-2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源制御装置
KR102595135B1 (ko) * 2017-01-09 2023-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34988B1 (ko) * 2017-09-08 2021-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230127837A1 (en) * 2021-10-26 2023-04-27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 detection-based control of regulation control parame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867B1 (ko) * 2005-05-18 2007-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구비한 led 구동회로
US7636227B2 (en) * 2006-04-21 2009-12-22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Noise immune over current protection with inherent current limiting for switching power converter
TW200849792A (en) * 2007-06-01 2008-12-16 Richtek Technolog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die area of a PWM controll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21A (ko) * 2014-08-20 2016-03-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이동 수단용 충전 장치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 방법
KR20180017700A (ko)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부길전기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시스템
WO2019212146A1 (ko) * 2018-05-04 2019-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과부하 방지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27420A (ko) * 2018-05-04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과부하 방지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15628B2 (en) 2018-05-04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overload protection circuit
KR20210070421A (ko) * 2019-12-04 202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피크 앤드 홀드 인젝터 드라이버의 배터리 단락 진단 장치
KR20220085539A (ko) * 2020-12-15 2022-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피크 앤드 홀드 인젝터 드라이버의 과전류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3643644A (zh) * 2021-10-14 2021-11-12 惠科股份有限公司 电流控制电路、显示面板驱动装置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88803A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7486A (ko) 전원 공급 장치
US10148188B2 (en) Clamp voltage detection and over-voltage protection for power supply topologies
US10284071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source
US10199942B2 (en) Controller and power supply
JP532045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における最大スイッチ電流を制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5223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current protection in DC-DC power converters
US9614448B2 (en)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JP696927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TWI448029B (zh) A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power conversion system under open circuit and / or short circuit conditions
US9837917B1 (en) X-cap. discharge method for flyback converter
KR101677729B1 (ko) 스위치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스위치 제어방법
US8390964B2 (en)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solated type power supply
US20140146581A1 (en) Power Controller with Over Power Protection
KR101422959B1 (ko) 역률 보정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
JP570779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の集積回路装置
CN107834855B (zh) 开关电源装置
US20160268908A1 (en) Power converter, switch control circuit and short circuit detection method for current sensing resistor of the power converter
KR20170118729A (ko) 전원 제어용 반도체 장치
US7826239B2 (en) Overload protection delay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US9520767B2 (en)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converter
KR20170118068A (ko) 전원 제어용 반도체 장치
US9735691B2 (en) Power supply device
EP1563595B1 (en) Power converter
JP6842252B2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その保護方法、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KR20130044979A (ko)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