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592A -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 Google Patents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592A
KR20160022592A KR1020140108342A KR20140108342A KR20160022592A KR 20160022592 A KR20160022592 A KR 20160022592A KR 1020140108342 A KR1020140108342 A KR 1020140108342A KR 20140108342 A KR20140108342 A KR 20140108342A KR 20160022592 A KR20160022592 A KR 20160022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route
fire
upper layer
noise
desig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672B1 (ko
Inventor
박대융
박지용
Original Assignee
박대융
박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융, 박지용 filed Critical 박대융
Priority to KR102014010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6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세대가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이루어진 2개 층이 하나로 통합되어 복층형으로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서, 상부층에 거실이 배치되고, 하부층에는 다수 개의 침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세대 간에 공유되는 측면벽체에 한 세대의 슬래브를 포함한 골조는 이격되어 설치되되, 양측세대의 이격된 공간에는 흡음벽이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인접한 세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재시 상부층의 복도가 수평피난통로로 이용되고, 하부층의 피난발코니에 형성된 피난통로 및 피난사다리가 수직피난통로로 이용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한 피난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The design structure of duplex apartment house that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and provided a safe evacuation route}
본 발명은 단위거주가 2층에 걸쳐 있는 복층형으로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실의 배치와 구조의 개선을 통해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경로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들의 생활이 점차 윤택해짐에 따라 주택은 단순히 주거용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더욱 쾌적한 주거환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날로 증가추세에 있는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등의 공동주택 거주자들은 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소음은 물론, 나 자신이 자유로이 소리를 내고 싶은 욕구를 해소할 길 없어, 층간에 발생되는 소음방지가 쾌적한 주거환경의 첫째 요건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시공업체 또한 이러한 실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층간 소음방지재 개발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특히 공동주택의 구조는 시공이 빠르고 편리하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벽식구조가 이용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모든 구조가 일체화된 벽식구조에서는 바닥과 벽을 통해 세대 간의 소음진동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슬래브 바닥층에 흡음재를 두껍게 깔아 주기만 하면 층간 소음이 차단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슬래브 바닥층의 흡음재를 두껍게 시공한다 하더라도 위층에서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소음은 아래층에 벽을 통하여 그대로 전달되고 이러한 소음에 한번쯤은 누구나 시달린 적이 있는 실정이다. 통상 흡음층 상에 배관 시설을 한 다음 마감콘크리트로서 마무리를 하게 되는데,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이러한 현상은 슬래브 바닥층에 흡음재를 아무리 두껍게 시공했다 하더라도 바로 이 마감콘크리트층이 위층의 진동 및 충격을 아래층으로 전달하는 주범인 매개체가 되는 것인바, 마감콘크리트층이 벽체와 직접 연결 시공된 부분에 그 원인이 있으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콘크리트 마감층과 벽체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면서 마감층 및 벽체는 모두 동일한 재질을 갖는 콘크리트 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위층에서의 진동 및 충격이 마감콘크리트층을 타고 벽체로 그대로 전달되면서 벽체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파는 그대로 아래층에 살고 있는 집안의 공간으로 확산 되므로 불쾌한 소음에 시달리게 되는 전달체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마감층과 벽체가 동일 콘크리트 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진동 및 충격파가 벽체를 통하여 그대로 전달되게 되므로 슬래브 바닥층의 흡음재는 벽체 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파를 전혀 막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즉, 공동주택에서 인접하는 세대 간에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거나 저감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아파트의 70~80%는 홀형아파트로 되어 있다. 이러한 홀형아파트는 중앙에 엘리베이터와 계단을 배치하고 양쪽에 각각 한 세대를 배치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기후 특성상 눈과 비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때문에 외부계단 보다는 주로 벽과 창문이 있는 내부계단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공기 순환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 내부계단은 화재시 굴뚝과 같은 연기를 빠르게 상부층으로 이동시켜 계단과 나란히 배치된 엘리베이터 홀을 연기로 가득 차게한다. 이때 불길은 수직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화재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피난자가 수직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연기로 가득 찬 홀과 내부계단을 통해서는 피난이 거의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화재의 확산에 있어서 수평으로는 주로 복도, 계단이나 설비관통로가 확산의 통로가 되고, 수직으로는 계단실, 엘리베이터 샤프트, 배관샤프트 등을 통해 상승기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수직확산은 거주자의 피난과 소방대의 활동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특히 아파트는 계단이나 복도를 공유함에 따라 이곳이 연기로 오염될 경우 각 세대는 계단을 통해 대피하는데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계단실의 오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며, 만일 계단을 통한 피난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는 추가적인 대피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요 피난수단인 계단실이 화재에 의한 연기에 노출되었을 때는 연기의 수평방향 속도가 초당 0.3∼1m이고 수직방향 속도가 초당 2∼3m라 할 때 이동 연기가 1층에서 12층까지 도달하는 데 1분이 채 안 걸리는 관계로 이러한 경우 계단을 통한 대피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아울러 홀형아파트의 경우에는 화재시 이웃세대로 이어지는 비상 칸막이벽과 현관을 통해 탈출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비상 칸막이벽의 경우 존재 유무조차 모르는 사용자가 많고 비상 칸막이벽이 형성되어 있는 발코니 공간에 세탁기와 집기류 등을 비치해 두거나 벽을 허물어 거실과 방으로 확장하는 등의 실태로 화재시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설계구조를 단위세대별 복층형으로 구성하되, 상부층에는 거실이 배치되고 하부층에는 침실이 배치됨으로써 상ㆍ하세대 간의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고, 좌우로 인접하는 세대 간의 공유하는 측면벽체는 일정 거리 이격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좌우세대 간의 소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세대 간에 전달되는 소음진동을 근본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층에 위치한 복도는 물론 단위세대 내에 배치된 피난발코니와 한 면 이상이 외기와 접하는 외부계단이 구비됨으로써 화재시 수평, 수직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위세대가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이루어진 2개 층이 하나로 통합되어 복층형으로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서, 상부층에 거실이 배치되고, 하부층에는 다수 개의 침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세대 간에 공유되는 측면벽체에 한 세대의 슬래브를 포함한 골조는 이격되어 설치되되, 양측세대의 이격된 공간에는 흡음벽이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인접한 세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재시 상부층의 복도가 수평피난통로로 이용되고, 하부층의 피난발코니에 형성된 피난통로 및 피난사다리가 수직피난통로로 이용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한 피난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거실 및 주방이 상부층에 배치되고 각 침실이 하부층에 배치되는 복층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일반적으로 중량충격음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거실의 소음이 하부세대로 직접 전달되지 않아 층간소음으로 인한 세대간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쾌적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단위세대별로 하부층의 침실공간이 상부층의 거실에서 발생되는 소음진동에 대한 완충공간으로서 역할하기에 거실의 소음이 하부세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것은 물론, 하부세대의 입장에서도 심야에 침실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 하부세대의 상부층에 배치된 거실공간이 완충공간으로 역할함으로써 층간소음을 근본적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은 인접한 단위세대 간에 공유되는 측면벽체에서 슬래브를 포함한 한 쪽 측벽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에 흡음벽이 설치되어 좌우세대 간에 발생되는 직접충격음이 측면세대와 하부세대에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소음에 의한 이웃 간의 분쟁 등이 해결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부층에 현관문과 연계된 복도가 배치됨에 따라 수평피난통로가 확보됨은 물론 하부층에 하부세대의 복도로 이동할 수 있는 피난발코니가 배치됨에 따라 수직피난통로가 확보됨으로써 화재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피난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면이 외기와 접하도록 개방된 형태의 외부계단이 구비됨으로써 종래에 폐쇄된 내부계단으로 인하여 화재시 발생되던 굴뚝효과(stack effect)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단위세대의 상부층과 하부층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단위세대의 단면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여러 개의 단위세대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부층과 하부층의 평면도이다.
도 6(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여러 개의 단위세대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부층과 하부층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단위세대의 상부층(100)과 하부층(2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단위세대가 복층형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좌우 세대 간에 전달되는 소음진동을 저감시키고 화재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피난통로(28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복층형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으로는 아파트, 숙식가능한 오피스텔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생활하는 건축물에 적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위세대가 상부층(100)과 하부층(200)으로 이루어진 2개 층이 하나로 통합되어 복층형으로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서, 상부층(100)에 거실(120)이 배치되고, 하부층(200)에는 다수 개의 침실(22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의 단위세대들이 상부층(100)과 하부층(200)으로 구성되는 복층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복층형 구조와 달리 상부층(100)에 거실(120)이 배치되고 하부층(200)에 침실(220)공간이 형성된다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하부세대에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중량충격음은 아이들이 주로 뛰거나 세대원들이 모여서 활동하는 거실(120)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거실(120)은 공동주택의 주요 소음원인이 되는데, 단위세대를 복층형으로 구성하고 상부층(100)을 거실(120)로 배치함으로써 하부세대에 중량충격음 등의 소음진동을 직접적으로 전달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하부층(200)의 침실(220)공간이 상부층(100)의 거실(120)에서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완충시키는 공간으로 활용됨으로써 하부세대에 직접적으로 소음진동이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야간의 취침 시에는 상부층(100)의 거실(120)이 상부세대의 소음진동에 대한 완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단위세대의 상부층(100) 위에는 상부세대의 하부층(200)에 배치된 침실(220)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침실(220)공간은 상대적으로 거실(120)보다는 작은 소음이 발생되며, 가령 취침 중에 상부세대의 침실(220)에서 소음이 발생되더라도 해당하는 단위세대의 상부층(100)의 거실(120)이 완충공간으로 역할하여 하부층(200)의 침실(220)에서는 소음을 거의 느낄 수 없게 된다.
한편, 하부층(200)의 침실(220) 소음에 대하여 하부세대로부터 주의를 받을 경우에는 소음원을 상부층(100)의 거실(120)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부세대의 침실(220)로부터 소음이 발생 할 경우에는 그러한 소음을 피해 하부층(200)의 침실(220)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갈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1(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100)은 복도(150)와 연계된 주출입구(130)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복도(150)를 통해 상기 상부층(100)으로 각 단위세대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부층(100)은 거실(120), 제1욕실(140), 다용도실(160), 파이프공간(P), 주방(180)으로 구성되고, 하부층(200)은 제1침실(220a), 제2침실(220b), 상기 상부층(100)의 복도(150)와 일부분이 동일선상에 위치한 제3침실(220c), 제2욕실(240), 파이프공간(P), 햇빛발코니(26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층(100)과 하부층(200)은 상기 복도(150)와 접하여 배치되는 원형계단(400)을 통해 이동이 가능해지되, 상기 하부층(200)의 외벽, 원형계단(400) 및 제3침실(220c)로 둘러싸인 공간은 피난발코니(280)로 이루어지고 일부 공간이 개구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피난통로(282)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세대의 상기 피난통로(282)에서 하부세대의 복도(150)로 수직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하부층(200)의 파이프공간(P) 주위에 미닫이 문과 여닫이문을 형성하여 안방으로 역할하는 제1침실(220a)의 프라이버시를 침해받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제2욕실(240)을 공용욕실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층(100)의 복도(150)와 피난발코니(280)를 상부층(100)과 하부층(200)에서 동일 선상에 배치하고 복도(150)와 피난발코니(280) 내측에 원형계단(400)을 배치하되, 원형계단(400)은 복도(150) 및 피난발코니(280)와 접하는 벽에 창문이 형성됨으로써 채광 및 시야 확보에 유리해질 수 있다.
한편, 피난발코니(28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4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단위세대의 단면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인접한 세대 간에 공유되는 측면벽체(W)에 한 세대의 슬래브(S)를 포함한 골조는 이격되어 설치되되, 양측세대의 이격된 공간에는 흡음벽(300)이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인접한 세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접한 단위세대 간에 있어서, 일측 단위세대의 측면벽체(W)를 타측 단위세대의 슬래브(S)를 포함한 구조체와 완전히 분리시키고, 그 분리된 공간 사이에 흡음벽(3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양측 단위세대 간의 골조가 분리된 상태가 되면 양측 단위세대 간에 벽으로 전달되던 직접충격소음이 차단되거나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음벽(300)은 양측 단위세대를 연결시켜 주는데, 소음차단 성능에 효율적인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흡음벽(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S)의 상단을 경계로 두께가 다르게 구성되되, 상기 슬래브(S)와 동일선상에는 글라스울과 시멘트보드가 이용되고, 상기 슬래브(S) 위로는 글라스울, 석고보드, 스터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공동주택이 벽식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부세대의 층간소음이 벽을 타고 전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양측 단위세대 간의 분리된 골조로 인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층(100)에 복도(150)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복도(150)는 화재시 수평피난통로(282)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복도(150)는 엘리베이터 및 외부계단(500)과 연결되어 거주자의 이동 통로로서 역할을 하는데, 외기(外氣)와 접하지 않는 밀폐된 공간으로 구성됨으로써 눈이나 비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층(100)의 복도(150)를 통해 외부로 출입될 수 있는 외부계단(500)이 구비되되, 상기 외부계단(500)은 한 면 이상에 벽이 없는 개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외부계단(500)은 한 면 이상이 벽이 없는 외부공간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화재시 계단을 포함한 코어(core)를 통해 연기가 올라와 질식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세대의 하부층(200)에 피난발코니(28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피난발코니(280)에는 하부세대의 복도(150)로 이어지는 피난통로(282)가 구비되어 있다.
피난통로(28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발코니(280)의 일부분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어 수직이동 통로가 되는 공간으로 화재시 하부세대의 복도(150)로 이동을 가능케 한다. 이때, 피난발코니(280)의 한쪽 벽에 고정되고 하부세대의 복도(150) 벽으로 내릴 수 있는 피난사다리(284)가 구비됨으로써 안전하게 수직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피난발코니(280)는 화재시 수직피난통로(282)의 역할을 하기에 작은 규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집기류 등의 배치를 피해 피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복도(150)를 상부층(100)에 배치하여 화재시 수평으로 피난이 가능해지고, 하부층(200)의 피난발코니(280)를 통하여 하부세대로의 수직피난이 가능해짐으써 수평 수직으로 신속하고 안전한 피난 통로가 확보된다.
도 5(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여러 개의 단위세대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부층(100)과 하부층(200)의 평면도이고, 도 6(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여러 개의 단위세대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부층(100)과 하부층(2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코어를 포함해 각 단위세대가 연결된 평면의 배치가 ㄷ,ㅁ,ㅍ,ㄱ,ㄴ,ㅠ,ㅜ,ㅇ,ㅗ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5(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의 한 복도(150)를 4세대가 이용함으로써 수평피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제적인 측면과 공간활용 측면에서 합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타워형 공동주택으로 구성됨으로써 화재시 계단을 통한 연기의 확산을 막을 수 있으며, 전망 및 조망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ㅁ'자와 'ㅍ'자가 결합된 형태의 평면 배치로 구성되고, 수직과 수평의 공간이 교차되는 지점과 단부에 외부계단(500) 및 엘리베이터홀을 배치하여 화재시 수평 수직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S: 슬래브 W: 측면벽체
P: 파이프공간 100: 상부층
120: 거실 130: 주출입구
140: 제1욕실 150: 복도
160: 다용도실 180: 주방
200: 하부층 220: 침실
220a: 제1침실 220b: 제2침실
220c: 제3침실 240: 제2욕실
260: 햇빛발코니 280: 피난발코니
282: 피난통로 284: 피난사다리
300: 흡음벽 400: 원형계단
500: 외부계단

Claims (10)

  1. 단위세대가 상부층(100)과 하부층(200)으로 이루어진 2개 층이 하나로 통합되어 복층형으로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서,
    상부층(100)에 거실(120)이 배치되고, 하부층(200)에는 다수 개의 침실(22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2. 제1항에서,
    인접한 세대 간에 공유되는 측면벽체(W)에 한 세대의 슬래브(S)를 포함한 골조는 이격되어 설치되되,
    양측세대의 이격된 공간에는 흡음벽(300)이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인접한 세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흡음벽(300)은,
    상기 슬래브(S)의 상단을 경계로 두께가 다르게 구성되되,
    상기 슬래브(S)와 동일선상에는 글라스울과 시멘트보드가 이용되고,
    상기 슬래브(S) 위로는 글라스울, 석고보드, 스터드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부층(100)은 복도(150)와 연계된 주출입구(130)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복도(150)를 통해 상기 상부층(100)으로 각 단위세대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5. 제4항에서,
    상부층(100)은 거실(120), 제1욕실(140), 다용도실(160), 파이프공간(P), 주방(180)으로 구성되고,
    하부층(200)은 제1침실(220a), 제2침실(220b), 상기 상부층(100)의 복도(150)와 일부분이 동일선상에 위치한 제3침실(220c), 제2욕실(240), 파이프공간(P), 햇빛발코니(26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층(100)과 하부층(200)은 상기 복도(150)와 접하여 배치되는 원형계단(400)을 통해 이동이 가능해지되,
    상기 하부층(200)의 외벽, 원형계단(400) 및 제3침실(220c)로 둘러싸인 공간은 피난발코니(280)로 이루어지고 일부 공간이 개구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피난통로(282)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세대의 상기 피난통로(282)에서 하부세대의 복도(150)로 수직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6. 제4항에서,
    상기 상부층(100)의 복도(150)는 외기(外氣)와 접하지 않는 밀폐된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7. 제4항에서,
    상기 상부층(100)의 복도(150)를 통해 외부로 출입될 수 있는 외부계단(500)이 구비되되,
    상기 외부계단(500)은 한 면 이상에 벽이 없는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8. 제5항에서,
    상기 피난발코니(280)에는 한쪽 벽에 고정되어 상기 피난통로(282)를 통해 하부세대의 복도(150)를 향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펼쳐지는 피난사다리(28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9. 제5항에서,
    상기 원형계단(400)은 복도(150) 및 피난발코니(280)와 접하는 벽에 창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코어를 포함해 각 단위세대가 연결된 평면의 배치가 ㄷ,ㅁ,ㅍ,ㄱ,ㄴ,ㅠ,ㅜ,ㅇ,ㅗ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20140108342A 2014-08-20 2014-08-20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167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42A KR101679672B1 (ko) 2014-08-20 2014-08-20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42A KR101679672B1 (ko) 2014-08-20 2014-08-20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592A true KR20160022592A (ko) 2016-03-02
KR101679672B1 KR101679672B1 (ko) 2016-11-25

Family

ID=5558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342A KR101679672B1 (ko) 2014-08-20 2014-08-20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2592A (zh) * 2018-04-03 2020-11-06 朴大隆 降低层间噪音且易于维修的复式公寓设计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591B1 (ko) * 2017-08-21 2018-05-16 박대융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내진성능이 향상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2117565B1 (ko) * 2019-11-05 2020-06-01 박지용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KR20230070785A (ko) 2021-11-15 2023-05-23 (주)포스코이앤씨 공동주택의 소음방지용 다목적룸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685A (ja) 1999-03-18 2000-09-26 Sekisui House Ltd 住 宅
KR101141300B1 (ko) 2010-01-15 2012-05-04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에 설치되는 접이식 십자형 구난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2592A (zh) * 2018-04-03 2020-11-06 朴大隆 降低层间噪音且易于维修的复式公寓设计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672B1 (ko) 201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JP3195613U (ja) 住戸群および複数の住戸群を含む集合住宅
JP6842278B2 (ja) 集合住宅
KR20210100000A (ko)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
KR101958876B1 (ko)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JP2008190203A (ja) 建物
JP7097227B2 (ja) 高層建物
KR20160122557A (ko) 복층구조 공동주택
JP2010156103A (ja) 集合住宅
KR102440053B1 (ko)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JP2907201B1 (ja) 中・高層の共同住宅
JP2008057252A (ja) 軒桁上収納庫付き建物
KR100746765B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KR20200005976A (ko)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JP2013204324A (ja) 集合住宅
KR102117565B1 (ko)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KR20190017321A (ko) 조망권 확장과 독립공간 설계가 자유로운 공동주택
JP2008223474A (ja) 収納室を持つ建物
KR200427840Y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JP3142164U (ja) 集合住宅
JP5411517B2 (ja) 3階建共同住宅
JP3199662U (ja) 住宅
Marriage Residential
Beharrell et al. Practical guide
JP2017020240A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