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354B1 -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354B1
KR102112354B1 KR1020180084698A KR20180084698A KR102112354B1 KR 102112354 B1 KR102112354 B1 KR 102112354B1 KR 1020180084698 A KR1020180084698 A KR 1020180084698A KR 20180084698 A KR20180084698 A KR 20180084698A KR 102112354 B1 KR102112354 B1 KR 10211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olar cell
cell module
fix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807A (ko
Inventor
강희성
전형관
Original Assignee
강희성
전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성, 전형관 filed Critical 강희성
Priority to KR1020180084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354B1/ko
Priority to PCT/KR2019/006329 priority patent/WO2020017753A1/ko
Publication of KR2020000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걸이용 케이블과, 상기 걸이용 케이블의 아래에 위치하는 고정용 케이블을 구비하는 지지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걸이용 케이블과 상기 고정용 케이블에 결합되는 모듈 설치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 설치 구조물은 상기 걸이용 케이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걸림부와, 상기 고정용 케이블에 고정되는 주 케이블 고정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PHOTOVILTAIC MODOULE APPARATUS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의 설치 및 운용이 용이한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기를 생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화석연료는 지구 상에 한정된 매장량을 가진 자원의 일종으로서 산업 발전으로 인해 급속히 늘어난 전기에너지 수용에 따라 무분별하게 사용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됨은 물론, 머지않아 그 자원마저 고갈될 것이 예상됨에 따라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소위 클린 에너지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태양광 발전이다.
태양광 발전은 풍력발전과 더불어 대체에너지 중에서도 무공해이면서 무한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은 발전 부위가 반도체 소자이고 제어부분은 수명이 매우 긴 전자부품 등으로 구성되며, 기계적인 진동이나 소음 등의 발생이 없고, 수십년에 이르는 동작수명을 보증받고 있다.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하는 지상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하여 설치 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고 해당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및 운용을 반자동화 또는 자동화 프로그램을 통해 원격 혹은 무인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적극적인 활용은 에너지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와 같은 환경에서는 적극적으로 개발하여야할 대체 발전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356290호에는 지지봉에 고정된 태양광발전소자들이 지지케이블과 지지조절케이블로 구성된 지지골격 상에 배치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태양광발전소자의 지지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운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56290호 "태양광발전소자를 이용한 전기에너지발생시스템" (2014.01.28.)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 모듈의 설치 및 운용이 용이한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걸이용 케이블과, 상기 걸이용 케이블의 아래에 위치하는 고정용 케이블을 구비하는 지지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걸이용 케이블과 상기 고정용 케이블에 결합되는 모듈 설치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 설치 구조물은 상기 걸이용 케이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걸림부와, 상기 고정용 케이블에 고정되는 주 케이블 고정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모듈 설치 구조물이 지지 구조물의 걸이용 케이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 구조물의 고정용 케이블에 고정되므로, 태양전지 모듈 장치가 지지 구조물에 용이하게 설치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설치 구조물이 방향조정용 케이블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 조절부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태양광 발전의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비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태양광 모듈 장치를 각각 위와 아래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태양광 모듈 장치에서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비(100)가 복수개 배치된 상태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비(100)가 2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비(100)는 지지 구조물(110)과, 지지 구조물(110)에 설치되어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들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구조물(110)은 두 지지 기둥(111)들과, 두 지지 기둥(111)들의 사이에 연장되는 걸이용 케이블(113)과, 두 지지 기둥(111)들의 사이에 연장되는 고정용 케이블(115)과, 두 지지 기둥(111)들의 사이에 연장되는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들을 구비한다.
두 지지 기둥(111)들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서 위치하도록 세워지며, 두 지지 기둥(111)들에 걸이용 케이블(113), 고정용 케이블(115) 및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들이 설치된다. 두 지지 기둥(111)들은 남북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걸이용 케이블(112)은 두 지지 기둥(111)들의 사이에 연장되며, 걸이용 케이블(112)의 양단부가 두 지지 기둥(111)들 각각에 고정된다. 걸이용 케이블(112)에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들 각각이 매달리는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걸리게 된다.
고정용 케이블(115)은 두 지지 기둥(111)들의 사이에 연장되며, 걸이용 케이블(112)의 아래에 위치한다. 고정용 케이블(115)에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의 하부가 고정된다.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들은 두 지지 기둥(111)들의 사이에 좌우로 각각 배치되어서 연장된다.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들은 그 연장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를 회전시킴으로써,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들은 서로 연결되어서 하나의 케이블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들 중 하나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른 하나는 자연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이 두 개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하나만 설치되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들은 두 지지 기둥(111)의 사이에서 일렬로 차례대로 배치되고, 두 지지 기둥(111)들의 사이에 연장되는 걸이용 케이블(113), 고정용 케이블(115) 및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에 결합된다.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는 두 지지 기둥(111)들 사이에 연장되는 여러 케이블(113, 115, 117)들에 결합되는 모듈 설치 구조물(130)과, 케이블 결합 구조물(130)에 설치되는 두 태양전지 모듈(190)들을 구비한다.
모듈 설치 구조물(130)은 몸체(140)와, 몸체(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걸이용 케이블(11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걸림부(150)와, 몸체(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용 케이블(115)에 고정되는 주 케이블 고정부(160)와, 몸체(140)의 양측에 결합되고 두 태양전지 모듈(190)들이 각각 고정되는 두 모듈 고정대(170)와, 두 태양전지 모듈(190)들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경사 조절부(180)를 구비한다.
몸체(140)는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141)와, 수직 지지대(141)의 상단에 고정되는 수평 지지대(144)와, 수평 지지대(144)에 고정되어서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들과 결합되는 방향조정용 케이블 고정부(147)를 구비한다.
수직 지지대(141)는 고정용 케이블(115)과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의 사이에서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수직 지지대(141)의 하단에는 주 케이블 고정부(1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직 지지대(141)의 상단에는 수평 지지대(144)가 고정된다.
수평 지지대(144)는 대체로 수평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며, 수평 지지대(144)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수직 지지대(141)의 상단이 고정된다. 수평 지지대(144)의 양측에는 두 모듈 고정대(170)들이 각각 하나 씩 결합된다. 수평 지지대(144)의 상면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케이블 걸림부(150)가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평 지지대(144)에는 방향조정용 케이블 고정부(147)가 형성된다.
방향조정용 케이블 고정부(147)는 수평 지지대(144)에 고정되어서 형성된다. 방향조정용 케이블 고정부(147)는 회전축선(A)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막대부(148)와, 연장 막대부(14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케이블 고정구(149)들을 구비한다.
연장 막대부(148)는 회전축선(A)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연장 막대부(148)의 양 끝단부에 두 케이블 고정구(149)들 각각이 하나씩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두 케이블 고정구(149)들 각각은 연장 막대부(148)의 양 끝단부 즉, 회전축선(A)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위치에 하나씩 결합된다. 케이블 고정구(149)는 연장 막대부(148)에 회전축선(A)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두 케이블 고정구(149)들 각각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이 하나씩 통과하면서 고정된다. 즉, 케이블 고정구(149)와 케이블 고정구(149)에 결합된 방향조정용 케이블(117) 사이에는 상대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케이블 고정구(149)와 방향조정용 케이블(117) 사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는, 케이블 고정구(149)와 방향조정용 케이블(117)는 상대이동이 가능하다. 케이블 고정구(149)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이 고정된 상태에서,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모듈 설치 구조물(130)이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케이블 걸림부(150)는 수평 지지대(144)의 상면 길이방향 중심부에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블 걸림부(150)는 높이방향을 따라서 위아래로 각각 배치되는 제1 회전 롤러(151)와 제2 회전 롤러(152)를 구비한다. 제1 회전 롤러(151)와 제2 회전 롤러(152)의 사이로 걸이용 케이블(113)이 통과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가 걸이용 케이블(113)에 이동가능하게 매달리는 형식으로 걸리게 된다.
주 케이블 고정부(160)는 수직 지지대(141)의 하단에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주 케이블 고정부(160)에는 고정용 케이블(115)이 통과하면서 고정된다. 즉, 주 케이블 고정부(160)와 주 케이블 고정부(160)에 고정된 고정용 케이블(115) 사이에는 상대이동이 발생하지 않아서,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의 위치가 고정된다. 다만, 주 케이블 고정부(160)와 고정용 케이블(115) 사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는, 주 케이블 고정부(160)와 고정용 케이블(115)는 상대이동이 가능하다.
두 모듈 고정대(170)들 각각은 수평 지지대(144)의 양측에 하나씩 결합된다. 모듈 고정대(170)는 수평 지지대(144)에 대해 접고 펼치는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서 경사가 조절될 수 있다. 모듈 고정대(170)의 경사는 경사 조절부(180)에 의해 조절된다. 두 모듈 고정대(170)들 각각에 태양전지 모듈(190)이 고정되어서 지지된다.
경사 조절부(180)는 두 태양전지 모듈(190)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하여 두 모듈 고정대(170)들의 경사를 조절한다. 경사 조절부(180)는 나사 기둥(181)과, 나사 기둥(181)을 축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83)와, 나사 기둥(18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185)와, 이동 부재(185)와 두 모듈 고정대(170)들 각각을 연결하는 두 연결 막대(187)들을 구비한다.
나사 기둥(181)은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수직 지지대(141)에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사 기둥(181)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이동 부재(185)가 결합된다. 나사 기둥(181)이 축회전함에 따라 이동 부재(185)가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나사 기둥(181)은 구동 모터(163)에 의해 축회전하여 이동 부재(185)를 이동시킨다.
구동 모터(183)는 나사 기둥(181)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나사 기둥(181)을 회전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 모터(18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제어부에 의해 나사 기둥(181) 상에서 이동 부재(185)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동 부재(185)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서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 기둥(181)에 결합된다. 이동 부재(185)는 두 연결 막대(187)와의 결합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며, 나사 기둥(181)의 회전에 의해 나사 기둥(181)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 부재(185)의 높이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190)의 경사가 조절된다. 이동 부재(185)의 양측에 두 연결 막대(187)들 각각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두 연결 막대(187)들 각각은 이동 부재(185)와 두 모듈 고정대(170)들 사이를 연결한다. 연결 막대(184)의 양단은 이동 부재(187)와 모듈 고정대(170)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 조절부(180)가 나사 기둥(181)과, 나사 기둥(181)을 축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83)와, 나사 기둥(18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185)와, 이동 부재(185)와 두 모듈 고정대(170)들 각각을 연결하는 두 연결 막대(187)들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두 태양전지 모듈(19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다른 가능한 모든 구성(예를 들어, 모듈 고정대(170)에 직접 결합된 모터)을 포함한다.
두 태양전지 모듈(190)들 각각은 모듈 고정대(17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태양광 모듈이라고도 불리는 태양전지 모듈(190)은 편평한 판상으로서,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두 태양전지 모듈(190)들의 방향은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두 태양전지 모듈(190)의 경사(기울기)는 경사 조절부(18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두 태양전지 모듈(19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이 별도로 구비되며 전선 케이블이 두 지지 기둥(111)들 사이에 연장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구성 중심으로 설명된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치 과정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지지 구조물(110)이 설치되는데, 지지 구조물(110)은 두 지지 기둥(111) 사이에 걸이용 케이블(112)과, 고정용 케이블(115)이 모터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11)이 설치된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가 걸이용 케이블(113)에 매달리도록 걸린다. 즉,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의 케이블 걸림부(150)에 구비되는 두 회전 롤러(151, 152)의 사이로 걸이용 케이블(113)이 통과하여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가 걸이용 케이블(113)에 매달린다. 이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 장치(120)를 걸이용 케이블(113)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적당한 지점에 위치시키고, 주 케이블 고정부(160)를 고정용 케이블(115)에 고정시킨다. 다음,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들 각각은 대응하는 케이블 고정구(149)에 고정시킨 후, 두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을 이동시켜서 두 태양전지 모듈(190)들의 방향을 조정한다. 이때, 두 태양전지 모듈(190)들은 동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향조정용 케이블(117)과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에 결합되는 방향조정용 케이블 고정부(147)를 이용하여 두 태양전지 모듈(190)들의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방향조정용 케이블(117)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여 태양전지 모듈(190)의 방향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하루 중 시간에 따른 태양의 고도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전지 모듈(190)의 기울기가 경사 조절부(180)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태양광 발전 설비 110 : 지지 구조물
111 : 지지 기둥 113 : 걸이용 케이블
115 : 고정용 케이블 117 : 방향조정용 케이블
120 : 태양전지 모듈 장치 130 : 모듈 설치 구조물
140 : 몸체 141 : 수직 지지대
144 : 수평 지지대 147 : 방향조정용 케이블 고정부
148 : 연장 막대부 149 : 케이블 고정구
150 : 케이블 걸림부 151 : 제1 회전 롤러
152 : 제2 회전 롤러 160 : 주 케이블 고정부
170 : 모듈 고정대 180 : 경사 조절부
181 : 나사 기둥 183 : 구동 모터
185 : 이동 부재 187 : 연결 막대
190 : 태양전지 모듈

Claims (15)

  1. 걸이용 케이블과, 상기 걸이용 케이블의 아래에 위치하는 고정용 케이블을 구비하는 지지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걸이용 케이블과 상기 고정용 케이블에 결합되는 모듈 설치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 설치 구조물은 상기 걸이용 케이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걸림부와, 상기 고정용 케이블에 고정되는 주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케이블 걸림부 및 상기 주 케이블 고정부와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고정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모듈 고정대와, 상기 모듈 고정대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 조절부는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축회전하는 나사 기둥과, 상기 나사 기둥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나사 기둥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모듈 고정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나사 기둥의 양단 사이의 구간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듈 고정대의 경사가 변화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림부는, 상기 걸이용 케이블의 위에 걸리는 상부 회전 롤러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림부는, 상기 상부 회전 롤러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회전 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 회전 롤러와 상기 하부 회전 롤러의 사이로 상기 걸이용 케이블이 통과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림부와 상기 주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몸체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걸이용 케이블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방향조정용 케이블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방향조정용케이블과 결합되는 방향조정용 케이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용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막대부와, 상기 연장 막대부에 상기 방향조정용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구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구는 상기 연장 막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막대부는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구는 상기 회전축선을 사이에 두고 2개가 상기 연장 막대부에 형성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물은, 걸이용 케이블과, 상기 걸이용 케이블의 아래에 위치하는 고정용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걸이용 케이블과 상기 고정용 케이블에 결합되는 모듈 설치 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모듈 설치 구조물은 상기 걸이용 케이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걸림부와, 상기 고정용 케이블에 고정되는 주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케이블 걸림부 및 상기 주 케이블 고정부가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고정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모듈 고정대와, 상기 모듈 고정대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 조절부는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축회전하는 나사 기둥과, 상기 나사 기둥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나사 기둥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모듈 고정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나사 기둥의 양단 사이의 구간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듈 고정대의 경사가 변화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림부와 상기 주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몸체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걸이용 케이블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방향조정용 케이블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방향조정용 케이블은 상기 방향조정용 케이블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양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설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용 케이블은 상기 회전축선을 사이에 두고 2개가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0180084698A 2018-07-20 2018-07-20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11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98A KR102112354B1 (ko) 2018-07-20 2018-07-20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PCT/KR2019/006329 WO2020017753A1 (ko) 2018-07-20 2019-05-27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98A KR102112354B1 (ko) 2018-07-20 2018-07-20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07A KR20200009807A (ko) 2020-01-30
KR102112354B1 true KR102112354B1 (ko) 2020-05-15

Family

ID=6916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698A KR102112354B1 (ko) 2018-07-20 2018-07-20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2354B1 (ko)
WO (1) WO20200177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535B1 (ko) 2023-02-06 2023-07-03 주식회사 바이저시스템 태양광 시스템
KR102566402B1 (ko) 2023-01-11 2023-08-11 주식회사 아이엔오기술 태양광 발전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3502A1 (fr) * 2022-03-08 2023-09-15 Tse Système de connexion de panneaux photovoltaïques sur une structure comprenant des câbles suspend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078B1 (ko) * 2013-03-13 2013-06-17 김인범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KR101631629B1 (ko) * 2015-10-30 2016-07-20 (주)관수이앤씨 태양광패널조립체 설치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패널조립체 시공방법
JP2017200321A (ja) * 2016-04-27 2017-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架台、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太陽電池架台の操作方法
KR101833429B1 (ko) * 2017-08-02 2018-02-28 주식회사 아이엔오기술 케이블을 이용한 태양광 설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7820B1 (de) 2009-01-19 2011-12-15 Innova Patent Gmbh Anlage zur erzeugung von elektrischer energie mittels fotovoltaischer elemente
KR101926239B1 (ko) * 2016-12-29 2019-02-27 소진 복층 와이어 프레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078B1 (ko) * 2013-03-13 2013-06-17 김인범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KR101631629B1 (ko) * 2015-10-30 2016-07-20 (주)관수이앤씨 태양광패널조립체 설치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패널조립체 시공방법
JP2017200321A (ja) * 2016-04-27 2017-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架台、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太陽電池架台の操作方法
KR101833429B1 (ko) * 2017-08-02 2018-02-28 주식회사 아이엔오기술 케이블을 이용한 태양광 설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402B1 (ko) 2023-01-11 2023-08-11 주식회사 아이엔오기술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550535B1 (ko) 2023-02-06 2023-07-03 주식회사 바이저시스템 태양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07A (ko) 2020-01-30
WO2020017753A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354B1 (ko)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KR20120123101A (ko) 태양광 자동 추적 장치
KR100779036B1 (ko) 추적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593533B1 (ko)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체
KR101264846B1 (ko) 태양광 트랙커 및 태양광 발전장치
JP2015518703A (ja) 太陽光発電用追跡装置
JP2010522430A (ja) ソーラーコレクタアセンブリ用チルトアセンブリ
KR102107572B1 (ko) 건물 외벽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346684B1 (ko) 태양광 발전용 추적장치
KR20140119281A (ko) 태양전지 어레이의 경사각 조절형 지지장치
JP2010205762A (ja)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
KR101175662B1 (ko) 태양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43342B1 (ko) 대용량 태양광 추적장치
JP2016092969A (ja) 角度可変形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5416191B2 (ja) 懸架支持式ソーラー発電装置
JP2012054420A (ja) 太陽電池パネル架台、及び太陽電池装置
JP2013172145A (ja)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
KR101616974B1 (ko) 태양광 집광장치
KR101616718B1 (ko)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11308B1 (ko) 태양광 패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패널 장치
US20130291926A1 (en) Solar Tracking Apparatus
KR102097114B1 (ko) 배전용 전신주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및 배전 시스템
KR102108220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KR100767704B1 (ko) 태양추적형 태양광 발전장치
JP2014116581A (ja) 太陽光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