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814A -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 - Google Patents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814A
KR20160017814A KR1020140100965A KR20140100965A KR20160017814A KR 20160017814 A KR20160017814 A KR 20160017814A KR 1020140100965 A KR1020140100965 A KR 1020140100965A KR 20140100965 A KR20140100965 A KR 20140100965A KR 20160017814 A KR20160017814 A KR 20160017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ynthetic resin
weight
foamabl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강중
Original Assignee
(주)동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정밀 filed Critical (주)동양정밀
Priority to KR102014010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814A/ko
Publication of KR2016001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시공성이 우수하며, 인간에게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도 방출하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와, 견운모 조성물 50 내지 100 중량부와, 가소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발포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과 상기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은 통기성이 우수하고 경량의 발포수지패널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발포수재패널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및 산소를 다량 방출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중금속 등 공기 중의 유해물질 효과적으로 흡착하므로 공기질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연성 및 방염성이 우수하여 고온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도 구조물의 손상이나 화재의 우려가 적다.

Description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FOAMABLE SYNTHETIC RESIN COMPOSITION, PANEL FOR DUCT CONTAINING THE SAME, ITS PRODUCT MANUFACTURED DUCT}
본 발명은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성이 우수하며, 인간에게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도 방출하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에 관한 것이다.
에어덕트는 대개 롤 형태의 알루미늄 호일, 합성수지 테이프, 부직포 등과 같은 덕트소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원통형으로 제조하거나, 금속제 밴드를 삼각형, 사각형, 혹은 원형의 통으로 목적에 맞게 권취하여 제조한다.
도 1은 종래 에어덕트의 일실시예로써, 알루미늄 호일, 합성수지 테이프, 부직포 등과 같은 덕트소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제작한 에어덕트(10)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덕트소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할 때 가장자리가 일부가 중첩되는 선행 덕트소재(11)와 후행 덕트소재(12)간의 중첩부위에 강선(13)을 매입하여 에어덕트(10)를 원통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에어덕트(10)는 내부통로를 흐르는 공기와 외기간의 온도차가 없거나 온도차에 의한 열이동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공간에서 단순히 공기의 이동만을 목적으로 하는 곳에서는 사용가능하나, 내외기간에 온도차가 있는 공간에서는 결로가 발생한다거나, 열손실이 발생한다거나, 소음이 전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덕트(10)는 습한 공기가 통과하면 곰팡이 등의 세균이 증식되기 쉬우며, 세균 증식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공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어 건물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2는 종래 에어덕트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열, 방음 및 결로 기능을 개선한 에어덕트(20)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예의 에어덕트(10) 외주에 단열재(14)로 둘러싸고, 상기 단열재(14) 외주를 외피 자켓(15)으로 둘러싼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단열재(14)의 작용으로 에어덕트(20)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 간에 열전달이 차단되어 내부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변화를 줄일 수 있고, 열전달의 차단에 따라 결로현상이 없어지며, 내부 통로의 소음이 단열재(14)에서 흡수되어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어덕트(20)는 도 1에 도시된 예의 에어덕트(10)를 제조하는 공정에 더하여 단열재(14)와 외피 자켓(15)을 덧씌우는 공정이 추가되어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단열재(14)와 외피 자켓(15)이 추가된 에어덕트(20)는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9559호(2011.04.1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0360호(2008.10.0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우수한 시공성의 제공은 물론 원적외선, 음이온이 방출되어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며,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전술한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전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제조된 덕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와, 견운모 조성물 50 내지 100 중량부와, 가소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발포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통기성이 우수하고 경량의 발포수지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포수지패널과 이를 적용한 덕트는 건물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고 산소 농도를 증가시켜 건물 내부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발포수지패널은 덕트 시공 현장에서 접거나 꺽거나 절단하기 쉬워서 가공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형태로 덕트를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덕트는 금속 덕트에 비해 경량이기 때문에 시공성이 향상되고, 천정에 설치 시 고정하는 구조물에 부담을 경감시켜 주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중금속 등 공기 중의 유해물질 효과적으로 흡착하므로 공기질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연성 및 방염성이 우수하여 고온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도 구조물의 손상이나 화재의 우려가 적다.
도 1은 종래 에어덕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에어덕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음이온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공기에 포함된 음이온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발포성 수합성수지 조성물은 발포성 합성수지와, 견운모 조성물,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는 열에 의해 발포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라면 어떠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PVC, EVA, PU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PE-1311(LG 화학 제품) 60 중량부 및 LP-090(LG 화학 제품) 4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는 LP-170(LG 화학 제품) 85 중량부 및 LB-110(LG 화학 제품) 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견운모 조성물은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견운모 조성물은 견운모만을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일정량의 물을 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물은 환경 친화적이고, 무색??무미??무취한 것으로, 연수, 증류수, 탈이온수 또는 정제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요소의 종류 및 그 사용량이나, 목적으로 하는 견운모 분말의 성형방법 또는 용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물의 사용량은 넓은 범위, 예컨대 견운모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20 내지 80 중량%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견운모 조성물에 물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견운모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이 용이하게 혼합되지 않고, 80 중량% 초과로 사용되면 다른 구성요소의 함량이 떨어져 전체적인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 견운모 분말은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세포활성을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90% 이상 방출하며,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각종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니는 물질로, 견운모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분말 형태로 20 내지 80 중량%가 포함된다.
상기 견운모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사용자에 충분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제공할 수 없으며, 견운모 분말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하면 견운모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이 용이하게 혼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견운모는 점토광물의 일종으로, 색깔은 은백색으로 견사광택이 강하게 나타난다. 광물학적으로는 운모족에 속하고 화학 조성과 결정구조는 백운모와 흡사하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93% 내외이며, 음이온 발생량이 700개/cc 내외이고, 가장 안전한 음이온, 예컨대 저선량 자연방사선을 방사하며, 각종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닌다. 또한, 견운모는 pH 8.8의 알카리성이므로 산화 방지 및 산성화된 곳의 중화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견운모로부터 발산된 원적외선은 피부 세포를 침투하여 각 세포의 물분자에 공조 진동을 일으켜 세포조직을 활성화시켜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혈액의 순환을 향상시키고, 소취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견운모는 알파(α)파를 방사하여 유해 박테리아 발생을 70% 이상 억제하고, 중금속, 유기물, 냄새 및 잡균을 흡착 분해시키며,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을 풍부하게 제공한다.
아울러, 견운모의 분자구성은 KAl2(AlSi3O10)(OH)2이며, 이산화규소(SiO2)와 산화알루미늄(Al2O3)과 산화칼륨(K2O)과 산화칼슘(CaO)과 산화철(Fe2O3)과 산화마그네슘(MgO)과 산화나트륨(Na2O) 등의 물과 격하게 반응하는 물질을 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구성들이 물질의 이온화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상기 산화칼륨은 공기 중의 물에도 반응하여 고열을 발산하는 것으로 이때 이온화 에너지가 발생된다. 그리고 산화마그네슘은 물과 반응하여 용적의 큰 수산화 마그네슘이 되는데 이 물질적 작용에서도 이온화 에너지가 발생된다. 또한, 산화나트륨은 물과 격하게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으로 변화는데 이 과정에서도 이온화 에너지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견운모를 구성하는 성분들이 물과 반응하는 성질로부터 공기 중의 습기와 활발한 이온교환을 수행하며, 이로 인하여 마이너스 이온(O2-)이 방출되어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양이온과 결합하여 산소가 생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전기적으로 물질을 분해하여 이온화를 행하나, 견운모는 구성성분인 산화카륨, 산화칼슘,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산화나트륨 등이 물과 반응함에 따라 이온화 즉, 광물의 내부에서 전기분해가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광석물 조성물 코팅층은 실내 공기 중의 습기(수분)와 반응하여 마이너스 이온(O2-)을 방출하며, 상기 마이너스 이온은 공기 중에 분포된 양이온을 끌어 당겨 결합하여 산소를 생성한다.
상기 견운모 분말은 견운모를 분쇄기에서 350 내지 1,000 메쉬로 분쇄한 것으로서, 견운모 분말의 평균 입도가 325 메쉬 미만이면 물과 견운모 분말의 혼합물이 제대로 겔화되지 않으며, 견운모 분말의 평균 입도가 1,000 메쉬를 초과하면 견운모 분말의 분쇄 비용에 대비하여 견운모 조성물의 물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기타 첨가제는 발포성 합성수지와 견운모 조성물로 구성된 혼합물의 유동성을 개선하거나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견운모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으로서, 가소제와 발포제가 포함된다.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로는 증점제, 안정제, 항균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로는 디소노닐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 다이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DOP), 다이옥틸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DOA), 트라이크레실포스테이트(Tricresyl Phosphate TCP), 벤젠다이카복실산(benzendicarboxylic acid)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소제는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가소제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발포수지패널이 강도나 경도는 높게 형성되나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성이 낮아진다. 그리고 가소제가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건물에 시공되는 덕트의 최소요구 강도가 부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발포수지패널 자체가 부드러워져 덕트에 사용되면 덕트의 중간 부분이 하중에 의해 늘어지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로는 DINP(LG화학 제품) 또는 친환경 가소제 GL-300(LG 화학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발포성 합성수지를 발포시켜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로 제작된 발포수지패널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 내지 2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발포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발포수지패널의 단열성능이 저하된다. 그리고 발포제가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발포수지패널이 지나치게 발포되어 두께가 두꺼워져 시공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발포제로는 메틸 클로라이드, 에틸 클로라이드, 펜탄, 이소펜탄, 퍼플루오로메탄, 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퍼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클로로펜타플루오로에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퍼플루오로프로판, 클로로헵타플루오로프로판, 디클로로헥사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부탄, 클로로노나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시클로부탄,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벤젠술폰히드라지드, 4,4-옥시벤젠 술포닐-세미카르바지드, p-톨루엔 술포닐 세미카르바지드, 바륨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및 트리히드라지노 트리아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점제 0.01 내지 1 중량부, 안정제 2 내지 4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의 겔화를 촉진하고 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우레탄, 친수성 점토 겔화제, 잔탄 검(xanthan gum), 아크릴계 화합물, 및 에톡시화된 우레탄(ethoxylated urethane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점토 겔화제, 아크릴릭 알칼리 용해성 에멀젼 또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증점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의 점성이 저하되고, 증점제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되어 균일한 두께의 패널 제조가 어려워진다.
상기 안정제는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가공 시에 발포수지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고, 가공성을 개선하며, 제품의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또한, 안정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발포성형 시에 열분해가 발생할 수 있고, 제품의 외관이 손상될 수 있으며, 가공설비에 손상을 주기도 하며, 제품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안정제의 함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더라도 안정제의 효과가 증가되지 않고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제조방법은 발포성 합성수지와 견운모 조성물과 가소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물 생성단계(S100)와, 상기 혼합물에 발포제를 첨가한 후 1 내지 30㎜의 두께의 판 형태로 발포성형 하는 발포단계(S200), 및 상기 발포성형 된 판의 표면을 가열처리하는 가열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제조방법을 사용하면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은 전술한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 생성단계(S100)는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와 견운모 조성물 50 내지 100 중량부 및 가소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발포단계(S200)는 혼합물 생성단계를 통해 생성한 혼합물을 발포시키기 위해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발포제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을 생성하고,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을 발포성형 장치에 주입하여 1 내지 30㎜의 두께의 패널을 제작한다.
상기 가열단계(S300)는 발포단계(S200)를 통해 제작된 패널의 표면에 기공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패널의 표면을 가열하는 단계로, 300 내지 320 ℃의 온도로 상기 패널의 표면을 가열한다.
이는, 발포단계(S200)를 통해 제작된 패널의 표면에 기공이 노출되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러붙어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은 그대로 사용되어 시공현장에서 절단이나 붙임가공을 통해 덕트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은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 구획,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구획으로 구분되며 각 구획의 경계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두께로 커팅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사각형 구조의 덕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4구획이나 5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삼각형 구조의 덕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3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은 별도의 절단이나 붙임가공이 수행하지 않더라도 덕트를 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리 가공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을 커팅 처리된 경계면을 기준으로 절곡시킨 후 인접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양 측단을 부착시키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전면이 사각형 구조를 갖는 덕트가 완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은 인접한 양 측단을 부착시키는 대신 전면이 사각형 구조를 갖는 덕트의 둘레를 따라 금속 테이프나 금속호일을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덕트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다만 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상술한 발명의 특정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권리범위 등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견운모 조성물의 제조
1. 500 메쉬의 견운모 분말 7.5㎏, 용매인 정제수 2.5㎏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제 1 견운모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2. 상기 제 1 견운모 조성물을 70분간 355rpm으로 교반하여 견운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견운모 조성물 500g과 PVC 1 ㎏, 가소제 250g을 교반기에 투입하고, 1분 30초간 1800rpm으로 교반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2. 상기 혼합물에 발포제 15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230℃의 노에서 90초 동안 발포하여 2㎜ 두께의 패널을 제작하였다.
3. 상기 패널의 표면을 300℃로 가열시켜 표면에 기공이 제거나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을 제작하였다.
4. 상기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을 가공하여 전면이 사각형 구조를 갖는 덕트를 제작하였다. 이에 따라 제작된 덕트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덕트와 일반 대기에 존재하는 음이온 발생량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밀폐된 방에 상기 덕트를 배치하고, 상기 덕트 전면의 음이온을 공기이온측정기[AIC-2000, Alphalab, 미국]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덕트를 외부로 옮기고 밀폐된 방을 환기시킨 후 상기 방 내부의 음이온을 공기 이온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표시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덕트가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
    견운모 조성물 50 내지 100 중량부;
    가소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발포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증점제 0.01 내지 1 중량부; 및
    안정제 2 내지 4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가 PVC, EVA, P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소노닐프탈레이트, 다이옥틸프탈레이트, 다이옥틸아디페이트, 트라이크레실포스테이트, 벤젠다이카복실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따른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 구획으로 구분되며, 각 구획의 경계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두께로 커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7. 제 6 항에 따른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용 발포수지패널의 둘레를 따라 금속 테이프나 금속호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KR1020140100965A 2014-08-06 2014-08-06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 KR20160017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965A KR20160017814A (ko) 2014-08-06 2014-08-06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965A KR20160017814A (ko) 2014-08-06 2014-08-06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14A true KR20160017814A (ko) 2016-02-17

Family

ID=5545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965A KR20160017814A (ko) 2014-08-06 2014-08-06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8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360A (ko) 2008-07-22 2008-10-08 배세경 윈도우 프로파일 및 환기용 덕트에 사용되는 항균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9559B1 (ko) 2010-11-22 2011-04-15 (주)세이크엠이씨 골판지로 형성된 공조덕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360A (ko) 2008-07-22 2008-10-08 배세경 윈도우 프로파일 및 환기용 덕트에 사용되는 항균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9559B1 (ko) 2010-11-22 2011-04-15 (주)세이크엠이씨 골판지로 형성된 공조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9349B (zh) 一种被动式复合调湿颗粒及其应用
CN102226035B (zh) 保健型竹炭复合粉半硬质聚氨酯泡沫生产方法
KR20160080287A (ko) 왕겨를 포함하는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60130465A1 (en) Multi-function soft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122104A (zh) 一种耐高温抗菌泡沫塑料
JP2006265538A (ja) 機能性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40898A (zh) 一种竹炭墙面漆
KR20160017814A (ko) 덕트용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덕트용 발포수지패널, 및 덕트용 발포수지패널로 구성된 덕트
KR101511672B1 (ko) 기능성 탄성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4580B1 (ko) 수용성 아크릴 수지계 친환경 벽지 결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9054236A (zh) 一种可净化甲醛的pvc装饰材料
CN105269889A (zh) 一种负离子膜
CN105544788A (zh) 一种环保墙体
CN104118177B (zh) 一种车用内饰面料
CN105178019A (zh) 一种艾绒复合吸音棉及其制备方法
WO2012111941A3 (ko) 실내 내벽 마감구조
KR100679121B1 (ko)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입자의 혼합물이 함유된 폴리우레탄 스폰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6045461A (zh) 一种硅藻土生态调湿材料的制备方法
CN204467556U (zh) 一种新型坐垫
CN105153784A (zh) 功能内墙涂料添加液
CN108727740A (zh) 一种脚垫材料
JP5037962B2 (ja) 多孔樹脂成形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126189B1 (ko)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20439B1 (ko) 천연라텍스 폼 제조방법
CN108329778A (zh) 一种硅藻泥、活性炭复合室内装饰涂料的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