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177A -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 방법 - Google Patents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177A
KR20160023177A KR1020140109080A KR20140109080A KR20160023177A KR 20160023177 A KR20160023177 A KR 20160023177A KR 1020140109080 A KR1020140109080 A KR 1020140109080A KR 20140109080 A KR20140109080 A KR 20140109080A KR 20160023177 A KR20160023177 A KR 20160023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
management
business
unit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619B1 (ko
Inventor
이승태
Original Assignee
(주)휴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코어 filed Critical (주)휴코어
Priority to KR102014010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619B1/ko
Priority to PCT/KR2015/008756 priority patent/WO2016028115A1/ko
Publication of KR2016002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영목표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설정된 경영 목표의 달성을 위해, 단기 또는 중장기 예산 또는 경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을 수립하는 경영플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영플랜방법은, 경영플랜부를 포함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에 의한 경영플랜방법에 있어서, 회사기본정보를 포함하는 경영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영목표 설정과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예산플랜과 예산조달플랜을 수립하는 경영플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설정된 경영 목표의 달성을 위해, 예산을 수립하고 회사의 자원을 배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수행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경영플랜의 수행 결과를 비교하여, 예산 수립 및 배부 계획을 재계획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경영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플랜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 방법{BUSINESS PLAN METHOD FOR SUPPORTING BUSINESS PLAN MANAGEMENT}
본 발명은, 경영계획관리지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영목표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설정된 경영 목표의 달성을 위해, 단기 또는 중장기 예산 또는 경영계획을 포함하는 경영플랜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작업에 의한 보고서 위주의 기업 경영 컨설팅은 컨설팅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경영 여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일회성 컨설팅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IT기술과 컨설팅 기술을 연계하여 객관적이고 정형화된 컨설팅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컨설팅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고, 급변하는 경영 여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38232호(2010. 12. 31)에서 제시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0007호에서는 사업과 재무에 관련한 전략의사 결정 문제에 대해 다루었으나, 기업 경영을 위한 의사 결정에 있어서, 사업과 재무에 관련한 전략의사 결정 문제뿐만 아니라 제품 생산 능력과 관련한 운영의사 결정 문제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0008호에서는 운영의사 결정을 위한 운영의사 결정 문제와 전략의사 결정을 위한 전략의사 결정 문제를 분석해 개별사업 타당성을 평가하여 사업 타당성이 있다 평가된 개별사업들이 조합된 다수의 전사 사업포트폴리오들을 생성하고, 이들을 분석해 최적의 전사 사업포트폴리오를 선택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형화된 기업 경영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운영 및 전략 의사 결정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고, 급변하는 경영 여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의사 결정 지원시스템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에 의해 최적의 전사사업 포트폴리오가 선택되어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시나리오가 수립된 경우에도, 예산을 수립하고, 수립된 예산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및 재수립 절차에 대한 정형화된 지원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아 선택된 시나리오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략적 의사결정 및 경영의사 결정에 의해 수립된 사업포트폴리오와 회사의 내생 및 외생적 변수와, 실적자료들을 이용하여 경영목표를 수립하고,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예산, 예산조달 플랜을 수립한 후, 일정 추정 기간 설정하여 예산플랜, 예산조달플랜 및 추정기간을 포함하는 경영플랜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 방법은, 경영플랜부를 포함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에 의한 경영플랜방법에 있어서, 회사기본정보를 포함하는 경영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영목표 설정과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예산플랜과 예산조달플랜을 수립하는 경영플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 방법은, 상기 경영계획관리 시스템이 경영기초정보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영기초정보설정부를 통해 회사기본정보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경영플랜 시 선택될 대상 정보들로 구성되는 경영기초데이터를 구비한 마스터체계를 수립하는 경영기초정보설정과정;을 상기 경영플랜과정 이전 수행되도록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영기초정보설정과정은, 회사기본정보설정부에 의해 회사의 축적된 결산서 정보를 입력하고, 회계시스템, 업종 DB 등의 타시스템 DB의 정보를 호출하여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계정들에 대한 추정 방법들을 입력하여 회사기본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사기본정보설정과정; 상기 회사 기본 정보로부터 업종을 설정하고, 전체 사업부와 아이템을 포함하는 전체 사업포트폴리오 정보를 입력하고, 회사의 COA계정을 정형화된 추정계정과 매핑하여 회계계정을 생성하여, 회사 경영플랜을 수립할 수 있도록 경영플랜 시 선택될 대상 정보들로 구성되는 경영기초데이터를 포함하는 마스터체계를 수립하는 마스터체계설정과정; 및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의 추정기간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프레임기초세팅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사기본정보설정과정은, 경영플랜 구성을 위한 외생변수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회사와 관련 외생변수를 입력하는 외생변수입력과정; 상기 결산서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결산서 입력과정; 회계시스템, 업종 DB 등의 타 시스템DB의 재무제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수신하여 결산서 정보로 제공하거나, 현재의 신용등급진단 또는 미래의 신용등급 예측을 위한 신용등급 분석을 위해 제공하며, 타업종 및 유사 동일 업종 데이터 비교분석으로 기업경영성과에 대한 포지셔닝 확인을 위한 비교 자료로 제공하는 타시스템DB호출과정; 및 상기 마스터체계설정과정에 의해 COA계정에 매핑된 추정계정별로 추정기간 내에서의 계정별 성과추정 및 재무결과예측을 위한 추정방법 또는 배부를 위한 배부로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추정계정별 성과에 대한 추정방법 또는 배부로직을 입력하는 배부로직 및 추정방법입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테체계설정과정은, 상기 경영플랜을 위한 회사의 업종을 선택하는 업종선택과정; 전사/사업부/아이템 단위의 포트폴리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사/사업부/아이템 단위의 포트폴리오를 입력하는 사업부 및 아이템구성과정; 및 상기 결산서의 회계계정(COA, code of account)을 상기 경영플랜을 통해 도출되는 상기 추정재무제표를 위한 추정계정에 매핑시키는 COA추정계정선택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영플랜과정은, 상기 경영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영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목표설정과정; 설정된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사업포트폴리오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사업포트폴리오선택과정; 상기 경영목표와 사업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외생변수구성과정; 추정된 추정계정별로 추정기간 내에서의 계정별 성과추정 및 재무결과예측을 위한 추정방법을 선택하는 추정방법선택과정; 상기 선택된 시나리오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매출플랜을 수립한 후, 매출 비용을 포함하는 예산을 생성하는 예산플랜과정; 및 상기 예산플랜과정에서 생성된 예산을 조달하기 위한 예산조달계획을 수립하는 예산조달플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산플랜과정은, 상기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매출을 분석하여 매출계획을 수립하는 매출플랜과정; 상기 매출플랜의 달성을 위한 매출원가 계획을 수립하는 매출원가플랜과정; 상기 매출플랜의 달성을 위한 생산 예산을 설정하는 생산플랜과정; 상기 매출플랜의 달성을 위한 구매 예산을 설정하는 구매플랜과정; 상기 매출계획의 달성을 위한 인력 예산을 설정하는 인력플랜과정; 및 상기 손익계산서의 계정 중 매출, 매출원가, 생산, 구매, 인력 플랜 이외의 유틸리티(utility) 경비와 일반 경비 등을 포함하는 기타비용을 추정하여 기타비용에 대한 플랜을 수립하는 기타비용플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산조달플랜과정은, 손익계산서계정 기반의 상기 예산플랜의 수행에 필요한 대차대조표의 자산 구성을 위한 자산 플랜을 수립하는 자산플랜과정; 상기 대차대조표 계정 중심의 자산플랜을 기반으로 하여 투자계획 및 자산처분 계획을 수립하는 투자플랜과정; 및 상기 자산플랜과 투자플랜을 기반으로 자산플랜과 투자계획 및 자산처분 계획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자금조달 계획을 수립하는 자금조달플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산플랜과정은, 상기 자금조달플랜과정과 상기 투자플랜과정에 의해 자금조달플랜 및 투자플랜이 수립된 계정 이외의 대차대조표 계정에 대한 예산조달을 수립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경영목표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설정된 경영목표의 달성을 위해, 예산을 수립하고 회사의 자원을 배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수행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경영플랜의 수행 결과를 비교하여, 예산 수립 및 배부 계획을 재계획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경영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영플랜부를 포함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영플랜방법의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영플랜부를 포함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영플랜방법의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각 구성이 컴퓨터로 실행되는 코드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으로 구축되며,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의 각 구성이 본 발명의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의 각 처리과정의 절차를 수행하므로, 도 1의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과 도 2의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을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영플랜 방법을 수행하는 경영기초정보설정부(100)와 경영플랜부(200)를 포함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 및 경영플랜 방법을 포함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영기초정보설정과정(S100)을 수행하는 경영기초정보설정부(100), 경영플랜과정(S200)을 수행하는 경영플랜부(200), 배부과정(S300)을 수행하는 배부부(300), 경영계획관리에 대한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시나리오생성과정(S350)을 수행하는 시나리오생성부(350), 생성된 시나리오의 이력을 관리하고 특정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시나리 이력관리 및 선택과정(S360)을 수행하는 시나리오이력관리 및 선택부(360), 생성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추정재무제표를 도출한 후 경영플랜과 경영플랜에 따른 추정결과의 차이 및 추정기간 동안의 실제 성과와의 차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모니터링 및 분석과정(S400)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및 분석부(400), 최적시나리오를 도출하는 최적시나리오선택과정(S460)을 수행하는 최적시나리오선택부(460)및 분석된 데이터를 경영기초정보설정부(100)와 경영플랜부(200)로 피드백하여 경영기초정보를 변경하고 새로운 경영플랜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피드백과정(S500)을 수행하는 피드백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경영기초정보설과정(S100)과 상기 경영플랜과정(S200)이 본 발명의 경영플랜방법을 이룬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경영기초정보설정부(100)는 회사의 축적된 결산서 정보를 입력 하고, 타시스템 DB의 정보를 호출하여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계정들에 대한 추정 방법들을 입력하여 회사기본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사기본정보설정과정(S110)을 수행하는 회사기본정보설정부(110);와, 상기 회사 기본 정보로부터 업종을 설정하고, 전체 사업부와 아이템을 포함하는 전체 사업포트폴리오 정보를 입력하고, COA계정을 추정계정과 회사의 COA계정을 정형화된 추정계정과 매핑하여 회계계정을 생성하여 회사 경영플랜을 수립할 수 있도록 경영플랜 시 선택될 대상 정보들로 구성되는 마스터체계를 수립하는 마스터체계설정과정(S120)을 수행하는 마스터체계설정부(120);와,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의 추정기간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프레임기초세팅과정(S130)을 수행하는 플랜프레임기초세팅부(130)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사기본정보설정부(110)는 경영플랜 구성을 위한 외생변수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회사와 관련 외생변수를 입력하는 외생변수입력과정(S111)을 수행하는 외생변수입력부(111)와. 상기 결산서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결산서 입력과정(S113)을 수행하는 결산서 입력부(113);와, 타 시스템의 재무제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수신하여 결산서 정보로 제공하거나, 현재의 신용등급진단 또는 미래의 신용등급 예측을 위한 신용등급 분석을 위해 제공하며, 타업종 및 유사 동일 업종 데이터 비교분석으로 기업경영성과에 대한 포지셔닝 확인을 위한 비교 자료로 제공하는 타시스템DB호출과정(S115)을 수행하는 타시스템DB호출부(115);와, 상기 마스터체계설정부(120)에 의해 COA계정에 매핑된 추정계정별로 추정기간 내에서의 계정별 성과추정 및 재무결과예측을 위한 추정방법 또는 배부를 위한 배부로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추정계정별 성과에 대한 추정방법 또는 배부를 위한 배부로직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배부로직 및 추정방법입력과정(S117)을 수행하는 배부로직 및 추정방법입력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사기본정보설정부(110)에 의한 회사기본정보설정과정(S110)은 경영계획관리 지원 절차의 진행을 위한 회사기본정보를 설정하거나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회사명, CEO명, 담당자, 설립연도, 업종 등의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전체 회사의 전사적 사업구조, 사업부 구조, 아이템(단위 사업 및 프로젝트 포함)들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이 후 경영계획관리를 위한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타시스템DB호출부(115)는 QuickBooks 또는 DUZON 등의 타 시스템의 재무제표 데이터 또는 회계시스템, 업종 통계 DB 등의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수신하여 결산서 정보로 제공하고, 현재의 신용등급진단 또는 미래의 신용등급 예측을 위한 신용등급 분석을 위한 비교자료로 제공하고, 타업종 및 유사 동일 업종 데이터 비교분석으로 기업경영성과에 대한 포지셔닝 확인을 위한 비교 자료로 제공하는 타시스템DB호출과정(S115)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체계설정부(120)는, 경영플랜을 위한 회사의 업종을 선택하는 업종선택과정(S121)을 수행하는 업종선택부(121);와, 전략적의사결정에 의해 도출된 전사/사업부/아이템 단위의 포트폴리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사/사업부/아이템 단위의 포트폴리오를 입력하는 사업부 및 아이템구성과정(S123)을 수행하는 사업부 및 아이템 구성부(123);와, 상기 결산서의 회계계정(COA, code of account)을 상기 경영플랜을 통해 도출되는 상기 추정재무제표를 위한 추정계정에 매핑시키는 COA추정계정선택과정(S125)을 수행하는 COA추정계정선택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터체계설정부(120)의 각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업종선택부(121)는 업종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업종선택과정(S121)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업종선택부(S121)에 의한 업종선택과정(S121)은 제조, 유통,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경영계획관리 대상 시나리오의 업종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상기 사업부 및 아이템 구성부(123)에 의한 사업부 및 아이템 구성과정(S123)은 아이템 또는 사업부 구성을 위하여 전략적의사결정에 의해 도출된 전사/사업부/아이템 단위의 포트폴리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사/사업부/아이템 단위의 포트폴리오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으로서, 입력된 사업부 또는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사업포트폴리오에서 추후 경영계획관리 대상인 사업포트폴리오를 선택하여 경영계획관리를 위한 시나리오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COA추정계정선택부(125)는 상기 결산서의 회계계정(COA, code of account)을 상기 경영플랜을 통해 도출되는 상기 추정재무제표를 위한 추정계정에 매핑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COA추정계정선택부(125)는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또는 자동으로 결산서입력부(113)부에 의해 입력된 회사의 수년간의 축적된 결산서 내에 포함되는 계정들을 추정재무제표 도출을 위한 회계계정으로 매칭시키거나 통합시키는 것에 의해 COA계정들을 추정재무제표의 회계계정으로 매핑시킨다. 이러한 매핑에 의해 업종별 다양한 회계계정 표기 및 구성 등을 표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처리과정이 COA추정계정선택과정(S125)이 된다.
상기 플렌프레임기초세팅부(130)는 경영플랜의 추정을 위한 추정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랜프레임기초세팅부(130)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여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의 추정기간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처리과정이 도 2의 플랜프레임기초세팅과정(130)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사기본정보설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내생변수 정보, 외생변수 정보, 회사정보, 축적된 결산서정보, 타시스템DB정보, 배부로직 또는 추정방법론 정보와, 마스터체계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되고 입력된 업종정보, 전략적의사결정에 의해 도출된 전체 사업포트폴리오정보, COA계정에 매핑된 추정계정정보 및 경영플랜의 추정을 위한 추정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이 경영기초정보로서의 경영기초데이터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경영플랜부(200)는 경영플랜과정(S200)을 수행하여, 경영목표, 사업포트폴리오, 경영목표달성을 위한 예산플랜 및 예산조달플랜을 포함하는 경영플랜을 수립하여 배부부(300)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영플랜부(200)는 경영목표설정과정(S210)을 통해 상기 경영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영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목표 설정부(210)와, 사업포트폴리오선택과정(S215)에 의해 설정된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사업포트폴리오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포트폴리오선택부(215)와, 외생변수구성과정(S220)에 의해 경영목표와 사업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외생변수구성부(220)와, 추정방법선택과정(S230)에 의해 추정된 추정계정별로 추정기간 내에서의 계정별 성과추정 및 재무결과예측을 위한 추정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추정방법선택부(230)와, 상기 선택된 시나리오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매출플랜을 수립한 후, 매출 원가를 포함하는 예산을 생성하는 예산플랜과정(S240)을 수행하는 예산플랜부(240) 및 상기 예산플랜부(240)에서 생성된 예산을 조달하기 위한 예산조달계획을 수립하는 예산조달플랜과정(S250)을 수행하는 예산조달플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영목표설정과정(S210), 외생변수구성과정(S220), 추정방법선택과정(S230), 예산플랜과정(S240) 및 예산조달플랜과정(S250)을 포함하여 상기 경영플랜과정(S200)을 이룬다.
상기 경영플랜부(200)의 각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경영목표 설정부(210)은 경영목표설정과정(S210)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결산서의 누적된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경영목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영목표 설정부(210)은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매출 목표, 당기순이익 목표, 보유 현금 목표, 부채비율 감소 목표, 목표 기업 가치 등의 설정을 수행한다. 이때 목표는 경영기초정보설정부(100)에서 입력된 회사의 누적 결산서 정보 및 타시템DB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다.
상술한 경영목표의 구체적 설정 방법으로는, 기업 기반의 과거 트랜드와 산업기반의 산업평균 또는 CEO의 의지 목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영목표의 대상은 매출 목표, 당기순이익 목표, 보유 현금 목표, 부채비율 감소 목표, 목표 기업 가치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핵심적인 경영목표가 수립된 후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매출 목표, 당기순이익 목표, 보유 현금 목표, 부채비율 감소 목표, 목표 기업 가치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사, 사업부별 매출 목표, 당기순이익 목표, 보유 현금 목표, 부채비율 감소 목표, 목표 기업 가치추정, 책임단위별 목표 배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전년도 성과를 참조하여 현금여력과 외부조달 필요규모 목표를 설정한다. 또한 기 수립된 경영플랜이 수행된 실적데이터가 업데이트된 경우에는 목표 대비 갭을 반영하여 차기 예산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외에도. 시장성과 벤치마킹 성과 대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경영 목표 설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영 목표 설정의 타당성 검증은 과거실적 또는 산업 평균 등과 비교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경영목표 설정부(2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과정이 경영목표 설정과정(S210)이 되며, 이러한 경영목표 설정과정(S210)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목표달성 여부를 검증하고, 사업전략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업포트폴리오선택부(215)는 경영기초정보설정부(100)에 의한 경영기초정보설정과정(S100)에 의해 저장된 사업포트폴리오들의 리스트를 출력함으로써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포트폴리오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포트폴리오선택과정(S215)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생변수구성부(220)는 경영기초정보설정부(100)에서 설정된 경영기초정보데이터 중 외생변수들 중에서 경영목표와 사업포트폴리오와 관련되어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들을 선택하여 경영플랜의 추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외생변수구성과정(S220)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추정방법선택부(230)는 추정재무제표의 추정계정별로 추정기간 내에서의 계정별 성과추정 및 재무결과예측을 위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추정방법선택부(230)의 추정방법은 추정모델링으로서 경영기초정보설정부(100)에 의한 경영기초정보설정과정(S100)에서 배부로직 및 추정방법입력부(117)의 배부로직 및 추정방법입력과정(S117)을 통해 입력된 추정방법들 중 해당 추정방법(추정방법론)을 선택하여, 선택된 추정방법을 디폴트 값으로 확정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중소기업 등의 기업규모가 작아 일반적인 추정방법론이 적용되어도 적정한 기업의 사용자는 시스템이 제시하는 적정한 추정방법 및 예측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업특성에 맞는 정교한 추정방법론이 필요한 경우 각 손익 계정별로 이를 모델링하여 시스템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모델링을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식이 있고, 주로 대기업의 경우에는 시스템 사용자 및 컨설턴트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일부 지원을 받거나 지원 없이 직접 시스템에 모델링을 연산식으로 입력하여 적용하는 방식이 활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처리과정이 도 2의 추정방법선택과정(S230)이 된다.
상기 예산플랜부(240)는 주로 손익계산서 계정을 추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매출을 분석하여 매출계획을 수립하는 매출플랜부(241)와, 상기 매출플랜부의 달성을 위한 매출원가 계획을 수립하는 매출원가플랜부(242)와, 상기 매출원가플랜부에 따른 생산 예산을 설정하는 생산플랜부(243)와, 상기 매출원가플랜부(242)에 따른 구매 예산을 설정하는 구매플랜부(244)와, 상기 매출계획의 달성을 위한 인력 예산을 설정하는 인력플랜부(245) 및 상기 매출원가, 생산비용, 구매 비용 및 인력 비용 이외의 손인계산서의 매출관련 기타비용 예산을 설정하는 기타비용플랜부(24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예산플랜부(240)의 예산플랜 수립 과정이 도 2의 예산플랜과정(S240)이 되며, 상기 예산플랜부(240)에 의한 예산플랜과정(S240)은 손익계산서계정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출플랜부(241)는 탑다운접근(Top down approach), 바텀업접근(Bottom up Approach) 및 가중평균(Weighted Average) 중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매출액을 추정한다. 또한, 매출에 대한 매출채권의 회전율 산출을 위한 매출채권과 선수수익에 대한 선수수익회전율의 추정을 위한 선수수익을 추정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매출채권과 선수수익이 현금 대신 수표(Check)로 반영될 수 있다.
상기 탑다운접근(Top down approach)은 전사/회사별/아이템별(선택 가능) 국내, 진출 국가별 해외 매출 또는 해외 전체 매출로 구분하여 분리된 단위별로 매출을 추정한다. 추정된 매출은 월별로 입력된다.
탑다운접근에 의한 국내 매출은 다음의 단계를 통해 추정한다.
첫 째, 전체 마켓 크기를 추정하고, 전월 GDP*(1+성장률)로 당월 GDP를 추정하며, 이후 GDP 대비 마켓 비율을 입력하여 마켓 사이즈를 추정한다. 둘 째, 가격*수량 방법을 적용하여 전체 시장 수량*단위 가격으로 추정한다. 셋 째, 첫 째와 둘 째 방법을 가중 평균하여 전체 마켓 크기를 추정하고, 전체 마켓 크기 대비 기업의 점유율을 ()%로 입력하여 매출을 추정한다. 네 번째, 국내 매출의 추정시에 과거 실적을 이용한 트랜드를 적용할 수 있다. 도한 다섯 번째, 동종 산업의 통계가 매출 추정에 적용될 수 있다.
진출 국가별 해외 매출 또는 해외 전체 매출 또한 다섯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매출을 추정한다.
첫 째, 세계 시장의 크기를 추정하여 단위가격에 수량을 곱하여 전체 해외 매출을 추정한다. 둘 째, 세계 시장의 크기에 환율을 적용하여 단위가격*수량*F/X(foreign exchange)에 의해 환율에 따른 해외 매출을 추정한다. 셋 째, 세계시장 크기 대비 기업의 시장 점유율을 ()%로 입력하여 기업의 해외 매출을 추정한다. 이 경우에도 국내 매출과 같이 과거 실적을 이용한 트랜드 추정과 동종 산업 통계가 활용될 수 있다. 진출 국가별 해외 매출의 경우도 상기 해외 전체매출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섯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매출을 추정한다.
상기 바텀업접근(Bottom up Approach)은, 전사/회사별/아이텝별(선택 가능) 국내, 해외 매출로 구분하여 분리된 단위별로 매출을 추정한다.
상기 바텀업접근에 의한 국내 매출은 판매계획, 수량, 단가계획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익을 추정한다. 해외 매출은 판매계획, 수량, 단가계획, 추정 환율을 적용하여 수익을 추정한다. 이 후 국내 매출과 해외 매출을 합산하는 것에 의해 기업의 매출을 추정한다.
상기 가중평균(Weighted Average) 방식은 탑다운접근방식과 바텀업접근방식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매출을 추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매출플랜부(241)에 의한 매출플랜 수립과정이 도 2의 매출플랜과정(S241)이 된다.
상기 매출원가플랜부(242)는 매출원가, 매입채무, 재고자산을 추정한다. 매출원가는 기업의 과거 매출실적 또는 동종/유사업종의 매출실적 대비 매출원가 비율 추정으로 원가의 단위 가격을 산정하고, 단위 가격*수량의 산식에 단위 가격과 수량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추정한다. 매입채무는 매출원가/매입채무 회전율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재고자산은 매출원가/재고자산 회전율에 의해 추정한다. 매출원가 플랜부의 경우도 매출플랜부의 매출추정과 같이 탑다운접근방식 또는 바텀업접근 방식이 선택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적용된다. 이렇게 추정된 매출원가에는 생산비용, 구매비용, 인력비용이 포함된다. 이러한 매출원가플랜부(242)의 매출원가추정 과정이 도 2의 매출원가플랜과정(S242)이 된다.
상기 생산플랜부(243)는 제조업의 경우로서 구매 플랜부와 연계되어 사전원가추정, 생산과 구매의 프로세스 누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산플랜부(243)는 가동률(가동일수), 기초재고, 적정재고, 생산계수를 연계추정한다. 그리고 원재료-반제품-완성품 프로세스에 따라 각각을 추정한다. 이 경우 반제품은 공정의 복잡도에 따라 여러 단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장의 역량(capacity), 정비, 매각, 증설 등의 투자계획에 따라 생산가능 수량의 변동을 추정한다. 이 후 원재료비, 부재료비, 전기료 등의 임가공비는 롤업(roll-up)한다. 품번별 공정활동 단가(routing activity)와 제품구성표(BOM: bill of Material) 또한 추정한다.
상술한 생산플랜을 수립하는 과정이 도 2의 생산플랜과정(S243)이 된다.
상기 구매플랜부(244)는 사전원가 추정, 구매다원화 관리, 구매구조 최적화를 통한 비용 절감을 위한 구매플랜(유통 계획)을 수립한다. 이러한 구매플랜은 제조업의 경우 생산플랜과 연계되고, 비제조업의 경우 매출플랜에 직접 연계된다. 구체적으로 매출 단위별 구매 계획을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 월별로 입력하거나 경영기초정보설정부(100)에서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매출플랜부나 생산플랜부에서 설정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처리에 의해 추정하여 이를 구매와 연계한다. 매출단위별 구매 계획은 서비스업의 경우 외주비, 물류업의 경우 상품 구매, 제조업의 경우 원재료 구매에 대한 계획이 된다. 또한 구매수량과 재고를 연계하여 추정한다. 재고는 기초재고, 기말재고, 구매량, 출고량 등을 추정하고, 기말재고와 과거의 적정재고의 갭을 이용하여 현재를 포함하는 미래의 적정재고를 추정한다. 상기 현재를 포함하는 미래의 적정재고 추정은 경영자의 경험이나 산업평균 재고 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자재 및 원부자재의 소요량을 추정하며, 이 경우 계절적 영향을 고려한 구매 패턴을 파악하여 적용한다. 공급자, 아이템, 구매수량 및 구매단가 계획을 수립한다. 대량구매와 구매 다원화 계획을 선택적으로 수립한다. 외상매입, 입금계획 일정, 수표 사용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추정한다. 또한, 거래처별 지급조건을 추정한다. 추정된 구매플랜에는 재고관리 방침이 반영된다. 이러한 구매플랜을 수립하는 과정이 도 2의 구매플랜과정(S244)이 된다.
상기 인력플랜부(245)는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 매출 단위별 인력 투입 계획을 입력하고, 연봉(인건비) 등의 인건비성 경비를 입력하며, 직급별/원가중심점(cost center) 별/직책별로 인원수, 맨아워(공수; man hour)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인력플랜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직접비와 간접비를 선택한다. 이때 생산 인력은 제조원가에 포함되고 판매조직 인력은 판관비 계획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인력 플랜이 수립되며 이러한 인력 플랜을 수립하는 과정이 도 2의 인력플랜과정(S245)이다.
상기 기타비용플랜부(247)는 손익계산서의 계정 중 매출, 매출원가, 생산, 구매, 인력 플랜 이외의 유틸리티(utility) 경비와 일반 경비 등을 추정한다. 이 경우에도 수량, 단위가격 및 환율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수량*단위가격*F/X의 식에 의해 각 기타 계정의 비용이 추정된다. 이때 공장 시설의 감가상각비는 제조원가로 되고, 사무실의 감가상각비는 판관비 계정으로 추정된다. 상기 기타비용플랜부(247)에 의한 기타비용 플랜의 수립 과정이 도 2의 기타비용플랜과정(S247)이 된다. 이러한 기타 비용플랜은 기업의 과거 매출실적 대비 비율 또는 동종/유사업종의 매출실적 대비 비율 추정으로 전체 기타 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월별 특성을 반영하여 배부하여 산정한다.
상기 예산조달플랜부(250)는, 손익계산서계정 기반의 상기 예산플랜의 수행에 필요한 설비, 재고자산 등 대차대조표의 자산 구성을 위한 자산 플랜을 수립하는 자산플랜부(251), 대차대조표 계정 중심의 자산플랜을 기반으로 하여 투자계획 및 자산처분 계획을 수립하는 투자플랜부(253), 자산플랜부(251)와 투자플랜부(253)을 기반으로 자산플랜과 투자계획 및 자산처분 계획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자금조달 계획을 수립하는 자금조달플랜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산플랜부(251)는 손익계산서 계정을 기반으로 영업활동 등 예산플랜의 수행에 필요한 설비, 재고자산 등의 고정자산 및 매출채권 등 유동자산 등의 대차대조표 자산 구성을 위한 자산플랜을 수립과정이 도 2의 자산플랜과정(S251)이 된다. 상기 자산플랜과정(S251)은 상기 자금조달플랜과정과 상기 투자플랜과정에 의해 자금조달플랜 및 투자플랜이 수립된 계정 이외의 대차대조표 계정에 대한 예산조달을 수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자플랜부(253)는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영업활동에 필요한 자산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계획 및 자산처분손익, 자산삼각손익 계정을 반영한 자산처분계획을 입력하고, 투자자산유형 및 내용연수를 선택한 후, 투자비를 입력하면, 월별, 프로젝트별, WBS(Work Breakdown Structure) 별, 통화별 투자액, 매각액, 자산대체 시기 등과, 금융자산 수금액, 지급액, 수입이자, 배당금, 투자액, 처분액, 자본적지출, 감가상각, 건설가계정, 자산대체 등이 추정되도록 구성된다.
유무형자산의 추정은 대차대조표의 처분가액, 장부가액 계정에서 기존유무형자산을 추출하고, 취득가액과 감가상각 내용연수를 입력하면 신규유무형자산이 유무형자산으로 추정된다.
감가상각비추정은 대차대조표 계정의 (유무형자산*감가상각률)의 식에 의해 기존유무형자산 감가상각비가 추출되고, (취득가액/내용연수)의 식에 의해 신규유무형자산 감가상각비가 추정된다.
처분이익 손실은 (기존유무형자산 처분가 ?? 장부가 합계)에 의해 추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투자 플랜의 수립 과정이 도 2의 투자플랜과정(S253)이 된다.
상기 자금조달플랜부(255)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전사 차입금 유형이 선택되고 차입금 계획이 입력되면, 기존 또는 신규, 단기 또는 장기 차입금이 대차대조표(BS)의 잔액, 상환, 이자 계정을 기반으로 하여 추정되고 부족자금이 도출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최소현금보율(Minimum Cash Required)이 매출 대비 또는 재고자산 대비 등의 방식으로 입력되고, 최대 단기차입금(Maximum short term Debt)이 입력되면 차입금 계획(Borrowing needed)에서 입력한 단기차입금을 차감하여 필요한 신규 장기 차입금(New Long term debt)이 추정된다. 자기자본의 경우 당기순이익과 배당형태 등을 반영하여 추정된다. 상기 자금조달플랜부(255)에 의한 차입금, 자기자본의 추정 과정이 도 2의 자금조달플랜과정(S255)이 된다.
상기 배부부(300)는 상기 경영플랜의 수행을 위한 공통비와 간접비를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을 분할 배부하는 배부과정(S3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부부(300)는 배부로직선택부(310)와 배부로직연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부로직선택부(310)는 출력된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회사/사업부/아이템별 IS(손익계산서)/BS(대차대조표)/CF(현금흐름표)에 대한 기 설정된 배부로직이 선택된다. 상기 배부로직은 배부로직 및 추정방법입력부(117)에 의해 미리 입력된 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 이 때, 추가배부로직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각 배부는 재무회계 기준이 아닌 관리회계기준 배부로직도가 조직별, 제품별, 거래처별로 적용된다. 그리고 간접비 및 사내이자, 공통자산, 부채, 자본(내부 거래 포함)의 배부로직이 선택된다. 이에 의해 손익계산이 조직별 제품별 거래처별로 관리된다. 이러한 배부로직의 선택이 도 2의 배부로직선택과정(S310)이 된다.
상기 배부로직연산부(320)는 상기 배부로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대차대조표의 자산, 부채, 자본, 그리고 손익계산서의 간접비 등이 회사, 사업부, 아이템 별로 배부된다. 상술한 계정별 배부의 도출이 도 2의 배부로직연산과정(S320)이 된다.
상술한 배부로직선택부(310)에 의한 배부로직선택과정(S310), 배부로직연산부(320)에서 배부로직연산과정(S320)을 수행하여 도출되는 배부는 책임단위별 성과관리를 명확히 하고, 미래경영성과의 예측 및 BS 기반 구분회계를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기업의 성과평가 지표의 분자는 대체로 손익계산서 계정이 구성되고, 분모에는 대차대조표 계정이 구성된다. 배부로직은 기업의 손익계산서에 의한 성과분석 및 평가가 아니라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를 연계하여 성과분석 및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므로 대차대조표를 구성하는 자산 대비 손익계산서의 수익성과를 분석 평가함으로써 단순한 수익성과의 차이뿐만 아니라 수익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투여된 자산을 고려한 투여자산 대비 수익성과를 분석 평가하는 장점이 있어 기업의 책임회계단위 별 책임경영성과를 보다 직접적으로 분석,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시나리오생성부(350)는 사업포트폴리오와 상기 사업부 및 아이템 구성부(123)에 의해 입력된 아이템 또는 사업부와, 상기 경영목표와 경영플랜 추정 기간을 포함하는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예산플랜과 예산조달플랜 및 배부정보를 취합하여 경영플랜 수행을 위한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시나리오생성과정(S350)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나리오란 거시경영환경지표, 우발사태, 업종의 라이프 사이클 등의 외부환경 예측 및 이에 따른 전략 목표 설정,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경영플랜 대상 사업부/아이템 구성, 매출플랜, 매출원가 플랜, 투자플랜 등의 추정을 위한 실행계획,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예산조달플랜의 실행계획 등을 포함하여 신용평가기관/정부 세금보고/ 투자자 등의 외부 이해관계자 또는 실무자, 부문별 임원, 대표 등의 내부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차별적 경영플랜 등을 포함한다, 또한 경영플랜 추정 및 분석 시기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시나리오는 외부환경 및 업종의 라이프싸이클에 따른 매출액의 변화가 주요 구성기준이 된다. 하지만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내부대응관리 차원에서도 시나리오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내부 대응관리차원의 대표적인 시나리오가 사업포트폴리오로 구성이다.
기업에 따라서는 전사, 사업부, 아이템(프로젝트) 별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매출 목표 설정 및 매출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 계획에 대한 추정재무제표를 도출한다.
따라서 상기 시나리오 생성부(350)에 의한 시나리오 생성과정(S350)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시나리오의 등록, 시나리오 이름, 시나리오 설명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경영목표를 위한 추정재무제표 도출을 위한 추정기간을 입력받아 시나리오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경영목표 설정부(210)에서 설정된 매출, 사업, 구매, 생산 조합 등의 정보가 선택되어 포함되는 것에 의해 다차원 시나리오 생성이 가능해 진다. 또한, 각 플랜 영역별 다각적 구성에 의해 다각적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여러 전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나리오 생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업종별 상황 시나리오 풀(pool)을 구성한다. 그리고 시나리오 풀에서 시나리오를 선택한다.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한 시나리오 변수를 구성한다. 주로 시장, 시장점유율, 판매수량, 판매단가 등 매출 및 구매단가 등의 매출원가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환율, 금리 또는 유가 등의 외부경영환경변수와 전재, 리콜, 파업, 설비가동 중단 등의 우발변수를 포함하는 시나리오변수가 조합 구성된다. 이 후 외부경영환경변수 및 우발변수의 각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재무제표 계정들이 선택되는 것에 의해 시나리오 변수에 영향을 받는 계정들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선택된 계정들에 대하여 비관 ~ 낙관 등에 대하여 5척도 등의 기준 값을 설정하여 각 시나리오 변수별 선택된 계정들에 대한 영향도를 추정한다. 그리고 각각의 척도 기준 값을 참조하여 시나리오 변수별 영향계정의 영향도를 연도별/월별로 배치한다. 시나리오 변수와 별개로 업종별 라이프 사이클 단계를 설정하여 연도별/월별로 배치한다. 상기 업종별 라이프사이클은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후 업종별 라이프사이클의 단계별로 영향을 받는 영향 계정별 영향도 값(수준)을 설정한다. 상기 영향도는 낮음, 중간, 높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별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영향도 값을 도출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시나리오는 정부, 회계결산 및 세금보고용, 신용평가기관 제출용, 투자자 제출용으로 외부 이해관계자별 요청에 대응하여 별도의 시나리오 구성 및 활용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실무자의 원천 계획 작성용, 기업의 영업/ 생산/ 구매/ 인력/ 투자/ 자금관리 등 각 실무책임자 및 부문 임원 작성 관리용, 대표 작성 관리용, Owner가 기업의 경영진이 작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이 의도하는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그들을 통제하고 가이드하기 위한 시나리오 등의 기업 내부관리를 위한 별도의 시나리오들이 생성되고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이해관계자 또는 내부 관리를 위한 시나리오들의 경우에는 각 목적에 따라 외생변수 값이나 배부로직 또는 추정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시나리오의 결과 값은 시나리오 변수와 Life cycle 단계별 연도별/ 월별 입력된 영향도를 반영하여 시나리오에 연계된 영향계정별 영향도가 반영된 계정별 추정방법을 적용한 후, 추정재무제표 연산 로직에 반영하여 연산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도출한다. 그리고 시나리오별 추정재무제표가 도출되며 이를 활용하여 해당 시나리오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분석이 이루어진다.
또한, 시나리오의 구성은 사업포트폴리오 외에도 다차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복수의 시나리오가 동시에 도출되어 서로를 비교하여 시나리오의 차별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최적 시나리오 구성 및 목표 대비 실행성과의 갭을 해소하는 실행계획(대안)의 비교우위를 선별하여 최적화대안을 도출 할 수 있다.
상기 시나리오이력관리 및 선택부(3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시나리오들의 이력을 관리하고,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추정재무제표 계정들의 추정을 위한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이력관리 및 선택과정(S213)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생성된 시나리오들은 트리 구조의 폴더 형식으로 저장되어 관리되며, 차후에 특정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경영플랜에 대한 추정을 재수행할 수 있고, 경영기초데이터, 경영플랜, 배부 등의 수정에 의한 시나리오의 수정도 가능하다.
상기 재무전망연산시뮬레이션부(370)는 생성된 시나리오의 경영기초정보, 경영목표, 매출플랜, 예산플랜, 예산조달플랜, 배부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기간 동안의 추정재무제표를 도출하는 재무전망연산시뮬레이션과정(S370)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무전망연산시뮬레이션부(370)는 생성된 시나리오의 경영기초정보, 경영목표, 매출플랜, 예산플랜, 예산조달플랜, 배부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재무제표의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및 현금흐름표의 지정된 계정에 대하여 추정기간 동안의 경영플랜의 수행에 의한 성과로서 계정 값들을 추정하는 재무전망연산과정(S371)을 수행하는 재무전망연산부(371), 추정된 계정들을 근거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및 현금흐름표의 전체 계정을 추정하여 추정재무제표를 생성하는 추정재무제표도출과정(S373)을 수행하는 추정재무제표도출부(3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재무전망연산부(371)는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출력되는 각 플랜부에서 내재화된 추정 로직을 선택함으로써 추정재무제표의 각 계정을 연산하여 생성한다. 즉, 각 플랜부의 추정 로직을 선택하는 입력된 경영기초정보와 각 플랜부의 플랜 정보를 기반으로 시스템 내부에 탑재된 연산 엔진이 자동으로 추정재무제표의 각 계정에 대한 추정 연산을 수행하여 상술한 추정재무제표 중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에서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설정된 추정계정의 값들을 연산하여 추정하는 과정이 도 2의 재무전망연산과정(S371)이다.
상기 추정재무제표도출부(373)는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에서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설정된 추정계정들의 추정된 값들을 이용하여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및 현금흐름표의 전체 계정을 도출하는 엔진으로 구현되어 내장된다.
상기 추정재무제표도출을 위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및 현금흐름표의 전체 계정의 도출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손익계산서(IS)는 각 계정별로 추정모델에 의해서 추정한다.
이 때 신규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이 추후 순환로직의 적용을 받는다.
2) 대차대조표(BS)는 주로 IS의 매출 또는 매출원가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추론된다.
즉 ① 발생하는 매출 변동에 따른 영업활동을 위한 설비자산, 재고자산, 매출채권 등 대차대조표 자산계정의 변동이 추정되며, 대차대조표 부채계정에서는 매입채무 등의 유동부채 변동이 추정된다. 고정부채는 차입금 유형에 따라 입력된 차입금 계획을 반영하고, 자기자본의 경우 IS의 당기순이익의 증감에 따라 자본의 증감이 이루어진다.
이에 함께 ② 매출 증가 및 감소와 연동하여 변동하는 영업활동을 위한 설비자산, 재고자산, 매출채권, 매입채무의 규모의 증가에 따라 신규투자비용이 증가분이 기존에 입력된 차입금계획과 당기순이익의 증가로 충분히 감당되지 않을 때 신규부채의 증감 및 자본의 증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현금흐름표의 추정결과를 반영하여 이루어진다.
3) 현금흐름표(CF)의 추정
CF는 상기 ①은 CF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상기 ②는 CF의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연계되어 처리된다.
그리고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외부차입금의 상환일정에 따른 현금유출이 발생하는데 이는 ③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나타난다.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① CF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② CF의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반영하여 기존 또는 신규, 단기 또는 장기 차입금이 대차대조표(BS)의 잔액, 상환, 이자 계정을 기반으로 하여 추정되고 부족자금이 도출된다. 구체적으로 최소현금보율(Minimum Cash Required)이 매출 대비 또는 재고자산 대비 등의 방식으로 입력되고, 최대 단기차입금(Maximum short term Debt)이 입력되면 차입금 계획(Borrowing needed)에서 입력한 단기차입금을 차감하여 필요한 신규 장기 차입금(New Long term debt)과 자기자본이 추정된다.
회사에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현금흐름이 잉여의 현금흐름일 경우 추가적인 신규차입금 발생이나 자본금의 증가가 필요하지 않지만 부족의 현금흐름이 발생할 경우 신규차입금의 발생이나 자본금의 증가가 필요하다. 특히 신규차입금이 발생할 경우 이는 IS에 신규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을 발생시키고, 증가된 이자비용 만큼 CF의 신규차입금의 발생이 추가도 필요하게 되며, 이에 추가 이자비용이 발생되는 순환로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BS의 부채계정에 신규차입금의 증가도 순환로직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추정재무제표 연산구조와 로직에 의해 IS의 계정 별 모델에 의해 산출된 결과 값 및 입력 값, BS의 일부계정 별 모델에 의해 산출된 결과 값 그리고 CF의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중 기존 차입금의 상환규모와 스케줄을 입력하였을 경우 자동적으로 추정재무제표가 연산되어 도출된다. 따라서 IS, BS, CF가 연계되는 추정재무제표 연산은 기업별 특성에 따라 매출, 원가, 수익 등의 IS 계정상의 특수한 추정모델이나 BS의 설비자산, 재고자산, 매출채권 등 자산계정과 매입채무 등 부채계정의 특수한 추정모델에 관계없이 추정 결과 값에 근거하여 IS, BS, CF가 연계되는 추정재무제표를 연산한다는 특징이 있다. 즉, 기업이 속한 업종, 매출, 비용, 수익구조의 특성은 상기 재무연산과정에 반영되며, 추정재무제표도출과정은 재무전망연산과정에 의해 추정된 계정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업종, 수익구조 및 비용구조에 상관없이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및 현금흐름표의 계정들을 추정하여 추정재무제표를 도출하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IS, BS, CF의 순환로직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반복횟수를 시행하거나 최초 신규차입금 발생 시 수반되는 이자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정도로 1회에 한하여 책정함으로써 순환참조의 로직을 끊을 수 있다.
상기 추정재무제표 연산엔진으로 구성되는 추정재무제표도출부(373)의 특징은 IS, BS, CF가 연계되는 추정재무제표 연산이 1기에 국한하여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2기 이상의 복수의 추정재무제표 산출에 적용된다. 이때 2기 이상 연속적으로 추정되는 추정재무제표 연산의 검증은 2기 연속되는 대차대조표의 대변인 자산계정과 차변인 부채와 자본의 합계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서 검증된다.
추정재무제표는 기업의 경영성과와 재무관리 상 제반 모니터링 및 분석의 근간이 되는 것이므로 추정재무제표 연산 엔진은 기업의 경영성과와 재무관리 상 제반 모니터링 및 분석의 핵심 엔진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추정재무제표도출부(373)는 상기 재무전망연산부(371)에서 추정된 추정재무제포의 각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사(회사)/사업부/아이템별 IS(손익계산서)/BS(대차대조표)/CF(현금흐름표)를 도출한 후 최소 단위별로 별도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CEO, 사업부, 영업조직, 자금도 활용도가 높도록 설정 및 경영플랜이 구조적으로 연계되는 것에 의해 실시간으로 추정재무제표가 도출된다. 이 과정에서 시나리오 생성부에서 생성된 시나리오별로 단기 또는 중장기의 구분 없이 추정재무제표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시나리오에 단일 사업을 입력하는 경우 사업타당성이 추정된다. 사업부 단위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업부 성과가 예측된다. 그리고 전사 입력 시에는 전사 성과가 예측된다.
이러한 추정재무제표의 도출 과정이 도 2의 추정재무제표도출과정(S373)이 된다. 상술한 추정재무제표도출과정(S373)에 의해 경영플랜과 예산관리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고, 경영계획과 총예산의 산출, 단기의 월별 경영계획의 수립,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경영성과 예측이 가능해 진다.
상기 재무전망연산부(S371)의 재무전망연산과정(S371)과 상기 추정재무제표도출부(373)의 추정재무제표도출과정(S373)이 재무전망연산시뮬레이션과정(S370)이 된다.
상기 모니터링 및 분석부(400)는 추정재무제표에 의해 추정된 경영 성과와 추정기간 동안의 실제 경영 성과를 비교하여 경영플랜과 실제성과의 차이를 분석하는 도 2의 모니터링 및 분석 과정(S4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니터링 및 분석부(400)는, 상기 추정재무제표도출부(373)에 의해 추정된 경영성과와 추정 기간 동안의 실제 경영성과를 비교하는 추정성과분석부(420)와, 상기 추정성과분석부(420)에서 도출된 재무비율정보와 실제경영성과 정보를 비교하여 신용등급과 자금조달 비용을 분석하여 추정성과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추정성과평가부(430)와 상기 추정성과분석부에서 분석된 자금조달 설정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금 조달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개선된 자금 조달 플랜을 출력하는 자금조달시뮬레이션부(440)와, 추정재무제표도출부(373)의 추정자료와 상기 추정성과분석부의 분석자료와 상기 추정성과평가부에서 분석된 신용등급 및 자금조달비용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기업가치산정부(450) 및 상기 추정재무제표도출부(373)의 추정자료와 상기 추정성과분석부(420)의 분석자료와 상기 기업가치 정보를 기반으로 민감도 위험과 위험수익에 대한 시나리오별 위험을 분석한 후 최적의 경영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선택하는 최적 시나리오 선택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추정성과분석부(420)는, 경영목표와 경영플랜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경영목표에 대한 경영플랜의 적정성을 파악하고, 경영플랜과 실제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차이의 원인을 도출하는 성과갭분석부(421), 변동비와 고정비 분석을 통한 손익분기점을 도출하는 손익분기점(BEP) 분석부(422), 제조, 유통, 서비스를 포함하는 업종 별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원가를 분석하는 원가분석부(423), 사업별 사업타당성 평가 및 사업 타당성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사업타당성평가 지표를 도출하는 사업타당성분석부(424), 추정재무제표 결과를 기반으로 수익성, 성장성 , 안정성, 활동성 지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무비율 지표를 도출하여 재무비율을 분석하는 재무비율분석부(425) 및 추정현금흐름표에서 부족자금을 도출하여 유동성 갭을 도출하는 유동성갭도출부(4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추정성과분석과정(S420)을 수행한다.
상기 성과갭분석부(421)는 매출, 원가, 수익, 비용, 자산, 부채, 현금흐름 등의 전반적인 COA계정의 차이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성과갭분석부는 예산플랜 수립 시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여러 경영플랜을 비교하여 이 중에서 경영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영플랜을 예산플랜 또는 마스터시나리오로 선택하여 활용한다. 이 예산플랜 또는 마스터시나리오는 출력화면에 변동되지 않고 항상 나오도록 한다.(단, 향후 재계획 수립에 따라 예산플랜 및 마스터시나리오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성과갭분석부(421)는 예산 등에 대한 마스터시나리오에 대하여는 경영목표와 시나리오별 경영플랜 사이의 차이를 도출하고 분석하여 목표 대비 플랜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마스터시나리오로 선택된 경영플랜에 대한 추정결과와 실제 추정기간 동안의 실적에 의한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추출한다. 이에 의해 목표 설정, 재무 예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직관적으로 재무적 타당성을 검증하고 경영플랜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기 실행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연계하여 장기 목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부진요인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세부 요인은 드릴다운(drill down) 방식으로 분석된다. 또한 성과목표 대비 달성도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영목표와 시나리오별 경영플랜과 추정기간 동안의 실제 경영 성과에 대한 전체 적인 비교 분석 과정이 도 2의 성과갭분석과정(S421)이 된다.
상기 손익분기점(BEP) 분석부(422)는 추정재무제표의 변동비와 고정비를 분석하여 회사가 해당 아이템을 몇 개 팔아야 목표 이익을 달성할 수 있는지 파악하도록 하는 손익분기점을 도출한다. 이와 같이 손익 분기점을 도출하는 과정이 도 2의 손익분기점(BEP) 분석과정(S422)이 된다.
상기 원가분석부(423)는 추정재무제표의 계정을 활용하여 투입 단위 당 평균 수익(ARPU: Average Revenue Per Unit)을 산정하고, 매출과 외주비, 상품, 원재료 등의 구매비용을 매칭하며, 사업부/아이템별 영업이익을 산정하고, 제조업인 경우 단위 원가를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표준 단위 원가가 도출되면 회사가 해당 아이템을 실제 생산 또는 유통시킬 때 발생하는 실제원가와의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관리하는 원가목표를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원가의 추정 과정이 도 2의 원가분석과정(S423)이 된다.
상기 사업타당성분석부(424)는 추정재무재표를 이용하여 ROE(Retorn on Equity), ROA(Return on Asset), IRR(Internal rate of Return), NPV(Net Present Value), MIRR(Modified Internal rate of Return), BCR(Benefit-Cost Ratio), PI(Profitability Index) 등의 사업타당성분석지표를 통해 시나리오들에 대한 사업타당성 우선순위를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추정재무제표의 현금흐름표(CF)에 의해 중장기 재무예측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업타당성이 분석되고 평가된다. 또한 사업타당성 평가 결과는 재플랜(Replanning) 통해 사업타당성에 대한 사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신규사업의 전사연계재무예측을 평가하고, 전사 기존 사업포트폴리오와 신규 사업 또는 신규 사업포트폴리오의 조합 시의 사업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사업타당성분석부(424)는 시나리오별 경영플랜의 사업 타당성 검증, 투자 유형 다각화, 사업 다각화, 해외 사업 통합관리, 경영전략의 재무적 타당성 검증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나리오별 추정재무제표를 이용하여 시나리오별 사업타당성분석에 의한 사업타당성 우선순위 도출, 중장기 재무예측, 재플랜 도출, 신규사업의 전사재무예측의 평가, 기존 및 신규 사업포트폴리오의 조합 시의 사업 타당성 평가, 시나리오(or 경영플랜?)의 사업 타당성 검증, 투자 유형 다각화, 사업 다각화, 해외 사업 통합관리, 경영전략의 재무적 타당성 검증 등의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이 도 2의 사업타당성분석과정(S425)이 된다.
상기 재무비율분석과정(S425)은 추정 재무제표의 결과를 기반으로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 활동성 지표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수익성지표의 분석은 매출액 영업이익율, 매출액 순이익율, 매출액 매출총이익율(업종 영업마진), 자기자본 이익률, 총자산 이익률, 투하자본수익율 등의 산출식이 적용된다. 안정성지표의 분석은 유동비율, 당좌비율, 현금비율, 부채비율, 차입금 의존도, 이자보상비율, 현금보상비율, 금융비용부담율, 비유동장기적합률, 자기자본비율 등의 산출식이 적용된다. 활동성지표분석은 총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매출채권 회전기간, 재고자산 회전율, 재고자산 회전기간, 매입채무회전율, 매입채무회전기간, 자기자본회전율, 장기영업자산회전율, 순운전자본회전율 등의 산출식이 적용된다. 성장성지표 분석은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순이익 증가율, 총자산 증가율 등의 산출식이 적용된다. 생산성 지표 분석은 부가가치율, 1인당부가가치 등의 산출식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재무비율 분석의 결과는 의사결정 지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재무비율에 대한 지표 분석 과정이 도 2의 재무비율분석과정(S425)이 된다.
상기 유동성갭도출부(426)는 추정재무제표 중 추정 현금흐름표에서 부족자금을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입력된 최소현금보유액(Minimum Cash Required)과 영업활동자산의 듀레이션(duration)과 단기부채의 듀레이션(duration)의 갭(gap)을 활용하여 도출하는 과정인 ALM(Asset Liability Management)을 반영하여 부족자금을 도출한다. 이러한 부족자금의 도출 과정이 도 2의 유동성갭도출과정(S426)이 된다.
상기 추정성과분석부(420)에 의한 상기 성과갭분석과정(S421), 상기 손익분기점(BEP) 분석과정(S422), 상기 원가분석과정(S423), 상기 사업타당성분석과정(S424), 상기 재무비율분석과정(S425) 및 상기 유동성갭도출과정(S426)이 상기 추정성과분석과정(S420)의 상세 처리과정을 이룬다.
상기 추정성과평가부(430)는, 결산서 및 추정기간의 실제 경영성과 정보와 타시스템DB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업의 현재 신용등급을 산정하는 신용등급진단부(431), 상기 기업의 재무비율정보를 산업평균과 비교하여 적정 재무비율 수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산업평균비교분석부(433), 상기 추정재무제표를 분석하여 상기 추정성과분석부(420)에서 도출된 재무비율정보 또는 유동성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미래에 대한 신용등급을 추정하는 신용등급분석부(435) 및 상기 경영플랜에 대한 자기자본비용 및 타인자본비용을 분석하는 자금조달 비용분석부(4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추정 성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상기 신용등급진단부(431)는 현재의 신용등급을 진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입력된 결산서 정보 및 타시스템DB호출부(150)에 의해 수집된 타시스템(예, QuickBooks, DUZON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기업의 현재 신용 등급을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기업의 현재 신용 등급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이 도 2의 신용등급진단과정(S431)이 된다.
상기 산업평균비교분석부(433)는 적정 목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도록, 회사 재무비율과 동종 산업의 평균을 비교 분석하여 적정 재무 비율 수준을 도출하고, 산업 평균 비교 분석을 통해 각 지표별 평균 대비 상위, 하위, 평균 대비 편차 등의 포지션(Position)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업재무비율에 대한 산업평균과의 비교 분석 과정이 도 2의 산업평균비교분석과정(S433)이 된다.
상기 신용등급분석부(435)는 미래의 신용등급을 예측하는 것에 의해 잠재적 부실 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신용등급 개선 방안을 반영하여 과거의 신용등급이 아닌 추정재무제표를 활용하여 미래에 대한 신용등급을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미래 신용등급의 예측은 매출, 생산성(performance) 등을 높이는 경우 또는 컨설팅 플랜(consulting plan)을 받은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추정재무제표를 이용한 기업의 미래 신용등급을 예측하는 과정이 도 2의 신용등급분석과정(S435)이 된다.
상기 자금조달비용분석부(437)는 자금조달시뮬레이션부(440)에 의해 도출되는 최적화된 자금조달플랜을 입력 받아서 자금조달을 위한 자기자본비용 및 타인자본비용을 분석하는 자금조달 비용을 분석하여 도출하는 자금조달비용분석과정(S437)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추정성과평과부(430)에 의한 신용등급진단과정(S431), 산업평균비교분석과정(S433), 신용등급분석과정(S435) 및 자금조달비용분석과정(S437)이 도 2의 추정성과평가과정(S430)을 이룬다.
상기 자금조달시뮬레이션부(440)는 자금 조달을 위한 차입, 자기자본 조달 또는 비용 계획을 수립하는 시뮬레이션과정(S440)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자금조달시뮬레이션부(440)는 부족자금을 비용 계획을 조정하여 충당하는 비용정책을 수립하는 비용절감시뮬레이션부(441), 부족 자금을 외부에서 차입하기 위한 부채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차입조달시뮬레이션부(443), 부족자금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하기 위한 유상증자, IPO 시기 설정, 공개주식부수 조정, 기업공개에 의한 조달규모, 배당정책 조정을 포함하는 자본정책을 수립하는 자기자본조달시뮬레이션부(445), 또는 부족자금을 자산 중 일부 매각 또는 사업구조조정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조달하는 자산매각 또는 사업구조조정 정책을 수립하는 자산매각시뮬레이션부(447)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용절감시뮬레이션부(441)는 부족자금에 대한 자구 노력 방안의 도출을 위한 것으로서 부족자금을 비용 계획을 통해 충당할 수 있도록 하는 비용 계획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족자금 충당을 위한 비용 계획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이 도 2의 비용절감시뮬레이션과정(S441)이 된다. 여기에서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자구노력 비용계획에 대한 구성에 대하여 결과로서 비용절감 효과의 최대화가 도출되는 비용절감 최적화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차입조달시뮬레이션부(443)는 부채구성에 대한 조합으로 국내조달 vs. 해외조달,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통화별 조달 등 다차원적 부채조달 방식별 규모에 대한 적정부채포트폴리오 도출, 이는 조달 원천별 즉 부채구성 단위별 조달비용을 예측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조달비용이 최소화되는 부채포트폴리오를 도출하는 적정부채포트폴리오 도출로 부채조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부족자금만큼 외부에서 차입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부채포트폴리오를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재무전망연산 과정을 다시 수행하는 것에 의해 제반 부채포토폴리오 구성에 따른 추정재무제표 결과를 도출하고, 이 결과에 근거하여 도출되는 부채에 대한 이자비용을 비교하여 조달효과를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적정부채포트폴리오 시뮬레이션 기법은 자기자본조달, 비용절감, 자산매각, 사업포트폴리오 조정 등에 모두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족자금에 대한 차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이 도 2의 차입조달시뮬레이션과정(S443)이 된다.
상기 자기자본조달시뮬레이션부(445)는 부족자금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하는 것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유상증자, 기업공개(IPO)시기, 공개주식수, 공개에 의한 조달규모의 추정과 배당정책 조정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부족 자금에 대한 자기자본 조달을 위한 시뮬레이션의 수행 과정이 도 2의 자기자본조달시뮬레이션과정(S445)가 된다.
상술한 자기자본조달시뮬레이션과정(S445)에서도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유상증자 및 IPO시기, 공개주식수, 공개에 의한 조달규모의 추정과 배당정책 조정 등의 결과로서 자기자본 조달비용 최소화 및 조달효과 최대화가 도출되는 자기자본 최적화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진다.
상기 자산매각시뮬레이션부(447)는 부족자금의 조달을 위하 자산의 일부를 매각하는 계획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업구조조정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부조자금 조달을 위한 자산매각 계획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이 도 2의 자산매각시뮬레이션과정(S447)이 된다.
상술한 자산매각시뮬레이션과정(S447)에서도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자산매각 구성에 대한 결과로서 자산매각 및 사업구조조정 효과의 최대화가 도출되는 최적화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비용절감시뮬레이션과정(S441), 차입조달시뮬레이션과정(S443), 자기자본조달시뮬레이션과정(S445), 또는 자산매각시뮬레이션과정(S447) 중 하나 이상의 과정들이 도 2의 자금조달시뮬레이션과정(S440)을 이룬다.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시뮬레이션 과정들이 연산될 때, 각 시뮬레이션 과정의 결과물의 효과가 최대화가 되도록 하여 상기 자금조달 시뮬레이션의 통합 시뮬레이션 결과의 최적화도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기업가치산정부(450)는 추정재무제표도출부(373)의 추정자료와 상기 추정성과분석부의 분석자료와 상기 추정성과평가부에서 분석된 신용등급 및 자금조달비용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기업가치산정과정(S450)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기업가치 산정은 기업가치 산정방법(모델)에 의해 분자에 기업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과 분모에 기업의 영업활동을 위해 조달한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의 가중평균한 자금조달비용으로 구성된다. 분자인 기업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추정재무제표 연산 결과에 의해 확보되며, 분모인 가중평균 자금조달비용은 차임조달 시뮬레이션부에서 도출된 적정부채포트폴리오의 타인자본 조달비용과 자본조달 시뮬레이션에서 도출된 자기자본 조달비용의 가중평균에 의해 확보된다. 이렇게 확보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가치 산정방법에 의해 자동 도출된다.
상기 최적 시나리오 선택부(460)는, 최적의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도 2의 최적시나리오선택과정(S46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생성된 두 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목표 성과와 근접한 성과를 달성하도록 예측되는 시나리오를 추출하는 시나리오비교분석부(461), 상기 시나리오비교분석부(461)에서 추출된 시나리오에 대하여 환경지표 변동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는 민감도위험분석부(463), 상기 민감도위험분석부(463)에 의한 분석을 기반으로 위험 대비 수익률 집합을 구성한 후, 각 위험 대비 수익률 집합의 최적 구성비를 시뮬레이션하여 가장 효율적인 투자기회집합을 도출하는 위험수익분석부(465) 및 상기 위험수익분석부(465)에서 도출한 최적투자기회집합에서 CEO의 투자/위험 성향을 반영한 효용함수와 중장기 수익목표에 최 근접하는 시나리오를 최적시나리오로 도출하는 최적시나리오도출부(46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나리오비교분석부(461)는 생성된 두 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서, 시나리오별/대안별로 비교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대안 실행 결과를 예측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비교하는 과정이 도 2의 시나리오비교분석과정(S461)이 된다.
상기 민감도위험분석부(463)는 상기 시나리오별로 환경지표 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기준치보다 높게 분석된 환경지표들의 변동을 가정하여 위험대응 방법을 생성하여, 생성된 위험대응 방법에 따라 시나리오를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환율, 이자율, 물가상승률, 원자재가격 등의 환경지표의 주요 변수가 변동되었을 때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순현재가치(NPV) 등의 수익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동하는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측정하는 민감도위험분석과정(S463)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의 측정단위는 주요변수가 변동되는 때, 수익의 변동(표준편차, σ)으로 하고, 변동성이 클수록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한다. 이때의 민감도 위험분석 기준은 수익성, 안정성(부채비율/신용등급 핵심지표), 기업가치의 변동성 등이다. 이와 같이 시나리오별로 환경 지표에 대한 민감도 위험을 분석하는 과정이 도 2의 민감도위험분석과정(S463)이 된다.
이러한 민감도 위험 분석을 통해 미래 경영환경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업생존 및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전력적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환경 변동성 증가에 따른 급변하는 외부환경 대응 전략 및 기업성과목표와 재무관리 전략, 위기대응 전략 및 민감도 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정규분포를 가정하는 경우 옵션의 성격이 있는 변수(예, 옵션부 금리스왑, 환풋옵션, 각종 금리스왑션 등)의 분석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민감도 위험 분석부((463)는 F/X, 금리, 유동성 위험 그리고 수익변동성 파악을 위해 위험수익분석부(465)와 연계를 필요로 한다.
상기 위험수익분석부(465)는 스트레스 테스트, 경영리스크의 사전적 예측/점검, 리스크 우연성(contingency) 대응지원, 리스크 피해의 최소화 및 선제적 관리 대응 전략의 수립, 리스크 계량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기업이 관리해야 할 핵심 위험지표를 선별하고 이를 토대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위험관리체계를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위험수익분석부(465)는 민감도 분석을 토대로 위험(수익 변동성) 대비 수익 집합을 구성한다. 이때 각 위험 간 상호관계(correlation, ρ)가 고려된다. 상기의 자료로부터 분산공분산 메트릭스를 도출하고, 이를 기초하여 각 사업별 가중치(portfolio)를 시뮬레이션 하도록 구성된다. 각 사업의 최적 구성비를 도출한다. 이때 정규분포를 가정하는 경우에는 샤프율(sharp ratio)를 통한 구성비 도출은 타당하게 된다. 각 위험대비 수익률 집합의 최적 구성비를 시뮬레이션하여 가장 효율적인 투자기회집합(Efficient Frontier)을 도출하고 리스크 측정 및 평가, 리스트 한도관리, 스트레스 테스트를 수행하여 핵심평가지표별 사업구성 타당성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제시한다. 상술한 위험수익을 분석하는 과정이 도 2의 위험수익분석과정(S 465)이 된다.
상기 최적시나리오도출부(467)는 대안도출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최적 대안을 선택하며, 포트폴리오 최적화 및 사후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최적 사업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하며, 사업포트폴리오 등의 다양한 전략시나리오 전략 대안을 구성하고, 기업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투자재원 최적배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한정된 자원의 균형적 배분 및 의사결정 프로세스의 내재화를 달성하며, 문제해결 방법론에 의한 대안구조 설계, 의사결정지원 솔류션 실행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 2의 최적시나리오도출과정(S467)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적시나리오도출부(467)는 위험수익분석부에서 도출한 최적투자기회집합에서 가장 적정한 시나리오 도출을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한다. 첫 번째는, CEO의 투자/위험 성향을 반영한 효용함수를 적용하여 가장 적절한 사업포트폴리오를 도출하고, 두 번째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중장기 수익목표에 부합하는 사업포트폴리오를 도출한다. 이러한 최적의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과정을 상술한 최적시나리오도출과정(S467)이 된다.
상기 최적시나리오선택과정(S460)은 상술한 시나리오비교분석부(461),상기 민감도위험분석부(463), 상기 위험수익분석부(465) 및 상기 최적시나리오도출부(46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영목표가 설정된 후, 각각의 비용이 추정되고, 추정된 비용에 따른 예산조달 플랜이 확정되며, 전사적 공통비용 및 공통자산, 공통부채, 공통자본, 공통이자비용 등의 자원에 대한 배부가 수행되어 생성된 시나리오 별 경영플랜에 의해 추정재무제표가 도출된 후에는 추정재무제표를 이용하여 분석된 추정성과가 분석 결과 및 시뮬레이션에 의한 부족자금 조달 대응 방안은 목표 달성을 위한 경영플랜의 재수립을 위해 피드백된다. 이러한 처리과정이 도 2의 피드백과정(S500)이 된다.
상기 피드백과정(S500)에서 성과갭분석부(421)의 성과갭분석과정(S421)에 의해 도출된 성과갭 분석결과데이터는 경영플랜부(200)로 피드백 되어 재경영플랜 수립을 이한 경영플랜과정(S200)에 반영된다. 그리고 추정기간의 실적데이터는 재경영플랜의 수립을 위한 경영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결산서입력부(113)롤 통해 입력되어 재경영플랜의 수립 과정에 반영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은 상기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이 구현된 코드를 기록한 기록매체, 상기 경영계획관리 지원 방법이 구현된 코드가 탑재된 컴퓨터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100: 경영기초정보설정부 200: 경영플랜부
300: 배부부 400: 모니터링 및 분석부
500: 피드백부

Claims (9)

  1. 경영플랜부를 포함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에 의한 경영플랜방법에 있어서,
    회사기본정보를 포함하는 경영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영목표 설정과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예산플랜과 예산조달플랜을 수립하는 경영플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영계획관리지원 시스템은 경영기초정보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영기초설정부를 통해 회사기본정보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경영플랜 시 선택될 대상 정보들로 구성되는 상기 경영기초데이터를 입력하여 마스터체계를 수립하는 경영기초정보설정과정;을 상기 경영플랜과정 이전에 수행하도록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영기초정보설정과정은,
    회사기본정보설정부에 의해 회사의 축적된 결산서 정보를 입력 하고, 타시스템 DB의 정보를 호출하여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계정들에 대한 추정 방법들을 입력하여 회사기본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사기본정보설정과정;
    상기 회사 기본 정보로부터 업종을 설정하고, 전체 사업부와 아이템을 포함하는 전체 사업포트폴리오 정보를 입력하고, 회사의 COA계정을 정형화된 추정계정과 매핑하여 회계계정을 생성하여 회사 경영플랜을 수립할 수 있도록 경영플랜 시 선택될 대상 정보들로 구성되는 경영기초데이터를 포함하는 마스터체계를 수립하는 마스터체계설정과정; 및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의 추정기간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프레임기초세팅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사기본정보설정과정은,
    경영플랜 구성을 위한 외생변수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회사와 관련 외생변수를 입력하는 외생변수입력과정;
    상기 결산서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결산서 입력과정;
    타 시스템DB의 재무제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수신하여 결산서 정보로 제공하거나, 현재의 신용등급진단 또는 미래의 신용등급 예측을 위한 신용등급 분석을 위해 제공하며, 타업종 및 유사 동일 업종 데이터 비교분석으로 기업경영성과에 대한 포지셔닝 확인을 위한 비교 자료로 제공하는 타시스템DB호출과정; 및
    상기 마스터체계설정과정에 의해 COA계정에 매핑된 추정계정별로 추정기간 내에서의 계정별 성과추정 및 재무결과예측을 위한 추정방법 또는 배부를 위한 배부로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추정계정별 성과에 대한 추정방법 또는 배부로직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배부로직 및 추정방법입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스테체계설정과정은,
    상기 경영플랜을 위한 회사의 업종을 선택하는 업종선택과정;
    전사/사업부/아이템 단위의 포트폴리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사/사업부/아이템 단위의 포트폴리오를 입력하는 사업부 및 아이템구성과정; 및
    상기 결산서의 회계계정(COA, code of account)을 상기 경영플랜을 통해 도출되는 상기 추정재무제표를 위한 추정계정에 매핑시키는 COA추정계정선택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영플랜과정은,
    상기 경영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영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목표설정과정;
    설정된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사업포트폴리오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사업포트폴리오선택과정;
    상기 경영목표와 사업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외생변수구성과정;
    추정된 추정계정별로 추정기간 내에서의 계정별 성과추정 및 재무결과예측을 위한 추정방법을 선택하는 추정방법선택과정;
    상기 선택된 시나리오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매출플랜을 수립한 후, 매출 비용을 포함하는 예산을 생성하는 예산플랜과정; 및
    상기 예산플랜과정에서 생성된 예산을 조달하기 위한 예산조달계획을 수립하는 예산조달플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예산플랜과정은,
    상기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매출을 분석하여 매출계획을 수립하는 매출플랜과정;
    상기 매출플랜의 달성을 위한 매출원가 계획을 수립하는 매출원가플랜과정;
    상기 매출플랜의 달성을 위한 생산 예산을 설정하는 생산플랜과정;
    상기 매출플랜의 달성을 위한 구매 예산을 설정하는 구매플랜과정;
    상기 매출계획의 달성을 위한 인력 예산을 설정하는 인력플랜과정; 및
    상기 손익계산서의 계정 중 매출, 매출원가, 생산, 구매, 인력 플랜 이외의 유틸리티(utility) 경비와 일반 경비 등을 포함하는 기타비용을 추정하여 기타비용에 대한 플랜을 수립하는 기타비용플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예산조달플랜과정은,
    손익계산서계정 기반의 상기 예산플랜의 수행에 필요한 대차대조표의 자산 구성을 위한 자산 플랜을 수립하는 자산플랜과정;
    상기 대차대조표 계정 중심의 자산플랜을 기반으로 하여 투자계획 및 자산처분 계획을 수립하는 투자플랜과정; 및
    상기 자산플랜과 투자플랜을 기반으로 자산플랜과 투자계획 및 자산처분 계획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자금조달 계획을 수립하는 자금조달플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자산플랜과정은,
    상기 자금조달플랜과정과 상기 투자플랜과정에 의해 자금조달플랜 및 투자플랜이 수립된 계정 이외의 대차대조표 계정에 대한 예산조달을 수립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방법.
KR1020140109080A 2014-08-21 2014-08-21 단기의 월별 전사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 KR10179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080A KR101793619B1 (ko) 2014-08-21 2014-08-21 단기의 월별 전사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
PCT/KR2015/008756 WO2016028115A1 (ko) 2014-08-21 2015-08-21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플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080A KR101793619B1 (ko) 2014-08-21 2014-08-21 단기의 월별 전사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177A true KR20160023177A (ko) 2016-03-03
KR101793619B1 KR101793619B1 (ko) 2017-11-20

Family

ID=5535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080A KR101793619B1 (ko) 2014-08-21 2014-08-21 단기의 월별 전사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3619B1 (ko)
WO (1) WO201602811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505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실효가격 기반의 모의 창업 서비스 방법
KR102315635B1 (ko) * 2021-03-16 2021-10-21 코오롱베니트 주식회사 경영 계획 및 손익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6307941A (zh) * 2023-05-17 2023-06-23 北京北方科诚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企业经营目标定制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7181A (zh) * 2019-12-09 2020-04-21 华南理工大学广州学院 基于电网监控运营中心核心指标综合效益分析系统
CN112365233A (zh) * 2020-11-10 2021-02-12 中远海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项目成本信息化管理方法
CN112700317B (zh) * 2020-12-30 2022-08-02 福建正孚软件有限公司 一种企业财务运营管控系统实现方法
CN116341931B (zh) * 2023-05-23 2023-10-17 宁波钢铁有限公司 一种多偏好钢铁企业经营数据分析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0333A (ja) * 2002-06-26 2004-01-29 Aruze Corp 循環型統合経営管理システム
KR20080004269A (ko) * 2006-07-05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조선소의 회계관리를 위한 원장 및 결산관리 시스템 구축방법
KR101044988B1 (ko) * 2009-01-06 2011-06-29 권영범 가치 연계 자원 기반 중장기 경영계획 수립 지원 방법
KR101063980B1 (ko) * 2009-06-24 2011-09-14 (주)휴코어 전략의사결정지원 시스템
KR101070119B1 (ko) * 2009-08-24 2011-10-05 주식회사아프로텍 예산 관리 시스템
KR101059107B1 (ko) * 2011-04-29 2011-08-24 주식회사 알투소프트 중장기 재무계획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505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실효가격 기반의 모의 창업 서비스 방법
KR102315635B1 (ko) * 2021-03-16 2021-10-21 코오롱베니트 주식회사 경영 계획 및 손익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6307941A (zh) * 2023-05-17 2023-06-23 北京北方科诚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企业经营目标定制系统及方法
CN116307941B (zh) * 2023-05-17 2023-08-18 北京北方科诚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企业经营目标定制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8115A1 (ko) 2016-02-25
KR101793619B1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619B1 (ko) 단기의 월별 전사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
US20080319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n asset-based business
JP2006508427A (ja) ビジネスパフォーマンス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Mills et al. A hybrid grey MCDM approach for asset allocation: evidence from China’s Shanghai Stock Exchange
Anderson et al. Calculate financial indicators to guide investments
Hofmann Capital Equipment Purchasing Optimizing the Total Cost of CapEx Sourcing
CN101149833A (zh) 基于公开信息的动态交互式企业财务模型构建及运行方法
KR20130010765A (ko) 경영의사 결정 지원시스템
Darun et al. The evolution of working capital management research
Popović et al. Importance of planning internal audit transition countries observed over public sector of the economy in Serbia
Lukin Risk management technologies within the system of state financial control
Theron An integrated framework for the management of strategic physical asset repair/replace decisions
KR20220035060A (ko)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Zaruba et al. Risk management models in operative planning at an industrial enterprise
Feltenstein et al. Modeling tax reform in developing countries
Hammer The budgetary process with a use of modern approaches in cost management
JP2002109198A (ja) 経営効率改善システム
Nwosu et al. Multidimensional budgeting concepts and budget control modeling for production systems performance efficiency
Higdon Monitoring, benchmarking and improving treasury performanc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in treasury.
Gleißner Risk Management–The Basics
Bricongne et al. Productivity Slowdown and MNEs’ Intangibles: where is Productivity Measured?
Zatrochova et al. Investment Evaluation Methods for Business Performance
Novićević Business processes and risk factors
Serebryakova et al. Theoretical framework of accounting and analysis for value-based management
Yosifov et al. MODEL FOR ASSESSING ECONOMIC RISK IN FINANCING INNOVATION PROJECTS OF VENTURE CAPITAL F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