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893A -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893A
KR20160017893A KR1020140101444A KR20140101444A KR20160017893A KR 20160017893 A KR20160017893 A KR 20160017893A KR 1020140101444 A KR1020140101444 A KR 1020140101444A KR 20140101444 A KR20140101444 A KR 20140101444A KR 20160017893 A KR20160017893 A KR 2016001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lifting
rod pin
pos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256B1 (ko
Inventor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이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규 filed Critical 이준규
Priority to KR102014010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2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 또는 튀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확장하거나 하이패스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삽입된 카드를 록킹과 해제하도록 사용되는 승강자치를 하트형상으로 형성된 하트캠을 구성시켜 승강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하트캠의 구성을 개선하여 승강하는 높이를 조절하여 단계별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하던 하트형상의 캠은 대체로 승강하는 높이가 일정하여 출몰되는 길이가 일정하게 된다. 그러한 이유는 하트형상의 트랙 일측을 따라 상승한 걸림후크는 다시 타측을 따라 하강하기 때문에 승강높이가 일정할 수밖에 없는 구성이어서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승강장치의 하트캠을 1개 이상 형성시켜 구성을 개량하여 승강 높이를 최대로 하거나 또는 하트캠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직렬로 배열함으로써, 승강 높이를 단계별로 승강 가능하게 조절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사용자가 원하는 단계로 로드핀을 안내하는 회전편을 구성시킴으로써, 종래 사용에 제한이 따르던 승강장치를 다방면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Lifting device consisting of a hert-shaped cam}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흐름 또는 튀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확장하거나 하이패스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삽입된 카드를 록킹과 해제하도록 사용되는 승강자치를 하트형상으로 형성된 하트캠을 구성시켜 승강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하트캠의 구성을 개선하여 승강하는 높이를 조절하여 단계별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 설치되는 물 튀김 방지판을 확장 및 축소하거나 또는 유체의 흐름을 승강 동작으로 차단 및 해제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볼펜심을 볼펜 몸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시키거나 또는 일반카드를 카드단말기에 인입 및 인출시키도록 사용하는 등 다방면에서 승강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승강장치는 대체로 사용자가 누르면 밀려 들어가고 다시 누르면 다시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원리는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랙을 형성하고, 그 트랙과 접촉한 로드핀이 트랙을 따라 로드핀이 이동하면서 걸림과 해제를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제공된 하트형상의 캠이 구비된 종래의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447698호(명칭: 출몰형 터치펜이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변환젠더)이 제공되었으며, 그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터치팬을 전후방향 슬라이딩 이동시켜 터치팬이 젠더본체로 출몰하도록 구성되는 펜작동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펜작동수단은 작동버튼이 전방으로 한번 누르면 그 위치를 고정시킴과 함께 재차 눌릴 때 고정을 해제시키는 버튼고정수단을 하트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랙홈을 형성하고, 그 트랙홈과 접촉 이동하는 걸림후크로 구성된 것으로서, 트랙홈과 접촉된 걸림후크는 하트 상측으로 이동하여 골부분에 걸려 터치팬이 인출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골부분에 위치했던 걸림후크가 해제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터치팬을 인입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하던 하트형상의 캠은 대체로 승강하는 높이가 일정하여 출몰되는 길이가 일정하게 된다. 그러한 이유는 하트형상의 트랙 일측을 따라 상승한 걸림후크는 다시 타측을 따라 하강하기 때문에 승강높이가 일정할 수밖에 없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싱크대에서 설거지하거나 또는 요리재료를 다듬는 과정에서 튀는 물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워터가드인 경우, 승강 높이가 일정하면 신장의 차이가 있는 사용자 모두가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신장이 작은 사람은 워터가드를 최소로 축소하여 사용하고, 신장이 중간 사람은 워터가드를 약간 확장하며, 신장이 큰 사람은 워터가드를 최대 확장하는 것이 물이 튀어 옷을 버리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팔이 간섭없이 작업을 하는데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에 사용되는 하트형상의 캠은 단계별로 확장 및 축소할 수 없는 구성으로서, 다방면에서의 사용이 곤란하고, 그러함으로써 활용가치가 저하되는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승강장치의 하트캠 구성을 개량하여 승강 높이를 최대로 하거나 또는 승강 높이를 단계별로 승강 가능하게 조절시킴으로써, 종래 사용에 제한이 따르던 승강장치를 다방면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하부가 관통되어 승강공간을 확보하고, 그 승강공간의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내주연 하부의 후방 일구간에 스프링받침대가 구비되며, 내주연 하부의 전방에는 로드핀고정홈이 형성되는 슬리브와, 상기 로드핀고정홈에 고정되고, 자체탄성력을 갖는 로드핀과, 상부에는 헤드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직경이 작은 기둥 형상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홈과 대응하는 포스트 위치에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의 승강공간으로 삽입되고,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되며, 전방에는 하트형상의 트랙그루브를 형성시켜 로드핀의 선단이 접촉된 상태로 승강 안내하여 록킹 및 해제되는 포스트, 및 상기 스프링지지부재에 끼워져 상부는 헤드와 접촉하고, 하부는 스프링받침대에 걸려지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트랙그루브는 상부에 "V" 홈 형상의 록킹부와 하부에 "V" 면 형상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하트형상으로 형성된 하트캠을 구성하고, 상기 하트캠의 일측에는 포스트를 하강시키면 고정된 로드핀을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가 형성되고, 그 최상부에 형성된 하트 하단 형상의 안내부에 로드핀이 안내되어 록킹부에 걸림되고, 타측은 포스트를 눌러 록킹된 로드핀이 해제 이탈되어 포스트를 승강시키는 상승부가 형성되며, 그 최하부에 형성된 록킹부에 로드핀이 걸리도록 이루어져 하트캠의 외주연과 상승,하강부가 상호 연통하되, 상기 하트캠 최상부의 록킹부 중심에서 상방향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의 중심은 일치하거나, 또는 하강부 측으로 벗어나고, 하트캠의 최하부의 가이드부 중심에서 하방향에 배치되는 록킹부의 중심은 상승부 측으로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트캠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적정한 간격으로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그 간격에 하강부와 단차지게 진입이탈부가 형성되고, 그 진입이탈부의 타측 상승부에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입이탈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회전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편의 회전축을 슬리브 외부에서 회전시켜 회전편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에 대응하는 슬리브 위치에 각도조절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의 후면에 고정판이 고정 설치되고, 포스트의 상,하부와 승강판이 고정 설치된 가드를 구성하여, 포스트의 승강 동작으로 승강판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가드가 확장 및 축소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그루브에 하트캠을 구성시키고, 그 외주연을 따라 고정된 로드핀이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포스트가 승강한 후 견고하게 걸려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하트캠을 2개 이상으로 형성시켜 진입이탈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포스트를 눌러 원하는 높이만큼 단계별로 출몰시키거나 또는 포스트를 강하게 눌러 최상부까지 바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다방면에서의 사용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로 배열된 하트캠의 진입이탈부 타측에 회전편을 구성함으로써, 로드핀이 최하부까지 내려오지 않고 회전된 회전편이 해당 단계의 진입이탈부로 로드핀을 안내시킨 후 걸리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포스트를 출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편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슬리브에 형성된 각도조절구멍으로 삽입한 도구로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슬리브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더라도 출몰 높이를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장치는 다방면에 활용이 가능하며, 그 실시예로 유체의 흐름 또는 튀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적절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슬리브를 단면하여 내부가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포스트가 하강하여 로드핀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회전편이 회전되어 높이가 낮게 승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승강장치를 가드에 적용한 사용상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승강장치(1)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크게 슬리브(10)와 그 슬리브(10)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포스트(30)와 포스트(30)의 전방에 형성되어 슬리브(10)에 고정된 로드핀(20)이 이동을 안내하는 하트캠(41)이 형성된 트랙그루브(40)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10)는 상,하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관통되어 내부에 승강공간(11)을 마련하고, 그 승강공간(1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된 회전방지홈(12)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며, 승강공간(11)의 내주연에서 사용자 방향인 후방 일구간에 스프링받침대(13)가 구비되며, 그 전방에는 로드핀(20)이 끼워져 휘어졌을 때, 직립상태로 복원하도록 하는 로드핀고정홈(14)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핀(20)은 로드핀고정홈(14)에 고정되어 선단이 후술할 선단이 트랙그루브(40)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자체탄성력으로 트랙그루브(40)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자유자재로 구부려지고,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정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정확한 안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포스트(30)는 상부에 헤드(31)가 형성되며, 그 헤드(31)의 하부에는 승강공간(11)에 삽입되는 직경으로 길게 기둥(32)이 형성되고, 승강공간(11)에 형성된 회전방지홈(12)에 대응하는 기둥(32)의 외측에는 회전방지돌기(33)가 돌출형성되어 승강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로드핀(20)이 트랙그루브(40)의 정위치에서 접촉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포스트(30)의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스프링지지부(34)가 형성되어, 그 스프링지지부(34)에 끼워져 상부는 헤드(31)의 하면과 접촉하고, 하부는 스프링받침대(13)의 상면에 걸려지는 스프링(35)이 구성되어, 포스트(30)가 눌려지면 헤드(31)가 스프링(35)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되며, 헤드(31)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지지부(34)는 기둥(32)과 함께 슬리브(10)의 승강공간(11)을 간섭없이 관통하여 하강하게 되고, 스프링(35)의 압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또한, 포스트(30)의 전방에는 트랙그루브(40)를 형성하여 고정된 로드핀(20)이 트랙을 따라 움직이면서 록킹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랙그루브(40)는 상부에 "V"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록킹부(4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V" 면 형상의 가이드부(43)가 형성되어 이를 하트형상으로 연결되는 하트캠(41)이 구성되며, 그 하트캠(41)의 일측 즉, 도면상에서 우측에는 포스트(30)를 누르면 로드핀(20)에 안내되어 하강시키는 하강부(4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포스트(30)를 다시 누르면 상승하도록 상승부(45)가 형성되어, 하트캠(41)의 외측과 상승,하강부(45)(44)는 상호 연통되고, 고정된 로드핀(20)이 그 연통된 트랙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트캠(41) 최상부의 록킹부(42) 중심(C1)에서 그 상방향에 간격을 두고 연통되어 로드핀(20)이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43)의 중심(C2)을 상호 일치하거나, 또는 하강부(44) 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하트캠(41)의 최하부의 가이드부(43) 중심(C3)에서 하방향에 배치되는 록킹부(42)의 중심(C4)은 상승부(43) 측으로 벗어나 형성된다.
이와 같이, 트랙그루브(40)가 형성되면 최초 직립상태의 로드핀(20)은 최하부의 록킹부(42)에 위치한 상태에서 포스트(30)를 눌러 하강하면 최하부의 가이드부(43) 중심(C3)이 상승부(45) 방향 즉, 좌측으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우측 경사면이 먼저 로드핀(20)에 접촉되어 로드핀(20)을 하강부(44) 측인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상승하게 되며, 최상부층까지 이동한 로드핀(2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방된 록킹부(42) 방향으로 복원 수용되면서 포스트(30)가 고정된다.
이후, 다시 포스트(30)를 누르면 록킹부(42)가 하강하면서 로드핀(20)이 해제되고, 최상부에 위치한 가이드부(43)에서 상승부 방향 즉, 좌측면과 접촉하면서 로드핀(20)이 좌측으로 휘어지면서 상승부(45)를 따라 이동하여 하부에서는 복원력에 의해 록킹부(42)로 안내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트랙그루브(40)에 1개의 하트캠(41)을 형성시켜 일정한 높이로 포스트(30)를 승강시킬 수 있고,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트캠(41)을 직렬로 배열시켜 포스트(30)의 승강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하트캠(41)과 그 직하부에 로드핀(20)이 진입 및 이탈되는 진입이탈부(46)의 간격을 두고 다른 하트캠(41)을 형성하되, 그 진입이탈부(46)와 하강부(44)는 서로 단차지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각 진입이탈부(46)로 진입하는 로드핀(20)이 걸려 딸깍하는 느낌과 소리로 단계진입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포스트(30)를 힘을 주어 길게 누르면 단차를 넘어가지 못한 로드핀(20)이 최상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진입이탈부(46)의 타측 상승부(45) 방향에는 회전을 통해 그 진입이탈부(46)의 타측을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도록 회전축(51)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편(50)을 구성시킴으로써, 포스트(30)의 상승에 의해 하강하는 로드핀(20)을 개방된 진입이탈부(46)로 안내하여 진입시키거나 또는 폐쇄시켜 상승부(45) 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편(50)을 직립상태를 유지하면 진입이탈부(46)를 폐쇄하게 되어 로드핀(20)은 간섭없이 하강하게 되고, 회전편(50)의 회전축(5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면 회전편(50)이 연동하여 상승부(45)를 폐쇄하는 동시에 진입이탈부(46)는 개방되어 로드핀(20)이 회전편(50)과 접촉되면서 복원력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안내되어 해당 단계위치의 록킹부(42)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고, 다시 포스트(30)를 누르게 되면 록킹부(42)가 하강하면서 로드핀(20)은 해제되어 가이드부(43)에 안내되어 하강부(44)로 진입 이동하여 포스트(3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편(50)의 상부 선단은 상승부(45)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시켜, 회전편(50)을 회전시키면 상부 경사부분과 상승부(45)가 상호 유격 없이 밀착되어 로드핀(20)이 원활하게 안내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편(50)은 사용자가 해당높이에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슬리브(10)의 전면에 각도조절구멍(15)을 형성시켜 십자 또는 일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진입이탈부(46)를 폐쇄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어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1)를 일실시예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해제하고, 또는 물이 사용자에게 틔어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가드(60)에 설치시켜 승강 동작으로 가드(60)의 크기를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면 도 8과 같이, 슬리브(10)의 후면에 가드(60)에서 고정되는 고정판(61)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61)의 일면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승강판(62)와 포스트(30)가 고정되는 것으로서, 포스트(30)와 결합된 승강판(62)을 사용자가 누르면 포스트(30)가 하강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로드핀(20)에 트랙그루브(40)가 안내되면서 하강하여 로드핀(20)이 최상부 록킹부(42)에 안착되거나, 또는 단계별로 위치한 진입이탈부(46)로 안내되어 해당 록킹부(42)에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장치(1)는 일실시예의 가드(60)뿐만 아니라 탁구 테이블의 네트로 사용하여 사용시에는 승강판을 상승시키고, 비사용시에는 테이블로 하강 수용시켜 여러 학생이 사용할 수 있는 책상으로 이용가능하며, 카드단말기인 경우 포스트의 헤드를 인입된 카드가 밀어 넣을 수 있고, 카드를 다시 한번 누르면 카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여러 실시예가 가능한 것으로서, 다방면에서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장치(1)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포스트(30)를 누르면 스프링(35)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고, 이때 최상부의 록킹부(42)도 하강하면서 로드핀(20)의 구속이 해제되고, 그 상방향에 위치한 가이드부(43)의 좌측면에 로드핀(20)이 접촉되면서 상승부(45) 방향으로로 휘어지고, 구속이 해제된 포스트(30)는 상승하여 로드핀(20)이 최하부의 록킹부(42)로 이동 후, 걸려 고정된다.
이렇게 로드핀(20)이 최하부에 위치한 록킹부(42)에 고정되면 포스트(30)의 상승 확장이 완료된다.
또는, 포스트(30)의 높이를 단계별로 확장 및 축소를 하고자하면 각도조절구멍(15)으로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축(51)을 회전시키면 연동된 회전편(50)이 상승부(45)를 차단하게 되고, 동시에 해당 단계의 진입이탈부(46)는 개방됨으로써, 로드핀(20)이 회전편의 경사면을 따라 해당 단계의 록킹부(42)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승강장치(1)의 승강은 포스트(30)를 누름으로써 이루어지는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포스트(30)는 고정되고, 슬리브(10)가 이동되도록 하여 그 슬리브(10)를 누르면 고정된 트랙그루브(40)와 접촉된 로드핀(20)이 승강 이동한 후, 해당 높이의 록킹부(42)에 안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장치(1)는 트랙그루브(40)에 형성된 하트캠(41)을 1개 또는 직렬방향으로 2개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포스트(30)를 누르면 고정된 로드핀(20)이 트랙그루브(40)의 형상에 맞춰 휘어지면서 이동하여 해당 단계의 록킹부(42)에 안착 고정되는 것이고, 나아가 상승 및 하강의 높이를 비교적 짧게 하기 위해서는 간단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의 회전편(50)을 회전시킴으로써, 로드핀(20)이 최하부까지 내려가지 못하여 승강 높이가 짧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으로 된 승강장치(1)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승강장치: 1 슬리브: 10
승강공간: 11 회전방지홈: 12
스프링받침대: 13 로드핀고정홈: 14
각도조절구멍: 15 로드핀: 20
포스트: 30 헤드: 31
기둥: 32 회전방지돌기: 33
스프링지지부: 34 스프링: 35
트랙그루브: 40 하트캠: 41
록킹부: 42 가이드부: 43
하강부: 44 상승부: 45
진입이탈부: 46 회전편: 50
회전축: 51 가드: 60
고정판: 61 승강판: 62

Claims (5)

  1. 상,하부가 관통되어 승강공간(11)을 확보하고, 그 승강공간(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회전방지홈(12)이 형성되며, 내주연 하부의 후방 일구간에 스프링받침대(13)가 구비되며, 내주연 하부의 전방에는 로드핀고정홈(14)이 형성되는 슬리브(10);
    상기 로드핀고정홈(14)에 고정되고, 자체탄성력을 갖는 로드핀(20);
    상부에는 헤드(31)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직경이 작은 기둥(32)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홈(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회전방지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0)의 승강공간(11)으로 삽입되고,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지지부(34)가 형성되며, 전방에는 하트형상의 트랙그루브(40)를 형성시켜 로드핀(20)의 선단이 접촉된 상태로 승강 안내되어 록킹 및 해제되는 포스트(30): 및
    상기 스프링지지부(34)에 끼워져 상부는 헤드(31)와 접촉하고, 하부는 스프링받침대(13)에 걸려지도록 하는 스프링(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그루브(40)는
    상부에 "V" 홈 형상의 록킹부(42)와 하부에 "V" 면 형상의 가이드부(43)가 구비된 하트형상으로 형성된 하트캠(41)을 구성하고,
    상기 하트캠(41)의 일측에는 포스트(30)를 하강시키면 고정된 로드핀(20)을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44)가 형성되고, 그 최상부에 형성된 하트 하단 형상의 가이드부(45)에 로드핀(20)이 안내되어 록킹부(42)에 걸림되고, 타측은 포스트(30)를 눌러 록킹된 로드핀(20)이 해제 이탈되어 포스트(30)를 승강시키는 상승부(45)가 형성되며, 그 최하부에 형성된 록킹부(42)에 로드핀(20)이 걸리도록 이루어져 하트캠(41)의 외주연과 상승,하강부(45)(44)가 상호 연통하되,
    상기 하트캠(41) 최상부의 록킹부(42) 중심(C1)에서 상방향에 배치되는 가이드부(43)의 중심(C2)은 일치하거나, 또는 하강부(44) 측으로 벗어나고, 하트캠(41) 최하부의 가이드부(43) 중심(C3)에서 하방향에 배치되는 록킹부(42)의 중심(C4)은 상승부 측으로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캠(41)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적정한 간격으로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그 간격에 하강부(44)와 단차지게 진입이탈부(46)가 형성되고, 그 진입이탈부(46)의 타측 상승부에는 회전축(5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입이탈부(46)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회전편(50)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편(50)으로 진입이탈부(46)를 폐쇄하면 상승부(45)는 개방되어 로드핀(20)은 트랙그루브(40)의 최하부까지 이동하고, 진입이탈부(46)를 해제하면 상승부(45)는 폐쇄되어 로드핀(20)이 회전편(50)에 안내되면서 해당 단계의 록킹부(42)로 진입하여 걸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50)의 회전축(51)을 슬리브(10) 외부에서 회전시켜 회전편(5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에 대응하는 슬리브(10) 위치에 각도조절구멍(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의 후면에 고정판(61)이 고정 설치되고, 포스트(30)에 승강판(62)이 고정 설치된 가드(60)를 구성하여, 포스트(30)의 승강 동작으로 승강판(52)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가드(60)가 확장 및 축소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KR1020140101444A 2014-08-07 2014-08-07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KR101605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44A KR101605256B1 (ko) 2014-08-07 2014-08-07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44A KR101605256B1 (ko) 2014-08-07 2014-08-07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93A true KR20160017893A (ko) 2016-02-17
KR101605256B1 KR101605256B1 (ko) 2016-03-21

Family

ID=5545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444A KR101605256B1 (ko) 2014-08-07 2014-08-07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4224A (zh) * 2021-12-31 2022-05-13 泰安中科生产力促进有限公司 一种环境空气监测采样滤膜智能裁剪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4224A (zh) * 2021-12-31 2022-05-13 泰安中科生产力促进有限公司 一种环境空气监测采样滤膜智能裁剪设备
CN114474224B (zh) * 2021-12-31 2024-02-02 泰安中科生产力促进有限公司 一种环境空气监测采样滤膜智能裁剪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256B1 (ko)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759U (ko) 자전거용 2단 주차장치
US5597204A (en) Height adjustment device
CN113339671B (zh) 一种显示屏升降旋转方法、支架结构及显示装置
KR101605256B1 (ko) 하트캠이 구비된 승강장치
KR20100045008A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CN207370607U (zh) 煎烤机
US7802326B2 (en) Bath tub lifter
CN109330255B (zh) 一种椅座的升降扶手
KR101570188B1 (ko) 반복적인 밀어줌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승강체를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와 정지 상태의 해제를 위한 락킹-언락킹구조체
CN206189828U (zh) 瓷砖定位器
AU2009248445A1 (en) Riding Lift Table for Detection of Mineral Sample Box on Vertically Extending Rack
US3441272A (en) Adjustable stilts
JP3286284B2 (ja) 脚台固定装置
KR200418222Y1 (ko) 모니터 승강장치가 구비된 책상
KR200336943Y1 (ko) 학생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JP2580430B2 (ja) ブラインド装置
KR200204485Y1 (ko) 팔걸이
US4333407A (en) Lifting device for the presser foot of a sewing machine
KR100715506B1 (ko) 도어스토퍼
CN219753887U (zh) 一种建筑外墙用外防护架
KR200468437Y1 (ko) 도어 회전유닛의 각도 제한 제어구
CN215350144U (zh) 一种用于床护栏升降的操作把手及其组成的锁定机构
JPH11189397A (ja) 玄関リフト
KR20160117952A (ko) 골프 티 승강 장치
JPS62416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