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982Y1 -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982Y1
KR200413982Y1 KR2020060001036U KR20060001036U KR200413982Y1 KR 200413982 Y1 KR200413982 Y1 KR 200413982Y1 KR 2020060001036 U KR2020060001036 U KR 2020060001036U KR 20060001036 U KR20060001036 U KR 20060001036U KR 200413982 Y1 KR200413982 Y1 KR 200413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low
extension device
low voltage
lif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칸
Priority to KR2020060001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9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9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를 재충전시키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구동전압으로 승압하여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DC/DC 변환부와; 주파수에 따른 PWM 펄스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PWM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서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직류펄스 발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직류펄스 발생부의 펄스당 에너지량이 증폭되고, 펄스당 정상 상태 회복시간이 짧아 고주파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의 설계제한 요소를 제거시키고, PWM 펄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서 CPU 또는 I.C등을 사용함으로써, CPU 또는 I.C등을 구동하기 위해 5[V]이상의 충전용 배터리에만 적용이 가능한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의 설계제한 요소를 제거시키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역기전력, 황산염, DC/DC 변환기, 변압기

Description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An equipment for lengthening life span of storage low voltage battery}
도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직류펄스 발생부10-1,10-2 : 변압기
20 : DC/DC 변환부30 : 제어부
본 고안은 제어부의 스위칭 펄스신호에 의하여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에 펄스응답을 인가시켜,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를 재충전시키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에 있어서,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구동전압으로 승압하여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DC/DC 변환부와; 주파수에 따른 PWM 펄스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PWM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서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직류펄스 발생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CPU)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PWM 펄스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직류펄스 발생부의 변압기 1차측과 2차측 역기전력이 상기 저전압 배터리(+)단자에 응답되고, 저전압(5[V]이하) 배터리에서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용 배터리로는 납축전지를 들 수 있는데, 진한 황산 수용액에 담근 납과 이산화납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극반응을 통해서 황산납을 생성시키고, 이러한 황산납은 오랜기간의 충방전 사이클을 거치면서 점차 충전시에 이탈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달라붙게 되는데, 이것을 황산화(황산염화) 현상이라 부른다.
이러한 황산화 현상은 충전용 배터리가 보다 많이 방전될수록, 충방전 사이클의 횟수가 많을수록 심해지며, 이에 의해 충전용 배터리의 수명이 결정된다.
따라서 충전용 배터리가 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깨끗한 극판과 강한 전해질의 존재가 필수적이며, 상기 배터리의 수명연장 장치는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용 역전압을 수십[KHz] 대역의 직류펄스로 연속 공급하여, 배터리 극판상에 형성되는 황산염을 제거하여 활성 황분자로 전환시킴으로써 충전용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용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에 의할 경우에는 단위펄스당 에너지량이 적고, 펄스의 정상상태 회복시간이 길어 고주파 스위칭에 설계제한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으며, 직류펄스를 발생하기 위해서 CPU 또는 I.C등을 사용함으로써, CPU 또는 I.C등을 구동하기 위해 5[V]이상의 충전용 배터리에만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한시키는 장애요소로 인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펄스당 에너지량이 증폭되고, 펄스당 정상상태 회복시간이 짧아 고주파 스위칭이 가능한 직류펄스 발생부를 제공하고, 저전압 배터리(예 : 2[V])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DC/DC 변환부를 제공함으로써,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의 설계제한 요소를 제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어부의 스위칭 펄스신호에 의하여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에 펄스응답을 인가시켜,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를 재충전시키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에 있어서,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구동전압으로 승압하여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DC/DC 변환부와; 주파수에 따른 PWM 펄스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PWM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서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직류펄스 발생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CPU)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PWM 펄스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직류펄스 발생부의 변압기 1차측과 2차측 역기전력이 상기 저전압 배터리(+)단자에 응답되고, 저전압(5[V]이하) 배터리에서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고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도면에서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에 연결되는 직류펄스 발생부(10)와, 상기 직류펄스 발생부에 연결되는 제어부(30)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DC/DC 변환부(20)로 구성된다.
상기 DC/DC 변환부(20)는 제어부(30)에 일정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DC/DC 변환기의 (-)단자와 접지간에 연결된 캐패시터(C2)로 구성되며, 캐패시터(C2)는 입력 전압에 포함된 잡음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회로이다. 또한 DC/DC 변환기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예 : 2[V])의 전압을 인가받아서 전압을 승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수십[KHz]대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서 주파수와 펄스폭을 가변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PWM 전용 발생 I.C로 구성되며, 일단의 PWM 펄스 출력과 직류펄스 발생부(10)의 MOSFET 스위치(Q1)의 게이트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직류펄스 발생부(10)은 MOSFET 스위치(Q1)와 변압기(10-1, 10-2)와 PTC 소자(RT1)와 캐패시터(C1)와 다이오드(D1)로 구성된다.
상기 MOSFET 스위치(Q1)는 소스가 접지되고, 게이트가 제어부의 PWM 펄스 신호 출력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변압기 2차측(10-2)과 다이오드(D1)에 연결된다.
상기 MOSFET 스위치(Q1)는 상기 게이트의 PWM 펄스 신호 출력에 의하여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고속 스위칭 된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재충전이 가능한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돕기 위한 장치로서,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에 충전용 역전압을 약 수십[KHz]대역의 구형파 펄스로 연속 공급함으로써, 저전압 배터리 극판상에 형성되는 황산염을 제거하여 이를 활성 황분자로서 전해질로 되돌러 주어 저전압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직류펄스 발생부(10)에 대한 스위치의 고속 스위칭 구동은 후단 회로부의 고속 응답과 스위칭 시간당 충실한 펄스 에너지량을 전제로 가능하고, 상기 DC/DC 변환부(20)은 저전압 배터리(예 : 2[V])에 적용 가능한 설계요소임을 주목한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 직류펄스 발생부(10)의 후단 회로부의 구성 및 그 구동 상태에 관하여 살펴보고, 상기 고속응답 특성과 펄스 에너지 특성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변압기는 변압기 1차측(10-1) 점극이 다이오드(-)와 배터리(+) 단자에 공통 연결되고, 변압기의 2차측(10-2) 점극이 상기 스위치의 드레인과 다이오드(+)에 공통 연결되며, 변압기 1차측(10-1) 무점극과 변압기 2차측(10-2) 무점극은 상호 연결되어 캐패시터(C1) 일측단자에 공통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점극과 무점극은 변압기의 극성을 구분하기 위한 표현임을 밝혀 둔다.
상기 캐패시터(C1)는 변압기 2차측 무점극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위치의 소스와 공통 접지된다.
상기와 같은 변압기의 연결에 의하여, 변압기의 1차측(10-1) 점극으로 전류가 인입되면, 변압기의 2차측(10-2) 점극으로 전류 인입이 유도된다.
본 고안의 과전류 보호용 폴리스위치 PTC 소자(RT1)는 배터리(+)단자와 상기 변압기의 변압기 1차측 점극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구동상태에 관하여 살펴보면, 제어부(30)의 PWM 제어신호 상태가 HIGH 일 때, 상기 스위치(Q1)의 드레인-소스는 도통(ON) 상태가 된다.
이때의 전류 흐름은 캐패시터(C1) → 변압기 2차측(10-2) → 스위치(Q1) → 캐패시터(C1)가 된다.
이때 변압기 2차측(10-2)에 흐르는 전류를
Figure 112006002347411-utm00001
라 하고, 변압기 1차측(10-1)에 흐르는 전류를
Figure 112006002347411-utm00002
이라고 하면, 스위치가 ON 상태일 때, 변압기 2차측(10-2) 전류
Figure 112006002347411-utm00003
에 의하여 변압기 1차측에는 유도전류
Figure 112006002347411-utm00004
이 흐르게 된다.
상기
Figure 112006002347411-utm00005
의 크기는
Figure 112006002347411-utm00006
가 되어 증폭 전류가 흐름을 알 수 있다.
또한 변압기의 2차측 인덕턴스를
Figure 112006002347411-utm00007
라고 하면 변압기에는
Figure 112006002347411-utm00008
의 에너지가 충전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0)의 PWM 제어신호 상태가 LOW일 때, 상기 스위치(Q1)의 드레인-소스는 차단(OFF) 상태가 된다.
상기 스위치(Q1) OFF 상태가 되면, 변압기 2차측(10-2)에 저장된 에너지는 다이오드(D1)를 통하여 PTC 소자(RT1) → 배터리(+)단자 → 배터리(-)단자 → 캐패시터(C1) → 변압기 2차측(10-2)의 경로로 펄스 형태의 전류를 흘리게 된다.
상기 펄스 전류가 흐르고 난 이후에는 배터리(+)단자 → PTC 소자(RT1) → 변압기 1차측(10-1) → 캐패시터(C1) → 배터리(-)단자를 경로로 해서 전류가 흘러 캐패시터(C1)가 충전된다.
상기의 경로로 배터리 단자에 펄스를 전달하는 본 고안은 변압기의 1차측(10-1)에서 변압기의 권수비에 의해 증폭되는 전류와 상호유도 작용에 의한 펄스형성으로 인하여 큰 에너지가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DC/DC 변환부(20)는 제어부(30)에 일정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DC/DC 변환기의 (-)단자와 접지간에 연결된 캐패시터(C2)로 구성되며, 캐패시터(C2)는 입력 전압에 포함된 잡음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회로이다. 또한 DC/DC 변환기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예 : 2[V])의 전압을 인가받아서 전압을 승압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에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할 경우에는 고속의 스위칭에 의한 에너지 전달이 가능해지며, 단위 시간당 고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음으로써,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에 충전용 역전압을 수십[KHz] 대역의 구형파 펄스로 연속 공급할 수 있어서, 배터리 극판상에 형성되는 황산염을 제거하여 활성 황분자로서 전환시키는 효율이 크게 개선되고, 저전압 배터리(예 : 2[V])에도 직접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이익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이 구체화 되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여, 펄스당 에너지량이 증폭되고, 저전압 배터리(예 : 2[V])에도 직접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의 설계제한 요소를 제거시키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제어부의 스위칭 펄스신호에 의하여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에 펄스를 인가시켜,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를 재충전시키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에 있어서,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구동전압으로 승압하여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DC/DC 변환부와;
    주파수에 따른 PWM 펄스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PWM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서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직류펄스 발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펄스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CPU)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PWM 펄스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직류펄스 발생부의 변압기 1차측과 2차측 역기전력이 상기 배터리(+)단자에 응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변환부는
    상기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DC/DC 변환기을 통하여 승압된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KR2020060001036U 2006-01-12 2006-01-12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KR200413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036U KR200413982Y1 (ko) 2006-01-12 2006-01-12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036U KR200413982Y1 (ko) 2006-01-12 2006-01-12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166 Division 2006-0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982Y1 true KR200413982Y1 (ko) 2006-04-14

Family

ID=4929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036U KR200413982Y1 (ko) 2006-01-12 2006-01-12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9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065B1 (ko) * 2010-08-24 2012-03-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연변압기를 이용한 직병렬 보상형 변환기
KR101613263B1 (ko) * 2014-08-19 2016-04-18 주식회사 큐아이티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13265B1 (ko) * 2015-07-13 2016-04-18 주식회사 큐아이티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065B1 (ko) * 2010-08-24 2012-03-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연변압기를 이용한 직병렬 보상형 변환기
KR101613263B1 (ko) * 2014-08-19 2016-04-18 주식회사 큐아이티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US9762070B2 (en) 2014-08-19 2017-09-12 Qit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ife of battery bank
KR101613265B1 (ko) * 2015-07-13 2016-04-18 주식회사 큐아이티 배터리 뱅크의 수명 관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0596B (zh) 一种宽输入电压范围的开关变换器
WO2014002590A1 (ja) フルブリッジ電力変換装置
US916023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CN112117905A (zh) 有源钳位反激变换器的控制系统及方法
CN101207336A (zh) 电源转换器的晶体管驱动电路
CN107666243B (zh) 一种自激同步整流电源电路
CN113014104B (zh) Dc/dc变换器的控制器及其控制系统
JP2013247766A (ja) Dc‐dcコンバータ
KR200413982Y1 (ko) 충전용 저전압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
CN203788189U (zh) 一种自举升压电路
JP5408161B2 (ja) 自励式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CN108322053A (zh) 一种降压式变换电路
KR20120019779A (ko) 저전압 배터리의 수명연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92310B2 (ja) スイッチング配列と充放電を用いた高効率充電装置
CN107919250A (zh) 一种门控脉冲交流接触器启动保持运行电路
CN106602883B (zh) 无辅助绕组的功率mos管开关电源集成供电电路
KR20220016613A (ko) 저전압충전용배터리성능복구장치
CN210405093U (zh) 一种应用于降压dcdc转换器的音频带噪声消除电路
KR100657876B1 (ko) 충전용 배터리 수명연장 장치의 펄스 발생기
CN207573256U (zh) 一种高压发电机的控制电路
CN205453506U (zh) 一种输出同步整流的推挽电路
TWI446696B (zh) Gate drive
JP200132716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CN107425706B (zh) Dc/dc变换器的有源钳位电路
KR200422013Y1 (ko) 저전압 2차전지 내부저항 억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