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648A - 글리세롤 및 탄닌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리세롤 및 탄닌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648A
KR20160018648A KR1020167000004A KR20167000004A KR20160018648A KR 20160018648 A KR20160018648 A KR 20160018648A KR 1020167000004 A KR1020167000004 A KR 1020167000004A KR 20167000004 A KR20167000004 A KR 20167000004A KR 20160018648 A KR20160018648 A KR 20160018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erol
plant
rti
cells
tan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미 슈리바스타바
레아 슈리바스타바
라비 슈리바스타바
Original Assignee
레미 슈리바스타바
레아 슈리바스타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미 슈리바스타바, 레아 슈리바스타바 filed Critical 레미 슈리바스타바
Publication of KR20160018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01N1/0221Freeze-process protecting agents, i.e. substances protecting cells from effects of the physical process, e.g. cryoprotectants, osmolarity regulators like onco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otan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글리세롤 및 식물 탄닌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탄닌은 글리세롤이 필모겐 퀄리티를 갖도록 글리세롤에 바인딩하는 능력을 갖는, 국소 적용용 제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글리세롤 및 탄닌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COMPRISING GLYCEROL AND TANNINS}
박테리아, 바이러스, 면역학적 또는 외상적 기원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피부 및 점막 상처는 세포 손상을 수반하며, 이의 치유는 손상된 세포들의 대체와 직접 관련된다. 성장하기 위해서 세포들은 수화되고 청결하며, 병원균이 없으며, 화학 성분이 없으며, 폐 단백질과 단백질 분해효소가 없는 환경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모세포들은 콜라겐, 엘라스틴, 라미닌, 피브로넥틴 및 다른 단백질들로 구성된 세포성 매트릭스를 분비하며, 이는 딸세포들의 부착을 위한 쿠션(cushion)을 형성한다. 이 매트릭스의 부재하에서, 딸세포들은 그 위에 부착되는 지지체를 갖지 않으므로 성장할 수 없어, 결국 상처가 치유될 수 없다.
세포 손상이 수반된 국소 피부 및 점막 상처는, 함유된 죽은 세포들, 세포 찌꺼기 및 세포 성장과 상처 회복을 지연시키는 여러 단백질 분해효소들에 부가적으로 이러한 병변들은 외부 환경에 개방된 채로 남아있고 종종 오염되기 때문에, 치유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는 욕창, 당뇨성 궤양이나 정맥 다리 궤양과 같은 대부분의 만성 상처가 결코 치유되지 않는 이유이며, 거의 40%의 환자가 이들이 상처 해결을 경험하기 전에 사망한다.
현재, 요구되는 모든 다양하고 필수적인 특성들을 갖는 단일 물질이나 제품은 없으며, 피부 및 점막 상처에 유용한 완전한 치료제는 없다. 예를 들어, 만성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치료제는 없다. 구입가능한 모든 약물들은 소독제, 미생물 성장을 감소시키기 위한 항생제, 상처를 수화된 상태로 유지하는 하이드로겔 또는 알기네이트,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진통제 또는 마취제, 세포성 매트릭스의 성분들 중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콜라겐- 또는 히알루로닉산-함유 제제와 같이 작용하거나, 또는 피부를 대체하기 위한 생체공학적 피부 또는 표피 이식물로 구성되나, 이러한 치료제들 중 어느 것도 상처를 청결하게 하고, 세포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천연 피부나 점막 회복 프로세스에 우호적인 것에 관한 것은 없다.
효과적인 치료제의 동일한 결핍은 구순 헤르페스, 음부 헤르페스, 비부비동염 및 인플루엔자와 같은 국소 바이러스성 감염에 있어서도 사실 그대로이며, 여기서 거대한 양의 유리 바이러스 입자들이 감염된 생물학적 표면상에 존재하며 국소적으로 유용한 프로테아제의 도움으로 새로운 건강한 세포들을 계속해서 공격한다. 바이러스 감염은 종종 상처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프로테아제를 통해 매개된다. 현재, 감염의 주된 제제인 유리 바이러스 입자 또는 프로테아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약물은 없다. 바이러스성 인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해수 또는 염수 함수제(gargarism)가 여전히 최상의 해결방안 중 하나이며, 그 이유는 이들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인 용액은 인후 점막에 걸쳐 고장성(삼투압이 높은) 막을 형성하고, 그 결과 형성된 저장성(삼투압이 낮은) 액체의 표면상(outward) 삼출물은 인후 표면상의 오염 적재물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불행하게도, 이 고장성 용액막은 유출 저장성 액체에 의해 수분 내에 희석되며, 이는 이러한 처리의 효능을 제한한다. 염 또는 다른 삼투 성분들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강한 자극, 세포성 손상 및 점막 화끈거림을 일으키거나, 또는 인근 세포들에서의 독성 화학물질의 존재가 세포 성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포나 세포성 매트릭스에 어떠한 독성 효과없이 세포 성장 및 조직 회복에 필수적인 환경을 제공하도록, 자유 부동성 박테리아, 바이러스 입자, 사멸된 세포, 세포 찌꺼기, 사멸된 단백질,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성장 인자, 사이토카인, 프로테아제, 또는 더스트 파티클과 같은 모든 오염물질들의 감염된 표면을 청결하게 하는 다중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물질을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중 히드록실기를 갖는 폴리올인 글리세롤은 점성이며, 투명하고, 안전하고,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인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친수성 용액이다. 글리세롤은 일반적으로 음식 성분, 보존제, 및 습윤제로서 사용되며, 많은 화장품 및 약제의 조성물에 포함된다. 글리세롤은 상처 및 화상에 국소 적용을 위해 종종 다른 활성 성분들과 함께 첨가제로서 폭넓게 이용된다. 이러한 모든 제제에서, 글리세롤은 비이클, 희석제, 점성 증진제, 보습제, 또는 맛 조절제로서 사용되나, 국소 피부 또는 점막 병리학을 치료하기 위한 활성 성분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부상을 입은 피부 또는 점막은 반투과성 멤브레인으로 작용하며, 삼투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가능하다. 반투과성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용매의 흐름은 삼투 흐름 또는 삼투 현상을 구성한다. 삼투 평형을 이루는데 필요한 압력은 삼투압으로 알려져 있다. 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삼투압이 가해진다. 신선한 물은 1000kg/㎥의 밀도에서 등장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해수 및 글리세롤은 각각 1025kg/㎥ 및 1259/㎥의 밀도를 갖는다. 글리세롤에 의해 가해진 삼투압은 해수에 비해 거의 10배 더 높다. 또한 글리세롤의 용질 농도는 해수에 비해 상당히 더 높다. 삼투압은 반투과성 멤브레인에 걸쳐 존재하는 용질/용매 농도의 차이에 의해 유도되므로, 액체의 삼투 흐름을 결정하는 것은 용액 내 총 용질 농도이다. 총 용질 농도는 용액의 삼투도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3.4% NaCl을 함유하는 해수의 삼투도는 0.581mols/kg(총 용질/mol wt/kg)이며, 이에 비해 글리세롤의 삼투도는 10.86mols/kg이다. 이는 순수 글리세롤이 해수에 비해 거의 18배 더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글리세롤은 저장성 액체의 삼투성 유출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처를 청결하게 하기 위해 감염된 표면상에 적용하기 위한 선택된 산물이 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삼출되는 저장성 액체는 즉시 글리세롤을 희석하고, 수분 내로 상처 표면으로부터 빠져나와 이러한 세정 효과를 제한한다.
따라서, 수화되고, 세정되고, 소독되며, 또한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프로테아제 활성을 갖는, 다중 특성의 안전하면서 비자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WO 00/74668에는 글리세롤을 궤양 또는 표면적인 상처의 치료를 위한 국소 적용용 점성 용액으로서의 용도와 관련되어, 국소 상처의 치료를 위해 고장성의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인 용액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유효 성분으로서 글리세롤 및 세포 성장 촉진제로서 알케밀라 불가리스(Alchemilla vulgaris)의 하이드로-글리세리네이티드 추출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WO 00/74668에 사용된 글리세롤은 필모겐(filmogen)이 아니므로, 상술한 이점들을 제공할 수 없다. 감염되거나 손상된 조직을 세정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글리세롤 단독의 사용은 일반적인 것이 아니며, 그 이유는 조직의 내부로부터 저장성 액체 유출의 현상인 삼투압에 기인하여 글리세롤이 수분 내에 희석되어 이의 삼투 특성을 점진적으로 상실하고, 전체적인 세정제로서 만족스럽게 작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글리세롤막은 반투과성 생 조직 멤브레인상에 적어도 30분간 유지되어 생물학적 조직 표면을 세정하기에 충분한 삼투압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생체 생물학적 표면에 의한 글리세롤막의 보유 시간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문제를 다룬다.
둘째, 동결보존은 화학적 반응성 또는 시간에 의해 야기된 손상을 지속시키는데 민감한 세포, 전체 조직 또는 어느 다른 물질들이 영하의 온도에서 냉각에 의해 보존되는 공정이다. 충분히 낮은 온도에서, 문제의 물질에 대한 손상을 야기할지 모르는 어느 효소적 또는 화학적 활성은 효과적으로 중지된다. 동결보존 방법은 동결 중에 얼음 결정의 형성에 의해 야기되는 부가적인 손상이 일어나지 않고 저온에 도달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장기간 생체 세포의 보관을 위해, 동결보호제는 세포에 비-독성이어야 하며 결정 형성이 억제될 수 있어야 한다. 사멸 세포 또는 사멸하는 세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성공적인 세포 회복 또는 조직 이식의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는 생체 세포 및 조직 보관 또는 보존(예: 피부 이식)에 특히 중요하다.
현재, DMSO(디-메틸-설폭시드), 인간 또는 우태아혈청(FCS), 및 글리세롤인 동결 온도 및 물 결정 손상에 대해 세포를 보호하고 이에 따라 세포 사망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동결보존 매체로 사용된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동결보존제들은 어떤 것도 장기간에 걸쳐, 즉 수개월 내지 수년에 걸쳐 세포를 보존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특히 물 결정의 형성에 야기되는 세포 손상에 기인하여, 생체 세포 냉동보존시 30-40% 세포들이 수일 내에 사멸하며, 수개월 내에 50%가 넘게 사멸한다(Bravo et al. Burns 26(4), 367-78, 2000).
따라서, 세포나 조직 주변에 박막을 형성하고 이들을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할뿐만 아니라 세포 생존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물 결정의 형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동결보존제를 찾는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자들은 글리세롤 분자에 바인딩하여 반투과성 생물학적 멤브레인상에서 필모제닉(filmogenic) 특성 및 글리세롤 제제의 보유 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정 식물 탄닌을 함유하는 글리세롤 제제를 제공한다. 이 필모겐 글리세롤은 다양한 피부 및 점막 감염을 치료하고, 동결보존 중에 생체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국소 적용용으로 천연의 안전한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리세롤 및 식물 탄닌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제제를 다룬다. 식물 탄닌은 글리세롤이 필모겐 퀄리티를 갖도록 글리세롤에 바인딩하는 능력을 갖는다.
도 1: 열중량(thermogravimetric) 분석(TGA)을 통한 필모겐 글리세롤과 비교한 글리세롤 단독의 용해도 측정.
도 2: 당뇨병성 상처에 대한 일반 글리세롤과 비교한 필모겐 글리세롤의 막 보유 기간.
도 3: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및 피부염(Dermatitis) (PED) 징후의 전반적인 평균 증상 심각성의 측정: 글리세롤 단독의 효과 - 컨트롤 그룹.
도 4: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및 피부염(Dermatitis) (PED) 징후의 전반적인 평균 증상 심각성의 측정: 필모겐 글리세롤의 효과; 활성 처리 그룹: 실시예 5 제제 n°11 및 51에 따른 필모겐 글리세롤 VB-DERM으로 처리됨. 결과는 필모겐 글리세롤이 모든 유리 입자의 성장-자극 사이토카인, 인터루킨 및 인터페론을 완전히 제거하고 피부 세포 성장을 정상화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도 5: 일반 글리세롤과 비교하여 필모겐 글리세롤로 처리된 PED 환자의 삶의 질 개선.
도 6: 전반적인 PED 심각도에 미치는 각 치료제(일반 글리세롤과 비교한 필모겐 글리세롤)의 효과.
도 7: 전체적인 비부비동염 컨디션; 일반 글리세롤 스프레이로 처리된 컨트롤 그룹; 실시예 5 - 제제 n°5에 따른 필모겐 글리세롤의 스프레이로 처리된 필모겐 글리세롤 그룹.
도 8: 항생제 치료; 컨트롤 그룹 및 필모겐 글리세롤 그룹에서 항생제 치료제를 사용하는 상대적 필요성.
도 9: 컨트롤 치료제(글리세롤 단독)와 비교한 오로솔(Orosol)(필모겐 글리세롤)의 점막염에 미치는 효과.
일 구현으로, 식물 탄닌은 프로안토시아니딘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이들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전초(whole plant)로부터 획득되며, 식물은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바시니움 마크로카르폰(Vaccinium macrocarpon),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유러피언 엘더(European elder),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글리신 맥스(Glycine max),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 프락시너스 치넨시스(Fraxinus chinensis),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테나세텀 파르테늄(Tenacetum parthenium), 살릭스 알바(Salix alba),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오푸니티아 종(Opunitia sp.), 모러스 알바(Morus alba), 루버스 종(Rubus sp .), 퀘르커스 종(Quercus sp .), 피너스 종(Pinus sp.),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프로안토시아닌-풍부 탄닌 분획이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전초로부터 획득되며, 식물은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바시니움 마크로카르폰(Vaccinium macrocarpon),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유러피언 엘더(European elder),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 프락시너스 치넨시스(Fraxinus chinensis),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글리신 맥스(Glycine max),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획득된다.
다른 구현으로, 프로안토시아닌은 식물로부터 획득되는 대신에 합성된다.
일 구현으로, 제제에서 글리세롤 함량은 30%와 99.99%(v/v) 사이로 포함된다.
일 구현으로, 상기 제제는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약물, 항생제, 소독제, 영양제, 항체, 성장 인자 또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제를 피부 및 점막 감염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용도를 다룬다.
상기 제제는 또한 세포, 조직 또는 장기를 보호, 수송, 보관 또는 동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으로, 예를 들어 FCS, 배지 및 DMSO와 같이 최종 용액에 존재하는 다른 희석물들에 비해 최종 용액에서 필모겐 글리세롤의 농도는 2와 50%(v/v) 사이, 바람직하게 10과 30%(v/v) 사이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 15와 20%(v/v) 사이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롤과 글리세롤 분자에 바인딩하는 능력을 갖는 식물 탄닌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용액을 생물학적 표면상에 적용함으로써 생물학적 표면에 의한 글리세롤막의 보유 시간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부에 상기 제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및 점막 감염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롤 또는 폴리올 용액을 글리세롤-바인딩 식물 탄닌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필모겐 글리세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으로, 식물 탄닌이 분말 또는 액체로서 첨가될 수 있다.
탄닌의 첨가를 이용한 글리세롤의 필로겐 퀄리티의 개선 및 비-필모겐 글리세롤과 비교하여 필모겐의 치료 효과의 실질적인 증가는 실시예에 기재된 시험 및 하기 도면에 나타내었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글리세롤 및 식물 탄닌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필모겐 글리세롤 제제를 다룬다. 식물 탄닌은 글리세롤이 필모겐 특성을 갖도록 글리세롤에 바인딩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필모겐 퀄리티는 생체 생물학적 표면에 의한 글리세롤막의 보유 시간의 증가를 이끈다. 이러한 제제는 피부 및 점막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필모겐 글리세롤은 특정의 천연 또는 합성 탄닌 또는 탄닌 분획을 함유하는 글리세롤 용액을 나타내며, 이는 반투과성의 생체 생물학적 멤브레인에 적용시 일반 글리세롤에 비해 훨씬 더 많이 이에 가해지는 기계적 힘에 저항하는 막(film)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글리세롤이 반투과성 생물학적 멤브레인에 적용될 경우에, 글리세롤의 고장성 특성이 생체 조직의 내부로부터 저장성 액체를 공격하며, 이는 글리세롤이 신속히 희석되도록 하고, 삼투압 힘을 상실하게 하여 적용 후 10-15분 내에 그 활성이 정지된다. 다른 한편, 필모겐 글리세롤은 이에 가해지는 표면상 액체 흐름 압력에 저항하고, 단지 서서히 희석되어 일반 글리세롤보다 상당히 더 긴 기간 동안, 즉, 적용 부위 및 표면상 액체 흐름 압력에 따라 30분 내지 수시간 동안 이의 삼투압력이 보존된다.
글리세린(glycerine 또는 glycerin)으로도 알려진 글리세롤은 정의에 따라 지방족 골격의 탄소 원자를 분리하기 위해 부착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OH)를 함유하는 당 알코올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이 그룹은 글리콜,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쓰리톨을 포함하며, 또한 트리메틸올레탄, 트리메틸올프로판, 1,2,6-헥산트리올, 소르비톨, 이노시톨, 자일리톨 및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산물을 포함한다. 폴리올은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획득되거나 합성될 수 있다.
출원인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 즉 글리세롤을 선택하였다. 글리세롤은 고장성 점성 당 알코올 용액이며, 이는 삼투압을 통해 생체 생물학적 표면 밑에 있는 보다 깊은 조직에 존재하는 저장성 액체를 공격하여, 그 표면을 수화시킨다. 불행하게도, 이에 따라 생성된 표면상 저장성 액체 흐름은 글리세롤을 희석하고 수분내에 이러한 효과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저장성 액체의 표면상 삼출 및 그 결과 글리세롤의 세정 효과는 단지 5-20분 기간동안만 지속되어, 빈번한 적용이 요구되며, 이는 실용적이지 못하다. 이는 우수한 삼투압 제제임에도 불구하고 글리세롤이 습윤제로서만 사용되고, 국소 상처의 치료를 위한 적절한 약물로서 사용되지 못하는 이유이다.
필모겐 글리세롤은 그 위에 적용되는 생체 생물학적 표면으로부터 저장성 액체를 유인할 수 있으며, 표준 글리세롤에 비해 분해 또는 수 용해성에 대해 보다 나은 저항성을 가질 수 있는, 박막의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이며, 반투과성이며, 가요성인 비-가소제 필름을 형성하는 점성 액체 글리세롤을 의미한다.
탄닌은 단백질 및 당과 같은 다양한 다른 거대분자와 강한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충분한 히드록실 및 카르복실과 같은 다른 적절한 기를 함유하는 천연 아스트린젠트(astringent)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한다.
탄닌은 식물 탄닌과 같이 천연 기원의 것이거나, 또는 합성된 것일 수 있다. 고분지된 대분자가 되면, 모노머, 다이머 및 폴리머 탄닌이 작고 단순한 플라본에 비해 인접한 당 및 다른 분자와 바인딩할 기회를 보다 많이 갖는다. 탄닌상에 히드록실기의 존재는 폴리올과 같은 거대분자와 안정한 가교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케 하며, 이 가교는 폴리올(글리세롤) 막의 기계적 저항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문헌에 인용된 합성 폴리머의 다중 독성 효과 때문에, 발명자들은 단백질과 바인딩하는 강한 친화성을 갖지만 다당류, 탄수화물 및 당과 같은 다른 거대분자와 동등하게 식물성 탄닌이 폴리올에 첨가될 경우에 예를 들어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올의 필모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상정하였다. 탄닌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훌륭한 해결방안을 이룬다: (1) 탄닌은 불활성 분자이며 세포 구조물과 상호작용하지 않으며; (2) 탄닌은 생체 조직에 적용될 경우에 무독성이며 비자극성이며; (3) 탄닌은 매우 큰 분자이며 세포에 들어갈 수 없으며; 그리고 (4) 탄닌은 글리세롤 내로 편입되어 균질한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닌은 두 개의 큰 그룹으로 분류된다: 가수분해성 탄닌 및 축합형 탄닌. 명칭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수분해성 탄닌은 산이나 효소에 의해 빠르게 가수분해되며, 이 가수분해의 산물은 갈산(gallic acid) 및 엘라그산(ellagic acid)이다. 건조 증류시, 갈산 및 다른 성분들은 피로갈롤로 전환된다. 축합형 탄닌은 가수분해에 상당히 더 저항성이다. 이들은 플라보노이드 안료에 의해 형성된다. 미네랄 산 또는 효소의 존재하에서, 이들은 물에 불용성인 적색의 플로바펜(phlobaphenes)으로 분해된다. 프로안토시아니딘(PCDs)은 C4-C6 또는 C4-C8 결합을 통해 함께 연결된 플라반-3-올을 함유하는 농축 페놀 폴리머이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의 구조적 변이는 다이머 및 트리머에서 보다 복잡한 올리고머 및 폴리머까지 다양하며, 이는 카테킨 결합의 수, 히드록실화 및 가수분해에 의한 분할에 민감하지 않은 C-고리의 3개의 키랄 중심(탄소 2, 3 및 4)에서의 입체화학에 따라 달라진다. 발명자들은 2-5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 분자로부터 형성된 프로시아니딘(PCDs)이 특히 거대분자 바인딩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으로, 식물 탄닌은 프로안토시아니딘 또는 프로시아니딘(PCDs)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이들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전초로부터 획득되며, 식물은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바시니움 마크로카르폰(Vaccinium macrocarpon),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유러피언 엘더(European elder),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글리신 맥스(Glycine max),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 프락시너스 치넨시스(Fraxinus chinensis),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테나세텀 파르테늄(Tenacetum parthenium), 살릭스 알바(Salix alba),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오푸니티아 종(Opunitia sp.), 모러스 알바(Morus alba), 루버스 종(Rubus sp .), 퀘르커스 종(Quercus sp .), 피너스 종(Pinus sp.), 레움 에모디(Rheum emodi)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현으로, 프로안토시아닌은 식물로부터 획득되는 대신에 합성된다.
발명자들은 이들의 시험의 결과로서(실시예 3- 약리 시험) 특정 PCDs 또는 이들의 조합이 매우 고 필모겐성임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이들이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글리세롤막 보유 기간을 200%와 300%의 사이로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이들 조합은 바람직하게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과일 추출물) + 바시니움 마크로카르폰(Vaccinium macrocarpon)(과일 추출물);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씨 추출물) + 유러피언 엘더(European elder)(과일 추출물);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잎 추출물) + V. 미르틸러스; V. 미르틸러스 + E. 엘더; C. 시넨시스 + V. 비니페라 + E. 엘더; V. 비니페라 + E. 엘더 + 글리신 맥스(Glycine max)(씨 추출물); V. 마크로카르폰 + C. 시넨시스 + V. 비니페라; 및 V. 마크로카르폰 + C. 시넨시스 + V. 미르틸러스 + V. 비니페라로 구성된다.
이와 비교하여, 하기의 탄닌-풍부 식물 추출물 조합들은 고 필모겐성 퀄리티를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으며, 이는 이들이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글리세롤막 보유 기간을 100%와 200%의 사이로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 + 프락시너스 치넨시스(Fraxinus chinensis)(수피 및 식물 전초); F. 치넨시스 +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 G. 빌로바; 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뿌리) + 합성 폴리머.
또한, 다른 그룹은 보통의 필모겐성 퀄리티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이들이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글리세롤막 보유 기간을 20% 와 99%의 사이로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모러스 알바(Morus alba)(과일) + 루버스 종(Rubus sp.)(과일); 퀘르커스 종(Quercus sp .)(과일, 수피) + 피너스 종(Pinus sp.)(수피, 과일). 테나세텀 파르테늄(Tenacetum parthenium)(꽃 및 잎) + 살릭스 알바(Salix alba)(식물 전초); 레움 에모디(Rheum emodi) + 오푸니티아 종(Opunitia sp.)(과일) + 피너스 종(Pinus sp.)(수피).
이들 조합들은 교환가능하다.
폴리올 및 폴리머는 페놀 화합물의 히드록실기와 강한 수소 결합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유리 산소 분자를 함유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식물 탄닌의 생체이용률 및 소화율을 조사하기 위해, 합성 폴리머 및 플라스틱을 제조하기 위해, 물질의 점성 또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탄닌을 정량화하기 위해, 합성 또는 천연, 수 용해성 또는 수 불용성, 정제되거나 또는 조질의 폴리머들로 많은 시험들이 수행되어왔으나, 탄닌 또는 폴리머를 피부 또는 점막 상처 치료를 위한 국소 적용용 글리세롤의 필모겐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하는 용도에 대해서는 시험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가소제로서 글리세롤의 용도나 또는 피부상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롤의 용도와 관련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글리세롤에 탄닌의 첨가는 글리세롤 또는 생물학적 멤브레인상에 글리세롤막의 점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생체 생물학적 멤브레인상에 글리세롤의 부착을 증가시킨다.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연구의 목적은 식물 탄닌, 특히 식물 탄닌의 프로시아니딘(PCDs) 분획이 저장성 액체의 삼출 중에 글리세롤 분자와 바인딩하여 생물학적 멤브레인에 걸쳐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으로 저항적인 글리세롤막을 형성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상처를 세정하기에 효과적인 치료제로서 이러한 최적의 생체접착성이며,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이며, 고장성이며 안전한 막을 이식하는 목적은 상처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고, 상처를 수화된 상태로 유지하고, 세포 매트릭스를 보호하고, 무독성이며 화학성분이 없는 환경에서 세포 성장에 호의적인 그라운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발명자들은 글리세롤막의 기계적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상당히 더 긴 기간 동안 생체 세포에 걸쳐 필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특정 글리세롤-바인딩 식물 탄닌을 확인하였다. 손상된 피부나 또는 점성 표면에 걸쳐 필모겐 글리세롤의 증가된 보유 기간은 생물학적 표면을 효과적으로 수화시키고 세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표면상에 존재하는 모든 자유부동성 오염물을 제거한다. 오염물의 부재와 깨끗하고 촉촉한 환경은 상처난 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킨다. 글리세롤막은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상처난 표면을 동등하게 보호한다.
또한 글리세롤은 저온에서(-70 내지 -196℃) 세포 및 조직을 동결하는 동안에 동결보호제로서 사용된다. 글리세롤의 히드록실기는 H2O와 상호작용하고, 물의 결정-형성 특성을 막는다. H2O의 분자 조직이 변형되며, 이는 동결 중에 물 결정 형성을 감소시키고 낮은 세포 손상을 이끈다. 글리세롤은 일반적으로 세포 및 생체 조직을 동결하는데 있어서 DMSO(1-5%), 혈청(10-20%) 및 배지와 함께 최대 5%와 20% 사이의 농도로 사용된다. DMSO는 세포 멤브레인을 다공성으로 만들며, 이는 해동 중에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며, 한편 글리세롤은 멤브레인 구조를 보호하고 내부 단백질의 특성을 유지시킨다. 20% 이상의 농도에서, 글리세롤은 너무 고장성이 되어 이의 삼투압 효과에 기인하여 세포를 손상시킨다. 불행하게도, 이들 동결보호제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은 60%를 넘기 힘들며, 이는 보관된 조직의 불량 이식을 일으킨다. 보다 높은 농도의 이들 어느 성분도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저조한 세포 생존율은 생체 세포 멤브레인 주변에 고농도의 글리세롤 분자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동결 중에 세포 탈수가 멤브레인 표면상의 다수의 H2O 분자를 유리시킨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 물은 글리세롤에 의해 가둬지나, 글리세롤이 막으로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물 분자는 결정화된다. 물 결정은 또한 유리 글리세롤 분자와 세포 멤브레인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며, 이는 또한 물 결정 형성과 후속적인 세포 손상을 조성한다. 전체 세포 표면을 보호하고 세포 내부로부터 확산되는 모든 물 분자를 가둘 수 있는 필모겐 동결보호제를 찾기 위한 상당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안전한 필모겐 동결보호제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못하였다.
세포 멤브레인과 가까운 접촉을 유지하는 필모겐 글리세롤이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생체 세포들을 보다 잘 보존할 수 있는 것이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제는 또한 세포, 조직 또는 장기를 보호, 수송, 저장 또는 동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으로, 시료에서 필모겐 글리세롤의 순 농도(net concentration)는 2%(v/v)와 50%(v/v) 사이, 바람직하게 10%(v/v)와 30%(v/v) 사이, 그리고 특히 15%(v/v)와 20%(v/v) 사이의 범위이다. 따라서 필모겐 글리세롤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며 세포에 대한 물 결정 손상을 막기 위한 훌륭한 해결방안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 구현으로, 제제에서 글리세롤 함량은 30%(v/v)와 99.99%(v/v) 사이로 포함된다. 국소 적용을 위한 제제에서 글리세롤의 %는 예를 들어 개방된 만성 상처에 적용하기 위한 보다 두꺼운 제품, 질관에 적용하기 위한 덜 두꺼운 제품이나 또는 비강이나 구강에 적용하기 위한 상당히 보다 얇은 제제와 같이 제품이 적용되는 신체의 일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제에서 글리세롤의 퍼센트는 예를 들어 질 적용에 있어서 90%(v/v)와 99%(v/v) 사이, 피부 상처 적용에 있어서 70%(v/v)와 99.9%(v/v) 사이, 코 점막과 같은 민감한 점막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30%(v/v)와 60%(v/v) 사이와 같이 30%(v/v)와 99.99%(v/v) 사이로 달라질 수 있다.
다른 구현으로, 상기 제제는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약물, 항생제, 소독제, 영양제, 항체, 단백질, 성장인자, 또는 글리세롤막이 그 위에 적용되는 상처 표면과 접촉시 필요로 하는 어느 다른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튜브, 플라스틱 용기, 주사기, 앰플, 스프레이, 금속 용기에 용기의 타입에 따라 1과 500ml 사이의 용량으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필모겐 글리세롤은 면, 폴리머, 플라스틱, 셀룰로즈나 또는 부상 및 상처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타입의 드레싱에 편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롤 분자에 바인딩하는 능력을 갖는 글리세롤과 식물 탄닌의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용액을 생물학적 표면상에 적용함으로써 생물학적 표면에 의한 글리세롤막의 보유 시간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리세롤 내에서 탄닌-풍부 식물 추출물의 농도는 필모겐 효과를 얻는데 사용된 탄닌의 초기 농도 및 조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발명자들은 상기 제제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 하기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인 용액은 생물학적 멤브레인에 걸쳐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인 막을 형성하고 저장성 액체의 표면상 흐름을 생성하도록 세포 플라스마 멤브레인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생물학적 표면(피부 케라티노사이트가 손상되고 그 밑에 있는 세포들이 노출되는 피부 상처, 인후, 구강, 비강 및 질강과 같은 점성 멤브레인)상에 적용될 수 있다. 액체의 표면상 흐름은 사멸 세포, 세포 멤브레인, 더스트 파티클, 박테리아, 바이러스 파티클, 프로테아제와 같은 자유부동성 단백질 분자 등과 같은 불순물을 떼어내고 흘러나가게 하여 상처 및 점성 멤브레인을 세정한다. 이러한 기계적 행위 모드는 항균, 항바이러스, 소독, 세정 및 수화 효과를 생성하며, 이는 세포 성장 및 치유를 촉진시키는데 필수적인 것이다. 3-3.4% NaCl(염)을 함유하는 해수가 일반적으로 상처를 세정하거나 가글링에 사용되나, 저장성 액체의 표면상 흐름이 즉시 희석되고 삼투성 막을 제거하여, 염 용액의 작용 기간이 단지 수분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다. 생물학적 표면에 의한 고장성 막의 보유 기간이 짧을수록, 이의 세정 효과는 감소한다.
글리세롤은 해수나 또는 3% 염 용액에 비해 상당히 더 점성을 가지며, 해수보다 상대적으로 긴 기간 동안 생물학적 멤브레인에 걸쳐 유지된다. 글리세롤은 국소 적용용으로 소독제, 항바이러스제, 세정제 및 수화제로서, 무독성이며, 비자극적이며, 전적으로 안전하며 비싸지 않은 산물이므로, 국소 감염, 상처 세정 및 상처 치유의 촉진에 폭넓게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그렇지 못하다. 왜냐하면 글리세롤은 또한 저장성 액체의 표면상 흐름에 의해 희석되고, 매우 삼투압적인 활성을 통해 생성되며, 결과적으로 이의 적용 후에 단지 수분에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며, 이는 글리세롤의 작용 기간을 상당히 감소시키며, 완전한 표면 세정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점성 또는 상처 표면을 세정하는데 있어서 글리세롤 단독의 사용이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이다.
글리세롤의 3개의 히드록실기는 물과의 수소 결합 형성을 통해 물에 쉽게 용해될 수 있도록 한다. 희석된 글리세롤은 즉시 저장성 액체 흐름으로 제거되며, 이는 점진적이되 신속히(5-10분 이내) 글리세롤의 삼투압 효과를 약화시킨다. 이 문제를 극복하는 유일한 해결방안은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인 막을 재구성하기 위해 10-15분마다 반복적으로 산물을 재적용하는 것이 될 수 있으나, 이는 실용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최상의 해결방안은 생물학적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효과적이면서 안전하고 비싸지 않은 방법을 제공하도록, 산물의 삼투압 특성이나 또는 안전성 프로필을 변경시키지 않고 글리세롤의 막 보유 기간을 향상시키는 것과 연루된다.
글리세롤은 그 하부에 있는 생체 생물학적 멤브레인이나 세포와 어떠한 생물학적, 약학적, 대사적 또는 면역학적 상호작용 없이 이의 기계적 특성을 통해 독점적으로 생물학적 표면상에 작용하므로, 글리세롤의 필모겐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의 능력에 대해 선택된 물질이 유사하거나 불활성인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환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및 점막 감염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는 예를 들어 입술상의 매우 민감한 피부를 포함하여 신체의 모든 부위의 피부를 지칭한다. 본 제제는 구강, 인후, 비공(nostril), 부비동(nasal sinuses), 신체의 손상된 피부 및 조직, 질강 및 신체의 다른 천연 개구부들과 같은 피부 및 점성 멤브레인상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피부 및 점막 감염은 정상 세포 기능이나 또는 치유 프로세스를 방해하는 피부 또는 점막의 표면상의 어느 바람직하지 않은 병원체 또는 물질의 존재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롤 또는 폴리올 용액을 글리세롤-바인딩 식물 탄닌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필모겐 글리세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으로, 식물 탄닌은 분말 또는 액체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이들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탄닌 -풍부 식물 추출물의 제조
우선, 프로안토시아니딘(PCD)-풍부, 건조 식물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 186개의 탄닌-풍부 식물 물질들이 선택되었다.
PCD-풍부 식물 추출물은 과일, 씨, 껍질, 채소의 엽육, 견과류, 나무 수피 및 어느 다른 탄닌-풍부 식물 물질과 같은 탄닌이 풍부한 다양한 식물 물질들로부터 준비되었다. 원료 물질은 그대로(습윤 상태로) 사용되었으나, 건조, 분리하고 탄닌이 낮은 성분들을 제거함으로써 미리 분류될 수 있다.
탄닌-풍부 식물 추출물은 문헌(Ajila CM. Crit Rev Biotechno, 31 (3) 227-249, 2011)에 기재되고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간략히, 초기 단계 중에 약 4kg의 고형 식물 물질을 24-40리터의 탈이온수와 함께(고형 물질 대 물의 비는 1:6 내지 1:10이 됨) 가열하고, 선택적으로 증가된 압력하에(60-100psi 압력) 그리고 180 및 250℃의 온도에서 30분과 5시간 사이 범위의 기간 동안 가열하여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고형 식물 물질의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가열조건은 처리되는 식물 물질의 강도에 따라 달라진다. 가열 후, 면 붕대 천을 통해 혼합물을 통과시킴으로써 보다 큰 찌꺼기들로부터 액체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고형물은 버리고, PCD-풍부 액체를 수집하였다. 그 다음, 추출물을 가열하여(180-200℃) 또는 원자화하여 건조하고, 다양한 실험을 위해 그리고 글리세롤 내로 포함시키기 위해 PCD-풍부 추출물로서 사용하였다.
추출물 내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포터 등(Porter et al . Phytochemistry, 1986)의 방법에 따라 산 부탄올 어세이에 의해 측정되었다. 간략히, 200㎍ 건조된 식물 추출물을 300㎕의 70% 아세톤으로 희석하고, 그 용액을 100 × 12mm 시험 튜브에 파이펫팅하였다. 3.0ml의 부탄올-HCL 제제(95:5) 및 HCl 2N에 제조된 0.1ml의 2% 제2철산이 첨가되었다. 그 튜브를 보텍싱한 다음, 튜브의 입구를 글래스 마블로 덮고, 97-100℃의 가열 블록에 60분간 두었다. 그 다음, 상기 튜브를 냉각되도록 두고, 흡광도를 550nm에서 기록하였다. 루코안토시아니딘 당량으로서 농축 탄닌의 퍼센트를 산출하는 식은 (흡광도 550nm × 78.26 × 희석 인자)/(% 건조물) 이다.
200이상의 포터값을 가지며 고농도의 PCDs를 나타내는 식물 추출물들만(시험된 186개 중 42개의 추출물) 다음 시험에 사용되었다. 이 추출물들은 최상의 결과가 특정 타입의 탄닌이 아닌 PCDs의 혼합물로 얻어졌기 때문에 특정 타입의 탄닌을 농축하도록 정제되지 않았다. 건조된 식물 추출물은 주로 블록을 형성하는 다이머, 트리머 및 펜타머 카테킨을 함유한다.
실시예 2: 필모겐 글리세롤의 제조
국소 적용에 필요한 글리세롤막의 타입에 따라, 0.1-8.0% PCD-함유 건조 분말을 글리세롤에 편입시키고, 교반하에 37℃에서 6시간 동안 완전히 혼합하여 균질한 용액을 얻었다. 식물성 기원의 글리세롤은 프랑스의 Interchimie와 같은 공급자로부터 구입될 수 있다. 제제는 용기의 타입 및 원하는 용도에 따라 튜브, 플라스틱 용기, 주사기, 앰플, 스프레이, 금속 용기에 1과 500ml 사이의 용량으로 채워졌다.
실시예 3(a): 약리 시험: 다양한 식물 탄닌을 함유하는 글리세롤과 비교한 글리세롤 단독의 막 보유 능력의 측정
동일한 조건하에서 비-PCD 글리세롤 막(노말 글리세롤)과 비교한 PCD-풍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새로운 글리세롤막(필모겐 글리세롤)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시험의 목적은 생물학적 멤브레인에 의한 글리세롤의 보유성을 향상시키는 개별 PCD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선별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험 모델:
생물학적 표면에 의한 막 보유 기간을 시험하기 위해 어느 특정 생체 내 모델의 부재하에서, 인간 다층 표피의 시험관 내 모델을 사용하여 단독 또는 다양한 조합으로 다양한 PCD-풍부 식물 추출물의 비-세포독성 농도의 첨가가 글리세롤막 보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인간 표피는 투과성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상에서 성장시키고(1cm 직경), 배지로 적셔진 스폰지상에 유지되고, 이는 생체 내 경우와 같이 이의 표면이 공기와 접촉되도록 유지되었다. 모세혈관 작용을 통해, 배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를 통해 확산되고, 표피 세포에 영양분이 공급되어 이들 세포가 생존하도록 유지되었다.
하나 또는 둘의 부가적인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를 삽입하는 것은 배지와 세포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세포에 도달하는 유용한 배지의 양이 감소하고, 영양분 및 수화의 부재하에서 세포는 사멸한다. 세포 사멸은 바이탈 MTT 염색(Ferrari MJ. J Immunol methods 13 (2), 165-172, 199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생체 세포들의 퍼센트는 표피 표면에 의한 글리세롤막의 보유기간에 비례한다.
시험 산물:
0.1과 5.0% 사이 범위의 농도로 다양한 글리세롤 제제를 함유하는 시험 산물들(주로 PCD-풍부 식물 추출물들). 식물 추출물들은 막의 세포-부착 특성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막 물질에 첨가되었다.
표피당 적용된 시험 산물의 양: 20㎕
노출 방법:
글리세롤 제제는 파이펫을 이용하여 얇은 층으로서 표피상에 직접 적용되었다(농축물당 n=6): 표피를 두 필터상에 놓고, 시험 산물을 표피 표면상에 적용하였다. 필터는 스펀지상에 유지되었으며, 이는 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적절한 양의 배지를 함유하는 페트리 디쉬에 삽입되었다. 실험 기간 중에, 세포배양 필터는 6h, 24h 및 48h에 조심스럽게 제거되고, 무혈청 배지에서 20초간 교반하여 (필름 또는 필름 성분이 표피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산물막 탈리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표피상에 삼투압막의 부재는 세포에 대한 액체 배지 공급을 최소화하고 세포 사멸을 야기한다. 글리세롤 내 각 시험 산물 농도에 대해 획득된 초기 결과에 따라, 식물 탄닌의 농도는 최대 필모겐 효과를 얻기 위해 증가되거나 감소되었다.
노출 조건: 72시간 동안 37℃, 5% CO2
세포 생존도 측정:
MTT 착색 및 조직학적 분석. 세포 생존도는 다음과 같이 점수가 부여되었다:
스코어 4: 강렬한 청색을 가진 (컨트롤에 비해) 100% 세포
3: 짙은 청색을 가진 약 75% 생존 세포
2: 미디움 청색을 가진 약 50% 생존 세포
1: 옅은 청색을 가진 약 25% 생존 세포
0: 생존 세포 없음, 약간 하얀 표피 색상
각 실험 중에, 각 시점에서 6개의 표피에 대해 획득된 스코어를 평균내어 세포 생존도를 결정하였다. 그 다음, 3개의 각 실험의 평균 스코어를 평균내어 글리세롤 단독으로 처리된 세포와 비교한 평균 세포 생존 퍼센트를 산출하였다.
컨트롤:
양성 컨트롤: 시험 산물을 함유하지 않고 시험 산물과 동일한 시험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72h 내에 거의 95-100% 세포가 사멸하였다.
글리세롤 컨트롤: 어떠한 PCD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글리세롤을 배양물 표면상에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양성 컨트롤과 동일하였다. 빈약한 영양물 공급에 기인하여 이러한 조건하에서 72h 내에 거의 60-70% 세포가 사멸하였다.
결과:
72h 후 세포 생존율 %는 다음과 같았다:
양성 컨트롤: 6.32(±2.4)%
글리세롤 단독: 양성 컨트롤에 비해 17.53% 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23.85(±4.8)%. 이는 글리세롤이 계속해서 세포들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수화시키기 위해 삼투압 효과를 내는 것을 나타낸다.
필모겐 글리세롤: PCD-풍부 식물 추출물 또는 합성 폴리머가 0.1과 5.0% 사이의 농도로 글리세롤에 첨가된 경우에, 세포 생존율이 다음과 같이 영향받았다:
매우 높은 글리세롤막 보유 성능(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200 내지 +300% 생존 세포):
다음으로부터 얻어진 PCDs: (1)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단독, 및 (2)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과일 추출물) + 바시니움 마크로카르폰(Vaccinium macrocarpon)(과일 추출물);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씨 추출물) + 유러피언 엘더(European elder)(과일 추출물);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잎 추출물) + V. 미르틸러스; V. 미르틸러스 + E. 엘더; C. 시넨시스 + V. 비니페라 + E. 엘더; V. 비니페라 + E. 엘더 + 글리신 맥스(Glycine max)(씨 추출물); V. 마크로카르폰 + C. 시넨시스 + V. 비니페라; 및 V. 마크로카르폰 + C. 시넨시스 + V. 미르틸러스 + V. 비니페라의 PCD-풍부 식물 탄닌의 조합.
높은 막 보유 성능(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100 내지 +199% 생존 세포):
다음으로부터 얻어진 PCDs: (1)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수피 및 식물 전초), 테나세텀 파르테늄(Tenacetum parthenium)(꽃 및 잎); 살릭스 알바(Salix alba)(식물 전초);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V. 마크로카르폰; V. 비니페라; C. 시넨시스; E. 엘더; 오푸니티아 종(Opunitia sp.)(과일), 단독, (2) 프락시너스 치넨시스(Fraxinus chinensis) +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프락시너스 치넨시스(Fraxinus chinensis) +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V. 비니페라 +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의 조합.
중간 막 보유 성능(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10 내지 +99% 생존 세포):
모러스 알바(Morus alba)(과일); 루버스 종(Rubus sp .)(과일); 퀘르커스 종(Quercus sp .)(과일, 수피), 피너스 종(Pinus sp.)(수피, 과일).
중간 필모겐 활성은 또한 신탄(syntan) 함유 폴리머(예, Silvateam s.p.a.(이탈리아)로부터 구입가능한 Blancotan SH2 및 Ledosol CRP) 또는 폴리머 수지(Arihant Dyechem사(인도)로부터 구입가능한 음이온 질소 함유 폴리머 수지, Aritan A7과 같은)와 같은 합성 폴리머로부터 획득되었다.
결론:
이들 결과는 다수의 다양한 탄닌들, 특히 천연이건 합성이든지 다이머 내지 펜타머 카테킨이 글리세롤 분자와 바인딩함으로써 필모겐 글리세롤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생물학적 표면에 걸쳐 글리세롤막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제제의 필모겐 퀄리티를 측정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글리세롤의 필모겐 퀄리티가 증가되었음을 간접적인 방식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3(b): 약리 시험: 시험관 내에서 필모겐 글리세롤과 비교한 글리세롤 단독의 용해도의 측정
삼투압 활성을 통해 유인된 물에서의 용해도에 대한 글리세롤의 기계적 저항성에 미치는 탄닌 첨가의 영향을 입증하기 위해, 글리세롤 단독 대 필모겐 글리세롤(1% 탄닌-풍부 식물 추출물 함유)의 열 중량 분석(TGA)을 수행하였다. 각 시험 물질의 막은 일정한 온도(30℃) 및 상대습도(20%) 분위기에 노출되었으며, 시간 관련된 질량을 측정하였다. 수 용해도가 이에 따라 정량화될 수 있었다(도 1).
예비적인 결과는 탄닌이 물에서 글리세롤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된 용해도는 아마도 글리세롤의 히드록실기의 일부를 차지하는 탄닌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물 분자와 바인딩하기에 이용될 수 없다.
실시예 3(c): 약리 시험: 당뇨성 궤양에서 필모겐 글리세롤과 비교한 글리세롤 단독의 막 보유 기간의 측정
생체 내에서 글리세롤의 필모겐 성능: 본 실험은 약 4(±1.5)㎠의 표면적을 덮는 당뇨성 궤양을 가진 환자들에서 수행되었다. 2ml의 글리세롤(그룹 1, n=6 궤양) 또는 2ml의 필모겐 글리세롤(그룹 2, n=6 궤양)을 상처 표면상에 적용하고, 상처는 적용 후 수직 위치로 유지되었다. 매시간 간격으로 6h 기간에 걸쳐 상처 유체의 시료(100㎕)를 수집하고, 글리세롤의 양을 측정하였다.
하기의 결과가 얻어졌다(도 2 참조).
결과는, 본 시험의 실험 조건하에서, 필모겐 글리세롤에 대해 단지 34% 및 56% 감소에 비해, 노말 글리세롤의 거의 92%가 이 1시간 내에 제거되었으며, 2시간 내에는 100%가 제거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필모겐 글리세롤의 활성은 6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실시예 4: 탄닌 - 글리세롤 바인딩 및 필모겐 글리세롤의 생성의 측정 결과
실시예 3에서의 약리 시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독이든 다양한 조합이든 다양한 농도로 글리세롤과 혼합된 42개의 탄닌-풍부 식물 추출물들 중에, 하기의 식물 탄닌들(PCDs)은 다양한 정도의 필모겐 퀄리티를 나타내었다:
매우 높은 필모겐 퀄리티 : 6개의 식물 추출물들이 매우 높은 활성을 갖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V. 미르틸러스, V. 마크로카르폰, V. 비니페라, E. 엘더, C. 시넨시스 및 G. 맥스. 이들은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200과 300% 사이의 막 보유 기간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매우 높은 퀄리티의 글리세롤막은 (1)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단독의 PCDs뿐만 아니라, (2)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과일 추출물) + 바시니움 마크로카르폰(Vaccinium macrocarpon)(과일 추출물); (3)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씨 추출물) + 유러피언 엘더(European elder)(과일 추출물); (4)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잎 추출물) + V. 미르틸러스; (5) V. 미르틸러스 + E. 엘더; (6) C. 시넨시스 + V. 비니페라 + E. 엘더; (7) V. 비니페라 + E. 엘더 + 글리신 맥스(씨 추출물); (8) V. 마크로카르폰 + C. 시넨시스 + V. 비니페라; 및 (9) V. 마크로카르폰 + C. 시넨시스 + V. 미르틸러스 + V. 비니페라의 PCD-풍부 식물 탄닌의 조합으로 획득되었다.
높은 필모겐 퀄리티 : 9개의 식물 추출물들이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100과 200% 사이의 막 보유 기간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높은 활성을 갖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수피 및 식물 전초), 테나세텀 파르테늄(Tenacetum parthenium)(꽃 및 잎); 살릭스 알바(Salix alba)(식물 전초);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프락시너스 치넨시스(Fraxinus chinensis),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과일), 및 오푸니티아 종(Opunitia sp.)(과일)뿐만 아니라 Aritan-A7, Ledosol CRP, 및 Blancotan SH2와 같은 합성 폴리머.
중간 필모겐 퀄리티 : 4개의 식물 추출물들이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10과 99% 사이의 막 보유 기간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중간 활성을 갖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모러스 알바(Morus alba)(과일), 루버스 종(Rubus sp .)(과일), 퀘르커스 종(Quercus sp .)(과일, 수피), 피너스 종(Pinus sp.)(수피, 과일).
이들 결과는 다음을 나타낸다. 1. 탄닌은 글리세롤에 바인딩한다. 2. 일부 식물 탄닌은 글리세롤 분자와 매우 강하게 바인딩하나 다른 것들은 보다 약한 강도로 바인딩한다. 이는 탄닌과 글리세롤의 바인딩이 특이적임을 나타낸다. 3. 글리세롤에 대한 탄닌의 바인딩은 탄닌이 글리세롤에 첨가되자마자 시작된다. 4. 탄닌 다이머, 트리머 및 펜타머는 폴리머나 큰 농축 탄닌에 비해 보다 강한 바인딩 및 필모겐 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보다 작은 탄닌 분자가 글리세롤과 바인딩할 가능성이 많다는 사실과 관련될 수 있다. 두 성분이 혼합되고 저장될 경우에 거의 50% PCD - 글리세롤 바인딩이 일어나며, 그 용액이 피부나 점성 표면에 걸쳐 얇은 막으로 적용될 경우에 50%가 유지된다. 또한 합성 폴리머가 글리세롤 분자에 바인딩할 수 있으며 글리세롤막의 막 보유 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필모겐 글리세롤은 글리세롤 또는 어느 다른 폴리올 용액과 글리세롤-바인딩 식물 PCDs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5: 피부 및 점막 감염의 치료용 제제의 예
다양한 필모겐 글리세롤 제제가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퍼센트는 건조 PCD-풍부 식물 추출물의 wt/wt를 나타낸다.
1. 글리세롤 - 69.22%, V. 마크로카르폰 추출물 - 0.18%, V. 미르틸러스 추출물 - 0.18%; 첨가제: 꿀 - 29.0%, 수분(Aqua) - 1.42%, 외상 구강 궤양 치료를 위해 10ml 튜브에 채워짐.
2. 글리세롤 - 72.92%, V. 마크로카르폰 추출물 - 0.30%, V. 미르틸러스 추출물 - 0.36%; 첨가제: 꿀 - 12.0%, 수분 - 14.42%, 구강 점막염 치료를 위해 20ml 스프레이에 채워짐.
3. 글리세롤 - 74.265%, V. 비니페라 씨 추출물 - 0.48%,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32%; 첨가제: 꿀 - 12.0%, 수분 - 12.935%, 인후 적용용 30ml 스프레이에 채워짐.
4. 글리세롤 - 73.94%, V. 비니페라 씨 추출물 - 0.48%,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32%, 글리신 맥스 씨 추출물 0.07; 첨가제: 꿀 - 12.0%, 수분 - 13.19%, 유아들의 인후 적용용 20ml 스프레이에 채워짐.
5. 글리세롤 - 32.488%, V. 마크로카르폰 추출물 - 0.12%, V. 미르틸러스 추출물 - 0.12%; C. 시넨시스 추출물 - 0.22%,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10%; 첨가제: 수분 - 66.952%, 비부비동염 치료를 위해 15ml 플라스틱 스프레이에 채워짐.
6. 글리세롤 - 68.66%, V. 미르틸러스 추출물 - 0.18%, C. 시넨시스 추출물 - 0.30%, 첨가제: 꿀 - 29.0%, 수분 - 1.76%, 잔탄검 0.1%, 욕창의 국소 적용용 50ml 튜브에 채워짐.
7. 글리세롤 - 99.16%, V. 미르틸러스 추출물 - 0.18%, 시트르산 qsq pH 4.5; 첨가제: 수분 - 0.66%, 질 건조증 및 감염의 치료를 위한 캐뉼라(canula)가 장착된 10ml 튜브에 채워짐.
8. 글리세롤 - 72.06%, V. 비니페라 씨 추출물 - 0.18%, 첨가제: 꿀 27.0%, 수분 - 0.66%, 잔탄검 0.10%, 피부 상처의 국소 적용용 100ml 튜브에 채워짐.
9. 글리세롤 - 76.166%, C. 시넨시스 추출물 - 0.24%, V. 비니페라 씨 추출물 - 0.36%,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20%, 첨가제: 꿀 - 20.0%, 수분 - 2.934%, 잔탄검 0.10%, 입술 발진(구순 헤르페스)의 병소에 대한 국소 적용용 6ml PET 튜브에 채워짐.
10. 글리세롤 - 97.48%, V. 마크로카르폰 추출물 - 0.18%,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36%, 시트르산 qsq pH 4.5; 첨가제: 수분 - 1.98%, 음부 헤르페스 및 박테리아 질증 치료를 위한 질 적용용 캐뉼라가 장착된 10ml 튜브에 채워짐.
11. 글리세롤 - 76.42%, V. 마크로카르폰 추출물 - 0.12%, C. 시넨시스 추출물 - 0.48%, V. 비니페라 씨 추출물 - 0.36%; 첨가제: 꿀 - 19.0%, 수분 - 3.52%, 건선, 습진 및 피부염의 병소에 대한 국소 적용용 50ml 튜브에 채워짐.
12. 소르비톨 - 94.7%, V. 마크로카르폰 추출물 - 2.1%, 아카시아 카테추 3.2%, 정맥 다리 궤양에 대한 국소 적용용 20ml 튜브에 채워짐.
13. 글리세롤 - 90.60%, V. 마크로카르폰 추출물 - 1.30%, 살릭스 알바 - 5.0%; 첨가제: 수분 - 3.10%, 당뇨성 궤양에 대한 국소 적용용 50ml 튜브에 채워짐.
14. 소르비톨 - 74.265%, V. 비니페라 씨 추출물 - 0.48%,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32%; 첨가제: 꿀 - 12.0%, 수분 - 12.935%, 피부 화장에 대한 국소 적용용 플라스틱 100ml 용기에 채워짐.
15. 소르비톨 - 73.94%, V. 비니페라 씨 추출물 - 0.48%,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32%, 글리신 맥스 씨 추출물 0.07; 첨가제: 꿀 - 12.0%, 수분 - 13.19%, 만성 상처에 대한 국소 적용용 10ml 주사기에 채워짐.
16. 소르비톨 - 32.488%, V. 마크로카르폰 추출물 - 0.12%, V. 미르틸러스 추출물 - 0.12%, C. 시넨시스 추출물 - 0.22%,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10%; 첨가제: 수분 - 66.952%, 플루 치료를 위한 인후 적용용 50ml 스프레이에 채워짐.
17. 자일리톨 - 68.66%, V. 미르틸러스 추출물 - 0.18%, C. 시넨시스 추출물 - 0.30%, 첨가제: 꿀 - 29.0%, 수분 - 1.76%, 잔탄검 0.1%, 만성 건조 궤양의 치료를 위한 100ml 튜브에 채워짐.
18. 글리세롤 - 95%, V. 미르틸러스 추출물 - 5.0%, 시트르산 qsq pH 4.5, 박테리아 질염 치료를 위한 질 도입용 4ml 오블스(ovules)에 채워짐.
19. 글리세롤 - 50%, 자일리톨 - 20%, V. 비니페라 씨 추출물 - 1.0%, 첨가제: 꿀 28.8%, 잔탄검 0.20%, 만성 상처에 대한 적용을 위한 폴리에스테르 붕대를 적시기 위해 사용됨.
20. 4×5cm 면 거즈상에 뿌려진 V. 비니페라의 추출물 400mg을 함유하는 식물 탄닌 제제 1g, V. 마크로카르폰 350mg, V. 미르틸러스 100mg 및 쌀가루 150mg. 우선 순수 글리세롤을 상처 표면상에 적용하고(만성 상처의 10㎠ 표면상에 6ml), 탄닌이 뿌려진 부분이 상처 표면을 향하도록 상처 표면을 붕대로 덮는다.
21. 글리세롤(82%), S. 니그라(E. 엘더)의 식물 추출물 0.5% 및 꿀 17.5%를 함유하는 용액에 적셔지고 알루미늄 백에 포장된 5×5cm 면 비-부착성 거즈 타입 드레싱. 상기 거즈는 직접 상처 표면상에 국소 적용된다.
22. 글리세롤 - 76.0%, C. 시넨시스 추출물 - 0.5%, V. 비니페라 씨 추출물 - 0.5%,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5%, 첨가제: 꿀 - 22.5%, 욕창, 당뇨성 궤양 및 정맥 다리 궤양에 대한 국소 적용을 위한 가교 폴리머 표면상에 하이드로겔에 혼합되고 고정됨(10㎠ 폴리머 표면당 10g).
23. 글리세롤 - 97.48%, V. 마크로카르폰 추출물 - 2.10%, S. 니그라(E. 엘더) 과일 추출물 - 0.42%, 만성 욕창 및 당뇨성 궤양을 위한 상처 치유 드레싱으로서 가요성 아연 산화물 나노복합체 붕대상에 흡착됨.
24. 글리세롤 - 68.66%, Aritan-A7 - 0.18%, 프락시너스 치넨시스 - 0.30%, 첨가제: 꿀 - 29.0%, 수분 - 1.76%, 잔탄검 0.1%, 욕창에 대한 국소 적용용 50ml 튜브에 채워짐.
25. 글리세롤 - 99.16%, R. 니그럼 추출물 - 0.18%, 시트르산 qsp pH 4.5; 첨가제: 수분 - 0.66%, 질 건조증 및 감염의 치료를 위한 캐뉼라가 장착된 10ml 튜브에 채워짐.
26. 글리세롤 - 72.06%, G. 빌로바 뿌리 추출물 - 0.18%, Blancotan SH 0.20%, 첨가제: 꿀 27.0%, 수분 - 0.46%. 잔탄검 0.10%, 피부 상처에 대한 국소 적용용 100ml 튜브에 채워짐.
27. 글리세롤 99.5%, Ledosol CRP 분말 0.5%, 건선, 습진 및 피부염 피부 병소에 대한 국소 적용용 50ml 병에 채워짐.
28. 글리세롤 30%, 꿀 69.5%, 프락시너스 치넨시스 건조 추출물 0.50%, 바이러스 인후 및 부비강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인후에 국소 적용되는 50ml 용기에 채워짐.
실시예 6: 동결보존 실험; 글리세롤 대 필모겐 글리세롤에 대한 비교 시험
본 시험의 목적은 글리세롤 단독 또는 글리세롤막을 형성할 수 있는 탄닌 또는 폴리머와 조합된 글리세롤의 생체 조직 표면에 대한 보호 효과를 비교하고, 세포 생존율에 대해 획득된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사용된 생체 세포 및 조직:
인간 혈과 평활근 세포(SMCs), 피부 섬유아세포, 래트 신장 상피 세포, MDBK 및 MDCK 세포주의 일차 배양물을 25㎠ 플라스틱 조직 배양 플라스크에서 성장시켰다. 세포들을 트립신 - EDTA 용액으로 분산시키고, 배지로 세정하고, 1×107cells/ml의 세포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인간 혈액 임파구의 현탁액을 또한 비부착 세포의 시료로서 준비하였다. 마찬가지로, 병원에서 수집된 신선한 생체 인간 피부 시료를 1㎠로 절단하고, 각 피부 시료의 두 조각을 하기에 주어진 바와 같이 다른 배지에서 동결보관하였다.
4개의 동결 배지가 DMEM(Dubelco's Minimum Essential Medium)에서 제조되었으며, 이는 (1) 5% DMSO, 10% FCS 및 배지 qsp 100ml; (2) 2% DMSO + 10% 혈청 및 배지 qsp 100ml; (3) 글리세롤 20%, FCS 10%, 2% DMSO 및 배지 qsp 100ml; 또는 (4) 필로겐 글리세롤로 지칭된, 글리세롤 20% 식물 PCSs 1%, FCS 10%, DMSO 2% 및 배지 qsp 100ml을 함유하였다. 배지는 사용 전까지 2-8℃에 보관되었다. 적절한 동결 배지는 특정 세포주에 따라 달라짐에 주의바란다.
세포 현탁액을 약 100-200×g에서 5-10분간 원심분리하고, 세포 펠렛을 건드리지 않고 상층액을 비웠다. 세포 펠렛을 차가운 동결 배지에 ml당 1×108cells의 밀도로 재부유하였다. 세포 현탁액의 분액을 극저온 보관 바이얼에 분배하고, 속도 조절되는 냉동기에 동결하고, 온도를 분당 약 1℃로 -70℃까지 떨어뜨렸다. 그 다음, 조직 및 세포 배양물 바이얼을 액체 질소 용기(-196℃)에 옮기고, 6개월간 보관하였다. 동일한 기술이 피부 이식물에 대해 뒤따랐다.
융해를 위해, 앰플들을 제거하고, 실온에 약 1분간 둔 다음, 37℃ 수조에 옮기고 완전히 융해될 때까지 2-3분간 두었다. 앰플들을 멸균 환경에서 개방 전에 70% 알코올로 닦았다. 세포들을 5% FCS가 함유된 10ml DMEM에 희석하고, 원심분리하고, 펠렛팅하고, 배지에 재희석하고, 생존 세포의 수를 트리판 블루 및 MTT 염색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 이식물은, 이식물이 5개의 슬라이스들로 절단되고, 10% FCS가 들어있는 15ml 세포 성장 배지가 함유된 25㎠ 조직 배양 플라스크에 도입되고, 10일간 성장된 것을 제외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배양 10일 후, 성장 이식 세포들을 트립신 - EDTA 용액으로 분산시키고,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고 생존 세포의 수를 세었다.
결과:
생존 세포 배양 세포들의 평균수: (1) 배지 내 5% DMSO, 10% FCS = 65.2%; (2) 배지 내 2% DMSO + 10% 혈청 = 62.6%; (3) 배지 내 20% 글리세롤, 10% FCS 및 2% DMSO = 68.4%; 및 (4) 필모겐 글리세롤로 지칭된 배지 내 1% 식물 PCDs가 함유된 20% 글리세롤, 10% FCS, 2% DMSO = 91%.
생존 피부 이식 세포들의 평균수: (1) 배지 내 5% DMSO, 10% FCS = 51.1%; (2) 배지 내 2% DMSO + 10% 혈청 = 54.9%; (3) 배지 내 20% 글리세롤, 10% FCS 및 2% DMSO = 63.3%; 및 (4) 필모겐 글리세롤로 지칭된 배지 내 20% 글리세롤, V. 마크로카르폰(0.5%) 및 R. 니그럼(0.5%)의 1% 식물 PCDs, 10% FCS, 2% DMSO = 83.8%.
결론: 필모겐 글리세롤은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각 분산된 세포 및 조직 이식물의 동결보존에 대해 상당히 보다 효과적이다.
실시예 7: 동결보존 필모겐 글리세롤의 예
다른 제제들은 실시예 2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퍼센트는 건조 PCD-풍부 식물 추출물의 wt/wt를 나타낸다.
1. 글리세롤 20%, V. 미르틸러스 0.5%, A. 카타추 0.4% 및 S. 알바 0.1%의 식물 PCDs; DMSO 5.0%, 우태아 혈청 20%, 분산된 생체 세포들을 보관하는데 사용된 배지 qsp 100ml.
2. 배지 qsp 100%에 함유된 글리세롤 20%, (V. 마크로카르폰 0.5% 및 R. 니그럼 0.5%의) 식물 PCDs 1%, FCS 10%, DMSO 2.0%.
3. 글리세롤 10%, V. 비니페라 씨 1.0% 및 E. 엘더 0.5%의 식물 PCDs, DMSO 2.0%, 우태아 혈청 10%, 이식 및 수송 전에 피부 이식물을 보관하는데 사용된 배지 qsp 100ml.
실시예 8: 실시예 5에서 제제 n°2에 따른 식물 PCDs 조합물 1%를 함유하는 글리세롤(코드 - Orosol )과 비교한 글리세롤 단독의 시험관 내 삼투압 특성
구강 또는 질 점막의 저장성 액체의 삼투압 삼출을 모방하는 생체 내 모델의 부재하에서, 인간 표피의 세포배양 모델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공기/액체상에서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상에서 성장된 일반 인간 표피세포를 함유하였다. 최적의 조건하에서, 점막 표면과 동등한 다층 세포배양물이 폴리카보네이트 지지체상에 획득되었다. 이 지지체는 소정량의 배지와 접촉되는 스펀지상에 놓였다. 배지는 스펀지 및 필터 내로 확산하며, 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수화시킨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세포 배양물은 적어도 일주일간 살아있도록 유지될 수 있다.
점막 건조증의 실험적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세포와 스펀지 사이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추가 필터를 삽입하였으며, 이에 의해 세포에 이용가능한 액체 배지의 양이 감소되었다. 수화의 부재하에서, 세포들은 사멸하고, 세포 치사율은 바이탈 염료 MTT로 측정될 수 있다. 세포 치사율은 배양 표면의 건조증에 비례한다.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인 고장성 용액이 건조증에 노출된 표피 표면에 적용될 경우에, 배지는 삼투압에 기인하여 표피를 향해 유인되며 세포에 이용가능한 배지의 양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세포 생존율은 삼투압 및 세포 수화의 정도에 비례한다.
본 시험의 목적은 보통의 글리세롤에 비해 필모겐 글리세롤의 수화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산물은 일반적인(무 필터), 약간 탈수된(1 필터) 또는 심하게 탈수된(2 추가 필터) 표피(20㎕)의 표면상에 적용되고, 세포들은 37℃-5% CO2에서 일주일간 배양되었다. 각 표피들은 1일째, 3일째 및 5일째에 배양물을 배지에서 20초간 교반함으로써 세정하고, 세포 생존율을 MTT 염색을 이용하여 7일째 에 측정하였다.
1주일 후 세포 생존율의 평균 스코어는 다음과 같다:
1. 정상적으로 보습된 배양물(무 필터): 100%
2. 산물이 없는 부분적으로 탈수된 컨트롤: 43.11%
3. 산물이 없는 심하게 탈수된 배양물: 11.57%
4. 글리세롤이 함유된 부분적으로 탈수된 배양물: 62.3%
5. 글리세롤이 함유된 심하게 탈수된 배양물: 43.15%
6. 필모겐 글리세롤이 함유된 부분적으로 탈수된 배양물: 89.46%
7. 필모겐 글리세롤이 함유된 심하게 탈수된 배양물: 77.89%
결론: 필모겐 글리세롤은 보다 높은 삼투압 효과로 보통의 글리세롤에 비해 더 긴 기간 동안 표피의 표면상에 유지되며, 탈수에 대해 세포들을 보호한다.
실시예 9: 일반 글리세롤과 비교한 필모겐의 생체 내 래트 상처 치유 특성
실험적인 병병 유도 방법:
래트 등 피부를 면도하고, 진피절을 갖는 피하조직에 직경 및 깊이 0.8mm의 3개의 원형 병소를 만들었다. 0.2ml의 각 시험 산물을 7일 연속 각 병소에 적용하였다. 병소 직경을 매일 측정하고,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시험 산물:
그룹 1: 증류수; 그룹 2: 글리세롤 단독; 그룹 3: 상기 예 N°6에 따른 필모겐 글리세롤(각 그룹당 10마리 래트).
결과:
증류수 그룹에서 평균 병소 크기(7일 동안 직경/일/병소) = 3.32㎠; 글리세롤 그룹에서 = 2.95㎠ 및 필모겐 글리세롤 그룹에서 = 2.03㎠.
결론:
글리세롤 단독은 치유를 촉진하나, 그 치유 속도는 필모겐 글리세롤을 적용한 경우가 훨씬 더 빨랐다.
글리세롤 및 탄닌 제제의 안정성:
30℃±2℃ 및 40℃±2℃에서 36개월의 보관에 걸쳐 실시예들에 언급된 제제들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제제들은 최소 36개월의 기간동안 안정하였다.
내용물-용기 상호작용:
실시예들에 언급된 제제들은 플라스틱(PE, PET) 튜브 및 알루미늄 용기에 채워지고, 내용물들은 내용물과 용기 사이의 어떠한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분석되었다. 제조 직후 및 37℃에서 12개월 보관 후에, 시료의 적외선 분광 광도 측정 분석은 내용물과 용기 사이에 어떠한 상호작용이 없음을 나타내었다.
사용시 안정성:
실시예들에 언급된 조성물들의 시료들은 사용시 기간 동안에 분해 또는 오염에 대해 시험되었다. 획득된 결과는 1-3개월의 기간 동안 산물 사용시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세포독성:
NF-ISO 10993 가이드라인에 따라 평가된 필모겐 글리세롤의 세포독성은, 산물이 L929 세포의 배지에서 5%의 농도까지 독성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과민성:
본 시험은 제제 N°2, 3 및 5의 예를 사용하여 FDA 굿 래보로터리 파티클(GLP) 레귤레이션(21 CFR, Part 58, 2005년 4월 1일) 및 1997년 11월 26일의 심의회의 결정에 의해 채택된 레퍼런스 ENV/MC/CHEM(98) 17, OECD 굿 래보로터리 파티클의 요건에 따라 수행되었다.
산물은 피부 내로 주입되었을 뿐만 아니라 면도된 G. 피그 피부 상에 패치로 직접 국소 적용되어 국소 반응 및 지연된 과민성을 평가하였다. 비교를 위해, 0.9% NaCl 용액으로 상기 용액을 피부내로 주입함으로써 그리고 국소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음성 컨트롤 시험을 수행하였다. 산물들은 피부 내 주입에 의해 피부를 민감하게 하였으나 국소 적용은 민감화를 유도하지 않았다.
생체 내 구강 독성:
상기 예 N°2, 7, 8 및 20에 따른 필모겐 글리세롤의 시료들을 5g/kg 체중의 투여량으로 래트에 투여하였다. 시험은 GLP 기준에 따라 수행되었다. 어느 기형의 부재하에서, 급성 치사 투여량은 시험된 모든 산물들에 대해 5g/kg이상으로 평가되었다.
국소 자극:
시험은 1982년 2월 21일 프랑스의 공식 저널에 공개된 피부 및 시험관 내 BCOP 눈 자극에 대한 프로토콜에 따라 시험 산물 조성물 N°2, 7, 9, 19 및 12의 예들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일차 피부 자극 지수는 0.50 미만이었으며, 산물들은 피부에 대해 비자극적인 것으로 분류되었다. 평균 소 각막 혼탁 지수(Bovine Corneal Opacity Index)는 모든 산물들에 대해 10과 25 사이이었으며, 이에 따라 산물들은 눈에 경미한 자극제로 분류되었다.
실시예 11: 임상 효과
텍스트에 주어진 조성물들의 예에 따라 다양한 제제들이 제조되고, 조성물들의 임상 효과를 피부나 점막 병리학으로부터 고통받는 환자들에서 평가하였다. 시험의 요약이 하기에 주어진다.
시험 1: 건선 , 습진 및 피부염의 치료를 위한 글리세롤 단독 대 필모겐( VB - DERM 으로 지칭된 실시예 5의 제제 N°11)의 치료 효과
건선, 습진 및 피부염(PED)의 피부 병변으로 고통받는 107명의 환자들에 대해 6주간, 단일 익명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실시예 5에 따른 제제 N°11에 따른 조성물의 임상 효과가 건선, 습진 또는 피부염(PED)에 기인한 피부 병변의 치료에 대해 글리세롤 단독과 비교되었다. 56명의 환자들은 필모겐 글리세롤 제제 VB-DERM으로 처리되었으며(필모겐 글리세롤 그룹), 51명의 환자들은 글리세롤 단독으로 처리되었다(컨트롤 그룹). 산물은 6주 기간 동안 매일 2회 국소 적용되었다. 병소는 0, 1, 2, 4 및 6주에 0-4 스케일로 등급이 주어졌다.
시험 내내 건선, 습진 및 피부염에 대한 효과에 있어서 필모겐 글리세롤 제제(VB-DERM)의 매우 양성적인 결과가 관찰되었다.
6주 기간에 걸쳐 정기적인 시간 간격으로 기록된 스코어 분석은 필모겐 글리세롤이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PED 병소의 치료에 대해 훨씬 더 효과적임을 분명히 입증하였다(도 3, 4 및 6). 필모겐 글리세롤의 상처 세정 및 치유 효과는 이들 질병과 관련된 모든 증상들, 홍반 및 소양증, 부종, 건조증, 삼출성, 스케일링 및 크러스팅(crusting), 및 가려움 치료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5). 치료 시작 후 2주에 조사자들 및 환자들에 의해 평가된 삶의 질 역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도 5).
이러한 결과는 필모겐 글리세롤이 훨씬 더 긴 기간 동안 PED 병소의 표면상에 유지되어, 이에 따라 모든 유리 오염물들(사멸 세포, 세포 찌꺼기, 단백질 분해효소, MMPs, 사이토카인, 인터루킨, 인터페론, 바이러스, 박테리아, 더스트 파티클)이 상처에서 세정된 채로 유지되고, 정상적인 피부 세포 생산이 회복된다. 이에 따라 필모겐 글리세롤은 과도한 피부 성장, 병소에서의 오염물 존재, 상처 부위에서 사멸세포, 사이토카인, MMPs 및 다른 단백질 분자와 같은 여러 자유 부동성 불순물들의 개입을 포함한 피부 질병의 치료에 있어서 비-필모겐 글리세롤에 비해 훨씬 더 고 활성적이다. 이들 오염물들은 병소로부터 영구적으로 제거되어 정상적인 피부 성장을 위해 호의적인 그라운드를 생성한다.
시험 2: 음부 헤르페스의 치료를 위한 글리세롤 단독 및 필모겐 글리세롤(실 시예 5의 제제 N°10에 따른 조성물( HG - VB ))의 치료 효과
음부 헤르페스 및 감염으로부터 고통받는 여성에서, 일반 표준 글리세롤에 비해 필모겐 글리세롤(HG-VB)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개방 라벨, 싱글-암(single-arm)의, 예비적(prospective)이며, 다중심적인(multicentric) 파일롯 시험을 수행하였다.
음부 헤르페스의 가시적인 병소를 가진 60명의 여성들이 14일 동안 연속하여 HG-VB(하루에 10ml)로 처리되었다. 산물은 질강 내로 매일 투여되었으며, 음부 헤르페스의 증상은 처리 전 및 1일(2시간), 4일, 7일 및 14일에 평가되었다. 음부 병소의 도말(smears)을 또한 수집하여 Tzanck 시험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적재된 다핵 거대 세포의 수를 평가하였다. 20명의 여성들은 동일한 임상 조건하에서 글리세롤만으로 처리되었다.
결과: 질 가려움, 발적, 통증, 건조증, 방류, 수포의 존재 및 질 pH의 정규화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현저한 감소가 글리세롤 단독 처리에 비해 HG-VB의 제1 적용 직후 2시간에 관찰되었다. 이 시험 결과는 분명히, 글리세롤 단독의 경우에 보다 짧은 작용 기간에 비해(0.5-1시간), 필모겐 글리세롤이 6-8시간에 걸쳐 질강의 내부로부터 저장성 액체를 계속해서 배수하여 모든 오염물들을 세정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시험 3: 순음 헤르페스 병소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유리 바이러스 파티클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글리세롤 단독 및 필모겐 글리세롤( 실시예 5의 제제 N°9에 따른 PCD -풍부 식물 추출물과 조합된 글리세롤)의 효과
개방형 순음 헤르페스 병소를 가진 60명의 환자들에서, 개방 라벨, 싱글-암(single-arm)의, 예비적(prospective)이며, 다중심적인(multicentric) 파일롯 시험을 수행하였다. 30명의 환자들이 일반 글리세롤로 처리되었으며, 다른 30명의 환자들은 상기 산물을 몇 방울 적용함으로써 HL-VB로 처리되었으며, 각 그룹에 최대 14일 연속 동일하게 하루에 2회 처리되었다. 순음 병소 도말을 수집하고, Tzank 시험을 이용하여 각 병소에서 다핵 바이러스-감염된 거대 세포의 수를 정량화함으로써 바이러느 농도를 측정하고, 유리 바이러스 파티클의 평균양을 양 그룹에서 검출하였다.
유리 바이러스 파티클의 평균양은 각각, 1일, 4일, 7일 및 14일에, 465 (±10.8), 359(±6.35), 226(±10.22), 및 0.0에 비해 글리세롤 처리된 그룹에서 >750, 635(±17.51), 542(±22.35.), 및 522(±13.50)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HL-VB, 즉 PCDs 또는 필모겐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글리세롤이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더 긴 기간에 걸쳐 이의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시험 4: 비부비동염으로부터 고통받는 환자들에서 부비강 구멍을 막는 박테리아 생체막을 부수어 열리게 하는데 있어서, 글리세롤 및 필모겐 글리세롤이라 지칭된 PCD -풍부 식물 추출물과 조합된 글리세롤( 실시예 5의 제제 N°5에 따른 조성물(G- PCD ))의 효과
코 부비강 감염의 급성 증상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서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G-PCD의 21일간 조절된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의 목적은 글리세롤 단독(물에 담긴 32% 글리세롤)과 비교된 제제 N°5에 따른 G-PCD 용액(물에 담긴 32% 글리세롤, 1% 식물 PCDs)의 부비동 뚫림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급성 및 만성 부비강염으로 고통받는 127명의 환자들 중 109명이 시험을 위해 선별되었다. 58명의 환자들은 G-PCD로 처리되고, 51명의 환자들은 글리세롤로 처리되었다. 산물들은 최대 21일 기간 동안 하루에 2-3회 스프레이(각 처리 적용당 3회)로 투여되었다.
시험된 파라미터는 1. 비충혈 및 콧물에 대한 영향; 2. 코 부비강 표면 주위의 압력 통증에 대한 영향; 3. 부비강 감염에 대한 환자의 전체적인 컨디션; 및 4. 항생제 치료에 대한 영양이었다. 30분, 3일 및 7일 후에 기록된 결과는, 비충혈(20.40%, -19.09% 및 -30.25%에 비해 -31.02%, -57.23% 및 -73.79%), 부비강 통증(-1.69%, -8.36% 및 -53.36%에 비해 -6.91%, -79.02% 및 -85.18%) 및 전체적인 비부비동염 컨디션(-22.56%, +3.52% 및 -17.62%에 비해 -4.15%, -69.84% 및 -79.89%)에 대해 글리세롤 그룹에 비해 G-PCD 그룹에서의 현저히 좋아진 증상 감소를 보였다(도 7). 콧물의 강도는 제1 산물 투여 30분 내에 글리세롤 그룹에서 단지 31.71%인데 비해 G-PCD 그룹에서 164.79% 정도로 상당히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글리세롤에 비해 G-PCD가 매우 높은 삼투압을 가하여 생물막의 붕괴 및 및 부비강의 뚫림을 이끄는 것을 나타낸다. 글리세롤 그룹에서 40%의 환자들이 10.5일 기간 동안 항생제 치료를 필요로 한 것에 비해, G-PCD 그룹에서는 단지 21%의 환자들만이 평균 7.41일 동안 항생제 치료를 필요로 했다(도 8).
이러한 결과는 분명히, 표준 글리세롤 용액에 비해 필모겐 글리세롤이 보다 더 긴 기간 동안 비강 점막 표면에 걸쳐 유지됨을 나타낸다.
시험 5: 구강 점막염 병소에 있어서 1% 식물 PCDs 를 함유하는 글리세롤( 실시예 5의 제제 N°2에 따른 필모겐 글리세롤 조성물(Orosol))과 비교한 글리세롤 단독의 막-형성 및 삼투압 특성 비교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유도된 구강 점막염 병소는 병소에서 감염 및 독성 화학물질의 존재와 함께 고 손상된 구강 점막을 나타낸다. 이는 심각한 통증, 작열감 및 섭취의 어려움을 일으킨다. 시험에 등록된 총 69명의 환자들 중에, 48명이 스프레이로서 Orosol 용액으로 처리되고, 21명은 글리세롤로 처리되었다. 산물은 28일 기간 동안 하루에 4-5회 적용되었다. 전체적인 점막염의 등급, 통증 및 작열감의 강도, 새로운 궤양의 형성 및 섭취 장애에 대한 영향을 처리 전, 제1 산물 적용 후 30분 및 1일, 2일, 3일, 4일, 7일, 14일, 21일 및 28일에 평가하였다. 점막염 치류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글리세롤 그룹에 비해 Orosol 그룹에서 관찰되었다(도 9). Orosol 활성의 기간은 컨트롤 그룹에서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거의 3배 더 길었으며, 이는 치유 효과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필모겐 글리세롤은 훨씬 더 긴 기간 동안 저장성 액체를 유인하고, 병소를 세정하고, 회복의 촉진을 돕는다.
이들 5가지 임상 시험의 결과는 하기와 같은 사항들을 입증한다.
1. 식물 PCD-함유 글리세롤은 글리세롤 단독에 비해 손상된 표면 및 점막에 걸쳐 오래 지속되는 고 삼투압막을 형성한다.
2. 손상된 표면상에 대한 세정 효과는 상처에 걸친 삼투압 글리세롤막의 보유기간과 직접 비례한다.
3. 저장성 액체의 삼투압성 삼출은 비-약리학적이지만 삼투압적으로 활성적인 막의 기계적 특성에 기인하여 오염물의 특성에 관계없이 모든 자유-부동성 오염물들을 제거한다.
4. PCD-함유 필모겐 글리세롤은 안전하고 비자극적이다.

Claims (15)

  1. 글리세롤 및 식물 탄닌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탄닌은 글리세롤이 필모겐 퀄리티를 갖도록 글리세롤에 바인딩하는 능력을 갖는, 국소 적용용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탄닌은 프로안토시아니딘으로부터 선택되는, 국소 적용용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전초로부터 획득되며, 식물은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바시니움 마크로카르폰(Vaccinium macrocarpon),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유러피언 엘더(European elder),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글리신 맥스(Glycine max), 아카시아 카테추(Acacia catechu), 프락시너스 치넨시스(Fraxinus chinensis),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리베스 니그럼(Ribes nigrum), 테나세텀 파르테늄(Tenacetum parthenium), 살릭스 알바(Salix alba),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오푸니티아 종(Opunitia sp.), 모러스 알바(Morus alba), 루버스 종(Rubus sp .), 퀘르커스 종(Quercus sp .), 피너스 종(Pinus sp.), 레움 에모디(Rheum emodi)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국소 적용용 제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전초로부터 획득되며, 식물은 바시니움 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 바시니움 마크로카르폰(Vaccinium macrocarpon),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유러피언 엘더(European elder),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글리신 맥스(Glycine max),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국소 적용용 제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안토시아니딘은 합성되는 것인, 국소 적용용 제제.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 내 글리세롤 함량은 30%와 99.99%(v/v) 사이로 포함되는, 국소 적용용 제제.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약물, 항생제, 소독제, 영양제, 항체, 성장 인자 또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국소 적용용 제제.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제제를 피부 및 점막 감염의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용도.
  10. 제1항 내지 제8항의 제제를 세포, 조직 또는 장기의 보호, 수송, 저장 또는 동결용으로 사용하는 용도.
  11. 제10항에 있어서,
    최종 용액 내 필모겐 글리세롤의 순 농도(net concentration)는 2-50%(v/v) 사이, 바람직하게 10-30%(v/v) 사이,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 15-20%(v/v) 사이의 범위인 용도.
  12. 글리세롤과, 글리세롤 분자에 바인딩하는 능력을 갖는 식물 탄닌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용액을 생물학적 표면상에 적용함으로써 생물학적 표면에 의한 글리세롤막의 보유 시간을 증진시키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를 환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및 점막 감염 치료방법.
  14. 글리세롤 또는 폴리올 용액을 글리세롤-바인딩 식물 탄닌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필모겐 글리세롤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탄닌은 분말 또는 액체로 첨가되는 필모겐 글리세롤 제조방법.
KR1020167000004A 2013-06-07 2013-06-07 글리세롤 및 탄닌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조성물 KR20160018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3/061835 WO2014194966A1 (en) 2013-06-07 2013-06-07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comprising glycerol and tanni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648A true KR20160018648A (ko) 2016-02-17

Family

ID=4865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004A KR20160018648A (ko) 2013-06-07 2013-06-07 글리세롤 및 탄닌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9597298B2 (ko)
EP (1) EP3003380B1 (ko)
JP (1) JP2016520626A (ko)
KR (1) KR20160018648A (ko)
CN (1) CN105377300A (ko)
AU (1) AU2013391738B2 (ko)
BR (1) BR112015030543B8 (ko)
CA (1) CA2913489C (ko)
ES (1) ES2917425T3 (ko)
HK (1) HK1222538A1 (ko)
IL (1) IL242707B (ko)
MX (1) MX2015016585A (ko)
RU (1) RU2640020C2 (ko)
WO (1) WO2014194966A1 (ko)
ZA (1) ZA2015085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602B1 (ko) * 2022-10-31 2023-04-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포도나무 줄기 및 유래성분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2891B2 (en) * 2013-09-19 2019-07-09 Medline Industries, Inc. Wound dressing containing saccharide and collagen
CA2974200A1 (en) * 2015-02-09 2016-08-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nd/or treatment compositions
BR112019006765B1 (pt) * 2016-10-04 2023-09-26 Membrane Protective Technologies, Inc Método para congelar células e tecidos
US11389392B2 (en) 2017-06-13 2022-07-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firming skin
US11701322B2 (en) 2018-03-23 2023-07-1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JP6844857B2 (ja) * 2018-05-11 2021-03-17 株式会社アカシアの樹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皮膚保湿用組成物
CN113613660B (zh) * 2019-03-29 2024-02-06 赢创运营有限公司 包含花色素苷组合物和抗病毒剂的组合制备物
WO2021119664A1 (en) 2019-12-10 2021-06-17 Mary Kay Inc. Herbal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CN113797126A (zh) 2020-06-16 2021-12-17 玫琳凯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
CA3191736A1 (en) 2020-09-08 2022-03-17 Vitrobio Sas Dual acting polymers in an osmotic film for topical application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and cytokine release syndrome
FR3117362B1 (fr) * 2020-12-15 2024-04-19 Oreal Procédé de revêtement des matières kératiniques avec un agent de revêtement formé par liaisons hydrogène d’un polyphénol avec un composé non-ionique polyoxyalkyléné, monoet/ ou polyglycérolé
FR3134986A1 (fr) * 2022-04-28 2023-11-03 L'oreal Composition de maquillage comprenant un polyphénol, un ester de polyglycérol, au moins une matière colorante, un mono-alcool et une teneur limitée en eau, et procédé la mettant en œuvre
WO2023208802A1 (en) * 2022-04-28 2023-11-02 L'oreal Makeup processes using a polyphenol and at least one polyglycerol compound, and composi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
FR3134985A1 (fr) * 2022-04-28 2023-11-03 L'oreal Composition de maquillage comprenant un polyphénol, un composé hydrocarboné ou siliconé polyoxyéthyléné et/ou polyoxypropyléné, un monoalcool et une teneur limitée en eau, et procédé la mettant en œuvre
FR3134970B1 (fr) * 2022-04-28 2024-03-15 Oreal Kit de maquillage des sourcils et de la peau autour des sourcils comprenant une composition anhydre filmogène et une composition de maquillage et procédé de maquillage à 3 couch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3984A (en) * 1974-02-11 1975-12-02 Atha Beatrice Z Shelf stable multi-use composition, preparation and use
FR2768342B3 (fr) * 1997-09-12 1999-12-03 Jean Louis Masson Creme curative aux proprietes sclero-retractiles et fibrosantes sur les hemorroides
ES2216515T3 (es) 1999-06-08 2004-10-16 Naturveda Composicion no solida para aplicacion local que comprende glicerol y un extracto de alchemilla vulgaris.
JP2003238435A (ja) * 2001-12-12 2003-08-27 Dai Ichi Seiyaku Co Ltd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JP2004123622A (ja) * 2002-10-03 2004-04-22 Toyo Shinyaku:Kk 血流改善外用剤
DE20310234U1 (de) * 2003-02-18 2003-09-18 Schmitt Martin Dermale Zubereitungen
DE10358747A1 (de) * 2003-12-12 2005-07-0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Darreichungsform basierend auf vernetzten hydrophilen Polymeren
RU2287324C1 (ru) * 2005-04-29 2006-11-20 Тамази Владимирович Баззаев Мазь для лечения ожоговых ран
US20080213300A1 (en) 2005-11-01 2008-09-04 Juice Beauty Compositions for Juice-Based Treatment Serums
AU2010213244A1 (en) * 2009-02-11 2010-08-19 Heglund, A.S. A composition for buccal absorption of nicotine for the purpose of smoking cessation
EA023814B1 (ru) * 2009-08-26 2016-07-29 Гленмарк Фармасьютикалс Лтд.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й на основе проантоцианидина дл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форм
US20110123700A1 (en) * 2009-11-25 2011-05-26 Peththawadu Pasan Thijee Instant liquid tea concentrate
EP2640409A1 (en) * 2010-11-19 2013-09-25 Vitro-Bio Sarl A synergistic composition of plant extracts for treating skin diseases involving abnormal cell grow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602B1 (ko) * 2022-10-31 2023-04-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포도나무 줄기 및 유래성분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7298B2 (en) 2017-03-21
JP2016520626A (ja) 2016-07-14
ES2917425T3 (es) 2022-07-08
EP3003380A1 (en) 2016-04-13
RU2015156267A (ru) 2017-07-13
AU2013391738A1 (en) 2015-12-17
ZA201508581B (en) 2017-01-25
US10335364B2 (en) 2019-07-02
AU2013391738B2 (en) 2019-03-14
CN105377300A (zh) 2016-03-02
US20170151172A1 (en) 2017-06-01
WO2014194966A1 (en) 2014-12-11
HK1222538A1 (zh) 2017-07-07
BR112015030543B1 (pt) 2022-05-03
US20160120824A1 (en) 2016-05-05
CA2913489A1 (en) 2014-12-11
MX2015016585A (es) 2016-07-26
BR112015030543B8 (pt) 2022-05-24
RU2640020C2 (ru) 2017-12-25
BR112015030543A2 (pt) 2017-07-25
CA2913489C (en) 2019-04-30
IL242707B (en) 2019-08-29
EP3003380B1 (en)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5364B2 (en)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comprising glycerol and tannins
JP2019080985A (ja) 抗微生物繊維及び組成物
EP3117842B1 (en) Tissue dressing material
EP2775838B1 (en) Aqueous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coniferous resin acids
CN107185031B (zh) 一种具有生物活性的医用敷料及其制备方法
EP2344173A1 (en) New synergic association for the treatment of deep skin or mucosa injuries
WO2014041440A1 (en) Honey-based dressing for the treatment of wounds and burns
CN106973888A (zh) 一种病理组织标本的保存液
Metwally et al. Wound-healing activity of green and chemical zinc oxide nanoparticles (ZnO-NPs) gels in equine wounds: a clinical study
ES2909243T3 (es) Extracto de salvia haenkei como un agente activo en procesos de reepitelización y cicatrización de tejidos
RU2699362C2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наночастиц диоксида церия и полисахаридов бурых водорослей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ES2850277A2 (es) Composiciones de administración farmacéutica y usos de las mismas
JP2010124821A (ja) 抗菌性保存液
JP6538218B2 (ja) グリセロールとタンニンを含む局所適用のための組成物
Serafini et al. Recent patents on medicinal plants/natural products as a therapeutic approach to wounds and burns healing
CN105126149A (zh) 一种医用复合壳聚糖敷贴
RU2329822C1 (ru) Антисептическое,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ое, болеутоляющее средство
CN103285418A (zh) 基于大面积烧伤创面用的新型生物抗菌敷料气雾剂
Gondokesumo et al. Effectivity of Patch Herbal Mixture Composed of Mangosteen Peel Extract and Bacterial Cellulose for Wound Healing
Dumitru et al. Bee-Derived Products: Chem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in Skin Tissue Engineering. Pharmaceutics 2022, 14, 750
RU2336868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ан у животных
Sifour et al. Burn healing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Atractylis gummifera (L)
Sukweenadhi et al. Wound Healing Effectiveness Test of Dermal Patch Formulated with Green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from Plantago major L. Extract
RU2742811C2 (ru) Растительный пре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Thakare et al. Silver nanoparticles in wound therapy and tissue re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