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685A - 졸대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졸대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685A
KR20160022685A KR1020140108550A KR20140108550A KR20160022685A KR 20160022685 A KR20160022685 A KR 20160022685A KR 1020140108550 A KR1020140108550 A KR 1020140108550A KR 20140108550 A KR20140108550 A KR 20140108550A KR 20160022685 A KR20160022685 A KR 20160022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road boundary
sole
stack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656B1 (ko
Inventor
이익규
Original Assignee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6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을 적층시킨 상태로 운반하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적층된 도로경계석들이 서로 마찰되어서 파손됨을 방지하는 졸대를 도로경계석들의 사이에 제공할 수 있는 졸대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적층되는 도로경계석(K)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도로경계석(K)들의 접촉을 방지하는 졸대(W)가 하부로 배출가능하게 저장되는 졸대저장수단(10)과, 졸대저장수단(10)에 저장된 졸대(W)를 하나씩 배출시키는 졸대배출수단(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졸대 공급 장치{WOODEN LATH FEEDER}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업계 통용명칭 : 도로안전경계석)을 적층시킨 상태로 운반하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적층된 도로경계석들이 서로 마찰되어서 파손됨을 방지하는 졸대를 도로경계석들의 사이에 제공할 수 있는 졸대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인도(보도)를 구분하는 경계 표시로서 도로안전경계석이 설치되는데, 점차적으로 수분 및 마모에 취약한 콘크리트재 대신에 원형 훼손이 거의 없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도로 미관도 살릴 수 있는 석재를 도로안전경계석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참고로, 전술한 석재는 오랜 수명을 제공하는 자재로써 변함이 없는 화강암을 주로 택한다.
이러한 자연석인 석재를 도로경계석으로 절단 가공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라인을 통한 대량 자동생산이 요구되고 있으며, 자연에서 채취한 울퉁불퉁한 원석을 규격에 맞는 형태로 절단 가공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길이방향과 폭 방향으로의 절단과정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가공과정을 거친 뒤, 표면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공이 완료된 도로경계석은 운반용 팔레트(판재)에 적층되어서 운반되거나 적재공간에 다단으로 적층되어서 보관된다.
그러나, 전술한 도로경계석이 적층되는 과정이나 팔레트에 쌓는 과정에서 졸대 공급은 필수적인 것이나, 통상 졸대를 인력으로 공급하고 있는 것이 고작이었다. 예를 들면 경계석 쌓는 것은 기계로 쌓을 수 있었으나 졸대는 인력으로 공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공보 10-0434859호가 2004.05.27.자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상 도로경계석을 적층시키기 위해서는 팔레트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때 경계석간 사이에 졸대를 반자동으로 공급하면서 적층시켜 밴드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것이 고작이었으나,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적층 과정에서 졸대를 제때 도로경계석들의 사이에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졸대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졸대 공급 장치는, 적층되는 도로경계석(K)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도로경계석(K)들의 접촉을 방지하는 졸대(W)가 하부로 배출가능하게 저장되는 졸대저장수단(10)과, 졸대저장수단(10)에 저장된 졸대(W)를 하나씩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졸대배출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졸대저장수단(10)은 내부공간이 상단과 하단으로 개구되고 내부공간에 졸대(W)들이 적층된 상태로 저장되는 졸대케이스(11)와, 졸대케이스(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졸대케이스(11)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졸대(W)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턱(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졸대케이스(11)는 졸대(W)들이 일렬로 적층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내부공간의 폭이 졸대(W)의 폭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졸대케이스(11)의 하단과 받침턱(12)의 간격이 졸대(W)의 높이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졸대케이스(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졸대케이스(11)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졸대(W)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졸대가이드(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졸대배출수단(20)은 졸대저장수단(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구동축을 신축시키는 구동부(21)와, 구동부(2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의 신장에 의해 졸대케이스(11)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졸대(W)를 가압하여서 배출시키면서 졸대케이스(11)의 하단을 폐쇄하는 밀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밀대(22)는 졸대케이스(11)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도록 내부공간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밀대(22)는 포크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 졸대배출수단(20)의 작동에 의해 적층되는 최하부에 위치된 도로경계석(K)의 하부를 지지하는 추가졸대(W1)가 하나씩 배출되도록, 졸대저장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추가졸대(W1)가 하부로 배출가능하게 저장되는 추가졸대저장수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추가졸대(W1)는 적층되는 도로경계석(K)들을 밴딩하는 밴드(B)가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도록 밴드홀(W2)이 형성되거나, 밴드(B)가 일단의 하부에서 타단의 하부까지 수용되도록 밴드홈(W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졸대저장수단(10)이 양측에 고정되고 졸대배출수단(20)에 의해 배출되는 졸대(W)가 도로경계석(K)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졸대저장수단(10)의 하부까지 도로경계석(K)이 적층되는 적층플레이트(P)를 승강시키는 승강기(30)와, 승강기(30)에 의해 승강되는 적층플레이트(P)에 도로경계석(K)을 적층시키는 크레인(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졸대 공급 장치는, 도로경계석을 적층시킨 상태로 운반하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적층된 도로경계석들이 서로 마찰되어서 파손됨을 방지하는 졸대를 도로경계석들의 사이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졸대 공급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4a, 도 4b, 도 4c는 본 발명의 작동에 의해 졸대가 하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승강기와 크레인과 이송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승강기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크레인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크레인에 의해 도로경계석이 적층플레이트에 적층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적층플레이트에 도로경계석이 1층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적층플레이트에 적층된 도로경계석의 상부에 졸대를 공급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적층플레이트에 적층된 도로경계석의 상부에 졸대가 제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승강기에 의해 도로경계석이 1층으로 적층된 적층플레이트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크레인에 의해 1층으로 적층된 도로경계석의 상부에 도로경계석을 2층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적층플레이트에 도로경계석이 2층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적층플레이트에 2층으로 적층된 도로경계석의 상부에 졸대가 제공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적층플레이트에 2층으로 적층된 도로경계석의 상부에 졸대가 제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이동부가 프레임에 적용된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적층플레이트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추가졸대저장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추가졸대저장수단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추가졸대를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추가졸대저장수단에서 추가졸대가 배출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추가졸대저장수단의 일측에 구비된 졸대저장수단에서 졸대가 배출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밀대가 졸대나 추가졸대를 미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밴드에 의해 적층된 도로경계석들이 밴딩처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졸대 공급 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졸대 공급 장치(1)는, 적층되는 도로경계석(K)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도로경계석(K)들의 접촉을 방지하는 졸대(W)가 하부로 배출가능하게 저장되는 졸대저장수단(10)과, 졸대저장수단(10)에 저장된 졸대(W)를 하나씩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졸대배출수단(20)을 포함한다.
먼저, 졸대(W)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도로경계석(K)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나무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졸대저장수단(10)은 내부공간이 상단과 하단으로 개구되고 내부공간에 졸대(W)들이 적층된 상태로 저장되는 졸대케이스(11)와, 졸대케이스(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졸대케이스(11)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졸대(W)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턱(12)을 포함한다.
졸대케이스(11)는 졸대(W)들이 일렬로 적층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내부공간의 폭이 졸대(W)의 폭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졸대케이스(11)의 상부로 졸대(W)들을 삽입시키면 졸대(W)들이 졸대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 상하로 적층되어서 저장된다. 또한, 졸대케이스(11)는 하부에서 측방으로 후술되는 밀대(22)가 이동되어서 졸대(W)를 밀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졸대케이스(11)의 하단과 받침턱(12)의 간격이 졸대(W)의 높이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층된 졸대(W)들 중 최하부에 위치된 졸대(W)가 받침턱(12)에 지지되어서 졸대케이스(11)의 하단과 받침턱(12)의 사이로 노출된다.
졸대케이스(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졸대케이스(11)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졸대(W)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졸대가이드(13)를 더 포함한다. 즉, 졸대케이스(11)의 하부로 노출된 최하단의 졸대(W)가 졸대배출수단(20)에 의해 측방으로 밀려서 배출될 때, 졸대가이드(13)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졸대배출수단(20)은 졸대저장수단(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구동축을 신축시키는 구동부(21)와, 구동부(2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의 신장에 의해 졸대케이스(11)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졸대(W)를 가압하여서 배출시키면서 졸대케이스(11)의 하단을 폐쇄하는 밀대(22)를 포함한다.
구동부(21)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구동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밀대(22)는 졸대케이스(11)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도록 내부공간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밀대(22)는 전진하면서 졸대(W)를 밀면서 졸대케이스(11)의 하단을 폐쇄함에 따라 밀려서 배출된 졸대(W)의 상부에 위치한 졸대(W)가 받침턱(12)에 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밀대(22)가 후진하여 졸대케이스(11)의 하단을 개방하면 배출된 졸대(W)의 상부에 위치한 졸대(W)가 하강하여서 받침턱(12)에 지지된다. 즉, 밀대(22)는 받침턱(12)에 지지된 졸대(W)를 다시 가압하도록 준비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졸대배출수단(20)의 작동에 의해 졸대저장수단(10)에 저장된 졸대(W)가 하나씩 차례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졸대저장수단(10)이 양측에 고정되고 졸대배출수단(20)에 의해 배출되는 졸대(W)가 도로경계석(K)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졸대저장수단(10)의 하부까지 도로경계석(K)이 적층되는 적층플레이트(P)를 승강시키는 승강기(30)와, 승강기(30)에 의해 승강되는 적층플레이트(P)에 도로경계석(K)을 적층시키는 크레인(40)을 더 포함한다.
승강기(30)는 복수의 샤프트들 각각의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에 기립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류(32)와, 스크류(32)들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승강기구동수단(33)과, 승강기구동수단(33)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32)를 따라 승강가능되도록 스크류(32)에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34)와, 승강부재(34)들에 양단이 고정되어 적층플레이트(P)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샤프트(35)를 포함한다.
프레임(31)을 이루는 샤프트들은 앵글이나 채널 또는 H형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기구동수단(33)은 스크류(32)들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베벨스크류(33a)와, 수직베벨스크류(33a)들에 각각 교합되는 복수의 수평베벨스크류(33c)와, 수평베벨스크류(33c)들에 양단이 고정되는 수평샤프트(33d)와, 수평샤프트(33d)를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3e)와, 구동모터(33e)의 동력을 수평샤프트(33d)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33f)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전달부재(33f)는 구동모터(33e)의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수평샤프트(33d)에 고정되는 피동기어와, 구동기어 및 피동기어에 개재되는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33e)가 작동되면 수평샤프트(33d)가 회전되므로 수평베벨스크류(33c)도 회전되고, 회전되는 수평베벨스크류(33c)에 교합된 수직베벨스크류(33a)가 회전되므로 스크류(32)도 회전된다. 회전되는 스크류(32)를 따라 승강부재(34)와 함께 안착샤프트(35)가 승강된다. 즉, 안착샤프트(35)와 함께 적층플레이트(P)가 승강될 수 있다.
승강부재(34)는 스크류(32)에 나사결합되는 너트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안착샤프트(35)는 양단이 승강부재(34)들에 연결됨에 따라 승강부재(34)가 스크류(32)에서 회전되지 않으면서 승강되게 하면서, 수평을 이루게 되어 적층플레이트(P)의 양측이 걸쳐져서 고정된다. 즉, 적층플레이트(P)는 양측이 안착샤프트(35)들에 걸린 상태로 안착되어서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상부에 도로경계석(K)이 적층될 수 있다.
크레인(40)은 승강기(30)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레일(41)과, 레일(41)들에 각각 구름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42)와, 롤러(42)들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 롤러(42)들을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수단이 구비되는 이동체(43)와, 이동체(43)에 구비되는 크레인승강수단(45)과, 크레인승강수단(45)에 의해 승강되면서 도로경계석(K)을 파지하는 파지수단(46)을 포함한다.
이동체(43)에 구비되는 롤러구동수단은 롤러(42)들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롤러(42)들에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샤프트와, 연결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연결샤프트에 전달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교합되면서 연결샤프트에 고정되는 피동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에 교합된 피동기어가 회전되므로 피동기어가 고정된 연결샤프트와 함께 롤러(42)들이 회전된다. 즉, 롤러(42)들이 회전됨에 따라 크레인승강수단(45)과 파지수단(46)이 이동될 수 있다.
크레인승강수단(45)은 파지수단(46)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동체(43)에 수직으로 승강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 파지수단(46)이 고정되는 래크기어와, 래크기어에 교합되는 피니언과,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승강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피니언이 회전됨에 따라 래크기어가 승강되므로 파지수단(46)이 승강될 수 있다.
파지수단(46)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승강수단(45)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암대(46a)와, 암대(46a)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되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도로경계석(K)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판(46c)과, 암대(46a)의 일단에서 외측에 구비되어 암대(46a)의 일단에 구비된 지지판(46c)을 밀거나 당기는 밀대(46d)와, 암대(46a)의 타단에서 외측에 구비되어 암대(46a)의 타단에 구비된 지지판(46c)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회전부(46e)를 포함한다.
밀대(46d)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유압이나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밀대(46d)가 지지판(46c)을 밀면 지지판(46c)들이 도로경계석(K)의 양측을 가압하여서 파지하게 되고, 밀대(46d)가 지지판(46c)을 당기면 지지판(46c)의 간격이 벌려지므로 도로경계석(K)이 지지판(46c)에서 분리된다.
회전부(46e)는 지지판(46c)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지지판(46c)에 고정되는 피동롤러와,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에 개재되는 벨트로 구성되거나, 지지판(46c)에 축결합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경계석(K)의 양측에 암대(46a)의 양단이 위치된 상태에서 밀대(46d)가 지지판(46c)을 밀면 지지판(46c)들이 도로경계석(K)의 양측을 가압하여서 파지하게 된다. 이어서, 회전부(46e)가 지지판(46c)을 회전시키면 도로경계석(K)이 회전되어서 상하가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상하가 전환된 후에 밀대(46d)의 작동에 의해 지지판(46c)에서 도로경계석(K)이 분리되어서 적층플레이트(P)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크레인(40)의 일측에는 도로경계석(K)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이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수단(50)은 복수의 롤러(51)와 롤러(51)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부(52)로 구성될 수 있다. 롤러(51)들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면서 'X'형태로 교차되게 구비되어 도로경계석(K)의 측면과 하면이 동시에 지지되어서 도로경계석(K)를 이송시킬 수 있다. 동력부(52)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롤러(51)들에 전달하는 풀리들과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50)에 의해 도로경계석(K)이 크레인(40)의 일측으로 이송되어 온다.
이어서, 파지수단(46)이 이송되어 온 도로경계석(K)을 파지하면, 크레인승강수단(45)이 도로경계석(K)을 파지한 파지수단(46)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이동체(43)에 구비된 롤러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롤러(42)들이 회전됨에 따라 이동체(43)가 파지수단(46)과 함께 승강기(3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승강기(30)의 내측으로 이동된 파지수단(46)이 파지한 도로경계석(K)을 적층플레이트(P)에 일렬로 나란히 탑재시킨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경계석(K)들이 적층플레이트(P)에 1층으로 적재가 완료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졸대배출수단(20)의 구동에 의해 졸대저장수단(10)에 저장된 졸대(W)가 배출되어서 나란히 정렬된 도로경계석(K)의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승강기(30)가 도로경계석(K)을 졸대케이스(11)의 하부에 근접되게 위치시킴에 따라 졸대케이스(11)에서 배출되는 졸대(W)가 튕겨지지 않으면서 도로경계석(K)의 상부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30)가 작동되어서 적층플레이트(P)를 도로경계석(K)의 높이만큼 하강시킨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50)에 의해 이송되어 온 도로경계석(K)을 크레인(40)이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여서 졸대(W)의 상부에 2층으로 적층시킨다. 이때, 2층으로 적층되는 도로경계석(K)들은 졸대(W)에 지지되므로 하부에 위치된 도로경계석(K)들과 서로 마찰되지 않는다. 즉, 도로경계석(K)들은 상하로 적층되어도 졸대(W)에 의해 서로 마찰되지 않으므로 이동 중에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어도 서로 접촉되어서 파손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으로 적층된 도로경계석(K)의 상부에 졸대배출수단(20)의 구동에 의해 졸대저장수단(10)에 저장된 졸대(W)가 배출되어서 안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졸대(W)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K)들의 상하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3층 내지 4층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물론, 도로경계석(K)들이 적층된 적층플레이트(P)는 미도시된 크레인이나 지게차에 의해 다른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K)들을 적층한 상태로 파손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어서 도로경계석(K)을 제조하는 공장 등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졸대 공급 장치(1)는 전술한 승강기(30)에 구비되는 이동부(60)에 의해 승강기(30)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60)는 프레임(31)의 양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가이드레일(61)과,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에 졸대 공급 장치(1)가 고정되는 가이드블록(62)과, 가이드블록(62)을 프레임(31)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프레임(31)에 고정되는 구동부(63)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61)은 복수로 구성되어 승강기(30)의 프레임(31)에 수평하면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고정된다.
가이드블록(62)은 가이드레일(61)이 관통되도록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졸대저장수단(10)이나 후술되는 추가졸대저장수단(100)이 연결된다.
구동부(63)는 유압이나 공압으로 가이드블록(62)에 끝단이 고정된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부(63)가 실린더축을 신축시킴에 따라 가이드블록(62)이 가이드레일(61)을 따라 프레임(31)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졸대저장수단(10)에서 배출되는 졸대(W)가 도로경계석(K)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가이드블록(62)이 가이드레일(61)을 따라 프레임(31)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밴드(B)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K)을 밴딩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졸대배출수단(20)의 작동에 의해 적층되는 최하부에 위치된 도로경계석(K)의 하부를 지지하는 추가졸대(W1)가 하나씩 배출되도록, 졸대저장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추가졸대(W1)가 하부로 배출가능하게 저장되는 추가졸대저장수단(100)을 포함한다.
추가졸대저장수단(100)은 졸대케이스(11)의 일측에 고정되고, 추가졸대(W1)들이 상부로 적층되어서 하부로 배출되도록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는 케이스형태로 형성된다. 즉, 전술한 졸대케이스(11)의 졸대가이드(13)에 고정된다. 아울러, 추가졸대저장수단(100)의 일측에는 배출되는 추가졸대(W1)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추가졸대가이드(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받침턱(12)은 추가졸대저장수단(100)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어서, 추가졸대저장수단(100)에서 배출되는 추가졸대(W1)가 지지될 수 있고, 졸대저장수단(10)의 졸대(W)가 배출되도록 배출홀(14)이 형성된다.
아울러, 전술한 밀대(22)는 포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대(22)는 포크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사이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졸대가이드(13)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밀대(22)가 추가졸대(W1)를 밀기위해 전진되는 과정에서 졸대가이드(13)가 사이사이의 홈에 졸대가이드(13)가 삽입되므로 밀대(22)가 졸대가이드(13)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추가졸대(W1)를 용이하게 밀수 있다.
그리고, 추가졸대(W1)는 적층되는 도로경계석(K)들을 밴딩하는 밴드(B)가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도록 밴드홀(W2)이 형성되거나, 밴드(B)가 일단의 하부에서 타단의 하부까지 수용되도록 밴드홈(W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졸대(W1)는 구조를 견고히 하기 위해 PVC나 목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2)가 받침턱(12)의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추가졸대(W1)와 졸대(W)가 밀대(22)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2)가 배출홀(14)을 벗어나지 않는 정도로만 후진하면 추가졸대저장수단(100)에서 추가졸대(W1)가 배출되어서 받침턱(12)에 지지된다. 이때, 밀대(22)가 배출홀(14)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졸대(W)가 배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2)가 전진하여 받침턱(12)에 지지된 추가졸대(W1)를 밀면 추가졸대(W1)가 추가졸대가이드(15)에 의해 안내되어 받침턱(12)에서 이탈되어서 낙하된다.
따라서,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졸대저장수단(100)에서 배출되는 추가졸대(W1)가 적층플레이트(P)에 안착되므로 도로경계석(K)들이 추가졸대(W1)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2)가 배출홀(14)을 개방하면서 후진하면 졸대케이스(11)에서 졸대(W)가 배출되어서 받침턱(12)의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2)가 전진하여 졸대(W)를 배출홀(14)까지 이동시키면 졸대(W)가 배출홀(14)을 통해 배출되어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경계석(K)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 2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졸대(W)를 더 공급하기 위해 밀대(22)가 다시 후진하면 졸대케이스(11)에서 다른 졸대(W)가 배출되어서 받침턱(12)에 공급된다. 물론, 추가졸대(W1)를 다시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밀대(22)가 졸대(W)를 배출시킨 후에 더욱 전진하면 추가졸대(W1)를 밀어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2)가 완전히 후진한 상태에서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만 전진하여 졸대(W)를 밀어서 배출홀(14)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밀대(22)의 끝단이 졸대가이드(13)에 닫지 않는다. 그리고, 도 2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졸대(W)가 배출홀(14)을 지나면서 추가졸대(W1)를 밀어서 추가졸대가이드(15)까지 밀어서 추가졸대가이드(15)와 받침턱(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밀대(22)의 사이에 형성된 홈에 졸대가이드(13)이 삽입되므로 밀대(22)가 졸대가이드(13)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추가졸대(W1)를 용이하게 밀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졸대(W1)를 하나 공급한 후에 도로경계석(K)을 적층시키고 추가졸대(W1)의 상부에 도로경계석(K)들을 1층으로 올려놓는다. 그리고, 1층으로 올려진 도로경계석(K)의 상부에 졸대(W)를 안착시키고 다시 안착된 졸대(W)위에 도로경계석(K)을 2층으로 적층시킨다. 이어서, 2층으로 적층된 도로경계석(K)의 상부에 졸대(W)를 안착시키고 다시 안착된 졸대(W)위에 도로경계석(K)을 적층시킨다. 마지막으로, 도로경계석(K)을 원하는 층만큼 쌓은 후에 밴드(B)로 추가졸대(W1)와 적층된 도로경계석(K)을 밴딩할 수 있다. 이때, 밴드(B)는 추가졸대(W1)에 형성된 밴드홀(W2)이나 밴드홈(W3)에 수용되어서 추가졸대(W1)에서 탈리되지 않으면서 도로경계석(K)을 밴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경계석(K)들은 추가졸대(W1)에 적층되므로 도로경계석(K)들이 적층되는 별도의 판넬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의 집게나 지게차의 포크가 추가졸대(W1)의 밴드홀(W2)이나 밴드홈(W3)에 삽입되므로 크레인이나 지게차에 의해 적층된 도로경계석(K)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적층된 도로경계석(K)들이 밴드(B)에 의해 밴딩처리되어 하나의 묶음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동 중에 도로경계석(K)들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졸대 공급 장치 K : 도로경계석
W : 졸대 P : 적층플레이트
W1 : 추가졸대 W2 : 밴드홀
W3 : 밴드홈 10 : 졸대저장수단
11 : 졸대케이스 12 : 받침턱
13 : 졸대가이드 14 : 배출홀
20 : 졸대배출수단 21 : 구동부
22 : 밀대 30 : 승강기
31 : 프레임 32 : 스크류
33 : 승강기구동수단 33a : 수직베벨스크류
33c : 수평베벨스크류 33d : 수평샤프트
33e : 구동모터 33f : 동력전달부재
34 : 승강부재 35 : 안착샤프트
40 : 크레인 41 : 레일
42 : 롤러 43 : 이동체
45 : 크레인승강수단 46 : 파지수단
46a : 암대 46c : 지지판
46d : 밀대 46e : 회전부
50 : 이송수단 51 : 롤러
52 : 동력부 100 : 추가졸대저장수단

Claims (10)

  1. 적층되는 도로경계석(K)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도로경계석(K)들의 접촉을 방지하는 졸대(W)가 하부로 배출가능하게 저장되는 졸대저장수단(10)과,
    졸대저장수단(10)에 저장된 졸대(W)를 하나씩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졸대배출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졸대저장수단(10)은
    내부공간이 상단과 하단으로 개구되고 내부공간에 졸대(W)들이 적층된 상태로 저장되는 졸대케이스(11)와,
    졸대케이스(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졸대케이스(11)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졸대(W)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턱(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졸대케이스(11)는 졸대(W)들이 일렬로 적층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내부공간의 폭이 졸대(W)의 폭만큼 이격되고,
    졸대케이스(11)는 하단과 받침턱(12)의 간격이 졸대(W)의 높이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졸대케이스(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졸대케이스(11)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졸대(W)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졸대가이드(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졸대배출수단(20)은
    졸대저장수단(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구동축을 신축시키는 구동부(21)와,
    구동부(2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의 신장에 의해 졸대케이스(11)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졸대(W)를 가압하여서 배출시키면서 졸대케이스(11)의 하단을 폐쇄하는 밀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밀대(22)는 졸대케이스(11)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도록 내부공간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밀대(22)는 포크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졸대배출수단(20)의 작동에 의해 적층되는 최하부에 위치된 도로경계석(K)의 하부를 지지하는 추가졸대(W1)가 하나씩 배출되도록, 졸대저장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추가졸대(W1)가 하부로 배출가능하게 저장되는 추가졸대저장수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추가졸대(W1)는
    적층되는 도로경계석(K)들을 밴딩하는 밴드(B)가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도록 밴드홀(W2)이 형성되거나,
    밴드(B)가 일단의 하부에서 타단의 하부까지 수용되도록 밴드홈(W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졸대저장수단(10)이 양측에 고정되고 졸대배출수단(20)에 의해 배출되는 졸대(W)가 도로경계석(K)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졸대저장수단(10)의 하부까지 도로경계석(K)이 적층되는 적층플레이트(P)를 승강시키는 승강기(30)와,
    승강기(30)에 의해 승강되는 적층플레이트(P)에 도로경계석(K)을 적층시키는 크레인(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대 공급 장치.
KR1020140108550A 2014-08-20 2014-08-20 졸대 공급 장치 KR101704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50A KR101704656B1 (ko) 2014-08-20 2014-08-20 졸대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50A KR101704656B1 (ko) 2014-08-20 2014-08-20 졸대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85A true KR20160022685A (ko) 2016-03-02
KR101704656B1 KR101704656B1 (ko) 2017-02-08

Family

ID=5558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50A KR101704656B1 (ko) 2014-08-20 2014-08-20 졸대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6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85Y1 (ko) * 1990-02-15 1992-10-16 주식회사 덕산기공 경계석 큐빈 적재기
KR200209065Y1 (ko) * 2000-07-25 2001-01-15 현대종합금속주식회사 결속력을 향상시킨 파레트
JP2009194116A (ja) * 2008-02-14 2009-08-27 Yokogawa Electric Corp ハンドラのチューブ分離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85Y1 (ko) * 1990-02-15 1992-10-16 주식회사 덕산기공 경계석 큐빈 적재기
KR200209065Y1 (ko) * 2000-07-25 2001-01-15 현대종합금속주식회사 결속력을 향상시킨 파레트
JP2009194116A (ja) * 2008-02-14 2009-08-27 Yokogawa Electric Corp ハンドラのチューブ分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656B1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09438B (zh) 码垛机构
US11008174B1 (en) Automated lumber retrieval and delivery
DE60004378T2 (de) Umhüll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CN105583911A (zh) 人造板自动送料切割工艺
CN106315205B (zh) 码垛机
CN103832821A (zh) 铜箔卷运输设备及方法
KR101704656B1 (ko) 졸대 공급 장치
CN205675796U (zh) 全自动码垛机
CN205274635U (zh) 人造板切割自动送料装置
CN112591438B (zh) 一种砖坯分缝方法
CN211306561U (zh) 一种木门生产用板料中转架
CN114919804A (zh) 全自动石墨电极钢带包装线
CN203612665U (zh) 一种自动卸砖码垛机
CN110834368B (zh) 一种木门板材的拼接加工方法
CN110939281A (zh) 一种自动码墙机
DE102009040792A1 (de) Palettenentstapler
CN114704106B (zh) 悬挑式卸料平台及卸料方法
CN213052546U (zh) 一种钢筋网生产用上料装置
CN110815436B (zh) 一种木门板材用自动拼接系统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KR100462659B1 (ko) 대형블럭용 자동 적재/하역장치
KR102096235B1 (ko) 재단 전처리 공정에서의 목재패널 이송장치
CN108726162A (zh) 一种木塑板的取放装置
CN217533424U (zh) 全自动石墨电极钢带包装线
CN217970109U (zh) 砖垛分层卸垛机构及砖垛自动卸垛编组打包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