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410A -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410A
KR20160017410A KR1020140100791A KR20140100791A KR20160017410A KR 20160017410 A KR20160017410 A KR 20160017410A KR 1020140100791 A KR1020140100791 A KR 1020140100791A KR 20140100791 A KR20140100791 A KR 20140100791A KR 20160017410 A KR20160017410 A KR 20160017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lmet
user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410A/ko
Publication of KR2016001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5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모는 공기를 정화 및 냉각하는 공기정화냉각부, 상기 공기정화냉각부에서 정화 및 냉각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공기유동통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모{Safety helmet}
본 개시(disclosure)는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정화 및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널리 착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모는 단순히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구현, 보강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에 따라 안전모로 인해 머리의 열기가 빠져나가지 못하여 작업자에게 열감, 호흡곤란 등을 유발하고, 작업자가 오히려 안전상의 이유로 안전모를 벗고 작업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작업장 중 특히 용접을 하는 현장은 공기가 나쁘고, 용접열기에 의해 땀이 나기 쉬워, 이러한 현상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한편, 본 개시된 기술과 관련되는 구체적인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9717호(2012.03.16 등록, 발명의 명칭: 용접면 부착용 안전모)에 개시되어 있다.
본 개시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함은 물론 작업장의 오염된 공기나 고온의 환경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관점에 따르는 안전모는 공기를 정화 및 냉각하는 공기정화냉각부; 및 상기 공기정화냉각부에서 정화 및 냉각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공기유동통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헬멧본체부에 설치된 공기정화냉각부로 작업장의 공기를 정화 및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함은 물론 작업자를 오염된 공기와 고온의 작업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랜턴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나 광량을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어두운 공간에서의 작업이 추가적인 조명장치 없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전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냉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전모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작업장의 오염된 공기나 고온의 환경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냉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전모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전모는 공기정화냉각부(10), 헬멧본체부(20), 안면보호부(30), 랜턴부(40)를 포함한다.
공기정화냉각부(10)는 작업장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및 냉각시킨 후 배출한다. 헬멧본체부(20)는 공기정화냉각부(10)가 설치되는 결합부(22)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다. 공기정화냉각부(10)에서 정화 및 냉각된 공기(이하 ' 청정 공기'라 한다)는 헬멧본체부(2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안면보호부(30)는 헬멧본체부(20)의 전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링한다. 헬멧본체부(20)에서 사용자의 안면측으로 분사된 공기는 사용자의 안면과 안면보호부(30)의 사이에 머무르게 된다. 랜턴부(40)는 헬멧본체부(20)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빛을 조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정화냉각부(10)는 필터부(11), 냉각부(15), 유동형성부(16)를 포함한다.
필터부(11)는 공기를 살균, 탈취, 정화하는 부분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부(11)는 하우징(12), 자외선발광부(13), 광촉매필터부(14)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로서, 자외선발광부(13)와 광촉매필터부(14)를 수용하여 헬멧본체부(20)와 연결된다. 하우징(12)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하우징(12)의 일측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된 광촉매필터부(14)에 의해 살균 및 탈취가 이루어져 정화된 후 하우징(12)의 타측부로 배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은 필터부(11)뿐만 아니라 냉각부(15)와 유동형성부(16)에 걸쳐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우징(12) 중 유동형성부(16)가 위치되는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냉각부(15)가 위치되는 타측부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동형성부(16)에서 필터부(11)를 거쳐 냉각부(15)에 이르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자외선발광부(13)는 광촉매필터부(14)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를 구비하여,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된다. 자외선발광부(13)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광촉매필터부(14)에 포함된 광촉매 소재에 작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산화, 분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자외선발광부(13)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와 기판부(132)를 포함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는 광촉매필터부(14)에 작용하여 활성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300 내지 4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는 광촉매를 이용해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살균, 탈취하게 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 중 일부를 200 내지 3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하면,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는 것에 의해 공기를 살균, 탈취시킬 수도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는 상기와 같은 파장 범위에 따라 명확하게 광촉매 작용 또는 직접 살균 작용을 택일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주요한 작용을 달리 구현하게 되는 것이므로, 300 내지 4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 중 일부는 광촉매필터부(14)와의 작용이 아니라 유기물질에 직접 조사되는 것에 의해 살균, 탈취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200 내지 3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 중 일부도 광촉매필터부(14)와의 작용에 의해 살균, 탈취를 구현할 수 있다.
기판부(132)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를 설정 위치에 탑재할 수 있는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전원공급장치(미도시)에서 전달받은 전원을 복수개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로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회로 등이 구비된다. 기판부(132)는 하우징(12)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는 기판부(132)상에 하우징(12)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광촉매필터부(14)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촉매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12)의 내부에 자외선발광부(13)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자외선발광부(13)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한다. 광촉매필터부(14)는 하우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필터체의 표면에 광촉매 소재를 도포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필터체는 공기와 접하는 일측면을 구비한 면재(판재) 또는 양재(덩어리)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공기가 투과될 수 있도록 망이나 스펀지 형상을 가지는 메탈폼(metal foam)이나 다공성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르는 광촉매 소재로는 탄소를 포함하는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는 이산화티타늄(TiO2)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광촉매필터부(14)에 포함된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자외선에 의해 일명 라디칼(radical)로 칭하는 활성 산소를 생성하게 되며, 이 라디칼이 유기물질을 산화해서 탄산가스(CO2)와 수증기(H20) 등으로 분해시키게 된다. 화학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이산화티타늄을 적용하면 상기와 같은 거동을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부수적으로 발생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외선발광부(13)와 광촉매필터부(14)는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항균살균, 탈취, 공기 정화의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광촉매필터부(14)는 하우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2)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연속하여 노출된다. 하우징(1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유동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발광부(13)와 광촉매필터부(14)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자외선발광부(13)와 광촉매필터부(14)의 광촉매 작용에 의해 정화된다. 광촉매필터부(14) 중 자외선발광부(13)와 마주하는 일면부를 오목부와 볼록부를 가지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면, 단순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 자외선발광부(13)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면적 및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보다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의 살균, 탈취, 정화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냉각부(15)는 필터부(11)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부(15)는 펠티에 효과에 의해 공기를 냉각하는 열전소자(熱電素子, Thermoelectric Module; TEM)를 포함한다. 서로 다른 두개의 소자 양단에 직류 전압을 가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일측면에서는 흡열을, 타측면에서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을 펠티에(Peltier) 효과라 한다. 열전소자의 구체적인 구조와 형상에 대해서는 비스모트와 테르르의 화합물(Bi2Te3) 등의 반도체로 만든 pn접합 구조를 가지는 열전소자의 공지 기술을 따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냉각부(15)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나, 공기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면 공지의 히트 싱크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동형성부(16)는 필터부(11)와 냉각부(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유동형성부(16)는 팬(17)과 회전구동장치(18)를 포함한다.
팬(17)은 회전 날개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하우징(12)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강제 형성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팬(17)은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2)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12)의 유입부측에 설치된다. 팬(17)의 회전 구동 시 하우징(12)의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유입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2)의 내부로 강제 유입되고,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부(11)를 거쳐 정화된 후 냉각부(15)를 거쳐 하우징(12)의 타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팬(17)은 상기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상에 설치된 구조를 가지나, 필터부(11)와 냉각부(15)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면 하우징(1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구동장치(18)는 팬(17)을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을 생성한다. 회전구동장치(18)는 배터리(19)에서 재생된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에너지로 전환하여 팬(17)으로 전달한다. 회전구동장치(18)로는 모터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팬(17)의 회전축을 모터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연결함으로써 회전구동장치(18)의 구동 시 팬(17)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본체부(20)는 외부쉘부(21)와 내부쉘부(23)를 포함한다.
외부쉘부(21)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경질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쉘부(21)상에는 공기정화냉각부(10)가 설치되는 결합부(22)가 마련된다. 일례로, 결합부(22)는 공기정화냉각부(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오목하게 또는 관통되게 형성되고, 공기정화냉각부(10)는 결합부(22)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결합부(22)는 공기정화냉각부(10)에서 배출된 공기를 내부쉘부(23)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유로를 구비하여 외부쉘부(21)의 외면부상에 체결홀부 또는 걸림턱부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내부쉘부(23)는 외부쉘부(21)의 내면부에 대응되는 반구형상을 가지고 외부쉘부(21)의 내면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머리와 접하게 된다. 내부쉘부(23)상에는 공기정화냉각부(10)에서 정화 및 냉각된 공기가 사용자의 머리측으로 유동될 수 있는 공기 유동 경로를 이루는 공기유동통로(24)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유동통로(24)는 유동가이드부(25)와 통공부(26)를 포함한다.
유동가이드부(25)는 공기정화냉각부(10)에서 정화 및 냉각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측에 공급되도록 내부쉘부(23)의 전방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미도시 되었으나, 유동가이드부(25)의 일측부는 공기정화냉각부(10)로부터 정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유동가이드부(25)의 일측부를 통해 유동가이드부(25)로 유입된 공기는 유동가이드부(25)의 연장방향을 따라 유동되면서 내부쉘부(23)의 하단부까지 도달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과, 머리 측면부 등을 향해 하향 분사된다. 여기서 유동가이드부(25)의 일측부는 내부쉘부(23)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정화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단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의미한다. 다른 표현으로, 정화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단부를 제외한 유동가이드부(25)의 다른 어떤 부분으로 정화 공기가 유입되어도, 유동가이드부(25)의 연장방향을 따라 유동되면서 내부쉘부(23)의 하단부까지 도달되어 하향 분사되는 작동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유동가이드부(25)는 내부쉘부(23)의 후방부에서 전방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내부쉘부(23)의 전방단부에 그 단부가 위치되는 유동가이드부(25)를 통과한 정화 공기는 사용자의 안면측에서 하향 분사하되며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되고, 내부쉘부(23)의 측면부에 그 단부가 위치되는 유동가이드부(25)를 통과한 정화 공기는 사용자의 머리 측면부측에서 하향 분사되며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가이드부(25)는 내부쉘부(23) 중 외부쉘부(21)와 접하는 일측면상에 다른 부분에 비해 오목하게, 즉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부쉘부(23)와 외부쉘부(21)를 분리하여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덩어리로 이루어진 헬멧본체부(20)의 내면부와 외면부의 사이에 유동가이드부(25)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 유동가이드부(25)를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유동가이드부(25)는 도 2,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 외에도 방사형 등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쉘부(23)가 아닌 외부쉘부(21)상에 형성되는 실시예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공부(26)는 내부쉘부(23)상에 사용자의 머리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공기정화냉각부(10)에서 배출되어 통공부(26)로 유입된 정화 공기는 내부쉘부(23)를 관통하여 사용자의 머리로 분사된다. 통공부(26)에 의해 공기정화냉각부(10)에서 정화 및 냉각된 공기가 헬멧본체부(20)에 덮인 머리 상부를 향해 직접 분사되어, 머리카락과 헬멧본체부(20)로 덮인 머리 부분에 시원한 공기 흐름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에서 방출되는 열기를 식힘과 동시에 공기의 유동에 의해 땀의 수분을 헬멧본체부(20)의 외부로 이동시켜 제거함으로써, 헬멧본체부(20)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 청정 공기가 항상 머무르게 되어 쾌적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통공부(26)는 유동가이드부(25)와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유동가이드부(25)와 통공부(26)를 이격되게 형성하면, 유동가이드부(25)를 통한 공기 분사와 통공부(26)를 통한 공기 분사가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유동가이드부(25)와 통공부(26) 각각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압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외부쉘부(21)와 내부쉘부(23)의 사이에 공기정화냉각부(10)에서 유동가이드부(25) 또는 통공부(26)에 이르는 이격공간부를 형성하거나, 외부쉘부(21)의 내면부 또는 내부쉘부(23)의 외면부상에 공기정화냉각부(10)에서 유동가이드부(25) 또는 통공부(26)에 이르는 유로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공기정화냉각부(10)에서 배출된 공기를 유동가이드부(25)의 일측부 또는 통공부(26)로 공급할 수 있다.
안면보호부(30)는 헬멧본체부(20)의 전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부쉘부(21)의 상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외부쉘부(21)상에 착탈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안면보호부(30)는 공기의 분산을 차단할 수 있는 연속된 면체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헬멧본체부(20)에서 사용자의 안면측으로 분사된 공기는 사용자의 안면과 안면보호부(30)의 사이에 머무르게 되어, 사용자는 정화 및 냉각된 공기로 호흡을 지속할 수 있다.
안면보호부(30)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구비될 수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종류 중 하나를 선택, 교체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써, 안면보호부(30)는 용접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전체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의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자외선 차단 코팅된 투명한 소재의 창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일례로써, 안면보호부(30)는 용접 작업이 아닌 다른 작업 시 안면보호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은 보호하면서 시야를 개방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용접 작업을 하는 경우, 용접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안면보호부(30)를 헬멧본체부(20)에 결합시킨 상태로 안전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용접 작업이 아닌 다른 작업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용접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안면보호부(30)를 헬멧본체부(20)에서 분리시킨 후, 안면보호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안면보호부(30)를 이용해 시야 확보를 저해받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는 용도, 편의에 따라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안면보호부(30) 중 하나를 선택하여 헬멧본체부(20)에 결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랜턴부(40)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해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빛을 조사한다. 랜턴부(40)는 각도 조절 장치, 광량 조절 장치를 구비하여 그 조사 각도와 광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랜턴부(40)에 마련되는 각도 조절 장치, 광량 조절 장치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개시에 따르는 안전모에 의하면, 헬멧본체부(20)에 설치된 공기정화냉각부(10)로 작업장의 공기를 정화 및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함은 물론 작업자를 오염된 공기와 고온의 작업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랜턴부(40)에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나 광량을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어두운 공간에서의 작업이 추가적인 조명장치 없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공기정화냉각부 11 : 필터부
12 : 하우징 13 : 자외선발광부
14 : 광촉매필터부 15 : 냉각부
16 : 유동형성부 17 : 팬
18 : 회전구동장치 19 : 배터리
20 : 헬멧본체부 21 : 외부쉘부
22 : 결합부 23 : 내부쉘부
24 : 공기유동통로 25 : 유동가이드부
26 : 통공부 30 : 안면보호부
40 : 랜턴부 131 :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132 : 기판부

Claims (12)

  1. 공기를 정화 및 냉각하는 공기정화냉각부; 및
    상기 공기정화냉각부에서 정화 및 냉각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공기유동통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본체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냉각부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필터부와 상기 냉각부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유동형성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헬멧본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외선발광부; 및
    자외선에 의해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촉매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발광부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외선발광부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필터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필터부는
    상기 자외선발광부와 마주하는 일면부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가지는 요철 형상을 가지는
    안전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펠티에 효과에 의해 공기를 냉각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안전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성부는
    회전에 의해 공기 흐름을 강제 형성하는 팬; 및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회전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본체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정화냉각부가 설치되는 외부쉘부; 및
    상기 외부쉘부의 내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접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되는 내부쉘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통로는
    상기 공기정화냉각부에서 정화 및 냉각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측에 공급되도록 상기 내부쉘부의 전방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부는
    상기 내부쉘부 중 상기 외부쉘부와 접하는 일측면상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전모.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본체부의 전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가이드부에서 분사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과의 사이에 머무를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링하는 안면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모.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통로는
    상기 내부쉘부상에 사용자의 머리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본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빛을 조사하는 랜턴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모.
KR1020140100791A 2014-08-06 2014-08-06 안전모 KR20160017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791A KR20160017410A (ko) 2014-08-06 2014-08-06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791A KR20160017410A (ko) 2014-08-06 2014-08-06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10A true KR20160017410A (ko) 2016-02-16

Family

ID=5544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791A KR20160017410A (ko) 2014-08-06 2014-08-06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4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621B1 (ko) * 2019-12-27 2020-08-28 홍석표 방진용 안전 헬멧
KR102350104B1 (ko) * 2020-08-20 2022-01-11 조영욱 모자 탈부착형 에어커튼 장치 및 에어커튼 장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모자
KR102465075B1 (ko) * 2021-12-16 2022-11-09 대한민국 Ict기반 다기능 스마트 헬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621B1 (ko) * 2019-12-27 2020-08-28 홍석표 방진용 안전 헬멧
KR102350104B1 (ko) * 2020-08-20 2022-01-11 조영욱 모자 탈부착형 에어커튼 장치 및 에어커튼 장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모자
KR102465075B1 (ko) * 2021-12-16 2022-11-09 대한민국 Ict기반 다기능 스마트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932B1 (en) Welding helmet
KR20150142971A (ko) 이동식 공기청정기
KR20160017410A (ko) 안전모
KR101956156B1 (ko) 복합 기능을 갖춘 안전 헬멧
KR200474766Y1 (ko) 음이온 풍 발생 모듈을 구비한 헬멧
JP6129392B1 (ja) ヘアケア装置
JP4927199B2 (ja) イオン発生機
KR101104449B1 (ko) 쿨링 용접 헬멧
CN109069685A (zh) 催化剂装置及包括其的车辆用空调装置
KR102275011B1 (ko) 다기능 공기 청정 마스크
US11896104B2 (en) Sanitizing hair dryer
KR102297464B1 (ko) 가습 살균 공기 정화기
KR20060088686A (ko) 선풍기형 공기 청정기
JP7233143B1 (ja) ウィッグスタンドおよびウィッグスタンドセット
KR20160017411A (ko) 청과물 보관장치
JP2022017830A (ja) ヘルメット
JP6903211B1 (ja) 衣服
WO2021224948A1 (en) Protective suit with ulteravaliont sterilization
KR102362274B1 (ko) 호흡기용 공기 청정 장치
JP2018183432A (ja) 医療用レーザー装置およびレーザー照射装置
US20230354981A1 (en) Method for modulating the bladder microbiome to improve bladder health
EP4062948A1 (en) Personal apparatus for air disinfection by uv
RU2775298C1 (ru) Маска с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м обеззараживанием вдыхаемого и выдыхаемого воздуха
KR200454989Y1 (ko) 공기청정수단을 갖는 화상표시장치
GB2600136A (en) Air treatment assembly, ambulatory article, air treatment unit and air treat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