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591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591A
KR20160020591A KR1020140104850A KR20140104850A KR20160020591A KR 20160020591 A KR20160020591 A KR 20160020591A KR 1020140104850 A KR1020140104850 A KR 1020140104850A KR 20140104850 A KR20140104850 A KR 20140104850A KR 20160020591 A KR20160020591 A KR 20160020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ase substrate
sensing patterns
display device
transpa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540B1 (ko
Inventor
오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540B1/ko
Priority to US14/605,075 priority patent/US9772705B2/en
Publication of KR2016002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591A/ko
Priority to US15/692,549 priority patent/US100828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투명 기판, 제2 투명 기판, 표시 패널, 제1 터치 패널 및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투명 기판은 제1 투명 기판에 대향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제1 투명 기판과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터치 패널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러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후면 커버, 표시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전면 커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도전성 펜의 접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접촉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표시 장치는 터치 기능을 위하여 별도의 외장형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표시 장치의 두께를 박형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외장형 터치 스크린 패널 만을 구비하므로, 표시 장치의 일면에서만 영상이 표시되며 입력 수단(예를 들면, 손, 도전성 펜 등)의 접촉 위치가 검출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의 터치 패널들을 구비하면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양면 디스플레이 기능, 양면 터치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전술한 목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투명 기판, 제2 투명 기판, 표시 패널, 제1 터치 패널 및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명 기판은 상기 제1 투명 기판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저면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1 감지 패턴들, 상기 제1 감지 패턴들 아래에 배치되는 제1 편광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편광 부재 아래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2 감지 패턴들, 상기 제2 감지 패턴들 상에 배치되는 제2 편광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편광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용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은 외부의 충격 또는 환경 변화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두께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스(Tri acetyl Cellulose, TAC), 폴리에틸렌술폰(Poly Ethylene sulf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투명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투명 기판에 대향하는 제2 투명 기판을 제공한 다음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표시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제1 터치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제2 터치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제1 베이스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저면 상에 직접 제1 감지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의 하부에 제1 편광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 부재의 하부에 제1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제2 베이스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제2 감지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 패턴들 상에 제2 편광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 부재 상에 제2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 또는 광학용 투명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또는 환경 변화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두께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완충 부재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스,폴리에틸렌술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저면 및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되는 복수의 터치 패널들(즉, 제1 터치 패널 및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의 저면 및 상면에서 모두 사람의 손 또는 도전성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의 접촉을 인식할 수 있으며 양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제1 감지 패턴들은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되므로, 상기 표시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은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패턴들은 제2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표시 장치의 두께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감지 패턴들은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되므로, 보다 박형화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 비하여 요구되는 층들의 수가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공정 수율과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이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터치 패널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2 터치 패널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터치 패널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2 터치 패널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제1 투명 기판 패널(105), 제1 터치 패널(125), 표시 패널(135), 제2 터치 패널(160), 제2 투명 기판(16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명 기판(105)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명 기판(105)은 표시 장치(100)의 하부 윈도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125)은 제1 투명 기판(10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125)은 제1 투명 기판(125)을 통한 입력 수단(예를 들면, 사람의 손, 도전성 펜 등)의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터치 패널(125)은 제1 베이스 기판(130), 복수의 제1 감지 패턴들(120), 제1 편광 부재(115), 제1 접착층(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10)은 제1 투명 기판(105)과 제1 편광 부재(1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터치 패널(125)을 제1 투명 기판(105)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층(11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용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층(11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5)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편광 부재(115)는 제1 접착층(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편광 부재(115)는 제1 투명 기판(105)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광 반사를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편광 부재(115)는 요오드계 편광 필름, 염료계 편광 필름, 폴리엔계 편광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감지 패턴들(120)은 제1 편광 부재(115)와 제1 베이스 기판(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패턴들(120)은 제1 베이스 기판(130)의 저면 상에 직접 위치할 수 있다. 제1 감지 패턴들(120)은 각기 투명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감지 패턴들(120)은 인듐 주석 산화물, 아연 주석 산화물, 갈륨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패턴들(120)은 각기 복수의 제1 감지 셀들(sensing cells)(126), 복수의 제1 연결부들(127) 및 복수의 제1 패드들(1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셀들(126)은 각기 실질적으로 마름모의 형상,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의 형상 등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제1 감지 셀들(126)은 각기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인접하는 제1 감지 셀들(126)은 하나의 연결부(127)를 개재하여 이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제1 감지 셀들(126)이 복수의 연결부들(127)을 개재하여 제1 베이스 기판(130)의 저면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들(127)은 동일한 X 좌표들 또는 동일한 Y 좌표들을 가지는 제1 감지 셀들(126)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패드들(128)은 열 단위로 제1 감지 셀들(126)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기판(130)은 제1 감지 패턴들(120)의 배치를 위한 매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 기판(130)은 표시 패널(135)을 보호하는 봉지 기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베이스 기판(130)은 투명 수지 또는 유리, 석영 등과 같은 투명 무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5)은 제1 터치 패널(12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5)은 절연 기판, 반도체 소자들, 디스플레이 구조물들, 주변 회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기판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 소자들은 박막 트랜지스터들, 산화물 반도체 소자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들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구조물들, 액정 표시 구조물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상기 반도체 소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주변 회로들은 이러한 반도체 소자들과 디스플레이 구조물들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160)은 표시 패널(13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160)은 제2 베이스 기판(140), 복수의 제2 감지 패턴들(145), 제2 편광 부재(150), 제2 접착층(1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기판(140)은 표시 패널(13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기판(140)은 제2 감지 패턴들(145)의 배치를 위한 매체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충격 또는 환경 변화로부터 표시 패널(135)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기판(140)은 제1 베이스 기판(13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패턴들(145)은 제2 베이스 기판(140)의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2 감지 패턴들(145)은 제2 투명 기판(165)을 통한 입력 수단의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감지 패턴들(145)은 각기 투명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감지 패턴들(145)은 각기 인듐 주석 산화물, 아연 주석 산화물, 갈륨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감지 패턴들(145)은 제1 감지 패턴들(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제1 및 제2 감지 패턴들(120, 145)이 상이한 투명 도전성 물질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 감지 패턴들(145)은 각기 복수의 제2 감지 셀들(141), 복수의 제2 연결부들(142) 및 복수의 제2 패드들(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셀들(141)은 각기 실질적으로 마름모의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의 형상과 같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제2 감지 셀들(141)은 각기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접하는 제2 감지 셀들(141)은 하나의 제2 연결부(142)를 개재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2 감지 셀들(141)이 복수의 제2 연결부들(142)을 개재하여 제2 베이스 기판(140)의 상면 상에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감지 셀들(141)은 제1 감지 셀들(120)과 실질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감지 셀들(141)은 제1 감지 셀들(120)과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2 감지 셀들(141)은 제1 감지 셀들(120)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연결부들(142)은 동일한 X 좌표들 또는 동일한 Y 좌표들을 가지는 제2 감지 셀들(141)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패드들(143)은 열 단위로 제2 감지 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편광 부재(145)는 제2 감지 셀들(145)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편광 부재(1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편광 부재(145)는 요오드계 편광 필름, 염료계 편광 필름, 폴리엔계 편광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편광 부재(145)는 제2 투명 기판(165)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으므로, 외광 반사를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50)은 제2 편광 부재(145)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35)과 제2 터치 패널(16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접착층(150)은 제1 접착층(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예를 들면, 광학용 투명 접착제, 광학용 투명 레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층(150)은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135)에 가해지는 충격을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제1 및 제2 터치 패널들(125, 160)이 표시 패널(135)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0)가 상면과 저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양면 디스플레이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 패널(125) 및 제2 터치 패널(160)이 각기 표시 패널(135)의 저면 및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외장형 터치 패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양면 표시 장치(100)의 두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투명 기판(165)은 제1 투명 기판(105)에 실질적으로 대향할 수 있다. 제2 투명 기판(165)은 제1 투명 기판(10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투명 기판(155)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투명 기판(155)은 표시 장치(100)의 상부 윈도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터치 기능을 위하여 별도의 외장형 터치 스크린 패널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표시 장치의 두께의 증가를 피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표시 장치는 대체로 하나의 외장형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하기 때문에, 하나의 면을 통해서만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제1 및 제2 터치 패널들(125, 160)이 표시 패널(135)의 저면 및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00)가 상면과 저면 모두를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표시 장치(200)는 제1 감지 패턴들(220)을 제외하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감지 패턴들(220)은 표시 패널(230)의 저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 패턴들(24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감지 패턴들(145)과 동일하게, 제2 베이스 기판(235)의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200)의 두께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표시 장치(300)는 제1 감지 패턴들(320) 및 제2 감지 패턴들(335)을 제외하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터치 패널(325)은 제1 투명 기판(30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터치 패널(325)은 표시 패널(330)의 저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표시 패널(330)은 제1 감지 패턴들(320)의 배치를 위한 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355)은 표시 패널(3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터치 패널(355)은 표시 패널(330)의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패널(330)은 제2 감지 패턴들(335)을 배치하기 위한 매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기판(340)은 제2 감지 패턴들(33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베이스 기판(340)은 표시 패널(33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2 베이스 기판(340)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300)는 연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330)의 저면 및 상면에 각각 제1 감지 패턴들(320) 및 제2 감지 패턴들(335)이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접촉을 인지하므로, 표시 장치(300)는 상면과 저면을 통한 입력 수단의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박형화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표시 장치(400)는 완충 부재(460)를 제외하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완충 부재(460)는 제1 투명 기판(405)와 제2 투명 기판(46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완충 부재(460)는 제1 투명 기판(405)와 제2 투명 기판(465)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 기판(405)와 제2 투명 기판(465) 사이의 이격 공간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460)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스(Tri acetyl Cellulose, TAC), 폴리에틸렌술폰(Poly Ethylene sulfo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투명 기판(505) 상에 제1 접착층(5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착층(51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 광학용 투명 레진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접착층(510) 상에 제1 편광 부재(51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편광 부재(515) 상에 제1 베이스 기판(5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이스 기판(530)의 저면 상에는 복수의 제1 감지 패턴들(5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기판(530)의 저면 상에 제1 투명 도전막(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 다음, 이와 같은 제1 투명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제1 베이스 기판(530)의 저면 상에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제1 감지 패턴들(520)을 직접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투명 도전막은 인듐 주석 산화물, 아연 주석 산화물, 갈륨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투명 도전막도 스퍼터링 공정, 도금 공정,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 진공 증착 공정, 프린팅 공정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530)의 저면 상에 제1 베이스 기판(530), 제1 감지 패턴들(520), 제1 편광 부재(515), 제1 접착층(510) 등을 포함하는 제1 터치 패널(525)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베이스 기판(530) 상에 표시 패널(535)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535)은 절연 기판, 반도체 소자들, 디스플레이 구조물들, 주변 회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535) 상에 제2 베이스 기판(54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기판(540)의 상면 상에 제2 투명 도전막(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 후, 이러한 제2 투명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제2 베이스 기판(540)의 상면 상에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제2 감지 패턴들(545)을 직접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투명 도전막은 상기 제1 투명 도전막과 실질적으로 동질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투명 도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베이스 기판(540) 상에 제2 편광 부재(550)를 형성한 다음 제2 접착층(555)을 개재하여 제2 편광 부재(550)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패널(530)의 상면 상에 제2 베이스 기판(540), 제2 감지 패턴들(545), 제2 편광 부재(550), 제2 접착층(555) 등을 포함하는 제2 터치 패널(560)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투명 기판(505)과 실질적으로 대향하도록 제2 투명 기판(50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투명 기판(505)은 경질의 물질 또는 연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터치 패널(525) 및 제2 터치 패널(560)은 표시 패널(535)의 저면 및 상면에 각기 형성되기 때문에, 터치 기능을 위해 표시 패널의 상부에 별도로 외장형 터치 패널을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변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냉장고용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 윈도우, 투명 태블릿, 차량용, 선박용 및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의료용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100, 200, 300, 400: 표시 장치
105, 205, 305, 405, 505: 제1 투명 기판
110, 210, 310, 410, 510: 제1 접착층
115, 215, 315, 415, 515: 제1 편광 부재
120, 220, 320, 420, 520: 제1 감지 패턴들
125, 225, 325, 425, 525: 제1 터치 패널
126: 제1 감지 셀들
127: 제1 연결부들
128: 제1 패드들130, 530: 제1 베이스 기판
135, 230, 535: 표시 패널
140, 235, 340, 440: 제2 베이스 기판
141: 제2 감지 셀들
142: 제2 연결부들
143: 제2 패드들
145, 335, 435, 545: 제2 감지 패턴들
150, 240, 345, 445, 550: 제2 편광 부재
155, 250, 350, 450, 555: 제2 접착층
160, 255, 355, 455, 560: 제2 터치 패널
165, 260, 360, 465, 565: 제2 투명 기판
460: 완충 부재

Claims (20)

  1. 제1 투명 기판;
    상기 제1 투명 기판에 대향하는 제2 투명 기판;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저면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1 감지 패턴들, 상기 제1 감지 패턴들 아래에 배치되는 제1 편광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편광 부재 아래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2 감지 패턴들, 상기 제2 감지 패턴들 상에 배치되는 제2 편광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편광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용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은 외부의 충격 또는 환경 변화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두께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스(Tri acetyl Cellulose, TAC) 및 폴리에틸렌술폰(Poly Ethylene sulfo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투명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투명 기판에 대향하는 제2 투명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제1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제2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제1 베이스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저면 상에 직접 제1 감지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의 하부에 제1 편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편광 부재의 하부에 제1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제2 베이스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제2 감지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감지 패턴들 상에 제2 편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편광 부재 상에 제2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 또는 광학용 투명 레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또는 환경 변화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두께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패턴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완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스 및 폴리에틸렌술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40104850A 2014-08-13 2014-08-1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4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850A KR102242540B1 (ko) 2014-08-13 2014-08-1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4/605,075 US9772705B2 (en) 2014-08-13 2015-01-26 Double-sided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US15/692,549 US10082897B2 (en) 2014-08-13 2017-08-31 Double-sided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850A KR102242540B1 (ko) 2014-08-13 2014-08-1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591A true KR20160020591A (ko) 2016-02-24
KR102242540B1 KR102242540B1 (ko) 2021-04-21

Family

ID=5530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850A KR102242540B1 (ko) 2014-08-13 2014-08-1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772705B2 (ko)
KR (1) KR102242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590A (ko) * 2016-08-22 201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압력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782B1 (ko) 2016-03-11 2018-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4824B1 (ko) 2016-03-25 202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206532523U (zh) * 2017-03-02 2017-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
CN109585507B (zh) * 2018-11-26 2021-05-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7368978B2 (ja) * 2019-07-31 2023-10-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JP7327031B2 (ja) * 2019-09-19 2023-08-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3760114B (zh) 2020-06-03 2024-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20220253166A1 (en) * 2021-02-05 2022-08-11 Hannstouch Solution Incorporated Double-sided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339A (ko) * 2006-02-23 2007-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30241869A1 (en) * 2012-03-14 2013-09-19 Japan Display West Inc.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9951A (en) * 1994-10-21 1999-07-27 Canon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JP3779515B2 (ja) * 1999-11-10 2006-05-31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4316960B2 (ja) * 2003-08-22 2009-08-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装置
JP5093710B2 (ja) * 2005-09-05 2012-12-1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端末装置、光源装置及び光学部材
JP5510451B2 (ja) 2009-04-28 2014-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US8493364B2 (en) * 2009-04-30 2013-07-23 Motorola Mobility Llc Dual sided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8891051B2 (en) * 2010-10-25 2014-11-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Backlight and display device
US9400576B2 (en) * 2011-07-19 2016-07-26 Apple Inc. Touch sensor arrangement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US9470941B2 (en) 2011-08-19 2016-10-18 Apple Inc. In-cell or on-cell touch sensor with color filter on array
KR101535823B1 (ko) 2011-12-15 2015-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및 입체 영상 표시 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02224A (ko) 2012-06-28 2014-01-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339A (ko) * 2006-02-23 2007-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30241869A1 (en) * 2012-03-14 2013-09-19 Japan Display West Inc. Imag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590A (ko) * 2016-08-22 201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압력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64186A1 (en) 2017-12-21
US9772705B2 (en) 2017-09-26
US10082897B2 (en) 2018-09-25
KR102242540B1 (ko) 2021-04-21
US20160048252A1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54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516009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TWI816678B (zh) 顯示裝置及輸入感測元件
CN110308811B (zh) 触摸传感器以及具有该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US904844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90830B2 (en) Display device-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JP6130939B2 (ja) タッチ装置
KR10205205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US9465462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KR20170110232A (ko) 표시 장치
US2015013073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ouch display device
TWI432781B (zh) 顯示裝置、視差屏障觸控板及其製造方法
US20140078419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US20150227170A1 (en) Touch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07110A (ko) 표시 장치
KR20150007107A (ko) 터치센서
KR102537305B1 (ko) 터치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49174A (ko) 터치센서
KR20140076174A (ko) 터치패널
TWI474299B (zh) 顯示裝置及視差屏障觸控板的製造方法
CN102681174A (zh) 显示装置及视差屏障触控板的制造方法
CN115620618A (zh) 电子装置
CN109598233B (zh) 具有指纹辨识功能的显示装置
KR102622046B1 (ko) 표시 장치
KR101801278B1 (ko)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