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909A -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8909A KR20160018909A KR1020140101672A KR20140101672A KR20160018909A KR 20160018909 A KR20160018909 A KR 20160018909A KR 1020140101672 A KR1020140101672 A KR 1020140101672A KR 20140101672 A KR20140101672 A KR 20140101672A KR 20160018909 A KR20160018909 A KR 201600189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opper
- stored
- pipe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저장물이 수용되는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하는 수분리배관; 및, 상기 수분리배관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하고, 저장물의 함유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리배관의 구성에 의해 저장물의 배출경로의 개폐와 동시에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의 신속한 분리라는 두 가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하고, 저장물의 함유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리배관의 구성에 의해 저장물의 배출경로의 개폐와 동시에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의 신속한 분리라는 두 가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킨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 공정에서 인발주편의 냉각을 위해 주편표면에 분사된 냉각수로 인해 많은량의 스케일이 발생되며 발생된 스케일은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일정한 장소로 모아져 장비를 이용 호퍼에 저장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로 사용된 다량의 수분이 스케일과 함께 호퍼에 저장된다.
또한, 호퍼에 저장된 스케일에 함유 수분이 과다할 경우에는 수분이 호퍼의 틈새로 누수되어 배출된 냉각수에 의해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누수된 수분을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점에서 인력의 소모가 심해지고,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된 스케일을 차량을 이용 재활용 장소로 이송되는데, 저장된 스케일에 함유된 수분량이 많을 경우 저장스케일의 이송이 용이하지 않고, 함유 수분이 차량이송 중 냉각수 유출로 인한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퍼저장 과정의 수분제거가 원활히 되지 않을 경우, 이송된 스케일을 용해시켜 재활용과정에서 함유된 수분으로 인한 용강의 품질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품질저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분제거과정을 거쳐야 하는 점에서 많은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저장된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호퍼 내의 스케일에 함유된 수분을 스케일의 저장단계에서 충분히 제거시켜 스케일을 배출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장물의 배출장치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호퍼에 저장된 스케일에 함유된 수분을 스케일의 저장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스케일을 용해시켜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함유된 수분으로 인한 용강의 품질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호퍼에서 최종적으로 저장물이 배출되는 영역에서 함유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호퍼에서 배출되는 스케일의 수분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호퍼의 내부에 제공되는 여과기를 통하여 저장물 내부의 함유수분이 제거될 수 있는 수분의 배출경로를 확보하여 호퍼 내부의 저장물의 함유수분을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는 수분리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호퍼에 저장된 스케일에 함유된 수분을 스케일의 저장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호퍼의 틈새로 누수되어 배출된 냉각수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의 개선할 수 있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저장물이 수용되는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하는 수분리배관; 및, 상기 수분리배관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수분리배관, 상기 저장물이 저장되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배관; 및, 상기 가이드배관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부가 형성된 유동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수부는, 상기 유동배관의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배관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 또는 망상의 스크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분리배관은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배출경로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호퍼의 하부의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 상에 연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의 수분을 상기 수분리배관으로 유도하는 제1 여과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여과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바람직하게, 호퍼의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 내부의 높이방향의 수분흐름을 유도하는 제2 여과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여과기는, 상기 호퍼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여과기와, 상기 수직여과기의 하측에 연계되어, 복수의 상기 수직여과기와 연통가능하게 구비되는 링상의 수평여과기 및, 상기 수평여과기의 하측에 연계되어, 상기 수평여과기와 연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여과기로 수분 흐름을 유도하는 경사여과기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여과기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여과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호퍼의 내벽과 상기 거치부에 연계되어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물이 이동 가능한 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배관의 내부로 상기 유동배관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유동배관의 일측에 제공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와 치합을 이루며 모터 구동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랙기어는 상기 유동배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배관의 상측에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유동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유동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호퍼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 내부의 상기 저장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와, 상기 수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함수율과, 상기 호퍼 내부의 함유수분을 제거를 위해 설정된 상기 저장물의 설정함수율을 대비하는 비교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함수율이 상기 설정함수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유동배관을 전진시켜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배관에는 상기 호퍼의 배출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유동배관이 후퇴시 상기 유동배관의 배수부가 위치하는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도어가 오픈시 상기 개방도어를 통해 상기 배수부를 세척하여 배수부에 침적된 상기 저장물을 제거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저장물은 연속주조공정에서 회수된 스케일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하고, 저장물의 함유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리배관의 구성에 의해 저장물의 배출경로의 개폐와 동시에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의 신속한 분리라는 두 가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케일의 저장단계에서 함유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저장된 스케일을 용해시켜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함유된 수분으로 인한 용강의 품질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물의 최종배출경로에 유동배관이 배치되어 호퍼에서 최종적으로 저장물이 배출되는 영역에서 함유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호퍼에서 배출되는 스케일의 수분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호퍼의 내부에 제공되는 여과기의 내부로 저장물의 함유수분이 유입되고, 여과기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유도된 수분이 이동함에 따라 수분의 이동시간이 단축되어 저장물의 함유수분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호퍼에 저장된 스케일에 함유된 수분을 스케일의 저장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호퍼의 틈새로 누수되어 배출된 냉각수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의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호퍼의 내부에 다량의 함유수분이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의 유동배관의 이동에 따른 호퍼 하부의 개폐상태와 수분배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의 유동배관의 이동에 따른 호퍼 하부의 개폐상태와 수분배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제1 여과기와 제2 여과기가 설치된 상태를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의 유동배관의 이동에 따른 호퍼 하부의 개폐상태와 수분배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의 유동배관의 이동에 따른 호퍼 하부의 개폐상태와 수분배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제1 여과기와 제2 여과기가 설치된 상태를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는 수분리배관(10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제1 여과기(200)와, 제2 여과기(300), 구동수단(400) 및, 세척수단(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는 저장물이 수용되는 호퍼(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하는 수분리배관(100) 및,상기 수분리배관(100)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 배출하는 배수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는 저장물이 설치되는 호퍼(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121)를 포함하는 수분리배관(1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호퍼(1)에 저장되는 저장물은 연속주조공정에서 회수된 스케일일 수 있다. 연속주조 공정에서 인발주편의 냉각을 위해 주편표면에 분사된 냉각수로 많은량의 스케일이 발생되며 발생된 스케일은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일정한 장소로 모아져 호퍼(1)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의 수분리배관(100)은 가이드배관(110)과 유동배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분리배관(100)은 상기 저장물이 저장되는 상기 호퍼(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배관(110) 및, 상기 가이드배관(110)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부(121)가 형성된 유동배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의 하부의 배출경로를 유동배관(120)에 의해 폐쇄되는 동안 저장물의 배출경로에 유동배관(120)의 배수부(121)가 배치되어,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이 배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물의 함유수분이 충분히 배수되어 저장물의 배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동배관(120)을 구동수단(400)에 의해 후퇴시킴으로써,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방하여 호퍼(1)내부의 저장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가이드배관(110)은 저장물의 배출경로에 설치될 수 있는데, 호퍼(1)에 저장된 저장물은 호퍼(1) 하부에 형성된 연결배관(2)을 통해 가이드배관(110)과 연결되고, 가이드배관(110)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3)를 통해 저장물이 배출될 수 있다.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살펴보면, 저장물은 호퍼(1)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배관(2)을 통해, 저장물의 배출구(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연결배관(2)과 배출구(3)의 사이에는 가이드배관(110)과 유동배관(120)을 구비하는 수분리배관(100) 설치될 수 있고, 유동배관(120)의 배수부(121)을 통해 수분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배관(110)과 상기 유동배관(120)의 접합면에는 상기 유동배관(12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또는 이송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121)는 상기 유동배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배수부(121)의 상측에는 제1 여과기(200)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여과기(200)를 통해 유도된 저장물의 함유수분이 제1 여과기(200)의 하부를 통해 유동배관(120)의 배수부(121)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 내부의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호퍼(1)의 하부의 배출경로를 유동배관(120)에 의해 폐쇄하고, 저장물의 배출경로인 연결배관(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부(121)가 배치되어,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이 배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물의 함유수분이 충분히 배수되어 저장물의 배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동배관(120)을 구동수단(400)에 의해 후퇴시킴으로써,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방하여 호퍼(1)내부의 저장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배관(120)의 상측에 배수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배수부(121)를 통해 배출된 수분이 유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부(121)의 하측은 수분의 흐름을 차단 가능한 관상체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리배관(100)은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배출경로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배수부(121)에 의해 유동배관(120) 내부로 배출된 수분이 하향 경사를 따라 유동배관(120) 후면에 형성된 배수관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수부(121)는 상기 유동배관(120)의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배관(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 또는 망상의 스크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배수부(121)는 저장물은 통과시키지 않고,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을 통과시켜 저장물 내부의 함유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배수부(121)는 상기 유동배관(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동배관(120)의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크린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부(121)는 상기 유동배관(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배수공이 형성되는 유동배관(120)의 내주면에는 망상의 스크린부재가 중첩적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배관(120)의 배수부(121)가 망상의 스크린부재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부재를 지지하는 격자형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지지프레임은 반드시 격자형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부재를 지지하면서 스크린부재를 통한 수분의 배출을 저지하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배수부(121)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물은 통과시키지 않고,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을 통과시키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종류의 배수부(121)의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배관(110)의 내부로 상기 유동배관(12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진퇴시키는 구동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유동배관(120)의 일측에 연계되는 작동로드(440)와, 상기 작동로드(440)를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45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은, 구동수단(400)은 상기 유동배관(120)의 일측에 제공되는 랙기어(410)와, 상기 랙기어(410)와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410)와 치합을 이루며 모터 구동되는 피니언기어(420)를 구비하고, 상기 랙기어(410)는 상기 유동배관(120)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배관(110)의 상측에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유동홈(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랙기어(410)와 치합을 이루는 피니언기어(420)의 모터 구동은 상기 피니언기어(420)와 모터축에 의해 연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4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랙기어(410)는 유동배관(12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배관(110)에 상측에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유동홈(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유동홈(113)에 배치되는 피니언기어(420)의 회전에 의해 유동배관(120)은 가이드배관(110)의 내부에서 진퇴될 수 있다.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는 상기 호퍼(1)의 하부의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 상에 연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호퍼(1)의 하부의 수분을 상기 수분리배관(100)으로 유도하는 제1 여과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과기(200)는 상기 호퍼(1)의 내부에서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 상에 연계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배수공 또는 스크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여과기(200)는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중공부는 수분의 배출경로가 단축되어 수분의 배출을 용이해질 수 있다.
호퍼(1)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이 중력에 의해 하강되어 하부로 유도될 경우, 수분이 저장물을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하는 시간에 비해, 내부가 중공된 제1 여과기(200)의 중공부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는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배수공과 스크린부재 등을 통해 제1 여과기(200)의 내부로 저장물의 함유수분이 유입되고, 여과기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유도된 수분이 이동함에 따라 수분의 이동시간이 단축되어 저장물의 함유수분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여과기(200)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여과기 주변의 수분의 흐름이 여과기의 내부로 집중되고, 내부로 유도된 수분들은 여과기의 하부를 통해 상기 호퍼(1)의 배출경로 상에 위치하는 유동배관(120)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여과기(2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여과기(200)가 테이퍼형의 부재로 형성될 경우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동등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여과기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여과기는 반드시 연속적으로 단면이 감소해야 하는 형태는 아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동일한 단면적을 유지하는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여과기(200)는 테이퍼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여과기(200) 상면과 측면을 통해 상기 호퍼(1) 내부의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여과기의 내부로 유도시키는 수분유도부와, 상기 유동배관(1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여과기(200)의 하면을 통해 상기 배출부에 의해 내부로 유도된 수분을 상기 유동배관(120)으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여과기(200)의 상부의 저장물을 제1 여과기(200)의 주변으로 분산시켜 저장물의 침착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여과기(200) 상면은 경사가 형성된 원뿔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는 호퍼(1)의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1)내부의 높이방향의 수분흐름을 유도하는 제2 여과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여과기(300)는 상기 제1 여과기(200)와 연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호퍼(1)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의 수분흐름을 유도할 수 있고, 제2 여과기(300)를 통해 하부로 유도된 수분은 제2 여과기(300)의 하부를 통해 제1 여과기(200)로 유도될 수 있고, 제2 여과기(300)의 하부를 통해 상기 호퍼(1)의 배출경로 상에 위치하는 유동배관(120)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제2 여과기(300)의 내부로 저장물의 함유수분이 유입되고, 여과기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유도된 수분이 이동함에 따라 수분의 이동시간이 단축되어 저장물의 함유수분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여과기(300)는 수직여과기(310), 수평여과기(320), 경사여과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여과기(300)는 상기 호퍼(1)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여과기(310)와, 상기 수직여과기(310)의 하부에 연계되어 복수의 상기 수직여과기(310)와 연통가능하게 구비되는 링상의 수평여과기(320) 및, 상기 수평여과기(320)의 하부에 연계되어, 상기 수직여과기(310)와 상기 수평여과기(320)와 연통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여과기(200)로 수분 흐름을 유도하는 경사여과기(330)로 구비될 수 있다.
여과기는 여과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 또는 망상의 스크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여과기(200)와, 제2 여과기(300)에는 앞에서 설명한바 있는 유동배관(120)의 배수부(121)의 배수를 위한 배수공과 망상의 스크린부재 등의 다양한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여과기(200)는 상기 호퍼(1)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플레이트(4)는 호퍼(1)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배관(2)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는, 상기 제1 여과기(200)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거치부(5)와, 상기 호퍼(1)의 내벽과 상기 거치부(5)에 연계되어 상기 거치부(5)를 지지하는 지지부(6)와,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6)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물이 이동 가능한 관통부(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6)는 상기 여과기가 삽입 고정되는 거치부(5)의 주변에 배치되는 방사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4개의 지지부(6)가 제1 여과기(200)를 지지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거치부(5)는 제1 여과기(200)를 고정하는 부분이고, 거치부(5)는 제1 여과기(200)가 거치되는 링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6)는 호퍼(1)의 내벽과 상기 거치부(5)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1 여과기(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관통부(7)는 지지부(6)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유동배관(120)이 후퇴되어 호퍼(1)의 배출경로가 개방시, 관통부(7)를 통과하여 호퍼(1)의 저장물이 호퍼(1) 하부의 배출구(3)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는 측정함수율이 상기 설정함수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유동배관(120)을 전진시켜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호퍼(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1) 내부의 상기 저장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미도시)와, 상기 수분측정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측정함수율과, 상기 호퍼(1) 내부의 함유수분을 제거를 위해 설정된 상기 저장물의 설정함수율을 대비하는 비교연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수분측정센서(미도시)로 측정된 측정함수율이 설정함수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유동배관(120)을 전진시켜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함수율은 호퍼(1)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함유 수분이 과도할 경우 호퍼(1)에서의 배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저장물의 수분함유율을 한계치로서, 호퍼(1)내의 저장물의 측정함수율이 설정함수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장물의 품질 및, 낙수로 인한 환경오염 등을 고려하여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구동수단(400)이 작동하여 수분리배관(100)의 유동배관(120)을 전진시켜 호퍼(1)의 배출경로를 폐쇄하고, 유동배관(120)에 의해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이 추가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저장물의 측정함수율이 상기 설정함수율을 초과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호퍼(1) 내부의 저장물의 강제배출이 필요한 경우는 수분리배관(100)을 후퇴시켜 호퍼(1)의 배출경로를 개방시키는 개방스위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는 유동배관(120)의 배수부(121)의 침적물 등을 제거하는 세척수단(5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배관(110)에는 상기 호퍼(1)의 배출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구동수단(400)에 의해 상기 유동배관(120)이 후퇴시 상기 유동배관(120)의 배수부(121)가 위치하는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도어(111)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수단(500)은 개방도어(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배관(120)의 배수부(121)가 배치되는 경우, 개방도어(111)가 오픈하여 고압의 물 또는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배수부(121)를 세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단(500)에 의해 배수부(121)의 침적물이 제거될 경우, 배수부(121)의 배수공 또는 스크린부재에 침적된 저장물 등이 제거되어, 최초의 배수부(121)의 배수성능을 재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호퍼
2: 연결배관
3: 배출구 4: 지지플레이트
5: 거치부 6: 지지부
7: 관통부 100: 수분리배관
110: 가이드배관 111: 개방도어
113: 유동홈 120: 유동배관
121: 배수부 200: 제1 여과기
300: 제2 여과기 310: 수직여과기
320: 수평여과기 330: 경사여과기
400: 구동수단 410: 랙기어
420: 피니언기어 430: 구동모터
440: 작동로드 450: 구동실린더
500: 세척수단
3: 배출구 4: 지지플레이트
5: 거치부 6: 지지부
7: 관통부 100: 수분리배관
110: 가이드배관 111: 개방도어
113: 유동홈 120: 유동배관
121: 배수부 200: 제1 여과기
300: 제2 여과기 310: 수직여과기
320: 수평여과기 330: 경사여과기
400: 구동수단 410: 랙기어
420: 피니언기어 430: 구동모터
440: 작동로드 450: 구동실린더
500: 세척수단
Claims (13)
- 저장물이 수용되는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하는 수분리배관; 및,
상기 수분리배관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리배관은,
상기 저장물이 저장되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배관; 및,
상기 가이드배관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물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부가 형성된 유동배관;을 포함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유동배관의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배관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 또는 망상의 스크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리배관은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배출경로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하부의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 상에 연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의 수분을 상기 수분리배관으로 유도하는 제1 여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5항 있어서,
상기 호퍼의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 내부의 높이방향의 수분흐름을 유도하는 제2 여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기는,
상기 호퍼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여과기와,
상기 수직여과기의 하측에 연계되어, 복수의 상기 수직여과기와 연통가능하게 구비되는 링상의 수평여과기 및,
상기 수평여과기의 하측에 연계되어, 상기 수평여과기와 연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여과기로 수분 흐름을 유도하는 경사여과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기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여과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호퍼의 내벽과 상기 거치부에 연계되어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물이 이동 가능한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관의 내부로 상기 유동배관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진퇴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유동배관의 일측에 제공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와 치합을 이루며 모터 구동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랙기어는 상기 유동배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배관의 상측에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유동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 내부의 상기 저장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와,
상기 수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함수율과, 상기 호퍼 내부의 함유수분을 제거를 위해 설정된 상기 저장물의 설정함수율을 대비하는 비교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함수율이 상기 설정함수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유동배관을 전진시켜 상기 저장물의 배출경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관에는 상기 호퍼의 배출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유동배관이 후퇴시 상기 유동배관의 배수부가 위치하는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도어가 오픈시 상기 개방도어를 통해 상기 배수부를 세척하여 배수부에 침적된 상기 저장물을 제거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물은 연속주조공정에서 회수된 스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672A KR101611712B1 (ko) | 2014-08-07 | 2014-08-07 |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672A KR101611712B1 (ko) | 2014-08-07 | 2014-08-07 |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8909A true KR20160018909A (ko) | 2016-02-18 |
KR101611712B1 KR101611712B1 (ko) | 2016-04-14 |
Family
ID=5545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1672A KR101611712B1 (ko) | 2014-08-07 | 2014-08-07 |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171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37235A (zh) * | 2018-05-29 | 2018-10-12 | 马鞍山尚元冶金科技有限公司 | 钢包引流方法 |
-
2014
- 2014-08-07 KR KR1020140101672A patent/KR1016117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37235A (zh) * | 2018-05-29 | 2018-10-12 | 马鞍山尚元冶金科技有限公司 | 钢包引流方法 |
CN108637235B (zh) * | 2018-05-29 | 2019-12-27 | 马鞍山尚元冶金科技有限公司 | 钢包引流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1712B1 (ko) | 2016-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38727B1 (en) | Liquid solid separator | |
CN104307238A (zh) | 净化水初步处理罐 | |
KR101544800B1 (ko) | 조, 세목 협잡물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로터리제진기 | |
KR101611712B1 (ko) |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 |
CN116692998A (zh) | 一种处理含原油污水的高效分离器 | |
CN104138809A (zh) | 上悬式离心机 | |
KR101285781B1 (ko) | 노체 냉각을 위한 프로세스 펌프용 여과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 |
KR101097880B1 (ko) |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 | |
KR102163286B1 (ko) | 알카리 용액 탱크의 슬러지 제거장치 | |
JP6122887B2 (ja) | スラッジの脱液・固形化装置 | |
KR101461783B1 (ko) | 이물처리장치 | |
KR100897772B1 (ko) | 탈지설비의 탈지 용액 내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1662637B1 (ko) |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 |
KR20080007791A (ko) | 양어장 용수 협잡물 제거장치 | |
RU2379094C1 (ru) | Рукавный фильтр | |
KR20050015161A (ko) | 자동 슬러지 제거분리장치 | |
KR101511718B1 (ko) | 오일 회수장치 | |
KR20160065650A (ko) | 노즐 및 냉각매체 공급관의 세정방법 | |
CN116276278B (zh) | 一种机械零件加工用的废弃物回收设备 | |
KR100948922B1 (ko) | 탈지설비의 세척액탱크의 부유물 제거장치 | |
RU2820597C1 (ru) | Установка гидроструйной очистки отливок | |
KR101861640B1 (ko) | 압연유 이물질 제거장치 | |
KR200278288Y1 (ko) | 전기도금설비의 슬러지 자동필터장치 | |
KR101298748B1 (ko) | 코크스오븐설비의 작업용수용 여과장치 | |
KR101266095B1 (ko) | 폐수 구분배출구조를 갖는 세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