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103A -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103A
KR20160020103A KR1020140104994A KR20140104994A KR20160020103A KR 20160020103 A KR20160020103 A KR 20160020103A KR 1020140104994 A KR1020140104994 A KR 1020140104994A KR 20140104994 A KR20140104994 A KR 20140104994A KR 20160020103 A KR20160020103 A KR 20160020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lter
organic polymer
basis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철
윤영규
신정훈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에프티이앤이
코리아에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티이앤이, 코리아에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프티이앤이
Priority to KR102014010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103A/ko
Publication of KR20160020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18Fluorin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8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16Bicomponent or multicomponent fibres
    • B01D2239/0225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와 멜트블로운 및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포함하는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특징은, 이성분 기재 상에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이성분 기재의 다른 일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를, 상기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 층의 일면에 멜트블로운 및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형성하여 필터 매체를 제조하고 제조된 필터 매체를 필터 프레임에 설치하여 필터 조립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Filter media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 and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성분 기재 상에 유기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한 후 상기 이성분 기재의 다른 일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기재를 접합하고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 상에는 멜트블로운 및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접합하여 제조한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상기 필터매체와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자체 열은 65℃의 온도한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일반적인 문제에 근거한다. 이런 문제는 특히 밀폐된 하우징에 장착된 전자부품에서 발생한다. 발생한 열과 하우징 표면의 비율이 클수록 열발생이 더 큰 문제가 된다. 이런 문제는 특히 통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컵보드나 기지국(base station)에서 발생한다. 온도가 65℃를 초과할 경우 이런 기지국은 자동적으로 전원이 차단된다. 이런 이유로 인해 예를 들어 열교환기, 에어컨 및 팬형식 냉각유닛과 같은 전자 기기는 대개 냉각되어야 한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하우징이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거의 보호되지 않을 경우 또는 외기에 노출된 경우에 하우징을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런 환경에서는 습기에 민감한 전자부품을 특히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물이나 또는 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하우징 내에 장착된 전자부품을 습기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해야 한다. 또한 하우징 자체가 외부온도변화에 충분히 견뎌야 한다. 이 사항은 하우징이 예를 들어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될 경우 특히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전술한 기지국이 견딜 수 있어야 하는 기본적인 환경 조건은 유럽통신규격 ETS 300 019-1-4(1992년 2월 판)에 기술되어 있다.
하우징의 방수성과 관련해 제작사들은 IP 수치가 55인 하우징을 제작해야 한 다(DIN 40 050). 여기에서 두 번째 수치는 각 방향에서 하우징에 제트류가 가해지더라도 하우징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크게 현재 두 가지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첫 번째 해결 방안은 열교환기를 통해 하우징을 냉각하는 것이다. 공기-물 열교환기는 매우 고가이고 물을 사용하는 것이 위험할 뿐아니라 연결부에 결함이 발생할경우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으로 여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대개 공기-공기 열교환기이다. 공기-공기 열교환기는 외부요소로부터 하우징을 완전히 밀폐하기는 하지만 하우징 온도를 외부 온도보다 10K 이상으로 낮출 수 없다. 외부 온도가 55℃인 온도 구역에서 공기-공기 열교환기는 하우징 내부 온도를 65℃로 밖에 냉각시킬 수 없으며 이 경우 전술한 바와같이 기기의 전원이 차단된다. 대략적으로 볼 때 운전 온도를 10℃ 상승시킬 경우 반도체의 수명은 최대 허용 운전 온도를 기준으로 반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공기-공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의 냉각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다른 해결 방안은 팬을 통한 냉각 방식이다. 이 경우 하우징에는 공기 입구와 공기출구가 설치되며 이외에도 공기가 공기입구에서 팬하우징을 거쳐 공기출구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팬이 필요하다. 물의 유입은 방수 커버에 의해 차단되지만 방수 커버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보호값이 IP 54로 제한된다. 방수 커버의 경우에는 원활한 통기를 위해 임의의 구간이 개방되어야 함으로 완전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물방울 형태 또는 에어로졸 형태로 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공기-공기 열교환기에 비해 이 해결방안의 장점은 외부 온도와 하우징 내부 온도사이의 온도 편차가 공기-공기 열교환기로 도달할 수 있는 온도 편차보다 현저히 작다는 것이다. 전술된 두 가지 냉각 시스템은 예를 들어 리탈베르크(Ritalwerk), 루돌프 로 게엠베하 사(Rudolf Loh GmbH & Co.)에서 판매되고 있다. GB-A-2 147 663에서는 분진이나 오일 또는 기타 입자들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전자부품을 종래 방식의 실린더형 자동차 필터에 위치시키고 냉각시키는 방식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공기는 자동차 필터의 지그재그형의 주름진 다공성 필터 부재에 의해 흡입되고 관을 통해 제한적으로 배출된다.
1972년 출원된 DE-A-211 268에서는 발열성 도체판이 포함된 장치에 사용되는 팬형식 냉각유닛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이 팬형식 냉각유닛의 경우에는 공기가 종래 방식의 필터를 통해 유입되고 도체판이 포함된 하우징을 통해 전달되며 하우징에서 다시 배출된다. 이 장치는 외부에 설치될 수는 없다. 종래 방식의 필터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이것이 제트류에 대해 충분한 보호 기능을 갖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분진 입자가 필터의 섬유층 구간으로 운반되고 여기에 축적됨으로 필터의 구멍이 쉽게 밀폐되어 교환 주기가 짧아진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더욱이 이런 종류의 필터는 청소가 불가능하다.
DE-C-42 34 919에 기술되어 있는 자동차 전조등에서 헤드라이트의 내구 공간과 외부 공기 사이에 적은 양의 수동적 공기 교환을 보장하기 위해서 증기나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이것은 전조등이 사용 후 다시 냉각될 경우 압력 보정을 위해 유입되는 공기에서 전조등을 부식시키는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발명의 우선일 전에 출원되었지만 차후에 공고된 DE-A-197 55 944에서는 공기 유입구 전단에 멤브레인 필터가 배열되는 팬형식 냉각유닛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이 멤브레인 필터의 구조적 형태에 대해서도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65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310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72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 상에 적층된 이성분 기재를 가지고, 상기 이성분 기재 상에 전기방사에 의해 적층형성되는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를 가지며, 상기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 상에 적층된 멜트브롤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필터보다 압력 손실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과 효율을 높이며, 필터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성분 기재를 사용함으로서 나노섬유 부직포가 적층되어도 쉽게 탈리가 일어나지 않는 필터매체 및 필터 조립체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 상에 적층된 이성분 기재, 상기 이성분 기재 상에 전기방사에 의해 적층형성되는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 상기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 상에 적층된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상기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상에 적층된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고분자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이성분 기재는 시스-코어형(Sheath-Core),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또는 씨 타입(C-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나노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0.1 내지 2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이성분 기재의 평량은 10 내지 50g/m2이고, 상기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평량은 10 내지 50g/m2이며,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의 평량은 50 내지 150g/m2이고, 상기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평량은 20 내지 8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필터매체 및 필터매체가 설치되는 필터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 조립체는 통신용, 옥외광고용, 또는 옥내외용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필터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필터 기재 상에 적층형성함에 따라, 여과 효율을 높이며, 필터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나노섬유와 기재 사이에 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를 설명한다.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 및 이성분 기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는 필터매체가 절곡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성분 기재의 섬유형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또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본 발명에서의 이성분 기재는 용융점이 다른 두가지 성분이 결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성분 기재는 시스-코어형(Sheath-Core),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씨타입(C-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시스-코어형 이성분 기재의 경우에는 시스 부분이 저융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며, 코어부분은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시스부분은 약 10 내지 90 중량%이고, 코어는 약 90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져있다. 시스 부분은 바인더 섬유의 바깥 표면을 형성하는 열적 결합제로서 작용하며, 약 80 내지 150℃의 융점을 갖고, 코어는 약 160 내지 250℃의 융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사용되는 시스코어형 이성분 기재는 시스부분에 통상의 융점 분석기기로 융점이 나타나지 않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코어성분으로는 바람직하게 상대적으로 고융점 성분을 사용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이다.
시스부분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50 내지 70몰%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다. 30 내지 50몰%는 공중합 산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통상의 디카르복실산은 모두 가능하다.
코어 성분으로 사용하는 고융점 성분으로는 융점이 160℃ 이상인 폴리머가 적합하며, 그 사용가능한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등이 있다.
상기 이성분 기재의 평량은 10 내지 50g/m2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의 평량은 50 내지 15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전기방사에 의해 적층형성되는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
이하,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방사 장치는 방사용액을 보관하는 방사용액 주탱크, 방사용액을 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계량펌프, 다수개의 핀으로 구성되는 다중관형노즐이 블록형태로 조합되어 있으며 방사액을 섬유상으로 토출하는 노즐블록, 상기 노즐블록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방사되는 단섬유들을 집적하는 컬렉터,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장치 및 노즐 블록의 최상부에 연결된 방사 용액 배출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유기고분자를 전기방사하여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우선 유기고분자를 아세톤 용매에 용해시킨 방사용액을 제조하고, 방사용액 주탱크 내에 상기 유기고분자 방사액을 보관, 별도의 계량펌프로 계량하여 정량씩 방사용액 드롭장치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방사용액 드롭장치 내로 공급된 방사용액은 방사용액 드롭장치를 통과하면서 불연속적으로 높은 전압이 걸려있고 교반기가 설치된 노즐블록의 방사용액 공급판으로 공급된다. 상기 방사용액 드롭장치는 방사용액의 흐름을 차단하여 방사용액 주탱크에 전기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계속해서 상기 노즐블록에서는 방사액을 노즐을 통해 높은 전압이 걸려있는 상부의 컬렉터로 토출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방사용액 공급관으로 이송된 방사용액은 노즐을 통해 컬렉터로 토출되어 섬유를 형성한다. 이때, 노즐로부터 전기방사되는 나노섬유는 공기공급용 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넓게 퍼지면서 컬렉터상에 포집되어 포집면적이 넓어지고 집적밀도가 균일해진다. 노즐에서 섬유화되지 못한 과잉 방사용액은 오버플로 제거용 노즐에서 모아져 오버플로액의 임시저장판을 거쳐 방사용액 공급판으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의 두께, 섬유의 직경, 섬유의 형상, 분리막의 기계적 특성 등은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 고분자 용액의 종류, 고분자 용액의 점도, 토출 유량 등과 같은 전기방사 공정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나노섬유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기공급용 노즐에서 공기의 속도는 0.05m~50m/초,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30m/초인 것이 좋다. 공기의 속도가 0.05m/초 미만인 경우에는 컬렉터에 포집된 나노섬유의 퍼짐성이 낮아서 포집면적이 크게 향상되지 않고, 공기의 속도가 50m/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기의 속도가 너무 빨라 나노섬유가 컬렉터에 집속되는 면적이 오히려 감소되며, 더욱 심각한 문제는 나노섬유가 아니라 굵은 타래 형태로 컬렉터에 부착되어 나노섬유 형성능과 나노섬유 형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때 전기력에 의한 섬유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노즐블록 하단부에 설치된 도전체판과 컬렉터에는 전압발생장치에서 발생된 1kV 이상, 더욱 좋기로는 20kV 이상의 전압을 걸어준다. 상기 컬렉터로는 앤드레스 (Endless)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상기 컬렉터는 나노섬유의 밀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좌우로 일정거리를 왕복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컬렉터 상에 형성된 나노섬유는 웹 지지로울러를 거쳐서 권취로울러에 권취하면 나노섬유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상기 유기고분자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릴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가 바람직하다. 기존의 유기고분자 소재는 폴리우레탄 이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이하 PVDF라 칭한다)는 플루오로계열의 고분자 중 하나로, 플루오로 수지는 플루오린을 함유하여 열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다.
Figure pat00001
반응식 1. PVDF의 제조
PVDF는 상기 반응식 1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되며, 다른 플루오로 수지에 비해 녹는점(177)과 밀도(1.78)가 낮고, 단가가 싸며,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전기줄의 절연에 이용되며, 건물의 외벽을 바르는 고급 페인트로도 쓰인다.
또한, PVDF는 압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유기물질로 1960년대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PVDF 고분자 내에는 4가지 종류의 결정이 혼재하는데, 이것은 결정형태에 따라 α,β,γ 그리고 δ형의 최소 4가지의 형태로 구분 할 수 있다. 그 중 PVDF의 β형 결정은 트랜스형 분자쇄가 평행으로 충진된 것으로 모노머가 갖는 영구쌍극자가 모두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큰 자발 분극을 나타낸다. 이는 연신을 통하여 PVDF 분자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집합상태에 이방성을 부여함으로써 압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압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VDF 섬유 내 β형 결정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필터매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유기 용매에 녹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용액을 전기방사장치의 각 유닛과 연결된 방사용액 주탱크에 공급하고, 상기 방사용액 주탱크에 공급된 용액은 계량 펌프를 통하여 높은 전압이 부여되는 노즐블록의 다수의 노즐 내에 연속적으로 정량공급된다. 상기 각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용액은 노즐을 통해 높은 전압이 걸려있는 컬렉터 상에 위치한 이성분 기재 상에 전기방사 및 집속되면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부직포를 적층형성한다.
나노섬유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기공급용 노즐에서 공기의 속도는 0.05m~50m/초,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30m/초인 것이 좋다. 공기의 속도가 0.05m/초 미만인 경우에는 컬렉터에 포집된 나노섬유 퍼짐성이 낮아서 포집면적이 크게 향상되지 않고, 공기의 속도가 50m/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기의 속도가 너무 빨라 나노섬유가 컬렉터에 집속되는 면적이 오히려 감소되며, 더욱 심각한 문제는 나노섬유가 아니라 굵은 타래 형태로 컬렉터에 부착되어 나노섬유 형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상기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0.1 내지 2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부직포를 적층형성한 후, 전기방사장치 후단부에 위치하는 합지장치에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가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부직포가 적층형성되지 않은 상기 이성분 기재의 일면에 접합되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부직포 상에는 멜트블로운 및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접합되어, 초음파 본딩하는 과정을 거쳐 필터매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멜트블로운 및 스판본드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소수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바 최외부층으로서 내수기능을 가지며,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필터매체에서 공극크기(pore size)를 조절하는 프리필터(pre-filter)의 기능을 한다.
멜트블로운 방사법은 압축된 기체를 이용한 고분자용융체의 분사로 초극세 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이며, 스판본드 방사법은 용해방사를 통해 섬유를 공기에 의해 고속으로 처리하여 분산하면서 부직포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스판본드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벌키한 특성상 외부 커버로서 발수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여 햇볕에 의한 부식을 방지한다.
상기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평량은 10 내지 50g/m2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평량은 20 내지 8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필터매체 기술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30평량)-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25평량) 3~4장-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70평량)의 필터매체를 사용하는데, 본 발명은 기존제품과 필터 효율은 비슷하면서 기존 제품보다 두께 측면에서 50% 정도로 얇으며, 두께가 얇은바 카트리지 제조를 위한 절곡이 더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 상에 이성분 기재가 적층되고, 이성분 기재 상에 전기방사에 의해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가 적층되고, 나노섬유 부직포 상에 멜트블로운 및 스판본드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적층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를 제조한다.
4. 필터 조립체의 제조
필터 조립체는 필터 프레임과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 매체로 구성된다.
필터 프레임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고, 그 형태는 사각형, 원통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진다.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 매체는 필터 프레임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를 제조한다.
필터 조립체는 구체적으로는 통신용, 옥외광고용 또는 옥내외용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비제한적인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0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 DMAc)에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제조하고, 전기방사장치의 방사용액 주탱크에 투입하였다. 이성분 기재 상에 전극과 컬렉터 간의 거리를 40cm, 인가 전압 20kV, 방사용액 유량 0.1mL/h, 온도 22℃, 습도 20%의 조건에서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두께 2㎛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부직포를 두께 3㎛인 이성분 기재 상에 적층형성하였다. 상기 이성분 기재는 시스-코어형이고, 평량이 30g/m2이다. 전기방사 후에는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부직포가 적층되지 않은 이성분기재의 일면에 두께 1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접합시키고, 적층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부직포 상에는 각각 두께가 5㎛인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접합시켰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의 평량은 70g/m2이고, 상기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평량은 25g/m2이었으며, 상기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평량은 30g/m2이었다. 이후, 이를 초음파 본딩하여 필터매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터 매체를 필터 프레임에 설치하여 필터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
상기 나노섬유 부직포의 유기 고분자를 폴리우레탄으로 변경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터매체를 제조하고 이를 필터 프레임에 설치하여 필터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1
두께 5㎛, 30g/m2 평량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두께 5㎛이며 평량이 25g/m2인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4층 및 두께 10㎛이며 평량이 70g/m2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의 순서로 적층된 필터매체를 제조하고 이를 필터 프레임에 설치하여 필터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2
두께 5㎛, 30g/m2 평량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두께 5㎛이며 평량이 25g/m2인 멜트블로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부직포 4층 및 두께 10㎛이며 평량이 70g/m2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의 순서로 적층된 필터매체를 제조하고 이를 필터 프레임에 설치하여 필터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실시예와 비교예는 초기 집진효율과 초기 및 분진 적재 후 압력손실을 측정하였다.
- 시험 장비 구성 : 집진 효율 시험용 덕트, 입자발생장치(KCl 1% W/V), 분진비산장치(JIS 11종), 입자 계수기(Aerosol Spectrometer Model : 1.109, Grimm, Germany), 압력손실 측정장치(Testo 350-M/XL*testo 545, Testo, Germany)
- 시험 대상 분진 : 입경 0.3㎛ KCl 입자 및 JIS 11종 분진
- 집진 효율 시험
필터를 시험 덕트에 장착시켜 시험 유량을 보내 입자농도가 안정된 것을 확인한 후, 상류측 및 하류측의 입자 농도를 교대로 측정하고 0.35㎛의 초기 집진 효율을 측정하여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집진 효율은 다음의 공식으로 산출한다.
η = (1-C0/Ci) × 100
η = 집진효율 (%)
C0 = 하류측 개수농도 (개/m3)
Ci = 상류측 개수농도 (개/m3)
- 분진 적재 후 압력손실 시험
필터를 시험 덕트에 장착시켜 714.2857gm/m3의 농도로 필터 전면에 JIS 11종 분진을 적지시킨 후 일정량 적재가 된 상태에서 필터 면속도가 0.3m/s인 경우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손실을 측정하여 분진 적재량 0, 300g 일 때의 압력손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압력손실은 다음의 공식으로 산출한다.
△P = P1 - P2
△P = 압력손실(Pa)
P1 = 상류측 압력(Pa)
P2 = 하류측 압력(Pa)
시험 조건은 온도 25-28℃, 상대습도 55-60%에서 진행되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0.35㎛ DOP
여과 효율(%)
99.3 99.1 98.4 98.5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분진 적재량 0g일 때의 압력손실 36.6 38.1 42.9 42.1
분진 적재량 300g일때의 압력손실 189.1 192.3 201.1 204.8
표1 및 표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필터 조립체는 비교예에 비하여 초기 집진 효율이 높으며, 압력손실도 낮은 특징으로 인해 더욱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 상에 적층된 이성분 기재;
    상기 이성분 기재 상에 전기방사에 의해 적층형성되는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
    상기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 상에 적층된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상기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상에 적층된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고분자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이성분 기재는 시스-코어형(Sheath-Core),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또는 씨 타입(C-type)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0.1 내지 2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기재의 평량은 10 내지 50g/m2이고, 상기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평량은 10 내지 50g/m2이며,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의 평량은 50 내지 150g/m2이고, 상기 스판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평량은 20 내지 8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상기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가 설치되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 조립체는 통신용, 옥외광고용 또는 옥내외용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 조립체.



KR1020140104994A 2014-08-13 2014-08-13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KR20160020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994A KR20160020103A (ko) 2014-08-13 2014-08-13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994A KR20160020103A (ko) 2014-08-13 2014-08-13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445A Division KR20160118169A (ko) 2016-09-22 2016-09-22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103A true KR20160020103A (ko) 2016-02-23

Family

ID=5544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994A KR20160020103A (ko) 2014-08-13 2014-08-13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01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821A (ko) * 2016-07-14 2018-01-24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다층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38172A (zh) * 2017-12-25 2018-04-20 安徽省临泉县万隆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亲水性熔喷无纺布
KR102036995B1 (ko) * 2018-05-03 2019-11-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523B1 (ko) 1998-07-23 2006-08-01 더블유. 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트 지엠비에치 팬형식 냉각유닛용 보호커버
KR20120047228A (ko) 2009-06-12 2012-05-11 클라르코르 에어 필트레이션 프로덕츠, 인크. 멤브레인 프리 필터 및/또는 필터용 인티그럴 프레이밍
KR101293101B1 (ko) 2005-07-14 2013-08-12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전자 부품의 냉각을 위한 팬 냉각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523B1 (ko) 1998-07-23 2006-08-01 더블유. 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트 지엠비에치 팬형식 냉각유닛용 보호커버
KR101293101B1 (ko) 2005-07-14 2013-08-12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전자 부품의 냉각을 위한 팬 냉각 유닛
KR20120047228A (ko) 2009-06-12 2012-05-11 클라르코르 에어 필트레이션 프로덕츠, 인크. 멤브레인 프리 필터 및/또는 필터용 인티그럴 프레이밍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821A (ko) * 2016-07-14 2018-01-24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다층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38172A (zh) * 2017-12-25 2018-04-20 安徽省临泉县万隆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亲水性熔喷无纺布
CN107938172B (zh) * 2017-12-25 2020-06-23 安川科技(东阳)有限公司 一种亲水性熔喷无纺布
KR102036995B1 (ko) * 2018-05-03 2019-11-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4449B (zh) 过滤器用滤材和过滤器芯
EP3029191A1 (en) Multi-layered nanofiber filter medium using electro-blowing, melt-blowing or electrospinn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186608B2 (en) Process for forming a high efficiency nanofiber filter
KR20180007818A (ko)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2층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7820A (ko)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다층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0692A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와 이성분 기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0103A (ko)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KR20170120372A (ko) 미세먼지 차단용 윈도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8169A (ko) 전자기기 보호용 필터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KR101834404B1 (ko) 접착력이 향상된 기재 양면 나노섬유 웹, 이를 이용한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23959A (ko) 셀룰로오스 기재 상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전기방사하고 세라믹을 코팅한 내열성 나노섬유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12879A (ko) 난연성이 우수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0676A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7497B1 (ko) 내열성이 향상된 다층 필터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1760A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와 이성분 기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1758A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7821A (ko)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다층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9761B1 (ko) 내열성이 향상된 다층 필터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7682A (ko) 접착력이 향상된 다층 나노섬유 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1994B1 (ko) 어쿠스틱 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4400B1 (ko) 접착력이 향상된 나노섬유 웹, 이를 이용한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8250B1 (ko) 저융점 고분자 접착층이 형성된 직경이 상이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3044A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8251B1 (ko) 저융점 고분자 접착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나노섬유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9908B1 (ko) 어쿠스틱 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