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924A -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 - Google Patents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924A
KR20160016924A KR1020157036906A KR20157036906A KR20160016924A KR 20160016924 A KR20160016924 A KR 20160016924A KR 1020157036906 A KR1020157036906 A KR 1020157036906A KR 20157036906 A KR20157036906 A KR 20157036906A KR 20160016924 A KR20160016924 A KR 20160016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aterial
compression member
rear end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814B1 (ko
Inventor
유스케 쿠로미야
토루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6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1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adjustable means for modifying the degree of filtration of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3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ventilation means, e.g. air dilution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썬 담배를 권지로 권취한 로드부의 일단에 칩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담배용 필터로서, 필터의 횡단면을 막도록 하여 배치된 압축부 본체와 압축부 본체의 일부를 필터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동시에, 주류연을 유통시키는 관통로를 가진 압축부재와 압축부재의 후단에 배치되어, 주류연의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후단 필터재와, 후단 필터재 및 압축부재를 필터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기구를 구비한다. 압축부재는, 후단 필터재의 전단 에 대해서 관통로의 대향하는 위치가 후단 필터재 및 압축부재가 상대 회전됨으로써 변경되도록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 FILTER FOR CIGARETTE AND CIGARETTE WITH FILTER}
본 발명은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담배의 주류연(主流煙) 성분의 변화를 가져오는 등의 목적에서, 필터재의 전단(상류 측)에 주류연의 유로(流路) 단면적을 좁힌 오리피스 등을 가진 압축부재를 배치하여, 속도를 높인 주류연을 필터재에 유입시켜, 주류연의 유속이 높은 상태로 여과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는, 본 기술을 "고속 여과"기술이라고 기재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평 8-205844호 공보
그러나, 필터재에 있어서, 주류연의 고속 여과를 하는데 있어서, 필터재에서의 전단(前段) 면의 틈의 막힘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필터재의 통기 저항이, 빨아들일 때마다, 즉 흡연자들이 주류연을 흡입할 때마다, 상승하여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기 힘들어지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필터재의 전단(前段)에 주류연의 유로 단면적을 압축하는 압축부재를 배치한 경우에도, 빨아들일 때마다의 필터재의 통기 저항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래의 수단을 채택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썬 담배를 권지(卷紙)로 말은 로드부의 일단에 칩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담배용 필터로서, 필터의 횡단면을 막도록 배치된 압축부 본체와, 그 압축부 본체의 일부를 필터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주류연을 유통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는 압축부재와, 상기 압축부재의 후단에 배치되고, 주류연의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후단 필터재와,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를, 필터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후단 필터재의 전단(前段) 면에 대하여 상기 관통로의 대향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압축부재의 관통로가 형성된 담배용 필터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담배용 필터에 따르면, 압축부재의 관통로를 흐를 때에, 유속이 빨라진 주류연이 후단 필터재에 도입되어, 후단 필터재에서 주류연의 고속 여과가 실현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필터가 적용되는 담배의 주류연 성분을 변화시킬 수 있어, 담배의 흡입 향기 맛 특징을 변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압축부재에서 유로가 좁혀진 주류연이 후단 필터재에 도입될 때에, 주류연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이 후단 필터재의 전단 면에 집중함으로써, 후단 필터재의 전단 면의 틈이 막히기 쉽게 된다. 그 결과, 흡연자가 주류연을 흡입하는 동작을 할 때마다, 즉 빨아들일 때마다 환기 저항이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필터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여, 후단 필터재 및 압축부재가 상대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후단 필터재의 전단 면에 대해서 관통로의 대향하는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담배 연기의 흡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흡연자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회전 기구를 이용하여, 후단 필터재의 횡단면 중 틈이 막히지 않는 영역과 관통로가 대향하도록, 후단 필터재 및 관통로의 상대 위치 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단 필터재의 통기 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연시에 흡연자가 주류연을 흡입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로는 상기 압축부 본체의 횡단면 내에서, 그 횡단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지 않고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압축부재의 관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후단 필터재 및 압축부재를 상대 회전시켰을 때에, 후단 필터재의 전단 면에 대해서 관통로가 대향하는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상기 칩지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후단 필터재는 필터의 최후단에 배치되고, 또한, 그 후단 필터재의 회전 조작을 위한 파지부가 상기 칩지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렇게 하면, 흡연자는 후단 필터재의 파지부를 잡는것에 의해 칩지에 대한 후단 필터재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외표면 및 상기 칩지에는, 상기 칩지에 대한 상기 후단 필터재의 상대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만들어져 있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칩지에 대하여 후단 필터재의 회전 조작을 할 때에, 흡연자는, 현재의 칩지에 대한 후단 필터재의 상대 회전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 측에 마련되는 표시부와, 칩지 측에 마련되는 표시부와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의하여, 흡연자는, 후단 필터재를 회전시킬 때의 회전량의 기준을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흡연자에게 사용하기 편리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칩지에는, 상기 칩지에 대한 상기 후단 필터재의 상대 회전 각도가 소정의 각도로 변화할 때마다 감합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흡연자는, 후단 필터재의 회전 조작을 할 때에, 파지부를 통해서 전달되는 감각에 의하여, 칩지에 대한 후단 필터재의 상대 회전 각도가 조작 전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변화한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흡연자에게 사용하기 편리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재의 후단 면과 상기 후단 필터재의 전단 면은, 필터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설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압축부재의 관통로를 주류연이 통과한 후, 주류연의 유속을 높게 유지한 상태에서, 후단 필터재로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단 필터재의 주류연의 고속 여과를 보다 적합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칩지에는, 주류연을 희석하기 위한 공기를 필터 내에 도입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칩지 중, 필터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관통로의 전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통기공을 통해서 필터 내에 도입된 외기와 합류한 후의 주류연을 관통로에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단 필터재를 유통하는 주류연의 선 속도를 용이하게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후단 필터재의 주류연의 고속 여과의 실현에 이바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부재의 전단에, 주류연의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전단(前端) 필터재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관통로와 상기 전단 필터재 사이에는 공동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압축부재의 관통로와 전단 필터재 사이에 공동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전단 필터재를 통과하는 주류연의 통기 저항을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주류연을 원활하게 압축부재의 관통로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관통로의 전단에 공동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전단 필터재의 후단면과 압축부 본체(관통로)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단 필터재의 후단면에 틈이 막히는 것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단 필터재의 통기 저항의 저감 효과를 더욱 기대할 수 있게 되며, 관통로에 주류연의 원활한 도입을 보다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칩지에는, 주류연을 희석하기 위한 공기를 필터 내에 도입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칩지 중, 필터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공동부 또는 상기 전단 필터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부착 담배의 측면에서도 받아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썬 담배를 권지로 권취한 로드부와, 그 로드부의 일단에 칩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필터의 횡단면을 막도록 하여 배치된 압축부 본체와, 그 압축부 본체의 일부를 필터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주류연을 유통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는 압축부재와, 상기 압축부재의 후단에 배치되어, 주류연의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필터재와,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를 필터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른, 상기 후단 필터재의 전단 면에 대한 상기 관통로의 대향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압축부재의 관통로가 형성된 필터 부착 담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재의 전단에 주류연의 유로 단면적을 압축하는 압축부재를 배치한 경우에도, 담배를 피울 때마다 필터재의 통기 저항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실시 형태의 담배의 개략 구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실시 형태의 담배의 단면도이다.
[도 3] 실시 형태의 압축부재의 상세 구조도이다.
[도 4] 실시 형태의 압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 실시 형태의 회전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후단 필터재의 전단(前端) 면과 관통로와의 상대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1).
[도 6b] 후단 필터재의 전단(前端) 면과 관통로와의 상대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2).
[도 7a] 압축부재의 관통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도 7b] 압축부재의 관통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도 8] 제1 변형예의 필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제2 변형예의 필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제3 변형예의 필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비교예의 담배의 개략도이다.
[도 1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흡입할 때마다의 환기 저항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담배용 필터를 구비한 필터 부착 담배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것들 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필터 부착 담배(이하 단순히 "담배"라고 한다)(1)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담배(1)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담배(1)의 길이 축을 포함하는 단면(이하, "종단면"이라 한다)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담배(1)는 로드부(2)와, 이 로드부(2)의 일단에 칩지(칩 페이퍼)(3)를 통해서 접속된 필터(4)를 가지고 있다. 로드(2)는 썬 담배(21)를 권지(22)로 권취한 것이다, 원주상(봉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로드부(2)는 "단권부"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도 2에서는, 필터(4)의 단면을 중심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담배(1){로드부(2), 필터(4)}의 길이 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을, 이하에서는 "횡단면"이라고 부른다.
필터(4)는, 담배(1)의 흡연시에 발생하는 주류연을 통과시켰을 때에, 주류연에 포함되는 연기 성분을 여과하기 위한 부재이다. 필터(4)는 로드부(2)와 실질적으로 같은 지름의 원주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부(2)와 필터(4)는, 상기와 같이 칩지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 로드부(2)에서 필터(4)와 접속되는 부분의 단부를 "후단"이라고 부르며, 그와 반대 측의 단부를 "전단"이라고 부른다. 또한, 필터(4)의 로드부(2)와의 접속단을 필터(4)의 "전단"라고 부르며 그와 반대 측의 단부를 "흡입단(후단)"이라고 부른다.
필터(4)의 내부에는, 전단 필터재(41), 압축부재(42), 후단 필터재(43) 등이, 필터(4)의 전단측에서 차례로 나란히 배치된다. 전단 필터재(41) 및 후단 필터재(43)는 흡연시에 로드부(2) 측에서 필터(4)로 유입되는 주류연에 포함되는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여과재이다. 압축부재(42)를 기준으로 전단 필터재(41)는 압축부재(42)의 전단(상류 측)에 마련되며, 후단 필터재(43)는 압축부재(42)의 후단(하류 측)에 마련된다.
담배(1)에 적용되는 전단 필터재(41) 및 후단 필터재(43)는 특정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시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단 필터재(41)를 차콜 필터로 형성하고, 후단 필터재(43)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터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터는 원주 형상으로 만든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 다발을 권지(430)로 권취한 필터 세그먼트이다. 한편, 차콜 필터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 다발에 활성탄 등의 흡착제를 분산시켜 구성한 것을 권취지(410)로 권취한 필터 세그먼트이다. 전단 필터재(41)는 주류연을 여과하는 기능 외에, 로드부(2)의 썬 담배(21)가 필터(4) 측으로 쏟아지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압축 부재(4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실시 형태의 압축부재(42)의 상세 구조도를 나타낸다. 압축부재(42)는, 연기 불투과성을 가지는 연기 불투과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압축부 본체(420)와, 이 압축부 본체(420)의 횡단면 일부에 천설된 관통로(420A)를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압축부재(42)를 제작하고 있지만, 연기의 불투과 재료라면 금속이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를 고밀도로 성형한 것이거나, 기타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압축부재(42)에서의 압축부 본체(42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필터(4)의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의 원판 부재이며, 필터(4)의 횡단면을 막도록 하여 배치되고 있다. 또한,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는 압축부 본체(420)를 필터(4)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필터(4)의 길이 축을 따라 연장되고 있다. 압축부 본체(420)의 관통로(420A)는 주류연을 유통시키기 위한 유로 단면적이 압축되어 있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압축부재(42)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을 압축부재(42)의 "중심축"로 정의하고, 도면 중의 부호 CA1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관통로(420A)는, 압축부 본체(420)의 횡단면 내에서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지 않고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관통로(420A)는,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축(CA1)에 대해서 편심 배치된 원형 단면을 가진 관통공이다. 즉, 관통로(420A)의 중심축을 부호 CA2로 나타내면, 관통로(420A)의 중심축(CA2)은,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축(CA1)으로부터 편심되어 있으며,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지는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압축부재(42)는, 그 중심축(CA1)이 필터(4)의 길이 축과 같은 축이 되도록 필터(4) 내에 배치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로드부(2)에서 유입된 주류연이 필터(4) 내를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필터(4) 내의 "상류" 및 "하류"로 정의한다. 즉, 상기 필터(4)의 "흡입구단"이 필터(4)의 하류단에 해당하며, 필터(4)의 "전단"이 필터(4)의 상류단에 해당한다.
또한, 압축 부재(42)에서의 압축부 본체(420)는,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압축 부재(42)에서의 압축부 본체(420)의 후단 면과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은, 필터(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과 압축부 본체(420)의 후단면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후단 필터재(43) 및 압축부 본체(420)가 연속하여 배치되고 있다.
한편, 압축부재(42)에서의 압축부 본체(420) 전단 면과 전단 필터재(41)의 후단 면 사이에 공동(캐비티)부(44)가 마련되어 있다. 즉, 필터(4)의 전단 필터재(41) 및 압축부재(42)는 공동부(44)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고, 필터(4)의 길이 방향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로(420A)는 압축부 본체(42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공동부(44)는 관통로(420A)의 전단(상류 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단 필터재(41) 및 압축부재(42)는 공통되는 권취지(46)로 권취되므로써 일체화되고 있다. 이 권취지(46)는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칩지(3) 중, 필터(4) 주위를 덮고 있는 영역에는, 주류연을 희석하기 위한 외기(공기)를 필터(4) 내에 도입하기 위한 통기공(31)이 천설되어 있다. 이 통기공(31)은 소위 벤틸레이션용의 외기 도입공이며, 칩지(3)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칩지(3)의 통기공(31)은, 필터(4)의 길이 방향에서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의 전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통기공(31)은, 칩지(3) 중,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보다도 상대적으로 상류 측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더 자세하게는, 칩지(3)의 통기공(31)은 필터(4)의 길이 방향에서, 공동부(4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권취지(46)는 통기성을 가지므로, 칩지(3)의 통기공(31)으로부터의 외기는, 권취지(46)를 투과하여 필터(4) 내부로 도입된다.
통기공(31)은, 칩지(3)가 로드부(2) 및 필터(4)에 권취하기 전에, 칩지(3)의 규정 위치에 미리 개공을 해 두어도 된다. 또한, 통기공(31)은 칩지(3)를 로드부(2) 및 필터(4)에 권취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칩지(3)에 대한 통기공(31)의 천설은 예를 들면 레이저 등을 사용해도 되며, 다른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통기공(31)을 칩지(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하고 있으나, 칩지(3)에 대한 통기공(31)의 배치 형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설계 사항이다.
다음으로, 필터(4)에 마련된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기구(4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회전 기구(45)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필터(4)의 후단 필터재(4)를 중심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회전 기구(45)는 후단 필터재(43) 및 압축부재(42)를, 필터(4)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는 기구이다. 더 자세하게는, 후단 필터재(43) 및 압축부재(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칩지(3)에 대해서 원주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기구로서 회전 기구(45)가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예에서, 압축부재(42)는 필터(4) 내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부재(42){압축부 본체(420)}의 외주면, 즉 압축부재(42)의 외주에 권취된 권취지(46)는 칩지(3)의 내주면에 대해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되고 있다. 도 5에서 굵은 선을 붙인 부호 BD로 접착제 도포 영역을 나타낸다.
한편,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필터(4)의 최후단에 배치된 후단 필터재(43)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권취지(430)와 칩지(3) 사이에는 접착제는 도포되지 않는다. 즉, 후단 필터재(43)는 칩지(3)에 대해서 접착되지 않고, 칩지(3)의 내면을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회동 자재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칩지(3)에 의해서 형성되고 있는 통 내에, 후단 필터재(43)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그 후단 측의 일부가 칩지(3)의 후단 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유지되고 있다. 즉, 후단 필터재(43)는, 그 후단 측이 칩지(3)에서 돌출함으로써, 외부에 노출하도록, 칩지(3)에 회동 자재하게 유지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후단 필터재(43) 중, 칩지(3)에서 돌출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된 부분을 "파지부(431)"라고 부른다. 흡연자는 예를 들면, 후단 필터재(43)의 파지부(431)를 잡는 것에 의해,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4)에서의 회전 기구(45)는, 후단 필터재(43)가 칩지(3)에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자세하게는, 칩지(3)의 후단부와 후단 필터재(43)의 권취지(430)의 전단부에는, 서로 계합하는 빠짐 방지편(3A, 430A)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것처럼, 빠짐 방지 볼록부(3A)가 칩지(3)의 내면에 마련되고, 빠짐 방지 볼록편(430A)이 권취지(430)의 외면에 마련되어 있다. 빠짐 방지편(3A)은 칩지(3)의 내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환상이면서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편(3A)은 예를 들어 칩지(3)를 형성하는 종이재를 접착제(BD)를 통해서 2중으로 접합시키는 것으로 형성하지만, 이것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빠짐 방지 볼록편(430A)은 권취지(430)의 외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환상이면서 띠 모양으로 형성되고 있다. 빠짐 방지편(430A)은 예를 들어 권취지(430)를 형성하는 종이재를 접착제(BD)를 통해서 2중으로 접합시키는 것으로 형성하지만, 이것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칩지(3) 측의 빠짐 방지 볼록부(3A)와, 후단 필터재(43){권취지(430)} 측의 빠짐 방지 볼록편(430A)이 서로 걸리는 것으로 계합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필터(4)의 길이 방향에 대한 후단 필터재(43)의 상대 이동, 즉 후단 필터재(43)의 빠짐이 억제된다. 또한, 칩지(3)에 대해서 후단 필터재(43)가 접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필터(4)의 길이 방향에 따른 중심축(길이 축)을 중심으로, 후단 필터재(43)를 회전 자재하게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칩지(3)의 내주면을 따라, 후단 필터재(43)를 자재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관통로(420A)는, 압축부재(42){압축부 본체(420)}의 횡단면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을 이루지 않고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관통로(420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 기구(45)를 이용하여 후단 필터재(43) 및 압축부재(4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때에,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에 대해서 관통로(420A)가 대향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단 필터재(43) 및 압축부재(42)의 상대 회전에 따른,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에 대한 관통로(420A)의 대향 위치가 변경되도록,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필터(4)의 동작 내용 및 이에 의해서 실현되는 효과에 대해서, 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흡연자가 담배(1)를 흡연할 때, 로드부(2)에서 필터(4) 내로 유입되는 주류연은 전단 필터재(41), 압축부재(42), 후단 필터재(43)를 거쳐서, 필터(4)의 흡입구 단에서 구강으로 흡인된다. 주류연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은 전단 필터재(41), 후단 필터재(43)를 차례로 통과함으로써 포집된다. 또한, 칩지(3)에 개공하는 통기공(31)을 통해서 외기가 필터(4) 내로 도입되어 주류연과 합류한다. 그리고, 통기공(31)에서부터 도입된 외기와 합류한 주류연은 주류연의 유로 단면적이 좁혀지는 것에 의하여, 소위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를 통과하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관통로(420A)에서 유출된 고속의 주류연은 후단 필터재(43)로 유입된다. 여기서, 후단 필터재(43)의 횡단면의 크기에 비해서, 관통로(420A)의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후단 필터재(43)의 횡단면의 일부를 주류연이 통과하게 된다. 이처럼, 후단 필터재(43)의 유효 여과 면적이 축소됨으로써, 후단 필터재(43)를 흐르는 주류연의 선 속도가 높게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후단 필터재(43)의 주류연이 고속 여과가 실현되어, 여과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후단 필터재(43)의 고속 여과에 의해, 담배(1)의 주류연 성분을 변화시킬 수 있어, 담배(1)의 흡입 향기 맛 특징을 변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관통로(420A)의 통과 시에 유속이 높아진 주류연이 후단 필터재(43)에 유입될 때, 주류연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이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에 집중한다. 그러므로, 후단 필터재(43)에서 고속 여과할 경우, 후단 필터재(43)의 전 단 면의 틈 막힘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흡연자들이 주류연을 흡인하는 동작을 할 때마다, 즉, 빨아들일 때마다 환기 저항이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필터(4)에서는, 후단 필터재(43)와 압축부 부재(42)를 상대 회전 가능한 회전 기구(45)를 구비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회전 기구(45)를 이용한 필터(4)의 동작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조작을 실시하는 전후에 있어서,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과 관통로(420A)와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도면 중, 경사 해칭으로 나타낸 부분)을 기준으로,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흡연자가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주류연을 빨아들이고, 후단 필터재(43)의 횡단면 중,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와 대향하는 영역에 틈이 막히는 일이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흡연자가 이 상태로 주류연을 빨아들인다고 해도 높은 환기 저항에 의해서 주류연을 빨아들이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필터(4)는 회전 기구(45)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흡연자는, 후단 필터재(43)의 파지부(431)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는, 압축부 본체(420)의 횡단면 내에서,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단 필터재(43)가 칩지(3)의 내주면을 따라서 회동함으로써, 도 6B에 나타내듯이,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에 대해서 관통로(420A)가 대향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흡연자가, 후단 필터재(43)의 회전각(회전 조작량)을 90°로 한 경우를 예로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흡연자는 임의의 시점에서,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후단 필터재(43)의 횡단면 중 틈 막힘이 일어나지 않은 영역과 관통로(420A)가 대향하도록, 후단 필터 재(43) 및 관통로(420A)의 상대 위치 관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담배(1)의 흡연시에 빨아들이는 회수가 늘어도, 적절한 타이밍에서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빨아들일 때마다 후단 필터재(43)의 통기 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담배(1)의 흡연시에 흡연자가 주류연을 흡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부재(42)에서의 압축부 본체(420)의 후단 면과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이 필터(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설되고,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과 압축부 본체(420A)의 후단 면 사이에 간격이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따르면,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를 주류연이 통과한 후, 주류연의 유속을 높게 유지한 상태에서, 후단 필터재(43)로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단 필터재(43)의 주류연의 고속 여과를 보다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벤틸레이션용의 외기를 필터(4) 내에 도입하는 통기공(31)을, 필터(4)의 길이 방향에서, 압축부재(42)에서의 압축부 본체(420) 보다도 상류 측의 위치에 배치하도록 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칩지(3)의 통기공(31)을, 필터(4)의 길이 방향에서 제2 공동부(44)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통기공(31)을 통해서 필터(4) 내에 도입된 외기와 합류한 후의 주류연을 관통로(420A)에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로(420A) 및 후단 필터재(43)를 차례로 흐르는 주류연의 선 속도를 높게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며, 후단 필터재(43)의 주류연의 고속 여과의 실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또한, 후단 필터재(43)에서 고속 여과를 적절하게 실현한다는 관점에 의하면, 칩지(3)의 통기공(31)은 압축부재(42)에서의 압축부 본체(420){관통로(420A)}보다도 상류 측에 배치하면 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필터(4)의 길이 방향에서, 전단 필터재(41)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공(31)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단 필터재(43)의 고속 여과를 더 적절하게 실현한다는 관점에서, 칩지(3)의 통기공(31)을 압축부재(42)에서의 압축부 본체(420){관통로(420A)}보다도 상류 측에 배치하고 있으나, 칩지(3) 중 압축부재(42)보다도 하류 측의 위치에 통기공(31)을 개공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칩지(3)의 통기공(31)은 본 실시 형태의 필터(4)에서 필수 구성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필터(4)에 따르면,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의 전단, 즉 상류 측에 공동부(44)를 배치하고, 이 공동부(44)를 사이에 끼우도록 전단 필터재(41)와 압축부 본체(420){관통로(420A)}를 떨어져 배치하도록 했다. 이에 따르면, 첫째, 필터(4)의 통기 저항을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흡연시 환기 저항을 적절하게 조작할 수 있다. 둘째, 전단 필터재(41)의 후단 면과 압축부 본체(420){관통로(420A)}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어, 전단 필터재(41)의 후단 면에 틈이 막히는 일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이처럼 전단 필터재(41)에 틈이 막히기 어렵고 되므로, 전단 필터재(41)의 통기 저항의 저감 효과가 보다 기대될 수 있게 되어, 관통로(420A)의 주류연의 원활한 도입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성예에 있어서는, 칩지(3)에 대해서 압축부재(42)를 고정하고, 후단 필터재(43)를 칩지(3)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기구로서 회전 기구(45)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4)에서의 회전 기구(45)는 후단 필터재(43) 대신에, 압축 부재(42)를 칩지(3)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해도 된다. 또한, 회전 기구(45)는 후단 필터재(43) 및 압축 부재(42) 모두를 칩지(3)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기구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것들에 의해서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회전 기구(45)와 같은 효과가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회전 기구(45)에서는, 필터(4)의 최후단에 배치되어 있는 후단 필터재(43)의 일부를 파지부(431)로서, 칩지(3)의 후단 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 즉 회전 기구(45)를 작동시킬 때의 활용도를 높이고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필터(4)에서,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는, 압축부 본체(420)의 횡단면 내에서,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을 이루지 않고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축(CA1)에 대해서 비 동심 원형 형상을 만들도록 하여 관통로(420A)를 형성함으로써, 후단 필터재(43) 및 압축부재(42)를 필터(4)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자유 자재로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를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축(CA1)으로부터 편심하는 원형 관통공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여러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는,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동심원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관통공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필터(4)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의 필터(4A)는, 압축부재(42A)를 내장한다. 압축부재(42A)는, 압축부 본체(420)로부터 입설되는 통 형상 벽(421)을 갖는다는 점에서, 상기의 압축부재(42)와 상이하다. 압축부재(42A)의 통 형상 벽(421)은 압축부 본체(420)의 주변에 따라 압축부 본체(420)에서 수직하게 입설하는 원통 슬리브(원통 벽)이며, 그 외경은 필터(4)의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통 형상 벽(421)의 안쪽은 중공으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통 형상 벽(421)의 내주면과 압축부 본체(420)의 표면에 의해서 획정되는 중공 공간을 "제2 공동부(422)"라고 부른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듯이, 필터(4A) 내에서, 압축부재(42A)에서의 압축부 본체(420)보다도 통 형상 벽(421)이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벽(421)의 전단 면은 전단 필터재(41)의 후단 면과 접하도록 압축부재(42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 칩지(3)에 형성되는 통기공(31)은 필터(4)의 길이 방향에서 전단 필터재(4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단 필터재(41) 및 압축부재(42A)는 권취지(46)로 권취되는 것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변형예에서도 전단 필터재(41)의 후단 면과 압축부 본체(420)의 전단 면 사이에 제2 공동부(422)가 마련되므로, 필터(4)의 통기 저항을 낮추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통 형상 벽(421)의 전단 면을 전단 필터재(41)의 후단 면과 접하도록 압축부재(42A)를 배치하고 있으나, 통 형상 벽(421)의 전단 면 및 전단 필터재(41)의 후단 면을 이간시켜도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 전단 필터재(41)의 권취지(410), 전단 필터재(41) 및 압축부재(42A)를 권취하는 권취지(46)는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통기공(31)으로부터의 외기는 권취지(410) 및 권취지(46)을 투과하여 전단 필터재(41)의 내부에 도입된 후, 전단 필터재(41), 제2 공동부(422), 관통로(420A), 후단 필터재(43)를 순차적으로 통고한 후, 구강 내로 안내된다.
도 9는, 제2 변형예의 필터(4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필터(4B)에서, 칩지(3)의 후단에서의 외면에는 위치 맞춤용 커서(32)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후단 필터재(43)의 파지부(431)의 외표면{권취지(430)}에는, 눈금(432)이 표시되어 있다. 눈금(432)은 복수의 굵은선과 같은 마크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모습으로 한정되지 않고, 문자, 숫자, 기호 등과 같은 부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칩지(3)의 커서(32)와 후단 필터재(43)의 눈금(432)은, 칩지(3)에 대한 후단 필터재(43)의 상대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르면 칩지(3)에 대한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조작을 할 때에, 흡연자는 현재의 칩지(3)에 대한 후단 필터재(43)의 상대 회전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흡연자는 눈금(432)을 구성하는 눈금선끼리의 간격에 기초하여, 후단 필터재(43)를 회전시키면서 회전량의 기준을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흡연자에게 있어서, 편리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칩지(3) 측에 커서(32)를 표시하고, 후단 필터재(43) 측에 눈금(432)을 표시하고 있지만, 커서와 눈금을 바꾸어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 10은, 제3변형예의 필터(4C)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필터(4C)에서 후단 필터재(43)의 외주면{권취지(430)} 및 칩지(3)의 내주면에는, 칩지(3)에 대한 후단 필터재(43)의 상대 회전 각도가 소정의 각도로 변화할 때마다 감합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후단 필터재(43)의 외주면{권취지(43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오목부(43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칩지(3)의 내주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볼록부(33)가 설치되어 있다. 후단 필터재(43) 측의 오목부(433)와 칩지(3) 측의 볼록부(33)는 필터(4)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가 동일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칩지(3)에 대해서 후단 필터재(43)를 상대로 회전시킴으로써, 오목부(433) 및 볼록부(33)의 감합 상태와 비 감합 상태가 번갈아 교체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칩지(3)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45°간격으로 볼록부(33)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단 필터재(43)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45°간격으로 오목부(43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4C)에서는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질 때에, 칩지(3)에 대한 후단 필터재(43)의 상대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45°)로 변화할 때마다, 볼록부(33) 및 오목부(433)가 감합된다. 이에 따르면, 흡연자는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조작을 할 때에 파지부(431)를 통해서 전달되는 감각{오목부(433)에 볼록부(33)가 끼워질 때의 감각, 혹은 이 감합 상태가 해제될 때의 감각)에 의해, 칩지(3)에 대한 후단 필터재(43)의 상대 회전 각도가 조작 전의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로 변화한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흡연자에게 편리성이 높고, 사용이 편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칩지(3)의 내주면에 볼록부(33)를 마련하고, 후단 필터재(43)의 외주면에 오목부(433)를 설치한 예를 설명했지만, 볼록부(33) 및 오목부(433)를 바꾸어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볼록부(33) 끼리의 간격이나, 오목부(433) 끼리의 간격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에서는, 아래의 요령으로, 도 1 ~ 도 5에서 설명한 담배(1)를 제작했다. 전단 필터재(41)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 다발에 활성탄을 분산시킨 것을 권취지(410)로 권취하여 제작했다. 또한, 후단 필터재(43)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 다발을 권취지(430)로 권취하여 제작했다. 전단 필터재(41) 및 후단 필터재(43)는 모두, 지름이 7.8mm, 길이가 10mm였다.
압축부재(42)는 원판 형상으로 만들어진 플라스틱제의 압축부 본체(420)를 관통하는 원 단면을 가진 관통로(420A)를 천설하여 제작했다. 압축부 본체(420)는 두께가 5mm, 지름이 7.8mm였다. 또한, 관통로(420A)의 지름은 1.5mm이며,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 및 관통로(420A)의 중심의 편심 치수는 1.75mm였다.
썬 담배(21)를 권취지(22)로 권취한 로드부(2)와, 미리 통기공(31)을 형성한 칩지(3)를 준비했다. 그리고, 전단 필터재(41)와 압축부재(42)를 권취지(46)로 일체로 권취한 것과, 로드부(2)와 후단 필터재(43)를 늘어놓고, 이들을 칩지(3)로 일체로 권취하여 담배(1)를 제작했다. 또한, 로드부(2)는 썬 담배(21)를 권취지(22)로 권취하여 제작했다. 권취지(46)에는 1300~20000 코레스타 단위의 통기성을 가진 것을 사용했다.
전단 필터재(41)와 압축부재(42)를 권취지(46)로 권취할 때, 전단 필터재(41)의 후단 면에서 압축부재(42)의 전단 면을 2mm 떨어뜨려 배치하고, 전단 필터재(41)와 압축부재(42)사이에 공동부(44)를 형성했다. 또한, 압축부재(42)의 후단 면과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을 접하여 배치했다. 또한, 칩지(3)는 로드부(2)의 권지, 권취지(46)를 접착제로 칩지(3)의 내주면과 접착하고, 후단 필터재(43)의 권취지(430)를 칩지(3)의 내주면에 대해서 접착하지 않고 권취했다. 이로써, 칩지(3)의 내주면을 따라 후단 필터재(43)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필터(4) 및 이를 부착한 담배(1)를 제작했다. 또한, 제작한 담배(1)에서 로드(2)의 길이는 57mm, 필터(4)의 길이는 27mm였다.
이상의 요령으로 제작한 실시예의 담배(1)에 대해서, 빨아들일 때마다의 환기 저항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시험은 실시예의 담배(1)를 흡연기로 연소시키고, 로드부(2)를 잘라낸 후, 필터(4)의 통기 저항을 측정했다. 또한, 흡연 시험에 사용한 흡연기는 "RGA-System R26"(Burghart사제)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의 담배(1)를 흡연기에 세트해서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표준 흡연 조건에 준하여 흡연시켰다. ISO표준 흡연 조건은 60초마다 흡연(1회 빨아들임)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더 자세하게는, 1회 빨아들일 때 2초 동안 35ml의 흡연을 실시하고, 어떤 회의 빨아들임이 끝난 다음 회가 개시되기까지의 간격은 58초로 규정되어 있다.
통기 저항의 측정에 이용한 통기 저항 측정기는 "Model TT-300"(타마키 제작소 제품)로 했다. 통기 저항의 측정에 있어서, 썬 담배의 통기 저항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 로드부(2)를 잘라내고, 필터(4){전단 필터재(41), 압축부재(42), 후단 필터재(43)}의 통기 저항을 측정했다. 또한, 필터(4)의 통기 저항 측정은 시판의 셀로판테이프{세로테이프(등록 상표)}를 이용하여 필터(4)의 통기공(31)을 막은 상태에서 했다. 흡연 시험에 있어서, 시험에 제공하는 담배(1)를 6개 준비하고 빨아들이는 회수를 0 ~ 5회로 했을 때의 필터(4)의 통기 저항을 측정했다. 또한, 담배(1)를 빨아들일 때마다 후단 필터재(43)를 칩지(3)에 대해서 필터(4)의 원주 방향으로 60°씩 회전시켜 흡연 시험을 했다. 즉, 빨아들이는 수를 0회로 할 때의 통기 저항은 미 흡연 상태의 담배(1)의 로드부(2)를 잘라내고, 필터(4)의 통기 저항을 통기 저항 측정기로 측정하는 것으로 얻었다. 또한, 빨아들이는 회수를 1회로 할 때의 통기 저항은 흡연기를 이용하여 1회 실시하고, 로드부(2)를 잘라낸 후, 필터(4)의 통기 저항을 측정하는 것으로 얻었다. 다음으로, 빨아들이는 회수를 2회로 할 때의 통기 저항은 흡연기를 이용하여 1회째의 빨아들임을 하고, 후단 필터재(43)를 60°회전시키고, 다시 흡연기를 이용하여 2회째 빨아들인 후, 로드부(2)를 잘라낸 후, 필터(4)의 통기 저항을 측정하는 것으로 얻었다. 이런 순서로, 빨아들임 수를 0 ~ 5회로 했을 때의 빨아들임 별로의 통기 저항을 측정했다.
[비교예]
도 11은, 비교예의 담배(100)의 개략도이다. 비교예의 담배(100)는 실시예의 담배(1)와, 압축부재의 관통로와, 칩지에 대한 후단 필터재의 고정 조건을 달리하고, 그 외의 조건을 공통으로 했다. 비교예의 담배(100)에서, 도 11 중의 부호 42는 "압축부재", 420은 " 압축부 본체", 420A는 "관통로"이다. 압축부재(42)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제의 압축부 본체(420)를 관통하도록 원 단면을 가진 관통로(420A)를 천설하여 제작했다. 압축부 본체(420)는 두께가 5mm, 지름이 7.8mm이었다. 또한, 관통로(420A)의 지름은 1.5mm이며, 압축부 본체(420)의 중심 및 관통로(420A)의 중심을 동축으로 배치했다.
비교예의 담배(100)도 실시예의 담배(1)와 공통의 로드부(2) 및 칩지(3)를 준비했다. 그리고 전단 필터재(41)와 압축부재(42)를 권취지(46)로 일체로 권취한 것과, 로드부(2)와 후단 필터재(43)를 늘어놓고 이들을 칩지(3)로 일체로 권취하여 담배(1)를 제작했다. 또한 전단 필터재(41)와 압축부재(42)를 일체로 권취하는 권취지(46)에는 1300~20000 코레스타 단위의 통기성을 가진 것을 사용했다. 전단 필터재(41)와 압축부재(42)를 권취지(46)로 일체로 권취할 때, 전단 필터재(41)의 후단 면에서 압축부재(42)의 전단 면을 2mm 떨어뜨려 배치하고, 전단 필터재(41)와 압축부재(42)사이에 공동부(44)를 형성했다. 또한, 압축부재(42)의 후단 면과 후단 필터재(43)의 전단 면을 접하여 배치했다. 또한 칩지(3)는 로드부(2)의 권지, 전단 필터재(41)와 압축부재(42)를 일체로 권취하는 권취지(46), 후단 필터재(43)의 권취지의 외주면을 접착제로 칩지(3)의 내면과 접착하여 권취했다, 제작한 담배(100)에서 로드(2)의 길이는 57mm, 필터(400)의 길이는 27mm였다.
이상의 요령으로 제작한 비교예의 담배(100)에 대해서, 빨아들임 마다의 통기 저항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의 담배(100)에 대한 흡연 시험에서는, 빨아들일 때마다 후단 필터재(43)의 회전 조작을 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의 흡연 시험 조건과 공통으로 했다.
도 12에 나타내듯이, 비교예의 담배(100)에서는, 빨아들임이 진행됨(빨아들이는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통기 저항이 상승하고, 초기 저항 130mmH2O에 대해서, 5회 분이 경과한 후에는 390mmH2O까지 상승했다. 즉, 비교예의 담배(100)에서는 빨아들임 회수가 증가하면서 흡연자가 주류연을 흡입하는 것이 어려워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의 담배(1)에서는 빨아들임 회수가 늘어도 통기 저항은 초기 저항 130mmH2O부터 거의 변화 없이 안정되었다. 따라서 실시예의 담배(1)에서는 후단 필터재(43) 및 압축부재(42)를 필터(4)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시키고, 후단 필터재(43)의 횡단면 중 틈 막힘이 일어나지 않은 부분으로 압축부재(42)의 관통로(420A)가 대향하도록 양측의 위치 맞춤을 함으로써 흡연 중에 통기 저항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 결과는 실시예의 담배(1)에 의해서, 흡연자에게 끝까지 피우기 쉬운 담배가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가 여러가지의 변경, 개량, 조합 등이 가능하다는 것은 해당 업체에게 자명하다.
부호의 설명
1...담배
2...로드부
3...칩지
4...필터
21...썬 담배
22...권지
31...통기공
41...전단 필터재
42...압축부재
43...후단 필터재
44...공동부
420... 압축부 본체
420A...관통로

Claims (11)

  1. 썬 담배를 권지로 권취한 로드부의 일단에 칩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담배용 필터로서,
    필터의 횡단면을 막도록 하여 배치된 압축부 본체와, 그 압축부 본체의 일부를 필터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주류연을 유통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는 압축부재와,
    상기 압축부재의 후단에 배치되어, 주류연의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후단 필터재와,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를, 필터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후단 필터재의 전단 면에 대한 상기 관통로의 대향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압축부재의 관통로가 형성되는 담배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는, 상기 압축부 본체의 횡단면 내에서, 그 횡단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지 않고 형성되는 담배용 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칩지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기구로 구성되는 담배용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필터재는, 필터의 최후단에 배치되고, 또한 그 후단 필터재의 회전 조작을 위한 파지부가 상기 칩지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외표면 및 상기 칩지에는, 상기 칩지에 대한 상기 후단 필터재의 상대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부여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칩지에는, 상기 칩지에 대한 상기 후단 필터재의 상대 회전 각도가 소정의 각도로 변화할 때마다 감합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의 후단 면과 상기 후단 필터재의 전단 면은, 필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설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칩지에는, 주류연을 희석하기 위한 공기를 필터 내로 도입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공은 상기 칩지 중의 필터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관통로의 전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의 전단에, 주류연의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전단 필터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관통로와 상기 전단 필터재 사이에는 공동부가 설치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칩지에는 주류연을 희석하기 위한 공기를 필터 내에 도입하는 통기공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칩지 중의 필터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공동부 또는 상기 전단 필터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담배용 필터.
  11. 썬 담배를 권지로 권취한 로드부와, 그 로드부의 일단에 칩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필터의 횡단면을 막도록 하여 배치된 압축부 본체와, 그 압축부 본체의 일부를 필터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주류연을 유통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는 압축부재와,
    상기 압축부재의 후단에 배치되고, 주류연의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후단 필터재와,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를, 필터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단 필터재 및 상기 압축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른, 상기 후단 필터재의 전단 면에 대한 상기 관통로의 대향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압축부재의 관통로가 형성되는 필터 부착 담배.
KR1020157036906A 2013-07-03 2013-07-03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 KR101819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8265 WO2015001630A1 (ja) 2013-07-03 2013-07-03 シガレット用フィルタおよびフィルタ付きシガレ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924A true KR20160016924A (ko) 2016-02-15
KR101819814B1 KR101819814B1 (ko) 2018-01-17

Family

ID=5214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906A KR101819814B1 (ko) 2013-07-03 2013-07-03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015007A4 (ko)
JP (1) JP5990647B2 (ko)
KR (1) KR101819814B1 (ko)
CN (1) CN105357992A (ko)
RU (1) RU2622802C1 (ko)
WO (1) WO20150016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226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73500A1 (it) * 2017-06-30 2018-12-30 Gd Spa Articolo dell’industria dei prodotti atti ad emettere una sostanza da aspirare
CN111657545A (zh) * 2019-03-05 2020-09-15 王飞 一种香烟过滤嘴及带有过滤嘴的香烟
CN110893009A (zh) * 2019-09-18 2020-03-20 索图电子(惠州)有限公司 烟用过滤部件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8050A (en) * 1967-02-21 1969-02-18 Walter R Kandel Filter cigarette of adjustable filter capacity
JPS59501443A (ja) * 1982-07-23 1984-08-1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ガレツトおよびその製造法
US4768526A (en) * 1983-06-02 1988-09-0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 smoke filters
GB2292302B (en) * 1994-08-19 1998-03-04 Cigarette Components Ltd Concentric core filter
CN1109304A (zh) 1994-11-09 1995-10-04 宁宝纲 一种卷烟复合滤嘴
CN1142339A (zh) * 1996-04-11 1997-02-12 罗光辉 超滤复合烟嘴棒
US6883523B2 (en) * 2003-02-14 2005-04-26 Philip Morris Usa Inc. Cigarette having porous heat transfer tube
RU2426480C2 (ru) * 2006-03-10 2011-08-20 Бритиш Америкэн Тобэкко (Инвестментс) Лимитед Фильтр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NZ571453A (en) 2006-03-28 2011-09-30 Philip Morris Prod Smoking article with a restrictor that reduces carbon monoxide but maintains a high resistance to draw
TW200911138A (en) * 2007-03-09 2009-03-16 Philip Morris Prod Smoking articles with restrictor and aerosol former
ZA200907582B (en) * 2009-10-28 2014-10-29 Tobacco Res And Dev Inst (Pty) Ltd Flow control device for a smoking article
CN101966011B (zh) * 2010-09-28 2013-01-30 广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滤棒的降焦增香方法及应用
GB2490732A (en) * 2011-05-13 2012-11-1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CN202151104U (zh) * 2011-08-08 2012-02-29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设有吸阻棒的卷烟滤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226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57992A (zh) 2016-02-24
EP3015007A4 (en) 2017-03-08
WO2015001630A1 (ja) 2015-01-08
EP3015007A1 (en) 2016-05-04
JP5990647B2 (ja) 2016-09-14
JPWO2015001630A1 (ja) 2017-02-23
RU2622802C1 (ru) 2017-06-20
KR101819814B1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8948B2 (ja) フィルター付きシガレット
JP5816702B2 (ja) 喫煙物品、フィルター
KR101819814B1 (ko) 담배용 필터 및 필터 부착 담배
US10667550B2 (en) Filter for cigarette product and cigarette product
JP6649900B2 (ja) 換気された口側端くぼみを備えた喫煙物品
JP5752769B2 (ja) 喫煙品用換気さや型ケース
JP6741574B2 (ja) タバコ煙フィルタ
BR112018015597B1 (pt) Artigo para fumar e filtro para um artigo para fumar
JP3190703U (ja) 喫煙品用フィルター
WO2013042609A1 (ja) シガレット
JP2015530106A (ja) 吸口端汚損を低減した喫煙物品
WO2007051395A1 (fr) Filtre
JPH0523158A (ja) シガレツトフイルター
EP2854574B1 (en) Smoking article with concentric filter
JP2000093153A (ja) タバコフィルター
JP2017507660A (ja) 喫煙物品のフィルター
TWI630878B (zh) 濾嘴及煙草製品
TW201642769A (zh) 吸菸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