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166A -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166A
KR20160022166A KR1020140107972A KR20140107972A KR20160022166A KR 20160022166 A KR20160022166 A KR 20160022166A KR 1020140107972 A KR1020140107972 A KR 1020140107972A KR 20140107972 A KR20140107972 A KR 20140107972A KR 20160022166 A KR20160022166 A KR 20160022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ir
storage containe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417B1 (ko
Inventor
양정필
Original Assignee
양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필 filed Critical 양정필
Priority to KR102014010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4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0Jars, e.g. for preserving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의 밀폐된 저장용기(70)에 충진시킨 맥주 또는 기타의 주류나 음료수 및 생수 등의 내용물을 음용할 때 별도의 공기유통마개와 같은 공기 개폐수단을 번거롭게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배수콕 또는 배수볼과 같은 내용물 배출수단(80)의 조작만으로도 저장용기(70)의 밀폐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자동으로 유입되면서 저장용기(70)의 내용물(90)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한편, 내용물(90)의 배출 동작이 정지되면 자동으로 외부로부터의 저장용기(70)로 유입되는 공기가 자동으로 밀폐되면서 저장용기(70)에 잔류된 내용물(90)이 안전하게 밀폐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현원리가 작동될 수 있는 본 발명은 공기자동개폐밸브(10)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다수의 공기유입공(22)이 형성된 밸브마개지지구(20)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고정돌기(32)가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의 중앙에 끼움 결합되면서 중앙 하측으로는 만곡 돌출되게 중심경사돌부(36)를 형성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평상시에는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의 공기유입공(22)을 밀폐시키는 밸브실리콘마개(30)와, 저장용기(70)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른 상기 밸브실리콘마개(30)의 열림 동작에 따라 공기유입공(22)이 개방되는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를 중심으로 상기 저장용기(70)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다수의 공기유입공(52)이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상부하우징(50)과,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를 중심으로 저장용기(70)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작동공간부(44)의 하측 중앙에는 공기출입공(42)이 형성된 밸브하부하우징(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구성하며, 특히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구성하는 밸브실리콘마개(30)는 공기유입공(22)이 관통된 밸브마개지지구(20)와의 평상시 밀폐 동작이 확실히 유지될 수 있도록 측면 하측으로 밸브하부하우징(40)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밀폐돌부(34)가 확장 돌출되고, 밸브상부하우징(50) 위쪽에는 필요에 따라 보관시나 사용시 모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나 저장용기(70)로부터의 내용물 유출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밸브하우징덮개(60)가 포함되게 구성되되, 상기 밸브하우징덮개(60)는 상기 밸브상부하우징(50)과 결속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의 출입이 허용되도록 공기유입공(62)이 형성되는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Auto Air Open and Close Valve System for All Kinds of Liquor and Beverage}
본 발명은 대용량의 주류나 음료가 충진된 저장용기에서 간단하게 배수콕과 같은 내용물 배출수단의 조작만으로도 저장용기 내부로 외부 공기가 자동 유입되면서 내용물을 배출시켜 음용할 수 있는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의 밀폐된 저장용기에 충진시킨 맥주 또는 기타의 주류나 음료수 및 생수 등의 내용물을 음용할 때 공기유통마개와 같은 별도의 공기 개폐수단을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내용물 배출수단의 조작만으로도 저장용기의 밀폐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자동으로 유입되면서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한편, 내용물의 배출 동작이 정지되면 자동으로 외부로부터의 저장용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자동으로 밀폐되면서 저장용기에 잔류된 내용물이 안전하게 밀폐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다시피, 최근 캠핑문화가 급속히 퍼지면서 캠핑상품이 호황을 맞고 있는데, 텐트는 물론 야외활동에 관한 모든 용품의 판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심지어 SUV용 자동차까지 판매가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야외용품과 함께 먹을거리 판매도 덩달아 상승하면서 대용량 제품들도 더불어 인기가 치솟고 있는데 예컨대, 생수도 3~5리터 페트병으로 출시가 되고 있으며, 특히 맥주와 같이 핏처나 케그(보통 5리터) 등의 대용량 탄산 음료의 판매도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문제는 야외에서 케그캔과 같이 대용량의 저장용기에 담겨져 충진된 주류나 음료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 그 맛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용량의 저장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의 맛을 음용할 때와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대용량의 경우에 생수나 맥주도 뚜껑을 열고 한 번에 다 마실 수가 없어, 마실 적마다 별 수없이 뚜껑을 열고 닫기 때문에 몇 번만 하다 보면 내용물의 맛과 향이 다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각종 주류나 음료는 향기나 탄산이 없어지면 내용물 특유의 맛이 상실되며, 생수의 경우에도 장시간 보관하면 세균이 증,번식을 하게 마련이다. 특히 탄산이 들어가는 콜라나 맥주 또는 소주와 같은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밀폐된 저장용기에 채워진 맥주나 소주 같은 경우에는 가능한 한 뚜껑을 열면 되도록 빠른 시간에 남기지 말고 다 마셔버리거나, 다 마시지 않고 내용물이 남은 상태에서는 재빨리 뚜껑을 닫아 내용물의 맛과 향이 손상됨을 줄이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
그러나 대용량 내용물이 충진되는 저장용기의 경우에는 일단 뚜껑을 연후에는 마시고 남은 내용물 잔량을 뚜껑을 다시 담아 남겨둘 수밖에 없는데. 이 또한 시간이 지나면 저장용기의 내용물에 남아있는 향기와 맛이 없어져 버리고 내용물의 산패까지 일어나 결국에는 버리게 되는 원인을 막기 힘들었다.
참고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92087호(맥주캔)이나 제20-0280803호(맥주캔용 개봉장치) 등의 수많은 참고문헌들에서 보는 것처럼, 대부분의 업체에서 개발된 음료용 저장용기의 일례로서 대용량 맥주캔의 경우에 수동으로 사용자가 공기 개폐수단을 개방시켜 저장용기인 맥주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데, 이는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내용물 배출수단으로 저장용기 하부 일측에 구성된 배수콕을 개방시키면서 통상 저장용기 상부 일측에 구성시킨 별도의 공기 개폐수단인 공기유통마개를 수동으로 조작하여야만 한다. 현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5리터 용량의 케그(Keg)나 대용량의 생수용 용기도 바로 이런 방식의 저장용기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용량 주류 및 음료의 저장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일예를 보면, 독일은 맥주를 우리가 보리차 마시듯이 마시기 때문에 이 5리터 케그캔인 저장용기를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맥주를 마시는 동안에는 계속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공기가 저장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내용물 배출수단인 배수콕과 별도로, 통상 저장용기 상측에 공기 개폐수단으로 구성시킨 공기유입공의 공기유통마개를 개방시켜 그냥 열어놓고 마시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결국, 저장용기의 개방된 공기유입공을 통해 저장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포함된 탄산이 휘발되어 특유의 맛과 향이 없어지면서 산패도 일어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런 경험은 우리가 1.5리터 대용량 핏처 맥주를 마시다 보면 자주 느낄 것이며, 어쨌든 유럽이나 일본, 미국 등 전세계가 이런 배출방식의 대용량 저장용기를 어쩔 수 없이 그냥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무척 번거롭다.
한편, 우리가 무심코 보고 있지만 주류나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주류나 음료수가 나오는 입구가 크게 되어있는데, 그 이유는 유출이 되는 입구의 일정부분은 액체가 나오고 나머지 일정 부분은 공기가 교차되어 들어가고 나오게 됨으로서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조금이라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소주병이나 콜라병의 입구가 대략 내경은 통상 22~24㎜가 되는데, 이는 액체가 유출되는 양과 공기가 유입되는 량의 균형을 최대로 맞추기 위한 것이며, 이때 내용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너무 공기가 많이 유입이 되는 것을 막기는 곤란하다. 그리고 마개를 닫아 놓고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마시는데, 이때 그 사이에 공기와 용기 안에 있는 내용물이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맛을 변하게 되며, 이렇게 불필요하게 과도한 공기가 유입이 되면서 각종 주류는 물론 생수병 안에 있는 생수도 위생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많아지게 된다.
결국, 주류 및 음료용 대용량 저장용기는 기본적으로 내부의 가스와 외부의 공기가 서로 소통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 배출수단인 배수콕을 개방시키는 동작과 함께 어쩔 수 없이 별도의 공기 개폐수단에 해당되는 통상 공기유통마개를 개방시키게 되며, 특히 공기유통마개를 너무 오래 열어놓는 경우에는 저장용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절대치를 사용자가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절 자체도 힘들고, 어쩔 수 없이 적절하게 공기유통마개를 닫는 것을 깜빡 잊어버리거나 장시간 열어두면 당연히 식품으로서의 정상적인 맛과 향이 떨어진 잔존 내용물을 버릴 수밖에 없는 불편과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기존의 밀폐형 저장용기에 장착되는 공기(산소)유입장치의 구조적 문제점인 장기간 보관 시에 발생하는 과도한 공기의 유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산패화에 따른 내용물의 맛과 향이 훼손되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극복하여 개선시켜고자 하는바, 대용량의 밀폐된 저장용기에 충진시킨 맥주 또는 기타의 주류나 음료수 및 생수 등의 내용물을 음용할 때 공기유통마개와 같은 별도의 공기 개폐수단을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배수콕과 같은 내용물 배출수단의 개폐조작만으로도 저장용기의 밀폐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자동으로 유입되면서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한편, 내용물 배출수단의 배출 동작이 정지되면 자동으로 외부로부터의 저장용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밀폐되면서 저장용기에 잔류된 내용물이 안전하게 밀폐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밀폐된 주류 및 음료용 저장용기에 있는, 예건대 맥주(액체 류)를 마시고자 할 때는 별도의 수작업으로 공기 개폐수단을 개방시키는 번거로움 없이 저장용기에 구성시킨 공기자동개폐밸브의 작동을 통해 최적의 공기(산소)가 자동으로 유입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저장용기로의 산소 유입을 자동으로 멈추게 할 수 있는 Auto Air Open & Close Valve System이 작동 구현되는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를 제공하여, 기존의 밀폐형 저장용기에 장착되는 공기(산소)유입장치의 구조적 문제점인 장기간 보관 시에 발생하는 과도한 공기의 유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산패화에 따른 내용물의 맛과 향이 훼손되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는, 대용량의 주류나 음료가 충진되는 저장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 내부의 압력 변화로 자동 개방되면서 외부 공기가 상기 저장용기 내부로 자동 유입되면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작동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를 적용시킨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밸브마개지지구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고정돌기가 상기 밸브마개지지구의 중앙에 끼움 결합되면서 중앙 하측으로는 만곡 돌출되게 중심경사돌부를 형성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평상시에는 상기 밸브마개지지구의 공기유입공을 밀폐시키는 밸브실리콘마개와,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른 상기 밸브실리콘마개의 열림 동작에 따라 공기유입공이 개방되는 상기 밸브마개지지구를 중심으로 상기 저장용기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상부하우징과, 상기 밸브마개지지구를 중심으로 저장용기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작동공간부의 하측 중앙에는 공기출입공이 형성된 밸브하부하우징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기자동개폐밸브는 대용량의 주류나 음료가 충진되는 저장용기의 상측 또는 하측이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내용물 배출수단의 개폐 조작만으로도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를 구성하는 유연한 실리콘 재질의 밸브실리콘마개가 상기 저장용기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평상시에는 밀폐되어 있는 밸브마개지지구의 공기유입공을 자동으로 개방시키면서 외부 공기가 밸브상부하우징 및 상기 밸브마개지지구 그리고 밸브하부하우징의 각 공기유입공 및 공기출입공을 통해 저장용기 내부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개방된 내용물 개폐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작동원리가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공기자동개폐밸브를 구성하는 밸브실리콘마개는 공기유입공이 관통된 밸브마개지지구와의 평상시 밀폐 동작이 확실히 유지될 수 있도록 측면 하측으로 밸브하부하우징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밀폐돌부가 확장 돌출되고, 밸브상부하우징 위쪽에는 필요에 따라 보관시나 사용시 모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나 저장용기로부터의 내용물 유출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밸브하우징덮개가 포함되게 구성되되, 상기 밸브하우징덮개는 상기 밸브상부하우징과 결속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의 출입이 허용되도록 공기유입공이 형성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간단하게 배수콕이나 배수볼과 같은 통상의 내용물 배출수단의 개폐 조작만으로도 저장용기 내부로 일정량의 외부 공기가 자동 유입되면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Auto Air Open & Close 밸브시스템이 구현 작동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를 적용시킨 본 발명의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는, 기존의 밀폐형 대용량 주류 및 음료용 저장용기에서 문제되었던 내용물 음용시(사용시)에 통상 배수콕 또는 배수볼과 같은 내용물 배출수단의 개방동작과 함께 별도의 수동작업으로 공기 개폐수단인 공기유통마개에 대한 번거로운 개폐동작 없이도, 내용물 배출수단의 개방 동작만으로도 저장용기의 밀폐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자동으로 유입되면서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한편, 내용물의 배출 동작이 정지되면 공기자동개폐밸브의 작동원리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저장용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자동으로 차단되면서 밀폐되는 저장용기에 잔류된 내용물이 안전하게 밀폐 보호될 수 있는 작동원리를 통해, 기존에 사용자가 저장용기의 공기 개폐수단인 마개를 닫는 것을 깜빡 잊어버리거나 장시간 열어두면 당연히 잔존 내용물은 버릴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기존의 밀폐형 대용량 저장용기(예컨대, 케그캔 및 핏처 또는 다양한 대용량 탄산음료용기)에 장착되는 공기(산소) 유입장치의 구조적 문제점인 장기간 보관 시에 발생하는 과도한 공기의 유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산패화에 따른 내용물의 맛과 향이 훼손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대용량의 저장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음용 및 보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에 적용된 공기자동개폐밸브를 구성하는 밸브하우징덮개 및 밸브상부하우징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면서 이물질의 침입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브실리콘마개가 결합된 상태와 상기 밸브하우징덮개(경우에 따라서는 개방시키지 않고도 사용 가능함)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사용시 외부 공기가 밸브상부하우징 및 밸브마개지지구에 형성된 공기유입공을 통해 저장용기 내부로 자동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자동개폐밸브의 요부확대 작동원리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에 적용된 공기자동개폐밸브의 일실시예로서 케그캔 형태의 저장용기 상측부분에 설치 적용시켜 평상시에는 공기자동개폐밸브의 공기유입공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한편, 사용시에는 저장용기 하부 일측에 설치 구성된 내용물 배출수단의 개방 동작에 따른 저장용기 내부의 압력 변화로 외부 공기가 상기 밸브상부하우징(경우에 따라 밸브실리콘마개 포함) 및 밸브마개지지구에 각각 형성된 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밸브마개지지구의 밸브실리콘마개의 개방 동작과 함께 밸브하부하우징의 공기출입공을 통해 저장용기 내부로 자동 유입됨에 따라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개방된 내용물 배수수단을 통해 외부 배출 동작되도록 하는 자동개폐밸브가 저장용기 상측에 설치 구성된 작동원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가 구현 작동되도록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적용시킨 대용량 맥주 케그캔인 저장용기 상측과 하부 일측에 공기자동개폐밸브와 내용물 배출수단(기본적으로 배수콕이 적용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배수볼도 적용될 수 있음)이 적용 설치된 제품사용도.
이하, 본 발명의 주류 및 탄산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가 구현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동원리를 첨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실시예 도면은 대용량의 주류나 음료가 충진된 저장용기에서 간단하게 배수콕과 같은 내용물 배출수단의 조작만으로도 저장용기 내부로 외부 공기가 자동 유입되면서 내용물을 배출시켜 음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의 구현원리가 좀더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구현원리가 작동되는 구체적인 구성관계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변경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응용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자동개폐밸브가 설치 적용되는 저장용기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대용량 맥주의 케그캔을 통해 설명하면서 내용물 배출수단으로 배수콕을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배수볼과 같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내용물 배출수단이 적용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주류 및 탄산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는 기본적으로, 대용량의 밀폐된 저장용기에 충진시킨 맥주 또는 기타의 주류나 음료수 및 생수 등의 내용물을 음용할 때, 별도의 공기 개폐수단인 공기유통마개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통상 저장용기(70)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콕과 같은 내용물 배출수단(80)의 조작만으로 저장용기(70)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압력 변화로 상기 내용물 배출수단(80) 쪽으로 내부 압력이 전달되면서, 동시에 저장용기(70)의 내부 밀폐공간으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저장용기(70) 상측에 설치 구성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의 작동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저장용기(70)의 내용물(90)이 외부 공기의 유입과 함께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한편, 내용물(90)의 배출 동작이 정지되면 자동으로 외부로부터의 저장용기(70)로 유입되는 공기가 자동으로 밀폐되면서 저장용기에 잔류된 내용물(90)이 안전하게 밀폐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10)가 구성되어 통상의 케그캔이나 기타 대용량의 내용물(90)이 충진되는 저장용기(70) 상측에 설치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대용량의 주류나 음료가 충진되는 저장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70) 내부의 압력 변화로 자동 개방되면서 외부 공기가 상기 저장용기(70) 내부로 자동 유입되면서 내용물(90)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작동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적용시킨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를 구성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10)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다수의 공기유입공(22)이 형성된 밸브마개지지구(20)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고정돌기(32)가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의 중앙에 끼움 결합되면서 중앙 하측으로는 만곡 돌출되게 중심경사돌부(36)를 형성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평상시에는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의 공기유입공(22)을 밀폐시키는 밸브실리콘마개(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저장용기(70)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른 상기 밸브실리콘마개(30)의 열림 동작에 따라 공기유입공(22)이 개방되는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를 중심으로 상기 저장용기(70)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다수의 공기유입공(52)이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상부하우징(50)과,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를 중심으로 저장용기(70)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작동공간부(44)의 하측 중앙에는 공기출입공(42)이 형성된 밸브하부하우징(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본 발명의 작동원리가 구현되는 Auto Air Open & Close 밸브시스템의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는 위에 상술한 구조 및 형태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됨에 크게 문제됨이 없으나, 밸브실리콘마개(30)의 구조를 공기유입공(22)이 관통된 밸브마개지지구(20)와의 평상시 밀폐 동작이 확실히 유지될 수 있도록 측면 하측으로 밸브하부하우징(40)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밀폐돌부(34)가 확장 돌출되게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물론, 이와 같은 기본 구성의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통해 본 발명의 구현원리가 작동됨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밸브상부하우징(50) 위쪽에는 필요에 따라 보관시나 사용시 모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나 저장용기(70)로부터의 내용물 유출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밸브하우징덮개(60)가 포함되게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밸브하우징덮개(60)는 상기 밸브상부하우징(50)과 결속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의 출입이 허용되도록 공기유입공(62)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공기자동개폐밸브(10)는 대용량의 주류나 음료가 충진되는 저장용기(70)의 상측(필요에 따라 하측이나 일측에 설치되게 변경될 수도 있음)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70)의 하부에 설치되는 통상 배수콕과 같은 내용물 배출수단(80)의 조작만으로도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구성하는 유연한 실리콘 재질의 밸브실리콘마개(30)가 상기 저장용기(70)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평상시에는 밀폐되어 있는 밸브마개지지구(20)의 공기유입공(22)을 자동으로 개방되는 작동원리가 구현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밸브상부하우징(50) 및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 그리고 밸브하부하우징(40)의 각 공기유입공(52)(22) 및 공기출입공(42)을 통해 저장용기(70) 내부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개방된 내용물 배출수단(80)을 통해 배출되는 작동원리가 구현되도록 필수 구성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현원리가 작동되는 본 발명의 주류 및 탄산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에 적용시켜 구성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는, 작동원리의 상층부 공간인 밸브상부하우징(50)과 하층부 공간인 밸브하부하우징(40)으로 구분되어 중간의 밸브마개지지구(20)를 중심으로 유연재질의 밸브실리콘마개(30)가 내용물 배출수단(80)의 조작만으로 자동으로 공기유입공(22)(52)(62)들을 개방시켜, 상기 밸브하부하우징(40)의 공기출입공(42)을 통해 저장용기(7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저장용기(70) 내부의 내용물(90)이 공기의 유입에 따른 압력 변화로 자연스럽게 개방된 내용물 배출수단(80)을 통해 외부 배출되는 작동원리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배출되는 내용물(90)은 당연히 사용자에 의한 상기 내용물 배출수단(80)의 개방동작이 정지되면 자동으로 저장용기(7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차단되면서 더이상 내용물(90)의 외부 배출이 정확하게 정지될 수 있다.
참고로 대용량의 맥주가 장입되는 케그캔 저장용기에 적용시켜 좀더 쉽게 설명하면, 저장용기(70)인 케그캔의 밑바닥에 체결한 후에 음용을 하기 위해서는 저장고(케그나 캔 및 핏처) 들어야 되며, 이때는 밑바닥이 위로 올라가면서 맥주를 마시기 위하여 통상의 배수콕과 같은 내용물 배출수단(80)이나 배수볼과 같이 내용물이 배출되는 입구를 따면 자연히 저장용기(70) 내부에 공기가 없으므로 Auto Air Open & Close Valve 시스템의 구현원리가 작동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통한 저장용기(70)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하며, 그 진공압이 내부에서 외부의 공기를 끌어오려고 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Auto Air Open & Close Valve에 설치되어 있는 Silicone Valve인 밸브실리콘마개(30)가 진공압의 끌어당기는 압력으로 밸브마개지지구(20)의 공기유입공을 열리면서 필요한 만큼의 공기가 유입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맥주를 따른 후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내용물 배출수단(80)이나 내용물 배출 입구를 닫게 되면, 저장용기(70) 내부의 진공압이 사라지므로 자연스럽게 유연한 실리콘밸브인 밸브실리콘마개(30)가 닫히는 것이다. 즉, 내용물 배출수단(80)이나 내용물 배출 입구가 열리면서 공기가 유입이 되며, 마시고 다시 원위치시키면 저장용기(70)의 진공압이 소멸되기 때문에 저장용기(70)로 공기의 유입이 중지되어 정확한 필요량 만큼의 공기가 일방적으로 유입될 뿐, 서로 소통하지 않을뿐더러 내용물(90)인 맥주를 마시고난 후에는 저장용기(70)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치 않으므로, 본 발명의 공기자동개폐밸브(10)에 의한 Auto Air Open & Close Valve의 Silicone Valve 기능인 밸브실리콘마개(30)가 밸브마개지지구(20)의 공기유입공(22)을 막아 닫힘으로서 저장용기(70)의 공기 유입이 자동으로 차단하게 된다.
결국, 저장용기(케그캔 및 핏처)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밑이 위로 올라가는 순간 진공상태가 되면서 밑부분의 내용물(90)이 내용물 배출 입구로 내려오면서 순간적으로 공기가 없는 진공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때 진공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빨아드리려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 진공압이 본 발명의 공기자동개폐밸브(10)의 실리콘밸브인 밸브실리콘마개(30)를 끌어당기면서 밸브마개지지구(20)로부터 열리게 되고,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의 공기유입공(22)으로 외부 공기가 밸브상부하우징50)의 공기유입공(52) 또는 밸브하우징덮개(60)의 공기유입공(62) 모두를 통해 자연스럽게 공기가 유입이 되면서, 본 발명은 대용량의 주류나 음료가 충진된 저장용기(70)에서 간단하게 내용물 배출수단(80)의 조작만으로도 저장용기(7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자동 유입되면서 내용물(90)을 배출시켜 음용할 수 있는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가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참고로, 또한 본 발명이 구현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적용시킨 저장용기(70)는 내용물(90)을 마시고 나면 저장용기(70)의 내부 압력 변화가 원상태로 실리콘밸브인 밸브실리콘마개(30)를 중심으로 그 밑으로나 위로나 밀폐상태가 유지되며, 이때 저장용기(70) 내부에 있는 내용물(90)이 밸브실리콘마개(30)를 눌러 밀폐상태가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저장용기(70)의 내용물(90)이 외부로 나오지 않게 되고, 특히 탄산이 있는 경우에는 그 탄산이 상층으로 기화하여 올라가기 때문에 그 기화로 인하여 실리콘밸브는 더욱 강하게 밀착이 되어 장기간 보관하여도 탄산의 외부로 없어지지 않는 구현원리가 정확히 작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는, 장시간 운반이나 수송 및 들고다닐 때 흔들림 등이 Auto Air Open & Close Valve의 Silicone Valve가 정확하게 작동되는 구현원리가 발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 및 상술한 설명 수준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대용량 주류 및 음료의 저장용기 모두에 편리하게 적용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치 또한 적용되는 대상의 저장용기에 따라 편리하게 위치 및 구조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작동원리가 발휘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매실주 담은 과일 저장용기와 같은 대상에는 반대의 방향으로 설치 구성시켜 저장용기(70)로부터의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탄산이 자연스럽게 외부 배출되는 새로운 작동원리로도 응용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자동개폐밸브(10)는 보관시 운반시 밸브하우징덮개(60)가 밸브상부하우징(50)에서 이탈 분리되지 않고 정확하게 부착 결속되어 이물질의 침입을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동시에 결속된 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작동원리가 발휘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수준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범위가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얼마든지 응용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공기자동개폐밸브 20 : 밸브마개지지구
22 : 공기유입공 30 : 밸브실리콘마개
32 : 지지고정돌기 34 : 측면밀폐돌부
36 : 중심경사돌부 40 : 밸브하부하우징
42 : 공기출입공 44 : 밸브작동공간부
50 : 밸브상부하우징 52 : 공기유입공
60 : 밸브하우징덮개 62 : 공기유입공
70 : 저장용기 80 : 내용물 배출수단
90 : 내용물

Claims (3)

  1. 대용량의 주류나 음료가 충진되는 저장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70) 내부의 압력 변화로 자동 개방되면서 외부 공기가 상기 저장용기(70) 내부로 자동 유입되면서 내용물(90)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작동되는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적용시킨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10)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다수의 공기유입공(22)이 형성된 밸브마개지지구(20)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고정돌기(32)가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의 중앙에 끼움 결합되면서 중앙 하측으로는 만곡 돌출되게 중심경사돌부(36)를 형성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평상시에는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의 공기유입공(22)을 밀폐시키는 밸브실리콘마개(30)와,
    저장용기(70)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른 상기 밸브실리콘마개(30)의 열림 동작에 따라 공기유입공(22)이 개방되는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를 중심으로 상기 저장용기(70)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다수의 공기유입공(52)이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상부하우징(50)과,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를 중심으로 저장용기(70)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작동공간부(44)의 하측 중앙에는 공기출입공(42)이 형성된 밸브하부하우징(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10)는 대용량의 주류나 음료가 충진되는 저장용기(70)의 상측 또는 하측이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70)의 하부에 설치되는 내용물 배출수단인 별도의 배수콕(80)의 조작만으로도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구성하는 유연한 실리콘 재질의 밸브실리콘마개(30)가 상기 저장용기(70)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평상시에는 밀폐되어 있는 밸브마개지지구(20)의 공기유입공(22)을 자동으로 개방시키면서 외부 공기가 밸브상부하우징(50) 및 상기 밸브마개지지구(20) 그리고 밸브하부하우징(40)의 각 공기유입공(52)(22) 및 공기출입공(42)을 통해 저장용기(70) 내부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개방된 내용물 배출수단(80)을 통해 배출되는 작동원리가 구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자동개폐밸브(10)를 구성하는 밸브실리콘마개(30)는 공기유입공(22)이 관통된 밸브마개지지구(20)와의 평상시 밀폐 동작이 확실히 유지될 수 있도록 측면 하측으로 밸브하부하우징(40)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밀폐돌부(34)가 확장 돌출되고, 밸브상부하우징(50) 위쪽에는 필요에 따라 보관시나 사용시 모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나 저장용기(70)로부터의 내용물 유출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밸브하우징덮개(60)가 포함되게 구성되되, 상기 밸브하우징덮개(60)는 상기 밸브상부하우징(50)과 결속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의 출입이 허용되도록 공기유입공(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KR1020140107972A 2014-08-19 2014-08-19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KR10162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72A KR101627417B1 (ko) 2014-08-19 2014-08-19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72A KR101627417B1 (ko) 2014-08-19 2014-08-19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66A true KR20160022166A (ko) 2016-02-29
KR101627417B1 KR101627417B1 (ko) 2016-06-03

Family

ID=5544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972A KR101627417B1 (ko) 2014-08-19 2014-08-19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625A (ko) * 2020-09-25 2022-04-01 양정필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11Y1 (ko) * 2000-08-19 2001-01-15 임인선 맹독성 약제 포장용기의 공기유입장치
KR20130091394A (ko) * 2012-02-08 2013-08-19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11Y1 (ko) * 2000-08-19 2001-01-15 임인선 맹독성 약제 포장용기의 공기유입장치
KR20130091394A (ko) * 2012-02-08 2013-08-19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625A (ko) * 2020-09-25 2022-04-01 양정필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417B1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62B1 (ko) 흡입관을 갖는 탄산 음료 용기를 위한 유출 방지 유량 제어부재
US20190308144A1 (en) Beverage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9227827B1 (en) Liquid container pressurization and dispensing device
JP6360999B2 (ja) 底を通じて飲料の注入がなされる飲料容器
KR20160064863A (ko)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1498251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JP2002500994A (ja) 剛性でない容器を備えた流体供給システム
US9604747B2 (en) Compartmented beverage bottle
WO2008020301A1 (en) A drinking vessel
WO2014032208A1 (en) Beverage dispenser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US200400075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s
US6968984B2 (en) Thermal container
KR101627417B1 (ko)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TR201807708T4 (tr) Yağ ya da sirke gibi bir sıvı için kullanılması amaçlanan yeniden doldurulamayan bir kap için kapatma.
US20150021361A1 (en) Liquid handling system with reduced exposure to air
US3459345A (en) Valve
KR20170020126A (ko) 탄산 유출 방지되는 자동 공기 개폐기능을 갖는 용기 덮개
KR102528132B1 (ko) 탄산음료용 자동 개폐기능의 용기덮개
KR102084333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KR200485864Y1 (ko) 가스 압력 억제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장치
KR20240054731A (ko) 와인병 가스유출방지마개
KR20130027722A (ko)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기 캡
US20170240407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gas-containing liquid, with a valve for introducing co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