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919A - 극돌기간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기구 - Google Patents

극돌기간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919A
KR20160016919A KR1020157036866A KR20157036866A KR20160016919A KR 20160016919 A KR20160016919 A KR 20160016919A KR 1020157036866 A KR1020157036866 A KR 1020157036866A KR 20157036866 A KR20157036866 A KR 20157036866A KR 20160016919 A KR20160016919 A KR 20160016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plunger
distal
main body
spik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멜리사 프록
아담 프록
Original Assignee
스파이널 심플리서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파이널 심플리서티 엘엘씨 filed Critical 스파이널 심플리서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1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61B17/8877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driver bit
    • A61B17/8883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driver bit the driver bit acting on the periphery of the screw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5Devices with changeable shape, e.g. collapsible or having retractable arms to aid implantation;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with expandable anchors or anchors having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61B17/8886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screw head
    • A61B17/8888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screw head at its central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61B17/8886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screw head
    • A61B17/8891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screw head at its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임플란트를 전개하기 위한 삽입장치는 상기 임플란트에 결합하기 위한 말단 잠금부를 갖는 긴 주몸체 및 근위 핸들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 몸체는 중앙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말단 잠금부는 외부 리지들 및 상기 임플란트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리지들을 방사상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는 슬롯들을 갖는다. 플런저는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말단 잠금부에 장착하기 위한 잠겨지지않은 위치,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말단 잠금부에 잠그기 위한 잠금 위치, 및 상기 블레이드를 전개하기 위한 삽입기구 전개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상기 중앙 통로에서 미끄러진다.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는 스파이크 캡을 이동시키도록 구동 너트를 임플란트에 결합하기 위한 소켓 단부를 갖는 상기 주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극돌기간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기구{Instrument for inserting an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3년 5월 29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임시 특허출원 제 61/828,384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는 여기에서는 참조로서 통합된 것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척추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척추 안정화를 위해 극돌기간 임플란트를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고 세척을 위해서 그리고 목표 극돌기간 공간에 피부를 통한 배치를 위해서 쉽게 분해 및 조립될 수 있는 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며, 이때 상기 임플란트는 척추 협착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융합 케이지 스페이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척추는 두개골에서 엉덩이까지 연장된 24개 척추골의 기둥으로 구성된다. 인접한 척추골 사이에는 연질의 디스크가 배치된다. 척추골은 머리와 몸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며, 디스크들은 쿠션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척추는 척수를 에워싸고 보호하며, 척추관으로 불리는 척수 주위의 뼈 채널을 한정한다. 척수와 척추관의 경계들 사이에는 공간이 보통 존재하며, 그래서 척수 및 그와 연관된 신경이 끼지 않게 된다.
세월이 지남에 따라 척추관을 둘러싸는 인대와 뼈는 두껍고 단단해질 수 있고, 그 결과 척추관이 좁아져서 척수나 신경뿌리가 압축된다. 이 상태는 척추 협착증으로 불리는데, 이것은 등과 다리에 통증과 마비를 수반하고 허약함 및/또는 균형의 상실을 초래한다. 이 증상은 일정시간 동안 걷거나 서있은 후에 자주 증가한다.
척추 협착증의 비수술 요법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것들은 부기와 통증을 줄이기 위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부기를 줄이고 극심한 통증을 치유하기 위한 스테로이드 주사를 포함한다. 몇몇 환자들은 그러한 치료시에 척추 협착증의 증상이 완화되는 경험을 하지만, 많은 환자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외과적인 수술을 하게된다. 척추 협착증을 치료하기 위한 몇몇 외과적인 절차들은 감압 추궁절제술 및 척추 극돌기간 감압(IPD)이다.
IPD 수술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널리 알려진 임플란트는 X-STOP® 장치인데, 이것은 미합중국 특허 제 6,419,676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것은 여기에서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된다. 최소 침습수술에서 사용되는 다른 극돌기간 임플란트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공개 제 2008/0243250 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여기에서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된다.
최소 침습수술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극돌기간 임플란트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공개 제 2010/0234889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것은 여기에서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들의 효과적인 삽입의 한가지 양태는 임플란트를 전개하기 위한 로 프로필(low profile)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빈번하게도, 삽입기구는 다수의 가동 부품들을 가지고 있다. 삽입기구의 가격 때문에 이 기구는 여러번 재사용된다. 그러한 삽입기구를 재사용하기 위해서, 삽입기구는 부품들에 대한 손상이나 손실없이 적당히 그리고 완전하게 세척되어야만 한다.
이에, 세척을 위해서 쉽게 분해될 수 있고 사용을 위해서 쉽게 조립될 수 있는 척추 임플란트를 전개시키기 위한 삽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척추 임플란트는 a) 2개의 인접한 가시돌기들 사이의 목표 극돌간 공간에 위치한 스페이서로서 기능하도록 제공된 긴 본체 - 상기 본체는 내부 접근을 위해서 상기 내부와 근위 내부 리세스를 한정하고, 상기 근위 내부 리세스는 횡단 홈을 형성함 -; b)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결합되고 내부에 횡단하여 장착된 핀 주위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대향하는 방사상으로 전개 가능한 블레이드들을 구비하는 말단 앵커; c) 상기 본체를 따라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된 스파이크 캡 및 상기 말단 앵커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와 상기 말단 앵커에 비교적 가까운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따라 종방향으로 운동하기 위해 장착된 구동 너트를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스파이크 캡과 상기 말단 앵커 사이에서 2개의 인접한 가시돌기들을 가압하는 근위 앵커; 및 d) 적재위치로부터 임플란트 전개위치로 상기 블레이드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작동 플런저;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장치는 상기 임플란트에 결합하기 위한 말단 잠금부 및 근위 핸들부를 갖는 긴 주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주 몸체는 중앙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말단 잠금부는 외부 리지들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상기 외부 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금 방사상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한다. 플런저는 상기 말단 잠금부에 상기 임플란트를 장착하기 위한 잠겨지지 않은 위치, 상기 말단 잠금부에 상기 임플란트를 잠그기 위한 잠금위치, 그리고 상기 적재위치로부터 상기 전개위치로 상기 블레이드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작동 플런저를 전개하기 위한 삽입기구 전개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상기 중앙통로에서 활주한다.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는 상기 스파이크 캡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너트와 결합하기 위한 소켓 단부를 갖는 상기 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주 몸체에 결합된 플런저 스톱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 스톱은 상기 주 몸체의 상기 중앙 통로와 대체로 정렬된 중앙 통로를 가지며, 상기 플런저 스톱은 상기 중앙 통로 내로 돌출한 보스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중앙 통로 내에서 미끄러지고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보스를 포획하는 3개-부분 홈을 형성하고, 상기 3개-부분 홈은 상기 잠겨지지 않은 위치를 한정하는 제 1 축 부분, 상기 잠금위치를 한정하는 중간 방사상 부분, 및 상기 삽입 기구 전개위치를 한정하는 제 2 축방향 부분을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가 상기 잠겨지지 않은 위치에서 장착되는 경우, 상기 외부 리지들은 상기 횡단 홈에 결합된다.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외부 리지들은 상기 횡단 홈에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외부 리지들과 동심이 되도록 상기 중앙 통로를 통해서 연장된다. 상기 삽입 기구 전개위치에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임플런트의 상기 작동 플런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중앙 통로 밖으로 연장된다.
임플란트의 크기가 변함에 따라, 상기 소켓 단부를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구동 너트에 결합하기 위해 어댑터들은 상기 임플란트에 부합된다. 상기 스파이크 캡은 구동되는 경우에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임플란트 본체에 키로 잠겨진다.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극상돌기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임플란트의 효과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평평한 부분들을 갖는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나사형 본체, 선택적으로 전개 가능한 말단 블레이드들, 및 선택적으로 전개 가능한 근위 앵커를 갖는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구는 중앙 통로를 한정하는 근위 핸들부 및 상기 임플란트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말단부를 갖는 긴 주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긴 주 몸체에 고정하고 상기 말단 블레이드들을 전개하도록 플런저가 상기 중앙 통로에서 활주한다. 상기 근위 앵커를 전개하도록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가 상기 플런저 주위에 동축으로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플란트는 횡단 홈을 갖는 내부를 한정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횡단 홈 내로 찰칵하고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말단부가 상기 횡단 홈에 찰칵하고 결합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앙 통로 내로 미끄러진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말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잠겨지지않은 위치,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말단부에 잠그기 위한 잠금 위치, 및 상기 블레이드를 전개하기 위한 삽입기구 전개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장착 리세스를 한정하는 본체를 갖는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삽입기구는 근위 핸들부 및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장착 리세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슬롯형 말단부를 갖는 긴 주 몸체를 포함한다. 플런저는 상기 슬롯형 말단부 내에서 상기 중앙 통로를 선택적으로 채우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긴 주 몸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긴 주 몸체의 중앙 통로에서 활주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장착 리세스에 연결된 내부를 한정한다. 상기 임플란트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말단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중앙통로로부터 상기 내부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말단 블레이드들을 전개시킨다.
상기 임플란트는 선택적으로 전개 가능한 근위 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근위 앵커를 전개하기 위해서 상기 플런저 및 긴 주 몸체 주위로 동심으로 위치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 리세스는 횡단 홈을 가지며 그래서 상기 말단부는 상기 횡단 홈 내로 찰칵하고 결합되는 리지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현재 알려져 있고 추후 발전되는 응용을 위한 프로세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한없이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 및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한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독특한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들을 통해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을 수행함이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삽입기구를 어떻게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삽입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를 구비한 도 1의 삽입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삽입기구의 분해도로서, 그것의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삽입기구의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의 분해도로서, 그것의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삽입기구의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와 결합하게 되는 주 몸체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삽입기구의 플런저 및 플런저 노브의 분해도로서, 그것의 부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삽입기구의 주 몸체에 결합되는 플런저 스톱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삽입기구의 주 몸체에 결합되는 플런저의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삽입기구의 조립된 주 몸체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선 10-10을 따라서 도시한 도 9의 삽입기구의 단면도로서, 플런저가 풀림위치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접힘위치에 놓인 블레이드들을 구비한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12는 전개위치에 놓인 블레이드들을 구비한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배면 분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전면 분해도.
도 15는 도 11의 선 15-15를 따라서 도시한 도 11 내지 도 14의 임플란트의 단면도로서, 말단 앵커 요소들이 접힘위치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1의 선 16-16을 따라서 도시한 도 11 내지 도 14의 임플란트의 단면도로서, 말단 앵커 요소들이 전개위치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의 삽입기구의 주 몸체의 말단 팁으로부터 철수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의 사시도.
도 18은 임플란트에 결합될 도 1의 기구의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에 장착된 어댑터의 사시도.
도 19는 임플란트가 장착된 도 1의 삽입기구의 측면도.
도 20은 등에 설치되도록 준비된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측방향 삽입과정 동안에 도입튜브 내의 임플란트의 배면도.
도 22는 목표 극돌간 공간 내로 삽입될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3은 잠금위치로부터 전개위치로 플런저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는 플런저 스톱을 구비한 삽입기구의 사시도.
도 24는 임플란트 블레이드들이 전개됨에 따라서 플런저 및 플런저 스톱을 나타내는 삽입기구의 단면도.
도 25는 임플란트의 육각너트를 돌리도록 사용되는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삽입기구의 사시도.
도 26은 잠금위치에 있는 플런저와 플런저 스톱을 나타내는 삽입기구의 단면도.
도 27은 임플란트의 블레이드들의 전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8은 임플란트를 가시돌기들에 고정하는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9는 척추에서 임플란트를 전개한 후에 임플란트로부터 삽입기구를 제거하기 위해서 준비시에 임플란트로부터 철수되는 플런저를 구비한 삽입기구의 사시도.
도 30은 삽입기구가 제거된 척주(spinal column)에 고정된 임플란트의 배면 단면도.
본 발명은 척추 임플란트 및 케이지 스페이서 등과 같은 다른 장치들을 삽입하기 위한 기구와 연관된 종래 기술의 많은 문제점들을 극복하려는 것이다. 여기에서 발표한 기구 및 방법들의 장점 및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들을 발표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여기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좌측, 우측, 위 및 아래와 같이 여기에서 사용한 모든 상대적인 설명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지만, 제한적인 개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한 실시 예들은 어떤 실시 예들의 가변적인 사항들의 바람직한 특징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특징들, 부품들, 모듈들, 요소들 및/또는 설명의 양태들은 개시된 장치나 방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결합, 상호연결, 순서화, 분리, 교환, 위치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부품들의 형상 및 크기는 예시적인 것이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한 발표한 발명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제한함이 없이 변경될 수 있다.
삽입 기구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조립된 기구(100)의 사시도이다. 이 기구(100)는 미국특허 공개공보 제 2010/0234889 호('889 출원)에 개시된 발명에 따른 극돌기간 임플란트 및 융합 케이지 스페이서를 삽입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도 2를 참조하면, '889 출원에 따른 임플란트(200)가 장착된 삽입기구(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한 후에, 삽입기구(100)는 완전하고 적당한 세척을 할 수 있도록 쉽게 분해될 수 있고 재사용을 위해서 재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기구(100)의 부품들은 의료용 스테인레스강, 합금 및/또는 중합체들(예를 들면, RULON, PEEK)로 제조되거나, 반복된 사용, 세척 및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내구성 물질과 같은 다른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임플란트(200)를 구비한 삽입기구(1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기구(100)는 중앙 통로(106)를 한정하는 근위 핸들부(104) 및 임플란트(2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말단부(108)를 갖는 긴 주 몸체(102)를 포함한다. 말단부(108)는 팁(113)의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축방향 슬롯(109)을 형성한다. 팁(113)은 서로 마주보는 슬롯들(109) 때문에 대략적으로 육각형 모양을 가지며, 팁(113)은 서로 이격된 2개의 대향하는 "브이(V)"형 단면을 갖는다. 팁(113)은 4개의 외부 리지(111)와, 브이(V)형상의 평평한 단면을 갖는 하나의 리지(111)를 구비한다. 핸들부(104)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참조를 제공하기 위해 줄무늬들(127)을 갖는다.
핸들부(131)는 말단 가이드부(133)를 갖는다. 주 몸체(102)의 핸들부(104)는 제 1 쌍의 대향하는 잠금 탭(115)를 또한 갖는다. 잠금 탭들(115)은 외과의사 또는 수술 보조원에 의해서 방사상 내외로 회전되도록 주 몸체(102)에 힌지 연결된다. 핸들부(104)는 제 2 쌍의 대향하는 잠금 탭(117)를 또한 갖는데, 이들은 제 1 잠금 탭(115)에 비해서 비교적 가까이 위치한다. 제 2 잠금 캡들(117)은 사용자에 의해서 방사상 내외로 회전되도록 주 몸체(102)에 또한 힌지 연결된다. 핸들부(104)는 축방향 리세스(134)를 한정한다. 축방향 리세스(134)는 각이진 표면(135)(도 7에 잘 도시됨)에 의해서 형성된다.
주 몸체(102)는 여기에 있는 다른 도면들 중에서 도 2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날개 슬롯(103)에 인접한 위치표시들(105a~c)로 축방향 날개 슬롯(103)을 또한 형성한다. 위치표시들(105a~c)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삽입기구(100)의 "열림", "잠김" 및 "전개" 위치들을 나타내도록 날개들 상에 있는 참고 노치(131)와 결합된다. 주 몸체(102) 및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04)는 각각 줄무늬(127) 및 화살표(123) 형태의 정렬표시(123,127)를 포함한다.
플런저(110)는 중앙통로(106)에서 활주한다. 플런저(110)는 말단 푸싱 단부(112) 및 근위 잠금 단부(114)를 갖는다. 근위 잠금 단부(114)는 일련의 이격된 방사상 구멍들(118)을 포함하는 비교적 두꺼운 반경을 갖는다. 대향하는 방사상 날개들(120)은 근위 리세스(122)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방사상 날개들(120)은 참고 노치(131)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런저(110)는 플런저 노브(126)에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런저(110) 및 플런저 노브(126)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근위 리세스(122)는 좌회전의 내부 나삿니를 갖는다. 근위 잠금 단부(114)는 또한 3개-부분 홈(116)을 형성한다. 3개-부분 홈(116)은 제 1의 말단 축방향 홈부(119) 및 제 2의 근위 축방향 홈부(125)를 갖는다. 중간 홈부(119,125), 근위 잠금 단부(114)는 방사상 홈부(121)를 형성한다.
플런저 노브(126)는 플런저(110)의 축방향 나사 포스트(124)에 나사결합되는 외부 나사 근위단부(128)를 갖는다. 플런저 노브(126)는 중앙통로에서 플런저(110)를 이동시키도록 쥐기위한 근위 핸들부(130)를 갖는다. 근위 핸들부(130)의 말단 단부에서, 플런저 노브(126)는 플런저 노브(126)를 완벽하게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환형 리세스(142)를 갖는다.
도 7과 9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플런저 스톱(132)은 주 몸체(102) 내에서 플런저(110)를 안내하도록 주 몸체(102)의 핸들부(104)에 형성된 리세스(134)에 위치한다. 플런저 스톱(132)은 사용자가 플런저 스톱(132)을 쥐고 엄지손가락으로 플런저 스톱(132)의 위치를 쉽게 조종할 수 있도록 2개의 외부 대향하는 랜드(138)를 갖는다. 플런저 스톱(132)은 플런저 잠금 단부(114)를 수용하기 위한 축방향 통로(136)를 한정하는 관형상부(137)를 갖는다. 도 7 및 도 10에 잘 도시된 보스(139)는 플런저 잠금단부(114)의 홈(116)에 결합하기 위해서 축방향 통로(136)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연장된다. 편향 스프링(141)은 스프링(141)의 단부들(143)이 외부로 연장되게 관형상부(137)를 둘러싼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는 주 몸체(102)의 말단 단부(108)를 수용하기 위한 축방향 통로(144)를 한정한다.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는 작은 반경의 연동부(150)를 갖는 비교적 큰 반경의 핸들부(148)를 포함하는 근위부(146)를 구비한다. 연동부(150)는 주 몸체(102)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환형상 홈(152)을 한정한다. 관형상 중간부(154)는 핸들부(148)로부터 연장되고 구동축(160)을 미끄러지듯이 수용한다. 구동축(160)은 소켓단부(156)에서 종료된다. 소켓단부(156)는 임플란트(200)에 결합하기 위해서 정사각형 개구부(158)를 형성하는 관형상을 갖는다. 소켓단부(156)는 횡단하는 정사각형 잠금 통로(157)를 또한 형성한다.
구동축(160)은 중간부(154) 내에서 철수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는 구동축(160)을 말단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중간부(154) 내에 장착된 스프링(163)을 갖는다. 그래서, 구동축(160)을 철수위치에 잠그기 위해서, 스프링(163)의 편향이 극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잠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구동축(160)은 2개의 대향하는 슬롯들(161)(단지 하나의 슬롯(161)만이 도시됨)을 형성하고 핀들(165)이 중간부(154)에 있는 대향하는 핀 홀들(167)에 장착된다. 조립된 경우에, 핀들(165)은 각각의 슬롯들(161)에 올라타고 중간부(154)에서 구동축(160)을 완전히 밀 때 구동축(160)의 작은 회전은 슬롯들(161)의 방사상 부분(164)에 핀들(165)을 설정하고 이 압축위치에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를 보유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어댑터(170)는 임플란트(200)에 결합하기 위한 6각형 소켓(172)을 제공하도록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의 정사각형 개구부(158)에 부착한다. 6각형 소켓(172)은 다른 크기의 임플란트들(200)을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어댑터(170)는 주 몸체(102)의 팁(113) 위로 활주하도록 중앙축 통로(173)을 갖는다. 어댑터(170)는 정사각형 개구부(158)에 결합하도록 표준 수컷 정사각형 개방 근위단부(174)를 갖는다. 근위단부(174)는 2개의 대향하는 유연한 레그들(176) 중간에 2개의 대향하는 강체 레그들(175)을 갖는다. 유연한 레그들(176)의 각각은 잠금 탭(177)을 가지며 그래서 근위단부(174)가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의 정사각형 개구부(158)에 내로 밀림에 따라서 레그들(176)은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편향되고, 그러면 탭들(177)은 구동축(160)상에 어댑터(170)를 단단히 보유하도록 횡방향 잠금 통로(157)에 결합한다. 어댑터(170)를 제거하기 위해서, 어댑터(170)가 철수되는 동안에 잠금 탭들(177)은 간단히 가압된다. 어댑터(170)는 대향하는 외부 축방향 정렬 리지들(178)을 또한 구비한다.
임플란트
임플란트(200)는 여러 다른 형상과 크기들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는 척추전방전위증, 중앙 및 추간공 요추협착증, 퇴행성 디스크 질환 등의 치료에 유용하다. 유리하게도, 임플란트(200)는 경피적으로 위치하게 되고, 척추의 안정화를 제공하며, 융합을 증진하기 위해서 뼈 이식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2.6cm 보다 작은 절개부를 필요로 하며, 국부마취나 전신마취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런 근거를 토대로 봤을 때, 회복시간은 비교적 짧고 병원에 입원하는 시간도 비교적 짧다.
도 11 내지 도 16은 삽입 기구(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극돌기간 임플란트(200)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임플란트(200)는 임플란트(200)에 전체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본체(2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2)는 목표 극돌간 공간(382)에서 환자의 인체구조와 추가적인 결합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도면 20 내지 30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목표 극돌간 공간(382)(도 20 내지 도 22, 27, 28 및 30) 내로의 임플란트(200)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나삿니(222)를 구비한다. 또한, 나삿니(222)는 본체(212)와 근위너트(235) 사이에서 회전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때 상기 근위너트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목표 극돌간 공간(382)에 인접한 극돌간 임플란트(200)를 가시돌기들(381a,381b)에 고정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이와는 달리, 임플란트(200)는 나삿니를 갖추지 않은 상태로 제공될 수 있거나 상기 기능들중 하나를 위해서 단지 일부분에만 나삿니를 갖춘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필요하다면, 나삿니(222)는 말단부에서는 결합하지 않고 너트(235)와 결합하기 위해서 또는 그 역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본체(112)의 근위단부에만 제공될 수 있다.
임플란트(200)는 2개의 대향하는 전개가능한 블레이드들(220)(220a,220b)로서 구성된 말단 앵커부분을 포함한다. 블레이드들(220)은 공통 피봇을 구비하는데, 이 피봇은 본체(212)를 통해서 뿐만아니라 여기를 통과하는 핀(259)에 의해서 한정된다. 비록 이러한 정확한 구성으로부터 변화들이 가능할지라도, 공통 피봇의 사용은 그들의 접힘 상태에서 본체(212) 내에 모든 요소들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바람직하게 최소화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2개의 별도 피봇들은 각각의 블레이드(220a,220b)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들(220)은 가시돌기들(381a,381b)과 같은 관련한 인접한 해부학 구조와 결합하기 위해 근위적으로 지향된 스파이크들(224)을 구비한다. 이와는 달리, 블레이드들(220)은 그러한 스파이크들(224)을 구비함이 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220a,220b)은 핀(259)과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들(223a,223b)을 각각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 한 힌지부(223a)는 유(U)자형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다른 힌지부(223b)는 유(U)자형 갈고리 형상 힌지부(223a) 내에 끼워맞추어지도록 형상화된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 임플란트 플런저(226)가 제공되고, 캠으로서 작동하도록 형상화되고 구성된 헤드부(228)를 포함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들(220a,220b)의 각각에 형성된 내부 캠 표면들(240)과 협동한다. 플런저 헤드(228)가 말단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블레이드들(220a,220b)의 캠 표면들(240)는 플런저 헤드(228)의 외면을 따르고, 블레이드들(220a,220b)을 방사상 외부로 민다. 또한, 플런저(226)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근위 내부 리세스(221)를 갖는 근위 헤드(225), 및 근위방향으로부터 각각 적용된 말단방향으로 밀도 근위방향으로 미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이진 말단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 플런저(226)는 탄력있는 캐치(227)와 단단히 결합하기 위한 리세스(229)를 또한 포함한다. 캐치(227)는 환형 홈들이나 리세스들(25)과 같이 임플란트 플런저(226)와 본체(212)의 내면 특징들 사이에서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력 있는 캐치(227)는 임플란트 플런저(226)의 축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본체(212)의 상기한 내면 특징들과 함께 임플란트 플런저(226)가 고정된 한정된 위치들에서 뜻하지 않은 움직임을 방지한다. 캐치(227)는 예를 들면 탄성중합체와 같은 탄력있는 물질, 또는 환상체 금속 코일과 같은 탄력있는 구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이 어느 적당한 재료 또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치(227)는 미국 캘리포니아 Foothill Ranch 소재의 Bal Seal Engineering, Inc.에 의해서 시판중인 Bal Latch™와 같은 캔티드 코일(canted coil)이 될 수 있다.
전개되는 경우, 블레이드들(220)은 임플란트(200)의 길이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스파이크 캡(230)과 협력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너트(235)는 그것의 내면상에 나삿니를 포함하며, 이 나삿니는 본체(212)의 외면상에 제공된 나삿니(222)와 결합한다. 따라서, 너트(235)의 회전운동은 그것의 축방향 운동을 산출한다. 상기 축방향 운동이 말단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너트(235)는 스파이크 캡(230)이 목표 극돌간 공간(382)을 둘러싸는 뼈 구조물들(예를 들면, 가시돌기들 (381a, 381b)에 인접할 때까지 스파이크 캡(230)을 말단으로 민다. 만일 제공되면, 근위 앵커부상에 있는 돌출부들이나 스파이크들(234)은 뼈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전체 척추골-임플란트 구성체의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부 및 하부 평평한 부분들(217a, 217b)을 포함하는 마주보는 평평한 부분들(217)은 스파이크 캡(230)의 대응하는 형상(예를 들어, 평평한) 부분들(237)을 안내하고, 너트(235)의 운동중에 그것의 축방향 운동은 허용하면서 회전운동은 금지시킨다. 너트(235)가 뜻하지 않게 풀어져서 블레이드들(220a, 220b)이 주입 및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크 와셔(233) 또는 동등한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 및 16의 단면도들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블레이드들(220)은 블레이드들(220a, 220b)의 각각에 있는 각각의 리세스 사이에서 걸치는 내부 스프링 요소(281)를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281)는 블레이드들(220a, 220b)을 보통은 집어넣은(철수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블레이드들(220a, 220b)을 보통은 전개된(개방된) 상태, 또는 이와는 달리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펴진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281)는 구부러진 상태로 제공되고, 이식전 또는 이식하는 과정 동안에 블레이드들(220a, 220b)을 적재위치를 향하여 안쪽으로 민다. 그러므로, 임플란트 플런저(226)와 연결하여, 스프링(281)은 블레이드들(220)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플런저(226)가 완전히 연장되는 경우, 그것의 헤드부(228)는 블레이드들(220a, 220b)에 있는 대응하는 멈춤쇠(249)와 결합한다. 헤드부(228)에 의한 멈춤쇠(249)의 결합은 블레이드들(220a, 220b)의 확실한 전개를 보장한다.
스프링 요소(281)는 이식 전, 도중 및 그 후에 블레이드들(220a, 220b)을 전개위치를 향하여 바깥쪽으로 밀도록 보통은 직선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식하는 동안에 스프링 요소(281)는 수술시 블레이드들(220a, 220b)의 안쪽 회전을 허용하고 스프링 요소(281)가 일시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이식하는 동안에 스프링(281)은 외부적으로 인가된 힘들에 대항하여 블레이드들(220a, 220b)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일단 목표 극돌간 공간(382)에 위치하면, 임플란트 플런저(226)는 블레이드들(220a, 220b)을 전개된 위치에서 잠그기 위해 말단으로 밀릴 수 있다. 임플란트 플런저(226)의 헤드부(228)에 의한 멈춤쇠(249)의 결합은 그 위치의 유지를 보장한다.
임플란트(200)의 본체(212)는 그것의 근위단부에 확장 직경부(213)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너트(235)와 스파이크 캡(230)의 이동에 대한 최고 근위 한계를 한정한다. 근위단부에 있어서, 근위 내부 리세스(250) 내에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삽입기구(100)와 결합하기 위한 성형화 소켓(251)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51)은 규칙적인 각 간격으로 한정된 평평한 부분을 갖는 6각형이다. 도시된 정밀한 구성으로부터 출발한 실행가능성이 가능하다. 형상화 소켓(251)은 임플란트(200)와 삽입 기구(100) 사이에서 상호 회전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소켓(251)과 연결하여 횡단 홈들(253)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임플란트(100)를 삽입기구(100)에 장착 및 잠그기 위하여 주 몸체(102)의 팁(113) 및 플런저(110)의 푸싱 단부(112)와 연결하여 제공된다. 삽입 기구상에 있는 장착 및/또는 잠금 요소들은 예를 들어 삽입기구로부터 측방향으로(즉,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탄력있게 임의적으로 잠겨질 수 있는 돌출부가 될 수 있다. 잠겨질 수 있는 돌출부는 예를 들어 잠겨질 수 있는 스프링-내장 구형 요소가 될 수 있다.
임플란트(200)는 탈염된 뼈와 같이 뼈가 안으로 자라는 것 및/또는 융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골형성 증진물질로 임플란트의 패킹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것의 근위 내부 리세스(250)에서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틈새들(214)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 기구의 조립
도 3 및 5를 참조하면, 삽입기구(100)를 조립하기 위해서, 근위 핸들부(104)가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의 핸들부(148)에 대하여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주 몸체(102)의 말단부(108)는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의 축방향 통로(114) 내로 삽입된다. 제 1 잠금탭들(115)은 도 5에 도시된 개방위치로부터 도 1에 도시된 폐쇄위치로 회전된다. 제 1 잠금탭들(115)은 주 몸체(102)와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를 축방향으로 함께 잠근다. 잠금은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의 환형 홈(152) 내로 연장되어 제 위치에 찰칵하고 고정되는 잠금 탭들(115)에 의해서 일어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사용자 탭들(115)이 홈(152) 내로의 결합이 완전히 완료되는 것을 알도록 클릭소리를 듣게 된다.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는 주 몸체(102)에 대하여 여전히 회전할 수 있다. 주 몸체(102)의 말단 가이드부(133)는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가 매끄럽게 회전하는 크기를 갖는다. 마모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당한 재료나 피복이 접촉영역에서 사용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플런저 노브(126)의 나사형 말단 단부(12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10)의 리세스(122) 내로 부분적으로 나사결합된다. 플런저 노브(126)는 나삿니가 외손잡이 방식이기 때문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플런저 스톱(1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몸체(102)의 리세스(134)에 자리한다. 플런저 스톱(132)은 각이진 표면(135)에 대하여 스프링(41)의 단부들(143)을 통해서 위치하고 그래서 플런저 스톱(132)은 근위로부터 말단방향으로 삽입 기구(100)를 내려다 볼때 시계방향 회전을 위해 편향될 것이다.
플런저 스톱(132)이 한 손으로 제 위치에 고정되는 동안에, 플런저(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손으로 플런저 노브(126)를 고정시킴에 의해서 주 몸체(1020의 중앙 통로(106)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위에서 주목한 바와 같이, 이 지점에서, 플런저 노브(126)는 플런저(110) 내로 완전히 나사결합될 필요가 없으나 플런저 노프(126)는 그렇게 될 것이다. 방사상 날개들(120)은 주 몸체(102)의 슬롯(103)에서 활주할 것이고 그래서 참고 노치(131)는 표식(105a~c)에 인접한다.
플런저(110)가 플런저 스톱(132)을 통해서 삽입됨에 따라서, 사용자는 플런저 스톱 보스(139)가 말단 축방향 홈부(119)와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엄지 부분(138)을 사용하여 플런저 스톱(132)에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스프링(141)가 플런저 스톱(132)과 축방향 홈부(119)에서 방사상 홈부(121) 쪽으로 편향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프링(141)을 극복하기 위해서 충분한 힘을 가해야만 한다. 일단 플런저 스톱 보스(139)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축방향 홈부(119)에 있고 플런저 노브(126)가 주 몸체(102)의 근위 핸들부(104)에 대하여 같은 높이에 있으면, 대향하는 잠금 탭들(117)의 제 2 쌍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노브(126)의 환형 리세스(142) 내로 찰칵하고 결합된다. 그 결과, 플런저(110)와 플런저 노브(126)는 주 몸체(102)를 축방향으로 잠근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런저 스톱 보스(139)가 제 1 말단 축방향 홈부(119)에 있는 경우에, 보스(139)가 플런저(110)의 방사상 홈부(121)에 도달할 때까지 플런저(110)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나, 플런저 노브(126)의 회전은 여전히 가능하다.
보스(139)가 축방향 홈부(119)에 있고 잠금 탭들의 쌍(115, 117)이 적당히 고정되는 동안에, 기구(100)는 참고 노치(131)가 잠겨있지 않은 표식(105a)에 인접함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잠겨지지 않은" 위치에 있게 된다. "잠겨지지 않은" 은 임플란트(200)가 팁(113) 상에 장착될지라도 임플란트(200)가 삽입기구(100)에 고정되지 않은 것을 언급한다. 임플란트(2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110)를 전개함에 의해서 삽입 기구(100)에 잠겨진다.
삽입 기구에 대한 임플란트의 잠금
상기한 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일단 조립되더라도, 삽입 기구(100)의 몇몇 부품들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동 부품들이 임플란트(200)를 장착하기 위해 준비된 적당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플런저(110)는 플런저(110)가 이동할 수 있게 플런저 스톱(132)을 회전 및 유지시키는 동안에 플런저 노브(12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잠겨지지 않은 위치로 완전히 철수된다(즉, 플런저 스톱(132)의 보스(139)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10)의 제 1 축방향 말단 홈부(119)와 정렬된다). 일단 플런저(110)가 완전히 철수하면, 참고 노치(131)는 잠겨지지 않은 표시(105a)에서 완전히 잠겨지지 않은 것을 나타낼 것이다.
임플란트(200)의 선택은, 임플란트(200)가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있고 그래서 적절한 크기는 원하는 양의 극돌간 신연(interspinous distraction)을 위해서 선택될 수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현재 알려져 있고 추후 발전될 기술이 적당한 극돌간 신연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단 적당한 크기의 임플란트(200)가 선택되면, 대응하거나 부합하는 어댑터(170)가 선택될 수 있다. 일단 어댑터(170)가 선택되면, 임플란트(200)는 삽입 기구(1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주 몸체(102)의 말단부(108)는 구동축(160)을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의 중간부(154) 내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덮히지 않는다. 구동축(160)은 핀들(165)이 슬롯들(161)에 올라타므로(도 4에 잘 도시됨) 초기에 회전이 방지된다. 그런데, 일단 핀들(165)이 슬롯들(161) 바닥으로 빠져나가면, 사용자는 핸들부(148)를 쥐고 구동축(160)을 회전시키고 그래서 핀들(165)은 슬롯들(161)의 방사상 부분(164)에 멈추게 된다. 그 결과, 구동축(160)은 중간부(154)에 보유되고, 사용자가 해제시킬 때까지 철수한 상태로 머물게 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부합하는 어댑터(170)는 주 몸체(102)의 말단부(108) 위로 활주하고 그래서 레그들(175,176)은 정사각형 개구부(15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탭들(177)은 사용자에 대한 포지티브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서 레그들(176)이 횡단 잠금 통로(157) 내로 외부로 편향되는 경우에 들을 수 있는 찰칵소리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리지(178)가 소켓 단부(156) 상에서 인디케이터 화살표(123)를 따라서 정렬되기 때문에 어댑터(170)의 적당한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시켜줄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어댑터(170)를 구동축(160) 상에 위치시킨 후에, 임플란트(200)는 스냅 마찰 끼움결합에 의해서 팁(113)에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팁(113)은 슬롯들(109)에 의해서 약간 가압되고, 슬롯들(109), 화살표(123) 및 주 몸체(102)의 줄무늬(127)와 정렬된 임플란트(200)의 블레이드들(220a, 220b)과 함께 임플란트(200)의 근위 내부 리세스(250) 내를 통과한다. 그 결과, 외과의사는 삽입전 및 도중에 적당한 블레이드 방향을 가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팁(113)은 리지들(111)이 횡방향 홈들(253) 내로 자리할 때 리세스(250) 내에서 멈춘다. 이 지점에서, 임플란트(200)는 삽입 기구(100)에 결합하지만, 아직 "잠금" 상태가 되지는 않는다.
임플란트(200)를 기구(100)에 잠그기 위해서, 플런저(110)는 잠겨지지 않은 위치에서 잠겨진 위치로 이동된다. 플런저(110)를 말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플런저 노브(12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근위단부로부터 보았을 때). 나삿니가 왼손잡이 방향이므로, 플런저(110)는 말단 팁(113)을 향하여 이동할 것이다. 플런저(110)가 이동함에 따라서, 제 1 말단 축방향 홈부(119)는 보스(139)가 홈(116)의 방사상부(121)를 따라서 정렬될 때까지 플런저 스톱(132)의 보스(139)를 따라서 통과한다. 보스(139)가 홈(116)의 방사상부(121)와 정렬되는 경우, 플런저 스톱(132)은 스프링(141)의 바이어스 때문에 기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보스(139)는 방사상부(121) 내부를 통과하고 축방향 운동이 방지된다. 날개(120)의 참고 노치(131)는 잠금 표식(105b)에 놓이고 삽입기구는 잠겨지지 않은 위치에 놓인다.
잠겨진 위치에 있어서, 플런저(110)의 말단 푸싱 단부(112)는 주 몸체(102)의 말단 팁(113)과 대략적으로 같은 높이가 된다. 그러므로, 주 몸체(102)의 슬롯(109)은 리지들(111)이 도 22에 잘 도시된 횡단 홈(253)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더 이상 유연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임플란트(200)는 타이트하게 결합되고 팁(113)에 잠겨지고 그래서 뜻하지 않은 제거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삽입 기구(100)는 임플란트(200)의 육각너트(235)에 결합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의 소켓 단부(156)를 갖게 된다.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를 임플란트(200)의 육각 너트(235)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구동축(160)이 핀들(165)를 슬롯들(161)의 방사상부(164) 밖으로 나오게 하도록 회전되는 동안에 핸들부(148)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스프링(163)은 육각 소켓(172)이 임플란트(200)의 육각 너트(235)에 적당히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구동축(160)을 느리게 연장시키도록 구동축(160)을 외부로 편향시킬 것이다. 육각 소켓(172)을 육각 너트(235)에 적당히 결합시키기 위해서, 구동축(160)의 약한 수동 회전이나 흔들림이 필요하다. 임플란트(200)는 척추 이식을 위해 준비될 삽입 기구(100)에 잠겨진다. 스프링(163)에 의해서 제공되는 힘은 삽입 기구(100)의 작동이나 임플란트(200)의 전개에 방해되는 과도한 힘을 제공하는 반면, 어댑터(170)와 육각 너트(235) 사이의 적당하고 신뢰할만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서 최적화된다.
극돌간 공간에서 임플란트의 전개
도 20 내지 도 24는 임플란트(200)를 목표 극돌간 공간(382) 내로 삽입하고 배치하는 동안의 여러 단계들을 나타낸다. 간략히 말하면, 도 20은 환자의 피부(388)을 관통하여 형성된 절개부(389)을 통해 삽입되는 만곡된 도입관(387)을 통해서 등에 설치될 삽입 기구(100)에 로킹된 임플란트(200)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측방향 삽입과정 동안에 도입관(387)의 내강(lumen) 내에서 긴 삽입기구(100)에 의해 고정되는 임플란트(200)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삽입 기구(100)에 의해서 가해진 회전력의 적용하에서 그것의 본체(212)에 제공된 나삿니(222)에 의해서 목표 극돌간 공간(382)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전진한 임플란트(200)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27은 이 경우에 말단 앵커 요소들, 즉 블레이드들(220a, 220b)의 전개에 효과적인 내부 임플란트 플런저(226)를 먼쪽으로 민 상태의 임플란트(200)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그러면, 본체(212)를 근위적으로 미는 너트(235)가 조여지고, 블레이드들(220)을 인접한 뼈 구조에 보다 단단히 대항하도록 밀고,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사이에 가시돌기들(381a, 381b)을 주입하는데, 이때 도 28은 스파이크 캡(230)이 인접한 가시돌기들(381a, 381b)과 결합하는 너트(235)에 의해서 먼쪽으로 밀리는 임플란트(200)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0은 삽입 기구(100)의 제거에 따라 고정된 임플란트(20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특히,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슬리이브(387)가 제공된다. 삽입방법들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슬리이브(387)에 대한 접근을 얻고 경로를 한정하기 위해서 탐침, 확장기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배면 삽입은 2008년 1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12/011,905 호(미국 공개번호 제 2009/0054988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국특허출원은 여기에서는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0에 있어서, 임플란트(200)로 나타낸 본 임플란트들의 배면 삽입은 환자의 피부(388)를 통해 인접한 척추 돌기들(381a,381b) 사이에서 한정된 목표 극돌간 공간(382)에 대응하는 높이로 절개부(389)를 형성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배면도에서, 경로는 임플란트(200)에 의해서 횡단되고 그 경로와 임플란트(200)를 목표 극돌간 공간(382)에 정렬하도록 슬리이브(387)에 의해서 만곡된다. 예컨대, 삽입 기구(100)는 슬리이브(387)의 곡선과 부합하도록 유연하거나 및/또는 만곡된다.
이에 비해서 도 21은 목표 극돌간 공간(382) 내로 임플란트(200)의 직접적인 측방향 삽입을 나타낸다. 이 배열에 있어서, 절개부가 환자의 피부(388)에 형성되고, 궁극적으로는 슬리이브(387)는 피부조직을 통해서 삽입기구(100)에 연결된 목표 극돌간 공간(382)으로 진행하고, 여기를 통해서 임플란트(200)가 진행한다. 도 21 및 22(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슬리이브(387)를 생략하여 나타내었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200)는 삽입 기구(100)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회전되고, 그러므로 임플란트(200)가 목표 극돌간 공간(382) 내로 나사결합되고 인접한 가시돌기들(381a, 381b)을 분산시키고 임플란트(200)를 진행시키고 가시돌기들(381a, 381b)에 대하여 대체로 중심을 맞추게 된다.
임플란트(20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주 몸체(102)의 근위 핸들부(103)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돌간 공간(382)을 통해서 임플란트(200)를 자체-나사결합하도록 조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임플란트(200)가 회전하는 동안에, 임플란트(200)는 극돌간 공간을 산란시킨다. 임플란트(200)가 플런저(110)의 말단 푸싱 단부(112)에 의해서 팁(113) 위로 잠겨졌기 때문에, 임플란트(200)와 삽입 기구(100) 사이의 상대회전과 축방향 이동은 금지된다. 산란은 별도 기구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임플란트(200)의 삽입과 이어서 그러한 산란(distraction) 유지가 이루어진다.
정착용 블레이드들(220a, 220b)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돌간 공간(382)을 통과하는 경우, 정착용 블레이드들(220a, 220b)은 전개될 수 있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정착용 블레이드들(220a, 220b)을 전개하기 위해서, 플런저 스톱(132)이 회전되고, 그래서 보스(139)는 플런저(110)의 방사상 홈부(121) 밖으로 이동한다. 예컨대, 플런저(110)는 도 2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스톱(132)의 보스(139)를 따라서 활주하는 축방향부(125)와 함께 자유로이 이동하게 된다. 플런저(110)의 근위운동을 달성하기 위해서, 플런저 스톱(132)은 고정되고 플런저 노브(12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조임모션으로 작동하게 된다. 왜냐하면 나삿니가 왼손잡이 방식이어서, 플런저(110)는 플런저 노브(126)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될 것이다. 제 2 근위 축방향 홈부(125)가 보스(139)를 따라서 올라탐에 따라서 참고 노치(131)는 "전개" 위치 표시(105c) 쪽으로 활주할 것이다.
플런저(110)가 말단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말단 푸싱 단부(112)는 임플란트 플런저(226)의 리세스(221)에 자리한다. 플런저(110)가 계속해서 말단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푸싱 단부(112)는 압력을 가하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들(220a, 220b)을 전개하도록 임플란트 플런저(226)를 말단으로 이동시킨다. 일단 완전히 전개되면, 참고 노치(131)는 "전개된" 표시(105c)에 인접하게 될 것이며, 플런저 노브(126)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의사는 X-선 투시진단에 의해서 블레이드들(220a, 220b)의 적당한 전개를 입증할 수 있다. 일단 블레이드들(220a, 220b)이 전개되면, 임플란트(200)는 최종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도 28을 참고하면, 임플란트(200)의 육각 너트(235)는 스파이크들(224)을 가시돌기들(381a, 381b)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는 스파이크 캡(230)을 말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육각 너트(235)를 회전시킨다.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파이크 캡(230)이 임플란트(200)에 키로 잠겨지기 때문에, 육각 너트(235)가 회전함에 따라서 스파이크 캡(230)이 말단으로 활주한다.
육각 너트(235)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는 핸들부(148)에 의해서 주 몸체(102)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핸들부(148)를 회전시키면 어댑터(17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이해서 육각 너트(235)가 회전된다. 일단 스파이크 캡(230)이 가시돌기들(381a, 381b)에 결합하면, 블레이드들(220a, 220b)은 뼈(381a, 381b)와 근위적으로 결합된다. 임플란트(200)의 평평한 부분은 나삿니가 형성되지 않았고 그래서 임플란트(200)는 근위적으로 활주한다.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가 육각 너트(235)를 조이도록 사용되는 동안, 의사는 스파이크 캡(230)이 완전히 자리잡은 것을 느낄 수 있거나 또는 완전한 자리잡기는 첨부 X-선 투시 디스플레이에서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요한 경우 뼈가 안으로 자라는 것 및/또는 척추 융합을 증진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골형성 촉진물질들이 임플란트(200) 안 및/또는 주위에 꽉들어찰 수 있다.
임플란트(200)의 삽입전에 별도의 탭이 목표 극돌간 공간(382)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200)는 자체-탭핑 능력을 제공하는 특징들을 갖게 될 수 있다. 척추 임플란트(200)를 목표 극돌간 공간(382) 내로 측방향 삽입하는 방법은,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X-선 투시 진단법과 같은 내부 영상법을 사용하여 목표 극돌간 공간(382)으로 측방향으로 절개부(399)를 통해서 탐침(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 및 30을 참조하면, 일단 임플란트(200)가 적당하게 전개되면, 삽입 기구(100)는 임플란트(200)로부터 분리된다. 삽입 기구(100)를 분리하기 위해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의 구동축(160)은 상기한 바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슬롯(161)의 방사상부(164)에 포획된 핀들(165)에 의해서 중간부(154) 내로 철수되고 그래서 어댑터(170)가 육각 너트(235)로부터 분리된다. 플런저 스톱(132)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서 회전되고 고정되고 그래서 홈(116)은 방사상부(121) 내로 통과함이 없이 근위 축방향부(125)로부터 말단 축방향부(119)로 올라탈 것이다. 플런저(110)를 철수시키기 위해, 참고 노치(131)가 잠겨지지 않은 표시(105a) 옆의 "잠금해제" 위치를 완전히 나타낼 때까지 플런저 노브(126)는 주 몸체(1020의 핸들부(104)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느슨해지거나 회전된다. 플런저(110)가 팁(113)으로부터 철수함에 따라서, 슬롯들(109)은 다시 유연해질 수 있고 그래서 팁(113)은 임플란트(200)의 근위 내부 리세스(250) 밖으로 이동한다. 어댑터(170)가 분리되고 플런저(110)가 잠금해제 위치로 철수하면, 팁(113)을 임플란트(200)에 결합시키는 힘은 삽입기구(100)를 완전히 분리하도록 극복될 수 있다. 일단 제거되면, 삽입 기구(100)는 분리, 세척 및 재사용을 위해 환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9 및 30을 참조하면, 일단 임플란트(200)가 적당하게 전개되면, 삽입 기구(100)는 임플란트(200)로부터 분리된다. 삽입 기구(10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플런저 노브(126)는 참고 노치(131)가 잠겨지지 않은 표시(105b) 옆의 "잠금" 위치를 완전히 나타낼 때까지 플런저(110)를 철수시키도록 주 몸체(109)의 핸들부(104)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느슨해지거나 회전된다. 플런저 스톱(132)이 찰칵하고 넘어가면, 보스(139)가 방사상 홈부(121)내로 위치하게 되고, 플런저(110)의 추가적인 느슨함을 방지하도록 결합된다. 플런저 스톱(132)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서 회전되고 고정되고 그래서 홈(116)은 방사상 홈부(121)로부터 말단 축부(119)로 올라탈 것이다. 플런저(110)의 이러한 오므리기는 보스(139)가 방사상 홈부(121)을 통과함이 없이 달성될 것이다. 플런저 노브(126)의 반시계 회전에 의해서 플런저(110)는 팁(113)으로부터 철수되고, 슬롯들(109)은 다시 유연해질 수 있고 그래서 팁(113)은 임플란트(200)의 근위 내부 리세스(250)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어댑터(170)가 분리되고 플런저(110)가 잠금해제 위치로 철수하면, 팁(113)을 임플란트(200)에 결합시키는 힘은 삽입기구(100)를 완전히 분리되도록 극복될 수 있다. 일단 제거되면, 삽입 기구(100)는 분리, 세척 및 재사용을 위해 환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삽입 기구의 분해
세척을 위해서는 삽입 기구(100)를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으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플런저(110)를 보유하는 잠금 탭들(117)은 플런저(110)를 풀도록 손가락으로 튀겨올려진다. 플런저(110)가 잠겨지지 않은 위치에 있음에 따라서, 플런저(110)는 주 몸체(10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플런저 노브(126)는 플런저(110)로부터 나사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일단 플런저(110)가 제거되면, 플런저 스톱(132)이 주 몸체(10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는,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를 보유하는 잠금 탭들(115)이 릴리스되고 그래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가 주 몸체(10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어댑터(170)는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140)로부터 스냅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삽입기구(100)의 부품들은 세척할 준비가 된다.
하기 표 1는 도면에 도시되 삽입기구(100)와 임플란트(200)에 대한 부품 리스트를 나타낸 것이다.
부품 참조부호
삽입기구 100
긴 주 몸체 102
축방향 날개 슬롯 103
근위 핸들부 104
"잠겨지지않은" 위치 표시 105a
"감져진" 위치 표시 105b
중앙 통로 106
말단부 108
forms 축방향 슬롯들 109
플런저 110
외부 리지들 111
말단 푸싱 단부 112
113
잠금 단부 114
잠금 탭들 115
116
제2쌍의 대향하는 잠금 탭들 117
방사상 구멍들 118
제1 말단 축방향 홈부 119
대향하는 방사상 날개들 120
방사상 홈부 121
근위 리세스 122
표시 화살표 123
축방향 나삿니 포스트 124
제 2 근위 축방향 홈부 125
플런저 노브 126
줄무늬 127
나사형 말단 단부 128
근위 핸들부 130
참고 노치 131
플런저 스톱 132
말단 가이드부 133
축방향 리세스 134
각이진 표면 135
축방향 통로 136
관형상부 137
외부 대향하는 랜드/엄지 랜드 138
보스 139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 140
편향 스프링 141
환형 리세스 142
단부들 143
축방향 통로 144
근위부 146
핸들부 148
연동부 150
환형 홈 152
중간부 154
소켓 단부 156
횡방향 정사각형 잠금 통로 157
정사각형 개구부 158
구동축 160
슬롯들 161
스프링 163
방사상부 164
핀들 165
핀홀들 167
어댑터 170
육각 소켓 172
충앙 축방향 통로 173
표준 수컷 정사각형 개방 근위단부 174
단단한 레그들 175
유연한 레드들 176
잠금 탭 177
외부 축 정렬 리지들 178
임플란트 200
본체 212
확장직경부 213
틈새들 214
평평한 부분들 217
블레이드들 220
근위 내부 리세스 221
나삿니들 222
힌지부들 223a,223b
스파이크들 224
근위헤드 225
플런저 226
캐치 227
헤드부 228
리세스 229
스파이크 캡 230
로크 와셔 233
육각 너트 235
가이드 대응 형상부들 237
내부 캠 표면 240
멈춤쇠 249
보어 250
형상화 소켓 251
횡단 홈들 253
환형 홈들/리세스들 254
259
스프링 요소 281
극상 돌기들 381a,381b
극돌기간 돌기 공간 382
도입관 387
피부 388
절개부 389
삽입장치 392
여기에서 설명한 임플란트 장치들의 많은 주요 구성 부품들은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열가소성 수지(PEEK), 가공뼈,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이 뼈와 유사한 탄성계수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는 금속, 세라믹, 중합체 및/또는 복합재료들을 포함하여 생물학적 및/또는 생체적합 재료로부터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삽입 기구는 낮은 마찰계수, 마모저항, 넓은 범위의 작동온도, 및 금속 마모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부품들에서 베어링 표면들을 형성하도록 화학적 불활성을 갖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플라스틱의 장점을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PTFE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인접한 부품들의 부분들에게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하였지만,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특징은, 비록 그것과 관련하여 명백하게 설명하지 못했을지라도 그리고 만약 그러한 특징(들)이 그러한 실시 예의 다른 특징들과 함께 사용할 수 없을지라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도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들에 대한 다향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는 재배열되고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고 다중의 종속항 등에 제공된 다른 특징들에 따라 결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장치로서, 상기 척추 임플란트는 a) 2개의 인접한 가시돌기들 사이의 목표 극돌간 돌기 공간에 위치한 스페이서로서 기능하도록 제공된 긴 본체 - 상기 본체는 내부로의 접근을 위해서 상기 내부와 근위 내부 리세스를 한정하고, 상기 근위 내부 리세스는 횡단 홈을 형성함 -; b)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결합되고 내부에 횡단하여 장착된 핀 주위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대향하는 방사상으로 전개가능한 블레이드들을 구비하는 말단 앵커; c) 상기 본체를 따라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된 스파이크 캡 및 상기 말단 앵커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와 상기 말단 앵커에 비교적 가까운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따라 종방향으로 운동하기 위해 장착된 구동 너트를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스파이크 캡과 상기 말단 앵커 사이에서 2개의 인접한 가시돌기들을 가압하는 근위 앵커; 및 d) 적재위치로부터 임플란트 전개위치로 상기 블레이드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작동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장치는,
    상기 임플란트에 결합하기 위한 말단 잠금부를 갖는 긴 주 몸체 - 상기 주 몸체는 중앙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말단 잠금부는 외부 리지들 및 상기 외부 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금 방사상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가짐 -;
    상기 말단 잠금부에 상기 임플란트를 장착하기 위한 잠겨지지 않은 위치, 상기 말단 잠금부에 상기 임플란트를 잠그기 위한 잠금위치, 그리고 상기 적재위치로부터 상기 전개위치로 상기 블레이드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작동 플런저를 전개하기 위한 삽입기구 전개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상기 중앙통로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 플런저;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 캡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너트와 결합하기 위한 소켓 단부를 갖는 상기 주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에 결합된 플런저 스톱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 스톱은 상기 주 몸체의 상기 중앙 통로와 대체로 정렬된 중앙 통로를 가지며,
    상기 플런저 스톱은 상기 중앙 통로 내로 돌출한 보스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중앙 통로 내에서 미끄러지고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보스를 포획하는 3개-부분 홈을 형성하고, 상기 3개-부분 홈은 상기 잠겨지지 않은 위치를 한정하는 제 1 축 부분, 상기 잠금위치를 한정하는 중간 방사상 부분, 및 상기 삽입 기구 전개위치를 한정하는 제 2 축방향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겨지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삽입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리지들은 상기 횡단 홈에 결합되고;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외부 리지들은 상기 횡단 홈에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외부 리지들과 동심이 되도록 상기 중앙 통로를 통해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삽입 기구 전개위치에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임플런트의 상기 작동 플런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중앙 통로 밖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단부를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구동 너트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임플란트에 부합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캡은 구동되는 경우에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임플란트 본체에 키로 잠겨지고,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극상돌기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임플란트의 효과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평평한 부분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가 회전됨에 따라서 마모를 줄이고 매끄러운 작동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나 상기 주 몸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7. 나사형 본체, 선택적으로 전개 가능한 말단 블레이드들, 및 선택적으로 전개 가능한 근위 앵커를 갖는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기구로서,
    중앙 통로를 한정하는 근위 핸들부 및 상기 임플란트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말단부를 갖는 긴 주 몸체;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긴 주 몸체에 고정하고 상기 말단 블레이드들을 전개하도록 상기 중앙 통로에 미끄러지듯이 결합되는 플런저; 및
    상기 근위 앵커를 전개하도록 상기 플런저 주위에 동축으로 위치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횡단 홈을 갖는 내부를 한정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횡단 홈 내로 찰칵하고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말단부가 상기 횡단 홈에 찰칵하고 결합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앙 통로 내로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말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잠겨지지않은 위치,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말단부에 잠그기 위한 잠금 위치, 및 상기 블레이드를 전개하기 위한 삽입기구 전개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0. 장착 리세스를 한정하는 본체를 갖는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기구로서,
    근위 핸들부 및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장착 리세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슬롯형 말단부를 갖는 긴 주 몸체; 및
    상기 슬롯형 말단부 내에서 상기 중앙 통로를 선택적으로 채우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긴 주 몸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긴 주 몸체의 중앙 통로에 미끄러지듯이 결합되는 플런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장착 리세스에 연결된 내부를 한정하고, 상기 임플란트는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말단 블레이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중앙통로 밖으로 그리고 상기 내부로 연장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말단 블레이드들을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선택적으로 전개가능한 근위 앵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근위앵커를 전개하도록 상기 플런저 및 상기 긴 주 몸체 주위로 동심으로 위치된 동심으로 위치된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는 축방향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는 소켓 단부에서 끝나는 작은 직경의 연동부와 미끄러지듯이 결합된 근위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은 직경의 연동부는 철수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 캡 드라이브는 상기 작은 직경의 연동부를 말단으로 편향하기 위해 상기 근위 핸들부 내에 장착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리세스는 횡단 홈을 가지며, 상기 말단부는 상기 횡단 홈 내로 찰칵하고 결합되는 리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말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잠겨지지않은 위치,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말단 잠금부에 잠그기 위한 잠금 위치, 및 상기 블레이드를 전개하기 위한 삽입기구 전개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KR1020157036866A 2013-05-29 2014-05-29 극돌기간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기구 KR201600169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8384P 2013-05-29 2013-05-29
US61/828,384 2013-05-29
PCT/US2014/039951 WO2014194046A1 (en) 2013-05-29 2014-05-29 Instrument for inserting an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919A true KR20160016919A (ko) 2016-02-15

Family

ID=5198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866A KR20160016919A (ko) 2013-05-29 2014-05-29 극돌기간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9603648B2 (ko)
EP (1) EP3003185B1 (ko)
JP (1) JP6500013B2 (ko)
KR (1) KR20160016919A (ko)
CN (1) CN105530881B (ko)
AU (1) AU2014274197A1 (ko)
BR (1) BR112015029573A2 (ko)
CA (1) CA2913463A1 (ko)
ES (1) ES2692277T3 (ko)
MX (1) MX2015016394A (ko)
WO (1) WO20141940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8335B2 (en) * 2010-03-08 2014-08-19 Miami Device Solutions, Llc Locking element for a polyaxial bone anchor, bone plate assembly and tool
US9526553B2 (en) * 2014-04-04 2016-12-27 K2M, Inc. Screw insertion instrument
USD764054S1 (en) * 2014-05-29 2016-08-16 Spinal Simplicity Llc. Insertion instrument
US10603094B2 (en) 2015-03-31 2020-03-31 Depuy Ireland Unlimited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 surgical instrument to a patient's bone
US11090147B2 (en) 2015-10-08 2021-08-17 Cardiovascular Systems, Inc. System for unlocking a device from a guide wire
US20220226027A1 (en) * 2016-04-14 2022-07-21 Spinal Simplicity, Llc Interspinous implant insertion instrument with wing actuation tool
US11510710B2 (en) * 2016-04-14 2022-11-29 Spinal Simplicity, Llc Locking system for interspinous implant insertion instrument
US10420591B2 (en) * 2016-04-14 2019-09-24 Spinal Simplicity, Llc Interspinous implant insertion instrument with staggered path implant deployment mechanism
CN106420121B (zh) * 2016-08-31 2018-09-14 广州爱锘德医疗器械有限公司 弧形融合器的操作机构
US10779866B2 (en) 2016-12-29 2020-09-22 K2M, Inc. Rod reducer assembly
KR101852973B1 (ko) * 2017-01-31 2018-05-02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척추간 삽입용 케이지 삽입 장치
CN111419299B (zh) * 2017-07-13 2021-08-31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封堵器推送装置及输送系统
US9987967B1 (en) * 2017-08-17 2018-06-05 Trident Systems Llc Deck fitting with removable fixture
US10856924B2 (en) * 2017-12-21 2020-12-08 Globus Medical Inc. Headless compression screw driver system
IT201800003973A1 (it) * 2018-03-23 2019-09-23 Techlamed S R L Dispositivo per la fusione interspinosa
WO2019226520A1 (en) * 2018-05-23 2019-11-28 Smith & Nephew, Inc. Anchor delivery systems
US10722703B2 (en) * 2018-08-23 2020-07-28 Advanced Neuromodulation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a paddle neurostimulation lead configured to provide DRG stimulation therapy
US20220054168A1 (en) * 2020-08-19 2022-02-24 Conmed Corporation Driver for arthroscopic implant
US11490934B1 (en) * 2021-11-16 2022-11-08 Warsaw Orthopedic, Inc. 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11766280B1 (en) * 2022-04-08 2023-09-26 Spinal Simplicity, Llc Interspinous implant insertion instrument with wing actuation tool
WO2023196535A1 (en) 2022-04-08 2023-10-12 Spinal Simplicity, Llc Interspinous implant insertion instrument with wing actuation tool
US11504828B1 (en) * 2022-06-30 2022-11-22 The Seaberg Company, Inc. Adapter for intraosseous need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6216B1 (en) * 1998-08-14 2004-04-06 Kyph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vertebral bodies
US7887539B2 (en) * 2003-01-24 2011-02-15 Depuy Spine, Inc. Spinal rod approximators
US7226453B2 (en) * 2004-03-31 2007-06-05 Depuy Spine, Inc. Instrument for inserting, adjusting and removing pedicle screws and other orthopedic implants
US8706259B2 (en) * 2004-04-30 2014-04-22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Insertion tool for paddle-style electrode
US8128662B2 (en) * 2004-10-20 2012-03-06 Vertiflex, Inc. Minimally invasive tooling for delivery of interspinous spacer
US20080154277A1 (en) * 2004-10-26 2008-06-26 Scott Machalk Tool apparatus for locking a spinal rod in an anchoring device therefor
US20070270876A1 (en) * 2006-04-07 2007-11-22 Yi-Chen Kuo Vertebra bone cement introduction system
EP2051648B1 (en) * 2006-08-17 2014-09-24 Synthes GmbH Push-off driver for bone screws
US8641764B2 (en) * 2006-10-11 2014-02-04 G&L Consulting, Llc Spine implant insertion device and method
US9545267B2 (en) * 2007-03-26 2017-01-17 Globus Medical, Inc. Lateral spinous process spacer
US8142479B2 (en) * 2007-05-01 2012-03-27 Spinal Simplicity Llc Interspinous process implants having deployable engagement arms
US8540718B2 (en) * 2007-10-23 2013-09-24 Aesculap Implant Systems, Llc Rod persuader
US20090326545A1 (en) * 2008-06-26 2009-12-31 Amedic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 bone anchor without a pilot hole
US8172878B2 (en) 2008-08-27 2012-05-08 Yue James J Conical interspinous apparatus and a method of performing interspinous distraction
US9095383B2 (en) * 2008-08-28 2015-08-04 DePuy Synthes Products, Inc. Bone-derived spacer assembly
CA2751750C (en) * 2009-02-11 2017-02-07 Spinal Simplicity Llc Interspinous process implants having deployable engagement arms
US8945184B2 (en) * 2009-03-13 2015-02-03 Spinal Simplicity Llc.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and fusion cage spacer
US9801732B2 (en) * 2009-10-30 2017-10-31 Spinefrontier,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vertebral implant assembly
US8475467B2 (en) * 2009-12-07 2013-07-02 Globus Medical, Inc. Derotation apparatus for treating spinal irregularities
US9480576B2 (en) 2010-08-27 2016-11-01 Thompson Mis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body implant and bone graft delivery
US8777960B2 (en) * 2011-03-28 2014-07-15 DePuy Synthes Products, LLC Interlock driving instrument
US9572605B2 (en) * 2012-10-09 2017-02-21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US9526533B1 (en) * 2014-09-12 2016-12-27 Roberto J. Aranibar Spinal repair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US11278325B2 (en) * 2015-03-11 2022-03-22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US11344354B2 (en) * 2019-09-09 2022-05-31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3185A4 (en) 2017-01-18
CN105530881B (zh) 2019-04-26
MX2015016394A (es) 2016-04-11
WO2014194046A1 (en) 2014-12-04
US9603648B2 (en) 2017-03-28
EP3003185A1 (en) 2016-04-13
US10285739B2 (en) 2019-05-14
JP6500013B2 (ja) 2019-04-10
JP2016523120A (ja) 2016-08-08
AU2014274197A1 (en) 2015-12-10
CN105530881A (zh) 2016-04-27
US20190231398A1 (en) 2019-08-01
ES2692277T3 (es) 2018-12-03
US20140358186A1 (en) 2014-12-04
CA2913463A1 (en) 2014-12-04
US20170189079A1 (en) 2017-07-06
US11234740B2 (en) 2022-02-01
BR112015029573A2 (pt) 2017-07-25
EP3003185B1 (en)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4740B2 (en) Instrument for inserting an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US11298161B2 (en) Interspinous implant insertion instrument with staggered path implant deployment mechanism
US8992579B1 (en) Lateral fixation constructs and related methods
KR101687977B1 (ko) 극돌기간 임플란트 및 융합 케이지 이격기
EP3337406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surgical retraction
US10980528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surgical retraction
US11871968B2 (en) Spinal fixation access and delivery system
US201402574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insertion of intervertebral implants
EP2884923B1 (en) Spinal implant system
US20230240725A1 (en) Instrument for inserting an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EP2506788B1 (en) Facet joint replacement instruments
US20230015890A1 (en) Interspinous implant insertion instrument with staggered path implant deploymen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