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102A -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102A
KR20160022102A KR1020140107763A KR20140107763A KR20160022102A KR 20160022102 A KR20160022102 A KR 20160022102A KR 1020140107763 A KR1020140107763 A KR 1020140107763A KR 20140107763 A KR20140107763 A KR 20140107763A KR 20160022102 A KR20160022102 A KR 20160022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nk
bank unit
life
uni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263B1 (ko
Inventor
배정환
백보현
김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아이티
Priority to KR102014010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263B1/ko
Priority to US14/827,840 priority patent/US9762070B2/en
Publication of KR20160022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5Sequential battery discharge in systems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뱅크의 수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연장할 수 있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이 제시되는데, 개별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을 모니터링 하면서 배터리 뱅크 유닛이 소정의 수명연장 필요 임계치에 다다르면 이를 식별한 후, 다른 배터리 뱅크 유닛이 정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중에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는 DC/DC 컨버터를 통하여 고주파의 전기 펄스를 가함으로써 전극에 축적된 전기화학 반응 저해 물질을 털어내도록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ife of battery bank}
본 발명은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을 온라인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배터링 뱅크의 수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배터리 뱅크 유닛은 배터리 뱅크라는 규모가 큰 배터리 단위 집합체의 일부를 말한다. 하나의 배터리가 배터리 뱅크 유닛을 이룰 수도 있고, 직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다수가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이룰 수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 뱅크 유닛 다수가 모여 큰 규모의 배터리 뱅크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집합체인 대규모의 배터리 뱅크는 IDC(인터넷 데이터 센터)나 UPS(무정전 전원장치) 등 산업전기 분야 여러 곳에서 쓰이게 된다.
배터리 제작 업체의 경우 동일 제작 롯(lot)-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과 장소 - 에서 생산된 배터리를 유닛으로서 배터리 뱅크를 이루어 사용하도록 권장하지, 서로 다른 롯에서 생산된 배터리를 함께 배터리 뱅크의 일부로 구성시켜 사용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즉, 같은 조건에서 배터리를 제작한다 하더라도 몇 달 시간 차이가 생기면 일찍 생산된 것은 후에 생산된 것에 비해 이미 수명이 짧을 수 밖에 없으므로 배터리 뱅크 전체의 수명이 일찍 생산된 배터리에 의해 결정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 뱅크의 개별 유닛의 수명이 제대로 모니터링되지 않으면 결국 가장 취약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연한에 따라 배터리 뱅크 대부분의 충전지가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배터리 뱅크를 폐기 및 교체하는 것이 산업계의 현실이다. 배터리 뱅크 유닛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고 이들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을 온라인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배터리 뱅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발명으로서 출원번호 10-2013-0068644 (배터리 뱅크의 온라인 수명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따른 발명이 제시된 바 있다. 제시된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뱅크의 온라인 수명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데, 만일 모니터링을 통해 수명이 다른 배터리 뱅크 유닛보다 짧아지고 있는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단축을 다소간 지연시킬 수 있다면 배터리 뱅크 사용의 효율은 훨씬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 뱅크 유닛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지연시키면서도 배터리 뱅크의 수명을 최대한 자동으로 길게 가져갈 수 있는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연장 및 관리 방법과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용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수명 연장이 필요한 배터리를 선별적으로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여 배터리 뱅크 사용에 있어서 효율을 높이는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용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수명 연장이 필요한 배터리를 선별적으로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여 배터리 뱅크 사용에 있어서 효율을 높이는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을 관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은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연장 필요 임계치를 결정하는 단계; a)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선택하여 충전 후 DC/DC 컨버터를 통해 방전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N-1개 중 적어도 일부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이 결정되는 동안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a)와 b) 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여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충전 후 방전하면서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 임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는 상기 수명 임계치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명 임계치는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보다 작은 소정의 시간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이 일정 전류 출력을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소정 전압에 다다르는 시간 혹은 완정 방전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이 일정 전류 출력을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완전 방전되는 시점 또는 소정 전압에 이르는 시점까지 방전된 총 에너지량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여 완전 충전 후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완전 방전시키면서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이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은 개별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다른 배터리 뱅크 유닛으로 전기적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가 연속된 전기 펄스열을 인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가 가변주파수로 전기 펄스열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주파수는 상기 전기 펄스가 인가되는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성하는 전극의 기계공진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는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에 연결되어 배터리 뱅크 유닛을 충전 및 방전시키는 N개의 DC/DC 컨버터; a)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을 결정하고, b)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N-1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되는 동안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수행시키고,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a)와 b) 단계를 반복시키는 마스터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는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연결된 DC/DC 컨버터가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충전 후 방전할 때 상기 수명 특성값이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한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및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 임계치를 결정하되,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는 상기 수명 임계치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명 임계치는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보다 작은 소정의 시간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이 일정 전류 출력을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소정 전압에 다다르는 시간 혹은 완전 방전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이 일정 전류 출력을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완전 방전되는 시점 또는 소정 전압에 이르는 시점까지 방전된 총 에너지량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가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여 완전 충전 후 상기 구별된 뱅크 유닛을 DC/DC 컨버터를 통해 완전 방전시키면서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는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에 연결되는 스위치;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방전시키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가 방전하기 위해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과 상기 DC/DC 컨버터를 상기 스위치를 통해 연결하도록 하는 절환기; a)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을 결정하고, b)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N-1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되는 동안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수행시키되,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a)와 b) 단계를 반복시키는 마스터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는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상기 DC/DC 컨버터로 충전 후 방전할 때 상기 수명 특성값이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한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고, 및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는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DC/DC 컨버터를 통해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N-1개 중 적어도 일부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전기 펄스가 인가되는 동안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뱅크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중에 상기 DC/DC 컨버터는 절환기에 의해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 외에 다른 배터리 뱅크 유닛과 연결되어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배터리 뱅크 유닛으로 구성된 배터리 뱅크로 시스템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면서 일부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따로 제어하여 DC/DC 컨버터로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개별적인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을 온라인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사용자는 배터리의 사용 정도 결과에 의거하여 시스템 동작을 멈추지 않고서도 수명이 다해가는 배터리 뱅크 유닛에 DC 펄스를 가함으로써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동작 시 지속적으로 교체 대상인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고 수명 연장을 위한 조치를 취해줌으로써 배터리 뱅크 전체 수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배터리 뱅크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뱅크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효율적인 배터리 뱅크 수명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배터리 뱅크 수명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초기 수명 특성값과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 및 수명 임계치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회로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효율적인 배터리 뱅크 수명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배터리 뱅크 유닛은 일단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편의 상 배터리 뱅크의 일부로서 착탈가능한 일단위 유닛을 일컫는 것으로 한다. 배터리 뱅크 유닛은 하나의 배터리일 수도 있고 다수의 배터리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합체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배터리 뱅크의 구성요소가 되는 각각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에너지 용량이 비슷하고 출력전압도 상당한 정도로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대용량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뱅크는 납축전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대 배터리는 양극판(PbO2), 음극판(Pb) 및 전해액(H2SO4)로 구성되어 전기 화학적 작용을 통해 화학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고 양극판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전달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충방전이 반복되면서 전극 상에 황산염(SO4)이 전극에 누적되면서 전극의 화학적 반응 면적을 줄이는 역할을 하여 충전 효율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황산염은 전극에 붙어있게 되면 좀처럼 떨어지지 않아서 지속적으로 배터리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종국에는 배터리를 폐기할 수 밖에 없게끔 전극 상에 고착된다. 따라서, 중간 중간 배터리 전극에 붙어 있는 황산염을 제거하게 되면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데, 일부러 전극을 탁찰하여 황산염을 제거하기 보다는 배터리의 구조를 해체하지 않으면서 다른 방식으로 황산염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례로 전극에 고주파의 전기 펄스를 가하는 방법이 있다. 즉, 전극에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고주파의 전기 펄스(전류 펄스)를 가함으로써 전극 표면에 붙어있는 황산염을 떨어낼 수 있다. DC/DC 컨버터에서는 낮게는 500Hz 높게는 수만 Hz의 DC 펄스열을 발생시켜 전극에 초고주파의 진동을 일으키고 이러한 진동을 통해 황산염을 제거할 수 있다. 황산염이 전극으로부터 제거되면 전극이 전해질과 발생하는 면적이 다시 늘어나고 배터리 수명은 다시 연장된다. 이 때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 펄스는 배터리 뱅크 유닛의 전극의 기계공진주파수에 가까울수록 황산염을 털어내는데 더 효율적이다.
위에서는 일례로 황산용액의 전해액으로 구성된 납축전지를 예로 들었지만 다른 금속 물질을 전극으로 사용하고 다른 화학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뱅크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뱅크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배터리 뱅크(100)는 다수의 배터리 뱅크 유닛(101)을 포함하고 있다. 배터리 뱅크(100)는 보통 전체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다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병렬로 연결한다. 배터리 뱅크의 전압은 개별 배터리 뱅크 유닛의 전압과 동일한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복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이 직렬로 연결되어 배터리 뱅크의 출력 전압이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배터리 뱅크 유닛 하나가 예를 들어 200V의 전압을 출력하고자 하는데 연결될 수 있는 개별 배터리(1011)의 전압이 5V이면 개별 배터리(1011)는 직렬로 20개가 연결되어야 하고, 충분한 시간동안 배터리 뱅크가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직렬로 20개가 연결된 단위인 배터리 뱅크 유닛이 서로 병렬로 다수가 연결되어야 한다.
배터리 뱅크 유닛(101)을 착탈하기 위해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뱅크(100) 전체의 전기적 연결을 끊고 배터리 뱅크 유닛(101)을 배터리 뱅크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충전 후 자체 방전시켜 얼마 시간 동안 소정의 방전 레벨을 유지하는지를 체크한다. 그 다음 체크 결과에 따라 배터리 뱅크 유닛(101)의 수명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지를 예측하고 다시 배터리 뱅크(100)에 재장착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는 실시간으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지 체크할 수 없고 그 결과 전체 배터리 뱅크(100)를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을지를 효율적으로 예측하기는 더더욱 어렵다. 그렇다고 하여 아직 배터리 수명이 충분히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극에 붙은 황산염과 같은 물질을 털어낸다고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전극을 진동시키는 것도 비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배터리 뱅크를 구성하는 개별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단순히 경험적으로 수명 연한이 짧은 배터리 뱅크 유닛에 맞춰 전체 배터리 뱅크를 교체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배터리 뱅크에 아직도 충분히 사용 가능한 배터리 뱅크 유닛이 다수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식은 비용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배터리 뱅크 유닛 중 수명 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전극에 진동을 가하는 조치를 취해주면 배터리 뱅크 전체의 수명 연한을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뱅크의 개별 유닛을 일일이 착탈하지 않고 수명 연한을 자동으로 구별하여 늘려 줄 수 있다면 시스템 효율성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효율적인 배터리 뱅크 수명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뱅크가 시스템에 설치되었을 때, 별도의 배터리 뱅크 유닛의 착탈없이 배터리 뱅크 유닛 마다 최대 에너지 저장능력을 검출하여 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배터리 뱅크 유닛의 에너지 저장 감소 정도를 온라인으로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향후 잉여 수명정도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효율적인 대용량 배터리의 운용 및 관리방법을 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PC(240)를 통해 사용자는 전체 시스템에 명령과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PC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command) 등이 입력되면 마스터 컨트롤러(210)는 전체 시스템 동작을 제어한다. 특별히 통신을 통해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101, 103, 105, 109)에 연결된 각각의 DC/DC 컨버터(221, 223, 225, 229)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즉, 마스터 컨트롤러(210)는 DC/DC 컨버터(221, 223, 225, 229)에 전압 지령과 전류 지령 등의 게이트 명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통신은 다중 멀티 드롭이 가능한 RS-485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이 적합할 것이다. 다만, RS-485외에도 멀티 드롭이 가능한 어떤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도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뱅크(100)는 다수의 배터리 뱅크 유닛(101, 103, 105, 109)으로 이루어진다. 일단 설명의 편의 상 도 2의 배터리 뱅크(100)에 포함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를 101개라고 하자.
일실시예로써,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의 양단 전압이 200V라고 하면 배터리 뱅크(100)는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을 병렬로 연결하였다고 가정할 때 역시나 200V 출력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 상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수명 관리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실제로 배터리 뱅크의 출력에 기여하는 배터리 뱅크 유닛은 100개가 되고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DC/DC 컨버터(221)에 의해 분리 제어되어 수명 관리가 수행된다.
일단 마스터 컨트롤러(210)는 배터리 뱅크(100)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 설명의 편의 상 101 배터리 뱅크 유닛-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마스터 컨트롤러(210)는 DC/DC 컨버터(221)를 통해 배터리 뱅크 유닛(101)을 완전 충전 후 방전시키면서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101)의 초기 수명 특성값을 결정한다.
초기 수명 특성값은 배터리 뱅크 유닛(101)이 일정 전류를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소정 전압에 다다르는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C/DC 컨버터(221)를 통해 50A 전류를 유지하면서 방전할 때, 예를 들어 배터리 뱅크 유닛의 기본 출력 전압 200V이 강하하여 190V로 떨어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초기 수명 특성값을 설정할 수 있다.
초기 수명 특성값을 정하는 다른 일실시예로는 총 방전 에너지량을 택하는 것이다. 즉, 배터리 뱅크 유닛을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될 때까지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DC/DC 컨버터를 통해서 배터리 뱅크 유닛으로부터 일정값의 전류를 출력시키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완전 방전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초기 수명 특성값으로 한다.
완전 방전은 여기서 배터리 뱅크 유닛에서 전하가 완전히 빠져나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아니면 배터리 뱅크 유닛의 출력 전압이 사용자가 정한 소정 레벨로 강하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완전 방전 시의 전압을 보통 방전종지 전압이라 한다.
마스터 컨트롤러는 모든 배터리 뱅크 유닛을 순차적으로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하는 등의 방법으로 초기 수명 특성값을 측정하여 이를 마스터 컨트롤러(210) 내의 메모리 내지는 시스템 내부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여 놓는다.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을 측정할 때 다른 나머지 배터리 뱅크 유닛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동작을 하도록 하여 시스템을 멈추지 않고 수명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 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배터리 뱅크 유닛은 시스템이 요구하는 배터리 뱅크 유닛 숫자보다 적어도 한 개 이상을 구비하여 놓는다.
수명 임계치는 해당 배터리 뱅크 유닛의 사양에 맞추어 미리 설정하여 놓는다. 예를 들어 초기 수명 특성값이 총 방전 에너지량으로서 출력 전류 50A일 때 완전 방전까지의 시간이라고 하면 수명 임계치는 초기 수명 특성값보다도 작은 값일 것이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해당 배터리 뱅크 유닛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인식되는 시간"을 수명 임계치로 선택할 수 있다. 초기 수명 특성값과 수명 임계치의 설명을 위해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초기 수명 특성값과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 및 수명 임계치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4a는 방전시간 대비 배터리 뱅크 유닛을 1회 충전하였을 때 에너지 사용 가능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에서 Y축은 배터리 뱅크 유닛 1회 충전 시 에너지 사용 가능량(Er)을 나타낸다. X 축은 배터리 뱅크 유닛의 방전 시간이다.
401 의 경우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상태로서 배터리 뱅크 유닛은 최대 수명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고 방전까지는 T3까지 가장 긴 시간이 유지된다. 물론 이 때 방전되는 에너지는 시간당 동일해야 한다.
배터리 뱅크 유닛의 사용이 잦아질 수록 수명은 점점 줄어들기 시작하여 1회 충전 시 에너지 사용 가능량 Er은 최초 최대 수명(Emax)값에서 점점 수명 종료(Eend) 값으로 옮겨가고,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은 다해가면서 그래프는 401 --> 403으로 점차 옮겨간다. 방전 시간은 T3 --> T1으로 점점 짧아진다.
그래프에서 운전 시 배터리 뱅크 유닛에서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량은 원래 배터리 뱅크 유닛으로부터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 및 지속시간의 곱이지만, 만일 출력전류가 일정하다면 상수로서 출력전압과 시간의 곱으로만 계산하여도 상관없다. 배터리 뱅크 유닛이 완전 충전되면 아직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t=0 시점에서 잔존 에너지는 최대 충전 에너지 상태(Eend ≤ Er ≤Emax)에 있다. 일정한 전류로 DC/DC 컨버터에 의해 방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1회 충전 에너지 사용 가능량은 점점 줄어들게 되고 배터리 뱅크 유닛의 최초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까지는 t=T(T1 ≤ T ≤ T3)의 시간이 걸리고 따라서 이 때 초기 수명 특성값은 T3이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배터리 뱅크 유닛에는 수명 특성값이 있어서, 이 수명 특성값은 이제 T3이다.
수명 특성값을 시간값이 아닌 에너지값으로 하고자 한다면 Er, T와 원점이 이루는 삼각형의 면적(총 방전 에너지량)을 수명 특성값으로 정할 수 있다.
배터리 뱅크 유닛의 사용빈도가 높아지면 1회 충전 시 에너지 사용 가능량이 줄어들게 되고 초기 수명 특성값을 측정할 때와 동일한 조건으로 방전할 때 완전 방전되는 시점은 점점 T3에 비해 T2, T1로 작아지게 된다. 즉, 시간이 지나면 수명 특성값은 T3 -> T2 -> T1이 된다. 사용자는 특정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T1 이하가 되면 더 이상 배터리 뱅크 유닛으로서의 수명이 한계에 달하였다고 보고 T1를 수명 임계치로 정할 수 있다. 또는 Eend, T1 및 원점이 이루는 삼각형의 면적을 수명 임계치로 정할 수 있다. 수명 특성값인 삼각형의 면적이 Eend, T1 및 원점이 이루는 삼각형 면적에 다다르게 되면 마스터 컨트롤러(210)는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배터리의 수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초기 수명 특성값과 수명 임계치 사이 어느 값을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로 지정하여 배터리의 수명 특성이 해당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다다르게 되었다면 DC/DC 컨버터를 통해 해당 배터리 전극에 펄스를 인가하여 전극에 붙은 전해액 성분의 물질(예로써 황산용액 전해질을 사용하는 납 축전지의 경우 황산염)을 털어내는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는 이론적인 값이 정해진 것이 아니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4a의 경우 T3와 T1의 중간값인 T2를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로 삼을 수 있다. 또는 수명 특성값이 총 방전 에너지량으로 삼을 경우 총 방전 에너지량이 Ee, 원점 치 T2가 이루는 삼각형 시점에 다다랐을 때 수명 연장 조치를 취해줄 수 있다. 수명 연장 조치에 따라 전극에 고주파의 일종의 전기 펄스인 전류 펄스를 인가할 경우 배터리의 성능은 개선되어 이제 T2 지점에 있던 수명 특성값이 다시 T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혹은 Ee, 원점, T2로 이루어지는 총 에너지 방전량이 Emax, 원점 및 T3로 이루어지는 삼각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배터리의 사용이 빈번해지면 결국 수명 특성값은 T2 지점에서 더 이상 개선되기 어려운 상황에 다다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2차적으로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더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2차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는 T1과 T2 사이 어느 지점이 될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2차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 값이 설정되어 다시금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2차 조치를 취하게 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3차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설정하여 지속적인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연장 조치를 취하면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초기 수명 특성값이 정해지면 수명 임계치는 이 초기 수명 특성값의 일정 비율로 정할 수 있다. 즉, 배터리 뱅크 유닛 사용 경험에 따라 초기 수명 특성값 대비 수명 특성값이 예로써 70%에 이르게 되면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보고 수명 임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위의 일정 비율은 배터리 종류나 시스템 운전 조건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는 수명 임계치보다는 크고 초기 수명 특성값보다는 작은 어느 값을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수명 특성값의 80%로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수명 임계치의 110%와 같은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b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배터리 뱅크 유닛의 최대 보존 에너지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Y축은 배터리 에너지량이고 X축은 배터리 사용시간이다. 배터리 뱅크 유닛을 사용하면서 시간이 지나면 그래프는 점점 X축의 수명종료 시점으로 옮겨가게 된다. 배터리 사용시간이 점점 누적되어 값이 커지면 배터리 에너지량 - 즉, 에너지를 배터리 뱅크 유닛에 보존할 수 있는 양-은 점점 줄어들게 된다. 시간이 지나 어느 시점에서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이 수명종료 시점에 다다르면 보존할 수 있는 에너지량은 최소 에너지량이 되고 그 배터리 뱅크 유닛은 더 이상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배터리 뱅크 유닛이 되므로 교체하여야 한다.
도 4c는 배터리 뱅크 유닛이 방전 종지전압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동안 충전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c에서 Y축은 배터리 뱅크 유닛의 충전전압 값이고, X축은 방전시간이다. 방전이 진행될 수록 배터리 뱅크 유닛의 출력 전압은 기울어진 S 자 형을 보여준다. 즉, 일정 시간까지 충전전압에서 전압강하 값이 크지 않다가 일정 방전 시간이 넘어서면 급격하게 방전 종지전압에 다다르게 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관리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마스터 컨트롤러(210)는 배터리 뱅크 유닛(101, 103,105, 109) 전체에 대해 순차적으로 초기 수명 특성값을 측정하고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정하는 것을 완료하였으면, 주기적으로 배터리 뱅크 유닛(101, 103,105, 109)에 대하여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을 수행하면서 특정 배터리 뱅크 유닛 대비 수명 특성값이 초기 수명 특성값으로부터 점점 작아져 이 값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하는지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초기 수명 특성값을 측정할 때나 특정 배터리 뱅크 유닛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하는지를 측정할 때나 모두 특정 배터리 뱅크 유닛은 나머지 배터리 뱅크 유닛들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하는 동안 이들 정상 동작을 하는 배터리 뱅크 유닛들로부터 분리되어 제어된다. 즉, 나머지 배터리 뱅크 유닛이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하고 해당 배터리 뱅크 유닛은 DC/DC 컨버터(221, 223, 225, 229)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260)과 정류회로(270)를 통해 완전 충전된다.
완전 방전 역시 배터리 뱅크 유닛으로부터 DC/DC 컨버터(221, 223, 225, 229)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로써, 배터리 뱅크 유닛 모두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저장된 상태이고 이제 각 배터리 뱅크 유닛들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측정하고자 한다. 배터리 뱅크 유닛들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동작을 수행하고 103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 도달여부를 측정하고자 한다. 103 배터리 뱅크 유닛은 전기적으로 DC/DC 컨버터(223)에 의해 방전된다. 방전 경로는 SW(250)가 닫히고 인버터(280)와 부하(290)를 통해 방전되는 경로이다.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 응용으로 전력계통에서 다른 전원 소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조건은 초기 수명 특성값을 측정할 때와 같이 일정한 전류값으로 방전하는 동일 조건 유지가 필요하다.
만일 103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초기 수명 특성값에 비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103 배터리 뱅크 유닛을 스위치를 통해 다른 배터리 뱅크 유닛에 연결시켜서 시스템 전원 공급에 기여하도록 하고 동시에 105 배터리 뱅크 유닛을 스위치 절환을 통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분리한다. 이제, DC/DC 컨버터(225)는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 측정 결과 105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 이하의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제 105 배터리 뱅크 유닛은 마스터 컨트롤러(210)에 의해 식별되어 디스플레이에(23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한다. 배터리 뱅크(100)에서 105 배터리 뱅크 유닛은 수명 연장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므로 105 배터리 뱅크 유닛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그 다음 마스터 컨트롤러(210)는 DC/DC 컨버터(225)를 통해 고주파의 전류 펄스를 인가한다. (201 참조) 고주파 전류 펄스 인가를 통해 전극에 누적된 충전 방해 물질을 털어내고 나면 전극의 효율이 개선될 것이다. 마스터 컨트롤러(210)는 다시금 DC/DC 컨버터(225)를 통해 충/방전을 수행하면서 배터리 뱅크 유닛 105의 수명 특성값 개선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전류 펄스 인가에 의해 탈황산염이 진행되는 동안 배터리 뱅크 유닛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본연의 역할을 하지 않으므로 탈황산염 시간을 짧게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DC/DC 컨버터를 통해 고주파의 전류 펄스를 인가할 때 인가되는 전류 펄스의 주기성가 인가 시간(duty)을 변경하여 운영함으로써 전극으로부터의 탈황산염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전극에 인가하는 전류 펄스의 주기성과 인가 시간을 변경하여 운전할 경우 인가되는 전류 펄스의 주파수는 배터리 뱅크 유닛 내의 전극의 기계공진주파수와 일치되는 지점을 지속적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고정적인 주기의 전류 펄스를 인가하는 것보다 황산염을 제거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뱅크 유닛에 탈황산염을 위한 전류 펄스 인가 시에 전류 펄스의 주파수를 전극의 배터리 뱅크 유닛 내 전극의 기계공진주파수에 최대한 가까운 값으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계공진주파수를 알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기계공진주파수를 거쳐 가도록 인가되는 전류 펄스와 인가 시간을 DC/DC 컨버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실시예에서는 총 101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준비하여 100개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하는데 사용하고 1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순차적으로 돌아가면서 수명 특성값을 측정하거나 수명 연장 조치를 취하는데 사용하는 일례를 기술하였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정상 동작을 위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숫자보다 충분히 많은 숫자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전기적으로 언제든지 절환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예를 들어 총 100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105개를 준비해 놓는다. 105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전체의 초기 수명 특성값은 앞선 설명에서와 같이 구하여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놓는다. 다만, 이 중 4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사용하지 않고 언제든지 대체할 수 있도록 준비만 해 놓는다. 만일 1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연장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마스터 컨트롤러는 스위치 절환을 통해 전기 펄스 인가가 필요한 배터리 뱅크 유닛은 전기적으로 더 이상 연결하지 않고 쓰지 않고 준비해 두었던 나머지 4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를 이제 배터리 뱅크의 일 구성요소 배터리 뱅크 유닛으로 자동으로 편입시킨다. 운전 중 또 다른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연장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이제 남아있는 3개의 여유분 대체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를 배터리 뱅크의 일 구성요소 배터리 뱅크 유닛으로 편입시킨다. 물론 대체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를 배터리 뱅크의 일 구성요소 배터리 뱅크 유닛으로 편입시킬 때 자동으로 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이벤트에 의해 편입시킬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명 연장 조치가 필요한 배터리 뱅크 유닛을 확인하고, "대체 수행" 신호를 인가하면 마스터 컨트롤러(210)는 대체 가능한 배터리 뱅크 유닛을 배터리 뱅크의 일 구성요소로 편입시킨다.
또한 도 2에서 사용된 배터리 뱅크 유닛은 서로 간 이종(異種)이어도 상관없다. 어차피 수명 특성값을 통해 수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 때문에 출력 전압 및 전류 조건이 다른 배터리 뱅크 유닛과 거의 동일하다고 한다면 이종 배터리를 채용한 배터리 뱅크 유닛이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 화학적으로 다른 종류의 배터리로 이루어진 배터리 뱅크 유닛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 이유는 배터리 뱅크 유닛의 충전/방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DC/DC 컨버터가 독자적으로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산업계에서는 대용량 납축전지 배터리 뱅크를 사용하다가 이를 리튬-이온 혹은 리튬-폴리머 배터리 뱅크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싶어도 수명이 현격히 다른 문제 등으로 인해 혼용이 금기시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명 관리 방법을 채용하면 화학적 성질이 서로 다른 이종 배터리를 혼용하여 배터리 뱅크를 만들어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다만, 배터리 뱅크 유닛 내에서는 되도록 동종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납 축전지 뱅크에서 리튬-이온,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교체하면 부피가 1/4로 줄어들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관리 방식을 채용하면 배터리 뱅크 사용 호환성이 증가하고 공간 활용성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필요 시 배터리 뱅크 유닛의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전체 시스템에 소용되는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도 2에서 사용된 DC/DC 컨버터(221, 223, 225, 229)는 승강압형(Buck-Boost) DC/DC 컨버터를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압형 DC/DC 컨버터 회로의 일례이다. 본 발명에서 채용된 DC/DC 컨버터는 정확한 전류제어를 통해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정확한 방전을 제어한다.
입력 측 전압 Vi(520)은 도 2에서 SW(250)에 의해 연결되는 전원(260)과 충전부(270)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상세한 DC/DC 컨버터의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전력전자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도 5에 따른 DC/DC 컨버터는 가장 단순한 단상 DC/DC 컨버터의 일례이며 시스템에 따라 다양한 Buck-Boost DC/DC 컨버터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배터리 뱅크 수명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도이다.
도 2에서는 각각의 배터리 뱅크 유닛(101, 103, 105, 109)마다 각각 DC/DC 컨버터(221, 223, 225, 229)가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서, 배터리 뱅크 유닛이 101개이면 101개의 DC/DC 컨버터가 필요하였다. 도 3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대의 DC/DC 컨버터(220)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대체한다. 다만, 초기 수명 특성값을 측정하거나 수명 특성값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완전 충방전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컨트롤러(211)가 스위치 절환을 통해 해당 배터리 뱅크 유닛과 DC/DC 컨버터(220)를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109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마스터 컨트롤러(211)는 SW9를 닫고(close) 나머지 SW1, SW3은 개방(open)한다. 나머지 동작은 앞선 도 2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효율적인 배터리 뱅크 수명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일단 마스터 컨트롤러는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임계치를 결정한다(S601). 앞선 이미 설명된 바 있지만, 수명 임계치는 일정 전류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완전충전 후 완전 방전할 때까지의 소정의 시간 내지는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까지의 소정의 에너지량으로 정할 수 있다. 또는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이 일정 전류 출력을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소정 전압에 다다르는 시간으로 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선택하여 DC/DC 컨버터를 통해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시키면서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을 결정한다(S603). 초기 수명 특성값은 수명 임계치와 동종이 되도록 한다. 즉, 배터리 뱅크 유닛을 완전히 충전한 후 완전 방전할 때까지의 시간 내지는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까지의 에너지량으로 정할 수 있다.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는 초기 수명 특성값과 수명 임계치 사이의 임의값을 적정히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 뱅크 유닛들 중 적어도 일부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상기 선택된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이 결정되는 동안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S605).
위 S603 단계와 S605 단계는 모든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의 초기 수명 특성값과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결정할 때까지 반복한다(S607).
이제 복수의 배터리 뱅크 유닛들을 순차적으로 DC/DC 컨버터로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한다(S609). 이러한 DC/DC 컨버터의 충방전 동작을 통해 해당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수명 연장조치가 필요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한다(S611). 만일 수명 특성값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보다 크면 앞선 S609 단계를 반복하면서 다음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을 측정한다.
만일 해당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다면 마스터 컨트롤러는 해당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연장조치가 것으로 판별하여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613).
시스템은 예비로 마련되어 있는 배터리 뱅크 유닛을 위의 수명 연장조치가 필요하다고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자동으로 대체하도록 한다(S615). 배터리 뱅크 유닛의 자동 대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수명 연장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인지한 후 사용자의 이벤트-대체 실행 명령-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다. S615 동작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사용자나 작업 필요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0; 마스터 컨트롤러 220, 221, 223, 225, 229; DC/DC 컨버터
201, 202 : 전기 펄스
230; 디스플레이 101, 103, 105, 109; 배터리 뱅크 유닛
240; PC 250; SW
260; 전원 270; 정류회로
280; 인버터 290; 부하

Claims (18)

  1.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연장 필요 임계치를 결정하는 단계;
    a)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선택하여 충전 후 DC/DC 컨버터를 통해 방전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N-1개 중 적어도 일부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이 결정되는 동안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a)와 b) 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여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충전 후 방전하면서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 임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는 상기 수명 임계치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임계치는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보다 작은 소정의 시간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이 일정 전류 출력을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소정 전압에 다다르는 시간 혹은 완정 방전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이 일정 전류 출력을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완전 방전되는 시점 또는 소정 전압에 이르는 시점까지 방전된 총 에너지량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여 완전 충전 후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완전 방전시키면서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이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가 연속된 전기 펄스열을 인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DC/DC 컨버터가 가변주파수로 전기 펄스열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주파수는 상기 전기 펄스가 인가되는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성하는 전극의 기계공진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10. 배터리 뱅크의 수명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에 연결되어 배터리 뱅크 유닛을 충전 및 방전시키는 N개의 DC/DC 컨버터;
    a)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을 결정하고,
    b)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N-1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되는 동안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수행시키고,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a)와 b) 단계를 반복시키는 마스터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는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연결된 DC/DC 컨버터가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충전 후 방전할 때 상기 수명 특성값이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한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및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 임계치를 결정하되,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는 상기 수명 임계치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임계치는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보다 작은 소정의 시간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이 일정 전류 출력을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소정 전압에 다다르는 시간 혹은 완전 방전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수명 특성값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이 일정 전류 출력을 유지하며 방전되는데 있어서 완전 방전되는 시점 또는 소정 전압에 이르는 시점까지 방전된 총 에너지량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가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여 완전 충전 후 상기 구별된 뱅크 유닛을 DC/DC 컨버터를 통해 완전 방전시키면서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이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
  16.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에 있어서,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에 연결되는 스위치;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방전시키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가 방전하기 위해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과 상기 DC/DC 컨버터를 상기 스위치를 통해 연결하도록 하는 절환기;
    a)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시키면서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을 결정하고,
    b)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N-1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되는 동안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수행시키되,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각각의 초기 수명 특성값이 결정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a)와 b) 단계를 반복시키는 마스터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컨트롤러는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의 수명 특성값에 대한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상기 DC/DC 컨버터로 충전 후 방전할 때 상기 수명 특성값이 상기 수명 연장필요 임계치에 도달한 상기 배터리 뱅크 유닛을 구별하고, 및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식별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장치.
  17. N개의 배터리 뱅크 유닛 중 하나의 배터리 뱅크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DC/DC 컨버터를 통해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N-1개 중 적어도 일부의 배터리 뱅크 유닛은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에 전기 펄스가 인가되는 동안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뱅크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동작중에 상기 DC/DC 컨버터는 절환기에 의해 상기 선택된 배터리 뱅크 유닛 외에 다른 배터리 뱅크 유닛과 연결되어 전기 펄스를 인가하되, 상기 인가되는 전기 펄스의 주파수는 가변하며 상기 연결된 배터리 뱅크 유닛의 기계공진주파수를 포함하여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KR1020140107763A 2014-08-19 2014-08-19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13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63A KR101613263B1 (ko) 2014-08-19 2014-08-19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US14/827,840 US9762070B2 (en) 2014-08-19 2015-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ife of battery b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63A KR101613263B1 (ko) 2014-08-19 2014-08-19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230A Division KR101613265B1 (ko) 2015-07-13 2015-07-13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02A true KR20160022102A (ko) 2016-02-29
KR101613263B1 KR101613263B1 (ko) 2016-04-18

Family

ID=5534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763A KR101613263B1 (ko) 2014-08-19 2014-08-19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62070B2 (ko)
KR (1) KR101613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7550A4 (en) * 2021-08-20 2024-05-15 Lg Energy Solution Ltd CHARGE/DISCHARGE POWER CONTROL DEVICE, ENERGY STORAG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7656B2 (en) * 2018-10-29 2022-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zing performance of a data center batt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82Y1 (ko) * 2006-01-12 2006-04-14 주식회사 누리칸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US8407018B2 (en) * 2009-03-24 2013-03-26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Battery life estimation
JP5338591B2 (ja) * 2009-09-17 2013-1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余寿命診断方法および余寿命診断システム
WO2011125213A1 (ja) * 2010-04-09 2011-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劣化判定装置および劣化判定方法
JP5096538B2 (ja) * 2010-08-25 2012-12-12 株式会社テック 硫酸塩被膜除去装置および硫酸塩被膜除去方法
US9209643B2 (en) * 2011-07-28 2015-12-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system, battery control device, electric vehicle, mobile body, and power source device
KR101331924B1 (ko) * 2012-10-18 2013-11-21 성호그린테크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재생 장치
KR101253715B1 (ko) 2012-10-23 2013-04-12 (주)우전시스템 셀단위 장착 방식의 축전지 수명 연장 장치
KR101389129B1 (ko) * 2013-07-04 2014-04-25 주식회사 이비오테크 진동을 이용한 셀단위 장착 방식의 축전지 수명 연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7550A4 (en) * 2021-08-20 2024-05-15 Lg Energy Solution Ltd CHARGE/DISCHARGE POWER CONTROL DEVICE, ENERGY STORAG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6644A1 (en) 2016-02-25
KR101613263B1 (ko) 2016-04-18
US9762070B2 (en)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522B1 (ko) 대규모 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동적으로 재구성가능한 프레임워크
US9653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battery life cycle management
CN101443672B (zh) 使用充电甩鞭效应管理一组可再充电的电池的方法
US20100164430A1 (en) Intelligent Adaptive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EP2629387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JP4691140B2 (ja) 充放電システム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CN104348217A (zh) 配备蓄电池的不间断电源的储能系统及其驱动方法
JP2012533759A (ja) バッテリー充電状態を判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134372A (ko) 실시간 배터리 특성화에 기초한 배터리 충전
CN110383620B (zh) 用于运行模块化电池组存储器系统的方法、模块化电池组存储器系统和用于其的电池组管理系统
WO20000195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maintaining a plurality of batteries using a fuzzy logic
JPWO2012043134A1 (ja) 蓄電池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蓄電池充放電制御方法
JP6102746B2 (ja) 蓄電池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JP2011200023A (ja) 無停電電源装置
JP2013160582A (ja) 組電池システムおよび組電池システムの管理方法
JP2006262612A (ja)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供給方法、及び建造物
KR101613263B1 (ko)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21019400A (ja) 蓄電システム
JP2004104988A (ja) 再充電可能なバッテリー管理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9071922A (ja) 直流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463883B1 (ko) 배터리 뱅크의 온라인 수명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613265B1 (ko)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25394B1 (ko) 축전지 진단 또는 재생 기능을 가진 전력 변환 시스템
JP2013162599A (ja) 電源制御装置、電源制御方法及び電力融通システム
KR101529046B1 (ko) 배터리 뱅크 내 배터리의 온라인 수명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