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239A -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239A
KR20160017239A KR1020140098971A KR20140098971A KR20160017239A KR 20160017239 A KR20160017239 A KR 20160017239A KR 1020140098971 A KR1020140098971 A KR 1020140098971A KR 20140098971 A KR20140098971 A KR 20140098971A KR 20160017239 A KR20160017239 A KR 20160017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sprocket
chain
arra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402B1 (ko
Inventor
목홍균
임희창
정원영
Original Assignee
(주)황금에너지
정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황금에너지, 정원영 filed Critical (주)황금에너지
Priority to KR102014009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40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기에 따라 정확하게 자동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각도 조절을 위한 구동부의 동력 전달 요소의 견고한 고정으로 탈락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구동부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 어레이가 설치되는 어레이 지지체; 상단은 어레이 지지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기둥; 정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스프로킷; 스프로킷과 어레이 지지체의 양단 하부를 연결해주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어레이 지지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체인부; 및 고정 기둥의 하부에서 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컨트롤러로 모터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절기에 따라 정확한 각도로 태양광 어레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와 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을 삼중으로 감아서 동력을 전달받게 함으로써, 외부 환경이나 강풍에도 체인이 탈락이 방지되며, 조절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apparatus for automatic angle adjustment of photovoltaic array}
본 발명은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기에 따라 정확하게 자동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각도 조절을 위한 구동부의 동력 전달 요소의 견고한 고정으로 탈락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구동부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어레이는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얻기 위하여 1장 또는 여러 장의 태양 전지 모듈을 연결해서 거치대로 설치한 장치를 말한다.
태양광 어레이는 발전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태양광선이 90도로 비칠 수 있도록 경사각도를 맞춰준다. 즉 절기에 따라 태양광 어레이의 높낮이 조절해서 지면에 대한 태양광 어레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태양광을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태양광 어레이의 각도 조절은 모터를 조작하여 태양광 어레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자동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태양광 어레이의 각도를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하기 때문에 각도 조작이 부정확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태양광 어레이는 태양광을 최대한 많이 받게 하기 위하여 지면에 대하여 높게 설치되거나 건물의 옥상 또는 지붕에 설치되는데, 건물의 옥상 또는 지붕은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태양광 어레이의 각도 조절을 위한 구동부 동력전달 요소의 탈락이 자주 발생하고, 그에 대한 지속적인 보수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기에 따라 정확한 각도로 태양광 어레이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어레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의 동력 전달 요소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탈락이 방지되고, 조절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시에 구동부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태양광 어레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어레이(10)가 설치되는 어레이 지지체(100); 상단은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은 지면(1)에 고정되는 고정 기둥(200); 상기 고정 기둥(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300); 상기 모터(300)의 회전축(310)에 축결합되는 스프로킷(400); 상기 스프로킷(400)과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양단 하부를 연결해주어, 상기 모터(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체인부(500); 및 상기 고정 기둥(200)의 하부에서 상기 모터(300)의 구동을 조작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로킷(400)은 한 쌍의 서로 이격된 이중 스프로킷(410)과,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로킷축(420)과,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사이에서 경사진 형태로 상기 스프로킷축(420)에 끼워져 왕복 운동하는 이동 스프로킷(430)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부(500)는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에 걸쳐져, 상기 체인부(500)가 상기 스프로킷(400)에 견고하게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600)의 조작으로 상기 모터(30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부(500)와 연결된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양단에는,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보다 넓은 지름으로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둘레 중 일부를 덮어주어 상기 체인부(500)의 탈락을 방지하는 가이드판(4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600)는, 각 절기별로 조절 각도가 입력된 메모리(610)와, 각 절기가 표시된 조작 버튼(620)을 포함하여, 상기 조작 버튼(62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610)에 입력된 조절 각도를 로드하여 상기 모터(3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고정 기둥(200)은, 상단에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조절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210)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각도 표시부(210)를 지상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잠만경(220)이 내장되며, 상기 잠만경(220)의 끝단에는 상기 각도 표시부(210)를 확인할 수 있는 각도 확인창(230)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 버튼(620)을 조작하여 상기 모터(30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부(500)와 연결된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는,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보다 넓은 지름으로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의 둘레 중 일부를 덮어주어 상기 체인부(500)의 탈락을 방지하는 이동 가이드판(4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판(440)은, 둘레에 단면이 'ㄱ'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체(442)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체(442)는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둘레 중에서 상기 체인부(500)가 맞물리는 부위만을 덮어주어 상기 체인부(500)의 탈락을 방지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판(450)은, 둘레에 단면이 'ㄱ'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체(452)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체(452)는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의 둘레 중에서 상기 체인부(500)가 맞물리는 부위만을 덮어주어 상기 체인부(500)의 탈락을 방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로 모터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절기에 따라 정확한 각도로 태양광 어레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와 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을 삼중으로 감아서 동력을 전달받게 함으로써, 외부 환경이나 강풍에도 체인이 탈락이 방지되며, 조절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 시 잠만경을 통한 각도 표시부를 사용자가 확인하면서 태양광 어레이의 각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서 스프로킷(400)에 체인부(500)의 체인(510)이 권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서 스프로킷(400)에 체인부(500)의 체인(510)이 권취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서 잠만경부(220)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는, 태양광 어레이(10)가 설치되는 어레이 지지체(100)와, 어레이 지지체(100)가 설치되는 고정 기둥(200)과, 고정 기둥(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300)와, 상기 모터(300)에 축결합되는 스프로킷(400)과, 상기 스프로킷(400)과 어레이 지지체(100)를 연결하는 체인부(500)와, 모터(300)의 구동을 조작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한다.
어레이 지지체(100)는 태양광 어레이(10)가 고정 설치되는 장방형의 프레임이다. 여기서 태양광 어레이(10)는 1장 또는 여러 장의 태양 전지 모듈을 연결한 것을 말한다.
어레이 지지체(100)의 중앙은 고정 기둥(20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어레이 지지체(100)는 이를 축으로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고정 요소로 볼트와 너트, 고정핀 등이 사용된다.
어레이 지지체(100)의 양끝단 하부에는 체인부(500)와 연결되는 링 형상의 고정링(110)이 형성된다.
고정 기둥(200)은 어레이 지지체(100)를 지지해주는 중공형 막대 형상의 기둥으로, 상단에 어레이 지지체(100)의 중앙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은 고정 기둥(200)의 단면보다 넓은 크기의 고정판(240)이 형성된다.
고정판(240)은 지면(1)에 앵커볼트로 고정된다. 이때 고정판(240)은 콘크리트 등으로 조성된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로 지면(1)에 매설된다. 고정 기둥(200)의 상단은 지붕(2)을 통과하여 지붕(2)의 상부에 위치한다.
고정 기둥(200)의 상부에는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각도 표시부(210)가 설치된다. 각도 표시부(210)는 표면에 15 내지 45도 각도가 5도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지칭하는 각도 지침(212)이 포함된다. 각도 지침(212)은 어레이 지지체(100)의 중앙에서 어레이 지지체(100)의 회동과 연동되어 어레이 지지체(100)의 현재 조절 각도를 지칭해준다.
고정 기둥(200)의 내부에는 각도 지침(212)이 지칭하는 현재 조절 각도를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잠만경(220)이 설치된다. 고정 기둥(200)의 하부에는 잠만경(22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각도 지침(212)를 볼 수 있게 하는 각도 확인창(230)이 형성된다.
모터(300)는 고정 기둥(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모터(300)는 체인부(500)에 회전력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모터(300)는 고정 기둥(200) 상 설치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의 전환을 위한 베벨 기어 등의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스프로킷(400)은 모터(300)의 회전축(310)에 축결합되는 것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이중 스프로킷(410)과, 이중 스프로킷(410)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로킷축(420)과, 스프로킷축(420) 사이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 스프로킷(430)과, 이중 스프로킷(410)의 양단에 설치되어 체인(510)의 탈락을 방지하는 가이드판(440)과, 이동 스프로킷(430)의 일단에 설치되어 체인(510)의 탈락을 방지하는 이동 가이드판(450)이 포함된다.
이때 이중 스프로킷(410)의 이격 간격은 스프로킷축(420)에 끼워진 이동 스프로킷(430)에 체인부(500)의 체인(510)이 원활하게 권취되고, 권취된 체인(51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으면 족하다.(도 2 참조)
체인부(500)는 스프로킷(400)과 연결되어 모터(300)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스프로킷(400)에 맞물리는 체인(510)과, 체인(510)의 양단에 연결되는 와이어(520)가 포함된다. 체인(510)은 중앙에서 스프로킷(400)과 맞물려 어레이 지지체(100)의 회전 반경을 커버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양단에는 와이어(520)가 연결된다. 양단에 위치한 와이어(520)의 끝단은 어레이 지지체(100)의 고정링(110)에 고정된다.
컨트롤러(600)는 모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300)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고정 기둥(2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컨트롤러(600)의 높이는 지면에서 80 내지 120cm 이격되어 사용자가 서서 조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절기별 어레이 지지체(100)의 조절 각도 값이 저장된 메모리(610)와, 어레이 지지체(100)의 절기가 표시된 조작 버튼(620)과,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630)와,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수동으로 올리거나 내려주는 각도 조절 버튼(640)과, 조절 각도 값을 저장하는 설정 버튼(650) 및 전원 on/off를 제어하는 전원 버튼(660)을 포함한다.
메모리(610)에는 각 절기별로 조절 각도가 입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봄은 20도, 여름은 30도, 가을은 40도, 겨울을 45도 등으로 입력되어 있다. 조작 버튼(620)에는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이 표시되어 있고, 각 버튼은 메모리(610)의 입력값과 대응되어 있어서, 해당 버튼을 누르면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가 조절된다.
디스플레이(630)는 어레이 지지체(100)의 현재 조절 각도를 표시해주며, FND, LCD, TFT, LED 등이 사용된다.
각도 조절 버튼(640)은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올림 및 내림이 표시되어 있고, 각 버튼으로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준다. 이 각도 조절 버튼(640)을 사용할 때 잠만경(220)과 각도 확인창(230)을 통해 각도 표시부(210)의 각도를 확인하면서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설정 버튼(650)을 통해 메모리(610)에 내장된 각 절기별 조절 각도 입력 값을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서 스프로킷(400)에 체인부(500)의 체인(510)이 권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서 스프로킷(400)에 체인부(500)의 체인(510)이 권취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스프로킷(400)은 모터(300)의 회전축(310)에 축결합되어, 모터(300)의 회전력을 공급받는다. 스프로킷(400)에는 체인부(500)의 체인(510)이 맞물린다.
체인(510)은 이동 스프로킷(430)에 맞물려 권취된 상태에서, 이동 스프로킷(430)의 양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이중 스프로킷(410)에 맞물려 걸쳐진다. 이때 체인(510)은 체인(510)의 각 링크가 이동 스프로킷(430) 및 이중 스프로킷(410)의 이에 맞물려 견고하게 고정된다.
체인(510)이 삼중으로 맞물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환경이나 강한 바람에 의해 체인(510)이 흔들리더라도 스프로킷(400)과 맞물리는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체인(510)이 스프로킷(400)에서 빠져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조절된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도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이동 스프로킷(430)은 체인(510)이 원활히 권취되도록 경사진 형태를 취한다. 이때 경사 각도는 이중 스프로킷(410)에 대하여 20 내지 50도의 각도를 가진다. 아울러 이동 스프로킷(430)의 지름은 이중 스프로킷(410)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이동 스프로킷(430)의 양단에는 오일 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스프로킷축(420)에 헐겁게 끼워 맞춤되는 지지판(432)이 돌출형성되어 한 몸체를 이룬다. 지지판(432)의 지름은 이동 스프로킷(430)보다 작게 형성된다. 지지판(432)은 스프로킷축(420)에 끼워져 헛돌면서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이는 체인(510)이 이중 스프로킷(410) 및 이동 스프로킷(430)에 맞물려 회전하는 과정에서 이동 스프로킷(430)에 체인(510)이 맞물린 부위에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흔들림에 따라 이동 스프로킷(430)이 좌우로 유동하면서 헛돌기 때문에,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체인(51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동 스프로킷(430)의 양단 중 일단에는 이동 스프로킷(430)에 맞물린 체인(510)이 구동 과정에서 이동 스프로킷(430)에서 빠져 탈락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동 가이드판(450)이 설치된다. 이동 가이드판(450)은 스프로킷축(420)에 헐겁게 끼워지는 것으로 스프로킷축(4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동 가이드판(450)은 이동 스프로킷(430)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며, 둘레에는 단면이 'ㄱ'형상으로 연장되어 이동 스프로킷(430)의 둘레 일부를 덮어주는 지지체(45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체(452)는 이동 스프로킷(430)에서 체인이 맞물리는 부위만을 덮어주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인(510)을 교체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끝단이 이격된다.
한편 이중 스프로킷(410)의 양단에도 각각 체인(510)의 구동 과정에서 이중 스프로킷(410)에서 빠져 탈락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가이드판(440)이 설치된다. 가이드판(440)은 이중 스프로킷(410)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이중 스프로킷(410)의 측면에 설치된다. 가이드판(440)의 둘레에도 단면이 'ㄱ'형상으로 연장되어 이중 스프로킷(410)의 둘레 일부를 덮어주는 지지체(4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체(442)는 체인(510)이 맞물리는 부위 즉 이중 스프로킷(410)을 반원 형상으로 덮어주되, 체인(510)을 교체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끝단이 이중 스프로킷(410)에서 이격된다.
이로써 체인(510)이 이동 스프로킷(430) 및 이중 스프로킷(410)에서 탈락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에서 잠만경(220)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잠만경(220)은 고정 기둥(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잠만경(220)은 빛의 반사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지붕(2, 도 1 참조) 위에 위치한 각도 표시부(210)의 각도 지침(212)을 지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잠만경(220)의 상부 끝은 각도 표시부(210)에 위치하고, 하부 끝은 고정 기둥(2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부와 하부는 서로 방향을 다르게 하여 90도로 꺾여있고, 상부와 하부는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잠만경(220)의 상부 끝과 하부 끝이 90도로 꺾이는 부위에는 제1거울(222)과 제2거울(224)이 각각 위치하며, 4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대각선으로 배치된다.
제1거울(222)은 각도 표시부(210) 및 각도 표시부(210)의 각도 지침(212)을 1차로 비춰주며, 제1거울(2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거울(224)는 제1거울(222)에 비친 각도 표시부(210) 및 각도 지침(212)을 사용자에게 2차로 비춰준다. 제1거울(222)에 비친 각도 표시부(210)와 각도 지침(212)은 좌우가 바뀐 모양이 되지만, 제2거울(224)을 통해 반사되어 사용자는 원래의 모습대로 볼 수 있다.
제2거울(224)이 위치하는 곳에는 사용자가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각도 확인창(230)이 형성된다. 이때 제2거울(224) 및 각도 확인창(230)이 형성되는 높이는 지면에 대하여 약 80 내지 120cm의 높이를 가진다. 그래서 사용자가 각도 확인창(230)을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잠만경(220)으로 조절되는 각도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면서 컨트롤러(600)의 각도 조절 버튼(640)으로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 부호 3은 빛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에서는 예시로서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30도로 조절한 것을 나타내었다.
먼저 자동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컨트롤러(600)의 조작 버튼(620)을 눌러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조작 버튼(620)에는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중 해당하는 절기의 조작 버튼(620)을 누른다. 그러면 메모리(610)에서 조작 버튼(620)에 따라 입력된 조절 각도 값을 로드하여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가 조절된다.
즉 조작 버튼(620)을 누르면 모터(300)가 정역 회전하며, 모터(300)의 회전축(310)에 축결합된 스프로킷(400)이 회전한다. 스프로킷(400)에 맞물려 권취된 체인부(500)의 체인(510)이 회전함에 따라, 체인(510) 양끝의 와이어(520)와 연결된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체인(510)은 스프로킷(400)의 이동 스프로킷(430)에 맞물려 권취된 상태에서 이중 스프로킷(410)에도 맞물린 상태로, 즉 삼중으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므로 강풍 등으로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견고하게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즉 체인(510)은 스프로킷(400)에 견고하게 맞물림을 상태를 유지하며 탈락도 방지되며, 어레이 지지체(100)의 조절된 각도도 변함없이 견고하게 유지한다.
이처럼 절기에 따른 조작 버튼(620)을 눌러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정확하게 자동으로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동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컨트롤러(600)의 각도 조절 버튼(640)을 눌러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는 고정 기둥(200)에 형성된 각도 확인창(230)을 보고 확인한다. 각도 확인창(230)은 잠만경(220)을 통해 각도 표시부(210)의 각도 지침(212)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각도 조절 버튼(640)에는 올림 및 내림이 표시되어 있는데, 각도 확인창(230)을 보면서 각도 조절 버튼(640)을 조작하면, 그에 따라 모터(300)가 정역 회전하면서, 체인부(500)의 체인(510)을 움직이고, 와이어(520)와 연결된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로써 필요 시 수동으로 각도 조절 버튼(640)을 직접 조작하고, 각도 표시부(210)의 각도 지침(212)을 확인하면서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1 : 지면 2 : 지붕 3 : 빛
10 : 태양광 어레이
100 : 어레이 지지체 110 : 고정링
200 : 고정 기둥
210 : 각도 표시부 212 : 각도 지침
220 : 잠만경 222 : 제1거울 224 : 제2거울
230 : 각도 확인창 240 : 고정판
300 : 모터 310 : 회전축
400 : 스프로킷
410 : 이중 스프로킷 420 : 스프로킷축
430 : 이동 스프로킷 432 : 지지판
440 : 가이드판 442 : 지지체
450 : 이동 가이드판 452 : 지지체
500 : 체인부
510 : 체인 520 : 와이어
600 : 컨트롤러
610 : 메모리 620 : 조작 버튼 630 : 디스플레이
640 : 각도 조절 버튼 650 : 설정 버튼 660 : 전원 버튼

Claims (6)

  1. 태양광 어레이(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어레이(10)가 설치되는 어레이 지지체(100);
    상단은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은 지면(1)에 고정되는 고정 기둥(200);
    상기 고정 기둥(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300);
    상기 모터(300)의 회전축(310)에 축결합되는 스프로킷(400);
    상기 스프로킷(400)과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양단 하부를 연결해주어, 상기 모터(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체인부(500); 및
    상기 고정 기둥(200)의 하부에서 상기 모터(300)의 구동을 조작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로킷(400)은 한 쌍의 서로 이격된 이중 스프로킷(410)과,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로킷축(420)과,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사이에서 경사진 형태로 상기 스프로킷축(420)에 끼워져 왕복 운동하는 이동 스프로킷(430)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부(500)는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에 걸쳐져,
    상기 체인부(500)가 상기 스프로킷(400)에 견고하게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600)의 조작으로 상기 모터(30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부(500)와 연결된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양단에는,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보다 넓은 지름으로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둘레 중 일부를 덮어주어 상기 체인부(500)의 탈락을 방지하는 가이드판(4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600)는,
    각 절기별로 조절 각도가 입력된 메모리(610)와, 각 절기가 표시된 조작 버튼(620)을 포함하여,
    상기 조작 버튼(62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610)에 입력된 조절 각도를 로드하여 상기 모터(3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둥(200)은,
    상단에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조절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210)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각도 표시부(210)를 지상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잠만경(220)이 내장되며, 상기 잠만경(220)의 끝단에는 상기 각도 표시부(210)를 확인할 수 있는 각도 확인창(230)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 버튼(620)을 조작하여 상기 모터(30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부(500)와 연결된 상기 어레이 지지체(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는,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보다 넓은 지름으로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의 둘레 중 일부를 덮어주어 상기 체인부(500)의 탈락을 방지하는 이동 가이드판(4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440)은,
    둘레에 단면이 'ㄱ'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체(442)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체(442)는 상기 이중 스프로킷(410)의 둘레 중에서 상기 체인부(500)가 맞물리는 부위만을 덮어주어 상기 체인부(500)의 탈락을 방지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판(450)은,
    둘레에 단면이 'ㄱ'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체(452)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체(452)는 상기 이동 스프로킷(430)의 둘레 중에서 상기 체인부(500)가 맞물리는 부위만을 덮어주어 상기 체인부(500)의 탈락을 방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KR1020140098971A 2014-08-01 2014-08-01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KR101600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71A KR101600402B1 (ko) 2014-08-01 2014-08-01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71A KR101600402B1 (ko) 2014-08-01 2014-08-01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239A true KR20160017239A (ko) 2016-02-16
KR101600402B1 KR101600402B1 (ko) 2016-03-08

Family

ID=5544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971A KR101600402B1 (ko) 2014-08-01 2014-08-01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4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49B1 (ko) * 2016-05-25 2016-12-2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솔루션 태양전지셀 모듈 각도조절장치
KR101859414B1 (ko) * 2017-12-07 2018-05-18 주식회사 다온테크닉스 태양광 발전설비 구조물
CN110022120A (zh) * 2019-04-25 2019-07-16 廖捷 一种具有电池板防护机构的太阳能电池组件
KR102095442B1 (ko) * 2019-06-11 2020-03-31 장영철 태양광 발전기
KR200494441Y1 (ko) * 2021-02-23 2021-10-13 (주)우림에너지 고정 가변형 윈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 구조물
WO2022094328A1 (en) * 2020-10-30 2022-05-05 Sun And Steel Solar Llc Winch-pulley drive system for solar tracker
KR102519994B1 (ko) 2022-12-20 2023-04-10 이에스솔라 주식회사 계단식 구조체를 가지는 빛반사 보정용 태양광 발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771Y1 (ko) * 2002-08-29 2002-12-11 주식회사 이씨앤디테크 태양광 추적 장치
JP2005256588A (ja) * 2004-03-11 2005-09-22 Howa:Kk ボールチェーンを用いた窓開閉用装置のボールチェ−ン外れ防止ガイド
KR100814343B1 (ko) * 2006-10-02 2008-03-18 미래에너지기술(주) 태양광 위치 추적 발전 장치
KR20130023420A (ko) * 2011-08-29 2013-03-08 주진성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771Y1 (ko) * 2002-08-29 2002-12-11 주식회사 이씨앤디테크 태양광 추적 장치
JP2005256588A (ja) * 2004-03-11 2005-09-22 Howa:Kk ボールチェーンを用いた窓開閉用装置のボールチェ−ン外れ防止ガイド
KR100814343B1 (ko) * 2006-10-02 2008-03-18 미래에너지기술(주) 태양광 위치 추적 발전 장치
KR20130023420A (ko) * 2011-08-29 2013-03-08 주진성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49B1 (ko) * 2016-05-25 2016-12-2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솔루션 태양전지셀 모듈 각도조절장치
KR101859414B1 (ko) * 2017-12-07 2018-05-18 주식회사 다온테크닉스 태양광 발전설비 구조물
CN110022120A (zh) * 2019-04-25 2019-07-16 廖捷 一种具有电池板防护机构的太阳能电池组件
KR102095442B1 (ko) * 2019-06-11 2020-03-31 장영철 태양광 발전기
WO2022094328A1 (en) * 2020-10-30 2022-05-05 Sun And Steel Solar Llc Winch-pulley drive system for solar tracker
US11646694B2 (en) 2020-10-30 2023-05-09 Sun And Steel Solar Llc Winch-pulley drive system for solar tracker
KR200494441Y1 (ko) * 2021-02-23 2021-10-13 (주)우림에너지 고정 가변형 윈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 구조물
KR102519994B1 (ko) 2022-12-20 2023-04-10 이에스솔라 주식회사 계단식 구조체를 가지는 빛반사 보정용 태양광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402B1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402B1 (ko)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US9318635B2 (en) Automatic solar tracking adjustment/control apparatus of solar generation system
KR101713424B1 (ko) 태양 발전 시스템의 자동 태양 추적 조정/제어 장치
KR101728303B1 (ko) 배터리 외관 검사 장치
US20190037985A1 (en) Intelligent outdoor umbrella
EP3907881A1 (en) Smart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875826B1 (ko) 가로등용 태양광 발전용 추적장치
CN110247184B (zh) 一种用于5g网络的具有遮风挡雨功能的天线装置
KR101634301B1 (ko) 태양광 발전기의 전동식 각도조절장치
KR101269635B1 (ko) 태양광발전기용 태양추적장치
JP2016092969A (ja) 角度可変形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20170244355A1 (en) Adjustable angl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200487427Y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209618827U (zh) 一种便于飞机机翼快速检修的升降平台
KR102112354B1 (ko)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KR101409823B1 (ko) 태양광 자동추적장치
KR102159445B1 (ko) 회전식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다기능 승강 폴 시스템
PT1549888E (pt) Dispositivo de comando para campos solares
KR200475580Y1 (ko) 태양 추적기능을 구비한 지주 장착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32223B1 (ko) 지면활용이 가능한 태양광장치
JP2009127958A (ja) 太陽追尾集光装置
KR102250700B1 (ko) 태양광 모듈의 각도 조절장치
CN205910598U (zh) 一种分布式光伏发电装置
CN115342256B (zh) 一种可切换画面的光伏设备用监控装置
CN116164702B (zh) 一种用于建筑施工工程测量的水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