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265A -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265A
KR20160018265A KR1020140102615A KR20140102615A KR20160018265A KR 20160018265 A KR20160018265 A KR 20160018265A KR 1020140102615 A KR1020140102615 A KR 1020140102615A KR 20140102615 A KR20140102615 A KR 20140102615A KR 20160018265 A KR20160018265 A KR 2016001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put
input unit
screen
displayed
sc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882B1 (ko
Inventor
김정준
황세일
윤경희
이혜득
전봉준
황현아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882B1/ko
Priority to JP2015145654A priority patent/JP6333779B2/ja
Priority to US14/820,744 priority patent/US9946450B2/en
Publication of KR2016001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20Linear transl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정렬된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와,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면, 상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화면(screen)이나 패널에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를 세로(vertical) 및/또는 가로 (horizontal)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스크롤이라고 한다. 이동된 화면에서 사라진 부분만큼 반대 측에서 새로운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하나의 페이지 내에서 표시하는 정보의 양이 화면에서 표시할 수 있는 양보다 많기 때문에 이러한 스크롤 기능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스크롤을 수행하면서 화면상의 정보를 읽어갈 수가 있다. 콘솔, 워드 프로세서, 모바일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의 표시 장치에는 거의 예외 없이 스크롤 기능이 갖추어져 있다.
마우스와 같은 외부 기기가 구비되는 경우 휠을 움직이거나 스크롤바를 드래그하여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고,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경우 화면상의 페이지를 직접 클릭 또는 드래그하여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309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시간 순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 상에서 스크롤을 하는 도중에 최상단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크롤 기능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정렬된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와,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면, 상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정렬된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는 스크롤 인식부; 및 상기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크롤 동작에 따라 상기 페이지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롤 인식부가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면, 상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시간 순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 상에서 스크롤을 하는 도중에 최상단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스크롤 기능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및 페이지의 일부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예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제어 장치(100)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 제어 장치(10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단말(10)의 화면(11)의 표시를 제어한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화면(11) 상에 표시된 페이지가 스크롤될 때, 상기 페이지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시간 순으로 정렬된 페이지와 제1 기능 입력부(예를 들어, 메뉴 버튼)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스크롤 동작이 수행될 경우, 화면상에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제2 기능 입력부(예를 들어, 탑 버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이 제2 기능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페이지 최상단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스크롤 인식부(110) 및 표시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 인식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한다. 스크롤 인식부(110)는 스크롤 동작의 속도, 방향, 위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스크롤 동작은 터치패널을 이용한 터치 앤드 드래그를 통해 입력되거나, 모션 인식 기능을 이용해 제스쳐, 모션 등의 동작을 통해 입력되거나, 마우스의 휠, 조이패드 등 별도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되거나, 화면에 표시된 스크롤 바를 조작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표시 제어부(120)는 인식된 스크롤 동작에 기초하여 화면(11)에 표시된 페이지를 스크롤한다. 한편, 표시 제어부(120)는 화면(11) 상에 제1 기능 입력부(도 4의 38 참조)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크롤 인식부(110)가 스크롤 동작을 인식할 경우, 또는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며 그 스크롤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일 경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제2 기능 입력부(도 4의 39 참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표시 제어부(120)는 스크롤 인식부(110)가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면, 화면(11) 상에서 제1 기능 입력부가 사라지고, 제2 기능 입력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제어부(120)는 스크롤 인식부(110)가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면, 제1 기능 입력부가 제2 기능 입력부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표시 제어부(120)는 스크롤 인식부(110)가 스크롤 동작의 종료를 인식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없을 경우, 화면(11) 상에서 제2 기능 입력부가 사라지고, 제1 기능 입력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제어부(120)는 스크롤 인식부(110)가 스크롤 동작의 종료를 인식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없을 경우, 제2 기능 입력부가 제1 기능 입력부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120)는 터치 등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제2 기능 입력부를 선택하면, 화면(11)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 상에서, 스크롤 방향의 반대편 끝으로 이동하여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앤드 드래그 동작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스크롤을 수행하다가 제2 기능 입력부를 터치하면, 스크롤 방향(즉, 아래 방향)의 반대쪽 끝인 페이지의 최상부로 이동하여, 페이지의 최상부가 화면(11)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번의 입력을 통해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컨텐츠에 접근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UI/UX적인 흥미가 증진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제어부(120)는 제2 기능 입력부가 화면(11) 상에서 스크롤 방향의 단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앤드 드래그 동작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스크롤을 수행하고 있으면, 제2 기능 입력부가 화면(11)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화면(11)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페이지에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날짜 순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짜 순으로 정렬된 각 날짜별 컨텐츠들의 일 측에는 날짜 표시부(도 4의 32 참조)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4년 4월 21일에 작성(또는 수정 또는 업데이트 등)된 복수 개의 컨텐츠들의 상단에는 "2014년 4월 21일"이라고 표시된 날짜 표시부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하부에 배열된 2014년 4월 20일에 작성된 복수 개의 컨텐츠들의 상단에는 "2014년 4월 20일"이라고 표시된 날짜 표시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표시 제어부(120)는 스크롤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표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 영역을 클릭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클릭된 컨텐츠 영역을 확대하여 해당 컨텐츠 영역이 선택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컨텐츠 영역이 클릭된 상태가 소정의 임계시간을 초과하면, 컨텐츠 영역의 확대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120)는 컨텐츠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이동 시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스크롤 동작의 속도, 또는 이에 따른 페이지의 스크롤 속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이동 방향은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제어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은, 컨텐츠가 시간 순으로 정렬된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와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10 단계),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S120 단계),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제2 기능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30 단계), 제2 기능 입력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140 단계), 제2 기능 입력부가 선택되었을 경우,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이동하는 단계(S150 단계), 스크롤이 중단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160 단계), 스크롤이 중단되었을 경우, 제2 기능 입력부 대신 제1 기능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70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롤이 중단되었을 경우, 즉시 제2 기능 입력부 대신 제1 기능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또는 스크롤이 중단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제2 기능 입력부 대신 제1 기능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모두 스크롤이 중단되었을 경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및 페이지의 일부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페이지(30)는 복수의 컨텐츠 영역(31)을 포함하고, 각 컨텐츠 영역(31)에는 컨텐츠(C11, C12, C13 ... C71, C72, C73 ...)가 배치된다.
여기서, 페이지(30) 상에는 복수의 컨텐츠가 시간 순으로 정렬되며, 또한 시간 순으로 정렬된 이들 컨텐츠들이 날짜 순으로 그루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정렬된 각 날짜별 컨텐츠들의 일 측에는 날짜 표시부(32)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복수의 컨텐츠 영역(31)이 일렬로 나열되어 페이지(30)를 구성하는 예가 도시되었다. 그리고, 각 컨텐츠 영역(31)에는 각 날짜별 컨텐츠들이 3열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날짜별 컨텐츠들이 디스플레이된 각 컨텐츠 영역(31)의 상측에는 해당 날짜가 표시된 날짜 표시부(32)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날짜 표시부(32)에 날짜가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컨텐츠의 분포 빈도에 따라 월(月) 또는 연도(年度)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말(10)의 화면(11)에는 페이지(30)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 영역(33)으로서 표시된다. 사용자는 단말(10)에 표시된 페이지에 대하여 스크롤 동작을 입력하여 페이지를 스크롤 할 수 있다. 후술할 도 5 등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 드래그를 입력함으로써 스크롤 동작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사용자가 스크롤 동작을 입력함에 따라 페이지가 스크롤되면서, 화면(11) 밖에 가려져 있던 컨텐츠 영역이 화면(11)에 등장하게 된다.
한편, 화면 상에는 제1 기능 입력부(예를 들어, 메뉴 버튼)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스크롤 동작이 수행될 경우, 화면상에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제2 기능 입력부(예를 들어, 탑 버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이 제2 기능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페이지 최상단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가 시간 순으로 정렬된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S110 단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11)상에는 복수의 컨텐츠(C11, C12, C13 ... C71, C72, C73 ...)가 시간 순으로 정렬되며, 또한 시간 순으로 정렬된 이들 컨텐츠들이 날짜 순으로 그루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정렬된 각 날짜별 컨텐츠들의 일 측에는 날짜 표시부(32)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화면 상에는 제1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기능 입력부(38)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 입력부(38)는 특정 메뉴로 이동하는 메뉴 버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세 개의 메뉴 버튼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중 가운데 버튼은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의 메뉴 버튼을 터치 등의 방법으로 선택하면 이에 해당하는 타 메뉴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우측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이에 해당하는 또 다른 메뉴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세 개의 메뉴 버튼 중 가운데 버튼은 시계 아이콘이 도시되어 있으며 타임라인 메뉴를 나타내고, 좌측의 메뉴 버튼은 지도 아이콘이 도시되어 지도 메뉴를 나타내고, 우측의 메뉴 버튼은 인물 아이콘이 도시되어 컨텐츠 공유 메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 상에 제1 기능 입력부(38)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이 수행되어 이를 스크롤 인식부(110)에서 인식(S120 단계)하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20)는 화면(11)상에 제1 기능 입력부(38) 대신 제2 기능 입력부(39)를 디스플레이(S130 단계)한다.
여기서, 표시 제어부(120)는 스크롤 동작이 인식되는 즉시 화면(11)상에 제1 기능 입력부(38) 대신 제2 기능 입력부(39)가 디스플레이(S130 단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제어부(120)는 스크롤 동작이 인식되면 스크롤 속도를 판단하여, 스크롤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일 경우에만 화면(11)상에 제1 기능 입력부(38) 대신 제2 기능 입력부(39)가 디스플레이(S130 단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표시 제어부(120)는 스크롤 동작이 인식되면 스크롤 동작 입력 시간을 판단하여, 스크롤 동작 입력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일 경우에만 화면(11)상에 제1 기능 입력부(38) 대신 제2 기능 입력부(39)가 디스플레이(S130 단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동작을 입력하기 시작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능 입력부(38)가 일 단부(도면에서는 아래쪽)로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계속 사용자가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능 입력부(38) 중 좌측 버튼 및 우측 버튼은 화면 아래쪽으로 사라지고, 제1 기능 입력부(38) 중 시계 아이콘이 그려진 가운데 버튼 대신 탑 아이콘이 그려진 제2 기능 입력부(39)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때, 시계 아이콘이 그려진 제1 기능 입력부(38)가 사라지고 탑 아이콘이 그려진 제2 기능 입력부(39)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또는 시계 아이콘이 그려진 제1 기능 입력부(38)가 탑 아이콘이 그려진 제2 기능 입력부(39)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기능 입력부(38)는 화면 안쪽에 있으므로 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제2 기능 입력부(39)는 화면 경계부에 걸쳐 있으므로 반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세히, 표시 제어부(120)는 제1 기능 입력부(38) 대신 제2 기능 입력부(39)를 화면(11)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제1 기능 입력부(38)가 사라지고 제2 기능 입력부(39)가 화면(1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화면(11)상에 제1 기능 입력부(38)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스크롤이 수행되면, 제1 기능 입력부(38)가 화면(11)에서 사라지고 제2 기능 입력부(39)가 화면(1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제어부(120)는 제1 기능 입력부(38) 대신 제2 기능 입력부(39)를 화면(11)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제1 기능 입력부(38)가 제2 기능 입력부(39)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도 4와 같이 화면(11)상에 제1 기능 입력부(38)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스크롤이 수행되면, 세 개의 제1 기능 입력부(38)(예를 들어, 메뉴 버튼) 중 나머지 두 개의 메뉴 버튼은 사라지고, 가운데의 메뉴 버튼이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제2 기능 입력부(39)(예를 들어, 탑 버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제어부(120)는 제2 기능 입력부(39)가 화면(11) 상에서 스크롤 방향의 단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11)을 아래에서 위로 드래그(drag)할 경우, 페이지는 위에서 아래로 스크롤되며, 이 상태에서 제2 기능 입력부(39)는 스크롤 방향(즉 아래쪽 방향)의 끝부분인 하단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화면(11)을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drag)할 경우, 페이지는 아래에서 위로 스크롤되며, 이 상태에서 제2 기능 입력부(39)는 스크롤 방향(즉 위쪽 방향)의 끝부분인 상단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기능 입력부(39)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40 단계)하여, 제2 기능 입력부(39)가 선택되었을 경우,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이동 (S150 단계)한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제2 기능 입력부(39)가 선택되었을 경우, 스크롤 방향의 반대편 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11)을 아래에서 위로 드래그(drag)할 경우, 페이지는 위에서 아래로 스크롤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기능 입력부(39)를 터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방향(즉 아래쪽 방향)의 반대편인 상측 끝(상단부)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화면(11)을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drag)할 경우, 페이지는 아래에서 위로 스크롤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기능 입력부(39)를 터치하면, 스크롤 방향(즉 위쪽 방향)의 반대편인 하측 끝(하단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크롤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60 단계)하여, 스크롤이 중단되었을 경우, 제2 기능 입력부(39) 대신 제1 기능 입력부(38)를 디스플레이(S170 단계)한다. 이때, 스크롤이 중단되는 즉시 제2 기능 입력부(39) 대신 제1 기능 입력부(38)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또는 스크롤이 중단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제2 기능 입력부(39) 대신 제1 기능 입력부(38)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모두 스크롤이 중단되었을 경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능 입력부(38)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때, 표시 제어부(120)는 화면(11) 상에서 제2 기능 입력부(39)가 사라지고, 제1 기능 입력부(38)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제어부(120)는 제2 기능 입력부(38)가 제1 기능 입력부(39)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면(11) 상에서 제2 기능 입력부(39)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 기능 입력부(39) 대신 제1 기능 입력부(38)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도 5와 같이 화면(11) 상에 제2 기능 입력부(39)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기능 입력부(39)를 터치 앤 드래그하여 제2 기능 입력부(39)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화면(11) 상에 제2 기능 입력부(39) 대신 제1 기능 입력부(38)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시간 순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 상에서 스크롤을 하는 도중에 최상단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스크롤 기능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표시 제어 장치
110: 스크롤 인식부
120: 표시 제어부

Claims (23)

  1.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정렬된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와,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면, 상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능 입력부가 사라지고, 상기 제2 기능 입력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사라지고, 상기 제1 기능 입력부가 사라진 자리에 제2 기능 입력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동작이 중단되면, 상기 제2 기능 입력부가 사라지고, 상기 제1 기능 입력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능 입력부가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입력부가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기능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로 변경되면서, 상기 제1 기능 입력부의 아이콘이 상기 제2 기능 입력부의 아이콘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동작이 중단되면, 상기 제2 기능 입력부가 상기 제1 기능 입력부로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선택하면,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 상에서, 상기 스크롤 방향의 반대편 끝으로 이동하여 상기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선택하면,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상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스크롤 방향의 단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는 상기 화면 상에서 하단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2 기능 입력부 대신 상기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사용자 입력에 의한 터치 앤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시키면, 상기 제2 기능 입력부 대신 상기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정렬된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와,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지 상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여, 상기 스크롤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1 항 내지 제 16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정렬된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는 스크롤 인식부; 및
    상기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크롤 동작에 따라 상기 페이지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1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롤 인식부가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면, 상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인식부가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면, 상기 제1 기능 입력부가 사라지고, 상기 제2 기능 입력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크롤 인식부가 스크롤 동작의 중단을 인식하면, 상기 제2 기능 입력부가 사라지고, 상기 제1 기능 입력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인식부가 스크롤 동작을 인식하면, 상기 제1 기능 입력부가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크롤 인식부가 스크롤 동작의 중단을 인식하면, 상기 제2 기능 입력부가 상기 제1 기능 입력부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선택하면,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 상에서, 상기 스크롤 방향의 반대편 끝으로 이동하여 상기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기능 입력부가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스크롤 방향의 단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인식부가 인식한 스크롤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제1 기능 입력부 대신 상기 제2 기능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KR1020140102615A 2014-08-08 2014-08-08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10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615A KR101610882B1 (ko) 2014-08-08 2014-08-08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145654A JP6333779B2 (ja) 2014-08-08 2015-07-23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それをコンピュータで実行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4/820,744 US9946450B2 (en) 2014-08-08 2015-08-07 Scrolling display control interface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615A KR101610882B1 (ko) 2014-08-08 2014-08-08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265A true KR20160018265A (ko) 2016-02-17
KR101610882B1 KR101610882B1 (ko) 2016-04-08

Family

ID=5526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615A KR101610882B1 (ko) 2014-08-08 2014-08-08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46450B2 (ko)
JP (1) JP6333779B2 (ko)
KR (1) KR101610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6308S1 (en) * 2015-01-02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423184B1 (ko) * 2015-05-29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7214168A1 (en) * 2016-06-07 2017-12-14 Bounce Exchange, Inc. Systems and methods of dynamically providing information at detection of scrolling operations
CN107885413A (zh) * 2016-09-30 2018-04-06 法乐第(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图标对齐方法及装置
US10891044B1 (en) * 2016-10-25 2021-01-12 Twitter, Inc. Automatic positioning of content items in a scrolling display for optimal viewing of the i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099A (ko) 2010-01-13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9102B2 (en) * 2000-07-17 2007-10-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sensors in a device with a display
JP5355872B2 (ja) * 2007-08-15 2013-1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66741B2 (en) * 2008-08-29 2013-10-22 Microsoft Corporation Internal scroll activation and cursor adornment
CA2727470A1 (en) * 2010-07-16 2012-01-16 Exopc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application in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panel
JP5745241B2 (ja) * 2010-09-08 2015-07-0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5478439B2 (ja) * 2010-09-14 2014-04-23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
JP5355521B2 (ja) 2010-09-22 2013-11-27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5285040B2 (ja) 2010-09-22 2013-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
JP2014089489A (ja) * 2011-02-25 2014-05-15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US9529515B2 (en) * 2011-04-19 2016-12-27 Google Inc. Zoom acceleration widgets
US9454299B2 (en) * 2011-07-21 2016-09-2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s and computer programs for selecting functi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5930363B2 (ja) 2011-11-21 2016-06-08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情報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KR20130080947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리스트 표시장치 및 방법
US20140007005A1 (en) * 2012-06-29 2014-01-02 Evernote Corporation Scrollable calendar with combined date and time controls
US20150199082A1 (en) * 2012-11-13 2015-07-16 Google Inc. Displaying actionable items in an overscroll area
US20140152585A1 (en) * 2012-12-04 2014-06-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099A (ko) 2010-01-13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38910A (ja) 2016-03-22
KR101610882B1 (ko) 2016-04-08
US9946450B2 (en) 2018-04-17
JP6333779B2 (ja) 2018-05-30
US20160042721A1 (en)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0086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ホバリング入力処理
KR101705872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상의 영역 선택 방법 및 장치
CN104102441B (zh) 一种菜单项执行方法及装置
KR101768690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10882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03530047B (zh) 一种触摸屏设备事件触发方法及装置
EP3736675B1 (en)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 on touchscreen and terminal
US20130227464A1 (en) Screen change method of 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EP25440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n touch screen
KR100795590B1 (ko)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전자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산물
KR101610880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08132721B (zh) 生成拖动手势的方法、触控装置以及便携式电子设备
US10318132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641063B1 (ko)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04500B1 (ko)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0049318A (ja) 移動制御プログラム
KR102057805B1 (ko) 인터랙션 스크롤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2732157A (zh) 媒体文件播放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579605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150106764A1 (en) Enhanced Input Selection
KR102419695B1 (ko) 스크롤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70046061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KR101326123B1 (ko)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의 영역을 구분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80173392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EP2763020A1 (en) Dynamic stylus pal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